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889A -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889A
KR20110018889A KR1020107027174A KR20107027174A KR20110018889A KR 20110018889 A KR20110018889 A KR 20110018889A KR 1020107027174 A KR1020107027174 A KR 1020107027174A KR 20107027174 A KR20107027174 A KR 20107027174A KR 20110018889 A KR20110018889 A KR 2011001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nes
line
boundar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비카 프라닉
Original Assignee
엘로팩 시스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로팩 시스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엘로팩 시스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1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present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Abstract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10)로서,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P1, P2, P3, P4, P5)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P1, P2, P3, P4, P5)들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패널(P1, P2, P3, P4, P5)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각각의 직선형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실질적으로 패널(P1, P2, P3, P4, P5)의 길이와 동일하다.

Description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 BLANKS AND CONTAINERS}
본 발명은 용기 블랭크, 상기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랭크가 용기로 제조될 때 개선된 단부 폐쇄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패널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각각의 직선형 경계 취약선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추가 취약선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실질적으로 패널의 길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패널을 형성하는 일렬의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패널)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각각의 직선형 경계 취약선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추가 취약선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패널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몸체 부분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몸체 부분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루프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몸체 부분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상기 몸체 부분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서, 몸체 부분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몸체 부분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몸체 부분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경계 취약선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상기 몸체 부분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사전정해진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가진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부분을 포함하는 이송 장치,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장치 및
-상기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더욱 둥글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부분을 압착하도록 배열된 압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충진 장치와 압착 장치를 통해 복수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는 사전정해진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중간 부분을 더욱 둥글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부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충진 스테이션에서 복수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라서, 페이퍼보드 변환 공정에서 실질적으로 비용이 절감되고 동일한 액체-제품 체적에 대해 블랭크 당 재료가 적게 들며, 용기의 인체공학적 특성이 향상되고 및 맨드릴-기초 용기-제조 기술이 이용되는 용기 처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취약선이 제공됨에 따라 용기는 부풀려질 수 있고 패키징 라미네이트 내에서 기재의 보드 중량이 낮춰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게이블-톱 및 플랫-톱 형상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현존하는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추가 취약선이 형성된 용기의 2개의 인접한 수직 코너 변부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추가 취약선은 3개의 변부 또는 직사각형 횡단면 용기의 모두 4개의 변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취약선은 경계 취약선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과 같이 제공될 수 있고, 쌍을 이루는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패널 높이의 적어도 절반이다.
본 발명은 패키지 높이가 대략 5 내지 20 mm 절감되고, 동시에 1000 ml의 액체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는 바닥이 맨드릴 상에 형성된 이후 그리고 내용물이 충진되기 전 및/또는 충진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코너 상에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압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변형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코너 상의 추가 스코어라인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충진 동안에 지속될 수 있다. 충진 이후, 용기는 자체적으로 새로운 형태를 가질 것이며, 상측은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충진되고 밀봉되어 진 후 이러한 압착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충진 및 밀봉 장치의 외부에서 압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측면 벽 상에서의 부풀림의 정도는 액체의 수위가 얼마나 많이 낮춰지는지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부풀림은 특수하게 설계된 기능적인 추가 취약선(스코어라인)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최종 사용자에게 의도적인 설계상 특징이라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이에 따라, 신규한 설계 형상과 우수한 인체공학적 특정을 가진 비교적 저렴한 패키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취급 및 물류 차원에서 부정적인 부풀림 변형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상대적으로 넓은 패키지에 의해 야기된), 용기 풋프린트는 65 x 65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는 보다 슬림해지며, 규격의 70 x 70mm 1 리터 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물류 시스템에 적합해질 것이다. 용기는 보다 길어지며, 보다 우아한 외관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용기 풋프린트가 감소될 때, 상대적으로 길고 비교적 우아한 용기는 현존하는 제조, 충진 및 밀봉 장치 내의 부품과의 물류상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길고 우아한 용기 내에서 의도적인 부풀림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용기가 가능한 심미적으로 유쾌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단일의 추가 취약선이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의 한 측면에 배열됨에 따라 예를 들어 2개의 추가 취약선은 용기의 전방 패널 상에 위치되고 의도적인 부풀림은 전방 패널로 한정되며, 상대적으로 긴 용기는 우아한 외관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라서, 외측을 향해 배열되고 사각형의 상측 밀폐 서브 패널, 상측 밀봉 서브 패널 및 상기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고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취약선을 포함하는 용기용 카톤 블랭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라서, 상측 밀봉 서브 패널과 루프 서브 패널을 포함하는 상측 폐쇄부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상기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진다.
이러한 양태에 따라서, 예를 들어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지 않는 대응하는 서브 패널보다 큰 분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서브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큰 분배 장치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따라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패널을 포함하는 일렬의 패널 및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 밀폐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일렬의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일렬의 직사각형 단부 밀폐 패널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및 제 3 단부 밀폐 패널은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 밀폐 패널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각각의 단부 밀봉 패널을 가지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패널은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각각의 쌍을 이루는 탭을 가지며, 각각의 탭은 인접한 단부 밀폐 패널의 폭의 절반 이상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따라서, 단부 폐쇄부 및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몸체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 부분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는
-몸체 부분에 각각 연결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 밀폐 부분들로 구성되는 접이식 단부 밀폐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및 제 3 단부 밀폐 부분은 몸체 부분에 연결된 마주보는 변부에서 인접한 단부 밀폐 부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각각의 단부 밀봉 부분에 연결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부분은 몸체 부분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변부에서 각각의 쌍을 이루는 탭에 연결되고, 각각의 탭은 인접한 단부 밀폐 부분의 폭의 절반 미만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쌍을 이루는 탭과 단부 밀봉 부분으로 구성된 밀봉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라서, 블랭크가 용기로 제조될 때 개선된 단부 폐쇄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 폐쇄부는 무균 패키징 분야(aseptic packaging application)에 특히 적합하며, 이는 용기의 내측에서 페이퍼보드 재료의 노출된 변부가 제공되지 않고 최종 용기의 내측에 임의의 선단 꼭지점(apex point)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며, 접는 공정(folding process)에 따라 선단들이 용기의 외측에 놓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따르는 실례에 의해 기술된다.
도 1은 카톤 블랭크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카톤 블랭크와 유사한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측면도.
도 3은 용기의 측면도.
