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62A -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62A
KR20110011462A KR1020090069133A KR20090069133A KR20110011462A KR 20110011462 A KR20110011462 A KR 20110011462A KR 1020090069133 A KR1020090069133 A KR 1020090069133A KR 20090069133 A KR20090069133 A KR 20090069133A KR 20110011462 A KR20110011462 A KR 2011001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oard
insert
electronic component
unlocking
inspec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273B1 (ko
Inventor
나윤성
여동현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09006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2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개방장치, 인서트(INSERT) 및 캐리어보드(CARRIER BOAR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운반하는 캐리어 보드에 설치되는 새로운 개념의 인서트와, 해당 인서트에 전자부품을 로딩하거나 해당 인서트로부터 전자부품을 언로딩하기 위해 해당 인서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개방장치가 제시된다.
전자부품, 반도체, 테스트, 핸들러, 테스트트레이, 캐리어보드, 인서트, 개방기, 프리사이저

Description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CARRIER BOARD OPENER, INSERT OF CARRIER BOARD AND CARRIER BOARD FOR INSPECTION EQUIPMENT OF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CARRIER BOARD) 개방장치 등에 관한 것으로, 새로운 개념의 캐리어보드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캐리어보드 개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특히, 반도체소자)의 테스트를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는 테스터(TESTER)와 테스터에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비인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가 필요하다.
테스트핸들러에서는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다수의 반도체를 한꺼번에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보드('테스트트레이'라고 명명되어 짐)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캐리어보드는 보드 프레임과 보드 프레임에 행렬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인서트로 구성된다.
인서트는 인서트에 수용된 반도체소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장치를 가지는 데, 반도체소자를 인서트로 로딩하거나 반도체소자를 인서트로부터 언로딩하기 위해서는 래치장치를 조작하여 인서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인서트가 개방('개방'이라 함은 반도체소자를 인서트에 로딩시키거나 반도체소자를 인서트로부터 언로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인서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으로 정의 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테스트핸들러에는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기술이 구성되어야만 한다.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6-0003893호(발명의 명칭 :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용 인서트, 트레이, 및 전자부품핸들링 장치)로 제시된 선행기술(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이 있다.
선행기술1에 의하면, 인서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재가 인서트의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동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픽앤플레이스장치에 구성시켜야만 한다.
픽앤플레이스장치는 흡착 파지한 반도체소자를 캐리어보드로 로딩하거나 반도체소자를 캐리어보드로부터 흡착 파지하여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고 정확한 파지점 또는 파지 해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기동성과 정확한 동작 제어가 필요하다.
그런데, 선행기술1에 따른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픽앤플레이스장치에 개방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하므로 그 만큼 부품수를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픽앤플 레이스장치의 자체 중량을 증가시켜 관성력을 키우기 때문에 픽앤플레이스장치의 기동성과 정확한 동작 제어를 어렵게 한다.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8-0008661호(발명의 명칭 : 테스트핸들러)로 제시된 선행기술(이하 '선행기술2'라 함)이 있다. 선행기술2에 따르면 캐리어보드의 하방에 개방장치를 위치시키고, 개방장치에 구비된 인서트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핀들의 상승에 따라 인서트의 래치장치가 개방핀들에 의해 직접 조작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한 선행기술2에 의하면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가 캐리어보드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캐리어보드의 상방에 있는 픽앤플레이스장치와 무관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선행기술2에 따르는 경우 선행기술1에 비하여 픽앤플레이스장치의 기동성과 정확한 동작 제어를 담보하기가 쉬운 이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9-0002441호(발명의 명칭 : 테스터와 테스트핸들러 간의 전기신호 연결시스템)에 따르면 새로운 개념의 캐리어보드인 테스트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테스트보드는, 인서트 자체가 테스트소켓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서트의 하층에 회로기판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개념의 테스트보드를 가지는 테스트핸들러에는 개방핀들을 상승시켜 인서트의 래치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기술을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위와 같은 점들 때문에 테스트핸들러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출된 새로운 개념의 테스트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테스트보드에 설치될 구체적 인 인서트와 해당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개방장치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서트가 테스트소켓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캐리어보드인 테스트보드가 사용되는 테스트핸들러에서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개방장치, 