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361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361A
KR20110006361A KR1020090063955A KR20090063955A KR20110006361A KR 20110006361 A KR20110006361 A KR 20110006361A KR 1020090063955 A KR1020090063955 A KR 1020090063955A KR 20090063955 A KR20090063955 A KR 20090063955A KR 20110006361 A KR20110006361 A KR 2011000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display
mobile terminal
target object
display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764B1 (ko
Inventor
조은우
신현빈
신준헌
안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64B1/ko
Priority to US12/769,604 priority patent/US8866810B2/en
Priority to EP10166194.0A priority patent/EP2278430B1/en
Priority to CN2010102153681A priority patent/CN101957719A/zh
Publication of KR2011000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서 그것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각 면에서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각 면에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정보에는, 메뉴 항 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는 기 설정된 다면체 타입, 예를 들어 큐빅 모양의 육면체를 가지며, 각 면에서 기 설정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면체 타입이 지정되어 있으므로, 메뉴 항목의 개수에 따라 다면체의 면의 개수를 달리하도록 설정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다면체 회전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한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를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다면체 회전 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경우에는 다면체를 회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면체 회전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라도 상기 입력된 다면체 회전 신호에 상응하는 면이 정면에 배치되는 순간 회전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면체의 다른 면을 정면에 배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일이 회전 명령 신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대상 객체의 수에 상응하는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가 지정된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각각 지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은, 상기 다면체의 회전 디스 플레이에 상응하여 화면상 정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각각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대상 객체의 수에 상응하는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하되, 다면체의 각 면에서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표시 대상 객체에 따라 상이한 다면체 형태가 설정된 다면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가 지정된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면체의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 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 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 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미도시)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2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2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2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가상 키패드(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를 통하여 가상 키패드(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가상 키패드(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6,157)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6)는 TOLED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7)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6 및 157)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6)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6)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7)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6)는 LCD(157)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7)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6)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7)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6)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7)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6)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6)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6)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7)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7)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6)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6)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7)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다면체를 이용하여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3차원 상에서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의 각 면에서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대상 객체는, 다면체의 각 면에서 표시될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뉴 항목 정보{메뉴 명칭, 메뉴 아이콘, 메뉴 이미지(3d 포함 등}, 단말기 상태 정보(배터리 정보, 신호 강도 정보, 메모리 정보 등), 이미지 데이터(사진 파일, 동영상 파일, 영상 통화 캡쳐 사진/동영상, 방송 캡쳐 사진/동영상 등), 오디오 데이터(MP3 파일, 통화중 녹음, 음성 메시지 등), 위젯 데이터(증권 정보, 날씨 정보, 일정 관리 정보, 오늘의 뉴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시 대상 객체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그 대상으로 할 수 있고,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애니메이션, 플래시, 기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대상 객체를 메뉴 항목 정보에 한정하도록 한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항목의 수에 상응하도록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메뉴 항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항목이 6개인 경우 메뉴 항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다면체로서 육면체(510)를 결정하고, 육면체(510) 상의 각 면(총 6개 면)(511 내지 516)에 제 1 내지 제 6 메뉴 항목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5a(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항목이 4개인 경우 메뉴 항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다면체로서 사면체(삼각뿔)(520)를 결정하고, 사면체(520) 상의 각 면(총 4개 면)(521 내지 524)에 제 1 내지 제 4 메뉴 항목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5a(b)}.
또한,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항목 정보가 각 면에 표시된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속도 및 일정 방향으로 다면체(510)를 회전시킴에 따라, 다면체(510)의 각 면(511 내지 516)을 순차적으로 화면상 정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한다(S610).
먼저, 다면체의 일면에 1개의 표시 대상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 대상 객체의 수와 동일한 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표시 대상 객체가 3개인 경우 원기둥을, 표시 대상 객체가 4개인 경우 삼각뿔을, 표시 대상 객체가 5개인 경우 사각뿔을, 표시 대상 개체가 6개인 경우 육면체를 다면체 형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면체의 일면에 2개의 표시 대상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 대상 객체의 수의 반 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표시 대상 객체의 수가 2N+1 개인 경우 N+1 개의 면을 갖는 다면체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N은 양의 정수).
다음으로, 다면체의 일면에 N개 다른 일면에 N+a개의 표시 대상 객체가 각각 표시되는 경우(N,a는 양의 정수), 제어부(180)는, 다면체 일면에 N개의 표시 대상 객체가 다른 일면에 N+a개의 표시 대상 객체가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면을 갖는 다면체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표시 대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하여 1개의 면이 필요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형성할 수 있는 최소 면을 갖는 다면체(예를 들어 원뿔)를 결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결정 단계(610)에서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한다(S620).
