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53A -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 - Google Patents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53A
KR20110020753A KR1020100081679A KR20100081679A KR20110020753A KR 20110020753 A KR20110020753 A KR 20110020753A KR 1020100081679 A KR1020100081679 A KR 1020100081679A KR 20100081679 A KR20100081679 A KR 20100081679A KR 20110020753 A KR20110020753 A KR 2011002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eam path
objective lens
working distanc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크나프만
요아킴 크니텔
위르겐 모에스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1002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7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using the near-field effec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focus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 및 이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시 모드와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광 픽업(24)은 공통 광축(A)에 모두 배치된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를 구비하는 대물 렌즈(2)를 가지는 이동가능한 부분(26)을 포함한다. 다초점 렌즈(6)는 중심 영역(8)과 이 중심 영역(8)의 외주에 주변 영역(10)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10)은 원시 모드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은 고체 침지 렌즈(4)와 함께 근시 모드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는 동시에 이동하도록 적응된다. 광 픽업(24)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원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기초하여 원시 작업 거리(DF)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부분(26)을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하는 제 1 단계와; 원시 작업 거리(DF)를 더 작은 근시 작업 거리(NF)로 줄이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COMPRISING THE OBJECTIVE LENS}
본 발명은 근시 데이터 저장용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사용하는 광 픽업 및 이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정보 기술이 보다 복잡하거나 멀티미디어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점점 증가하는 양의 데이터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대 저장 용량을 갖는 제거가능한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이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영화나 비디오 게임에 필요하다. 정보 기술의 시작시에는 자성 저장 디바이스들이 선호되었으나, 요즈음은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BD(Blu-Ray Disk)와 같은 광 저장 매체들이 제거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용으로 시장에서 지배적이다.
광 데이터 저장은 일반적으로 판독/기록 시스템의 광학 해상도에 의해 제한된다. 광학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간단한 방법은 초점맺힌(focued) 빔과 개구 각도, 즉 개구수(NA : numerical aperture)를 넓히는 것을 수반하지만 이는 렌즈를 복잡하게 한다. 다른 접근법은 광 저장 매체에 허용가능한 틸트 마진(tilt margins)을 좁히거나 스캐닝 레이저의 파장을 청색이나 근 자외선 영역으로 좁히는 것이다. 광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 초점 스폿 사이즈를 줄이는 다른 접근법은 높은 개구수(NA>1)를 갖는 근시 광학기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높은 개구수는 일반적으로 고체 침지 렌즈(SIL : solid immersion lens)의 도움으로 달성된다. CD, DVD 또는 BD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이 전통적인 광학기기로 기술되는 광학 원시 체제에서 동작하는 반면, 전술된 새로운 시스템은 근시 광학기기로 기술되는 광학 근시 체제에서 동작한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작업 거리, 즉 광 저장 매체의 표면과 판독/기록 헤드, 일반적으로 대물 렌즈의 제 1 광학 표면 사이의 공기 갭은 100㎛의 규모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근시 광학기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50㎚ 규모인 매우 작은 작업 거리 즉 공기 갭을 필요로 한다. 근시 광학기기를 사용하는 판독 및/또는 기록을 위한 광 저장 시스템은 WO 2005/104109 A1에 개시되어 있다. 저장 매체의 표면과 대물 렌즈의 표면 사이에 낮은 작업 거리는 근시 기술의 주된 문제점 중 하나이다. 작은 작업 거리는 관련된 광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디스크에 대해 틸트와 수직 편차의 제한에 엄격한 규격을 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디스크 규격이 현재 블루레이(blueray) 디스크보다 수 배 더 작은 수직 런아웃(runout) 값, 예를 들어 100㎛ 대신에 20㎛만을 허용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광 픽업의 판독/기록 헤드가 헤드 디스크 접촉이나 헤드 크래시(crash) 없이 디스크 표면에 접근하고 초점 루프에 근접하는 것이 곤란하다.