해당 개방장치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는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는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잠금해제판; 및 상기 잠금해제판을 향하여 캐리어보드를 밀어 줌으로써 상기 캐리어보드에 설치된 인서트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전자부품을 상기 인서트로 로딩하거나 전자부품을 상기 인서트로부터 언로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푸싱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보드는 상기 푸싱장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잠금해제판을 향하여 밀려 붙여지면서 상기 인서트의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전자부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에 행렬 형태로 적재된 다수의 전자부품 과 동일한 개수 및 행렬 형태로 전자부품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출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가 상기 푸싱장치에 의해 밀려 붙여질 때 상기 캐리어보드에 설치되는 인서트의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단 4개 부분의 상면을 동시에 압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에 행렬 형태로 구비된 인서트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잠금해제부; 및 상기 캐리어보드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외곽부에 접촉되며, 상기 잠금해제부의 외곽에서 상기 잠금해제판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적어도 상기 잠금해제부에 인접된 부분보다는 상기 캐리어보드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어보드의 인서트가 상기 캐리어보드의 외곽부보다 침강되게 설치되는 것을 보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잠금해제판과 푸싱장치는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에 있는 상기 캐리어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의 인서트는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접속단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기능과, 상기 전자부품을 압박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기능을 가지는 래치장치; 외력을 받아 상기 래치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전자부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직사각 형상의 통과구멍을 가지는 구동부재; 및 상기 통과구멍의 4개의 모서리 외측에서 상기 구동부재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4개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단자를 직접 압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안착면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개념의 캐리어보드인 테스트보드의 인서트를 개방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개방장치, 해당 개방장치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는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이나 주지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인서트에 대한 예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100)는 본체(110), 두 벌의 접속단자(121, 122), 한 쌍의 래치장치(131, 132) 및 구동체(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안착면(S)을 가지며, 안착면(S)의 양 측방 부분에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단자구멍(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면(S)의 넓이는,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안착되는 반도체소자의 넓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태이며, 본체(110) 네 귀퉁이 각각에는 스프링홈(112a 내지 1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네 개의 안내부(113a 내지 113d)가, 단자구멍(111a, 111b)이 형성된 양 측방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두 측방 부분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113a 내지 113d)는 두 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으며, 그 내면이 내 측에서 바깥 측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안내부(113a의 안내부와 113c의 안내부 간에 서로 마주보고 있고, 113b의 안내부와 113d의 안내부 간에 서로 마주보고 있음) 상단 간의 간격이 하단 간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부(113a 내지 113d)의 하단 간의 간격으로 규격화된 반도체소자가 안내면(S)에 안착되어질 때 해당 반도체소자의 안착이 적절히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네 개의 안내부(113a 내지 113d)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본체(110) 양 측면에는 후술될 구동부재가 본체(1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4c 및 114d, 도면에서 114c 및 114d가 형성된 맞은편 쪽은 가려져 있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 벌의 접속단자(121, 122)는 각각 모듈화되어 본체(110)의 하부에서 본체에 결합되어지며, 접속단자들(121a, 122a)은 단자구멍(111a, 111b)을 통해 안착면(S)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안착면(S)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단자들이 단자구멍(111a, 111b)을 통해 안착면(S) 측으로 개방된 접속단자(121, 122)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래치장치(131, 132)는 각각은, 접속단자(121, 122)가 위치하는 측 방향에 구비되며, 래치부재(131a, 132a), 회전축(131b, 132b) 및 복원스프링(131c, 132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부재(131a, 132a)는, 그 회전에 의해 인서트(100)를 잠그거나 인서트(100)의 잠금을 해제시키며, 안착면(S)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과 반도체소자를 안착면(S) 측 방향으로 압박하여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접속단자(121, 122)에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래치부재(131a, 132a)에는 회전축(131b, 132b)이 통과될 수 있는 회전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31b, 132b)은, 래치부재(131a, 132a)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래치부재(131a, 132a)의 회전구멍(h)을 통과한 상태로 양 단이 본체(110)에 고정되게 된다.
