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960A -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 Google Patents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960A
KR20180087960A KR1020170012392A KR20170012392A KR20180087960A KR 20180087960 A KR20180087960 A KR 20180087960A KR 1020170012392 A KR1020170012392 A KR 1020170012392A KR 20170012392 A KR20170012392 A KR 20170012392A KR 20180087960 A KR20180087960 A KR 20180087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seating frame
electronic product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484B1 (ko
Inventor
김승준
김환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7Fluid transpor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 장치는 전자제품이 수용된 제1 케이스가 안착된 보트와 수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및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프레임 이동 수단;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Ca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product cas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제품 제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전자제품은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전자제품을 수용하는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 내에 전자제품을 수용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과 실장된 전자 소자들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내에 하부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공차가 큰 경우 체결력은 좋은 반면, 헐거운 체결 상태로 인해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분리되거나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품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공차가 작은 경우 케이스가 찌그러지거나 또는 외측으로 벌어져 체결력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한정된 공차 내에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 장치는 전자제품이 수용된 제1 케이스가 안착된 보트와 수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및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프레임 이동 수단;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는 순환 이동하는 트랙 상에 결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품 이송부; 제 1 케이스를 파지하여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보트 내로 상기 제 1 케이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케이스 공급부; 전자제품을 파지하여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보트 내의 상기 제1 케이스 내로 상기 전자제품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품 공급부;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3 위치와 수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프레임 이동 수단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케이스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싱부; 및 제2 케이스를 파지하여 상기 케이싱부의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 케이스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의 측벽부들이 외측으로 벌어진 경우에도 가압에 의해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홀을 통과하면서 내측으로 구부러져 하부 케이스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맞춰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간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이송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제2 케이스 공급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2 케이스 그립퍼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제2 케이스 그립퍼의 평면부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케이싱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홀을 제2 케이스가 통과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홀을 제2 케이스가 통과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과 보트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부에 의해 수행되는 케이싱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품 이송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10)는 물품 이송부(100), 전자제품 공급부(200), 제1 케이스 공급부(300), 제2 케이스 공급부(400), 케이싱부(500) 및 언로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이송부(100)는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순환 회전하는 트랙(110) 및 트랙(110) 상에 결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트(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트(120)는 제품 또는 기타 물품을 싣고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트(120)들은 순환 회전하는 트랙(100)에 의해 복수의 작업 위치들을 지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작업 위치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 공급 위치(A), 전자제품 공급 위치(B), 케이싱 위치(C), 언로딩 위치(D)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케이스 공급 위치(A)는 제1 케이스 공급부(300)로부터 제1 케이스가 공급되는 위치일 수 있고, 전자제품 공급 위치(B)는 전자제품 공급부(200)로부터 전자제품이 공급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케이싱 위치(C)는 제2 케이스 공급부(400)로부터 제2 케이스가 공급되고, 케이싱부(500)에 의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케이싱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일 수 있고, 언로딩 위치(D)는 케이싱 완료된 전자제품이 트랙(110) 상의 보트(120)로부터 언로딩되는 위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싱 위치(C)는 제2 케이스가 공급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 공급부(400)는 케이싱부(500)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케이싱 위치(C)로 제2 케이스를 공급할 수 있다.
