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408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8408A KR20120008408A KR1020100069239A KR20100069239A KR20120008408A KR 20120008408 A KR20120008408 A KR 20120008408A KR 1020100069239 A KR1020100069239 A KR 1020100069239A KR 20100069239 A KR20100069239 A KR 20100069239A KR 20120008408 A KR20120008408 A KR 20120008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menu item
- touch
- line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 1 라인의 제 1 지점에서 제 2 라인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지점이 속하는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제 2 라인 중 상기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의 구성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텍스트 형식 또는 아이콘 형식으로 메뉴 항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는, 어느 메뉴 항목을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어느 메뉴 항목의 이동으로 인하여 제 2 위치에 표시되고 있던 다른 메뉴 항목을 다른 라인으로 이동시키되, 메뉴 항목의 크기를 변경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메뉴 항목 이동으로 인하여 이전에 배치된 메뉴 항목의 위치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뉴 항목 이동으로 인하여 특정 라인의 메뉴 항목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메뉴 항목의 표시 영역이 감소하거나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메뉴 항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라인에 위치한 메뉴 항목이 제 1 라인이 아닌 다른 라인을 이동시켜 메뉴 항목을 재배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1 라인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2 라인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지점이 속하는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제 2 라인 중 상기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어느 라인은, 해당 메뉴 항목으로서 이동 불가능한 이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배치 이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에 더하여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은,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1 라인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2 라인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지점이 속하는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제 2 라인 중 상기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 라인의 제 1 메뉴 항목이 제 2 라인으로 이동 배치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라인의 메뉴 항목별 가로 길이 비율 조정할 수 있다.
둘째, 제 1 라인의 제 1 메뉴 항목이 제 2 라인으로 이동 배치되는 경우, 제 1 라인에서 제 1 메뉴 항목이 삭제되고 제 2 라인에서 제 1 메뉴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셋째, 제 1 라인의 제 1 메뉴 항목이 제 2 라인으로 이동 배치되는 경우 제 2 라인에 기존에 포함된 메뉴 항목에 더하여 제 1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 1 메뉴 항목의 배치로 인하여 제 2 라인에 기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이 다른 라인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항목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이 기본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 또는 복수의 라인이 사용자 설정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의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정 메뉴 항목에 대한 이동 가능 상태를 해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2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을 이동 배치하는 화면 구성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중인 메뉴 항목 복사본의 위치에 따른 배치 가능 지점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7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페이지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항목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이 기본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 또는 복수의 라인이 사용자 설정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의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정 메뉴 항목에 대한 이동 가능 상태를 해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2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을 이동 배치하는 화면 구성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중인 메뉴 항목 복사본의 위치에 따른 배치 가능 지점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17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페이지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이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미도시)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2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례로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참조 번호 151을 부여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메뉴 항목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메뉴 화면은, 복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메뉴 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메뉴 화면을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메뉴 