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49A - 보행형 작업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49A
KR20110008249A KR1020107025900A KR20107025900A KR20110008249A KR 20110008249 A KR20110008249 A KR 20110008249A KR 1020107025900 A KR1020107025900 A KR 1020107025900A KR 20107025900 A KR20107025900 A KR 20107025900A KR 20110008249 A KR20110008249 A KR 2011000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grip
handle
gas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510B1 (ko
Inventor
히데아키 고바야시
도모키 이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8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of the walk-behind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17C13/085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11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7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for transport
    • F17C2205/0165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for transport with handg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36Capsules,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에 봄베 수납부(카세트 가스 봄베) 및 캐리 핸들(carry handle)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작업기를 제공한다. 보행형 작업기(10)는, 작업기 본체(11)의 후방부(11a)로부터 후상방으로 세워지는 핸들 포스트(16)에, 상기 핸들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카세트 가스 봄베(21)가 설치되고,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21)의 연료로 가스 엔진(12)을 구동한다. 이 보행형 작업기는, 핸들 포스트에 마련되고, 카세트 가스 봄베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운반용의 캐리 핸들(2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리 핸들은 그립(45)을 갖는다.

Description

보행형 작업기{WALKING-TYP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를 따른 방향으로 카세트 가스 봄베가 마련되고, 이 카세트 가스 봄베의 연료로 가스 엔진을 구동하는 보행형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형 작업기 중에는,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핸들 포스트가 후상방으로 세워지고, 핸들 포스트의 외주벽 상부로부터 캐리 핸들(carry handle)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것이 있다. 캐리 핸들의 그립부를 손으로 잡아 보행형 작업기를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게 한 것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한편, 보행형 작업기 중에는, 작업기 본체에 가스 엔진이 탑재되고,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핸들 포스트가 후상방으로 세워지며, 핸들 포스트의 외주벽 상부에 봄베 수납부가 마련되고, 봄베 수납부에 카세트 가스 봄베가 수납된 가스 엔진 탑재형 작업기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의 캐리 핸들은, 핸들 포스트의 외주벽 상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가스 엔진 탑재형 작업기는, 핸들 포스트의 외주벽 상부에 봄베 수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캐리 핸들이나 봄베 수납부는, 모두 핸들 포스트의 외주벽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 엔진 탑재형 작업기의 핸들 포스트에, 캐리 핸들을 부착하는 경우, 봄베 수납부가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가스 엔진 탑재형 작업기의 핸들 포스트에, 봄베 수납부나 캐리 핸들 모두를 부착할 수 있는 작업기의 실용화가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22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10-131809호 공보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에 봄베 수납부(카세트 가스 봄베) 및 캐리 핸들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작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보행형 작업기로서, 작업기 본체와, 상기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후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핸들 포스트와, 상기 핸들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 포스트에 설치되는 카세트 가스 봄베와,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 내의 연료로 구동하는 가스 엔진과, 상기 핸들 포스트에 마련되고,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그립을 갖는 캐리 핸들을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그립을 파지함으로써, 보행형 작업기를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캐리 핸들을 카세트 가스 봄베를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핸들 포스트에 봄베 수납부 및 캐리 핸들 모두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운반용의 캐리 핸들을 카세트 가스 봄베를 둘러싸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봄베를 캐리 핸들로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 및 상기 캐리 핸들 사이에,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를 누르는 봄베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봄베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캐리 핸들에 봄베 커버를 접촉시켜, 봄베 커버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봄베 커버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봄베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은,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의 좌우의 측부측으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벌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좌우의 그립부를 갖는다.
