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747U -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747U
KR20110007747U KR2020100013535U KR20100013535U KR20110007747U KR 20110007747 U KR20110007747 U KR 20110007747U KR 2020100013535 U KR2020100013535 U KR 2020100013535U KR 20100013535 U KR20100013535 U KR 20100013535U KR 20110007747 U KR20110007747 U KR 201100077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riving
brake
driving whee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젠 우
Original Assignee
롱-젠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젠 우 filed Critical 롱-젠 우
Priority to KR2020100013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747U/ko
Publication of KR20110007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61G5/1016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on the 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프레임 양측에 장착된 구동휠의 회전축 부위에는 구동 로드가 각각 한 개씩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 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구동휠의 모서리 부위에 이어져 있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구동휠과 대응하는 위치에 브레이크 모듈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는 핸드 브레이크을 통하여 상기 구동휠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을 수행하며, 이에 의하여 이용자는 두 손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듈가 상기 구동휠을 풀 때, 상기 구동 로드를 전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핸드 브레이크가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휠을 조여 고정시킬 때, 앞뒤로 조작하여 상기 구동 로드가 상기 구동휠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이동에 따른 제어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하고 우수한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체력의 소모를 줄이고 안전성의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IMPROVED WHEELCHAIR DRIVING APPARATUS}
본 고안은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이 간단하고, 이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휠체어의 이동에 따른 제어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며, 청결 유지, 체력 소모 절감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휠체어에 대한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 휠체어는 의자 프레임(10), 이 의자 프레임(10)의 양측 후단에 각각 장착된 구동휠(20), 이 의자 프레임(10)의 양측 전단에 각각 장착되며 구동휠(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보조휠(30) 및 구동휠의 프레임을 따라 좌우의 구동휠(20)의 외측 상에 각각 장착된 구동링(40)을 구비한다. 이용 시, 직접 좌우 구동 휠들을 굴리기 위해서 양손으로 구동링(40)을 앞뒤로 밀고 끌어당길 수 있도록, 의자 프레임(10)에 앉아 있는 이용자가 두 발을 발판부(11) 위에 올려놓고 양손으로 구동 링(40)들을 잡는다. 좌우 보조 휠(30)들의 보조로 인해, 휠체어는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방향 전환할 수 있다. 휠체어를 작동하고 제어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 종래의 휠 체어는 양손에 의해 구동 링(40)들을 밀고 당기는 방법을 채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가진다.
1. 두 손을 이용하여 구동링을 잡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구동링은 구동휠와 일체형 구조로 고정 장착되어 있는바, 이용자는 마치 두 손으로 구동휠을 직접 밀고 당기는 상황에 처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하에서 이용자는 반복적인 조작에 따른 체력 소모가 반드시 발생하게 되고, 특히 언덕길을 오를 때에는 더욱 그렇다.
2. 구동링은 구동휠의 외측 외륜(external rim) 상에 장착되어있기 때문에, 구동휠의 행진에 따른 회전에 의하여 그 전체 주위에는 구동휠이 움직이면서 튕겨진 먼지, 오물 및 수액 등이 쉽게 묻게 되어서, 잡고 있는 두 손을 수시로 더럽힐 수 있는 우려가 있다.
3. 이용자의 두 손은 반드시 구동휠을 지나야만 비로소 구동링을 잡을 수 있는바, 소매가 구동휠에 닿아 쉽게 더러워지는 것은 물론 심지어 손상되는 현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구동휠을 가로지르는 두 팔이 구동휠의 회전에 의해 생긴 마찰로 인하여 부상을 입게 되는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개량된 휠체어 구동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의 이동 조작에 있어서 보다 단순하고 쉽고 편리하고 깨끗하며 신속하고 체력 소모 절감 및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가진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의자 프레임 양측 구동횔의 회전축에는 구동 로드가 각각 한 개씩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 로드의 외측단은 상기 구동휠의 모서리 부위에 이어져 있고, 그 상단에는 상기 구동휠에 대응하는 위치에 브레이크 모듈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는 핸드 브레이크을 통하여 상기 구동휠에 대하여 고정(fixing) 및 풀림(releasing)을 수행하며, 이에 의하여 이용자는 두 손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듈가 상기 구동휠을 풀 때, 상기 구동 로드를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핸드 브레이크가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구동휠이 조여 고정될 때, 앞뒤로 조작하여 상기 구동 로드가 상기 구동휠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이동에 따른 제어를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며 청결 유지, 체력 소모 절감 및 안전성을 높이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휠체어에 장착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휠체어의 일측단에 장착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에 따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에 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휠체어의 의자 프레임(10) 양측에 장착된 구동휠(20)의 회전축(201)에는 구동 로드(50)가 각각 한 개씩 장착되어 있고, 구동 로드(50)는 회전축(201)을 회전 지점으로 하여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구동 로드(50)의 외측단은 구동휠(20)의 외부 가장자리(rim)에 이어져 있고, 구동 로드의 상단부에는 핸들(501) 및 브레이크 모듈(60)이 장착되어 있고, 브레이크 모듈(60)은 구동휠(20)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 동작을 하기 위해서 구동휠(20)에 대응하는 핸들(501)의 측부 상에 장착된 핸드 브레이크(61)에 의하여 제어된다. 브레이크 모듈(60)은 일반 자전거에 이용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되고, 이 브레이크 모듈은 구동 로드(50)의 연장암(502)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우 스윙암(601)들, 이 각각의 좌우 스윙암(601)들의 일측단에 장착되며 구동 휠 프레임(202)에 대응하는 브레이크슈(602) 및, 핸드 브레이크(hand brake, 61)가 구동휠(20)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브레이크슈(20)를 제어하도록, 핸드 브레이크(61)에 결합되고 끌어 당겨지는 스틸 로프(603)를 구비한다.