화면을 각각의 해당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메뉴 화면을 제 1 페이지에서 제 2 메뉴 화면을 제 2 페이지에서, 제 N 메뉴 화면을 제 N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다른 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메뉴 화면 구성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메뉴 화면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3a에 의하면, 메뉴 화면은 복수의 라인들(310 내지 340)을 포함하고, 각각이 라인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311 내지 316)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b)에 의하면, 제 1 라인(310)에는 '통화'(311) 및 '전화번호부'(312)가, 제 2 라인(320)에는 '메시지'(313)이, 제 3 라인(330)에는 이미지 영역(360) 및 '인터넷'(314)이, 제 4 라인(340)에는 '이메일'(315) 및 '통화 목록'(316)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3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250)에는 복수의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페이지 각각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351 내지 35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 1 페이지에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제 1 페이지에 해당하는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가 식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라인들(310 내지 340) 중 어느 라인{도 3a에서는 제 3 라인(330)임}에는, 어느 라인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으로서 이미지 영역(3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영역(360)은, 하나의 메뉴 화면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이미지 영역(360)은, 메뉴 항목들과 달리 이동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영역(360)의 크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영역(360)에는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특정 이미지는 이미지 영역(360)이 포함된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대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영역(360)에는, 특정 이미지의 전체 또는 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영역(36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일반 인디케이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일반 인디케이터 영역에서는 단말기 상태 정보(잔여 배터리 양, 날짜/시각 정보, 신호 세기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메뉴 화면에는, 각 라인별로 최대 포함 가능한 수의 메뉴 항목{이미지 영역(360)도 메뉴 항목으로 포함}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메뉴 화면에 최대 포함 가능한 라인이 4개(310 내지 340)이고, 하나의 라인에 최대 포함 가능한 메뉴 항목이 3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메뉴 화면에는 최대 12개의 메뉴 항목(엄밀히 말하면, 메뉴 항목 11개, 이미지 영역 1개)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 또는 메뉴 항목별 가로 길이 비율은, 디폴트(default) 설정되어 있거나 단말기에 의해 자동 설정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미지 영역(360)은, 해당 라인의 메뉴 항목별 가로 길이 비율 또는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크기 또는 크기 비율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메뉴 화면에는, 각 라인별로 최소 포함 가능한 수의 메뉴 항목{이미지 영역(360)도 메뉴 항목으로 포함}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라인에 최소 포함 가능한 메뉴 항목이 1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메뉴 화면에는 최소 4개의 메뉴 항목(엄밀히 말하면, 메뉴 항목 3개, 이미지 영역 1개)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최소 포함 가능한 메뉴 항목의 수는, 1개 이상일 수 있고, 라인별로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각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은, 디폴트(default) 설정되어 있거나 단말기에 의해 자동 설정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라인에 포함된 메뉴 항목의 가로 길이는, 해당 라인의 최대 가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라인에 최소 포함 가능한 수(예를 들어, 1개)의 메뉴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3c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라인(310 내지 340)이 모두 해당 됨}, 특정 라인에 포함된 메뉴 항목은 다른 라인으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다. 이는, 라인에는 최소 포함 가능한 수만큼의 메뉴 항목이 최소한 포함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다른 페이지의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뉴 항목을 가져와서 특정 라인에 배치하고, 특정 라인에 포함된 메뉴 항목들 중 어느 메뉴 항목을 다른 라인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특정 라인(전체 또는 일부 라인을 의미함)에 포함된 전체 메뉴 항목 또는 일부 메뉴 항목은, 상기 지정된 세로 길이 비율에 관계없이 일정 세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페이지에 해당하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a는 제 1 페이지의 제 1 메뉴 화면(410)을 도시하고, 도 4b는 제 2 페이지의 제 2 메뉴 화면(420)을 도시하고, 도 4c는 제 3 페이지의 제 3 메뉴 화면(430)을 도시하고, 도 4d는 제 4 페이지의 제 4 메뉴 화면(440)을 도시하고, 도 4e는 제 5 페이지의 제 5 메뉴 화면(450)을 도시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페이지 인디케이터(351 내지 355)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 화면(또는 그것에 해당하는 페이지)을 알려주기 위하여 식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 1 메뉴 화면(410) 또는 제 1 메뉴 화면(410)에 해당하는 제 1 페이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에 글로우(glow) 효과를 줄 수 있다.