지정 단계(S6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임의대로 다면체 각 면에서 표시될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 단계(S6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외부(특히 사용자)로부터 다면체의 각 면에 대하여 표시 대상 객체의 지정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지정 신호에 상응하도록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면체의 각 면에 대하여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검색을 통하여 다면체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다면체 관리)을 선택받음에 따라, 표시 대상 객체 지정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표시 대상 객체 지정 가능 상태는, 다면체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기능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또는 키 영역(터치 스크린의 경우)을 선택받는 경우에도 설정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 대상 객체 지정 가능 상태를 설정함에 따라, 화면상 일면에는 객체 리스트를 화면상 다른 면에는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객체 리스트를 구성하는 표시 대상 객체의 수에 따라 다면체 형태가 결정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을 통하여 표시 대상 객체별로 해당 면을 지정하거나{도 7b(a)), 표시 대상 객체와 해당 면 사이에 터치 드래그(또는 멀티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 드래그된 표시 대상 객체를 해당 면에 지정할 수 있다{도 7b(b)}.
한편, 도 7b에서 객체 리스트 중 단말기 지정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임의로 표시 대상 객체별 해당 면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지정 단계(S620)에서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가 지정된 다면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630).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서 다면체는,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각 면에서 해당 표시 대상 객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표시 대상 객체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표시 대상 객체가 메뉴 항목 정보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대상 객체의 수에 상응하도록 결정된 다면체 형태는 육면체라고 가정한다. 또한, 메뉴 항목 정보는, 메뉴 명칭이라고 가정한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8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육면체(810)의 각 면(811 내지 813)에서 지정된 메뉴 명칭(메시지, Internet, 전화부)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 지정된 메뉴 명칭을 해당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8a 상태에서 말풍선 등을 이용하여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면(814 내지 816)에 지정된 메뉴 명칭(카메라, 일정 관리, TV)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모든 면에 지정된 메뉴 명칭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8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면(811)에는 전화부, 메시지(총 2개)가, 제 2 면(812)에는 카메라(총 1개)가 제 3 면(813)에는 일정 관리, TV(총 2개)가 각각 지정될 수 있다.
도 8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다면체 각각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메뉴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다면체를 제 1 및 제 2 다면체라고 가정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제 1 및 제 2 다면체(820, 830)는, 각각 동등 레벨의 메뉴 항목의 명칭을 각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다면체(820)의 각 면에는, 제 1 상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명칭(메시지, Internet, 전화부)이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다면체(830)의 각 면에는, 제 2 상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명칭(일정 관리, 카메라, TV)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8d 참조).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다면체는, 각각 메인 다면체 및 서브 다면체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다면체의 각 면에는 상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메뉴 명칭이 디스플레이되고, 서브 다면체의 각 면에는 메인 다면체 중 일면에 지정된 상위 메뉴 항목에 속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메뉴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다면체는, 각각의 면에서 동일한 메뉴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되, 제 1 다면체는 확대된 형태로 제 2 다면체는 축소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18a 및 도 18b 참조).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다면체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각의 표시 위치를 교환 또는 이동하거나, 각 면에 지정된 메뉴 명칭을 서로 교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8e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위 메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각각의 상위 메뉴에 해당하는 다면체(841 내지 849)를 복수 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예를 들어, 다면체(841 내지 849)에는, 도 8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메뉴 명칭이 디스플레이되거나, 해당 상위 메뉴에 속하는 서브 메뉴 항목들 각각의 명칭이 각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다면체(841 내지 849)는, 해당 상위 메뉴에 속하는 서브 메뉴 항목의 수에 따라 다면체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e(a)에서 제 5 다면체(845)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5 다면체(845)를 확대 디스플레이하면서, 제 5 다면체(845)에 해당하는 상위 메뉴 항 목 '멀티미디어'에 속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명칭(TV, MP3, 카메라)을 제 5 다면체(845)의 각 면(845-1, 845-2, 845-3)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도 8f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위 메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각각의 상위 메뉴에 해당하는 다면체를 페이지 넘김 동작을 통하여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의 각 면에는, 해당 상위 메뉴에 속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 각각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표시 대상 객체가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대상 객체의 수에 상응하도록 결정된 다면체 형태는 육면체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사진이라고 가정한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9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육면체(910)의 각 면(911 내지 913)에서 지정된 사진(제 1 사진 내지 제 3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 지정된 사진을 해당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9a 상태에서 말풍선 등을 이용하여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면(914 내지 916)에 지정된 사진(제 4 사진 내지 제 6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모든 면에 지정된 사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9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지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면(911)에는 총 3개의 사 진이, 제 2 면(912)에는 총 1개의 사진이, 제 3 면(913)에는 총 2개의 사진이 각각 지정될 수 있다.