전자제품 공급부(200)는 트레이에 수용된 전자제품을 파지하여 물품 이송부(100) 상의 작업 위치, 즉, 전자제품 공급 위치(B)에 도달한 보트(120)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제품 공급부(2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자제품 공급부(200)에 복수의 전자제품들이 수용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 공급부(300)는 트레이에 수용된 제1 케이스를 파지하여 물품 이송부(100) 상의 작업 위치, 즉, 제1 케이스 공급부(A)에 도달한 보트(120) 상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 공급부(300)는 제1 케이스의 평면부가 보트(120)의 상면에 접하도록 제1 케이스를 보트(120) 상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케이스 공급부(400)는 트레이에 수용된 제2 케이스를 파지하여 케이싱부(500)의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공급부(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케이싱부(500)는 제2 케이싱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제2 케이스와 물품 이송부(100)의 지정된 작업 위치, 즉, 케이싱 위치(C)에 도달한 보트(120) 상에 안착된 제1 케이스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부(500)의 구성 및 동작은 이후 도 4a 내지 도 8e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언로딩부(600)는 케이싱부(500)에서 케이싱이 완료된 전자제품이 물품 이송부(100)의 지정된 작업 위치, 즉, 언로딩 위치(D)에 도달함에 따라 케이싱 완료된 전자제품들을 보트(120)로부터 언로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제2 케이스 공급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제2 케이스 그립퍼의 사시도이고, 도 3c는 제2 케이스 그립퍼의 평면부의 하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및 도 3d는 도 3c의 Ⅰ-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 공급부(400)는 트레이 보관부(410), 제2 케이스 트레이(420),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 보트 이동 셔틀(440), 제2 케이스 그립퍼(450), 및 그립퍼 이동 수단(46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보관부(410)는 복수의 제2 케이스 트레이(420)들을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에서는 트레이 보관부(4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트레이 보관부(410)의 구조 및 형태가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 트레이(420)는 제2 케이스(미도시)를 복수 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는 제2 케이스를 싣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케이스 공급부(400)는 제2 케이스 트레이(420)로부터 제2 케이스를 파지하여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로봇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트 이동 셔틀(440)은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는 보트 이동 셔틀(440)에 의해 제2 케이스 트레이(420)와 제2 케이스 그립퍼(450)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케이스 그립퍼(450)는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 상에 놓인 제2 케이스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그립퍼(450)는 평면부(451), 및 평면부(451)의 양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부(45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 그립퍼(450)의 평면부(451)에는 복수의 진공 홀(45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그립퍼(450)는 복수의 진공 홀(455)들을 통해 제2 케이스 안착 보트(430) 상에 놓인 제2 케이스를 흡착하여 케이싱부(500)의 케이스 안착 유닛(520)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진공 홀(455)들은 평면부(451)의 제1 면(451a) 및 제2 면(451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진공 홀(455)들은 평면부(451)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평면부(451)의 제1 면(451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 예를 들어, 하면일 수 있고, 평면부(451)의 제2 면(451b)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 예를 들어, 상면일 수 있다.
각 진공 홀(455)은 평면부(451)의 제1 면(451a)으로부터 제2 면(451b)을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1 부분(455a) 및 제1 부분(455a)의 단부와 연결되고 평면부(451)의 제3 면(451c)을 향하여 평면부(451)의 제1 면(451a) 및 제2 면(451b)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제2 부분(455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진공 홀(455)들의 제2 부분(455b)들은 평면부(451)의 제3 면(451c)에서 합쳐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진공 홀(455)들은 평면부(451)의 제3 면(451c)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하고 제1 면(451a)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평면부(451)의 제3 면(451c)은 제1 면(451a)과 제2 면(451b)에 수직한 면, 즉, 측면일 수 있다.
복수의 진공 홀(455)들의 제1 부분(455a)들의 일단부들은 평면부(451)의 제1 면(451a)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들은 제2 부분(455b)들의 일단부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진공 홀(455)들의 제2 부분(455b)들의 타단부들은 하나로 합쳐져 평면부(451)의 제3 면(451c)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에서는 두 개의 진공 홀(455)들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진공 홀(455)의 개수가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케이스 그립퍼(450)의 평면부(451)의 제3 면(451c) 즉, 측면에는 복수의 진공 홀(455)들의 제2 부분(455b)들의 타단부들과 연결되는 진공 라인(457)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립퍼 이동 수단(460)은 제2 케이스 그립퍼(450)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스 그립퍼(450)는 그립퍼 이동 수단(460)에 의해 제2 케이스 공급부(400)와 케이싱부(500)의 케이스 안착 유닛(520)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4a는 케이싱부(5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b는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사시도이고, 및 도 4c는 도 4b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케이싱부(500)는 하우징(510), 케이스 안착 유닛(520), 및 가압 유닛(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케이스 안착 유닛(520) 및 가압 유닛(5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은 평면부 및 평면부의 양 측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안착 유닛(520)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 프레임 이동 수단(523), 및 복수의 정렬 핀(5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은 제2 케이스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제2 케이스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은 케이스 즉,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제1 부분(521a) 및 제1 부분(521a)의 양 측에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부분(52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521b)들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제1 부분(521a)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제1 부분(521a)은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홀(H)의 내부 측벽은 제1 내부 측벽(SW1)(이하, ‘제1 측벽’이라 함), 제2 내부 측벽(SW2)(이하, ‘제2 측벽’이라 함), 및 제3 내부 측벽(SW3)(이하, ‘제3 측벽’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SW1)은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벽(SW1)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상면(US)으로부터 하면(LS)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SW2)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상면(US)(또는 하면(LS))에 수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측벽(SW3)은 제2 측벽(SW2)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단차진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의 내부 측벽은 부분적으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측벽(SW1)들 간의 폭, 제2 측벽(SW2)들 간의 폭, 및 제3 측벽(SW3)들 간의 폭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H)의 제1 측벽(SW1)들 간의 폭(W1)은 제2 측벽(SW2)들 간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홀(H)의 