도 4a는 활성화에 앞서 개방된 상측 용기의 사시도.
도 4b는 활성화 이후 개방된 상측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카톤 블랭크의 제 2 실시예의 평면도.
도 6a는 2개의 용기의 사시도.
도 6b 및 도 6c는 도 6a의 우측에서 용기의 도면과 유사한 각각의 사시도 및 상면도.
도 7은 카톤 블랭크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21은 블랭크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블랭크와 유사한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사시도.
도 23 내지 도 27은 블랭크의 추가 실시예.
도 28은 도 25의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사시도.
도 29는 도 24의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의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용기의 평면도.
도 31은 플라스틱 인서트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2는 추가 카톤 블랭크의 평면도.
도 33은 추가 카톤 블랭크의 평면도.
도 34는 중간 제조 단계에서 용기 단부 폐쇄부의 사시도.
도 35는 제조 단계가 완료된 뒤 도 34의 용기 단부 폐쇄부의 사시도.
도 36은 용기 내부로부터 도 35의 용기 단부 폐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은 용기(container)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carton blank, 10)를 도시하며,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일렬의 패널(P1, P2, P3, P4, P5)을 포함하고, 이러한 패널(P1, P2, P3, P4, P5)들 사이의 경계선은 스코어라인(scoreline, S1, S2, S3, S4)인 각각의 취약 경계선에 의해 형성된다. 취약 경계선(S1, S2, S3, S4)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고, 패널(P1, P2, P3, P4, P5)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패널(P1, P2, P3, P4)은 블랭크(10)로 형성된 최종적인 용기의 측면을 이루고, 취약 경계선(S1, S2, S3, S4)은 용기의 코너 가장자리를 이룬다.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패널(P1, P2, P3, P4, P5)의 상측으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패널(P1, P2, P3, P4, P5)의 바닥에서 끝을 이루는 연속적인 직선이다.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열을 이루는 패널(P1, P2, P3, P4, P5)에 대해 실질적으로 각각 수직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상에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이 배열된다.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최종 용기 높이의 적어도 절반 이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인접한 상측 영역(12)과 하측 영역(14)을 가지며, 상측 또는 하측 영역(12 또는 14)보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더 떨어져 있는 중앙 영역(16)을 가진다.
추가 취약선(S11, S12, S21 , S22, S31, S32, S41, S42)이 블랭크(10) 내에 제공되어 블랭크(10)가 최종적으로 용기(도 2에 도시됨)로 형성되어 질 때 이러한 추가 취약선이 있는 용기의 중앙 영역을 압착시킴으로써 용기는 의도적으로 부풀려진다(bulge). 이러한 부풀림에 따라 용기(18)(취약선이 활성화될 때)는 용기의 주어진 높이에 대해 보다 많은 체적의 내용물(예를 들어, 우유와 같은 유체)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원형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횡단면에 비해 보다 넓은 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블랭크(10) 상에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의 한 측면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의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서브 패널(P6, P7, P8, P9)을 형성한다.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상측 및 하측 영역(12, 14)에서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접촉한다.
최종적인 용기 내에서 부풀려지는 것을 돕기 위해, 블랭크(10)는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또는 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이러한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에서 말단을 이룬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복수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이 제공된다. 경계 취약선(S1, S2, S3, S4) 상에 제공된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평행하게 형성된다.
용기(18)가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됨에 따라 줄어든 높이의 카톤(동일한 풋 프린트를 가짐) 내에 동일한 체적의 액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현존하는 카톤 형상을 재설계함으로써 저렴한 패키징이 구현되는데 도움이 되고, 이는 블랭크 형성에 있어서 비교적 적은 판지가 이용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랭크는 5 내지 20 mm 정도 짧아진 규격의 1000 ml 카톤 내에 1000 ml의 액체가 채워진다. 이를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블랭크(10)는 부풀려진 카톤 내에서 액체의 수위가 낮아짐을 이용한다.
그러나, 부풀려진 카톤은 내용물에 무언가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소비자의 인식으로 인해, 이는 해결되어야될 주요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랭크(10)는 이의 특유의 형상이 의도된 것이라는 것을 소비자에게 명확히 설명될 수 있도록 패키지 벽의 형태를 재성형하는 설계상의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실질적인 "비용 절감" 요인은 최종 사용자에게 인식될 필요는 없지만 동시에 소비자는 이러한 패키징 형태를 신규한 것으로 인식할 것이다. 설계 공구를 이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블랭크(10)는 부풀림 효과를 수반하고 이를 허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 추가 스코어라인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부풀림(bulging)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스코어라인은 선호되는 결과를 구현하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패키지의 높이를 대략 5 내지 20 mm 줄이고 이 내에 1000 ml의 액체를 채우기 위하여, 바닥에 맨드릴(mandrel)이 형성된 후 그리고 충진 이전/중/이후에 패키지(18)의 코너를 압착해야 한다. 이러한 압착(squeezing)이 충진 이전에 또는 충진 중에 수행되는 경우, 4개의 벽(코너) 상에서 추가 스코어라인을 활성화시킴으로써(activating) 충진 중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충진 이후, 패키지(18)는 저절로 새로운 형태를 가질 것이며, 상부는 밀봉될 수 있다. 측면 표면 상에서의 부풀림의 정도는 액체의 수위(liquid level)가 얼마나 많이 낮춰질 수 있는지에 따라 정해질 것이다. 부풀림은 특수하게 설계된 기능적 스코어라인에 의해 조절될 것이며, 의도된 설계상의 특징으로 인식되어질 것이다. 이에 따라 신규한 설계상의 외관과 우수한 인체공학적 특성을 가진 패키지는 보다 저렴해질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용기(20)와 용기(18) 사이의 차이를 도시한다. 용기(18a)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코너를 가진, 유체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18)를 나타낸다. 용기(18b)는 추가 취약선이 활성화되어 진 후의 용기(18a)를 도시한다. 이러한 활성화는 용기(18)의 중간 부분을 누름으로써 수행되며, 이에 따라 용기(18)의 횡단면은 사전정해진 직사각형 횡단면으로부터 보다 둥근 횡단면으로 가변된다. 도 3에서 용기(18)의 코너들의 활성화(activation)는 용기(18)가 충진되고 밀봉된 상태에서 수행된 것으로 보여 지지만, 추가 취약선을 활성화시키는 공정은 용기(18)의 상측을 밀봉하기에 앞서 충진 공정 이전에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용기(18c)는 충진되고, 상부가 밀봉되며, 활성화되어진 이후의 용기(18)의 최종 형상이며, 최종 제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8b, 18c) 내의 액체 수위(L)는 사전-활성화된 용기(18a) 내의 액체 수위(L)보다 낮다. 용기(20)는 용기(18)와 동일한 풋프린트를 가지며, 용기(20)의 높이는 용기(18)의 높이보다 높은 반면 동일한 체적의 내용물을 수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b) 내의 액체 수위(L)는 용기(18b) 내의 액체 수위(L)보다 높다.