간단한 전방 접근법은 저장 매체의 외부 영역에 비해 틸트와 편차를 통상 더 낮게 하는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판독/기록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시 광 저장 시스템에서는 약 50㎚의 전술된 낮은 작업 거리에서 연속적인 초점 동작 없이 저장 매체의 외부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P 11-259897은 고밀도 및 저밀도의 광 기록 매체를 위한 기록 및 재생을 할 수 있는 광 픽업을 개시한다. 이 픽업은 시준된 광을 수렴시키는 저 밀도 매체를 위한 제 1 대물렌즈와, 이 제 1 대물렌즈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광의 부분을 절단하는 광 차폐물과, 고밀도 매체를 위해 제 2 대물렌즈와 고체 침지 렌즈로 구성된 광학 소자를 구비한다. 저밀도 매체를 위한 헤드는 슬라이더에 의해 광 차폐물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고밀도 매체를 위한 헤드는 기록 매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US 2008/0198728은 대물 렌즈, 고체 침지 렌즈, 및 1보다 더 작은 고체 침지 렌즈와 대물 렌즈의 유효 개구수에 대응하는, 광 기록 매체에 의해 반사된 광빔의 일부를 수집하는 개구 소자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개시한다. 속도 생성 회로는 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된 신호 레벨에 따라 기록 매체에 고체 침지 렌즈를 접근시키는 속도를 줄인다. 드라이버 회로는 속도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에 따라 대물 렌즈와 고체 침지 렌즈를 구동한다. 이런 방식으로 고체 침지 렌즈가 광 기록 매체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이 보장된다.
US 2008/0089208은 광 기록 매체의 표면에 대해 원시 위치로부터 근시 위치로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적응된 근시 광 스캐닝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고체 침지 렌즈와 광기록 매체의 표면 사이의 갭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개구 동공(pupil) 이미지의 이미지 처리는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개구 동공의 이미지 분석은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공기 갭 거리에 대해 접근 절차를 위한 제어 신호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접근 절차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저장 매체의 표면에 안전하고 신속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대물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대물 렌즈를 구비하는 광 픽업 및 접근 절차가 개선되게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있는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광축에 모두 배치된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를 포함하는 대물 렌즈가 제공된다. 전술된 다초점 렌즈는 중심 영역과 이 중심 영역의 외주에 있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주변 영역은 원시 모드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은 고체 침지 렌즈와 함께 근시 모드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는 동시에 이동하도록 적응된다.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과 고체 침지 렌즈를 광학 시스템에 결합시킴으로써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에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는 대물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서로 다른 광 기록 매체에 2개의 영역의 광학 특성을 채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과 고체 침지 렌즈는 근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근시 광학 시스템은 1보다 더 큰 개구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적으로 원시 영역에서 동작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 주변 영역을 가지는 다초점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의 초점 거리는 주변 영역의 초점 거리보다 더 짧다. 고체 침지 렌즈가 일반적으로 근시 광 데이터 저장에 필요하므로, 이 배열은, 대불 렌즈의 어떠한 추가 변형도 근시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거나 및/또는 이 매체에 기록하는데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장한다. 동시에, 원시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거나 및/또는 이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요구조건이 덜 타이트하므로, 주변 영역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이러한 광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충분하다.
다초점 렌즈는 상이한 초점 거리를 제공하는 2개의 상이한 영역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이한 목적을 위해 다초점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은 고체 침지 렌즈와 함께 근시에서 동작하도록 사용되는 반면,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은 원시에서 동작하도록 사용된다. 대물 렌즈를 광 저장 매체의 표면에 접근시킬 때, 대물 렌즈가 원시 뿐만 아니라 근시에도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인해 2 단계의 공정이 유리하게 실현된다.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 사이에 배치된 환형 개구를 갖는 다초점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 환형 개구는 스트레이 광을 차단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영역의 초점 거리는 원시 모드에서 50 내지 250㎛ 사이의 작업 거리로 적응되는 반면,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의 초점 거리는 근시 모드에서 25 내지 50㎚ 사이의 작업 거리로 적응된다. 수십 ㎛ 또는 수백 ㎛ 범위의 작업 거리는 헤드 크래시(head crash)에 대한 높은 위험이 없이 전술된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판독/기록 헤드를 안전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은 원시 모드와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 광 픽업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 렌즈를 포함한다.
