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542A -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542A
KR20110020542A KR1020090078210A KR20090078210A KR20110020542A KR 20110020542 A KR20110020542 A KR 20110020542A KR 1020090078210 A KR1020090078210 A KR 1020090078210A KR 20090078210 A KR20090078210 A KR 20090078210A KR 20110020542 A KR20110020542 A KR 2011002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layer
circuit
circuit wiring
solder resis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호
김기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7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542A/ko
Publication of KR2011002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105Bonding areas formed on an encapsula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bonding areas on chip-scale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2105Bump connectors formed on an encapsula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bumps on chip-scale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8High density interconnect [HDI]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 H01L2224/251Disposition
    • H01L2224/2518Disposition being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body, e.g. dual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와,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로배선은 상기 제 2 볼랜드 외측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2 회로배선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볼 또는/및 상부에 스택되는 패키지로 인한 두께 상승이 감소되므로 반도체 패키지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CHIP EMBEDDED TYP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의 경박단소화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제품이 소형화되면서 반도체 패키지가 내장될 공간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단위 체적 당 실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반도체 패키지의 경박단소화가 요구된다.
이에,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실장되는 칩을 인쇄회로기판 표면이 아닌 내부에 내장하는 칩 내장형(chip embedded type) 인쇄회로기판이 도입되었다.
기술이 진보됨 따라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역시 경박단소화에 대한 요구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경박단소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를 낮추어야 하지만, 이럴 경우 휨(warpage)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휨 불량을 방지하고, 경박단소화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와,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로배선은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2 회로배선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로배선은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1 회로배선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 는 제 1 회로패턴들과,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들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와,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와,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 2 회로배선 상에 형성된 제 1 더미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1 더미 패턴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 1 회로배선 상에 형성된 제 2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2 더미 패턴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와,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경박단소화로 기판의 두께가 감소되더라도 기판이 휘어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패키지 제작시 도전볼 또는/및 상부에 스택되는 패키지로 인한 두께 상승이 감소되므로 반도체 패키지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및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를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 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을 포함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2 회로배선(2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회로배선(241)은 제 2 볼랜드(242) 외측의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제 2 회로배선(241)이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 2 회로배선(241) 상에 형성되는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단차(280A)를 갖는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및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를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 및 제 1 회로배선(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232)를 포함한다.
제 1 회로배선(231)은 제 1 볼랜드(232) 외측의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제 1 볼랜드(23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2) 및 제 2 회로배선(2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2 회로배선(241)은 제 2 볼랜드(242) 외측의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을 덮고, 제 1 볼랜드(23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1 회로배선(231)이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 1 회로배선(231) 상에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단차(280B)를 갖는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회로배선(241)이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 2 회로배선(241) 상에 형성되는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단차(280A)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 및 제 1 더미 패턴(290A) 을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을 포함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2 회로배선(241)과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 1 더미 패턴(290A)은 제 2 볼랜드(24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의 제 2 회로배선(241) 상에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1 더미 패턴(290A)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제 1 더미 패턴(290A)으로 인해 단차(280A)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 및 제 1, 제 2 더미 패턴(290A, 290B)을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 및 제 1 회로배선(2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232)를 포함한다. 제 1 볼랜드(23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2 회로배선(241)과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더미 패턴(290B)은 제 1 볼랜드(23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회로배선(231) 상에 형성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 및 제 2 더미 패턴(290B)을 덮고, 제 1 볼랜드(23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제 2 더미 패턴(290B)으로 인해 단차(280B)를 갖는다.
제 1 더미 패턴(290A)은 제 2 볼랜드(24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2 회로배선(241) 상에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1 더미 패턴(290A)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제 2 더미 패턴(290A)으로 인해 단차(280A)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및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를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을 포함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2 회로배선(241)과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제 2 볼랜드(24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이 같은 제 2 솔더레지스트(262) 의 두께 불균일로 인하여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단차(280A)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6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210)이 내장된 코어층(220), 제 1, 제 2 회로패턴(230, 240) 및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261, 262)를 포함한다.
코어층(2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코어층(220)은 상면(221)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222)을 갖는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어층(220)은 반도체 칩(210)을 감싸는 절연막(223), 절연막(223)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형성된다.
제 1 회로패턴(230)은 제 1 회로배선(231) 및 제 1 회로배선(231)과 연결된 제 1 볼랜드(232)를 포함한다. 제 1 볼랜드(23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형성된다.