복수의 메뉴 화면(또는 페이지) 간 이동에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메뉴 항목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뉴 항목을 '전화번호부(Address book)'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의하면, 메뉴 항목은, 레이어(layer)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레이어(background layer), 텍스쳐 레이어(texture layer), 텍스트 레이어(text layer)(국문 레이어, 영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레이어들은, 메뉴 항목별로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백그라운드 레이어 및 텍스쳐 레이어는, 최대 사이즈로 제작되고,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의 위치, 크기 또는 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텍스트 레이어는,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의 위치, 크기 또는 비율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텍스트 레이어는, 다양한 언어(예를 들어, 국문, 영문 등)로 제작될 수 있고, 하나의 라인에 최대 포함 가능한 메뉴 항목의 수만큼의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b에 의하면, 메뉴 항목의 텍스트 레이어는, 국문 레이어(a) 또는 영문 레이어(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이 기본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6a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라인(310, 320)에는 각각 메뉴 항목 '메시지' 및 이미지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라인에 하나의 메뉴 항목 또는 하나의 이미지 영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포함된 메뉴 항목 또는 이미지 영역은 다른 라인으로 이동 불가능할 수 있고, 상기 포함된 메뉴 항목 또는 이미지 영역은 해당 라인의 전체 표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b(a)에 의하면, 특정 라인에 2 개의 메뉴 항목이 포함되고 2 개의 메뉴 항목에 대한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예를 들어, 143:97)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특정 라인에 포함된 2 개의 메뉴 항목은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왼쪽에 위치한 메뉴 항목이 143, 오른쪽에 위치한 메뉴 항목이 97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원래 위치하고 있던 메뉴 항목이 143, 이동 배치된 메뉴 항목이 97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143 및 97로 디스플레이될 메뉴 항목이 각각 지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b(a)는, 특정 라인에 포함 가능한 디폴트 메뉴 항목의 수로 2개가 지정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b(b)에 의하면, 특정 라인에 2 개의 메뉴 항목이 포함되고, 2 개의 메뉴 항목에 대한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라인에 포함된 2 개의 메뉴 항목은 1대1 비율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6b(b)는, 특정 라인에 포함 가능한 디폴트 메뉴 항목의 수로 2개가 아닌 수가 지정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 또는 복수의 라인이 사용자 설정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라인(310)에 메뉴 항목으로서 '이메일', '통화 목록'인 포함된 상태에서 '이메일'의 일 지점에서 '통화 목록'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오른 방향)을 입력받는 경우(a),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이메일'의 가로 길이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통화 목록'의 가로 길이는 '이메일'의 가로 길이 확대에 상응하여 축소될 수 있다.
물론, '이메일'의 일 지점에서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이메일'의 가로 길이는 축소되고 '통화 목록'의 가로 길이는 확대될 수 있다.
도 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라인(320)의 일 지점에서 제 1 라인(310)의 일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윗 방향)을 입력받는 경우(a),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2 라인(320)의 세로 길이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310)의 세로 길이는 제 2 라인(320)의 세로 길이 확대에 상응하여 축소될 수 있다.
물론, 제 2 라인(320)의 일 지점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 2 라인(320)의 세로 길이는 축소되고 제 1 라인(310)의 세로 길이는 확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 검색을 통하여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메뉴 화면에서 최대 포함 가능한 라인의 수가 4개이고, 하나의 라인에서 최대 포함 가능한 메뉴 항목의 수가 3개 라고 가정한다.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8a의 리스트로부터 라인 비율 설정이 선택된 경우, 제 1 내지 제 4 라인 각각의 세로 길이 비율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세로 길이가 100이라고 가정하고, 제 1 라인에 30, 제 2 라인에 30, 제 3 라인에 20, 제 4 라인에 2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8b에서는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의 기본 설정에 관한 도면을 도시하고, 세로 길이 비율의 기본 설정과 별개로 특정 라인에 포함되는 특정 메뉴 항목 또는 이미지 영역의 세로 길이는 별도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8a의 리스트로부터 메뉴 항목 비율 설정이 선택된 경우, 라인별로 메뉴 항목이 2개 및 3개인 경우 각각에 대하여 메뉴 항목별 가로 길이 비율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라인에 대하여, 메뉴 항목이 2개인 경우 전체 가로 길이를 200으로 가정하면 130:70이 설정될 수 있고, 메뉴 항목이 3개인 경우 전체 가로 길이를 100으로 가정하면 30:40:3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8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8a의 리스트로부터 대표 이미지 설정이 선택된 경우, 메뉴 화면별로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리스트로부터 대표 이미지 설정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메뉴 화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메뉴 화면 각각에 포함된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각각 선택하거나 공통 선택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전체 중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복수 개 선택할 수도 있다.
특히, 하나의 이미지 영역에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이미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에서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제 1 라인에 위치한 메뉴 항목을 제 1 라인이 아닌 다른 라인으로 이동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화면 구성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상에 디스플레이한다(S910).