대물 렌즈에 대해 전술된 유사하거나 동등한 잇점이 광 픽업에도 또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빔의 제 1 부분은 제 1 분석 빔 경로로 향하고 신호 빔의 제 2 부분은 제 2 분석 빔 경로로 향하며, 여기서 제 1 분석 빔 경로는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광 픽업은 유리하게는 편광 빔 스플리터와 비 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며 이들 빔 스플리터는 모두 신호 빔의 광 경로에 배치된다. 신호 빔은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되는 한편, 비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제 1 분석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비점수차 렌즈를 포함한다.
전술된 광 픽업은 유리하게는 원시 모드에서 뿐만아니라 근시 모드에서 동작가능한 반면, 제 1 분석 빔 경로에 배열된 비점수차 렌즈는 유리하게는 원시 모드에서 동작될 때 비점수차 초점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대안에 따르면,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1 부분은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되고,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2 부분은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되며, 여기서 제 2 분석 빔 경로는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 광 픽업은 유리하게는 편광 빔 스플리터와 비 편광 빔 스필리터를 포함하며, 이들 스플리터는 모두 신호 빔의 광 경로에 배치되며, 여기서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을 지나간 신호 빔의 제 1 부분은 편광 빔 스플리터의 도움으로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을 지나간 신호 빔의 제 2 부분은 비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하여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신호 빔의 제 1 부분의 빔 경로에는 1/4 파장 판이 배치되며 제 2 분석 빔 경로에는 비점수차 렌즈가 배치된다. 1/4 파장 판은 바람직하게는 다초점 렌즈의 표면에 또는 고체 침지 렌즈의 표면에 배열된다.
전술된 광 픽업에 의하여 신호 빔의 부분만이 1/4 파장 판을 지나간다. 따라서, 전술된 1/4 파장 판을 지나간 신호 빔의 부분만이 데이터 판독에 사용되는 빔의 편광에 수직한 편광을 나타낸다. 그 결과, 1/4 파장 판을 지나간 신호 빔의 부분이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되는 반면, 1/4 파장 판을 지나가지 않은 신호 빔의 부분은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전술된 광 픽업에서 제 2 분석 빔 경로의 도움에 의해서만 작업 거리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근시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원시 모드에서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원시 모드와 근시 모드에서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광 픽업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이 대물 렌즈와 광 저장 매체의 표면 사이의 원시 작업 거리에 도달하도록 대물 렌즈를 광 저장 매체의 표면에 접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원시 작업 거리는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의 초점 거리와 적어도 거의 같다. 제 1 접근은 원시 모드에서 작업하는 광 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방법의 다른 단계에서, 광 저장 매체의 표면은 대물 렌즈에 의하여 원시 작업 거리보다 더 짧은 근시 작업 거리에 도달하도록 접근된다.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전술된 방법은 광 저장 매체의 표면에 접근시키는데 2단계 공정을 제공한다. 광 저장 매체의 표면과 대물 렌즈 사이의 거리가 제 1 단계에서 비교적 높으므로, 즉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의 초점 거리 범위에 있으므로, 헤드 크래시의 위험이 상당히 낮아진다. 이것은 원시 작업 거리가 예를 들어 회전하는 디스크의 수직 런아웃의 일반적인 값보다 더 크기 때문에 그러하다.