제 2 회로패턴(240)은 제 2 회로배선(241) 및 제 2 회로배선(241)과 연결된 제 2 볼랜드(242)를 포함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회로패턴(230) 또는 제 2 회로패턴(240)은 도전성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반도체 칩(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코어층(220)의 상면(221)에 제 1 회로배선(231)을 덮고, 제 1 볼랜드(23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볼랜드(23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제 1 볼랜드(23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이 같은 제 1 솔더레지스트(261)의 두께 불균일로 인하여 제 1 솔더레지스트(261)는 단차(280B)를 갖는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코어층(220)의 하면(222)에 제 2 회로배선(241) 을 덮고 제 2 볼랜드(242)를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볼랜드(242)에는 솔더볼과 같은 외부접속단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제 2 볼랜드(24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이 같은 제 2 솔더레지스트(262)의 두께 불균일로 인하여, 제 2 솔더레지스트(262)는 단차(280A)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200)의 제 2 볼랜드(242)에 도전볼(300)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제 2 회로배선(241)이 제 2 볼랜드(242) 외측 코어층(220) 가장자리에서 여 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 2 솔더레지스트(262)에 단차(280A)가 형성됨에 따라, 도전볼(300)로 인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상승은 종래에 비해 단차(280A)의 높이(H1) 만큼 감소된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 3, 제 5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스택 패키지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택 패키지(400)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형성된 하부 패키지(400A) 상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형성된 상부 패키지(400B)가 적어도 2개 이상 스택된 구조를 갖는다.
하부 패키지(400A)의 제 2 회로배선(241A)이 제 2 볼랜드(242A) 외측 코어층(220A)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 2 솔더레지스트(262A)에 단차(280A)가 형성됨에 따라, 하부 패키지(400A)의 도전볼(300A)로 인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상승은 종래에 비해 단차(280A)의 높이(H1) 만큼 감소된다.
그리고, 하부 패키지(400A)의 제 1 회로배선(231A)이 제 1 볼랜드(232A) 외측 코어층(220A)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 1 솔더레지스트(261A)에 단차(280B)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부 패키 지(400B)의 도전볼(300B)로 인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상승은 종래에 비해 단차(280B)의 높이(H2) 만큼 감소된다. 또한,상부 패키지(400B)의 제 2 회로배선(241B)이 제 2 볼랜드(242B) 외측 코어층(220B) 가장자리에서 여타의 다른 부분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 2 솔더레지스트(262B)에 단차(280C)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부 패키지(400B)의 도전볼(300B)로 인한 반도체 패키지의 두께 상승은 종래에 비해 단차(280C)의 높이(H3) 만큼 감소된다.
요컨데, 도 8에 도시된 스택 패키지(400)는 종래에 비해 H1 + H2 + H3만큼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경박단소화로 기판의 두께가 감소되더라도 기판이 휘어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패키지 제작시 도전볼 또는/및 상부에 스택되는 패키지로 인한 두께 상승이 감소되므로 반도체 패키지를 경박단소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210: 반도체 칩
220 : 코어부
230, 240 : 제 1, 제 2 회로패턴
290A, 290B : 제 1, 제 2 더미 패턴
261, 262 : 제 1, 제 2 솔더레지스트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 및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회로배선은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2 회로배선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로배선은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1 회로배선으로 인 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들;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들;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 및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 2 회로배선 상에 형성된 제 1 더미 패턴;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1 더미 패턴으로 인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 1 회로배선 상에 형성된 제 2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제 2 더미 패턴으로 인해 단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칩이 내장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 1 회로배선을 포함하는 제 1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형성되며 제 2 회로배선 및 상기 제 2 회로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볼랜드를 포함하는 제 2 회로패턴;
    상기 코어층의 상면에 제 1 회로배선을 덮도록 형성된 제 1 솔더레지스트; 및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제 2 회로배선을 덮고 상기 제 2 볼랜드를 노출하도록 형성된 제 2 솔더레지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패턴은 상기 제 1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볼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솔더레지스트는 상기 코어층 가장자리에 형성된 일부분이 여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KR1020090078210A 2009-08-24 2009-08-24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KR20110020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10A KR20110020542A (ko) 2009-08-24 2009-08-24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10A KR20110020542A (ko) 2009-08-24 2009-08-24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542A true KR20110020542A (ko) 2011-03-03

Family

ID=4392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10A KR20110020542A (ko) 2009-08-24 2009-08-24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5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43A (ko) 2014-05-27 2015-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43A (ko) 2014-05-27 2015-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651B1 (ko) 인쇄회로기판
US20080006942A1 (en) Bottom substrate of package on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90447B1 (ko)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US8830689B2 (en) Interposer-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US10342135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1037450B1 (ko) 패키지 기판
US20090277673A1 (en) PCB having electronic components embedded therei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090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noise of ball grid array package
JP2011097019A (ja) 電子素子内蔵型印刷回路基板
KR20100123664A (ko) 매입형 상호접속체를 구비하는 보강 봉입체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패키징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0037B1 (ko) 구리 호일을 이용한 임베디드 타입의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과, 그 적층 패키지
JP2011077492A (ja) パッケージ基板
KR20110020542A (ko) 칩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JP2014183085A (ja)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用基板、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用多層配線基板、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及びマルチチップ多層配線モジュール
JP2008205290A (ja) 部品内蔵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47136B1 (ko) 패키지 기판 및 패키지 기판의 제조방법
JP2007109933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の実装方法
JP2006339276A (ja) 接続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30066A (ko) 인쇄회로기판
KR20110067510A (ko) 패키지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94454B1 (ko) 이동단말기용 인쇄회로기판 장치
KR100986294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2008124260A (ja)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1450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用マスク
KR20150111682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