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409A - 커피 로스터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409A
KR20110019409A KR1020110011092A KR20110011092A KR20110019409A KR 20110019409 A KR20110019409 A KR 20110019409A KR 1020110011092 A KR1020110011092 A KR 1020110011092A KR 20110011092 A KR20110011092 A KR 20110011092A KR 20110019409 A KR20110019409 A KR 2011001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ffee
coffee beans
opening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459B1 (ko
Inventor
김춘재
Original Assignee
김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재 filed Critical 김춘재
Priority to KR102011001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4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드럼 내부에 시즈히터를 설치하여 한정된 공간을 직접 가열하므로 열효율이 좋고, 복사열과 대류 열로 커피콩을 볶아 커피콩의 겉과 속을 균일하게 볶을 수 있으며, 기호 식품인 커피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맛과 향에 영향을 주는 수분 배출과 배연 그리고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개폐형 2중 드럼을 마련하여, 시즈히터의 발열 조절과 드럼의 개폐를 통한 온도 조절로 좋은 품질의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다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이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터{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내부에 가열수단을 마련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드럼벽체의 개폐에 의한 드럼 내부의 수분의 배출과 배연 그리고 드럼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커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커피의 소비경향이 더 맛 좋고 향이 좋은 커피를 원함에 따라 커피콩을 직접 볶는 업소와 소비자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많은 커피 애호가들이 수많은 도구와 장치를 이용하여 커피콩을 직접 볶으며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의 맛과 향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 발명 또한 간단한 가정용 조리용구와 간편한 통돌이 및 커피 로스터 전문 제작 업체에서 제조한 커피 로스터를 사용하면서 축적한 각종 도구 및 장치의 장, 단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열거한 도구 및 장치들은 대표적인 장, 단점이 있다.
첫 번째로 가정용 조리용 도구와 간단한 통돌이 종류는 대부분이 직화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볶음을 할 수 없고, 커피콩이 타거나 실버스킨(체프, 은피)이 같이 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간편하고, 적은 비용으로 볶을 수 있고, 직화방식 고유의 맛이 있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 전문 업체에서 생산하는 커피 로스터는 높은 가격과 고도의 숙련을 요한다. 이러한 점들은 일반소비자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로스터는 숙련된 사용자가 커피콩을 볶을 때 우수한 커피 품질을 자랑한다.
위와 같은 기술을 배경으로 복사열과 대류 열로 가열하여 쉽게 타지 않으며, 실버스킨(은피)또한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타지 않고 또한 배연과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좋은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장치를 발명하게 된 것이다.
위에 기술한 것과 같이 많은 종류의 볶음 도구와 장치들이 있고 그 도구나 장치마다 장, 단점이 있다. 그 수많은 장점들 중에서 커피콩을 직접 가열하는 직화 방식이나 쉽게 타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높은 에너지효율 그리고 간편한 작동법 또한 커피를 볶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드럼 내부의 온도와 수분배출 그리고 배연을 조절하여 장치 운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커피를 볶을 수 있는 커피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커피는 기호 식품이고 커피를 볶아 본 사람은 누구나 커피 볶는 것의 입문과정을 지나게 되면 똑같은 커피콩이라도 볶는 정도, 볶는 시간, 볶는 온도에 따라 커피의 맛이 달라진다는 것에 많은 매력을 느끼게 되고 자기만의 맛을 찾으려 노력하게 된다. 거기에 부수적으로 커피콩은 농작물이기 때문에 본래의 커피 맛이 농작물인 커피콩 자체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에 공감하게 된다. 