도 9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다면체 각각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다면체를 제 1 및 제 2 다면체라고 가정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제 1 및 제 2 다면체(920, 930)는, 각각 서로 다른 사진 폴더 내에 저장된 사진을 각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면체(920)의 각 면에는 제 1 사진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이, 제 2 다면체(930)의 각 면에는 제 2 사진 폴더에 저장된 사진 파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다면체는, 각각 메인 다면체 및 서브 다면체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다면체의 각 면에는 사진 폴더 명칭이 디스플레이되고, 서브 다면체의 각 면에는 메인 다면체 중 일면에 지정된 사진 폴더에 저장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다면체는, 각각 동일한 사진 폴더에 속하는 사진을 각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다면체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각각의 표시 위치를 교환 또는 이동하거나, 각 면에 지정된 사진을 서로 교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은, 표시 대상 객체가 단말기 상태 정보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면체 형태를 육면체에 한정하도록 한다.
도 10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10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육면체(1010)의 각 면(1011 내지 1013)에서 지정된 단말기 상태 정보(배터리 정보, 메모리 정보, 수신 감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 지정된 단말기 상태 정보를 해당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표시 대상 객체가 위젯 데이터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위젯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1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11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육면체(1110)의 각 면(1111 내지 1113)에서 지정된 위젯(widget) 데이터(증권 정보, 날씨 정보,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정면에서 보이는 면에 지정된 위젯 데이터를 해당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상태 정보 및 위젯 데이터를 다면체의 각 면에서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의 디스플레이(도 9b 참조), 하나의 면에서 복수의 표시 대상 객체의 디스플레이(도 9c 참조), 복수의 다면체 디스플레이(도 9d 참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가 지정하여 표시하는 다면체를 3 차원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다면체의 각 면이 순차적으로 화면상 정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 속도 및 일정 방향에 따라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된 모든 표시 대상 객체를 사용자에게 골고루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의 회전 명령 신호 입력 없이도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외부(특히, 사용자)로부터 회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명령 신호는, 회전 명령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터치 액션(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일정 시간/거리/압력/면적의 터치,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 특정 패턴의 터치 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경우, 또는 회전 명령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특정 키(또는 키 영역) 또는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 중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회전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회전 변경 신호에 상응하도록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변경 신호는, 제 1 회전 방향에서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회 전 방향 변경 신호, 또는 제 1 회전 속도에서 제 2 회전 속도로의 회전 속도 변경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면체 형태를 육면체라고 가정하고, 표시 대상 객체를 메뉴 항목 정보 중 메뉴 명칭에 한정하도록 한다. 물론, 표시 대상 객체로서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위젯 데이터, 단말기 상태 정보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오른 방향(또는 왼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육면체(8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육면체(810)는 오른 방향(또는 왼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므로, 육면체(810)의 면들 중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의 좌/우에 위치한 면들은 순차적으로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의 좌/우에 위치한 면들에 각각 지정된 메뉴 명칭을 골고루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윗 방향(또는 아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육면체(810)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육면체(810)는 윗 방향(또는 아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므로, 육면체(810)의 면들 중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의 아래/위에 위치한 면들은 순차적으로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의 아래/위에 위치한 면들에 각각 지정된 메뉴 명칭을 골고루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오른 방향(또는 왼 방향)으로 1 회 회전 완료한 후, 윗 방향(또는 아래 방향)으로 1회 회전할 수 있고, 상기한 오른 방향 및 윗 방향 회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육면체(810)의 모든 면들에 각각 지정된 메뉴 명칭을 골고루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면체의 오른 방향으로의 회전 디스플레이 중 왼 방향(물론,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도 가능)으로의 회전 방향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왼 방향으로 회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왼 방향으로의 회전 방향 변경 신호는,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면체의 오른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중 회전 속도 변경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오른 방향으로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속도 변경 신호는, 현재 회전 방향인 오른 방향으로 일정 속도 이상의 터치 드래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회전 속도 증가 신호를 포함하고, 현재 회전 방향인 오른 방향으로 일정 속도 미만의 터치 드래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회전 속도 감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회전 방향 변경 신호 및 회전 속도 변경 신호는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 중 회전 중지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도 13a),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 있다(도 13b).