유리하게는, 대물 렌즈를 근시 작업 거리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원시 작업 거리를 미리결정된 값만큼 줄이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원시 동작 동안 저장 매체의 회전과 관계있는 틸트나 수직 런아웃과 같은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이들 파라미터는 근시 동작 뿐만 아니라 원시 동작에서도 유효하다. 유일한 차이는 작업 거리에서의 오프셋 값이다. 이 오프셋은 대략적으로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의 초점 거리와 근시 작업 거리 사이의 차이로 주어진다.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본 방법은,
-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 제 1 분석 빔 경로에 신호 빔의 제 1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와;
- 제 2 분석 빔 경로에 신호 빔의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광 저장 매체의 표면을 원시 작업 거리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1 분석 빔 경로를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픽업은 편광 빔 스플리터와 비 편광 빔 스플리터를 유리하게 포함하며, 이들 스플리터는 모두 신호 빔의 광 경로에 배치된다. 신호 빔은 편광 빔 스플리터의 도움으로 비점수차 렌즈를 포함하는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비 편광 빔 스플리터의 도움으로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광 저장 매체의 표면을 원시 작업 거리로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1 분석 빔 경로에 배열된 비점수차 렌즈를 사용하여 비점수차 초점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비점수차 초점 제어는 작업 거리의 신속하고 신뢰성있는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원시 동작 동안 작업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분석 빔 경로가 사용되는 반면, 근시 동작 동안 예를 들어 갭 에러 신호의 도움으로 작업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제 2 분석 빔 경로가 사용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근시 모드에서 제 1 분석 빔 경로는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1 부분을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하는 단계와;
-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2 부분을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광 저장 매체의 표면을 원시 작업 거리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2 분석 빔 경로를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를 위해 픽업은 바람직하게는 신호 빔의 광 경로에 모두 배치된 편광 빔 스플리터와 비 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한다. 고체 침지 렌즈와 다초점 렌즈의 중심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1 부분은 편광 빔 스플리터의 도움으로 제 1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다초점 렌즈의 주변 영역을 지나가는 신호 빔의 제 2 부분은 비 편광 빔 스플리터에 의해 비점수차 렌즈를 포함하는 제 2 분석 빔 경로로 연결된다. 광 저장 매체의 표면을 원시 작업 거리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2 분석 빔 경로에 포함되는 비점수차 렌즈를 사용하여 비점수차 초점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제 2 분석 빔 경로는 원시 동작과 근시 동작 동안 작업 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제 2 분석 빔 경로는 데이터만을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술된 방법에 따르면 작업 거리를 제어하는 것과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기능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것은 광 픽업의 제어를 구현할 때 간략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광 저장 매체의 표면에 안전하고 신속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대물 렌즈, 이 대물 렌즈를 구비하는 광 픽업 및 접근 절차가 개선되게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특정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유리하게 결합되거나 및/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원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대물 렌즈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2는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도 1의 대물 렌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스케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을 포함하며 이 광 픽업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스케치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대물 렌즈(2)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원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대물 렌즈(2)를 도시하는 반면, 도 2는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대물 렌즈(2)는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를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공통 광축(A)에 배치된다. 다초점 렌즈(6)는 중심 영역(8)과 주변 영역(10)을 포함하며, 여기서 주변 영역(10)은 중심 영역(8)의 외주에 있다. 대물 렌즈(2)는 근시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원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주변 영역(10)은 원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광학 시스템을 구성한다. 중심 영역(8)은 고체 침지 렌즈(4)와 함께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광학 시스템을 구성한다. 후자는 높은 개구수, 즉 NA>1을 가지고 있다. 중심 영역(8)과 주변 영역(10) 사이에는 스트레이 광(stray ligh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개구(12)가 배치된다.