복원스프링(131c, 132c)은 래치부재(131a, 132a)가 안착면(S)에 안착된 반도체소자를 안착면(S) 측으로 압박하기 위한 방향으로 래치부재(131a, 132a)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래치장치는, 인서트에 접속단자가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서트에 안착되는 반도체소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만을 가졌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장치(131, 132)의 경우에는, 인서트(100)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반도체소자의 단자를 접속단자(121, 122)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단자가 접속단자(121, 122)에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더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개의 경우 인서트에 안착된 반도체소자가 이탈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유동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100)에 안착된 반도체소자의 유동이 허용되지 않게 된다.
구동체(14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래치장치(131, 132)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구동부재(141) 및 4개의 지지스프링(142a 내지 142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방에서 관찰할 때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구동부재(141)는, 본체(1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본체(110)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구동부재(141)는, 반도체소자가 통과될 수 있는 넓이의 직사각 형상의 통과구멍(141a)을 가지며, 접속단자(121, 122)와 마주보는 양 측방을 제외한 나머지 두 측방에 상기한 걸림턱(113a 내지 113d)에 걸릴 수 있는 4개의 걸림부(141b-1 내지 141b-4)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재(141)는 래치장치(131, 132)가 구비되는 양 측방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치조작부(141c-1, 141c-2)를 가지며, 이러한 래치조작부(141c-1, 141c-2)의 하단은 래치부재(131a, 132a)의 외측 상단에 맞닿게 된다.
4개의 지지스프링(142a 내지 142d) 각각은, 탄성부재로서 구비되며, 그 하단이 상기한 스프링홈(112a 내지 112d)에 삽입되며 그 상단은 통과구멍(141a)의 4개의 모서리 외측에서 구동부재(1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인서트(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인서트(1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현재 인서트(10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2와 같이 구동부재(141)가 본체(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외력(F)이 가해지면, 래치조작부(141c-1, 141c-2)의 하단이 래치부재(131a, 132a)의 외측 단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궁극적으로 래치부재(131a, 132a)가 회전축(131b, 132b)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래치부재(131a, 132a)의 내측 단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가지므로 인서트(100)의 안착면(S)에 반도체소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안착면(S)에 안착되어진 반도체소자의 이탈을 허용하게 된다. 즉, 구동부재(141)가 본체(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함으로써 인서트(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인서트(100)에 가해지던 외력(F)이 제거되면 4개의 지지스프링(142a 내지 142d)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부재(141)가 본체(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복원스프링(131c, 132c)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부재(131a, 132a)가 역회전하게 되어 도2에서와 같이 인서트(100)를 잠금 상태로 되돌린다.
2. 캐리어보드에 대한 예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보드(200)에 대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보드(200)는 다수의 인서트(100), 보드 프레임(210), 회로기판(220) 및 커넥터(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보드(200)에는 상기한 도2에 따른 인서트(100)가 행렬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인서트(10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보드 프레임(210)은 설치부(211) 및 외곽부(212)로 구성된다.
설치부(211)는 다수의 인서트(100)가 행렬 형태로 설치되어진다.
외곽부(212)는 설치부(211)의 외곽에서 보드 프레임(210)의 테두리를 구성한다.