이때, 회전 중지 신호는, 도 13a와 같이 회전 중지 신호 입력을 위하여 구비된 키 영역(회전 중지-1301)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경우, 회전 중지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키 또는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또는 회전 중지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터치 액션(예를 들어, 현재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일정 속도 이상의 터치 드래그)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단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회전 속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회전 중지하는 형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이를 관성에 의한 정지라고 칭할 수 있음).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이 경과 후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정되거나, 단말기 임의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도, 도 8a 내지 도 11을 참조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외부(특히,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에 대한 위치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다(S64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단계(S640)에서 입력된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일정 각도 회전하여 화면상 정면 배치되는 면을 변경할 수 있다(S650).
여기에서, 위치 이동 신호는, 다면체 스크롤에 의한 위치 이동 신호 및 다면체 회전에 의한 위치 이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면체 스크롤에 의한 위치 이동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및 제 2 면에 대하여 현재 제 2 면의 위치로 제 1 면을 이동하기 위한 다면체 스크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면체 회전에 의한 위치 이동 신호는, 다면체의 특정 면이 정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다면체 회전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면체의 위치 이동 신호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대상 객체는 메뉴 명칭이고, 다면체 형태는 육면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14c는, 다면체 스크롤 신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스크롤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810)의 제 1 면(811)에서 제 1 면(811)의 우측 변에 수직 위치한 제 2 면(812)으로의 터치 드래그(①)를 입력받는 경우(도 14a), 육면체(810)를 오른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도 14a에서의 제 2 면(812)의 위치에 제 1 면(811)을 위치시킬 수 있다(도 14b).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육면체(810)의 제 1 면(811)에서 제 1 면(811)의 상측 변에 수직 위치한 제 3 면(813)으로의 터치 드래그(②)를 입력받는 경우(도 14a), 육면체(810)를 윗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도 14a에서의 제 3 면(813)의 위치에 제 1 면(811)을 위치시킬 수 있다(도 14c).
도 15a 내지 도 15c는, 다면체 회전 신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회전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오른 방향{또는 아래 방향(②)}으로의 터치 드래그가 입력되는 경우(①)(도 15a), 터치 드래그 속도 및 거리에 상응하도록 다면체를 오른 방향(또는 아래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도 15b 또는 도 15c).
또한, 도 15b 또는 도 15c에서 육면체(810)가 회전 중인 상태에서는 축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육면체(810)의 각 면에 표시된 메뉴 명칭은, 육면체(810)가 회전 중인 상태에서는 회전 속도로 인하여 확인되지 않을 수 있으나, 회전 완료된 상태에서는 확인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면체 스크롤 신호 및 다면체 회전 신호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터치 드래그 속도, 멀티 터치 방식,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 단말기 움직임 속도, 메뉴 항목을 통한 신호 형태 지정, 해당 신호 입력에 상응하는 터치 액션 입력 등을 이용하여 구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위치 이동 신호에 관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다면체 회전 디스플레이 상태(도 12a 내지 도 13b 참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서 디스플 레이되는 다면체에 대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면체 디스플레이 제어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면체의 회전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 상태 설정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도 16a), 화면의 일 영역에 회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바(이하 회전 상태 설정 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6b).
이때, 회전 상태 설정 신호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상태 설정 신호 입력을 위하여 구비된 키 영역{회전 설정(160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회전 상태 설정 신호 입력에 해당하는 키 또는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상태 설정 바는, 좌우 회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바(1602) 및 상하 회전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바(160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1602)를 이용하여 좌 또는 우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각도), 회전 속도, 회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고, 바(1603)를 이용하여 상 또는 하 방향으로의 회전 정도(각도), 회전 속도, 회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정면에 배치되는 면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는, 표시 대상 객체의 상세 정보의 일례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로서 상위 메뉴 항목의 명칭이 표시된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특정 면을 선택받을 수 있다(도 17a).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면 터치 또는 특정 면에 해당하는 방향 키/번호 키 조작 등을 통하여 특정 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7a에서 선택된 특정 면이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을 제외한 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회전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면을 정면 배치시키거나{도 17b(a)}, 상기 선택된 특정 면이 정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면에 해당하는 상위 메뉴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상기 선택된 특정 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7b(b)}.
한편, 도 17a에서 현재 정면 배치된 면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를 회전하지 않고, 현재 정면 배치된 면에서 해당 상위 메뉴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미도시).