여기서,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할 때에, 보행형 작업기의 좌우측에 선 두 사람이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할 수 있으면, 운반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형 작업기의 좌우측에 선 두 사람이 파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캐리 핸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그립에 좌우의 그립부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좌우의 그립부를 카세트 가스 봄베의 좌우의 측부측으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벌어지도록 연장시켰다. 따라서, 좌측 그립부와 우측 그립부 사이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확보했기 때문에, 보행형 작업기의 좌우측에 선 두 사람이 좌우의 그립부를 파지할 때에, 두 사람의 손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그립부를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좌측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하고, 우측 그립부를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우측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보행형 작업기의 좌측에 선 사람이 오른손으로 좌측 그립부를 파지할 때에, 오른손의 등이 좌측 그립부에 상응하게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좌측 그립부를 들어올리기 쉬운 상태로 오른손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보행형 작업기의 우측에 선 사람이 왼손으로 우측 그립부를 파지할 때에, 좌측에 선 사람과 마찬가지로, 왼손의 등을 우측 그립부에 상응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우측 그립부를 들어올리기 쉬운 상태로 왼손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형 작업기의 좌우측에 선 두 사람이, 좌우의 그립부를 각각 파지하기 쉬워져(잡기 쉬워져), 보행형 작업기를 둘이서 운반할 때의 운반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은, 상기 좌우의 그립부의 각각의 전단부(前端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중앙 그립부를 갖는다. 좌우의 그립부를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벌어지도록 연장시킴으로써, 좌우의 그립부의 전단부 사이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그립부의 길이 치수를 비교적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중앙 그립부가 파지하기 쉬워져(들어올리기 쉬워져), 보행형 작업기를 혼자서 운반할 때의 운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엔진 탑재형 작업기는, 핸들 포스트에, 봄베 수납부나 캐리 핸들 모두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작업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봄베 수납부 및 캐리 핸들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봄베 수납부 및 캐리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핸들 포스트로부터 봄베 수납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캐리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봄베 커버를 개방 위치로 유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캐리 핸들을 두 사람이 잡아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캐리 핸들을 혼자서 잡아 보행형 작업기를 운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행형 작업기로서 보행형 경운기를 예시하지만, 보행형 작업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보행형 작업기(10)는, 경운기 본체(작업기 본체)(11)의 상단부에 탑재된 가스 엔진(12)과, 가스 엔진(12)의 하방에 마련된 펜더(13)와, 펜더(13)의 하방에 경운축(14)을 통해 마련된 복수의 경운 클로(15)와, 경운기 본체(11)의 후방부(11a)에 설치되는 핸들 포스트(16)와, 핸들 포스트(16)에 마련된 조작 핸들(17)과, 핸들 포스트(16)에 마련된 봄베 수납부(봄베 유지부)(18)와, 봄베 수납부(18)에 수용된 카세트 가스 봄베(21)와, 핸들 포스트(16)에 마련된 캐리 핸들(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행형 작업기(10)는, 가스 엔진(12)을 카세트 가스 봄베(21)의 연료로 구동하고, 가스 엔진(12)의 동력을 경운축(14)에 전달하여, 경운축(14)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경운 클로(15)로 토양을 경운하면서, 작업자가 조작 핸들(17)을 잡은 상태로 주행하는 보행형 경운기이다.
가스 엔진(12)은, 카세트 가스 봄베(21)로부터 도출된 연료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구동하는 가스 엔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포스트(16)는,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후상방으로 세워지도록 연장된 통 형상 부재이다. 핸들 포스트(16)의 상단부(16a)에 좌우의 지지 브래킷(23)을 통해 조작 핸들(17)이 지지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16)의 상반부(25)에, 이 상반부(25)를 따른 방향으로 봄베 수납부(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핸들 포스트(16)의 대략 중앙 둘레벽부(26)에 운반용의 캐리 핸들(22)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핸들(17)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 조작 핸들(17)은, 하단부(17a)가 핸들 포스트(16)의 상단부(16a)에 좌우의 지지 브래킷(23)을 통해 부착되고, 좌우의 상단부(후단부)(17b)(도 1)에 각각 좌우의 그립(27, 28)(도 1)이 마련되어 있다.
봄베 수납부(18)는, 핸들 포스트(16)의 상반부(25)를 따른 방향으로 마련된 베이스(31)와, 베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봄베 커버(32)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31)는, 구금(口金)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금 지지부는, 카세트 가스 봄베(21)의 구금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카세트 가스 봄베(21)의 구금부를 구금 지지부에 부착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봄베(21)가 핸들 포스트(16)의 상반부(25)를 따른 방향으로 마련된다.