회로기판(220)은, 행렬형태로 설치되는 인서트(100)의 하층에 구비되며, 인서트(100)의 접속단자(121, 1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230)는, 보드 프레임(210)의 일 측방에 구비되며 회로기판(220)과 전 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테스터(TESTER)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인서트(100)에 안착된 반도체소자는 접속단자(121, 122), 회로기판(220) 및 커넥터(230)를 통하여 테스터(TESTEER)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넥터(230)의 상단은 보드 프레임(210)의 외곽부(212) 상단보다 (약 0.5mm 정도) 낮아서 캐리어보드(200)가 층층이 쌓일 경우에 커넥터(230)가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커넥터(230)의 하단은 보드 프레임(210)의 외곽부(212) 하단보다 (약 0.5mm 정도) 높아서 캐리어보드(200)의 이동 시에 커넥터(230)가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4의 측면도에서 보면 인서트(100)의 상단이 보드 프레임(210)의 외곽부(212) 상단보다 (약 0.6mm 정도) 침강되게 설치되는 데, 이러한 이유도 캐리어보드(200)를 층층히 쌓았을 경우나 캐리어보드(200)의 이동 시에 인서트(100)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도4의 측면도에서 인서트(100) 및 회로기판(220)의 점선 표시는 인서트(100) 및 회로기판(220)이 측면도 상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3 . 개방장치에 대한 예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장치(500)에 대한 사시도이다.
개방장치(500)는 잠금해제판(510)과 푸싱장치(5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사각 형상의 잠금해제판(510)은, 테스트핸들러(미도시) 내에서 로딩 위치(로딩위치에서는 고객트레이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를 캐리어보드로 로딩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짐) 또는 언로딩 위치(언로딩 위치에서는 캐리어보드에 적재된 반도체소자를 언로딩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짐)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잠금해제부(511)와 테두리부(512) 등으로 구성된다.
잠금해제부(511)는, 캐리어보드(200)의 설치부(211)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캐리어보드(200)에 행렬 형태로 구비된 인서트(10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캐리어보드(200)에 행렬 형태로 적재된 다수의 반도체소자와 동일한 개수 및 행렬 행태로 반도체소자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출입구멍(511h)이 형성되어져 있다.
테두리부(512)는 캐리어보드(200)의 외곽부(212)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잠금해제부(511)의 외곽에서 잠금해제판(510)의 테두리를 구성한다.
또한, 잠금해제판(510)은, 도6의 측면도에서 명확히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부(511)가 테두리부(512)보다 하방(캐리어보드 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이유는 캐리어보드(200)의 인서트(100)가 보드 프레임(210)의 외곽부(212)보다 침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인서트(100)의 침강된 깊이만큼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잠금해제부(511)가 테두리부(512)보다 더 돌출된 정도는 인서트(100)의 침강된 깊이(0.6mm)에 인서트(100)의 구동부재(141)가 인서트(100)의 본체(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거리를 더한 것이 된 다. 만일 도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판(510A)의 넓이가 캐리어보드(200)의 넓이보다 넓은 경우에는 잠금해제부(511A)가 테두리부(511B)에서 잠금해제부(511A)에 인접된 부분(C)보다 더 돌출되면 족하다.
푸싱장치(520)는, 잠금해제판(510)을 향하여 캐리어보드(200)를 밀어 줌으로써 캐리어보드(200)에 설치된 인서트(1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픽앤플레이스장치(미도시)에 의하여 반도체소자를 인서트(100)로 로딩하거나 반도체소자를 인서트(100)로부터 언로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압박판(521) 및 실린더(522)로 구성된다.
압박판(521)은, 캐리어보드(200)에 대응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캐리어보드(200)를 잠금해제판(510)이 있는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522)는 압박판(521)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구비된다.
