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565U - 로커 추진식 스쿠터 - Google Patents

로커 추진식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565U
KR20110009565U KR2020117000026U KR20117000026U KR20110009565U KR 20110009565 U KR20110009565 U KR 20110009565U KR 2020117000026 U KR2020117000026 U KR 2020117000026U KR 20117000026 U KR20117000026 U KR 20117000026U KR 20110009565 U KR20110009565 U KR 20110009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latform
scooter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7000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356Y1 (ko
Inventor
롱 유
Original Assignee
엠. 와이.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535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9565(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엠. 와이.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엠. 와이.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09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64Cranks and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그 위에 탑승자가 양 발로 설 수 있는 로킹가능한 플랫폼을 구비한 스쿠터. 플랫폼은 체인에 의해 일방향 스프로켓 휠들에 부착되고, 이 일방향 스프로켓 휠들은 후방 휠을 회전시키는 스쿠터 후방 휠에 장착되어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이동할 때 및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 이동할 때 전방 방향으로 스쿠터를 추진한다. 스쿠터는 사용자가 한 발을 땅에 두고 한 발을 플랫폼 위에 배치하여 스쿠터를 추진할 수 있게 하는 위치를 갖는다.

Description

로커 추진식 스쿠터 {ROCKER PROPELLED SCOO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쿠터를 추진하기 위한 발 작동식 장치를 구비하는 스쿠터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쿠터는 잘 알려져 있으며, 탑승자가 한 발을 스쿠터 상에 두고 다른 발을 스쿠터를 전방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전방으로 추진된다. 종래의, 대중적인 스쿠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후방 휠(72)과 전방 휠(71)을 구비하는 데크(70)를 포함한다. 헤드 튜브(75)가 연결 기구(74)에 연결된다. 핸들바아 스템(73)이 헤드 튜브(7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 휠(71)은 스템(73)의 하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바아는 스템(73) 위에 장착된다. 탑승자는 한 발을 데크(70) 상에 올리고, 스쿠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른 발을 지면 상에 둔다. 데크(70) 상의 발은 종종 피로를 느끼게 되며, 그 이유는, 이동 동안 체중을 지탱하고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기 대문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특정 발을 데크(70) 상에 사용하게 되며, 그래서, 지면에 대한 발차기 및 추진에 의해 단 하나의 발만이 단련되게 된다. 일부 사람들은 스쿠터를 적절히 동작시킬 수 없으며, 그 이유는 양호한 균형 감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일부 사람들은 단지 하나의 다리만이 단련되게 되고, 비효율적이며, 저속이기 때문에 스쿠터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스쿠터는 평탄한 도로 또는 내리막 도로 구획들에 적합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발판추진식 스쿠터(treadle scooter)들은 사람이 하방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발판을 사용한다. 발판은 스쿠터의 후방 휠과 구동식으로 결합되며, 그에 의해, 발판이 하향 이동될 때 스쿠터의 소정의 전방 이동을 제공한다. 간단한 발판추진식 스쿠터들이 이하의 미국 특허들, 즉, McChesney, Jr.에게 허여된 제2,723,131호, Whitehouse에게 허여된 제1,175,844호, Gruenstein에게 허여된 제3,180,656호 및 Moe 등에게 허여된 제4,124,2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왕복식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부재를 구비한 다른 유형의 스쿠터가 Washizaw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992,029호에 개시되어 있다.
발판추진식 스쿠터들은 통상적으로 클러치 래칫 휠 기구를 사용하며, 이는 발 페달이 하향 이동할 때 클러치와 함께 구동 휠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다음 사이클을 위해 발 페달이 상향 이동할 때 휠로부터 래칫 휠을 분리시킴으로써 구동 휠이 발 페달이 상향 이동할 때 관성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발 페달의 지속적 이동이 지속적으로 후방 휠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낭비되는 운동이 발생한다.
발판추진식 스쿠터들은 탑승자의 한 발이 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스쿠터 구동을 위해 다른 발이 지속적으로 발 페달과 결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한 발이 고정상태이고 다른 발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어색한 운동이 초래된다. 구동 휠의 지속적 구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또한 사용자가 구동 기구의 작동시 균형잡힌 운동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구동 기구를 갖는 스쿠터가 도 2 내지 7 및 2002년 2월 6일자로 공개된 중국 특허 제CN2475654Y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스쿠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발을 사용하여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구동휠에 힘을 가하면서 균형잡힌 형태로 탑승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스쿠터가 한 발을 지면과 결합시키고 스쿠터를 추진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스쿠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관련 목적 및 장점들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스쿠터는 사람의 발을 지면에 대해 추진하고 동시에 다른 발을 스쿠터 위에 올려두는 제1 위치 및 양 발을 스쿠터 상에 두고 로킹하는 제2 위치 양자 모두에서 전방으로 추진될 수 있다. 프레임은 제1 단부 부분 및 대향한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제1 휠은 프레임의 제1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휠은 프레임의 제2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랫폼은 사람의 한 발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단부 부분과, 사람의 다른 발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플랫폼은 전방 단부 부분과 후방 단부 부분 사이에서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발이 스쿠터를 추진하기 위해 지면과 결합하는 동안에 제1 위치의 플랫폼은 제1 발을 플랫폼 위에 수용하도록 플랫폼과 프레임 사이의 이동을 제한한다. 래칫 수단 및 제1 연결 수단이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 및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래칫 수단은 전방 단부 부분 및 후방 단부 부분을 이동시키는 양자 모두에 의해 플랫폼이 로킹될 때 전방 방향으로 스쿠터를 추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의 발을 사용하여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구동휠에 힘을 가하면서 균형잡힌 형태로 탑승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스쿠터가 한 발을 지면과 결합시키고 스쿠터를 추진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 스쿠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발 작동식 구동 기구를 갖는 종래 기술 스쿠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화살표들의 방향에서 본,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후방 휠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화살표들의 방향에서 본,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화살표들의 방향에서 본, 도 3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하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 2의 스쿠터를 위한 구동 기구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하며, 다만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상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구동 기구를 갖는 다른 종래 기술 스쿠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하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 8의 스쿠터의 구동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동일하며, 다만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상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구동 기구를 갖는 다른 종래 기술 스쿠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하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 11의 스쿠터를 위한 구동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동일하며, 다만, 발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상향 이동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소형화된 보관 및/또는 종래의 스쿠터로서의 사용을 위해 접혀져 있는 발 작동식 기구를 갖는 스쿠터의 양호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와 동일하며, 다만 종래의 방식으로의 스쿠터의 사용을 위해 프레임에 대해 하향 위치로 접혀져 있는 라커 플랫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핸들바아 스템을 직립 위치로 쇄정하기 위한 고정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 15의 화살표 16-16 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텔레스코픽 스템을 원하는 길이에서 해제가능하게 쇄정하기 위한 고정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 15의 화살표 17-17의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핸들바아를 도시하는 도 15의 화살표 18-18의 방향으로 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과 동일하며, 다만 좌측 핸들바아 부분 및 우측 핸들바아 부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와 동일하며, 다만 접혀진 상태의 좌측 핸들바아 부분 및 우측 핸들바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텔레스코픽 스템 커플링을 예시하는 도 17의 화살표들 21-21의 방향으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후방 브레이크 슈에 연결된 케이블과 브레이크 핸들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14의 스쿠터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24는 보관을 위한 접혀진 소형화된 위치에서의 도 14의 스쿠터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4의 직립 위치에서 스쿠터를 해제가능하게 쇄정하기 위한 쇄정 기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제,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 언어를 사용할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관련한 기술 분야에 대한 숙련자가 일반적으로 안출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예시된 장치에 대한 대안들 및 추가적 변경들과, 본 발명의 원리들의 추가적 응용들이 고려된다.