카세트 가스 봄베(21)는, 용기 본체(34) 내에, 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화 부탄(이하, 「액상의 연료 가스」라고 함)을 충전한 시판의 가스 봄베이다. 이 카세트 가스 봄베(2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34)의 구금부로부터 분사 노즐이 돌출되어 있다. 이 분사 노즐을 용기 본체(34)측으로 압입함으로써, 용기 본체(34) 내에 축적된 액상의 연료 가스를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 유로(35)로 도출한다.
봄베 커버(32)는, 카세트 가스 봄베(21) 및 캐리 핸들(22) 사이에 배치되고,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베이스(31)에 밀어붙일 수 있는 폐쇄 위치(P1)(도 2)와, 카세트 가스 봄베를 부착/분리할 수 있는 개방 위치(P2)(도 6 참조)로 회동 가능한 커버이다. 봄베 커버(32)는, 폐쇄 위치(P1)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반부(25)를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봄베 커버(32)는, 베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메인 커버(36)와, 메인 커버(36)의 선단부(36a)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브 커버(37)와, 서브 커버(37)에 마련된 걸림 폴(locking pawl; 38)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커버(3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폐쇄 위치(P1)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메인 커버(36)를 폐쇄 위치(P1)로 유지함으로써, 메인 커버(36)가 카세트 가스 봄베(21)에 접촉한다. 따라서, 메인 커버(36)로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단단히 누를 수 있다.
서브 커버(37)는, 메인 커버(36)의 선단부(36a)에 지지핀(41)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폐쇄 위치(P1)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서브 커버(37)를 폐쇄 위치(P1)로 유지함으로써, 서브 커버(37)가 카세트 가스 봄베(21)에 접촉한다. 따라서, 서브 커버(37)로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단단히 누를 수 있다.
한편, 메인 커버(36)를 메인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P2)(도 6)까지 개방하고, 또한 서브 커버(37)를 서브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P2)까지 개방한 상태에서 걸림 폴(38)이 캐리 핸들(2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가 개방 위치(P2)로 유지된다. 따라서,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를 개방했을 때에, 캐리 핸들(22)에 각 커버(36, 37)를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각 커버(36, 37)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함으로써,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캐리 핸들(22)에 걸림 폴(38)을 걸어 고정시키는 예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 핸들(22)은, 튜브(통체)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된 부재이다. 이 캐리 핸들(22)은, 핸들 포스트(16)의 대략 중앙 둘레벽부(26) 중, 좌우의 벽부위(26a, 26b)에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가 용접에 의해 각각 부착되고, 봄베 커버(32)의 상방에 그립(45)이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리 핸들(22)은, 좌우의 벽부위(26a, 26b)에 각각 마련된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와, 좌측 수평 베이스(43)에 마련된 좌측 다리부(46)와, 우측 수평 베이스(44)에 마련된 우측 다리부(47)와, 좌우의 다리부(46, 47)에 마련된 그립(45)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수평 베이스(43)는, 좌측 벽부위(26a)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좌측 수평 베이스(43)는, 봄베 수납부(18)의 하방에 위치하고, 외단부(43a)가 봄베 수납부(18)의 좌측부(18a)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수평 베이스(44)는, 좌측 수평 베이스(43)와 동축 상에, 우측 벽부위(26b)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우측 수평 베이스(44)는, 봄베 수납부(18)의 하방에 위치하고, 외단부(44a)가 봄베 수납부(18)의 우측부(18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다리부(46)는, 좌측 수평 베이스(43)의 외단부(43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좌측 다리부(46)는, 봄베 수납부(18) 중, 좌측부(18a)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다리부(47)는, 우측 수평 베이스(44)의 외단부(44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우측 다리부(47)는, 봄베 수납부(18) 중, 우측부(18b)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좌우의 다리부(46, 47)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립(45)은, 좌우의 다리부(46, 47)의 각 상단부(46a, 47a)에 마련되고,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45)은, 좌우의 다리부(46, 47)에 각각 마련된 좌우의 그립부(51, 52)와, 좌우의 그립부(51, 52) 사이에 마련된 중앙 그립부(53)를 갖고 있다.