용기(18)를 밀봉하기 이전 용기(18)의 활성화의 실례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다. 도 4a에서의 용기(18a)는 충진되었지만 아직 활성화되지는 않았다. 도 4a 및 도 4b는 모두 4개의 코너 상의 수직 만곡된 스코어라인이 활성화되기 이전과 이후 그리고 용기(18)가 압착되기 이전과 이후의 1000 ml의 물이 채워진 1000 ml 용기 내의 액체 수위(L)(동일한 풋프린트를 가진 종래의 용기보다 20 mm 낮음)를 도시한다. 압착력의 크기 및 만곡된 스코어라인의 형태와 형상에 의존하여 액체 수위(L)는 5 내지 25 mm 내려갈 것이다.
용기(18)는 저렴한 패키징 형상을 제공한다. 현존하는 맨드릴 카톤 제조 기술을 이용하기 위하여, 용기(18)는 맨드릴 상에서의 카톤 제조 및 충진 장치와 다운스트림 설비를 통한 이송을 위해 필요한 4개의 수직 코너가 제공된다. 용기는 규격 로지스틱 및 재료 취급 요구사항에 부합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패키징 구조물의 재형상화는 신규하고 매력적인 카톤의 시각적 외관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카톤 설계에 따라 용기(18)의 인체공학적 특성도 또한 개선된다.
도 5는 블랭크(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블랭크(10)가 최종 용기로 형성될 때 분배 장치(pour spout fitment)를 수용하기 위한 홀(22)이 제공된다. 블랭크(10)는 용기(18)가 제조될 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이 제공되어 용기의 횡단면이 보다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이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최종 용기의 높이이다. 실질적으로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패널(P1, P2, P3, P4, P5)의 길이이다.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만나지 않는다.
도 6a는 제조되고, 충진되며 및 밀봉된 용기(18)의 2가지의 실시예, 즉 좌측편에 도시된 게이블-톱 용기(gable-top container)와 우측편에 도시된 플랩톱 용기(flattop container)를 도시한다. 용기(18)의 코너에 취약선이 제공됨에 따라 서브 패널(P6 내지 P9)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용기(18)의 중간 부분(19)에서 스코어라인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도 6b 및 도 6c에서 화살표로 도시됨) 활성화될 때 이러한 용기들은 외측을 향하여 부풀려진다. 중간 부분(19)에서의 압력은 수직방향을 배열된 패널(P1, P2, P3, P4)(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대해 둔각으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대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선호되며, 이러한 둔각은 바람직하게 대략 135°이다. 용기(18)의 코너에서 스코어라인은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의 플랫-톱 및 게이블-톱 카툰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블랭크(10)의 제 3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과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추가 취약선에 도달되기 전 중단됨)이 제공된다. 경계 취약선(S1, S2, S3, S4) 주위의 각각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러한 블랭크(10)가 게이블-톱 형상 이외의 플랫-톱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용기(18)로 형성될 때, 서브 패널(P6 내지 P9)은 내측을 향하여 압축되어 용기(18)의 횡단면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 용기(18)는 보다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블랭크(10)는 소위 센터-심 형상(centre-seam design)이다. 도 1 및 도 5의 블랭크(10)는 코너-심 형상(corner-seam design)을 도시한다. 이는 블랭크(10)가 제조 장치상에서 맨드릴 주위에 감겨지고 용기 슬리브에서 밀봉될 때 심의 최종 위치를 나타낸다. 심의 위치에서, 블랭크의 포개지는 부분(overlap, 24)(점선(26)으로 경계가 형성됨)는 블랭크(10)의 그 외의 다른 측면 아래에서 감겨진다. 도 7의 형상에 따라 포개지는 부분은 도 1 및 도 5의 블랭크에서와 같이 코너 이외의 몸체 부분의 중심에 형성된다. 이는 도 7의 블랭크가 용기 내에 형성될 때 한 코너에서 재료의 이중 층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도 1 및 도 5의 블랭크(10)의 경우). 이는 도 7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된 용기(18) 내의 모든 코너가 내측을 향해 압착되기 위해 동일한 크기의 압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도 7의 카톤 블랭크(10)는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되고 사각형의 상측 폐쇄 서브 패널(P10), 상측 밀봉 서브 패널(P11), 밀봉 서브 패널(P11) 내에서 부풀려지게 하고 밀봉 서브 패널(P11)로부터 폐쇄 서브 패널(P10)을 분리하는 취약선(S50)을 포함한다. 폐쇄 서브 패널(P10)과 밀봉 서브 패널(P11)을 분리시키는 취약선(S50)은 아치 형태이다. 폐쇄 서브 패널(P10)은 분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홀(22)을 포함한다. 밀봉 서브 패널(P11)과 폐쇄 서브 패널(P10)을 분리시키는 취약선(S50)은 밀봉 서브 패널(P11)과 폐쇄 서브 패널(P10)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블랭크(10)는 몸체 서브 패널에서 부풀려지게 하고 몸체 서브 패널(P3)로부터 밀폐 서브 패널(P10)을 분리시키는 제 2 취약선(S5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몸체 서브 패널(P11)과 폐쇄 서브 패널(P10)을 분리시키는 취약선(S52)도 또한 아치형의 형태이다. 취약선(S50, S52)의 형태가 아치형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폐쇄 서브 패널(P10)은 더욱 넓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분배 장치에 대한 홀(22)이 더욱 커진다.
도 8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블랭크(10)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이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다다르기 전에 말단을 이룬다. 추가로, 각각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들 사이에는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대해 수직하고 블랭크(10) 내의 실질적으로 절반 지점에 제공되는 단일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이 제공된다. 추가 취약선(S54)은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으로부터 경계 취약선(S1, S2, S3, S4)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상측 영역(12)에서 추가 취약선(S54)은 "V" 형태를 형성하고 하측 부분(14)에서는 뒤집힌 "V" 형태를 형성한다.