제3 측벽(SW3)들 간의 폭(W3)은 제2 측벽(SW2)들 간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홀(H)의 제3 측벽(SW3)들 간의 폭(W3)은 홀(H)의 제1 측벽(SW1)들 간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홀(H)의 제2 측벽(SW2)들 간의 폭은 제2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홀(H)의 제2 측벽(SW2)들 간의 폭은 제2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크고, 제1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홀(H)의 제2 측벽(SW2)들 간의 폭이 제2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큼에 따라, 제2 케이스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제2 케이스가 홀(H)을 통과하지 않고 홀(H)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에는 복수의 볼플런저(527)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볼플런저(527)들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제1 부분(521a)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볼플런저(527)들은 일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복수의 볼플런저(527)들이 홀(H)의 제2 측벽(SW2)들 중 제1 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2 측벽(SW2)들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복수의 볼플런저(527)들은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마주하는 2개의 제2 측벽(SW2)들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4개의 제2 측벽(SW2)들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다.
각 볼플런저(527)는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 내에 삽입된 바디부(527a), 바디부(527a) 내에 장착된 탄성체(527b), 탄성체(527b)에 결합된 볼(527c), 및 바디부(527a)를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27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볼플런저(527)는 볼(527c)의 일부가 홀(H)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에 장착될 수 있다. 볼(527c)은 탄성체(527b)에 의해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바디부(527a) 내로 삽입되고, 작용된 힘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홀을 제2 케이스가 통과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제2 케이스(C2)는 정상 상태인 케이스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정상 상태인 케이스는 측벽부들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기울지 않고 곧은 상태인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제2 케이스(C2)는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C2)는 홀(H) 내부로 돌출된 볼플런저(527)의 볼(527c)에 걸림으로써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C2)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2 케이스(C2)에 작용한 외력이 볼플런저(527)의 볼(527c)로 전달되어 볼(527c)은 바디부(527a) 내로 삽입되고 제2 케이스(C2)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가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C2)가 볼플런저(527)의 볼(527c)을 통과하면 볼(527c)에 작용하던 힘이 해제되어 볼(527c)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스의 측벽부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기울어진 경우가 있다. 이때, 측벽부들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제2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내에 제대로 삽입될 수 없음에 따라 체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홀을 제2 케이스가 통과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제2 케이스(C2)는 비정상 상태인 케이스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정상 상태인 케이스는 측벽부들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제2 케이스(C2)는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이 아닌 제1 측벽(SW1)들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C2)의 측벽부들이 ‘a’부분과 같이 외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제2 케이스(C2)의 측벽부들 간의 폭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제2 측벽(SW2)들 간의 폭보다 커지게 되고, 그 결과 제2 케이스(C2)가 홀(H) 내부로 돌출된 볼플런저(527)의 볼(527c) 상에 안착되지 못하고, 홀(H)의 제1 측벽(SW1)들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C2)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외측으로 벌어진 제2 케이스(C2)의 측벽부들이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제2 케이스(C2)는 홀(H)의 제2 측벽(SW2)들 사이로 삽입되어 홀(H) 내부로 돌출된 볼플런저(527)의 볼(527c)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계속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케이스(C2)를 가압하면 제2 케이스(C2)에 작용한 외력이 볼플런저(527)의 볼(527c)로 전달되어 볼(527c)은 바디부(527a) 내로 삽입되고 제2 케이스(C2)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가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C2)가 볼플런저(527)의 볼(527c)을 통과하면 볼(527c)에 작용하던 힘이 해제되어 볼(527c)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외측으로 벌어진 제2 케이스의 측벽부들이 가압 유닛(530)에 의해 홀(H)의 제2 측벽(SW2)들을 통과하면서 내측으로 구부러짐에 따라 제2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가 불량인 경우에도 제1 케이스와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제2 부분(521b)들에는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프레임 이동 수단(523)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이동 수단(523)은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레임 이동 수단(523)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 내에 제2 케이스가 안착되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은 프레임 이동 수단(523)에 의해 보트(120)와 체결되도록 하강할 수 있고,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케이싱이 완료되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은 프레임 이동 수단(523)에 의해 보트(120)와 분리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
복수의 정렬 핀(525)들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과 보트(12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정렬 핀(525)들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하면(LS)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보트(120)는 복수의 정렬 핀(525)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정렬 홈(1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유닛(530)은 바디부(531),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 및 가압 플레이트(53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31)는 하우징(510) 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531)는 하우징(510)의 평면부의 내벽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은 바디부(531) 내에 배치되고,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압 플레이트(535)는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에 의해 하강하여 제2 케이스를 가압할 수 있고, 케이싱 완료 후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에 의해 상승하여 원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도 7은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과 보트(120)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120)는 전자제품(미도시)이 수용된 제1 케이스(C1)가 안착되는 안착 홈(123) 및 정렬 핀(525)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정렬 홈(12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하강 시 정렬 핀(525)들이 보트(120)의 정렬 홈(125)들에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이 삽입됨에 따라, 제1 케이스(C1)와 제2 케이스(C2)의 체결 위치가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정렬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케이싱부에 의해 수행되는 케이싱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8a 내지 도 8f에서는 볼플런저를 생략하였다.