좌측 그립부(51)는, 좌측 다리부(46)의 상단부(46a)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외측으로 경사져 있도록 경사각 θ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우측 그립부(52)는, 우측 다리부(47)의 상단부(47a)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외측으로 경사져 있도록 경사각 θ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그립부(51, 52)는, 좌우의 다리부(46, 47)의 상단부(46a, 47a)[즉, 카세트 가스 봄베(21)의 좌우의 측부(21a, 21b)측]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벌어지도록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즉, 좌우의 그립부(51, 52)는, 봄베 수납부(1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그립부(51)와 우측 그립부(52) 사이의 간격(L)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형 작업기(10)의 좌우측에 선 두 사람이 좌우의 그립부(51, 52)를 파지할 때에, 두 사람의 손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측 그립부(51)를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좌측 바깥쪽으로 경사각 θ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보행형 작업기(10)의 좌측에 선 사람이 오른손으로 좌측 그립부(51)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우측 그립부(52)를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우측 바깥쪽으로 경사각 θ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보행형 작업기(10)의 우측에 선 사람이 왼손으로 우측 그립부(52)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중앙 그립부(53)는, 좌측 그립부(51)의 전단부(51a) 및 우측 그립부(52)의 전단부(52a) 사이에 차폭 방향이 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중앙 그립부(53)는, 봄베 수납부(1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 그립부(53)는, 좌우의 그립부(51, 52)를 전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길이를, 간격(L)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그립부(53)의 길이 치수를 비교적 크게 확보함으로써, 중앙 그립부(53)를 쉽게 파지할 수 있다(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 핸들(22)은, 대략 중앙 둘레벽부(26)의 좌우의 벽부위(26a, 26b)에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가 각각 마련되고,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가 봄베 수납부(18)의 하방에 배치되며, 좌우의 다리부(46, 47)가 봄베 수납부(18)의 좌우의 측방에 배치되고, 그립(45)이 봄베 수납부(18)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리 핸들(22)은,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반용의 캐리 핸들(22)을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둘러싸도록 형성함으로써, 핸들 포스트(16)에 봄베 수납부(18) 및 캐리 핸들(22) 모두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반용의 캐리 핸들(22)에 파지 가능한 그립(45)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그립(45)을 파지함으로써, 보행형 작업기(10)를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게다가, 운반용의 캐리 핸들(22)은, 좌우의 수평 베이스(43, 44), 좌우의 다리부(46, 47), 좌우의 그립부(51, 52) 및 중앙 그립부(53)로 봄베 수납부(18)[즉,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캐리 핸들(22)로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행형 작업기(10)의 봄베 커버(32)를 개방 위치(P2)로 유지하는 예를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메인 커버(36)를 메인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P2)까지 개방하고, 서브 커버(37)를 서브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항하여 개방 위치(P2)까지 개방한다. 메인 커버(36)가 캐리 핸들(22)의 중앙 그립부(53)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커버(36)가 캐리 핸들(22)의 중앙 그립부(53)에 접촉했을 때에, 걸림 폴(38)의 선단부(38a)를 탄성 변형시켜 중앙 그립부(53)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를 개방 위치(P2)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36) 및 서브 커버(37)의 개방량을 적절하게 확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 가스 봄베(21)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걸림 폴(38)의 선단부(38a)에 의한 중앙 그립부(53)에의 걸림을 해제할 때에는, 서브 커버(37)를 지지핀(41)을 축으로 하여 개방 위치(P2)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걸림 폴(38)의 선단부(38a)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선단부(38a)가 중앙 그립부(53)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36)를 메인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으로 폐쇄 