제어부(180)는, 각 라인에 포함될 메뉴 항목의 개수 및 메뉴 화면에 포함될 라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단말기 임의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의 가로 길이 비율 및 하나의 메뉴 화면에 포함될 복수의 라인들의 세로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도 8a 내지 도 8d 참조). 이때, 제어부(180)는, 단말기 임의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메뉴 항목의 개수, 라인의 개수, 메뉴 항목별 가로 길이 비율 또는 라인별 세로 길이 비율에 따라,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외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관련하여서는 앞선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 중 제 1 라인(복수의 라인 중 임의 라인을 의미함)에 배치된 제 1 메뉴 항목(제 1 라인에 배치된 임의 메뉴 항목을 의미함)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 설정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다(S920).
여기에서, 이동 가능 상태 설정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이하 이동 터치 동작)은, 제 1 메뉴 항목의 실행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이하 실행 터치 동작)과 구별될 수 있다. 이때, 이동 터치 동작 및 실행 터치 동작 각각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의 패턴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터치 동작은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실행 터치 동작은 일정 시간 미만의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터치 동작은 멀티 터치 동작을, 실행 터치 동작은 싱글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터치 동작은 복수 회 터치 동작을, 실행 터치 동작은 1 회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터치 동작 및 실행 터치 동작은, 각각 해당 특정 액션을 갖는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단계(S9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 개의 메뉴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이동 터치 동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920)에서 제 1 메뉴 항목에 대한 이동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를 설정하고, 제 1 메뉴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한다(S930).
여기에서, 제 1 메뉴 항목의 식별 디스플레이는,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되었음을 알리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메뉴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하는 방안으로서, 다른 메뉴 항목들에 비하여 제 1 메뉴 항목의 선명도를 높게 하거나, 제 1 메뉴 항목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제 1 메뉴 항목의 테두리를 일정 진하기로 표시하거나, 제 1 메뉴 항목을 진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이동 터치 동작과 실행 터치 동작에 따른 제 1 메뉴 항목의 식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터치 동작은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이고, 실행 터치 동작은 일정 시간 미만의 터치 동작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제 1 메뉴 항목은 인터넷(314)이라고 가정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에 대하여 일정 시간 미만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인터넷(314)의 밝기를 20% 증가시키고 인터넷(314)에 관련된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터치 시간에 비례하도록 인터넷(314)의 밝기가 점차로 증가할 수 있다(최대 20% 증가).
도 10a 및 도 10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에 대하여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인터넷(314)의 밝기를 40% 증가시키고 인터넷(314)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시간에 비례하도록 인터넷(314)의 밝기가 점차로 증가할 수 있다(최대 40% 증가).
한편, 실행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밝기 증가 정도 20% 및 이동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밝기 증가 정도 40%는 일례이고,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동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밝기 증가 정도가 실행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밝기 증가 정도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터치 동작이 입력된 제 1 메뉴 항목이 이동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예를 들어, 해당 라인에 이동 터치 동작이 입력된 메뉴 항목만 포함된 경우 또는 이동 터치 동작이 입력된 메뉴 항목이 이미지 영역인 경우), 이동 불가능한 상태임을 알리기 위하여 제 1 메뉴 항목을 식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뉴 항목의 테두리를 일정 횟수 점멸하거나, 제 1 메뉴 항목을 최대 투명도 또는 최대 밝기로 표시하였다가 원래대로 복귀시키거나, 제 1 메뉴 항목을 일정 시간 동안 페이드 인(fade-in) 표시하였다가 일정 시간 동안 다시 페이드 아웃(fade-out) 표시할 수 있다.
도 9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된 제 1 메뉴 항목에 속하는 제 1 지점에서 제 2 라인(제 1 메뉴 항목이 속한 라인을 제외한 다른 라인을 의미함) 중 제 2 지점(제 2 라인 중 임의 지점을 의미함)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다(S950).