대물 렌즈(2)는 다초점 렌즈(6)와 바닥부(16) 사이에 이격 요소로 작용하는 환형 링(14)을 더 포함한다. 고체 침지 렌즈(4)는 전술된 바닥부(16) 상에 고정되며, 이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체 침지 렌즈(4)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물론, 고체 침지 렌즈(4)는 또한 다초점 렌즈(6)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는 완전히 별개의 광학 소자이다.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의 초점 거리와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는 서로 다르게 선택된다. 원시 작업 거리(DF)를 한정하는 원시 초점(18)은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에 의해 한정된다. 중심 영역(8)과 고체 침지 렌즈(4)에 의해 구성된 광학 시스템은 근시 작업 거리(NF)를 한정하는 근시 초점(20)을 가진다. 근시 작업 거리(NF) 뿐만 아니라 원시 작업 거리(DF)는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과, 이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을 향하는 바닥부(16)의 표면 사이에서 측정된다. 단지 예시로써, 원시 작업 거리(DF)는 50 내지 200㎛ 범위인 반면, 근시 작업 거리(NF)는 25 내지 50㎚ 범위이다. 원시 작업 거리(DF)는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와 적어도 거의 같다. 단지 예시로써, 광 저장 매체(22)는 대물 렌즈(2)를 포함하는 픽업에서 회전하는 디스크이다.
원시 작업 거리(DF)는 대물 렌즈(2)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 사이에 헤드 크래시 또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 저장 매체(22)의 수직 런아웃이나 틸트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값으로 설정된다. 광 디스크의 경우에, 광 저장 매체(22)의 수직 런아웃은 이 디스크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주기적이다. 나아가, 수직 런아웃은 근시 동작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원시 동작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사실로 인해 대물 렌즈(2)를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시키는 것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2 단계 공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대물 렌즈(2)를 구비하는 광 픽업(24)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2개의 예시적인 픽업(24)이 각각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광 픽업(24)은 원시 모드와 근시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나아가, 이들 광 픽업은 본 발명에 따른 대물 렌즈(2)와 1/4 파장 판(28)을 적어도 구비하는 이동가능한 부분(26)을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부분(26)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조절가능하다. 그러므로, 작업 거리, 즉 원시 작업 거리(DF) 뿐만 아니라 근시 작업 거리(NF)가 조절 가능하다. 단지 예시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광 픽업(24)은 원시 모드에서 도시된 것이다.
본 방법의 제 1 단계에서, 이동가능한 부분(26)은 원시 작업 거리(DF)에 도달하기 위해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한다. 이후, 본 방법의 추가적인 단계에 따라,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이 원시 작업 거리(DF)보다 상당히 더 작은 근시 작업 거리(NF)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부분(26)에 의해 접근된다. 원시 모드에서 동작할 때, 광 저장 매체(22)의 수직 런아웃이 결정된다. 광 저장 매체(26)의 표면(21)을 추적하기 위해 결정된 파라미터들은 근시 동작에 뿐만 아니라 원시 동작에도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근시 작업 거리(NF)에 도달하기 위해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할 때, 이동가능한 부분(26)은 간단히 원시 작업 거리(DF)를 미리결정된 값만큼 줄임으로써 접근된다. 이 값은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에 거의 해당하는 원시 작업 거리(DF)와 근시 작업 거리(NF) 사이의 차이로부터 알려진다.
도 3에 도시된 광 픽업(24)은 시준기(34)에 의해 시준된 레이저 빔(32)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30)를 포함한다. 이 레이저 빔(32)은 이 레이저 빔(32)의 부분을 레이저 파워(laser power)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파워 모니터링 유닛(38)으로 반사시키는 비 편광 빔 스플리터(36)를 지나간다. 이후, 편광 빔 스플리터(40)는, 레이저 빔(32)이 대물 렌즈(2)의 도움으로 광 저장 매체(22)에 초점이 맺히기 전에 지나간다. 레이저 빔(32)과 광 저장 매체(22)의 데이터 층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결과, 변조된 신호 빔(42)이 생성된다.
이 신호 빔(42)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과 비 편광 빔 스플리터(36) 사이의 레이저 빔(32)과 동일한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 신호 빔(42)은 이동가능한 부분(26)을 지나가며, 편광 빔 스플리터(40)에 의하여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연결되고 비 편광 빔 스플리터(36)에 의하여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연결된다.