그래서 더 좋은 커피콩을 찾게 되고, 그 커피콩이 가지는 고유한 맛과 향이 최대한 나타나게 볶을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간편한 도구와 장치로는 이를 이용하는 사람의 감각을 주로 이용하고, 커피콩 전체에 균일한 가열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원하는 품질의 커피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전문 업체에서 생산하는 고가의 커피 로스터에서는 숙련자가 비슷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 미리 예열을 하여 일정 온도를 맞추고, 가스압력계를 사용하여 불의 세기로 온도 조절을 하거나, 뎀퍼를 이용하여 드럼 내부의 온도와 풍향을 조절하거나 하여 원하는 맛과 향을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높은 가격과 대용량으로 일반 커피 애호가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소용량으로 제조 가능하며, 언제나 고유한 특성으로 변화하는 온도 조건에서 커피콩을 볶을 수 있으며 로스터 운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더 좋은 커피콩의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온도 와 배연 조절이 가능한 커피 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이 발명은 언제나 유사한 온도 조건으로 커피콩을 볶을수 있도록 전원이 입력되면 고유한 파형을 그리며 소정의 온도까지 지속적으로 발열하는 시즈히터를 커피콩이 직접 가열되는 드럼 내부에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드럼의 회전에 의한 대류와 시즈히터의 복사열만으로 드럼과 커피콩 그리고 드럼이 설치된 본체의 한정된 공간을 가열하므로 매 로스팅 때 마다 변화되는 것은 로스터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 변화 밖에 없다. 사람이 생활하는 실내의 온도는 편차가 적기 때문에 특정온도 까지의 예열에 의해 그 편차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예열된 드럼에 커피콩이 투입되면 드럼의 온도는 커피콩의 흡열과정에 의해 일정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온도가 내려가다가 다시 온도가 오르는 변화를 보이는데 이 과정에서 커피콩은 포함하고 있던 수분을 배출하며 색이변화하고 수축 하게된다. 이후 계속적인 흡열로 커피콩 내부의 화확적 변화와 압력으로 커피콩은 부풀어 커지게 된다. 이렇게 흡열과정이 지나면 일정시점에서 커피콩 내부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발열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위와 같은 흡열과 발열과정 중에서 1차 크랙(팝핑)이 진행되며 1차 크랙을 전 후해서 볶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배출시기를 결정하거나 2차 크랙을 전 후해서 배출시기를 결정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초보자도 쉽게 볶을 수 있도록 투입되는 커피콩의 무게와 드럼의 부피, 드럼이 설치되는 본체 내부공간의 부피 등을 고려하여 시즈히터의 지름, 길이, 형태, 발열량 등을 고려하여 커피 로스터를 설계하면, 특정 온도까지 예열 후 정해진 무게의 커피콩을 투입하면 1차 크랙까지 어떤 장치의 조작 없이도 진행되게 할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있다.
그리고 보다 숙련된 사람이라면 시즈히터의 발열 조절과 드럼벽체의 개폐와 배연구의 개폐를 통해 변화되는 드럼내부의 온도변화를 온도표시장치를 통해 확인하면서 볶을 수 있어, 장치의 운용자가 원하는 맛과 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커피콩 볶음에 있어서 맛과 향의 변화는 가열에 따른 커피콩의 흡열반응과 발열반응, 수축과 팽창, 이에 수반하는 화학적 변화를 통해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수축과 팽창 과정에서 장치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드럼 내부의 온도를 특정 온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온도의 증감과 배연조절을 통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맛과 향을 내게 되는데, 이러한 조절을 하는 것이 커피 로스터 전문 생산업체의 로스터에 있어서 가스압력에 따른 화력조절과 뎀퍼의 개폐에 의한 드럼 내부의 온도 및 풍속조절이다.
위에서 기술한 온도 조절과 배연 조절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중 구조의 드럼벽체를 구비하여 회전 방식으로 드럼 벽체 일부분을 개폐가능하며, 시즈히터의 온도 조절과 병행하여 드럼 내부의 온도와 배연 조절을 할 수 있게 하여, 장치 운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커피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덧붙여서 드럼 내부에 시즈히터를 설치해서 가열하는 방식은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므로 커피콩의 외부 및 내부를 고르게 볶을 수 있는 장점과 커피콩이 가열됨으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버스킨(은피, 체프)은 드럼 벽체의 개폐 작용으로 자연스럽게 드럼 외부로 배출하여 모을 수 있다. 그래서 실버스킨이 타지 않으며, 발생하는 연기도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배기 방식도 자연배기 방식으로 장치가 간단하다
시즈히터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커피콩을 볶을 수 있으며, 숙련자는 숙련도에 맞게 배연 및 온도 조절을 할 수 있어 장치운용자가 원하는 좋은 품질의 커피를 만들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열 효율이 높은 커피 로스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드럼 내통과 외통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드럼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본체레버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콩 볶음장치의 드럼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본체 전면부에 설치된 호퍼(10)는 커피콩을 수용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호퍼 차단판(12)의 개방으로 본체 전면에 설치된 닥트(11)를 통해서 도 2의 드럼(200)으로 커피콩이 수용된다. 상기 호퍼 차단판(12)은 닫힌 상태로 수증기와 연기를 전면 배연관(21)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병행한다.