입력 단계(S950)에서는,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제 1 및 제 2 지점에 대한 멀티 터치 또는 순차적 터치를 터치 드래그 동작에 준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의 경로에 상응하도록 제 1 메뉴 항목의 복사본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현재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 1 메뉴 항목의 복사본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터치 지점이 이동됨에 따라 제 1 메뉴 항목의 복사본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복수의 라인 중 제 1 메뉴 항목이 배치 가능한 라인에서 배치 가능한 위치를 알리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라인에 포함된 제 2 및 제 3 메뉴 항목 사이에 제 1 메뉴 항목이 배치 가능한 경우, 제 2 및 제 3 메뉴 항목 사이에서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950)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메뉴 항목을 제 2 라인 중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한다(S960).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지점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제 2 지점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또는 터치 드래그 동작 제거 후 제 2 지점 또는 제 1 메뉴 항목이 재 터치되는 경우에, 제 1 메뉴 항목을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라인의 제 1 메뉴 항목이 제 2 라인으로 이동 완료되는 경우(S960),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라인 각각에 대하여 메뉴 항목별 면적 및 위치를 조정한다(S970).
다시 말하면, 제어부(180)는, 제 1 라인에서 제 1 메뉴 항목을 삭제하고, 제 2 라인에서 제 1 메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이전에 제 1 라인에는 3개의 메뉴 항목이 제 2 라인에는 2개의 메뉴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제 1 라인에서 3개에서 2개로 메뉴 항목이 줄어듦에 따라 메뉴 항목이 2개인 경우의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남아 있는 2개의 메뉴 항목들의 면적 및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제 2 라인에서 2개에서 3개로 메뉴 항목이 늘어남에 따라 메뉴 항목이 3개인 경우의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제 1 메뉴 항목을 포함한 3개의 메뉴 항목들의 면적 및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배치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제 1 메뉴 항목에 대한 이동 가능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된 제 1 메뉴 항목(314)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제 1 메뉴 항목(314)의 복사본(314-1)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메뉴 항목(314)의 이동 배치 이전에 도 11a의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제 1 메뉴 항목(314)의 복사본(314-1)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제 1 메뉴 항목(314)의 이동 가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1b에서 제 1 메뉴 항목(314)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 다른 메뉴 항목이 터치되는 경우, 제 1 메뉴 항목(314)의 이동 가능 상태를 해제하고, 일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른 메뉴 항목에 대한 터치가 이동 터치 동작인 경우 다른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를 설정할 수 있고, 실행 터치 동작인 경우 다른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메뉴 항목에 대한 터치가 이동 터치 동작인지 실행 터치 동작인지에 관계없이, 다른 메뉴 항목에 대한 터치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항상 일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5b는, 이동 가능 상태의 제 1 메뉴 항목을 이동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메뉴 항목에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되어 있고, 제 1 메뉴 항목을 제 3 라인(330)에 포함된 인터넷(314)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 내의 일 지점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은, 인터넷(314)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넷(314)과 밝기 정도가 상이할 수 있고, 일정 투명도(예를 들어 50%)로 투명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이 투명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그것과 겹쳐지도록 위치되는 메뉴 항목들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특히, 도 12a(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한 지점을 알리는 지시자(1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시자(1201)는,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한 특정 라인에 포함된 메뉴 항목들 간의 어느 세로 경계선에 표시되거나, 특정 라인에 포함된 메뉴 항목들 중 가장 앞에 위치한 메뉴 항목의 왼쪽 세로 경계선 또는 가장 뒤에 위치한 메뉴 항목의 오른쪽 세로 경계선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시자(1201)는, 인터넷(314)의 복사본의 위치에 따라 그것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의 일정 기준 이상 면적이 특정 라인에 포함된 경우, 지시자(1201)는, 특정 라인에 포함된 세로 경계선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이 특정 라인 중 특정 세로 경계선에 겹쳐지도록 위치한 경우, 지시자(1201)는, 특정 세로 경계선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지시자(1201)가 제 1 라인(310)에 포함된 통화(311)와 전화번호부(312) 사이의 세로 경계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통화(311)와 전화번호부(312)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라인(33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 영역(360)이 제 3 라인(330)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제 1 라인(31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통화(311), 인터넷(314) 및 전화번호부(312)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310)에 배치된 3개의 메뉴 항목들은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제 1 라인(310)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 내의 일 지점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13a(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한 지점을 알리는 지시자(1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시자(130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 