편광 빔 스플리터(40)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레이저 빔(32)은 제 1 방향으로 배향된 선형 편광을 가진다. 레이저 빔(32)의 선형 편광은 1/4 파장 판(28)의 도움으로 원 편광으로 변환된다. 이 원 편광된 레이저 빔(32)의 회전 방향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 상으로의 이 레이저 빔(32)의 반사로 인해 변화된다. 반사된 레이저 빔(32)은 신호 빔(42)이라고 언급되며, 레이저 빔(32)과 비교해 반대 방향의 원 편광을 가지고 있다. 1/4 파장 판(28)의 도움으로, 반대 방향으로 편광 빔 스플리터(40)를 지나가는 선형 편광된 레이저 빔(32)의 각 배향에 수직하게 배향된 선형 편광을 가지는 신호 빔(42)이 얻어진다. 따라서, 신호 빔(42)의 이 부분은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반사된다. 이 제 1 분석 빔 경로(44)는 4개의 사분면 검출기(50)에 의하여 비점수차 초점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비점수차 렌즈(48)를 포함한다.
레이저 빔(32)의 부분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을 향하는 고체 침지 렌즈(4)의 바닥측에서 더 반사된다. 레이저 빔(32)이 이 표면에서 반사될 때 탈편광 작용(depolarizing effect)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은 편광 빔 스플리터(40)의 방향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이 광은 편광 빔 스플리터(40)를 지나간다. 고체 침지 렌즈(4)의 바닥 면에서 일어나는 탈편광 작용의 양은 근시 효과로 인해 고체 침지 렌즈(4)로부터 공기 갭을 거쳐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으로 연결되는 광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반사된 광의 양과 상관된 신호에 기초하여 갭 에러 제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광은 비 편광 빔 스플리터(36)에 의하여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연결된다.
요약하면, 도 3에 도시된 광 픽업(24)은 근시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원시 모드에서도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근시 모드에 있는 동안 분석 빔 경로(46)에 의해 수행되는 갭 에러 제어는 근시 작업 거리(NF)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원시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제 1 분석 빔 경로(44)에 의해 수행되는 비점수차 초점 제어는 원시 작업 거리(DF)를 보장한다. 광 픽업(24)이 근시 모드에서 동작되는 경우 수행되는 데이터 검색은 제 1 분석 빔 경로(44)에 의해 수행된다.
광 픽업(24)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광 픽업(24)과 비교해서 1/4 파장 판(28)이 사이즈가 줄어들어 있다. 이 1/4 파장 판은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을 커버하는 반면,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에 있는 레이저 빔(32)과 신호 빔(42)은 1/4 파장 판(28)을 바이패스한다. 그 결과,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을 지나가는 레이저 빔(32)의 제 1 부분의 선형 편광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광 저장 매체(21)의 표면에서 반사할 때에도 편광의 방향이 전혀 변하지 않는다. 그 결과, 레이저 빔(32)의 부분이 편광 빔 스플리터(40)를 지나가며, 비 편광 빔 스플리터(36)에 의해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반사된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광 픽업(24)이 원시 모드에서 동작되는 경우, 제 2 분석 빔 경로(46)에 배열된 비점수차 렌즈(48)를 사용하여 비점수차의 초점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원시 작업 거리(DF)가 보장된다.
근시 모드에서 동작될 때,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을 지나가는 레이저 빔(32)의 제 2 부분은 이것이 1/4 파장 판(28)을 지나간다는 사실로 인해 편광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 부분은 편광 빔 스플리터(40)에 의해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반사된다. 도 4에 도시된 광 픽업(24)은 제 2 분석 빔 경로(46)에 의해서만 근시 작업 거리(NF) 뿐만 아니라 원시 작업 거리(DF)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분석 빔 경로(44)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과 제 2 분석 빔 경로(46)에서 거리를 제어하는 것 사이를 기능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에 이용가능하다.