위치(P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보행형 작업기(10)를 캐리 핸들(22)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예를 도 7a 및 도 7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보행형 작업기(10)를 좌우측의 두 사람이 운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b는 보행형 작업기(10)를 혼자서 운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 그립부(51)와 우측 그립부(52) 사이의 간격(L)은 비교적 크게 확보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행형 작업기(10)의 좌측에 선 운반자(61)가 좌측 그립부(51)를 파지하고, 또한 보행형 작업기(10)의 우측에 선 운반자(62)가 우측 그립부(52)를 파지할 때에, 좌우의 운반자(61, 62)의 각각의 손(61a, 62a)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좌측 그립부(51)가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좌측 바깥쪽으로 경사각 θ로(도 5 참조) 경사져 있다. 좌측의 운반자(61)가 오른손(61a)으로 좌측 그립부(51)를 파지했을 때에, 오른손(61a)의 등(61b)이 좌측 그립부(51)에 상응하게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따라서, 오른손(61a)의 등(61b)이 옆으로 향한 경우[즉, 좌측 그립부(51)가 핸들 포스트(16)와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좌측 그립부(51)를 들어올리기 쉬운 상태로 오른손(61a)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의 운반자(61)가 오른손(61a)으로 좌측 그립부(51)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좌측 그립부(51)와 마찬가지로, 우측 그립부(52)가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우측 바깥쪽으로 경사각 θ로(도 5 참조) 경사져 있다. 우측의 운반자(62)가 왼손(62a)으로 우측 그립부(52)를 파지했을 때에, 왼손(62a)의 등(62b)이 우측 그립부(52)에 상응하게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따라서, 왼손(62a)의 등(62b)이 옆으로 향한 경우[즉, 우측 그립부(52)가 핸들 포스트(16)와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우측 그립부(52)를 들어올리기 쉬운 상태로 왼손(62a)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의 운반자(62)가 왼손(62a)으로 우측 그립부(52)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그립부(51, 52)가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각 θ로(도 5 참조) 경사져 있음으로써, 좌우측의 운반자(61, 62)가, 좌우의 그립부(51, 52)를 각각 파지하기 쉬워져(잡기 쉬워져), 보행형 작업기(10)(도 1)를 두 사람이 운반할 때의 운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b에서, 좌우의 그립부(51, 52)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중앙 그립부(53)의 길이 치수를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예컨대 좌측의 운반자(61)가 오른손(61a)으로 중앙 그립부(53)를 쉽게 파지할 수 있다(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형 작업기(10)(도 1)를 혼자서 운반할 때의 운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캐리 핸들(22), 봄베 커버(32), 그립(45), 좌측 그립부(51), 우측 그립부(52), 중앙 그립부(53) 등은 예시한 형상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를 따른 방향으로 카세트 가스 봄베가 마련되고, 이 카세트 가스 봄베의 연료로 가스 엔진을 구동하는 보행형 작업기에의 적용에 적합하다.
10: 보행형 작업기
11: 작업기 본체
11a: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
12: 가스 엔진
16: 핸들 포스트
21: 카세트 가스 봄베
21a, 21b: 카세트 가스 봄베의 좌우의 측부
22: 캐리 핸들
32: 봄베 커버
45: 그립
51: 좌측 그립부
52: 우측 그립부
53: 중앙 그립부

Claims (4)

  1. 작업기 본체(11)와,
    상기 작업기 본체의 후방부로부터 후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핸들 포스트(16)와,
    상기 핸들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 포스트에 설치되는 카세트 가스 봄베(21)와,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 내의 연료로 구동하는 가스 엔진(12)과,
    상기 핸들 포스트에 마련되고,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그립(45)을 갖는 캐리 핸들(carry handle; 22)
    을 포함하는 보행형 작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 및 상기 캐리 핸들 사이에,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를 누르는 봄베 커버(32)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인 보행형 작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45)은, 상기 카세트 가스 봄베의 좌우의 측부측으로부터 작업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벌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좌우의 그립부(51, 52)를 갖는 것인 보행형 작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45)은, 상기 좌우의 그립부(51, 52)의 각각의 전단부(51a, 52a)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중앙 그립부(53)를 갖는 것인 보행형 작업기.