양 발을 그 위에 올린 사람을 위한 종래 기술 로커 추진식 스쿠터(20)는 함께 결합되면서 플랫폼(25)에 핀(24)에 의해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상향 연장 다리부들(22, 23)(도 2)을 갖는 프레임(21)을 포함한다. 프레임(21)의 전방 단부 부분(26)은 중공 실린더(27)에 일체로 부착되며, 이 중공 실린더를 통해 스템(28)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템(28)은 탑승자가 파지하기 위한 샌들바아(29)를 포함한다. 반전된 u 형상의 브래킷(30)이 스템(28)의 저부 단부에 일체로 장착되며, 축(32)에 의해 그에 장착되어 있는 전방 휠(31)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한다. 프레임(21)의 후방 단부 부분은 축(34)에 의해 부분(23)의 저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2 휠(33)을 갖는다.
로커 플랫폼(25)은 탑승자의 한 발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단부 부분(35)과 탑승자의 다른 발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 단부 부분(36)을 구비한다. 플랫폼은 단부 위치들(35, 36) 사이에서 등거리로 핀(24)에 의해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래칫 휠 수단(39)이 후방 휠(33)에 장착되고, 휠(33)의 대향 측부들에 장착된 한 쌍의 래칫들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수단(37)이 플랫폼(25)의 전방(35) 및 후방(36) 부분들에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후방 휠에 장착된 대향 래칫들과 결합함으로써, 플랫폼(25)이 전후로 로킹될 때 회전 구동 운동이 휠(33)에 부여되어 스쿠터를 전방으로 추진하게 된다. 풀리 휠(38)이 플랫폼(25) 아래의 프레임(21)에 장착되며, 연결 수단(37)을 하나의 래칫으로부터 다른 래칫으로 안내하고, 연결 수단 내의 인장력을 유지한다.
래칫 휠 수단(39)(도 3)은 휠(33)의 대향 측부들에 장착된 한 쌍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래칫들(40, 41)(도 3)로 구성되고, 휠(33)의 대향 측부들은 순차적으로 축(3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래칫(40, 4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휠을 구동하도록 동작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휠로부터 분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래칫 휠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쪽 래칫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휠이 회전하게 되어 스쿠터에 전방 이동을 부여한다. 대안적으로, 두 래칫 휠들의 회전을 반전시킴으로써 지속적인 회전력이 휠에 인가된다.
래칫 휠 수단(39)은 스쿠터의 후방 휠(33)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허브(42)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좌측 래칫(40)과 우측 래칫(41)을 포함한다. 허브(42)는 축(34)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허브(42)의 외부 대향 단부들은 리세스들 또는 외부 레이스들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내부 레이스들(57, 58)의 내향 지향 단부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허브(42)는 플랜지(43)의 내부 리세스 둘레로 연장하는 복수의 치형 리세스들(44)을 갖는 제1 링형 외향 연장 및 연속적 플랜지(43)(도 4)를 포함한다. 내부 레이스(57)는 플랜지(43)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디스크형 내향 지향 단부(45)를 갖는다. 단부(45)는 복수의 스프링 편의식 래칫들 또는 수지(手指)부들(46)을 구비하며, 이들은 치형 리세스들(44)과 결합하도록 외향 편의되어 있다. 수지부들(46) 및 리세스들(44)은 레이스(57)가 일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수지부들(46)이 리세스들(44)과 결합하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되도록 성형 및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향 래칫이 형성된다.
연결 수단(37)을 위해 와이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때, 와이어는 내부 레이스(57)의 외부 단부(48)와 내부 단부(45) 사이에 형성된 연속적 리세스(47) 상에 감겨진다. 다른 한편, 연결 수단(37)을 위해 와이어 대신 체인이 사용되는 경우, 이때, 리세스(47) 대신 스프로켓 치형부가 사용된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내부 레이스(48) 둘레를 감싸는 체인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한다. 각 경우에, 연결 수단을 위해 와이어가 사용되든 체인이 사용되든 무관하게 동일한 회전 동작이 달성된다. 유사하게, 허브(42)는 디스크형 내부 레이스(58) 내에 제공된 스프링 편의식 외향 연장 수지부들과 결합하도록 플랜지(49)의 리세스 내에 형성된 복수의 내향 연장 치형 리세스들을 갖는 외향 지향 단부(49)를 구비한다.
연결 수단(37)은 플랫폼(25)의 대향 단부들에 연결되고, 한 쌍의 내부 레이스들(57, 58) 둘레에 감겨진다. 도 6 및 도 7은 와이어로서의 연결 수단을 도시하며,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하향력을 받고 결과적으로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상향력을 받을 때를 예시한다. 도 7은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하고,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를 예시한다.
연결 수단 또는 와이어(37)는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35)에 고정 부착된 상단 단부(50)를 갖는다. 와이어는 프레임(21)의 아암(22)에 장착된 종래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휠(51) 둘레로 하향 연장한다. 그후, 와이어는 후방으로 이어지고, 여기서, 이는 시계 방향으로 래칫(41)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겨지고 플랫폼 아래에서 프레임(21)에 장착된 풀리 휠(41) 상으로 이어진다. 와이어는 다시 후방으로 이어지며, 여기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래칫(40) 둘레로 연장하고, 그후, 상방으로 연장하며, 와이어의 상단 단부(52)는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에 고정 부착된다.