2 : 대물 렌즈 4 : 고체 침지 렌즈
6 : 다초점 렌즈 8 : 중심 영역
10 : 주변 영역 12 : 환형 개구
14 : 환형 링 16 : 바닥부
18 : 원시 초점 20 : 근시 초점
22 : 광 저장 매체 24 : 광 픽업
26 : 이동가능한 부분 28 : 1/4 파장 판
30 : 레이저 다이오드 32 : 레이저 빔
34 : 시준기 36 : 비 편광 빔 스플리터
38 : 파워 모니터링 유닛 40 : 편광 빔 스플리터
42 : 변조된 신호 빔 44 : 제1 분석 빔 경로
46 : 제 2 분석 빔 경로 48 : 비점수차 렌즈

Claims (15)

  1. 공통 광축(A)에 배치되는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를 포함하며, 상기 다초점 렌즈(6)는 중심 영역(8)과 이 중심 영역(8)의 외주에 있는 주변 영역(10)을 포함하는, 대물 렌즈(2)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10)은 원시 모드(far-field mode)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은 상기 고체 침지 렌즈(4)와 함께 근시 모드(near-field mode)용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는 동시에 이동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과 상기 고체 침지 렌즈(4)는 근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물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은 광학적으로 원시 영역에서 동작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대물 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8)의 초점 거리는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보다 짧은, 대물 렌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과 주변 영역(10) 사이에는 환형 개구(12)가 배치되는, 대물 렌즈.
  6. 원시 모드와 근시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광 픽업(24)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24)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물 렌즈(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픽업.
  7. 제 6 항에 있어서, 신호 빔(42)의 제 1 부분은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향하고, 상기 신호 빔(42)의 제 2 부분은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향하며, 상기 제 1 분석 빔 경로(44)는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광 픽업.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침지 렌즈(4)와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을 지나가는 신호 빔(42)의 제 1 부분은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연결되고,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을 지나가는 신호 빔(42)의 제 2 부분은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분석 빔 경로(46)는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광 픽업.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물 렌즈(2)를 포함하는 광 픽업(24)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 상기 대물 렌즈(2)와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 사이의 원시 작업 거리(DF)로서,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와 적어도 거의 같은 원시 작업 거리(DF)에 도달하기 위해 원시 모드에서 작동하는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점 제어를 통해 대물 렌즈(2)를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접근시키는 단계와;
    - 원시 작업 거리(DF)보다 더 짧은 근시 작업 거리(NF)에 도달하기 위하여 대물 렌즈(2)를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에 더 접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2)를 근시 작업 거리(NF)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대물 렌즈(2)를 원시 작업 거리(DF)로부터 미리 결정된 값만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근시 작업 거리(NF)와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의 초점 거리 사이의 차이와 적어도 거의 같은,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신호 빔(42)의 제 1 부분을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연결하는 단계와;
    - 신호 빔(42)의 제 2 부분을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을 원시 작업 거리(DF)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1 분석 빔 경로(44)를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원시 동작 동안 제 1 분석 빔 경로는 원시 작업 거리(DF)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근시 동작 동안 제 2 분석 빔 경로는 근시 작업 거리(NF)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 1 분석 빔 경로(44)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고체 침지 렌즈(4)와 다초점 렌즈(6)의 중심 영역(8)을 지나가는 신호 빔(42)의 제 1 부분을 제 1 분석 빔 경로(44)로 연결하는 단계와;
    - 상기 다초점 렌즈(6)의 주변 영역(10)을 지나가는 신호 빔(42)의 제 2 부분을 초점 제어를 위해 제공된 제 2 분석 빔 경로(46)로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 저장 매체(22)의 표면(21)을 원시 작업 거리(DF)에 접근시키는 단계는 제 2 분석 빔 경로(46)를 사용하여 초점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석 빔 경로(46)는 원시 동작과 근시 동작 동안 작업 거리(DF)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제 1 분석 빔 경로(44)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픽업을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00081679A 2009-08-24 2010-08-23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 KR20110020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305783A EP2290647A1 (en) 2009-08-24 2009-08-24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comprising the objective lens
EP09305783.4 2009-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53A true KR20110020753A (ko) 2011-03-03

Family

ID=4133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79A KR20110020753A (ko) 2009-08-24 2010-08-23 대물 렌즈 및 이 대물 렌즈를 포함하는 광 픽업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54734B2 (ko)