도 9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8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으로부터 경계 취약선(S1, S2, S3, S4)까지 연장된 추가의 비스듬한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가진다.
도 10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는 상이한 형태를 가진다. 도 10에서, 추가 취약선의 중앙 영역(16)은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추가로 부풀려진다. 추가 취약선에 도달되기 전 말단을 이루는 단일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들 사이에 제공된다.
도 11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다.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도달되기 전 말단을 이룬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을 통해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으로부터 그 외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까지 연장되는 2개의 비스듬하고 가로방향으로 횡단하는 취약선(S13, S23, S33, S43)이 제공된다. 각각의 추가 취약선은 하나 또는 이보다 많은 만곡된 부분 이외의 3개의 실질적으로 직선 구조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12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이 최종 용기(18)의 측면을 형성하는 서브 패널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 13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랭크(10)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가로방향 취약선은 갖질 않는다. 도 14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랭크(10)는 도 1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중앙 영역(16)에서 각각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들 사이에 쌍을 이루는 평행한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가진다. 도 15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8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스코어라인(S54)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16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5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 도 17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14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최종 용기(18)의 측면들을 형성하는 서브 패널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도 18은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 내에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실질적으로 직선구조의 2개의 선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은 각각 다이아몬드 형태의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형성한다. 또한, 블랭크(10)는 패널(P1, P2, P3, P4, P5)과 가장 넓은 지점에서 다이아몬드 형태의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각각 양분하고 블랭크(10)의 중앙 영역(16)에 위치된 단일의 직선형 가로방향 취약선(S56)이 제공된다. 도 19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블랭크(10)는 도 18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다이아몬드 형태의 서브 패널(P6 내지 P9)은 가로방향 취약선(S56)에 대해 평행한 추가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포함한다.
도 20은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이 이와 연계된 각각의 쌍을 이루는 인접한 추가 취약선(S12, S21, S22, S31)을 가진다. 블랭크(10)는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취약선이 제공된다. 도 20의 블랭크(10)로부터 형성된 용기는 추가 취약선(S12, S21, S22, S31)이 활성화되었을 때 최종 용기의 4개의 측면들 중 3개의 측면을 부풀리게 한다. 블랭크(10)는 도 7의 블랭크(10)와 유사하지만 폐쇄 서브 패널(P10)을 비교적 넓게 형성하는 취약선(S50)이 제공된다. 추가로, 또한 도 20의 블랭크(10)는 폐쇄 서브 패널(P20) 내에서 부풀려지게 하고 상측 밀봉 서브 패널(P21)로부터 서브 패널(P20)을 분리시키는 마주보는 폐쇄 서브 패널(P20) 상에 추가 취약선(S51)을 포함한다. 이러한 취약선(S51)은 취약선(S50)과 동일하며 이에 마주보고, 용기가 게이블톱 형상으로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될 때 이러한 상보적인 2개의 취약선(S50, S51)은 만족스러운 톱핀(top fin)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1은 용기(18)(도 22에 도시됨)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기 용기는 규격 풋프린트에 비해 감소된 크기의 풋프린트를 가지며, 예를 들어 도 21이 블랭크로부터 제조된 용기(18)는 1 리터의 용기에 대해 규격의 70mm x 70mm에 비해 66mm x 66mm의 풋프린트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2, S3)은 이와 연계된 단일의 추가 취약선(S31', S32')을 가지며, 추가 취약선(S21', S22')은 전방 패널(P3) 상에 배열되고, 본 실시예에서 서브 패널(P7, P8)은 각각의 추가 취약선(S31', S32')과 경계 취약선(S2, S3)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 취약선(S31', S32')이 활성화되었을 때, 패널들의 의도적인 부풀림은 전방 패널(P3)에 대해 제한된다. 또한, 블랭크(10)는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취약선(S23, S33)이 제공된다.
도 23은 가로방향 취약선(S60)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경계 취약선(S1, S4)에서 시작되며 추가 취약선(S31', S32')을 향하여 제 2의 경계 취약선(S2, S3)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21에 도시된 블랭크(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가로방향 취약선(S60)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2 또는 S3)을 가로지른 이후 2개의 취약선으로 분기되고 추가 취약선에 다다르기 이전에 말단을 이룬다. 블랭크(10)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 2 경계 취약선(S2, S3)의 마주보는 측면 상에 추가 취약선이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가로방향 취약선(S60)은 각각의 추가 취약선을 가로지를 것이다.
용기가 도 23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될 때, 이는 중간 영역에서의 용기를 압착시킴으로써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추가 스코어라인(S31', S32')과 가로방향 스코어라인(S60)이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용기의 중간 영역은 보다 더욱 둥근 횡단면을 가진다. 도 21의 상대적으로 짧은 가로방향 취약선(S23, S33)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가로방향 취약선(S60)은 이들이 활성화될 때 블랭크가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재료에 보다 덜 크랙이 발생되도록 한다. 전체 측면 패널(P2, P3)을 따라 가로방향 취약선(S60)이 연장됨에 따라 측면 벽 상에서 페이퍼보드 내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고 전방 서브 패널(액티베이터 내에서)이 활성화된다. 이러한 선(S60)은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고 신장된 스코어라인(S60)을 따라 압착에 의해 생성된 힘을 페이퍼 구조물 내에서 안내한다. 동시에, 스코어라인(S60)은 인체공학적 장점을 제공하는 그립 영역을 형성한다.
신장된 가로방향 취약선(S60)의 추가 실시예가 도 24에 도시된다. 쌍을 이루는 가로방향 취약선(S60)이 제공되며, 이러한 가로방향 취약선은 경계 취약선(S1, S4)에서 시작하여 제 2 경계 취약선(S2, S3)을 가로지르고 추가 취약선(S31', S32')에서 말단을 이룬다. 쌍을 이루는 취약선(S60)은 서브 패널(P30)을 형성한다. 용기가 도 24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될 때, 서브 패널(P30)은 용기로부터 유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목표 영역을 제공한다. 도 25 내지 도 27은 신장된 가로방향 취약선(S60)을 이용하는 블랭크(1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5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된 용기(18)를 도시한다. 가로방향 취약선(S60)은 추가 취약선(S31', S32')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용기(18)가 다양한 스코어라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중간 영역을 압착시킴으로써 활성화됨에 따라 중간 영역에서 용기(18)의 횡단면은 보다 둥글게 형성된다. 취약선(S21', S31')은 용기(18)에 유체 내용물이 충진되기 전, 이 이후 또는 충진되는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도 29는 도 24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된 용기(18)를 도시한다. 2개의 가로방향 취약선은 용기로부터 유체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사용자가 용기(18)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 영역으로서 프린트 재료(printed material)로 강조된 서브 패널(P30)을 형성한다.