KR1020107025900A 2008-05-07 2009-04-03 보행형 작업기 KR10118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1192A JP4951584B2 (ja) 2008-05-07 2008-05-07 歩行型作業機
JPJP-P-2008-121192 2008-05-07
PCT/JP2009/056955 WO2009136527A1 (ja) 2008-05-07 2009-04-03 歩行型作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49A true KR20110008249A (ko) 2011-01-26
KR101184510B1 KR101184510B1 (ko) 2012-09-19

Family

ID=4126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00A KR101184510B1 (ko) 2008-05-07 2009-04-03 보행형 작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91659B2 (ko)
EP (1) EP2277366B1 (ko)
JP (1) JP4951584B2 (ko)
KR (1) KR101184510B1 (ko)
CN (1) CN102014606B (ko)
ES (1) ES2399316T3 (ko)
WO (1) WO20091365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2-01-20 이범규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237B2 (ja) * 2008-11-26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セットガスボンベ取付構造
US9167737B2 (en) * 2013-05-22 2015-10-27 Carts & Tools Technology, Inc. Garden im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66203A (ko) * 1964-06-30
US3452460A (en) * 1966-10-31 1969-07-01 Roper Corp Impeller for rotary snow removal apparatus
US4255880A (en) * 1979-06-25 1981-03-17 Berkley And Company, Inc. Portable rotary snow thrower
US5603173A (en) * 1994-01-28 1997-02-18 Ryobi Outdoor Products Inc. Snow thrower
US5735064A (en) * 1996-05-21 1998-04-07 Holl; Trygve A. Operational control mechanism
US5771582A (en) * 1996-07-26 1998-06-30 Wci Outdoor Products, Inc. Apparatus for carrying spare line spool on flexible line trimmer
JPH10131809A (ja) * 1996-10-30 1998-05-19 Honda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及びガスエンジン作業機
US5850882A (en) * 1997-03-28 1998-12-22 Link; Cletus H. Garden power tool
JPH11170876A (ja) * 1997-12-12 1999-06-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管理機
JPH11243701A (ja) * 1998-03-04 1999-09-14 Nikkari Co Ltd 土壌管理機
JP2001322572A (ja) 2000-05-17 2001-11-2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歩行型移動農機
CA2351863C (en) * 2000-07-12 2005-08-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now removing machine
JP2002272202A (ja) 2001-03-16 2002-09-24 Iseki & Co Ltd 車軸型ロータリ耕耘機
JP4556370B2 (ja) 2001-09-19 2010-10-06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耕耘装置
JP2003225001A (ja) * 2003-01-30 2003-08-12 Iseki & Co Ltd 歩行型耕耘装置
JP2007097442A (ja) 2005-09-30 2007-04-19 Iseki & Co Ltd 歩行型耕耘機
JP4700516B2 (ja) 2006-02-21 2011-06-15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CN1914984B (zh) * 2006-09-01 2010-04-07 中国农业大学 新型燃料电池草坪机
US7926599B2 (en) * 2008-06-23 2011-04-19 Meydrive, Llc Motorized barrel ca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68Y1 (ko) 2018-06-18 2019-10-21 이범규 보행형 작업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2353595B1 (ko) 2021-06-09 2022-01-20 이범규 직접 기어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작업하는 보행형 작업기의 방향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6527A1 (ja) 2009-11-12
US20110048818A1 (en) 2011-03-03
EP2277366B1 (en) 2012-11-28
EP2277366A1 (en) 2011-01-26
JP4951584B2 (ja) 2012-06-13
KR101184510B1 (ko) 2012-09-19
EP2277366A4 (en) 2011-06-08
ES2399316T3 (es) 2013-03-27
US8191659B2 (en) 2012-06-05
JP2009268401A (ja) 2009-11-19
CN102014606A (zh) 2011-04-13
CN102014606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271B2 (ja) チェーンソー
KR101184510B1 (ko) 보행형 작업기
EP2340916B1 (en) Handheld electric power tool
US20180304454A1 (en) Electrical device
CN108064575A (zh) 带有切割配件的手持式可携带切割装置
US6722549B2 (en) Arm member for fastener driving tool
JP2021077506A (ja) ポータブルライト
JP2010064227A (ja) 電動工具収納ケース
US20170072258A1 (en) Hand held exercising device
US6565381B1 (en) Portable booster battery device
JP2010100185A (ja) 簡易噴霧車における操作ハンドル
JP4403192B2 (ja) 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のガスボンベ保持構造
JP2010024987A (ja) 可搬式作業機
JP2006015208A (ja) 背負式噴霧装置
JP2009127488A (ja) ガスエンジン搭載型作業機
WO2009105097A1 (en) Portable kit box for torch equipment
KR20080006301A (ko) 예취기용 보조 장치
JP4031934B2 (ja) 管理機
JP5363210B2 (ja) 背負動力噴霧機
JP7469900B2 (ja) 作業用機器
JP7334999B2 (ja) スティック型の清掃具
KR970002311Y1 (ko) 골프백
JP5791880B2 (ja) 歩行型耕耘機
JP3877596B2 (ja) 管理機
JP2019209581A (ja) チェンソ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