EP (2) EP2290647A1 (ko)
JP (1) JP5591626B2 (ko)
KR (1) KR20110020753A (ko)
CN (1) CN101996651B (ko)
AT (1) ATE549717T1 (ko)
TW (1) TWI500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8268B (zh) * 2014-01-29 2017-03-29 西安交通大学 多焦点透镜及其加工设备、加工方法
CN104807818B (zh) * 2014-01-29 2017-12-15 西安交通大学 三维静态及动态显微检测系统及方法
CN106471412B (zh) * 2014-03-11 2020-04-21 Dcg系统有限公司 自校准的悬浮固体浸没透镜端部
CN112305702A (zh) * 2020-11-26 2021-02-02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便捷的多焦点光路系统
CN112305703A (zh) * 2020-11-26 2021-02-02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焦距长的多焦点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0281T2 (de) * 1996-03-08 2005-08-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bjektivlinse und abtastanordnung mit einer solchen objektivlinse
JPH11259897A (ja) * 1998-03-13 1999-09-24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CN1252704C (zh) * 2000-10-27 2006-04-1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光学扫描装置
JP2002184025A (ja) * 2000-12-08 2002-06-28 Minolta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AU2003280157A1 (en) * 2002-12-04 2004-06-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bjective lens and scanning device using such an objective lens
JP2007534100A (ja) 2004-04-20 2007-11-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光データ記憶システムと光学的記録および/または読取方法
WO2006040705A1 (en) * 2004-10-11 2006-04-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ear field optical lens-to-carrier approach.
EP1961003B1 (en) * 2005-12-06 2010-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ir gap servo for optical recording
JP2008041219A (ja) * 2006-08-09 2008-02-21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サーボ制御方法
JP2008065931A (ja) * 2006-09-08 2008-03-21 Canon Inc 対物レンズとsilの制御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WO2008048023A2 (en) * 2006-10-16 2008-04-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pickup unit,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8204562A (ja) * 2007-02-21 2008-09-04 Canon Inc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4891394B2 (ja) * 2007-03-29 2012-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ギャップ制御方法
JP2008310921A (ja) * 2007-06-18 2008-12-25 Canon Inc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4345859B2 (ja) * 2007-09-12 2009-10-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記録再生装置及びギャップの制御方法
JP2009093745A (ja) * 2007-10-05 2009-04-30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ギャップ調整装置およびギャップ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6651A (zh) 2011-03-30
US20110044154A1 (en) 2011-02-24
EP2290648A1 (en) 2011-03-02
EP2290648B1 (en) 2012-03-14
JP2011048896A (ja) 2011-03-10
EP2290647A1 (en) 2011-03-02
TW201109759A (en) 2011-03-16
CN101996651B (zh) 2015-05-06
TWI500989B (zh) 2015-09-21
US8054734B2 (en) 2011-11-08
ATE549717T1 (de) 2012-03-15
JP5591626B2 (ja)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1986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0171346A (ja) 収差検出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5591626B2 (ja) 対物レンズ及び対物レンズ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
KR20100076784A (ko) 비구면 렌즈 및 이를 대물렌즈로 채용한 광픽업
JP2007293963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80212418A1 (en) Optical disc device
JP4726253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情報機器
JP2004139709A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31221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90161522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nd Recording Medium
KR20100106223A (ko) 광 픽업 장치 및 대물 렌즈
JP2007250073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537054A (ja) 光学走査デバイス
US8223615B2 (en) Compatible near fiel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2055024A (ja) 収差検出方法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5675460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8243318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1121616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829360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2267704A1 (en)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evice
US20090161501A1 (en) Focus control method and optical disc apparatus
JP2002039914A (ja) 収差検出方法、収差検出装置並びに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250066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01200911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1201872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