사용시, 스쿠터의 탑승자는 한 발을 플랫폼(25)의 전방 단부 상에 배치하고, 다른 발을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 상에 배치하며, 핸들바아를 파지한다. 그후, 탑승자는 그 또는 그녀의 발을 상하로 이동시켜 플랫폼을 시소처럼 움직인다. 조작자가 그의 전방 발을 아래로 이동시킬 때 그의 후방 발이 올라오고, 플랫폼의 전방이 도 6 및 와이어(37)의 이동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하향력을 받으며,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은 상향 이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랫폼의 전방이 하향 이동할 때, 와이어(37)는 화살표(53)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후, 시계 방향으로 래칫(41)을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래칫(41)이 시계 방향(54)(도 5)으로 회전할 때, 외향 연장 스프링 편의식 치형부(59)는 축 허브 둘레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그에 의해, 리세스(64)와 쇄정(鎖錠) 결합하지 않게된다. 달리 말하면, 래칫(41)은 비구동 위치에 있다. 그후, 와이어(37)가 풀리 휠(38) 둘레로 전방으로 연장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래칫(40) 둘레로 후방으로 연장하여 래칫(40)이 또한 반시계 방향(55)(도 4 및 도 5)으로 회전하게 한다. 래칫의 외향 연장 치형부(46)는 리세스들(44)과 쇄정 결합함으로써 래칫(40)을 반시계 방향(55)으로 회전시켜 휠(33)이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쿠터를 전방 방향(56)(도 2)으로 추진하게 한다. 와이어(37)는 래칫(40)을 벗어나고,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 와이어가 부착되어 있는 후향 연장 플랫폼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진다.
플랫폼의 후방 단부가 하향력을 받을 때 반대의 작용이 일어나며,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이동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상방 부분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와이어(37)가 화살표(60) 방향으로 하향 이동할 때, 와이어는 시계 방향으로 래칫 휠(40) 둘레로 부분적으로 연장함으로써 래칫 휠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향 연장 치형부가 플랜지(43)의 리세스로부터 분리되고 래칫(4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후, 와이어(37)는 풀리(38) 둘레로 전방으로, 그리고, 래칫(41) 둘레로 후방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하향 연장 치형부는 플랜지(49)의 내향 형성된 치형 리세스들과 쇄정 결합됨으로써 화살표(61) 방향으로의 반시계방향 이동을 유발하여 휠(33)에 반시계방향 회전을 부여하게 한다. 와이어(37)는 전방으로 연장하고, 그후, 화살표(62)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함으로써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풀리 휠(38)은 풀리 휠 하우징(65)(도 2)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풀리 휠 하우징(65)은 순차적으로 프레임에 부착된 일 단부와 풀리 휠 하우징에 부착된 대향 단부를 구비한 나선형 스프링(66)에 의해 프레임(21)에 고정된다. 스프링은 보통 상태에서 풀리 휠(38)을 편향시켜, 대향 래칫들 사이의 와이어(31)에 인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스프링은 풀리 휠이 풀리 휠 둘레로 연장하는 체인 또는 와이어 상의 인장력을 이완시킬 수 있게 하도록 항복될 수 있다.
두 개의 종래 기술 스쿠터들이 도 8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한 쌍의 와이어들 또는 체인들이 후방 휠(33)에 장착된 후방 래칫들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풀리 휠(38)은 사용되지 않는다. 한 쌍의 휠들(51a, 51b)이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플랫폼(25)의 전방 단부 부분에 고정된 그 상단 단부들을 갖는 하향 연장 와이어들(37a, 37b)을 수용한다. 그후, 와이어들의 쌍은 후방으로 연장하고, 부분적으로 후방 휠(33)의 후방 단부 부분에 장착된 래칫들 둘레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며, 그후, 상방으로 연장되어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에 부착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와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를 예시한다. 따라서, 와이어들(37a, 37b)(도 9)은 플랫폼이 전방 단부가 하향 이동될 때 하방으로 이동하며, 양 와이어들은 휠들(51a, 51b) 둘레로 연장하고, 그후 후방으로 연장된다. 와이어 또는 체인(37a)은 래칫(41) 둘레로 시계 방향(80)(도 9)으로 연장하고, 그후,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으로 상향 연장한다. 유사하게, 와이어 또는 체인(37b)은 도 9에서 볼 때 래칫(40) 둘레로 반시계 방향(81)으로 연장하고, 그후 상향 연장한다. 따라서, 래칫(41)은 분리되고,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는 반면, 래칫(40)은 휠 허브(42)와 쇄정 결합되어 후방 휠(3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쿠터를 화살표(56)(도 2)의 전양 방향으로 추진하게 한다. 유사하게,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도 10), 와이어들(37a, 37b)은 래칫들의 둘레에서 화살표들(82)의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고 그에 의해 래칫(41)이 허브와 결합하게 하며 래칫(40)이 허브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후방 휠(3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추진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 쌍의 래칫들이 또한 스쿠터의 전방 휠(31)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과 핸들바아와 핸들바아 스템이 제공되지 않아서 탑승자가 핸들바아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로 스쿠터 상에서 균형을 잡아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8에 도시된 스쿠터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1의 스쿠터는 탑승자가 그 위에 서게 되는 플랫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해 예시 및 전술된 바와 같이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스케이트보드의 형상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3은 플랫폼의 전방 단부가 하향력을 받을 때 및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 와이어들 또는 체인들(37a, 37b)의 쌍의 이동을 각각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와이어들(37a, 37b)은 플랫폼(25)의 전방 단부 부분에 고정 부착된 상단 단부들을 갖는다. 래칫(90)은 후방 휠 상의 래칫 휠(41)의 구성 및 배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방 휠 상에 구성 및 배치된다. 유사하게, 래칫(91)은 후방 휠 상의 래칫(40)의 구성 및 배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방 휠 상에 구성 및 배치된다. 와이어(37a)는 래칫(90) 둘레에서 도 12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후 래칫(41)으로 후향 연장하며, 여기에서, 이는 역시 래칫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후 상방으로 연장하여 상단 단부가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에 고정된다. 와이어(37b)는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으로부터 하향 연장하고, 래칫(91) 상에서 도 12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둘레로 연장하며, 그후 반시계 방향으로 래칫(40) 둘레로 후향 연장하고, 상단 단부가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력을 받을 때, 와이어들(37a, 37b)은 래칫들(90, 91)의 둘레로 화살표들(93)의 방향으로 하향 이동한다. 그후, 와이어들은 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할 때 후방으로 래칫들(41, 40) 둘레로 연장하고,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으로 상향 연장한다. 래칫들(90, 41)은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 이동할 때 분리되는 반면, 래칫들(91, 40)은 휠들(31, 33)에 장착된 휠 허브들과 쇄정 결합하여 각 휠(31, 3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쿠터를 전방 방향(56)으로 추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반대도 가능하며, 이 경우,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의 하향 이동이 래칫들(40, 91)의 분리를 유발하고 래칫들(41, 90)의 결합을 유발하여 전방 휠(31) 및 후방 휠(3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역시 스쿠터를 전방으로 추진한다. 결과적으로, 스쿠터는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 이동하도록 플랫폼이 이동하는지 또는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향 이동하도록 플랫폼이 이동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된다. 유사하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이중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며, 여기서, 좌측 래칫들이 결합되고 우측 래칫들은 분리되는 경우 및 그 반대의 경우 양자 모두에서 플랫폼이 전후로 로킹할 때 전방 휠 및 후방 휠 상에 정방향 구동력을 제공한다.
