KR101622408B1 -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408B1
KR101622408B1 KR1020100058766A KR20100058766A KR101622408B1 KR 101622408 B1 KR101622408 B1 KR 101622408B1 KR 1020100058766 A KR1020100058766 A KR 1020100058766A KR 20100058766 A KR20100058766 A KR 20100058766A KR 101622408 B1 KR101622408 B1 KR 10162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oil
divided
oppose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572A (ko
Inventor
데츠야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68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8958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체를 접합하여 구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접합 불량이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분할체(11)와 대향하고 흡입구 방향(상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1)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1 대향 분할부(43), 제 2 분할체(13)와 대향하고 흡입구 반대방향(하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5)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2 대향 분할부(47), 및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43)와 제 2 대향 분할부(47) 사이에 위치하는 연통 구멍(49)을 갖는 통부(51)를 일체로 구비한 중간 분할체(15)를 마련한다.

Description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ENGINE OIL STRAINER}
본 발명은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되며, 오일을 오일 팬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오목형상의 2개의 분할체를 각각의 개구부를 대향시켜 필터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합하고, 오일을 오일 팬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도록 구성한 긴 형상의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1 :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503462 호
그러나, 오일 스트레이너는 엔진의 종류 등에 따라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2개의 분할체를 접합하여 구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서는 양 분할체의 접합면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작 오차로 인해 치수가 달라지기 쉽고, 그 결과 접합 불량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분할체를 접합하여 구성되는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접합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일 스트레이너를 유입구와 유출구 중간에서 통부를 경계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되고, 오일을 오일 팬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강구했다.
즉, 제 1 발명은, 내부에 관형상실을 갖는 관형상부가 오일 유동 방향으로 복수 연결되어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는 한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1 분할체와, 이 제 1 분할체의 개구부와 반대측인 다른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2 분할체와, 상기 제 1 분할체와 대향하며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 1 대향 분할부, 상기 제 2 분할체와 대향하며 상기 한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 2 대향 분할부, 및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와 제 2 대향 분할부 사이에 위치하며 연통 구멍을 갖는 통부를 일체로 구비한 중간 분할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분할체와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를 각각의 개구부를 대향시켜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제 1 관형상실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2 분할체와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를 각각의 개구부를 대향시켜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제 2 관형상실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관형상실과 제 2 관형상실이 상기 통부의 연통 구멍에 의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형상실 중 적어도 한쪽에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수용되며, 오일은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 중 한쪽으로부터 유입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다른쪽으로부터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어도 2개의 관형상실에 수용되며, 오일 유동 방향 상류측의 관형상실 내의 필터는 오일 유동 방향 하류측의 관형상실 내의 필터보다도 필터 밀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엔진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오일 스트레이너의 직경방향 한쪽을 구성하는 부재가 긴 쪽 방향 중간의 통부를 경계로 제 1 분할체와 제 2 대향 분할부로 분할되는 것과 동시에, 오일 스트레이너의 직경방향 다른쪽을 구성하는 부재가 제 1 대향 분할부와 제 2 분할체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오일 스트레이너보다도 1개의 접합면이 짧아진다. 따라서, 제작 오차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치수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접합 불량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오일 스트레이너가 제 1 관형상실과 제 2 관형상실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1개만 형성된 관형상실에 필터를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필터의 면적이 작아지고, 비용이 저감된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에 의해 오일이 여과되기 때문에, 혼입물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큰 혼입물이 상류측의 밀도가 낮은 필터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하류측의 밀도가 높은 필터의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오일 펌프와의 접속측에 가해지는 오일 스트레이너의 하중을 통부로부터 돌출하는 장착부의 장착 부분에서도 받고 있기 때문에, 오일 펌프의 흡입구 주변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되고, 오일 스트레이너가 엔진 본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가 엔진 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오일 스트레이너의 통부 주변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V-V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선 VI-VI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개략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선 IX-IX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선 X-X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의 개략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나타낸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1)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오일을 오일 팬(2)(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냄)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4)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것이다. 