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262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262A
KR20120023262A KR1020100085517A KR20100085517A KR20120023262A KR 20120023262 A KR20120023262 A KR 20120023262A KR 1020100085517 A KR1020100085517 A KR 1020100085517A KR 20100085517 A KR20100085517 A KR 20100085517A KR 20120023262 A KR20120023262 A KR 20120023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image
mobile terminal
display level
imag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982B1 (ko
Inventor
김종환
유재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82B1/ko
Priority to US13/049,373 priority patent/US8692853B2/en
Priority to EP11002936.0A priority patent/EP2426583B1/en
Priority to CN201110135223.5A priority patent/CN102387247B/zh
Publication of KR2012002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6Arrangements for sorting, selecting, merging, or comparing data on individual record carriers
    • G06F7/08Sorting, i.e. grouping record carriers in numerical or other ordered seque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they car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3 dimention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3차원 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이동 단말기는, 객체 이미지를 그것에 설정된 3차원 표시 레벨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객체 이미지에 설정된 3차원 표시 레벨을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3차원 표시 레벨 변경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을 직접 선택하여야 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특정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을 직접 선택하여 3차원 표시 레벨 변경을 위한 상태를 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객체 이미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간편하게 3차원 표시 레벨을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어느 객체 이미지를 기준으로 다른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선택 동작 및 제 2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서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변환 과정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 제 2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의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어느 객체 이미지를 기준으로 다른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할 수 있으므로,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객체 이미지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간편하게 변환 설정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어느 객체 이미지를 기준으로 다른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할 수 있으므로, 다른 객체 이미지에 대하여 변환 설정하고자 하는 3차원 표시 레벨을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의 터치 패턴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인지 드로잉 이미지인지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 변환 과정을 점차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변환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9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겹쳐서 디스플레이되는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기준 객체 이미지 내에 3차원 입력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미도시)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2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2차원 표시 방식 및 3차원 표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 동작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이미지(3D 이미지)는,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통해 만들어지는 평면 영상이고, 3차원 입체 영상(Stereoscopic 3D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와 실체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는 영상(4D 이미지라고도 함)일 수 있다. 이하에서 3차원으로 표시되는 이미지라 함은,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입체 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하여, 3차원 표시 방식에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식(또는 안경 방식, 가정용 TV에 대세임),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방식(또는 무안경 방식, 모바일용 단말에 대세임), 프로젝션(Projection) 방식(또는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3차원 표시 레벨은, 객체 이미지를 3차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객체 이미지의 돌출 정도 또는 함몰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객체 이미지는, 해당 3차원 표시 레벨에 따라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또는 함몰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3 차원 표시 레벨은, 3차원 돌출 표시 레벨 및 3차원 함몰 표시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의 3차원 표시 레벨에는, 각각에 해당하는 돌출 거리 또는 함몰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3차원 돌출 표시 레벨에는 돌출 거리 d이, 제 2 3차원 돌출 표시 레벨에는 돌출 거리 2d이, 제 1 3차원 함몰 표시 레벨에는 함몰 거리 -d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선택 동작을 입력받고(S310), 제 2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는다(S320). 이때,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은,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은,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포함하여, 그것의 입력 형태에 제한 없이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이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례인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 입력부(15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는, 위젯(widget) 이미지, 숏컷(shortcut) 이미지, 사진 이미지, 드로잉(drawing) 이미지, 텍스트(text) 포함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는, 아이콘 형태 또는 썸네일 형태(이미지인 경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거나 겹쳐져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는, 각각에 설정된 3차원 표시 레벨에 따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에는, 함몰 정도 또는 돌출 정도를 달리하는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은, 동시에 입력되거나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동작이 터치 동작인 경우, 동시 입력은 멀티 터치 동작일 수 있고, 순차적 입력은 제 1 터치 동작의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 2 터치 동작의 입력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분석한다(S330).