한편, 도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판(510)과 푸싱장치(520)는 캐리어보드(2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참고로 도5에서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캐리어보드(200)는 캐리어보드(200)가 개방장치(500)를 구성하고 있지 않음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개방장치(500)의 작동에 대하여 캐리어보드(200)가 로딩위치에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보드(200)가 로딩 위치로 이동되어 온 상태에서 개방장치(500)의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린더(522)의 작동에 의해 압박판(521)이 상승하면서 도9에서 참조되는 바 와 같이 압박판(521)이 캐리어보드(200)에 접하게 되고, 계속된 압박판(521)의 상승으로 인하여 캐리어보드(200)가 함께 상승하면서 도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인서트(100)의 상면(구동부재의 상면)과 잠금해제판(510)의 잠금해제부(511)의 하단이 접하게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도10에서 개념적으로 확대 도시된 부분(A)에서 자세히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잠금해제판(510)에 형성된 하나의 출입구멍(511h)은 하나의 인서트(100)에 대응되는 데, 사각형상의 출입구멍(511h)의 주변 부분은 인서트(100)의 구동부재(141)의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단 4개 부분의 상면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도10의 B부분, 단면도의 성격상 2개의 상면만 도시 됨).
도10과 같은 상태에서 계속되는 압박판(521)의 상승에 의해 구동부재(141)는 잠금해제판(510)에 의해서 상승이 정지되는 반면 본체(110)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본체(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구동부재(141)의 래치조작부(141c-1, 141c-2)의 하단이 래치부재(131a, 132a)의 외측 단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래치부재(131a, 132a)를 정회전시킴으로써 도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인서트(100)의 안착면(S)에 반도체소자가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인서트(100)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구멍(511h)의 주변 부분은 구동부재(141)의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단 4개 부분의 상면에 동시에 접하고, 또한, 동시에 구동부재(141)의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단 4개 부분에 동일하면서 동시에 압박력을 가하기 때문에 인서트(100)의 양 측에 쌍으로 구비되는 래치부재(131a, 132a)가 정확히 서로 동일한 회전량만큼 회전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141)의 상면 위 치에 따라 압박력이 다르거나 압박력이 이시적으로 가해지게 된다면 한 쌍의 래치부재(131a, 132a)의 회전정도가 다르게 되어 인서트(100)의 완전한 잠금 상태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11과 같은 상태에서 픽앤플레이스장치에 의해 캐리어보드(200)에 반도체소자의 로딩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실린더(522)가 역동작하여 도9 내지 도11에서 보여 지는 순서의 역순으로 압박판(521) 및 캐리어보드(200)가 하강하면서 래치부재(131a, 132a)가 역회전하여 인서트(100)를 잠금 상태로 되돌리게 된다.
래치부재(131a, 132a)의 역회전이 완료되면, 도1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래치부재(131a, 132a)의 내측 단이 안착면(S)에 안착된 반도체소자(D)의 단자(T)를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반도체소자(D)의 단자(T)가 접속단자(121, 122)에 안정적으로 접속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언로딩 시의 개방 동작 또한 상기한 로딩 시의 개방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언로딩 시에는 픽앤플레이스장치가 안착면(S)에 안착되어 있는 반도체소자(D)를 흡착 파지하여 타 적재요소(미도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2 및 도3은 도1의 인서트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데 참조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인서트가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캐리어보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개방장치에 적용된 잠금해제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7은 도6과는 다른 예를 취하는 잠금해제판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8 내지 도12는 도5의 개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서트
110 : 본체
S : 안착면
121, 122 : 접속단자 131, 132 : 래치장치
140 : 구동체
141 : 구동부재
141a : 통과구멍
142a 내지 142d : 스프링
200 : 캐리어보드
210 : 보드 프레임
211 : 설치부 222 : 외곽부
220 : 회로기판 230 : 커넥터
500 : 개방장치
510 : 잠금해제판
511 : 잠금해제부
511h : 통과구멍
512 : 테두리부

Claims (9)

  1.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잠금해제판; 및
    상기 잠금해제판을 향하여 캐리어보드를 밀어 줌으로써 상기 캐리어보드에 설치된 인서트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전자부품을 상기 인서트로 로딩하거나 전자부품을 상기 인서트로부터 언로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푸싱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보드는 상기 푸싱장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잠금해제판을 향하여 밀려 붙여지면서 상기 인서트의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전자부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에 행렬 형태로 적재된 다수의 전자부품과 동일한 개수 및 행렬 형태로 전자부품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출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가 상기 푸싱장치에 의해 밀려 붙여질 때 상기 캐리어보드에 설치되는 인서트의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단 4개 부분의 상면을 동시에 압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판은,
    상기 캐리어보드에 행렬 형태로 구비된 인서트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잠금해제부; 및