스쿠터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스쿠터(100)는 인접한 단부들이 함께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후방 부분(102) 및 전방 부분(103)을 구비하는 프레임(101)을 포함한다. 핸들바아(106)는 텔레스코픽 스템의 상단 단부에 고정 장착되며, 스템(104)의 저부 단부는 반전된 u형 브래킷(107)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반전된 u형 브래킷(107)은 한 쌍의 하향 연장 아암들을 포함하고, 그들 사이에는 종래의 축(109) 및 축을 브래킷(107)의 하향 연장 다리부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구들에 의해 전방 휠(108)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반전된 u형 브래킷(107)은 중공 실린더(10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커플링(133)(도 14)에 의해 스템(104)의 대경 튜브(120)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상향 연장 관형 부분을 포함한다. 실린더(105)는 프레임(101)의 전방 부분(103)의 상향 연장 상단 단부(112)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저부 단부(111)를 갖는 후향 연장 다리부(110)를 포함한다. 후방 휠(113)은 프레임 후방 부분(102)의 상호대향된 단부들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핸들바아(106)는 스쿠터의 소형화 보관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핸들바아(106)는 좌측 핸들바아 부분(114)(도 18) 및 우측 핸들바아 부분(115)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스템(104)의 상단 단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상향 연장 아암들(116, 117)에 각각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좌측 핸들바아 부분(114)의 단부(118)(도 19)는 그 위에 외부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부(118)는 핸들바아들이 정렬되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종축을 따라 연장될 때 우측 핸들바아 부분(115)의 중공 내부 나사형 단부(11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핸들바아 부분(115)의 단부(119)는 단부(118)가 단부(119) 내로 삽입될 때 단부(119)가 단부들을 함께 풀거나 견고히 체결하도록 회전될 수 있도록 우측 핸들바아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최종 사용 위치에서, 단부(119)(도 18)는 우측 핸들바아 부분(115)에 좌측 핸들바아 부분(114)의 단부를 고정 체결하도록 회전된다. 단부(119)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좌측 핸들바아 부분과 우측 핸들바아 부분은 도 18의 위치로부터 도 19의 위치로 피봇할 수 있으며, 결국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104)에 대해 접혀진다.
스템(104)(도 14)은 소경 튜브(121)를 활주식으로 수용하는 대경 튜브(120)를 포함하여 텔레스코픽 구조를 제공한다. 대경 튜브(120)는 도면들에 분열된 채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튜브(120)는 단일 부재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경 튜브(121)의 상단 단부는 핸들바아(106)에 고정 체결된다. 커플링(122)이 대경 튜브(120)의 상단 단부에 고정 장착된다. 커플링(122)(도 21)은 클램프의 일 단부에 한 쌍의 이격된 아암들(124, 125)을 구비하는 클램프(123)를 포함하며, 아암들은 클램프의 대향 단부에서 일체로 함께 결합되어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소경 튜브(121)가 연장한다. 대경 튜브(120)의 상단 단부는 복수의 슬롯들(126)을 포함하고, 이 슬롯들은 튜브(120)의 길이를 따라 대략 1/2 in의 짧은 거리로 연장하여 튜브(120)가 클램프(123)가 폐쇄됨으로써 튜브(121)를 파지 하는 때에 규제할 수 있게 한다. 나사형 볼트(127)가 클램프의 단부들(124, 125)을 통해 연장하고, 클램프는 일 단부가 내부 나사 너트(128)와 나사 결합되고 대향 단부(129)가 그 위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핸들(130)을 가지며, 이 핸들(130)은 도 21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피봇되어 단부들(124, 125)이 분리되고 내부 튜브(121)가 그후 튜브(120)에 대해 활주식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핸들바아들을 탑승자를 위한 적합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종방향 연장 홈(131)(도 17)은 수지부 또는 돌출부(132)(도 21)를 수용하도록 내부 튜브(121)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이 수지부 또는 돌출부는 클램프(123)와 일체로 형성되어 튜브(120)를 통해 연장함으로써, 튜브(121)가 튜브(12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증하여, 핸들바아들을 스템과 정렬된 상태로 유지한다.
프레임의 전방 단부(103)의 상향 전향 단부(112)는 일체로 결합된 디스크형 단부(135)(도 16)를 포함하는 반면, 다리부(110)의 저부 단부(111)는 그에 일체로 결합된 디스크형 단부(134)를 포함한다. 단부들(134, 135)은 서로 대면한 표면들을 가지며, 그 사이에는 종래의 마찰 와셔(136)가 배치된다. 볼트(137)는 단부들(134, 135)을 통해 연장하고, 그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핸들(138)을 갖는다. 핸들(138)의 내부 단부는 캠 형상이며, 그래서, 핸들이 단부(135)에 대해 표면 일치 상태로 위치되었을 때, 단부들(134, 135)이 함께 당겨지는 반면, 핸들이 단부(135)로부터 수직으로 외향 연장하는 상태에서, 단부들(134, 135)은 이격방향 이동이 허용되고, 그에 의해, 다리부(110)가 연결된 스템 및 전방 휠과 함께 로커 플랫폼(140)(도 24)을 향해 하향 피봇될 수 있게 한다.
로커 플랫폼(140)(도 23)은 제1 단부(142)가 플랫폼(140)의 전방부(143)의 저부에 체결되고 대향 단부(144)가 플랫폼의 후방부(145)의 저부에 체결되어 있는 롤러 체인(141)을 구비한다. 한 쌍의 스프로켓들(146, 147)이 후방 휠(113)의 대향 측부들에 장착되고, 후방 휠은 순차적으로 축(14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축(148)은 프레임의 후방 부분(102)(도 14)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격된 다리부들(149, 150)에 장착된다. 래칫들(146, 147)은 전술한 래칫들(40, 41)과 동일하다. 각 래칫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후방 휠을 구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분리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래칫 휠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른 래칫 휠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휠(113)은 스쿠터에 전향 이동을 부여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래칫 휠들의 회전을 반전시킴으로써, 지속적 회전력이 휠에 인가된다.