분석 단계(S33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순서,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패턴,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인지 드로잉 이미지 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설정하고(S340),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한다(S350)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표시 레벨의 변환에 있어서, 기준 객체 이미지는, 변환의 기준이 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변환 객체 이미지는, 변환 대상이 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른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의 설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 동작을 터치 동작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 1 경우에 의하면, 제 1 터치 동작의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 2 터치 동작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먼저 터치된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나중에 터치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경우에 의하면, 1회 터치의 제 1 터치 동작 및 2회 터치의 제 2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1회 터치된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2회 터치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제 3 경우에 의하면, 제 1 시간 동안 터치의 제 1 터치 동작 및 제 2 시간 동안 터치의 제 2 터치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시간 동안 터치된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제 2 시간 동안 터치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제 4 경우에 의하면, 제 1 객체 이미지가 그래픽(graphic) 이미지이고 제 2 객체 이미지가 텍스트(text) 포함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제 5 경우에 의하면, 제 1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이고 제 2 객체 이미지가 드로잉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각각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함에 따라,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이하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이하 제 1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한다(S360).
예를 들어, 제 1 3차원 표시 레벨이 돌출 거리가 2d이고,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이 함몰 거리가 -2d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돌출 거리가 2d가 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변환 단계(S36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을 확인하고, 제 2 객체 이미지의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이 제 1 객체 이미지의 제 1 3차원 표시 레벨과 상이한 경우 상기한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이 동일하다면 변환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변환 단계(S36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점차로 변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한번에 제 1 3차원 표시 레벨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3차원 표시 레벨에서 제 1 3차원 표시 레벨까지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3차원 표시 레벨이 돌출 거리가 2d이고,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이 함몰 거리가 -2d이고, 단계별 거리가 d라고 가정하면, 제어부(180)는,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단계적으로 "-d, 0, d, 2d" 순서로 변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변환 단계(S350)의 수행 중임을 알리는 알림 동작을 출력부(150)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중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변환 단계(S360)의 수행 중에 진동을 출력하거나, 변환 알림 음을 출력하거나, 변환 알림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변환 단계(S360)의 수행 결과에 따라,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상술한 제 1 3차원 표시 레벨에 해당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한다(S370).
디스플레이 단계(S37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를 제 1 객체 이미지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하여 제 2 객체 이미지를 오버래이(overlay)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객체 이미지의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절되거나 제어부(180)에 의해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7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변환 단계(S360)의 수행 이전에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겹쳐져서 디스플레이한 경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7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3차원 표시 레벨을 단계적으로(또는 점차로) 변환하는 경우, 단계적 변환 과정이 반영되도록 제 2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의 단계적 변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의 설정 및 디스플레이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을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의 터치 패턴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401 내지 404)를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객체 이미지(401)에는 돌출 거리 2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2 객체 이미지(402)에는 함몰 거리 -2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3 객체 이미지(403)에는 돌출 거리(또는 함몰 거리) 0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4 객체 이미지(404)에는 돌출 거리 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401)에 대한 터치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제 2 객체 이미지(402)에 대한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먼저 터치된 제 1 객체 이미지(4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나중 터치된 제 2 객체 이미지(4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4b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401)에 대한 터치를 입력받는 경우, 제 2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402 내지 404) 각각에 대하여 체크 박스(402-1 내지 404-1)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제 2 객체 이미지(402)에 대한 체크 박스(402-1)를 선택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4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체크 박스를 통하여 선택된 제 2 객체 이미지(4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402)의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2d)을 제 1 객체 이미지(401)의 3차원 표시 레벨(돌출 거리 2d)과 동일하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그래픽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501) 및 텍스트 포함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502)를 각각 해당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객체 이미지(501)에는 함몰 거리 -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2 객체 이미지(502)에는 돌출 거리 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501, 502)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그래픽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5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설정하고, 텍스트 포함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5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의 입력 순서 또는 터치 패턴에 관계없이,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그래픽 이미지 인지 테스트 포함 이미지 인지)에 따라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502)의 3차원 표시 레벨(돌출 거리 d)을 제 1 객체 이미지(501)의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d)과 동일하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인지 드로잉 이미지인지에 따라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변환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진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601) 및 드로잉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602)를 각각 해당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객체 이미지(601)에는 돌출 거리 2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2 객체 이미지(602)에는 함몰 거리 -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601, 602)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사진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6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설정하고, 드로잉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6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의 입력 순서 또는 터치 패턴에 관계없이, 사진 이미지 인지 드로잉 이미지 인지에 따라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602)의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d)을 제 1 객체 이미지(601)의 3차원 표시 레벨(돌출 거리 2d)과 동일하게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변환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 변환 과정을 점차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701) 및 제 2 객체 이미지(702)를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객체 이미지(701)에는 돌출 거리 2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고, 제 2 객체 이미지(702)에는 함몰 거리 -d인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701, 702)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입력받고, 제 1 객체 이미지(7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제 2 객체 이미지(7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b 내지 도 7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702)의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d)을 단계적으로 변환하여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돌출 거리 2d)과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객체 이미지(702)의 3차원 표시 레벨을 돌출 거리 -d(시작), 돌출 거리 0, 돌출 거리 d, 돌출 거리 2d(종료)의 순서대로 단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객체 이미지(702)의 3차원표시 레벨의 단계적 변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변환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텍스트 포함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502)에 대하여 그래픽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501)와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d)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그래픽 이미지인 제 1 객체 이미지(501)에 대하여 텍스트 포함 이미지인 제 2 객체 이미지(502)를 오버래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객체 이미지(502)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객체 이미지(502)는 불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거나(도 8a),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8b).