또한, 이 오일 스트레이너(1)는 수지제이며, 2개 관형상부(7, 9), 즉 내부에 관형상실(3)을 갖는 관형상부(7)와 내부에 관형상실(5)을 갖는 관형상부(9)가 오일 유동 방향으로 하류측으로부터 차례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관형상부(7, 9)는 제 1 분할체(11), 제 2 분할체(13) 및 중간 분할체(15)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분할체(11)는 흡입구 반대방향(하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17)를 갖고 단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분할체(11)의 개구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9)가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분할체(11)의 긴 쪽 방향 일단에는, 오일 펌프 흡입구에 연통하는 유출구(21)가 형성되고, 이 유출구(21)의 바깥 둘레에는 원환상의 시일 홈(22)이 유입구(21)와 동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시일 홈(22)은 슬릿(22a)을 거쳐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일 홈(22)의 바깥 둘레에는, 한 쌍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이 유출구(21)를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일 스트레이너(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삽입 통과 구멍(23)에 금속제의 원통형 칼라(27)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이 칼라(27)에 볼트(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임으로써 오일 펌프 흡입구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펌프 흡입구에 접속할 때, 링형상의 메인부(25a)와 이 메인부(25a)로부터 바깥쪽으로 바늘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b)로 이루어지는 패킹(25)의 메인부(25a)를, 돌출부(25b)가 슬릿(22a)에 대응하도록 시일 홈(22)에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스트레이너(1)를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한 상태에서, 패킹(25)의 돌출부(25b)의 선단이 슬릿(22a)으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1)의 바깥쪽으로 불거지도록 되어 있고, 이 돌출부(25b)의 선단을 오일 스트레이너(1)의 바깥쪽에서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패킹(25)이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체(13)는 흡입구 방향(상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29)를 갖고, 단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분할체(13)의 개구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가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이 제 2 분할체(13)의 긴 쪽 방향 일단에는 유입구(33)가 형성되며, 이 유입구(33) 주연에는, 유입 구멍(35)을 갖는 통형상 유입관부(37)가 하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분할체(13)의 내주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둘레에 걸쳐 필터 받이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분할체(15)는, 상기 제 1 분할체(11)에 대향하고 흡입구 방향(상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1)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1 대향 분할부(43), 상기 제 2 분할체(13)에 대향하며 흡입구 반대방향(하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5)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2 대향 분할부(47), 및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43)와 제 2 대향 분할부(47) 사이에 위치하는 연통 구멍(49)을 갖는 통부(5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부(51)는 제 1 분할체(11)의 긴 쪽 방향 타단[긴 쪽 방향 유출구(21) 반대측 단부], 및 제 2 분할체(13)의 긴 쪽 방향 타단[긴 쪽 방향 유입구(33) 반대측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43)의 개구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가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47)의 개구 단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5)가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47)의 내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필터 받이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47)의 상기 제 2 분할체(13)의 유입구(33)에 대향하는 부분 근방에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59)을 선단에 갖는 장착부(61)가 거의 수평방향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며, 이 장착부(61)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59)에 금속제의 원통형상 칼라(63)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이 칼라(63)에 볼트(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임으로써 밸런스 샤프트 하우징(도시 생략)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부(51)의 외측면에도 볼트 삽입 통과 구멍(65)을 선단에 갖는 장착부(67)가 거의 수평방향을 향해 돌출하여 마련되고, 이 돌출부(67)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65)에 금속제의 원통형상 칼라(71)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이 칼라(71)에 볼트(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임으로써 엔진 본체에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4)는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 필터 본체(73)를 구비하며, 이 필터 본체(73)에는 오일 통과용의 다수의 가는 구멍(73a)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필터 본체(73)의 외주연부에는, 필터 측벽부(75)가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필터 본체(73)의 두께방향 양쪽으로 튀어 나와 형성되며, 하측방향으로의 튀어나옴 길이가 상측방향으로의 튀어나옴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본체(73)에는 폭방향 대략 중앙에서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개의 보강 리브(77) 및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79)가 두께방향 양쪽에 돌출하여 마련되며, 하측방향으로의 돌출 길이가 상측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체(11)와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43)를 각각의 개구부(17, 41)를 대향시켜 열판 용착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관형상실(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 받이부(39, 57)에 의해 필터(4)의 필터 측벽부(75)를 끼워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분할체(13)와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47)를 각각의 개구부(29, 45)를 대향시켜 열판 용착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관형상실(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오일 스트레이너(1)에서는, 관형상실(3)과 관형상실(5)이 상기 통부(51)의 연통 구멍(49)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필터(4)가 관형상실(5)에 제 2 분할체(13)의 개구부(29)와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47)의 개구부(45)를 덮도록 수용되고, 오일은 제 2 분할체(13)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필터(4)를 통과하여 제 2 대향 분할부(47)측으로부터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스트레이너(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팬(2) 내에 수용되고,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엔진이 구동하면, 오일 팬(2) 내의 오일이 통형상 유입관부(37)의 유입 구멍(35)으로부터 빨아올려지고, 이 과정에서 필터(4)의 가는 구멍(73a)을 통과하여 여과되며, 제 1 분할체(11)의 유출구(21)로부터 유출되어 오일 펌프를 거쳐 엔진 접동부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스트레이너(1)의 직경방향 상방측이 긴 쪽 방향 중간의 통부(51)를 경계로 제 1 분할체(11)와 제 2 대향 분할부(47)로 분할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오일 스트레이너(1)의 직경방향 하방측이 제 1 대향 분할부(43)와 제 2 분할체(13)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오일 스트레이너보다도 1개의 접합면이 짧아진다. 