래칫 휠들(146, 147)은 스쿠터의 후방 휠에 고정 부착된 허브에 의해 이격된다. 허브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허브의 외부 대향 단부들은 리세스들 또는 외부 레이스들을 형성하며, 종래 기술 래칫들 및 허브들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이들 내로, 내부 레이스들의 내향 지향 단부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래칫들(146, 147)은 래칫들(40, 41) 둘레로 연장할 수 있는 케이블에 대비하여, 스프로켓들(146, 147)이 롤러 체인(141)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복수의 반경방향 외향 연장 치형부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종래 기술 스쿠터를 위해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 쌍의 이격된 휠들(150, 151)은 로켓 플랫폼(140) 아래에 현수된 브래킷(15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선형 스프링(153)은 일 단부(154)가 브래킷(152)에 부착되고, 나선형 스프링의 대향 단부(155)는 바아(156)에 고정 장착되며, 이 바아는 순차적으로 스쿠터 프레임(101)의 전방 단부(103)의 저부면에 고정 장착된다.
하부 체인(141)은 래칫 휠(146)로 후향 연장한다. 롤러 체인은 래칫 휠(146) 둘레로 대략 180도 연장하며, 그후, 휠(150) 둘레로 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휠(150)은 롤러 체인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복수의 외향 연장 반경방향 치형부를 구비한다. 롤러 체인은 휠(150) 둘레로 대략 90도 연장하며, 그에 의해, 롤러 체인을 로커 플랫폼의 저부를 가로질러 안내하여 휠(151)의 외향 연장 반경방향 치형부와 결합시킨다. 체인은 휠(151) 둘레로 대략 90도 연장하며, 그후, 래칫 휠(147)로 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후, 체인은 래칫 휠(147) 둘레로 대략 90도 연장하며, 로커 플랫폼(140)의 후방부(145)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하여 로커 플랫폼(140)에 부착된다. 따라서, 로커 플랫폼과 롤러 체인은 단일 풀리 휠(38)이 한 쌍의 휠들(150, 151)로 대체되고 도 6의 풀리 휠들이 체인과 결합하도록 외향 연장 반경방향 치형부를 갖는 휠들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면 도 6 및 도 7의 개략도들의 종래 기술 스쿠터를 위해 예시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로킹 및 구동 작용들을 제공한다.
래칫 휠들(146, 147)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휠들(150, 151)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체인이 모든 네 개의 휠들과 결합하도록 롤러 체인을 재배향할 필요가 있다. 롤러 체인(141)은 함께 결합된 세 개의 별개의 롤러 체인들을 구비하며, 제1 롤러 체인 섹션(160)은 단부(142)로부터 후방으로 래칫 휠(146) 둘레로 연동부(161)까지 연장하고, 여기서, 제1 롤러 체인 섹션은 휠들(150, 151)과 결합하도록 제2 롤러 체인 섹션(162)에 대해 연동부(161)에 의해 결합된다. 롤러 체인 섹션(162은 래칫 휠들(150, 151) 둘레로 연동부(163)까지 연장하며, 여기서 롤러 체인 섹션(162)은 제3 롤러 체인(164)에 결합된다. 롤러 체인 섹션들(164, 160)은 중간 롤러 체인(162)에 관하여 90도로 배향되며, 스프로켓들(146, 147)의 치형부가 롤러 체인 섹션(160, 164)을 통해 자유롭게 연장하고 휠들(150, 151)의 외향 연장 반경방향 치형부가 롤러 체인 섹션(162)을 통해 자유롭게 연장한다.
스프링(153)(도 23)은 스쿠터가 지지면 위의 포석(pavement) 또는 돌들 내의 구멍들 같은 불규칙 지지면과 조우할 때 충격 흡수 작용을 제공한다. 프레임(101)의 전방 단부(103) 및 후방 단부(102)는 그 상단 단부들에서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전방 단부가 후방 단부에 관해 피봇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프링(153)이 롤러 체인 내에서 이완을 점유하거나 롤러 체인이 프레임의 피봇 동작을 수용하도록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전방 단부 부분(103)의 후방 단부(175)는 로드(170)(도 1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한 쌍의 이격된 부재들(149, 150)(도 23)로 구성된 후방 단부 부분(102)은 동일한 로드(170)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그 전방 단부들(173)을 구비한다. 로드들(170)의 대향 단부들(171, 172)은 로킹가능한 플랫폼(140)에 고정 장착된다.
플랫폼(140)은 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2)을 형성하는 부재들(149, 150)의 쌍의 상단 또는 전방 단부들(173)이 로드(170)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는 것을 예시하기 위해 도 14에 파단되어 있다. 프레임의 전방 단부 부분(103)의 상단 단부(175)는 부재들(149, 150)의 상단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어 프레임의 전방 단부 부분(103) 및 프레임의 후방 단부 부분(102)이 거친 도로와 조우한 스쿠터에 의한 요구에 따라 로드(170)를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게 한다. 로킹가능한 플랫폼(140)은 로드(170)에 고정 장착되며, 프레임(101)에 대해 로드와 함께 피봇할 수 있게 된다.
스쿠터는 세 가지 별개의 위치들을 갖는다. 제1 위치에서, 로킹가능한 플랫폼(140)은 스템 및 핸들바아들이 직립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부 위치에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발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의 전방 단부에 한 발을 올리고 다른 발 공간을 형성하는 플랫폼의 후방 단부 위에 두 번째 발을 올린 상태로 플랫폼 위에 양 발을 올릴 수 있다. 이때, 플랫폼은 종래 기술 스쿠터들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될 수 있어서,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하향 이동하고 플랫폼의 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할 때 및 플랫폼의 후방 부분이 하향 이동하고 플랫폼의 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하는 양자 모두의 경우에 스쿠터가 전방으로 추진될 수 있게 한다. 이런 작용은 도 6 및 도 7의 개략도로 예시된 종래 기술의 스쿠터를 위해 설명된 작용과 동일하다.