도 9a 내지 도 10b는, 겹쳐서 디스플레이되는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 상이한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된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901_함몰 거리 -d, 902_함몰 거리 -3d)를 서로 겹쳐지게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901, 90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 1 객체 이미지(9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제 2 객체 이미지(902)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터치 동작의 입력 순서 등에 관계없이, 가장 앞에 또는 가장 뒤에 위치한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나머지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901, 902)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되, 제 2 객체 이미지(902)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제 1 객체 이미지(901)의 3차원 표시 레벨(함몰 거리 -d)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 상이한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된 제 1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1001 내지 1004)를 서로 겹쳐지게 3차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1001)에 대하여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된 제 1 객체 이미지(1001)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1002 내지 1004)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1001 내지 1004) 중 어느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터치 동작을 다른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어느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다른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1001 내지 1002)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되, 제 2 내지 제 4 객체 이미지(1002 내지 1004)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제 1 객체 이미지(1001)의 3차원 표시 레벨(돌출 거리 4d)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9b 또는 도 10b에서 겹쳐져서 디스플레이하던 복수의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객체 이미지 각각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또는 도 10a에서 터치 동작을 대신하여 단말기 흔들기 동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단말기 흔들기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가장 앞에 위치한 객체 이미지가 기준 객체 이미지가 되고, 나머지 뒤에 위치한 객체 이미지(들)는 변환 객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준 객체 이미지를 제외한 변환 객체 이미지의 크기만을 축소하거나,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를 모두 동일한 비율로 축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선택 동작에 의해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선택한 상태에서, 텍스트/이미지 추가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선택 가능한 이미지로서 현재 제 1 객체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면(예를 들어, 전체 화면에서 제 1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 별도의 선택 동작 없이도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텍스트/이미지 추가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객체 이미지와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이 설정된 3차원 입력 영역(또는, 3차원 입력창 또는 3차원 입력박스)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이미지 추가 명령은, 해당 키 버튼, 해당 키 영역 또는 해당 메뉴 항목의 선택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3차원 입력 영역에서 표시될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3차원 입력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3차원 입력 영역에 설정된 3차원 표시 레벨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메모리(16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화면 중 3차원 공간 영역을 배치하고자 하는 지점을 선택(또는 터치)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값을 인식하여 상기 선택된 지점에 3차원 입력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상에 구비된 3D 추가 키 영역(1101)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3D 추가 키 영역(1101)이 선택됨에 따라, 화면의 임의 지점에 3차원 입력 영역(1110)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또는 이미지)를 3차원 입력 영역(111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b에서 특정 지점(1102)이 선택되는 경우, 3차원 입력 영역(1110)을 특정 지점(1102)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지점(1102)의 선택은, 특정 지점(1102)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임의 지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3차원 입력 영역(1110) 내의 일 지점에서 특정 지점(1102)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51 터치 스크린
180 제어부
401, 501, 601, 701 제 1 객체 이미지
402, 502, 602, 702 제 2 객체 이미지

Claims (15)

  1.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선택 동작 및 제 2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서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변환 과정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시 레벨은,
    3차원 돌출 표시 레벨과 3차원 함몰 표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순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인지 드로잉 이미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각각 상기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 각각의 3차원 표시 레벨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점차로 변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점차적 변환 과정이 반영되도록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변환 과정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하여 오버래이(overlay)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변환 과정의 수행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한 변환 과정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과정의 수행 중임을 알리는 알림 동작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1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를 기준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
    제 2 객체 이미지에 대한 제 2 선택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을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의 3차원 표시 레벨과 동일하도록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단계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표시 레벨로 3차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순서, 상기 제 1 및 제 2 선택 동작의 입력 패턴,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의 객체 속성,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가 사진 이미지인지 드로잉 이미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 단계들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각각 상기 기준 객체 이미지 및 변환 객체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제 2 객체 이미지를 상기 제 1 객체 이미지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변환 단계의 수행 이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 이미지를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의 수행 중임을 알리는 알림 동작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00085517A 2010-09-01 2010-09-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8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17A KR101685982B1 (ko) 2010-09-01 2010-09-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3/049,373 US8692853B2 (en) 2010-09-01 2011-03-1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3 dimension display thereof