대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3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지시자(1301)가 제 1 라인(310)의 가장 앞에 위치한 통화(311)의 왼쪽 세로 경계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통화(311) 앞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라인(33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 영역(360)이 제 3 라인(330)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제 1 라인(31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인터넷(314), 통화(311) 및 전화번호부(312)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라인(310)에 배치된 3개의 메뉴 항목들은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제 1 라인(310)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 내의 일 지점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14a(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한 지점을 알리는 지시자(14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시자(1401)는, 1개의 메뉴 항목(또는 이미지 영역)이 포함된 라인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메뉴 항목 내에 임의로 생성되는 세로 경계선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지시자(140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 대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지시자(1401)가 제 2 라인(320)에 포함된 메시지(313) 내의 임의 세로 경계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메시지(313) 뒤에 배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메시지(313)를 좌우로 2등분하고, 지시자(1401)가 왼쪽 분할 영역에 위치한 경우 인터넷(314)을 메시지(313) 앞에 배치하고 지시자(1401)가 오른쪽 분할 영역(분할 영역의 경계선도 포함)에 위치한 경우 인터넷(314)을 메시지(313) 뒤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라인(33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 영역(360)이 제 3 라인(330)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라인(32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메시지(313) 및 인터넷(314)이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라인(320)에 배치된 2개의 메뉴 항목들은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제 2 라인(320)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 내의 일 지점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터치 드래그 경로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이동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도 15a(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한 지점을 알리는 지시자(15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시자(1501)는, 1개의 메뉴 항목(또는 이미지 영역)이 포함된 라인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메뉴 항목의 왼쪽 또는 오른쪽 세로 경계선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지시자(150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2a 및 도 12b에 대한 설명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지시자(1501)가 제 2 라인(320)에 포함된 메시지(313)의 왼쪽 세로 경계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메시지(313) 앞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지시자(1501)가 메시지(313)의 오른쪽 세로 경계선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면, 인터넷(314)을 메시지(313) 뒤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라인(33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 영역(360)이 제 3 라인(330) 전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라인(320)에는 인터넷(314)이 이동됨에 따라 인터넷(314) 및 메시지(313)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2 라인(320)에 배치된 2개의 메뉴 항목들은 디폴트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가로 길이 비율에 따라 제 2 라인(320)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중인 메뉴 항목 복사본의 위치에 따른 배치 가능 지점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터넷(314)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1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경로에 상응하여 인터넷(314) 복사본(314-1)의 일정 기준(예를 들어, 50%) 이상의 면적이 제 2 라인(320)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라인(320) 내에 지시자(16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 경로에 상응하여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의 일정 기준(예를 들어, 50%) 이상의 면적이 제 1 라인(310)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라인(310) 내에 지시자(16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의 면적 중 일정 기준 이상이 포함된 라인에 인터넷(314)이 이동 배치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하나의 라인에 메뉴 항목 복사본이 배치 가능한 지점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지점에 모두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되거나, 복수 개의 지점 중 메뉴 항목 복사본에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된 지점, 메뉴 항목 복사본에 가장 가까운 지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에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9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80). 또한, 각 페이지의 메뉴 화면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98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 영역에 복수의 페이지(또는 복수의 메뉴 화면) 각각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또는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식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4a 내지 도 4e 참조).
예를 들어, 제 1 페이지에서 제 3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경우 또는 제 3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을 명령하는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에 제 3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페이지 넘김 동작은,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S930 참조).