한편, 상기 선택된 면에서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다면체 자체를 확대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선택된 면만을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확대 다면체 및 축소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다면체 및 축소 다면체는, 그것의 크기만 달리할 뿐, 동일면에 대하여 동일 표시 대상 객체 지정한다고 가정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확대 다면체(1810)의 각 면에서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확대 다면체(1810)의 면들 중 현재 화면상 정면 배치된 면(1811, 1812)이 식별되도록 축소 다면체(18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축소 다면체를 통하여 확대 다면체의 전체 형상 또는 현재 면 배치 상태(특히 정면 배치된 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확대 다면체(1810) 및 축소 다면체(1820)는, 동일한 면 배치 상태를 가지고, 확대 다면체(1810)에 대한 다면체 스크롤 신호 입력 시 상기 입력된 다면체 스크롤 신호에 상응하여 둘 다 스크롤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면체 스크롤 신호는 다면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의 일례이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축소 다면체에 대하여 다면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위치 이동 신호 포함)를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입력된 다면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확대 다면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다면체를 확대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 확대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액션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터치 액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를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19a 및 도 19b).
여기에서, 터치 액션은, 두 개의 포인터 간 제 1 거리(①)에서 제 2 거리(②)를 갖도록 하는 멀티 터치(제 1 거리>제 2 거리){도 19a(a)}, 또는 다면체 내부(또는 외곽)의 일 지점에서 외부의 일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도 19b(a)}를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거리의 차{도 19a(a) 참조} 또는 터치 드래그 거리{도 19b(a) 참조}에 비례하여 다면체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 축소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액션을 입력받는 경우 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축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다면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 이동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다면체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도 20a). 예를 들어, 다면체 이동 명령 신호는, 다면체 이동 명령 신호의 입력을 위하여 구비된 키 영역{이동(200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또는 다면체 이동 명령 신호의 입력에 해당하는 키 또는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 다면체를 이동할 수 있다(도 20b).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의 터치 또는 다면체의 일 지점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의 터치 드래그를 입력함에 따라 다면체 이동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도 16a 내지 도 20b에 관련한 실시예들은,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 중 다면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810)의 회전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 1 면(811)이 화면상 정면에 배치되는 경우 다면체(810) 자체 또는 제 1 면(811)을 확대 디스플레이하고(도 21a), 다른 면이 화면상 정면 배치되기 이전까지 다면체(810)를 도 21a에 비교하여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1b(a)}.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810)를 회전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제 1 면(811)에 순차적으로 제 2 면(812)이 화면상 정면에 배치되는 경우, 다면체(810) 자체 또는 제 2 면(812)을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1b(b)}.
도 21a 및 도 21b에서 다면체(810) 자체 또는 정면 배치 면을 확대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은, 다면체(810)의 각 면에 표시된 표시 대상 객체 또는 정면 배치 면에 표시된 표시 대상 객체를 확대 디스플레이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단계(S6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일면에 대하여 실행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S660).
여기에서, 실행 명령 신호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앞서 설명한 다면체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와 실행 명령 신호의 입력을 각각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의 터치 횟수, 터치 시간, 터치 모션(특정 모양, 특정 방향, 특정 속도 등) 등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 단계(S660)에서 입력된 실행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일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실행한다(S670).
실행 단계(S670)는, 표시 대상 객체의 실행 동작으로서, 표시 대상 객체의 상세 정보 디스플레이, 표시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실행, 표시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데이터 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 동작으로서, 표시 대상 객체가 메시지(메뉴 항목의 일례, 하위 메뉴 항목 있음)인 경우, 메시지의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상세 정보의 일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실행 동작으로서, 표시 대상 객체가 TV 시청(메뉴 항목의 일례, 하위 메뉴 항목 없음)인 경우,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메뉴 항목 실행의 일례). 또는, 실행 동작으로서, 표시 대상 객체가 사진(이미지 데이터의 일례)인 경우 화면상에 해당 사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데이터 출력의 일례).
또한, 실행 단계(S670)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다면체를 더 이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다면체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키 영역(또는 메뉴 항목)을 별도 구비할 수 있다.
실행 단계(S670)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2a 및 도 22c는, 다면체의 일면에 지정된 메뉴 항목 정보를 실행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뉴 항목 정보는, 상위 메뉴 항목 명칭이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면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다면체(8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 중 실행하고자 하는 상위 메뉴 항목인 메시지에 해당하는 제 1 면(811)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도 22a).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도 22a에서 제 1 면(811)이 선택됨에 따라, 메시지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a), 메시지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 항목들이 각 면에 지정된 다면체(2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도 22b에서 메시지 작성(2201)(a) 또는 메시지 작성이 지정된 면(2211)(b)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 메뉴를 실행하고, 메시지 작성 창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2c).