도 8a를 참조하면, 케이싱부(500, 도 1 참조)와 수직으로 중첩하는 케이싱 위치(C, 도 2 참조)에 전자제품(미도시)이 수용된 제1 케이스(C1)가 안착된 보트(120)가 도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과 가압 플레이트(535)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S)은 제2 케이스를 흡착한 제2 케이스 그립퍼(460)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홀(H) 내에 제2 케이스(C2)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케이스(C2)는 홀(H) 내부로 돌출된 볼플런저(527, 도 5a 참조)의 볼(527c)에 걸림으로써, 홀(H)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2 케이스(C2)가 안착된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은 프레임 이동 수단(523)에 의해 하강하여 보트(1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의 하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정렬 핀(525)들이 보트(120)의 정렬 홀(125)들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가압 플레이트(535)가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에 의해 하강하여 제2 케이스(C2)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535)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케이스(C2)는 홀(H)을 통과한 후 제1 케이스(C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8e 및 도 8f를 참조하면, 케이스 안착 프레임(521)이 프레임 이동 수단(523)에 의해 보트(120)와 분리되도록 상승한 후, 가압 플레이트(535)가 플레이트 이동 수단(533)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00: 전자제품 이송부
110: 트랙 120: 보트
200: 전자제품 공급부 300: 제1 케이스 공급부
400: 제2 케이스 공급부 410: 트레이 보관부
420: 제2 케이스 트레이 430: 제2 케이스 안착 보트
440: 보트 이동 셔틀 450: 제2 케이스 그립퍼
460: 그립퍼 이동 수단 500: 케이싱부
510: 하우징 520: 케이스 안착 유닛
530: 가압 유닛 600: 언로딩부

Claims (21)

  1. 전자제품이 수용된 제1 케이스가 안착된 보트와 수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및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프레임 이동 수단;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케이스 내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
    을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부 측벽들은,
    일단이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된 제1 내부 측벽들;
    일단이 상기 제1 내부 측벽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내부 측벽들; 및
    일단이 상기 제2 내부 측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된 제3 내부 측벽들
    을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상기 제1 내부 측벽들 간의 폭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하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케이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측벽들의 상단들 간의 폭은 상기 제1 내부 측벽들의 하단들 간의 폭보다 큰 케이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측벽들의 하단들 간의 폭은 상기 제2 내부 측벽들 간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케이싱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상기 제2 내부 측벽들은 각각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하는 케이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상기 제3 내부 측벽들은 각각 계단 형상을 갖는 케이싱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에 상기 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복수의 볼플런저들을 더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 볼플런저는,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 내에 매립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결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바디부 내로 삽입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볼
    을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일부가 상기 홀의 내부로 돌출되고,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홀의 내부로 돌출된 상기 볼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 내에 안착되는 케이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플레이트 이동 수단
    을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하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정렬 핀들을 더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는 상기 복수의 정렬 핀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정렬 홈들을 포함하는 케이싱 장치.