핸드 브레이크(61)는 구동 로드(50)의 핸들(501)에 인접하게 장착되고, 이용자가 양손으로 핸들(501)을 잡도록, 핸들(501)의 하단부에는 받침부(503)가 장착되어 있고, 이 받침부(503)는 핸드 브레이크(61)를 지지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또한, 좌우 구동휠(20)의 상반부의 외부 가장자리에 펜더(70)가 각각 한 개씩 장착되고 이 펜더는 의자 프레임(10)에 고정되며, 길이방향 관통 슬롯(701)이 펜더(70)의 외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형성되고 구동 로드(50)의 연장암(502)을 관통하도록 제공되어서, 물과 먼지의 튐으로 인해 옷의 일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 구동휠(20)의 상반부가 덮히며, 구동 로드(50)의 연장암(502)은 길이방향 관통 슬롯(701)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구동 로드(50)를 고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펜더(70)의 일 단부에 래치(71)가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조립상태에서, 이용자가 의자 프레임(10)에 앉아 두 발을 상기 발판부(11) 위로 올려놓게 될 때, 이용자는 양손으로 좌우의 구동 로드(50)의 양단부들에 있는 핸들(501)을 잡을 수 있다. 좌우 구동 로드(50)들이 회전축(201)을 회전 지점(turning point)에 대하여 이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구동 로드(50)들의 타단부가 좌우 구동휠(20)의 각각이 가지는 회전축(2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구동 로드(50)의 핸들(501)에 인접하게 장착된 핸드 브레이크(61)는 이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장치(60)의 브레이크슈(602)가 구동휠(20)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용자가 휠체어를 구동시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핸드 브레이크(61)만을 조작하여 브레이크 모듈(60)이 구동휠(20)을 조여 고정토록 한 후 다시 구동 로드(50)를 앞뒤로 움직이면,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던 구동휠(20)은 구동 로드(50)의 이동에 따라 자연적으로 앞뒤로 이동하게 되므로 휠체어를 구동시켜 행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핸드 브레이크(61)를 조작하여 브레이크 모듈(60)이 구동휠(20)을 풀기 위해서 구동될 때, 이용자는 구동 로드(50)는 구동 로드(50)를 적당한 임의의 위치로 앞뒤로 움직여서, 브레이크 모듈(60)과 함께 핸드 브레이크(61)가 구동휠(20)에 대하여 어느 각도, 위치를 막론하고 고정되거나 구동하여 이동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구동 로드(50)가 끊임없이 앞뒤로 움직이고 핸드 브레이크(61)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브레이크 모듈(60)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좌우 구동휠(20)들은 원활하게 이동하고 휠체어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휠체어를 회전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구동휠(20)의 구동 로드들 중 하나에 장착된 브레이크 모듈(60)로 이에 대응하는 구동휠(20)을 고정시켜서, 구동 로드(5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후, 이용자의 다른 한 손으로 다른 구동로드를 지속적으로 앞뒤로 움직임과 동시에 브레이크 모듈(60)을 제어하여 고정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휠체어는 원활하고 신속하게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이다.