이때 호퍼에 연결된 닥트(11)는 커피콩이 자유낙하 하여 드럼에 수용될 수 있게 상부는 수직이며 하부는 경사져 커피콩이 남김없이 모두 드럼으로 들어갈 수 있는 형태이며, 호퍼 차단판(12) 바로 아래에 드럼(2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연기를 배출하기위한 도 3의 전면 배연관(21)과 접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전면 배연관은 본체 내부의 온도조절과 배연을 위해 설치한 본체 배연관(22)에 연결된다. 이때 원활한 배연을 위하여 전면 배연관(21)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소정의 기울기로 본체 배연관(22) 쪽으로 경사져 올라간 형태이다. 상기 배연관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도 4의 회전형 개폐장치(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의 회전에 의해 배연관이 개폐 되어, 연기를 배출하거나 부수적으로 온도 조절을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본체 배연관은 외부의 환기 닥트에 연결되어 자연배기 되거나, 연소 작용으로 제연하는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드럼(200)은 2중 원통형으로 도 5의 내통(210)과 외통(220)으로 구성되며, 일 측은 도 3의 모터(26)와 연결된 도 6의 회전축에 연결부재(230)로 연결되며 그 타단 부는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드럼의 내통은 드럼 내부에 수용된 커피콩이 빠지지 않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도 5의 일자형 홈(210-1)이 수개 반복되어 형성된 부분과 일자형 홈이 없는 부분(210-2)이 교차해서 구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드럼 외통의 지름은 내통의 지름보다 소정의 치수만큼 큰 상태로 도 6의 스틸 볼(240-a)을 포함한 부재(240)로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통은 도 5의 직사각형 형태의 뚤린 부분(220-1)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해서 형성되어 있어, 드럼 외통의 회전에 의해 드럼 내통의 일자형 홈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는 작용을 한다. 드럼 외통의 회전은 드럼 내통에 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수평왕복 운동하는 드럼 레버(213)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 레버는 회전축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드럼 외통에 생성된 가이드 홈(222)에 결합되어 드럼 레버의 수평운동에 대하여 드럼외통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드럼 내통의 일자형 홈들이 개방되거나 폐쇄 된다. 이러한 드럼의 개폐 작용으로 드럼 내부의 공기흐름과 실버스킨의 배출 그리고 배연을 조절할 수 있고, 드럼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드럼 내부의 온도 조절은 도 2의 시즈히터(100)의 발열 조절과 드럼 벽체의 개폐, 본체 배연관과 전면 배연관의 개폐 등을 서로 개별적, 또는 복합적인 조절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배연 및 온도 조절 기능은 커피의 맛과 향을 더 좋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커피의 맛과 향에 있어서 절대적인 것은 농작물인 커피콩 자체가 절대적이지만. 커피콩 자체의 맛과 향을 볶는 사람이 얼마나 잘 표현하느냐는 커피콩 자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맞게 온도와 시간 그 밖의 조건을 고려하여 볶음장치를 운용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드럼의 회전축은 도 6의 베어링(25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부재(230)에 의해 드럼과 연결되며 그 타단부인 드럼의 개방 부는 림(201)이 결합되고 상기 림은 도 1의 본체 전면판(13)에 고정되는 2개의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며, 드럼의 개방부는 상기 본체 전면판에 결합된 도 3의 드럼커버(17)에 소정의 간격을 가져 접촉하지 않으며 밀착된다. 또한 드럼 커버는 힌지(20)로 연결된 드럼 개폐도어(19)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개폐도어가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도 4의 예시처럼 한쪽 끝이 회전하여 올라간 형태로 설치된다. 위와 같이 드럼의 회전과 중력에 의해 커피콩이 가장 많이 몰리는 쪽으로 치우쳐 올라가 커피콩을 빠르게 배출한다. 상기 드럼 개폐 도어는 상기 드럼커버에 힌지로 결합되며 힌지 결합 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개폐되며,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15)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원통형 추와 같은 형태이며, 소정의 각도를 갖는 바(15-1)를 포함하여, 도어를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드럼커버에는 히터장치(100), 커피콩 검출부재(17), 온도 감지부재(18)가 설치된다. 먼저 히터장치(100)는 시즈히터를 사용하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이 설치되는 본체 내부 공간의 부피, 투입 가능한 커피콩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시즈히터의 모양과 직경, 발열 양을 결정한다. 이때 시즈히터는 드럼의 개방 부를 통해 드럼의 중심부를 포함한 드럼의 중심부 주위에 설치되며, 드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드럼에 접촉하지 않고, 드럼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치의 길이로 설치된다. 또한 드럼에 설치된 교반날개의 작용으로 위쪽에서 떨어지는 커피콩이 상기 시즈히터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메쉬 구조를 가지는 호, 또는 꺽쇠형태의 도 2의 보호망(101)을 시즈히터 상부에 설치한다. 상기 보호망 또한 상기 드럼커버에 접합되어 설치되며, 호퍼에서 자유낙하 하여 떨어지는 커피콩이 시즈히터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시즈히터의 발열로 커피콩과 드럼내부와 드럼 설치 공간부가 가열되며, 드럼 내부의 커피콩은 드럼의 회전에 의한 대류열과 시즈히터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커피콩의 겉과 속이 전체적으로 고른 볶음이 된다.