EP11002936.0A EP2426583B1 (en) 2010-09-01 2011-04-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3 dimensional display thereof
CN201110135223.5A CN102387247B (zh) 2010-09-01 2011-05-19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其三维显示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17A KR101685982B1 (ko) 2010-09-01 2010-09-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262A true KR20120023262A (ko) 2012-03-13
KR101685982B1 KR101685982B1 (ko) 2016-12-13

Family

ID=4406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517A KR101685982B1 (ko) 2010-09-01 2010-09-01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92853B2 (ko)
EP (1) EP2426583B1 (ko)
KR (1) KR101685982B1 (ko)
CN (1) CN1023872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8432B1 (en) * 2011-09-22 2016-05-10 Intuit Inc. Mobile device with 3-dimensional user interface
KR101899458B1 (ko) * 2012-01-11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N104053969B (zh) * 2012-01-12 2016-01-20 三菱电机株式会社 地图显示装置及地图显示方法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JP5377709B2 (ja) * 2012-05-23 2013-12-25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ゲーム装置
US8947385B2 (en) 2012-07-06 2015-02-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ve stereoscopic display
US20140009461A1 (en) * 2012-07-06 2014-01-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Device for Movement of Objects in a Stereoscopic Display
US9639924B2 (en) * 2012-09-24 2017-05-02 Seemsome Everyone Ltd Adding objects to digital photographs
CN103974008A (zh) * 2013-01-30 2014-08-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010181B (zh) * 2013-02-25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467558B2 (en) * 2013-06-14 2016-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01733B1 (ko) * 2013-09-30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67546B2 (en) 2013-10-29 2018-05-08 Vefx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images and videos to 3D for consumer, commercial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US20150116458A1 (en) 2013-10-30 2015-04-30 Barkatech Consul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hanced 3d-effects for real-time and offline appplications
US10158847B2 (en)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CN108573519B (zh) * 2017-03-14 2022-02-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三维图形文件生成和在客户端展示三维图形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709A (en) * 1996-09-26 1998-12-08 Xerox Corporation 3-D document workspace with focus, immediate and tertiary spaces
US7119819B1 (en) * 1999-04-06 2006-10-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wo-dimensional windows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KR100651324B1 (ko) * 2002-05-13 2006-11-2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3423T2 (de) 1994-12-16 2002-06-27 Canon Kk Anzeigeverfahren von hierarchischen Daten und Informationssystem zur Durchführung
US6064354A (en) 1998-07-01 2000-05-16 Deluca; Michael Joseph Stereoscopic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JP4463215B2 (ja) 2006-01-30 2010-05-19 日本電気株式会社 立体化処理装置及び立体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709A (en) * 1996-09-26 1998-12-08 Xerox Corporation 3-D document workspace with focus, immediate and tertiary spaces
US7119819B1 (en) * 1999-04-06 2006-10-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wo-dimensional windows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KR100651324B1 (ko) * 2002-05-13 2006-11-2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7247B (zh) 2014-05-28
EP2426583A3 (en) 2015-04-01
EP2426583B1 (en) 2017-08-30
US20120050262A1 (en) 2012-03-01
CN102387247A (zh) 2012-03-21
KR101685982B1 (ko) 2016-12-13
US8692853B2 (en) 2014-04-08
EP2426583A2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98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3차원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389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표시 방식 전환 방법
US8826184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715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1000636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0004200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2011001362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14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574061A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185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4196A (ko)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370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11137A (ko) 이동 단말기 및 멀티 태스킹 제어 방법
KR201101378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221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727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처리 방법
KR201200336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34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84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26549B1 (ko) 모바일 실시간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터치 조작 방식
KR20110131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46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화 제어 방법
KR10167495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7800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