의자 프레임(10)에 장착된 펜더(70)가 구동휠(20)의 상반부를 덮고 있고 구동 로드(50)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으므로 이용자는 두 손으로 구동 로드(50)의 핸들(501)을 잡고 앞뒤로 움직이는 조작을 할 때, 손바닥과 소매가 상기 구동휠(20)에 닿아 더러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마찰로 인한 파손 또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로드(50)의 상기 핸들(501)의 하단부에는 손을 지탱하는데 이용하는 상기 받침부(503)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용자가 두 손으로 상기 핸들(501)를 잡을 경우, 이에 의하여 피로감을 덜 수 있고, 특히 움직이는 조작에 있어서 보조적인 힘을 제공시키는 효율 및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펜더(70)에 장착된 상기 래치(71)를 통하여 상기 구동 로드(50)를 고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로드(50)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이를 통하여 안전된 위치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휠체어를 수납하거나 운송할 때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용자는 상기 의자 프레임(10)에 앉은 후 두 손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로드(50)를 앞뒤로 움직이고 상기 핸드 브레이크(61)를 제어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듈(60)이 상기 구동휠(20)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휠체어가 전진, 후진, 회전 및 정지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실용면에 있어서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한 효과를 가짐은 물론 특히 상기 구동 로드(50)에 장착된 상기 핸들(501)은 힘을 가하는데 편리한 보조암으로 직접 활용할 수 있어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행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체력 소모를 줄이고 편리함과 효율을 제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휠(20)의 상반부의 외부 주변에는 상기 펜더(7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 로드(50)의 상기 핸들(501)는 상기 펜더(7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용자는 상기 핸들(501)를 잡고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50)의 마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청결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10 : 의자 프레임(chair frame) 11 : 발판부(pedal)
20 : 구동휠(driving wheel) 201 : 회전축(axle)
202 : 휠 프레임(wheel frame) 30 : 보조휠(auxiliary wheel)
40 : 구동링(driving ring) 50 : 구동 로드(driving rod)
501 : 핸들(handle) 502 : 연장암(extended arm)
503 : 받침부(support portion) 60 : 브레이크 모듈(brake module)
601 : 좌우 스윙암(left and right swing arm)
602 : 브레이크슈(brake shoe)
603 : 스틸 로프(steel rope) 61 : 핸드 브레이크(brake handle)
70 : 펜더(fender)
701 : 길이방향 관통 슬롯(longitudinal through slot)
71 : 래치(latch)

Claims (5)

  1.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휠체어의 의자 프레임(10)의 양측에 있는 각각의 구동휠의 회전축(2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앞뒤로 움직이는 구동 로드(50), 상기 구동 로드(50)의 일단에 장착된 핸들(501), 핸드 브레이크(61) 및 브레이크 모듈(60)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모듈(60)은 상기 구동휠(20)에 대하여 고정 및 풀림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 브레이크(6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50)는 상기 브레이크 모듈(60)을 장착하기 위한 연장암(502)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모듈(60)은 상기 구동휠(20)의 양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좌우 스윙암(601)과 구동 휠 프레임(202)에 대응하며 각각 스윙암의 일 단부에 장착된 브레이크슈(602)를 포함하며, 스윙암의 타단은 스틸 로프(603)에 의해 구동되며 핸드 브레이크(6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50)는 상기 핸들(501)의 하단부에 배치된 받침부(5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휠(20)의 상반부를 덮기 위해서 의자 프레임(10)의 양측에 장착된 펜더(70) 및 상기 구동 로드(50)의 연장암(502)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펜더(70)의 외면에 형성된 길이방향 관통 슬롯(70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70)는 펜더(70)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로드(50)를 위치설정시키기 위한 래치(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KR2020100013535U 2010-01-27 2010-12-29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KR201100077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35U KR20110007747U (ko) 2010-01-27 2010-12-29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01617 2010-01-27
KR2020100013535U KR20110007747U (ko) 2010-01-27 2010-12-29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47U true KR20110007747U (ko) 2011-08-03

Family

ID=4559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35U KR20110007747U (ko) 2010-01-27 2010-12-29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7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69B1 (ko) * 2018-01-23 2019-07-30 문현덕 이동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KR20200040363A (ko) * 2018-10-09 2020-04-20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브레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69B1 (ko) * 2018-01-23 2019-07-30 문현덕 이동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KR20200040363A (ko) * 2018-10-09 2020-04-20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브레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860B1 (en) Treadle scooter
JP3174087U (ja) 揺動推進式スクータ
JP2015514539A (ja)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JP2009006107A (ja) 乗車可能な走行機付きカバン
JP2009023544A (ja) 駆動力自動解除式一方向回転駆動装置
KR20110007747U (ko) 개량된 휠체어 구동장치
KR200457329Y1 (ko) 핸드브레이크장치를 갖춘 보행보조기
WO2011136566A3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KR101342962B1 (ko) 접이형 보행보조 기구
JP5459889B1 (ja) 歩行機具
US20050206115A1 (en) Wheelchair with a steering/driving device
JP4105731B2 (ja)
US20110187075A1 (en) Wheelchair driving apparatus
US8973936B1 (en) Rehabilitation device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US10111789B2 (en) Wheelchair wheel winder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6178247B2 (ja) 立ち乗り式自転車
JP2010246828A (ja) 足踏み駆動式車椅子
JP3110828U (ja) 幼児用三輪車
JP3123886B2 (ja) 歩行補助車
ITUA20163533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unita' motrice fissabile ad una carrozzella
JP2010184611A (ja) 走行装置
JP2007269159A (ja) 手押し車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