상기 시즈히터의 온도 조절은 제어부(24)에 포함되어 있는 수동 또는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조절기 등을 통해서 제어된다. 상기 온도 조절기는 본 발명의 청구 항에 속하지 않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드럼커버에 설치된 도 4의 온도 감지부재(18)는 드럼의 회전과 중력의 작용으로 커피콩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인 드럼의 회전 중심축 아래에서 회전방향 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드럼의 날개와 간섭이 없는 곳에 설치된다. 이렇게 커피콩에 덮인 상태로 실제 커피콩의 온도를 측정하므로 장치 운용자가 커피콩 자체의 온도를 알 수 있어 더 좋은 커피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온도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시각화 하여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24)의 온도표시창에 표시하여 온도 조절에 참고하게 된다. 이때 수동온도조절 장치에서는 운용자에게 드럼 내부의 온도 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 또는 프로그래밍 방식의 조절기에서는 수치제어용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검출부(16)는 본체 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내부의 커피콩을 직접 인출하여 후각과 육안으로의 확인 등을 통하여 커피콩의 배출 시간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도 1의 제어부(24)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기동과 정지, 냉각장치 팬의 기동과 정지, 드럼 내부 온도 표시, 시즈히터의 온도 제어 등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운용을 위한 각종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도 2의 본체 레버(50)는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평 왕복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며, 도 7의 연결 부재(50-2)에 의해 본체 내부곡면 형태를 가진 2개의 가이드 바(51)와 접합되며, 상부는 본체 외부의 손잡이(50-1)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바는 일측이 넓은 형태를 가져 드럼에 설치된 드럼레버(213)가 항상 상기 가이드 바의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며, 상기 드럼레버와 기울어진 각도로 접촉하여 상기 드럼 레바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한다. 드럼에 설치된 드럼레바(213)는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파이프를 씌운 형태로 상기 가이드 바와 접촉하면 회전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가이드 바는 본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앞서 기술한 드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회전축과 나란한 직선 운동하는 드럼레바(213)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드럼레버의 작용으로 드럼의 외통이 회전운동 하여 드럼을 개폐하게 된다.
도 8의 드럼 내통의 교반날개(206)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드럼 내통의 내측에 고정되며 시즈히터가 설치되어있는 드럼의 중심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상기 교반날개의 일부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히터를 향하는 날개의 끝이 꺽이지 않은 I자형태(206-1)이거나, 일부는 날개의 끝의 소정의 길이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L자 형태(206-2)로 꺽여 커피콩을 드럼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 위를 지나서 교반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날개는 드럼의 개방부에서 그 타단부로 길게 설치되며 도 8의 드럼 개방부 쪽의 날개의 끝 부분이 낮은 기울기(206-a)를 갖는 것과 반대로 개방부쪽의 날개의 끝 부분이 높은 기울기(206-b)를 갖는 날개를 설치한다. 상기 날개의 개수는 1개 이상 설치한 다. 또한 빠른 배출을 위하여 개방부쪽이 낮은 기울기를 갖는 날개의 개수를 더 많이 설치할 수 있다. 위의 설명과 같이 드럼 내부에 투입되는 커피콩은 교반날개의 작용으로 드럼 전체에 걸쳐 상하, 좌우로 고른 섞임 작용과 원활한 배출을 할 수 있게 되어 커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드럼 하부에 커피콩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실버스킨(은피)를 받는 서랍형태의 도 1의 통(25)이 설치된다. 커피콩을 가열하면 발생하는 실버스킨은 드럼 외통의 개폐 작용으로 자연스럽게 드럼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시즈히터에 타지 않게 된다. 이렇게 강제 배출방식이 아닌 자연배출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은피가 타지 않아 커피콩의 품질이 높고, 강제 송풍에 의한 열 손실 또한 없어 열효율 또한 높다.
위와 같이 가열되어 완성된 커피콩은 드럼 개폐도어의 열림으로 도 1의 냉각장치(14)에 수용되게 되며, 냉각장치에 설치된 냉각팬에 의한 공기의 흡입으로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져 장치 운용자가 원하는 볶음 정도의 커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는 상부에 탈착이 가능한 타공된 원형 용기와 그 하부에 모터와 결합된 냉각팬과 통풍구가 설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보였다.