    상기 캐리어보드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외곽부에 접촉되며, 상기 잠금해제부의 외곽에서 상기 잠금해제판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적어도 상기 잠금해제부에 인접된 부분보다는 상기 캐리어보드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캐리어보드의 인서트가 상기 캐리어보드의 외곽부보다 침강되게 설치되는 것을 보상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판과 푸싱장치는 상기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에 있는 상기 캐리어보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6.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접속단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기능과, 상기 전자부품을 압박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가 상기 접속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기능을 가지는 래치장치;
    외력을 받아 상기 래치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전자부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직사각 형상의 통과구멍을 가지는 구동부재; 및
    상기 통과구멍의 4개의 모서리 외측에서 상기 구동부재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4개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전자부품의 단자를 직접 압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안착면의 측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KR1020090069133A 2009-07-28 2009-07-28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KR10130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33A KR101304273B1 (ko) 2009-07-28 2009-07-28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33A KR101304273B1 (ko) 2009-07-28 2009-07-28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62A true KR20110011462A (ko) 2011-02-08
KR101304273B1 KR101304273B1 (ko) 2013-09-11

Family

ID=4377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133A KR101304273B1 (ko) 2009-07-28 2009-07-28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2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64U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래치를 구비하는 테스트 소켓
KR20180087960A (ko) * 2017-01-26 2018-08-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CN108673386A (zh) * 2018-07-24 2018-10-19 苏州佳祺仕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样品放置治具
KR20180136061A (ko) 2017-06-14 2018-12-24 (주)테크윙 전자부품 처리 장비용 개방장치
KR20210124166A (ko) * 2015-08-11 2021-10-14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841U (ko) * 2007-01-22 2008-07-25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
KR200445198Y1 (ko) * 2007-07-30 2009-07-08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의 테스트트레이용 인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64U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래치를 구비하는 테스트 소켓
KR20210124166A (ko) * 2015-08-11 2021-10-14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20220061077A (ko) * 2015-08-11 2022-05-12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20180087960A (ko) * 2017-01-26 2018-08-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KR20180136061A (ko) 2017-06-14 2018-12-24 (주)테크윙 전자부품 처리 장비용 개방장치
CN108673386A (zh) * 2018-07-24 2018-10-19 苏州佳祺仕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样品放置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273B1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273B1 (ko)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KR100301750B1 (ko) 반도체디바이스용트레이꺼내기장치및반도체디바이스용트레이수납장치
US201403272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nd holding a plurality of singulated semiconductor components in receiving pockets of a terminal carrier
US7393232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20060057868A1 (en) Socket for ball grid array devices
KR100682543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2637464B1 (ko) 인서트 조립체들의 래치들을 개방하기 위한 장치
US20140253168A1 (en)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package
KR102490589B1 (ko) 전자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 인서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인서트 조립체의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장치
KR101532952B1 (ko)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및 조작장치
KR100795490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610778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739475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WO2014003238A1 (ko) 인서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 수납 장치
US7407401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KR200389391Y1 (ko) 반도체칩캐리어
KR10057775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0502052B1 (ko) 캐리어 모듈
KR100311745B1 (ko) 핸들러의 트레이 플레이트
KR102220334B1 (ko) 전자 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인서트 조립체
KR100262267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의 캐리어 모듈
KR10026226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테스트 트레이의 캐리어모듈
KR101499573B1 (ko) 테스트핸들러에서의 반도체소자 언로딩방법
KR101559396B1 (ko) 테스트핸들러용 인서트 및 조작장치
TW202129821A (zh) 晶圓搬送單元及晶圓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