사용자에 의한 용기(18)의 파지 및 그립 영역(P30)의 활성화에 대한 기능적 개선점이 제공된다. 용기(18)로부터 유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동안, 후방 패널(P1)은 동일한 형태로 유지되지만 전방 패널(P3)은 내용물의 중량과 사용자의 파지에 의해 추가 취약선(S31', S32')을 따라 접혀지고, 상기 전방 패널은 후방 패널(P3)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이에 따라 그립 서브 패널(P30)이 배치되는 용기(18)의 중간 섹션에서 사용자를 위한 매우 안전하고 바람직한 횡단면이 형성된다. 도 30에 관해 언급하면, 활성화와 파지 이후(프로파일 PF2에 의해 도시됨) 그리고 활성화 이전(프로파일 PF1에 의해 도시됨)의 용기(18)의 중간 섹션의 횡단면 프로파일이 도시된다. 용기(18)가 이의 중간 섹션에 프로파일(PF2)을 가질 때, 후방 패널(P1)은 프로파일(PF1) 내에서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반면 전방 패널(P3)은 프로파일(PF1)에서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접혀져서 배출이 수행됨에 따라 용기(18)의 전방에서 의도적인 부풀림이 야기된다.
도 31은 플라스틱 인서트(60)의 두 가지의 도면을 도시한다. 인서트(60)는 도 1 및 도 2의 서브 패널(P6 내지 P9)에 해당되는 프로파일을 가지며, 블랭크(10) 내에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해당되는 인서트(6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수직 인덴트(vertical indent, 62)를 포함한다. 또한, 인서트(60)는 블랭크(10)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에 해당되는 수평 립(horizontal rib, 64)을 포함한다. 인서트(60)의 형태와 형상은 블랭크(10)의 그 외의 다른 실시예의 대응 패널 및 선과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립(64) 대신에 플라스틱 인서트(60)는 다수의 적합한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60)는 임의의 폴리올레핀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고무 재료로 제조되며, 임의의 색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인서트(60)는 용기(18)의 임의의 또는 수직 코너에서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된 용기(18)에 주요하게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인서트(60)의 길이는 인접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플라스틱 인서트(60)가 부착되는 몸체 하위-부분(P6 내지 P9)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인서트(60)는 심미적 용기(예를 들어 상이한 색상을 이용하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 용기의 변부의 지지를 통하여 용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며, 용기의 인체공학적 특정을 향상시킨다.
도 32 및 도 33은 블랭크(10')의 2가지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블랭크(10')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양 실시예에서, 블랭크(10')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패널(P1, P2, P3, P4)을 포함하는 일렬의 패널(P1, P2, P3, P4)을 포함한다. 또한, 블랭크(10')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 폐쇄 패널(P12, P13, P14, P15)로 구성되며, 일렬의 패널(P1, P2, P3, P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부 폐쇄 패널(P12, P13, P14, P15)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3 단부 폐쇄 패널(P12, P14)은 인접한 단부 폐쇄 패널(P12, P1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각각의 단부 밀봉 패널(P17, P18)을 가진다. 각각의 제 2 및 제 4 단부 폐쇄 패널(P13, P15)은 각각의 쌍을 이루는 탭(T1, T2, T3, T4)을 가지며, 각각의 탭은 인접한 단부 폐쇄 패널(P13, P15)의 폭의 절반보다 작은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또한, 블랭크(10')는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제 5 단부 폐쇄 패널(P16)을 가진 제 5 패널(P5)을 포함하고, 제 5 단부 폐쇄 패널(P16)은 제 5 단부 폐쇄 패널(P1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단부 밀봉 패널(P19)을 가진다.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인접한 단부 밀봉 패널(P17, P18, P19)에 연결되고, 각각의 탭(T1, T2, T3, T4)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탭(T1, T2, T3, T4)은 쌍을 이루며, 상을 이루는 탭(T1, T2 및 T3, T4)의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형태는 상반되게 형성된다. 각각의 탭(T1, T2, T3, T4)의 깊이는 각각의 밀봉 패널(P17, P18, P19)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부 폐쇄 패널(P12 내지 P16), 단부 밀봉 패널(P17, P18, P19) 및 탭(T1, T2, T3, T4)의 형상은 블랭크(10')가 용기로 형성될 때 개선된 단부 폐쇄부를 제공한다. 단부 폐쇄부는 무균 패키징 분야에 특히 적합하며, 이는 용기의 내측에서 페이퍼보드 재료의 노출된 변부가 제공되지 않고 최종 용기의 내측에 임의의 선단 꼭지점(apex point)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며, 접는 공정(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됨)은 선단들이 용기의 외측에 놓임을 의미한다. 선단 꼭지점은 패널이 삼각형 형태의 서브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접혀질 때 형성된다. 이러한 선단 꼭지점은 용기가 충진되었을 때 용기의 유체 내용물이 유입되기가 특히 용이하다. 블랭크(10')는 단부 폐쇄부가 형성되었을 때 맨드릴 상에서 접혀질 수 있다.
도 32의 블랭크(10')는 후방 몸체 패널 아래에 센터 심을 가진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이고, 도 33의 블랭크(10')는 용기의 하나의 코너 변부를 따라 연장된 측면 심을 가진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라는 점에서 도 32 및 도 33의 블랭크(10')는 상이하다. 블랭크(10')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이 제공될 때, 최종 용기 상에 센터 심을 가지는 것이 선호되며, 이와는 달리 용기가 밀봉되는 코너에 취약선이 형성되는 경우 제 1 패널 내지 제 5 패널(P1, P2, P3, P4, P5)은 이러한 코너에서 추가 취약선의 활성화를 방지시킨다. 도 32 및 도 33의 블랭크(10')에 의해 제공된 단부 폐쇄부는 도 32의 블랭크(10')로부터 제조된 단부 폐쇄부와 같이 센터 심 용기와 함께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는 센터 심의 형상으로 설계된 용기와 함께 이용될 때 다수의 규격 단부 폐쇄 형상들이 준최적화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몇몇의 규격의 단부 밀폐 형상들은 바닥 단부 폐쇄부에서 서브 패널의 선단을 통과하는 센터 심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내용물들이 누출되거나 또는 내용물들이 페이퍼보드 기재로 유입되는 경향이 증가된다.