스쿠터는 제2 위치, 즉, 도 15에 도시된 종래의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모드에서, 플랫폼(140)은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의 단부(175) 및 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2)의 단부(173)를 하향 피봇시킴으로써 프레임(101) 위에 접혀지게 된다. 프레임 부분들(102, 103) 양자 모두는 로드(170)를 중심으로 함께 연결되며 피봇가능하다.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이 하향 피봇될 때, 스템(104)과 핸들바아들도 후방으로 피봇되며, 그 이유는 커플링(160)이 쇄정된 고정 위치에 있는 경우 다리부(110) 및 중공 실린더(105)가 일반적으로 프레임 부분(103)의 단부(112)에 관하여 쇄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템(120)은 도 14의 위치로부터 도 15의 위치로 미소하게 경사진다. 동시에, 나선형 스프링(153)은 체인이 후방 휠(113)에 관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플랫폼(140)은 대체로 수평 위치를 취함으로써 사람이 한 발을 플랫폼 위에 두고 다른 발을 지면에 대해 결시키고 밀어서 일반적 형태로 스쿠터를 추진할 수 있게 한다.
해제가능한 쇄정부(165)(도 14)는 상부 위치에서 플랫폼(140)을 분리가능하게 쇄정하도록 동작한다. 쇄정부(165)(도 25)는 후방 프레임 부분(102)의 일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중공 실린더(166)(도 25)를 포함하며, 확장형 단부(171)를 갖는 연장가능한 로드(167)를 구비한다. 확장형 단부(171)는 리세스 또는 절결부(199)를 포함한다. 단부(171)는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에 브래킷들(198)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단부(169)를 구비하는 튜브(168)에 의해 활주식으로 수용된다. 제거가능한 핀(165)이 튜브(168)에 장착되고, 정상 상태에서 단부(171)를 튜브(168)에 대해 쇄정하여 단부(171)의 튜브(168) 내로의 추가 연장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스쿠터는 상부 위치에서 쇄정되고, 여기서 플랫폼은 스쿠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플랫폼이 전후로 요동할 수 있게 한다. 핀(165)이 제거되고 나면, 핀은 더 이상 단부(171)의 절결부(199)와 접촉하지 않음으로 단부(171)가 튜브(168) 내로 추가로 연장할 수 있게 하며, 그에 의해, 후방 휠이 추가로 전방 휠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스템(104)과 핸들바아들이 도 14의 위치에 비해 후방으로 미소하게 더 많이 경사지게 됨에 따라 스프링(153)은 길이가 연장되어 체인(141)의 후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후방 단부 부분(102)이 전방 프레임 부분(103)과 정렬되도록 하향 피봇될 수 있게 한다.
스쿠터의 제3 위치가 도 24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는 보관 목적을 위해 스쿠터가 취하게되는 위치이다. 좌측 핸들바아 및 우측 핸들바아는 도 20에 예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템에 대해 접혀진다. 커플링(122)은 해제되어 대경 튜브(120) 내로의 소경 스템 튜브(121)의 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커플링(160)이 해제되어 다리부(110) 및 스템(104)이 도 15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핸들바아들과 스템이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위에 배치될때까지 피봇될 수 있게 한다. 이 위치에서, 전방 휠(108)은 상부 위치를 취한다.
스쿠터(100)는 도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 핸들바아 부분에 장착된 종래의 핸드 브레이크(180)(도 2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는 하방으로, 그리고, 그후 구멍(미도시)을 통해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으로 연장하는 케이블(181)에 연결된 압착가능한 핸들을 포함하며, 이 케이블은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의 중공 내부를 통해 연장하고, 케이블은 그후 구멍(182)(도 23)을 통해 전방 단부 프레임 부분(103)의 후미 단부에서 빠져나온다. 케이블은 종결되고 휠 허브(188) 둘레에서 감싸듯이 연장하는 브레이크 슈(187)의 상부 자유 단부(190)에 부착된다. 케이블의 외부 외피는 후방 프레임 부분(102)에 브래킷(189)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브레이크 슈(187)의 대향 단부(186)는 프레임 부재(102)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핸들(180)을 압착함으로써, 케이블은 후퇴되게 되어 단부(190)를 당기고 브레이크 슈(187)를 휠 허브에 대해 밀어붙임으로써 제동 작용을 제공한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단지 양호한 실시예가 예시 및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얻어지는 모든 변경들 및 변형들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6)

  1. 제2 발을 스쿠터 위에 올려두고 사람의 제1 발을 지면에 대해 미는 제1 위치와, 제1 발 및 제2 발을 스쿠터 위에 올리고 로킹하는 제2 위치 양자 모두에서 전방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는 사람을 위한 스쿠터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휠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 휠과,
    스쿠터에 탑승한 사람의 제1 발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단부 부분과 사람의 제2 발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플랫폼으로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전방 단부 부분과 상기 후방 단부 부분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발을 상기 플랫폼 위에 수용하고 상기 제2 발이 지면과 결합하여 스쿠터를 추진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에 대한 제1 위치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적소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킹되어 상기 제1 발 및 상기 제2 발 양자 모두를 그 위에 수용하고 상기 플랫폼을 로킹하여 상기 스쿠터를 추진하도록 그 사이에서 로킹 운동을 허용하는 제2 위치를 가지는, 플랫폼과,
    래칫 수단과,
    상기 플랫폼의 상기 래칫 수단 및 상기 플랫폼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과 상기 플랫폼의 상기 후방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부 부분을 상향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후방 단부 부분을 상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플랫폼이 로킹될 때 상기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추진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제1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스쿠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 수단은
    상기 제2 휠에 장착된 제1 래칫과,
    상기 제2 휠에 장착된 제2 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제1 래칫 및 상기 제2 래칫과 결합되고, 상기 제2 휠을 회전시켜 상기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추진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스쿠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 및 상기 제2 래칫은 후방 휠인 상기 제2 휠의 대향 측부들 상에 장착되는 스쿠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일 단부가 상기 플랫폼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에 부착되고 대향 단부가 상기 플랫폼의 상기 후방 단부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 체인이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래칫 둘레로, 그리고, 상기 제2 래칫 둘레로 상기 후방 단부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전방 단부 부분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래칫과 상기 제2 래칫을 서로 반대 방향들로 회전시키고, 그후, 상기 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할 때 상기 제1 래칫 및 상기 제2 래칫을 서로 반대 방향들로 추가로 회전시키는 스쿠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각각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좌측 핸들 바아 및 우측 핸들 바아를 포함하는 핸들 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핸들 바아 및 좌측 핸들 바아는 서로 인접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단부들을 가지지만, 상기 결합가능한 단부들이 이격될 때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접혀지도록 피봇될 수 있는 스쿠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함께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상기 제1 위치로 하향 피봇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상향 피봇되며,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상기 제2 위치에서 쇄정하고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해제될 수 있는 쇄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쿠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칫으로부터 상기 제2 래칫으로 상기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상의 회전가능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쿠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인 내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가능한 수단을 당기기 위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회전가능한 수단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스쿠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 수단은
    상기 제2 휠에 장착된 제1 래칫과,
    상기 제2 휠에 장착된 제2 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플랫폼의 상기 전방 단부 부분과 상기 플랫폼의 상기 후방 단부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며 그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래칫과 결합되어 상기 플랫폼의 상기 전방 부분이 상향 이동할 때 상기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추진하도록 상기 제1 래칫 및 상기 제2 휠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플랫폼의 상기 후방 단부 부분이 상향 이동할 때 상기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래칫 및 상기 제2 휠을 회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는 제2 래칫과 결합되는 스쿠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보관을 위해 소형화되도록 그에 대해 하방으로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텔레스코픽 구성된 상향 연장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상향 연장 스템은 보관을 위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스템은 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제1 휠을 구비하고 상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단부에는 좌측 핸들 바아 및 우측 핸들 바아가 각각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좌측 핸들 바아 및 상기 우측 핸들 바아는 서로 인접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서로 인접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단부들은 소형화된 보관을 위해 상기 단부들이 이격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템에 대해 접혀지도록 피봇될 수 있고, 상기 스템은 사용시의 쇄정될 수 있는 상부 위치와 소형화된 보관을 위해 상기 플랫폼에 대한 하향 소형화 위치를 갖도록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쿠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스쿠터를 탑승하는 사람을 수용하도록 상기 쇄정가능한 상부 위치와 하향 소형화 위치 사이의 위치로 조절될 수 있는 스쿠터.