예를 들어, 페이지 넘김 동작에 의해 제 1 페이지에서 제 3 페이지로 이동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페이지에 해당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1 메뉴 항목의 복사본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메뉴 항목은 제 3 페이지에 해당하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어느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터넷(314)이 이동 가능 상태라고 가정한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되는 페이지 넘김 동작에 관련된 실시예들은 일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이동 가능 상태의 메뉴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페이지 넘김을 사용자로부터 명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에 의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①), 페이지 넘김을 명령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페이지 넘김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은, 터치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페이지 번호가 커지는 순서대로 페이지 넘김 동작을 명령하고, 터치 드래그 방향이 왼쪽인 경우 페이지 번호가 작아지는 순서대로 페이지 넘김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넘김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은, 터치 드래그 거리에 비례하여 넘겨지는 페이지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터치 드래그 거리가 클수록 넘겨지는 페이지의 수가 커질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넘김에 해당하는 프리킹 동작은, 프리킹 횟수 또는 속도에 비례하여 넘겨지는 페이지 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프리킹 횟수 또는 속도가 클수록 넘겨지는 페이지의 수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flicking)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②), 페이지 넘김을 명령받을 수 있다. 물론, 인터넷(314)이 이동 가능 상태가 아닌 일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인터넷(314)으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될 필요는 없고,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 동작의 입력 지점도 메뉴 화면 내라면 제한이 없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드래그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또는 프리킹 동작의 횟수 또는 속도에 따라, 페이지 넘김 방향 또는 넘겨지는 페이지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5 페이지 인디케이터 중 원하는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352)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경우(③) 상기 선택된 페이지 인디케이터(352)에 해당하는 페이지로의 넘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인터넷(314)이 이동 가능 상태가 아닌 일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17a에서 제 2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을 명령받은 경우, 제 1 페이지에 해당하는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2 페이지에 해당하는 제 2 메뉴 화면(420)으로의 순차적 넘김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2 메뉴 화면(420)으로 곧바로 화면 전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메뉴 화면(410)이 점차 왼쪽으로 밀려나면서 제 2 메뉴 화면(420)이 점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2 메뉴 화면(420)으로의 순차적 넘김 과정에 상응하여, 페이지 인디케이터의 식별 표시도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에서 제 2 페이지 인디케이터(352)로 점차 이동할 수 있다.
도 17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메뉴 화면(420)을 포함하는 제 2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이 완료되면, 제 2 메뉴 화면(420) 내의 임의 지점에서 이동 가능 상태의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7c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에서 제 2 메뉴 화면(420)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 중 특정 라인의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인터넷(314)이 배치 가능한 지점에 지시자(17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메뉴 화면(420)에 포함된 제 1 라인(310) 중 파일 보관함(317) 및 갤러리(318) 사이의 세로 경계선에 지시자(1701)가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파일 보관함(317) 및 갤러리(318)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메뉴 화면(420)의 제 1 라인(310)에는, 파일 보관함(317), 인터넷(314) 및 갤러리(318)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지 넘김 명령에 해당하는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제 1 페이지(a)에서 제 2 페이지(b)를 거쳐 제 3 페이지(c)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페이지에서 제 3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을 명령받은 경우, 제 1 페이지에 해당하는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3 페이지에 해당하는 제 3 메뉴 화면(430)으로의 순차적 넘김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3 메뉴 화면(430)으로 곧바로 화면 전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메뉴 화면(410)이 점차 왼쪽으로 밀려나면서 제 2 메뉴 화면(420)이 점차 디스플레이되고, 제 2 메뉴 화면(420)이 점차 왼쪽으로 밀려나면서 제 3 메뉴 화면(430)이 점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메뉴 화면(410)에서 제 3 메뉴 화면(430)으로의 순차적 넘김 과정에 상응하여, 페이지 인디케이터의 식별 표시도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 제 2 페이지 인디케이터(352), 제 3 페이지 인디케이터(353)로 순차적 이동할 수 있다.