도 34는 일부의 제조 단계에 있는 단부 폐쇄부(70)를 도시한다. 제 2 및 제 4 단부 패널(P13, P15)은 각각의 단부 폐쇄 패널(P13 내지 P15)을 삼각형 서브 패널로 분할시키는 제 1 및 제 2의 비스듬한 취약선을 가진다. 단부 폐쇄부(70)가 형성됨에 따라, 단부 폐쇄 패널(P14) 및 마주보는 단부 폐쇄 패널(P12, P16)은 서로를 향해 접혀진다. 이에 따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폐쇄 패널(P13, P15)은 삼각형 서브 패널로 접혀진다. 탭(T1, T2, T3, T4)과 밀봉 패널(P17, P18, P19)은 최종적으로 마주보게 밀봉되어 밀봉 핀(72)이 형성된다. 이러한 핀(72)은 용기의 바닥에 대해 평평하게 접혀진다. 단부 폐쇄부(70)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에 대해 평평하게 밀봉되도록 내측을 항하여 접혀진 선단(A1, A2)에 의해 완성된다. 단부 폐쇄부(70)의 내측은 도 36에 도시된다. 용기 내측에 선단이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페이퍼보드의 임의의 노출된 변부가 제공되지 않도록 단부 폐쇄부(70)가 접혀진다.

Claims (73)

  1.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10)로서,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P1, P2, P3, P4, P5)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P1, P2, P3, P4, P5)들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일렬의 몸체 부분 형성 패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패널(P1, P2, P3, P4, P5)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각각의 직선형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실질적으로 패널(P1, P2, P3, P4, P5)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2.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10)로서, 상기 카톤 블랭크는 나란히 배열된 패널(P1, P2, P3, P4, P5)을 형성하는 일렬의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P1, P2, P3, P4, P5)들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패널(P1, P2, P3, P4, P5)의 상측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 각각의 직선형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패널(P1, P2, P3, P4, P5)의 길이의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상기 일렬의 패널(P1, P2, P3, P4, P5)들 중 한 패널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과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추가하여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마주보는 측면상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인접한 상측 및 하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영역보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더 이격된 중앙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7. 제 5 항에 추가하여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의 한 측면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의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상측 및 하측 영역에서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에서 말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복수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 상에 제공된 상기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실질적으로 패널(P1, P2, P3, P4, P5)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향하여 제 2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가로방향 취약선(S6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16. 몸체 부분(P1, P2, P3, P4)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루프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몸체 부분(P1, P2, P3, P4)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들 사이의 경계는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의해 형성되고,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의 길이의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몸체 부분(P1, P2, P3, P4)의 상기 루프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6 항,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과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몸체 하위-부분(P6 내지 P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6 항 또는 제 18 항에 추가하여 제 16 항,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경계 취약선은 이의 각각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인접한 상측 및 하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영역보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더 이격된 중앙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20 항에 추가하여 제 17 항,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의 한 측면에 배열된 쌍을 이루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의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41, S42)은 서브 패널(P6 내지 P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상측 및 하측 영역에서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에서 말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복수의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 상에 제공된 상기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용기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1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서 또는 이와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향하여 제 2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가로방향 취약선(S6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제 1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부착된 플라스틱 인서트(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60)의 길이는 인접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추가하여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인서트(60)는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60)가 부착되는 몸체 하위-부분(P6 내지 P9)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 31 항,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60)는 가로방향 립(6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제 25 항에 추가하여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립(64)은 실질적으로 가로방향 취약선(S13, S23, S33, S43)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6.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전정해진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가진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 부분을 포함하는 이송 장치,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장치 및
    -상기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더욱 둥글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부분을 압착하도록 배열된 압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용기는 몸체 부분(P1, P2, P3, P4)의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들 사이의 경계는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의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용기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며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인접한 상측 및 하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영역보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더 이격된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압착 장치는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장치는 충진 스테이션이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시키기에 앞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6 항,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장치는 충진 스테이션이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시키는 동안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로터리 터릿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분은 맨드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36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선형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분은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충진 장치와 압착 장치를 통해 복수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는 사전정해진 횡단부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중간 부분을 더욱 둥글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중간 부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충진 스테이션에서 복수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용기는 몸체 부분(P1, P2, P3, P4)의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부분(P1, P2, P3, P4)들 사이의 경계는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의해 형성되며, 2개의 인접한 경계 취약선(S1, S2, S3, S4)은 이의 한 측면에 배열된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가지며, 각각의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은 용기의 높이의 절반 이상이며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에 인접한 상측 및 하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영역보다 각각의 경계 취약선(S1, S2, S3, S4)으로부터 더 이격된 중앙 영역을 가지고 상기 압착 장치에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단계는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시키기에 앞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추가 취약선(S11, S12, S21, S22, S31, S32, S31', S32', S41, S42)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단계는 상기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충진시키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외측을 향해 배열되고 사각형의 상측 밀폐 서브 패널, 상측 밀봉 서브 패널 및 상기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고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취약선을 포함하는 용기용 카톤 블랭크.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취약선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취약선은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상기 밀폐 서브 패널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49. 제 46 항, 제 47 항 또는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은 분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0. 제 46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고 상기 몸체 서브 패널로부터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 2 취약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서브 패널과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상기 제 2 취약선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2. 제 46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제 2의 사각형의 상측 밀폐 서브 패널, 제 2 상측 밀봉 서브 패널, 상기 밀폐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고 상기 밀봉 서브 패널과 상기 밀폐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 3 취약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취약선은 상기 제 1 취약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에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톤 블랭크.