도 23a 및 도 23b는, 다면체의 일면에 지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사진이라고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각 면에 사진을 표시한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 1 사진이 표시된 제 1 면(911)을 선택받을 수 있다(도 23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도 23a에서 제 1 면(911)이 선택됨에 따라, 제 1 면(911)에 지정된 제 1 사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23b).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 대상 객체가 메뉴 항목 정보인 경우, 다면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정보를 그것이 지정된 면 상에서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해당 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를 통하여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 및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3차원 다면체를 이용하여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각 면에 대하여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표시 대상 객체가 메뉴 항목 정보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메뉴 항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표시 대상 객체가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하여 표시 대상 객체가 단말기 상태 정보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하여 표시 대상 객체가 위젯 데이터인 경우 다면체를 이용하여 위젯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스크롤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여 다면체를 회전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회전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바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정면에 배치되는 면을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확대 다면체 및 축소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를 확대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위치를 이동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 중 다면 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2a 및 도 22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일면에 지정된 메뉴 항목 정보를 실행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다면체의 일면에 지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Claims (20)

  1.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각각 지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 객체는,
    메뉴 항목 정보, 단말기 상태 정보,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위젯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대하여 상기 표시 대상 객체의 지정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지정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를 확대한 제 1 다면체 및 상기 다면체를 축소한 제 2 다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다면체를 동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다면체의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다면체의 면들 중 현재 화면상 정면 배치된 면이 식별되도록 상기 제 2 다면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에 대하여 위치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다면체를 회전하여 화면상 정면 배치되는 면을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의 일 면에 대하여 실행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실행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일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대상 객체의 상세 정보 디스플레이, 상기 표시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 실행, 상기 표시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데이터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에 대한 회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회전 명령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2. 다면체의 각 면에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은, 상기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상응하여 화면상 정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 대하여 상기 표시 대상 객체의 지정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지정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지정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일정 회전 방향 및 일정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다면체에 대한 회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된 회전 명령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에 대한 회전 중지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회전 중지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면체를 회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를 확대한 제 1 다면체 및 상기 다면체를 축소한 제 2 다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플레이되는 다면체의 일 면에 대하여 실행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실행 명령 신호에 해당하는 일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19. 표시 대상 객체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다면체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의 각 면에 상기 표시 대상 객체를 각각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의 각 면에서 상기 각 면에 지정된 표시 대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결정된 다면체 형태를 갖는 다면체를 3차원 상에서 회전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들은, 상기 다면체의 회전 디스플레이에 상응하여 화면상 정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090063955A 2009-07-14 2009-07-1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0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955A KR101608764B1 (ko) 2009-07-14 2009-07-1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2/769,604 US8866810B2 (en) 2009-07-14 2010-04-28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0166194.0A EP2278430B1 (en) 2009-07-14 2010-06-16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0102153681A CN101957719A (zh) 2009-07-14 2010-06-24 移动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955A KR101608764B1 (ko) 2009-07-14 2009-07-1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61A true KR20110006361A (ko) 2011-01-20
KR101608764B1 KR101608764B1 (ko) 2016-04-04

Family

ID=426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955A KR101608764B1 (ko) 2009-07-14 2009-07-14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6810B2 (ko)
EP (1) EP2278430B1 (ko)
KR (1) KR101608764B1 (ko)
CN (1) CN101957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873A (ko) * 2014-02-11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7480B1 (en) 2007-03-09 2018-11-13 R. B. III Associates, Inc. System for automated decoration
KR20110059009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메뉴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E102010011039A1 (de) * 2010-03-11 2011-09-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KR20120059170A (ko) * 2010-11-30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86031A (ko) * 2011-01-25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2622158B (zh) * 2011-01-28 2015-07-29 联想(北京)有限公司 旋转控制方法和电子设备
JP5785753B2 (ja) * 2011-03-25 2015-09-3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693708B2 (ja) * 2011-03-31 2015-04-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指示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その記録媒体
US9069439B2 (en) * 2011-04-11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ustomized navigation