대표도 : 커피콩 볶음장치
10 : 호퍼 11 : 닥트
12 : 닥트 차단판 13 : 본체 전면판
14 : 냉각장치 15 : 개폐도어 손잡이
16 : 커피콩 검출부재 17 : 드럼커버
18 : 온도 감지부재 19 : 드럼 개폐도어
20 : 힌지 21 : 전면 배연관
22 : 본체 배연관 23 : 배연관 개폐장치
24 : 제어부 25 : 실버스킨 수집통
26 : 모터장치 50 : 본체 레버
51 : 가이드 바 100 : 시즈히터
101 : 보호망 200 : 드럼
201 : 림 206 : 교반 날개
210 : 드럼 내통 213 : 드럼 레바
220 : 드럼 외통 222 : 가이드 홈
230 : 드럼 연결부재 240 : 이격부재
250 : 베어링

Claims (8)

  1. 일측부는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커피콩을 투입, 배출하며 드럼의 벽체는 원통형 2중 구조로서 소정의 드럼 벽을 개폐할 수 있는 드럼; 상기 드럼이 설치되도록 설치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드럼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드럼의 중심부에 가열수단을 마련한 본체; 상기 드럼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와 상기 드럼에 커피콩을 투입하는 호퍼와 연결된 닥트를 가지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가열수단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와 완성된 커피콩을 수용하여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2. 1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시즈히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투입된 커피콩의 교반과 배출을 위한, 상기 드럼에 1개 이상의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통을 형성하는 드럼의 내부 벽체에 고정되며,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지며, 드럼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날개; 상기 날개는 드럼의 중심부를 향하는 날개 끝 부분의 소정의 길이가 소정의 각도를 갖는 형태의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커피콩을 투입하는 상기 호퍼에 연결된 닥트에 개폐 가능한 배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 피 로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위치하는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배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통에 수개의 1 자형 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통에 수개의 격자형 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
KR1020110011092A 2011-02-08 2011-02-08 커피 로스터 KR101272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92A KR101272459B1 (ko) 2011-02-08 2011-02-08 커피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92A KR101272459B1 (ko) 2011-02-08 2011-02-08 커피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409A true KR20110019409A (ko) 2011-02-25
KR101272459B1 KR101272459B1 (ko) 2013-07-15

Family

ID=4377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92A KR101272459B1 (ko) 2011-02-08 2011-02-08 커피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54A1 (ko) * 2013-07-30 2015-02-05 (주) 씨엠테크 커피 배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63B1 (ko) 2014-01-21 2014-10-14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볶음기
KR101650736B1 (ko) * 2014-12-30 2016-08-25 주식회사 디앤시스 근적외선을 이용한 반열풍식 커피로스터
KR101844846B1 (ko) * 2015-02-25 2018-04-13 주식회사 에이스글로벌 연속식 회전 구이기
KR101733757B1 (ko) * 2015-10-07 2017-05-08 권영기 견과류 로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견과류 로스팅 방법
KR102155985B1 (ko) 2020-02-11 2020-09-14 정용환 커피 로스팅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5360A (ja) * 1987-01-26 1988-07-30 Tadanobu Inoue コ−ヒ−豆等の焙煎機
KR100887985B1 (ko) 2006-10-13 2009-03-09 송유진 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0655A (ko) * 2007-09-20 2009-03-25 이상혁 가정용 커피콩 볶음기
KR100977997B1 (ko)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54A1 (ko) * 2013-07-30 2015-02-05 (주) 씨엠테크 커피 배전기
US10448663B2 (en) 2013-07-30 2019-10-22 Cmtech Co., Ltd. Coffee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459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459B1 (ko) 커피 로스터
EP2845528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EP2680727B1 (en) Oven for grilling food
CN205988224U (zh) 回转式无油烟烧烤炉
CN200982684Y (zh) 吹风式电烧烤炉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647132B1 (ko)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장치
CN201022643Y (zh) 陶瓷烧烤炉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WO2020257934A1 (en) Multi-use cooking apparatus
KR101867008B1 (ko) 수직형 구이기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CN105686684A (zh) 远红外烧烤炉
KR20190017177A (ko) 직화 커피 로스터기
KR102126160B1 (ko) 로스터 장치
CN101554295A (zh) 烤箱
CN207613656U (zh) 一种明火烤炉
JP6849996B2 (ja) 焙煎器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KR100843695B1 (ko) 회전형 고기 구이기
CN21407298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101635004B1 (ko) 캠핑용 구이장치
KR200389876Y1 (ko) 고기구이장치
CN207693461U (zh) 一种便携式馕坑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