  54. 상측 밀봉 서브 패널과 루프 서브 패널을 포함하는 상측 폐쇄부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상기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는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아치형 취약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선은 상기 루프 서브 패널과 상기 상측 밀봉 서브 패널 사이의 경계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7. 제 54 항, 제 55 항 또는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이에 대해 밀봉되는 분배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8. 제 54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서브 패널에 인접한 위치에 몸체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상기 몸체 부분 내에서 부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는 상기 루프 서브 패널은 아치형 취약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0. 제 54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루프 서브 패널, 제 2 상측 밀봉 서브 패널 및 상기 루프 서브 패널 내에서 부풀려지고 상기 제 2 상측 밀봉 서브 패널과 상기 제 2 루프 서브 패널을 분리시키는 제 3 취약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취약선은 상기 제 1 취약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에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2.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10')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패널(P1, P2, P3, P4)을 포함하는 일렬의 패널(P1, P2, P3, P4) 및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 밀폐 패널(P12, P13, P14, P15)로 구성되고 상기 일렬의 패널(P1, P2, P3, P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일렬의 직사각형 단부 밀폐 패널(P12, P13, P14, P15)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및 제 3 단부 밀폐 패널(P12, P14)은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 밀폐 패널(P12, P1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각각의 단부 밀봉 패널(P17, P18)을 가지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패널(P13, P15)은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각각의 쌍을 이루는 탭(T1, T2, T3, T4)을 가지며, 각각의 탭은 인접한 단부 밀폐 패널(P13, P15)의 폭의 절반 이상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3. 제 62 항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배열된 제 5 단부 밀폐 패널(P16)을 가진 제 5 패널(P5)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5 단부 밀폐 패널(P16)은 이의 외측을 향하여 배열되고 제 5 단부 밀폐 패널(P1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단부 밀봉 패널(P19)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4. 제 6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인접한 단부 밀봉 패널(P17, P18, P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5. 제 62 항,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6. 제 62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탭(T1, T2 및 T3, T4)의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형태가 상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7. 제 62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의 깊이는 각각의 밀봉 패널(P17, P18, P19)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68. 단부 폐쇄부(70) 및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몸체 부분(P1, P2, P3, P4)을 포함하는 몸체 부분(P1, P2, P3, P4)의 루프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몸체 부분(P1, P2, P3, P4)에 각각 연결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단부 밀폐 부분(P12, P13, P14, P15)들로 구성되는 접이식 단부 밀폐 부분(P12, P13, P14, P15)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및 제 3 단부 밀폐 부분(P12, P14)은 몸체 부분(P1, P2, P3, P4)에 연결된 마주보는 변부에서 인접한 단부 밀폐 부분(P12, P1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각각의 단부 밀봉 부분(P17, P18)에 연결되며, 각각의 제 2 및 제 4 단부 밀폐 부분(P13, P15)은 몸체 부분(P1, P2, P3, P4)에 연결되는 마주보는 변부에서 각각의 쌍을 이루는 탭(T1, T2, T3, T4)에 연결되고, 각각의 탭은 인접한 단부 밀폐 부분(P13, P15)의 폭의 절반 미만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쌍을 이루는 탭(T1, T2, T3, T4)과 단부 밀봉 부분(P17, P18)으로 구성된 밀봉 핀(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9. 제 68 항에 있어서, 제 5 단부 밀폐 부분(P16)에 연결된 제 5 몸체 부분(P5)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5 단부 밀폐 부분(P16)은 몸체 부분(P5)에 연결된 마주보는 변부에서 제 5 단부 밀폐 부분(P1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단부 밀봉 부분(P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0. 제 69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인접한 단부 밀봉 부분(P17, P18, P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1. 제 68 항, 제 69 항 또는 제 7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2. 제 68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탭(T1, T2 및 T3, T4)의 각각의 탭(T1, T2, T3, T4)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형태가 상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3. 제 68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탭(T1, T2, T3, T4)의 깊이는 각각의 밀봉 패널(P17, P18, P19)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07027174A 2008-05-20 2009-05-20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 KR20110018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809082.1A GB0809082D0 (en) 2008-05-20 2008-05-20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 blanks and containers
GB0809082.1 2008-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889A true KR20110018889A (ko) 2011-02-24

Family

ID=3959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174A KR20110018889A (ko) 2008-05-20 2009-05-20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10113733A1 (ko)
EP (1) EP2318281A2 (ko)
KR (1) KR20110018889A (ko)
CN (1) CN102099256A (ko)
AU (1) AU2009248777A1 (ko)
BR (1) BRPI0912840A2 (ko)
CA (1) CA2724411A1 (ko)
CO (1) CO6310983A2 (ko)
EA (1) EA201001808A1 (ko)
GB (1) GB0809082D0 (ko)
IL (1) IL209367A0 (ko)
MA (1) MA32404B1 (ko)
MX (1) MX2010012629A (ko)
WO (1) WO2009141389A2 (ko)
ZA (1) ZA2010083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2104A1 (en) * 2019-11-29 2023-01-05 Sig Technology Ag Package with Stress-Relief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20543D0 (en) 2009-11-24 2010-01-06 Elopak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JP5757824B2 (ja) * 2011-08-26 2015-08-05 日本製紙株式会社 紙容器
JP2013230861A (ja) * 2012-05-01 2013-11-14 Meiji Co Ltd 液体注出容器及びこれに充填される飲食品
WO2013187913A1 (en) * 2012-06-15 2013-12-19 Nestec S.A. Kit for containing and dosing a liquid
ITBO20130441A1 (it) * 2013-08-05 2015-02-06 Gd Spa Contenitore rigido.