따라서 제작 오차가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치수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접합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1)가 관형상실(3)과 관형상실(5)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1개만 형성된 관형상실에 필터를 마련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필터(4)의 면적이 작아지고, 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오일 펌프와의 접속측에 가해지는 오일 스트레이너(1)의 하중을 통부(51)로부터 돌출하는 장착부(67)의 장착 부분에서도 받기 때문에, 오일 펌프의 흡입구 주변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되고, 오일 스트레이너(1)가 엔진 본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67)가 엔진 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오일 스트레이너(1)의 통부(51) 주변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제 2 실시예)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에서 관형상부를 3개 연속하여 마련한 것을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관형상부(9)를 구성하는 제 2 분할체(13)의 통부(51) 반대측 단부에 관형상부(83)가 접속되며, 이 관형상부(83) 내부에는 관형상실(5)의 상류측이 되는 관형상실(81)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9, 83)는 상기 제 1 분할체(1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1 분할체(11'), 상기 제 2 분할체(1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2 분할체(13'), 및 상기 중간 분할체(1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중간 분할체(1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할체(11')는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9)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의 제 2 대향 분할부(47)를 겸하고,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9, 83)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의 제 1 대향 분할부(43)는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9)를 구성하는 제 2 분할체(13)를 겸한다. 또한, 유입구(33)가 제 2 분할체(1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관형상부를 계단형상으로 나란히 한 구성은 관형상부를 4개 이상 연속하여 마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관형상실(81)에는, 필터(4)보다도 필터 밀도가 낮은 판형상 필터(85)가 제 2 분할체(13')의 개구부(29)와 상기 중간 분할체(15')의 제 2 대향 분할부(47)의 개구부(45)를 덮도록 수용되며, 오일이 제 2 분할체(13')측으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필터(85)를 통과하여 제 2 대향 분할부(47)측으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터(85)는 필터(4)보다도 필터 밀도가 낮은 것을 제외하면, 필터(4)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필터(4, 85)에 의해 오일이 여과되므로, 혼입물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큰 혼입물이 상류측의 밀도가 낮은 필터(85)에서 분리되므로, 하류측의 밀도가 높은 필터(4)의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오일 스트레이너(1)에서 관형상부를 3개 연속하여 마련한 것을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관형상부(7)를 구성하는 제 1 대향 분할부(43)의 통부(51)의 반대측(도 11에서 우측) 단부에 관형상부(89)가 접속되며, 이 관형상부(89)의 내부에는 관형상실(3)의 하류측이 되는 관형상실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89)도 상기 제 1 분할체(1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1 분할체(11')와, 상기 제 2 분할체(13)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2 분할체(13')와, 상기 중간 분할체(1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중간 분할체(15')로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89)를 구성하는 제 1 분할체(11')는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9)를 구성하는 제 1 분할체(11)를 겸하고,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89)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의 제 1 대향 분할부(43)는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9)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의 제 1 대향 분할부(43)를 겸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89)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와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7, 9)를 구성하는 중간 분할체(15)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21)가 제 1 분할체(11)가 아니라 중간 분할체(15')의 제 2 대향 분할부(47)의 통부(51)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형상부(89)의 내부의 관형상실에 필터(4)는 수용되어 있지 않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와 같이 관형상부를 상하 교대로 나란히 한 구성은 관형상부를 4개 이상 연속하여 마련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관형상부를 2개 또는 3개 장착하였으나, 4개 이상 장착해도 된다.
또한, 3개 이상 관형상실 내에,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의 개구부를 덮는 필터를, 오일이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의 한쪽으로부터 유입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다른쪽으로 유출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필터를 3개 이상 설치한 경우에도 상류측의 필터만큼 필터 밀도를 낮게 함으로써, 막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관형상실(3, 5, 81)이 거의 수평방향 또는 경사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오일 스트레이너(1)를 배치하였으나, 관형상실(3, 5, 81)이 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오일 스트레이너(1)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각각의 개구부의 접합 방법은 열판 용착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용착, 접착, 걸림 결합 등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되며, 오일을 오일 팬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로서 유용하다.