  12. 스쿠터에 있어서,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1 휠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2 휠과,
    상기 스쿠터를 탑승하는 사람의 발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발 공간과, 상기 사람의 다른 발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2 발 공간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제2 휠이 그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2 휠에 장착된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래칫 휠들로서, 상기 래칫 휠들 각각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휠과 구동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휠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쿠터를 전방 방향으로 추진시키는,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래칫 휠들과,
    상기 제1 발 공간이 이동할 때 하나의 래칫 휠만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발 공간 및 상기 래칫 휠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발 공간이 상기 제1 발 공간과 반대의 형태로 이동할 때 다른 래칫 휠만을 구동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발 공간 및 다른 래칫 휠에 연결되어 상기 스쿠터를 중단되지 않게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쇄정가능한(lockable)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쿠터를 구동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를 로킹시키는 사람의 양 발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사람의 한 발을 수용하고 사람의 다른 발이 지면과 결합하여 스쿠터를 밀어서 상기 스쿠터를 추진하는 제2 위치를 갖는 스쿠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쿠터에 탑승한 사람의 양 발을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이고, 상기 플랫폼은 그 아래에 위치된 롤러 체인인 상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체인은 상기 플랫폼 상에서 전방에 위치된 상기 제1 발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래칫 휠들 중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래칫 휠들 중 나머지로 연장하며, 그후, 상기 플랫폼 상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제2 발 공간으로 연장하는 스쿠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한 쌍의 스프로켓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들은 상기 플랫폼에 장착되며, 상기 래칫 휠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스프로켓들로 연장하고 그후 상기 래칫 휠들 중 나머지로 연장하는 상기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로켓들은 상기 플랫폼 상에서 스프링 편의되어 상기 래칫 휠들 사이에서 상기 체인 내의 인장력을 유지하는 스쿠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휠은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며, 상단 단부에 접혀질 수 있는 핸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향 연장 텔레스코픽 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프레임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소형화된 보관을 위해 그 위에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휠은 상기 스템 아래에서 상기 플랫폼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쿠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래칫 휠들은 상기 제2 발 공간이 상향 이동하고 상기 제1 발 공간이 하향 이동할 때 및 상기 제2 발 공간이 하향 이동하고 상기 제1 발 공간이 상향 이동할 때 양자 모두의 경우에 상기 제2 휠이 전방으로 추진되도록 상기 체인 및 상기 제2 휠에 관해 배치 및 배열되는 스쿠터.
KR2020117000026U 2009-01-26 2009-08-07 로커 추진식 스쿠터 KR2004603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59,350 2009-01-26
US12/359,350 US7914027B2 (en) 2009-01-26 2009-01-26 Rocker propelled scooter
PCT/US2009/053093 WO2010085283A1 (en) 2009-01-26 2009-08-07 Rocker propelled scoo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65U true KR20110009565U (ko) 2011-10-07
KR200460356Y1 KR200460356Y1 (ko) 2012-05-21

Family

ID=4235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7000026U KR200460356Y1 (ko) 2009-01-26 2009-08-07 로커 추진식 스쿠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14027B2 (ko)
EP (1) EP2389309B2 (ko)
JP (1) JP3174087U (ko)
KR (1) KR200460356Y1 (ko)
AU (1) AU2009338135B2 (ko)
DK (1) DK2389309T4 (ko)
PT (1) PT2389309E (ko)
TW (1) TWI433794B (ko)
WO (1) WO20100852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77B1 (ko) * 2012-10-08 2013-10-17 주식회사 오정기계 자전거 전진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2488B1 (en) * 2005-03-07 2010-07-21 KB Seiren, Ltd. Normal pressure cation dyeable polyester, textile product made from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US7914027B2 (en) 2009-01-26 2011-03-29 M.Y. Products, Llc Rocker propelled scooter
TWM373326U (en) * 2009-05-07 2010-02-01 Hsin Lung Accessories Co Ltd Improved kick scooter driving structure
US20120248731A1 (en) * 2011-04-01 2012-10-04 Tianfu Li Wheeled vehicle
US9321508B2 (en) * 2011-04-12 2016-04-26 Dror Meiri Pedaling scooter device
ITMI20112119A1 (it) * 2011-11-22 2013-05-23 Dmgmilano Snc Di Lambrughi E Tremol Ada Mezzo di trasporto non a motore
US8944452B1 (en) * 2013-03-14 2015-02-03 Zike, Llc Non-motorized scooter
US9708029B2 (en) 2014-05-30 2017-07-18 Adelino F. Pastilha Stepper exercise scooter
CN104787198A (zh) * 2015-04-20 2015-07-22 罗梓珊 一种带有自动锁的折叠交通工具
CN105416496A (zh) * 2015-12-28 2016-03-23 宁波云飚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安全快拆装置的单链双传动滑板车
US10266228B2 (en) * 2016-06-24 2019-04-23 Easy2.Company B.V. Drive train for a treadle scooter
US10183718B2 (en) * 2016-10-07 2019-01-22 Greg Privitelli Modular frame for stand-up, motor-driven scooter
CN207089571U (zh) * 2017-06-05 2018-03-13 上海昶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双踏板驱动的滑板车
CN107697222B (zh) * 2017-09-01 2023-03-14 山东科技大学 一种采用弹簧动力的新型健身代步车
US10905939B2 (en) * 2017-11-28 2021-02-02 Yoshijiro MATSUI Skateboard driven with both feet
CN109774847B (zh) * 2018-12-07 2020-11-03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滑板车
CN110789647A (zh) * 2019-11-20 2020-02-14 上海昶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滑板车
CN211442624U (zh) * 2019-11-20 2020-09-08 上海昶意机械制造有限公司 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7969A (en) * 1915-07-20 1917-08-21 Harry Benwell Stocks Skee-cycle or scooter.