CA178024S (en) * 2013-11-15 2020-02-03 Elopak Systems Packaging carton
JP7316754B2 (ja) * 2015-06-18 2023-07-28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把持支持構造を有する包装容器
JP2017013861A (ja) * 2015-07-01 2017-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ンク板および容器
JP6607438B2 (ja) * 2015-07-01 2019-11-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ランク板および容器
US10815025B2 (en) * 2016-02-18 2020-10-27 Evergreen Packaging Llc Gable top with spout closure
EP3219629B1 (en) * 2016-03-17 2018-11-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and a machine for producing a sealed package
EP3219630B1 (en) * 2016-03-17 2018-09-2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ethod of operating a packaging machine for producing sealed packages
EP3219633B1 (en) * 2016-03-17 2020-12-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heet packaging material
US10457021B2 (en) 2016-03-29 2019-10-29 Amisha Patel Bio resin paperboard containers and cartons
DE102016003829A1 (de) *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ackung
ES2724398T3 (es) 2016-04-04 2019-09-10 Sig Technology Ag Envase compuesto, laminado de envase y pieza en bruto de envoltura de envase para un envase compuesto
DE102016003824A1 (de) *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EP3228551A1 (de) 2016-04-04 2017-10-11 SIG Technology AG Verbundpackung, packungslaminat und packungsmantelrohling für eine verbundpackung
DE102016109979A1 (de)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ormen von geschlossenen Verpackungen
DE102016003826A1 (de)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CA2972100C (en) * 2016-06-29 2020-07-07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Corrugated container with bulge control
IT201600079407A1 (it) * 2016-07-28 2018-01-28 Arti Grafiche Reggiane & Lai S P A Foglio fustella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scatola e relativa scatola cilindrica fustellta
CN106275688A (zh) * 2016-09-22 2017-01-04 上海普丽盛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容器及其坯料
USD845124S1 (en) * 2016-10-21 2019-04-09 Elopak A/S Carton
AU2017353914B2 (en) * 2016-11-02 2020-10-1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asymmetrical corners
IT201700031163A1 (it) * 2017-03-21 2018-09-21 Madel S P A Contenitore
JP6618085B2 (ja) * 2017-03-31 2019-12-11 日本製紙株式会社 紙容器
USD881695S1 (en) * 2017-08-31 2020-04-2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with base closure, top closure, side panel edge and twisted edge
JP6878231B2 (ja) 2017-09-25 2021-05-26 日本製紙株式会社 液体紙容器
JP2018030651A (ja) * 2017-11-29 2018-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付飲料用紙容器
WO2019127583A1 (zh) * 2017-12-30 2019-07-04 厉彦明 一种用于制造液体包装容器的胚料及其包装容器
JP2019189312A (ja) * 2018-04-27 2019-10-31 日本製紙株式会社 口栓付紙容器
US20210147110A1 (en) * 2018-04-27 2021-05-2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Paper container with stopper
JP2019209982A (ja) * 2018-05-31 2019-12-12 日本製紙株式会社 口栓付紙容器
USD915196S1 (en) 2018-06-14 2021-04-0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and packaging sheet for foodstuff
JP2021533045A (ja) * 2018-08-06 2021-12-02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カートンパッケージ及びカートンパッケージ用のブランク
JP2020040728A (ja) * 2018-09-10 2020-03-19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紙製包装容器及び紙製包装容器用ブランク
USD935880S1 (en) * 2019-04-16 2021-11-16 Elopak As Packaging container
USD898565S1 (en) 2019-04-23 2020-10-1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DE102019114635A1 (de) 2019-05-31 2020-12-03 Sig Technology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formen der giebelflächen von verpackungen mit schrägem giebel
DE102019132431A1 (de) * 2019-11-29 2021-06-02 Sig Technology Ag Packung mit geschwungenen Kanten
DE102019132429A1 (de) 2019-11-29 2021-06-02 Sig Technology Ag Flächenförmiges Verbundmaterial, Packungsmantel und Packung mit Entlastungspaneelen
WO2023042853A1 (ja) * 2021-09-14 2023-03-23 日本製紙株式会社 ブラ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体用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544A (ja) * 1984-09-13 1986-04-10 十條製紙株式会社 液体用厚紙容器のブランク
JPS61183811A (ja) * 1985-02-07 1986-08-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ケ−ブル
JPH0320257Y2 (ko) * 1985-05-09 1991-05-01
US4846396A (en) * 1988-06-03 1989-07-11 Frank Palazzolo Container made of folded planar material having precreased gripping area and blank for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474232A (en) * 1994-05-06 1995-12-12 Ljungstroem; Tommy B. G. Gable top carton and carton blank with curved side creases
KR19980011133U (ko) * 1996-08-17 1998-05-25 곽한붕 손잡이를 갖는 팩(pack)
US5809741A (en) * 1997-04-22 1998-09-2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arton concaving device
US5960987A (en) * 1998-04-16 1999-10-05 Flip Cup Company, Llc Self sealing drinking dispenser
JP3796979B2 (ja) * 1998-10-01 2006-07-12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
ITBO20020487A1 (it) * 2002-07-25 2004-01-26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Contenitore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GB0304249D0 (en) * 2003-02-25 2003-03-26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GB0525979D0 (en) * 2005-12-21 2006-02-01 Elopak Syste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CN201002744Y (zh) * 2006-10-18 2008-01-09 刘宇清 液体包装纸盒
CN200999099Y (zh) * 2006-12-27 2008-01-02 曾立 折叠式纸基密闭包装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2104A1 (en) * 2019-11-29 2023-01-05 Sig Technology Ag Package with Stress-Relief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2404B1 (fr) 2011-06-01
ZA201008399B (en) 2012-01-25
WO2009141389A3 (en) 2010-01-21
CO6310983A2 (es) 2011-08-22
US20110113733A1 (en) 2011-05-19
GB0809082D0 (en) 2008-06-25
BRPI0912840A2 (pt) 2015-10-13
MX2010012629A (es) 2010-12-06
CA2724411A1 (en) 2009-11-26
WO2009141389A2 (en) 2009-11-26
EA201001808A1 (ru) 2011-06-30
CN102099256A (zh) 2011-06-15
IL209367A0 (en) 2011-01-31
AU2009248777A1 (en) 2009-11-26
EP2318281A2 (en)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8889A (ko) 개선된 용기 블랭크 및 용기
CN100396567C (zh) 制造纸包装容器的方法及纸包装容器
AU2004215623B2 (en) Carton with pour spout
KR20110106369A (ko) 포장 내에 또는 포장과 관련된 개선점
KR20000064741A (ko) 포장용기와이포장용기용블랭크
KR102412499B1 (ko)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JP2019516634A (ja) 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CN107264910A (zh) 复合材料包装件、包装件层压制品和复合材料包装件的包装套筒坯料
US20160340099A1 (en) Packaging container with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8852C (zh) 包装容器及制造该容器的材料
EP0805748B1 (en) Carton bottom seal
RU2705141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емкость с захватной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US10828857B2 (en) Anvil device
CN109923046A (zh) 包装盒和包装盒坯件
JP6440241B2 (ja) 紙容器
RU2020139461A (ru) Упаковка
AU2011202535A1 (en) Carton with pour spout
ITMI961424A1 (it) Contenitore di confezionamento e sbozzato per produrre lo st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