1 : 오일 스트레이너 2 : 오일 팬
3, 5, 81 : 관형상실 4, 85 : 필터
7, 9, 83, 89 : 관형상부 11, 11': 제 1 분할체
13, 13': 제 2 분할체 15, 15': 중간 분할체
17, 29, 41, 45 : 개구부 43 : 제 1 대향 분할부
47 : 제 2 대향 분할부 49 : 연통 구멍
51 : 통부 67 : 장착부

Claims (4)

  1. 엔진 본체에 장착된 오일 펌프의 흡입구에 접속되며, 오일을 오일 팬으로부터 빨아올리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장척상의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내부에 관형상실을 갖는 관형상부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연장하도록 일체로 복수 연결되어 구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관형상부는,
    일방의 관형상부측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한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1 분할체와,
    타방의 관형상부측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제 1 분할체의 개구부와 반대측인 다른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단면 오목형상의 제 2 분할체와,
    상기 제 1 분할체와 대향하고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 1 대향 분할부, 상기 제 2 분할체와 대향하고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한쪽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제 2 대향 분할부, 및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와 제 2 대향 분할부 사이에 위치하고 연통 구멍을 갖는 통부를 일체로 구비한 중간 분할체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분할체와 상기 제 1 대향 분할부를 각각의 개구부를 대향시켜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관형상실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 2 분할체와 상기 제 2 대향 분할부를 각각의 개구부를 대향시켜 접합함으로써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관형상실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관형상실의 제 2 관형상실 쪽의 단부와 제 2 관형상실의 제 1 관형상실 쪽의 단부가 상기 통부의 연통 구멍에 의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형상실 중 적어도 한쪽에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수용되고, 오일은 분할체 및 대향 분할부 중 한쪽으로부터 유입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다른쪽으로부터 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적어도 2개의 관형상실에 수용되고,
    오일 유동 방향 상류측의 관형상실 내의 필터는 오일 유동 방향 하류측의 관형상실 내의 필터보다도 필터 밀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엔진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KR1020100058766A 2009-07-16 2010-06-21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KR101622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8126 2009-07-16
JP2009168126 2009-07-16
JPJP-P-2009-276844 2009-12-04
JP2009276844A JP5368958B2 (ja) 2009-07-16 2009-12-04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72A KR20110007572A (ko) 2011-01-24
KR101622408B1 true KR101622408B1 (ko) 2016-05-18

Family

ID=4348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66A KR101622408B1 (ko) 2009-07-16 2010-06-21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2408B1 (ko)
CN (1) CN101956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673B2 (ja) * 2011-07-20 2015-11-17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オイルストレーナ
DE102012100988A1 (de) * 2012-02-07 2013-08-08 Elringklinger Ag Rohrkörper und Ölwanne mit einem derartigen Rohrkörper
CN106640261A (zh) * 2016-12-29 2017-05-10 贺州思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导流式的机油滤清器
CN110017192A (zh) * 2018-01-10 2019-07-1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机油集滤器和发动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370A (ja) * 2007-09-18 2009-04-09 Daikyo Nishikawa Kk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9908U (ja) * 1983-02-01 1984-08-13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ストレ−ナ−
JP4953207B2 (ja) * 2007-07-20 2012-06-13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オイルストレー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4370A (ja) * 2007-09-18 2009-04-09 Daikyo Nishikawa Kk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6588B (zh) 2014-09-24
KR20110007572A (ko) 2011-01-24
CN101956588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026B2 (en) Filter element with air-bleed conduit
KR101622408B1 (ko) 엔진용 오일 스트레이너
CN101784761A (zh) 油盘
US10494962B2 (en) Oil strainer
EP1233155B1 (en) Engine air-oil separator
US7828869B1 (en) Space-effective filter element
CN101842142A (zh) 授权的过滤器维保和替换
US20140165512A1 (en) Oil separator
US11918941B2 (en) Integrated module with stage one and stage two filters combined in single housing
CN110769911B (zh) 燃料-水分离器系统和方法
KR20060131611A (ko) 필터 엘리먼트
KR20030036758A (ko) 연료 이송 유닛용 필터 모듈 및 자동차용 연료 이송 유닛
WO2015159544A1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2009047141A (ja) エンジンのオイル分離装置
JP3702878B2 (ja) 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ールド
JP5368958B2 (ja)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JP7024476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JP2013124598A (ja) 内燃機関のヘッドカバー
JP485026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9074370A (ja) エンジン用オイルストレーナ
JP4871834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ストレーナ構造
KR101173255B1 (ko) 오일팬 및 이를 구비한 오일공급시스템
JP7388286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JP6988439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JP4280578B2 (ja) 内燃機関の吸気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