US9360991B2 (en) * 2011-04-11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ee-dimensional icons for organizing, invoking, and using applications
US20120284668A1 (en) * 2011-05-06 2012-11-0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US20120284671A1 (en) * 2011-05-06 2012-11-0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gement
CN102236720B (zh) * 2011-07-28 2013-09-18 江苏联著实业有限公司 用于互联网终端的多维伸缩式立体菜单导航系统
CN109271029B (zh) 2011-08-04 2022-08-26 视力移动技术有限公司 无触摸手势识别系统、无触摸手势识别方法和介质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085705A1 (en) * 2011-10-03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upon detecting a change in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S10739932B2 (en) * 2011-10-11 2020-08-11 Semi-Line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mobile electronic content creation and publication
US20130104032A1 (en) * 2011-10-19 2013-04-25 Jiyoun Le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06831A1 (en) * 2011-10-28 2013-05-02 Cbs Interactive, Inc. 3-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WO2013067392A1 (en) * 2011-11-02 2013-05-10 Hendricks Investment Holdings, Llc Device navigation icon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30167091A1 (en) * 2011-12-21 2013-06-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in a hyper-dimensional media guidance application
CN102567524B (zh) * 2011-12-29 2018-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旋转浏览的实现方法和装置
DE102012001121C5 (de) 2012-01-23 2018-01-04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Sicherheitsdokumen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icherheitsdokument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individualisierten Sicherheitsdokuments
US10074345B2 (en) * 2012-02-20 2018-09-11 Pantech Inc. Mobile terminal having a multifaceted graphical object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splay switching operation
EP3264252B1 (en) 2012-05-09 2019-11-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mode of operation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CN105260049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响应于用户接触来显示附加信息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53A1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CN106201316B (zh) 2012-05-09 2020-09-29 苹果公司 用于选择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US20130314321A1 (en) * 2012-05-23 2013-11-2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Vehicle information display
US9665905B2 (en) * 2012-08-21 2017-05-30 Matthew Lehrer Three dimensional shopping cart
US9898183B1 (en) * 2012-09-19 2018-02-20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s for object rendering and selection
EA201201242A1 (ru) * 2012-09-24 2014-03-31 Арташес Валерьевич ИКОНОМОВ Графический интерфейс пользователя устройств, включающих сенсорный экран
WO2014058349A1 (ru) 2012-10-10 2014-04-17 Ikonomov Artashes Valeryevich Электронная платежная система
KR20230070067A (ko) 2012-11-29 2023-05-19 파세토, 인크. 여러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EP2939095B1 (en) 2012-12-29 2018-10-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4105275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EP3435220B1 (en) 2012-12-29 2020-09-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001332B1 (ko) 2012-12-29 2019-07-17 애플 인크. 콘텐츠를 스크롤할지 선택할지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2000253B1 (ko) 2012-12-29 2019-07-16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3941954B (zh) * 2013-01-17 2018-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展示界面的方法和装置、用户界面交互的方法和装置
US9983779B2 (en) * 2013-02-0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menu based on depth information and space gesture of user
EP2965182B1 (en) 2013-03-05 2019-06-19 Fasetto, Inc. System and method for cubic graphical user interfaces
CN104142775A (zh) * 2013-05-08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项快捷操作的实现方法
KR20140133357A (ko)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40133361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US20150020000A1 (en) * 2013-07-11 2015-01-15 Crackpot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unique media and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ES2684300T3 (es) * 2013-07-18 2018-10-02 Fasetto, L.L.C. Sistema y método de vídeos de múltiples ángulos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KR20180128091A (ko) 2013-09-03 2018-11-30 애플 인크. 자기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305362B1 (ko) * 2013-09-03 2021-09-24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조작
DE102013015156B4 (de) * 2013-09-11 2016-10-20 Unify Gmbh & Co. Kg System und Verfahren zum Ermitteln des Präsenzstatus eines in einem Netzwerk registrierten Benutzers
US9665206B1 (en) 2013-09-18 2017-05-30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adaptable to multiple input tools
US10095873B2 (en) 2013-09-30 2018-10-09 Fasetto, Inc. Paperless application
US20150160824A1 (en) * 2013-11-12 2015-06-11 Cubed, Inc. Systems and method for mobile social network interactions
CN104750399B (zh) * 2013-12-27 2018-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标识显示的控制方法和装置
US9584402B2 (en) 2014-01-27 2017-02-28 Fasett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USD795925S1 (en) * 2014-04-16 2017-08-29 Hitachi,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WO2015200889A1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CA3166669A1 (en) 2014-07-10 2016-01-14 Fasett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editing
US9971501B2 (en) * 2014-08-07 2018-05-15 Verizon New Jerse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ive arrangement and represent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TWI582641B (zh) 2014-09-02 2017-05-11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WO2016039570A1 (en) * 2014-09-12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KR102407623B1 (ko) 2014-09-29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437288B2 (en) 2014-10-06 2019-10-08 Fasetto, Inc. Portable storage device with modular power and housing system
JP6695868B2 (ja) 2014-10-06 2020-05-20 ファセ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ポータブル・ストレージ・デバイス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619801A (zh) * 2014-11-20 2016-06-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資料夾顯示方法及系統
US10127331B2 (en) * 2014-12-15 2018-11-13 The Boeing Company 3D models utilizing 3D markers to indicate engineering requirements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JP6754369B2 (ja) 2015-03-11 2020-09-09 ファセ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ウェブapi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067653B2 (en) 2015-04-01 2018-09-0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007399B2 (en) * 2015-05-06 2018-06-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formation block user interface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929071B2 (en) 2015-12-03 2021-02-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mory card emulation