  14. 순환 이동하는 트랙 상에 결합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품 이송부;
    제 1 케이스를 파지하여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보트 내로 상기 제 1 케이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케이스 공급부;
    전자제품을 파지하여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보트 내의 상기 제1 케이스 내로 상기 전자제품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제품 공급부;
    상기 전자제품 이송부의 제 3 위치와 수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홀이 형성된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프레임 이동 수단 및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케이스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2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싱부; 및
    제2 케이스를 파지하여 상기 케이싱부의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제2 케이스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내부 측벽들은,
    일단이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된 제1 내부 측벽들;
    일단이 상기 제1 내부 측벽의 타단에 연결된 제2 내부 측벽들; 및
    일단이 상기 제2 내부 측벽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프레임의 하면에 연결된 제3 내부 측벽들
    을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상기 제2 내부 측벽들 간의 폭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벽들 간의 폭보다 작은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공급부는,
    복수의 제2 케이스들이 수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케이스 트레이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트레이 보관부;
    상기 복수의 제2 케이스들 중 하나의 제2 케이스가 안착되는 제2 케이스 안착 보트;
    상기 제2 케이스 안착 보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성된 보트 이동 셔틀;
    상기 제2 케이스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제2 케이스 그립퍼; 및
    상기 제2 케이스 그립퍼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구성된 그립퍼 이동 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그립퍼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상기 제1 면의 양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부들; 및
    상기 평면부의 상기 제1 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 홀들
    을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각 진공 홀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수직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 홀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3 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공급부는 상기 평면부의 상기 제3 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진공 홀의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진공 라인을 더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KR1020170012392A 2017-01-26 2017-01-26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KR10262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392A KR102623484B1 (ko) 2017-01-26 2017-01-26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392A KR102623484B1 (ko) 2017-01-26 2017-01-26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60A true KR20180087960A (ko) 2018-08-03
KR102623484B1 KR102623484B1 (ko) 2024-01-11

Family

ID=6325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392A KR102623484B1 (ko) 2017-01-26 2017-01-26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4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861A (ja) * 1993-10-28 1995-05-12 Nippondenso Co Ltd 電子制御機器用ケース体
JP2000068687A (ja) * 1998-08-26 2000-03-03 Sony Corp チップ部品のマウント装置
JP3281838B2 (ja) * 1997-05-29 2002-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を具えた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95753A (ko) * 2004-12-24 2007-10-01 후루카와 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전자 케이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11462A (ko) * 2009-07-28 2011-02-08 (주)테크윙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
KR20150116216A (ko) * 2014-04-07 2015-10-15 (주)테크윙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및 라벨링 장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861A (ja) * 1993-10-28 1995-05-12 Nippondenso Co Ltd 電子制御機器用ケース体
JP3281838B2 (ja) * 1997-05-29 2002-05-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を具えた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68687A (ja) * 1998-08-26 2000-03-03 Sony Corp チップ部品のマウント装置
KR20070095753A (ko) * 2004-12-24 2007-10-01 후루카와 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소형 전자 케이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11462A (ko) * 2009-07-28 2011-02-08 (주)테크윙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및 캐리어보드
KR20150116216A (ko) * 2014-04-07 2015-10-15 (주)테크윙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및 라벨링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484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765B2 (en) Self loading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assembing method thereof
US9995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s
JP5934156B2 (ja) 基板の搬送供給方法及び基板の搬送供給装置
US20080045051A1 (en) PIU plug-in/plug-off mechanism for electronic apparatus
US8454005B2 (en) Clamping apparatus
JP3940979B2 (ja) ソケットタイプのモジュールテスト装置
US20040011700A1 (en)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US8834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rrier frame loading electronic package
TWI409204B (zh) Electronic component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device
JP4848255B2 (ja) 樹脂モールド方法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JPWO2018235155A1 (ja) 電子部品搭載機
JP2929937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
US20030070280A1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KR20080045027A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
JP4045687B2 (ja) Icデバイスのテスト用キャリアボード
US6796805B2 (en) Surface mount technology land grid array socket
KR20180087960A (ko) 케이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케이싱 장비
KR101304273B1 (ko) 전자부품 검사장비용 캐리어보드 개방장치 및 캐리어보드의 인서트
KR102057839B1 (ko) 테스트핸들러
TW202417867A (zh)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US4797996A (en) Device for centering preformed components for the flat implantation thereof by means of an automatic setting machine
TWI837384B (zh) 檢查裝置
JPH1117397A (ja) ワークの下受装置
KR102190340B1 (ko) 피커 어셈블리
KR102504688B1 (ko)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