GB314185A (en) 1928-05-15 1929-06-27 John Henry Wyndha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ad scooters or other propelled vehicles
US2508189A (en) 1946-09-27 1950-05-16 Pierce Aldrid Scooter toy
US2723131A (en) 1953-07-06 1955-11-08 Jr Hervey B Mcchesney Pedal scooter
US3180656A (en) 1963-06-18 1965-04-27 Rolf J Gruenstein Scooter driving assembly
US3175844A (en) 1963-07-31 1965-03-30 Whitehouse George Treadle scooter
US3415540A (en) * 1966-11-10 1968-12-10 Ring Sidney B Occupant-propelled play vehicle
JPS5130033A (en) * 1974-09-04 1976-03-13 Honda Motor Co Ltd Sharyo no kudosochi
KR800000469B1 (ko) * 1975-09-18 1980-05-29 카와지마 기요시 유희용 탑승구
US4124222A (en) 1977-09-19 1978-11-07 Diker-Moe Associates Treadle scooter
KR800000046B1 (ko) 1978-05-04 1980-01-28 경주현 5'-뉴클레오타이드 함유액의 탈색방법
US4186934A (en) * 1978-09-27 1980-02-05 Collings Thomas J Scooter vehicle
US5192089A (en) * 1991-11-22 1993-03-09 Taylor Walter R Pedal-operated scooter
JP3349823B2 (ja) 1994-06-08 2002-11-25 有限会社ケイデザイン スケート
FR2807381A3 (fr) 2000-04-07 2001-10-12 Lien Chuan Yang Structure pliante d'une planche de roulement a poignee
DE20115012U1 (de) * 2000-09-11 2002-01-31 Schulz Andreas Muskelkraftbetriebenes Fahrzeug mit einer Wippe
US6419251B1 (en) * 2000-09-27 2002-07-16 Hung-Che Chueh Propelling scooter
US20030098566A1 (en) * 2001-05-01 2003-05-29 Christensen Donald J. Lever operated foot pump scooter
CN2475654Y (zh) 2001-05-26 2002-02-06 刘君 滑板车的驱动装置
US20040036249A1 (en) * 2002-06-01 2004-02-26 Mcguire Mark J. Pedal driven scooter
US6705630B1 (en) * 2002-08-23 2004-03-16 Alon Karpman Personal vehicle
GB2410226A (en) 2004-01-23 2005-07-27 Craig Schofield Vehicle with rocking platform
US20060038373A1 (en) * 2004-08-23 2006-02-23 Von Detten Volker Pedal scooter
US7044488B1 (en) * 2004-09-30 2006-05-16 Arone Hamend Scooter assembly
US7635136B2 (en) * 2005-06-21 2009-12-22 Jeffrey E. Cole Truck assembly for a skateboard, wheeled platform, or vehicle
CN2803904Y (zh) 2005-07-13 2006-08-09 黎泳沛 螺纹套筒限位弹簧防松旋转式可分拆折叠器
US7306249B2 (en) * 2005-09-13 2007-12-11 Wang-On Kwok Folding collapsible bicycle
KR200412875Y1 (ko) 2005-12-30 2006-04-04 김대성 스텝머신기능을 구비한 싱싱카
KR20080033026A (ko) * 2006-10-12 2008-04-16 김명호 점핑보드
KR200442639Y1 (ko) * 2007-04-27 2008-11-28 서길수 퀵 보드
CN100522734C (zh) 2007-08-10 2009-08-05 刘君 折叠车把
CN101161538B (zh) 2007-10-29 2010-08-25 宁波悦祥机械制造有限公司 折叠车架
CN100564147C (zh) 2008-01-23 2009-12-02 刘君 一种折叠车架
CN100556749C (zh) 2008-04-11 2009-11-04 刘君 折叠车架
CN101348155B (zh) * 2008-07-02 2011-07-06 庞明方 踏溜车
US7914027B2 (en) 2009-01-26 2011-03-29 M.Y. Products, Llc Rocker propelled scoo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77B1 (ko) * 2012-10-08 2013-10-17 주식회사 오정기계 자전거 전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3794B (zh) 2014-04-11
KR200460356Y1 (ko) 2012-05-21
EP2389309A4 (en) 2013-05-01
EP2389309B2 (en) 2018-11-28
US7914027B2 (en) 2011-03-29
AU2009338135A1 (en) 2011-09-22
EP2389309B1 (en) 2015-07-22
PT2389309E (pt) 2015-10-27
WO2010085283A1 (en) 2010-07-29
DK2389309T3 (en) 2015-11-09
JP3174087U (ja) 2012-03-08
US20100187790A1 (en) 2010-07-29
EP2389309A1 (en) 2011-11-30
DK2389309T4 (en) 2019-04-15
TW201028331A (en) 2010-08-01
AU2009338135B2 (en)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56Y1 (ko) 로커 추진식 스쿠터
US6485041B1 (en) Step-cycle for exercise, recreation, and transport
US9114848B2 (en) Pedal-drive system for manually propelling multi-wheeled cycles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8157280B2 (en) Manually powered drive mechanism with steering member and vehicle employing same
US6773022B2 (en) Step-cycle for exercise, recreation, and transport having telescopically movable pedals
US8286981B2 (en) Bicycle propulsion assembly having telescoping elongate members engageable through circular motion
US20100090435A1 (en) Arm and Leg Powered Vehicle
US20030098566A1 (en) Lever operated foot pump scooter
US7195264B2 (en) Manually powered vehicle having improved steering
US6764089B2 (en) Manually powered drive mechanism and vehicle employing same
WO2011157910A1 (fr) Appareil à propulsion musculaire
US8540264B1 (en) Stepper bike
KR10137402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EP0099358A1 (en) Improved operator powered vehicle
WO2017075113A1 (en) A driving and steering system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621707B1 (ko) 접이식 자전거형 퀵 보드
US20060022434A1 (en) Jogging stroller having capacity to be pedalled by a rider
CA2722284C (en) Bicycle propulsion assembly having telescoping elongate members engageable through circular motion
HU193007B (en) Steerable ice sl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