CN105718112A (zh) * 2016-01-20 2016-06-29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754495B1 (en) * 2016-04-05 2020-08-25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3-D screen menus
CN107037955A (zh) 2016-10-24 2017-08-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信息的方法及装置
US10956589B2 (en) 2016-11-23 2021-03-23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DE102017000569A1 (de) * 2017-01-23 2018-07-26 e.solutions GmbH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von Eingabebereichen an einer grafischen Benutzeroberfläche
JP7181882B2 (ja) 2017-02-03 2022-12-01 ファセ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連携デバイスにおけるデータ格納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589884A (zh) * 2017-07-18 2018-01-16 朱小军 一种3d立体显示交互方法及智能移动终端
WO2019014856A1 (zh) * 2017-07-18 2019-01-24 朱小军 一种3d立体显示交互方法及智能移动终端
WO2019079628A1 (en) 2017-10-19 2019-04-25 Fasett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S
CN115016692A (zh) * 2018-03-01 2022-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图形用户接口及终端
RU2673956C1 (ru) * 2018-03-16 2018-12-03 ООО "Ай Ти Ви групп"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ментами графическог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JP2021522568A (ja) 2018-04-17 2021-08-30 ファセッ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アル・タイム・フィードバックを伴うプレゼンテーションのためのデバイス
US20190332249A1 (en) * 2018-04-25 2019-10-3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Rolling interface object
EP3598284A1 (en) * 2018-07-18 2020-01-22 Hololab Sp. z o.o. A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 multi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DK179896B1 (en) 2018-09-11 2019-08-30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CN111854116A (zh) * 2019-04-26 2020-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器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控制器
CN112448825B (zh) * 2019-08-30 2022-03-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会话创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142722A (zh) * 2019-12-20 2020-05-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展示应用内容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638824B (zh) * 2020-05-27 2022-02-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未读消息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221977A1 (en) * 2021-01-08 2022-07-14 Mike Rosen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Computer File Collaborativ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CN113157180B (zh) * 2021-03-29 2024-03-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的触控操作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30400960A1 (en) * 2022-06-13 2023-12-14 Illusc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to Control Computer Operation
CN115089078B (zh) * 2022-07-30 2023-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机器人控制指令生成方法、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015A (en) 1995-09-01 1997-10-14 Silicon Graphics, Inc. Four-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6597358B2 (en) * 1998-08-26 2003-07-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two and three-dimensional computer applications within a 3D meta-visualization
US7134095B1 (en) * 1999-10-20 2006-11-07 Gateway, Inc. Simulated three-dimensional navigational menu system
US7216305B1 (en) * 2001-02-15 2007-05-08 Denny Jaeger Storage/display/action object for onscreen use
US7007242B2 (en) 2002-02-20 2006-02-28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7277572B2 (en) * 2003-10-10 2007-10-02 Macpearl Design Llc Three-dimensional interior design system
JP2007041726A (ja) * 2005-08-01 2007-02-15 Ricoh Co Ltd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US8869027B2 (en) * 2006-08-04 2014-10-21 Apple Inc.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dashboards
US8972898B2 (en) * 2007-02-06 2015-03-03 Novell Intellectual Properties, Inc. Techniques for representing and navigating in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KR100841330B1 (ko) 2007-04-2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배경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들을이용한 단말기
KR20080096134A (ko) 2007-04-27 2008-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웹페이지 제어방법
US20090089692A1 (en) * 2007-09-28 2009-04-02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JP5144293B2 (ja) * 2008-02-04 2013-02-13 株式会社プロフィールド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115471A1 (en) * 2008-11-04 2010-05-06 Apple Inc. Multidimensional widgets
US8132120B2 (en) * 2008-12-29 2012-03-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face cube for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873A (ko) * 2014-02-11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7719A (zh) 2011-01-26
EP2278430A2 (en) 2011-01-26
EP2278430A3 (en) 2013-05-01
EP2278430B1 (en) 2019-08-07
US20100315417A1 (en) 2010-12-16
US8866810B2 (en) 2014-10-21
KR101608764B1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6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8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77976B1 (en) Mobile terminal with image projection
KR1018027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89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KR2010006237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161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697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444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362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200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1138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840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KR20100043476A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3537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404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1200232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1619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070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309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KR201101118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45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490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36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