도 1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메뉴 화면(430)을 포함하는 제 3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이 완료되면, 제 3 메뉴 화면(430) 내의 임의 지점에서 이동 가능 상태의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314)의 복사본(314-1)에서 제 3 메뉴 화면(430)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 중 특정 라인의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인터넷(314)이 배치 가능한 지점에 지시자(18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3 메뉴 화면(430)에 포함된 제 4라인(340) 중 단위 변환기 및 메모 사이의 세로 경계선에 지시자(1801)가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되는 경우, 인터넷(314)을 단위 변환기 및 메모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메뉴 화면(430)의 제 4 라인(340)에는, 단위 변환기, 인터넷(314) 및 메모가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페이지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페이지에서 제 2 페이지로 순차적으로 넘겨지는 경우라고 가정한다(도 17a 내지 도 17c 참조).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페이지 인디케이터는 외부 글로우(Outer glow) 표시되고, 나머지 페이지 인디케이터는 그레이(gray)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9a에 의하면, 제 1 페이지에서 제 2 페이지로 순차적 넘겨지는 경우,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도 제 1 페이지의 넘겨짐 정도에 상응하는 비율로 식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페이지의 넘겨짐 정도가 커질수록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의 외부 글로우 표시가 왼쪽에서부터 점차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 1 페이지 인디케이터(351)의 테두리를 틀(마스크)로 이용하여 외부 글로우 표시가 페이지 이동에 상응하여 점차 이동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9b에 의하면, 제 1 페이지에서 제 2 페이지로 순차적 넘겨지는 경우, 제 2 페이지 인디케이터(352)도 제 2 페이지로의 넘겨짐 정도에 상응하는 비율로 식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페이지로의 넘겨짐 정도가 커질수록, 제 2 페이지 인디케이터(352)의 외부 글로우 표시가 왼쪽에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 2 페이지 인디케이터(352)의 테두리를 틀(마스크)로 이용하여 외부 글로우 표시가 페이지 이동에 상응하여 점차 이동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전체 이미지 중 어느 부분 이미지인 경우, 이미지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이미지 영역 내에서 전체 이미지를 스크롤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크롤 결과 상기 전체 이미지 중 다른 부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영역(360) 내에서 전체 이미지 중 부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미지 영역(360)에 대한 이미지 스크롤 명령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스크롤 지시자(361)를 이미지 영역(36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 지시자(361)가 조작되는 경우, 이미지 영역(360) 내에서 전체 이미지를 스크롤할 수 있고, 스크롤 결과 검색된 다른 부분 이미지를 이미지 영역(360)의 이미지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b).
물론, 스크롤 지시자(361)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라도, 이미지 영역(360)의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수신함에 따라 이미지 영역(360) 내에서 전체 이미지를 스크롤할 수 있다.
도 2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이미지 영역(36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영역(360) 내의 일 지점에서 이미지 영역(360) 밖의 일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a),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이미지 영역(36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b).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드래그 동작에 상응하여 이미지 영역(360)의 크기를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영역(360)뿐만 아니라 특정 메뉴 항목에 대하여서도 상기한 실시예를 적용하여 그것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51 터치 스크린
180 제어부
310 내지 340 제 1 라인 내지 제 4 라인
350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
360 이미지 영역
151 터치 스크린
180 제어부
310 내지 340 제 1 라인 내지 제 4 라인
350 페이지 인디케이터 영역
360 이미지 영역
Claims (21)
-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1 라인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2 라인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지점이 속하는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제 2 라인 중 상기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어느 라인은, 해당 메뉴 항목으로서 이동 불가능한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배치 이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에 더하여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라인에 포함될 메뉴 항목의 개수 및 상기 메뉴 화면에 포함될 라인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라인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의 가로 길이 비율 및 복수의 라인들의 세로 길이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 설정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이지 넘김 동작에 상응하는 페이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과 다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른 메뉴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 상태의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에서 상기 다른 메뉴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라인 중 특정 라인의 임의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특정 라인 중 상기 임의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의 경로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복사본을 이동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상기 제 1 메뉴 항목이 배치 가능한 라인에서 배치 가능 위치를 알리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완료 후,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 각각에 대하여 메뉴 항목별 면적 및 위치를 조정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전체 이미지 중 어느 부분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전체 이미지를 스크롤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결과 상기 전체 이미지 중 다른 부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로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면의 일 영역에 복수의 페이지 각각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이 제 1 페이지의 제 1 메뉴 화면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식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이 제 1 페이지의 제 1 메뉴 화면인 경우, 제 2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페이지의 제 2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페이지 넘김을 명령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터치 동작에 상응하는 페이지의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지 넘김의 순차적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 각 라인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이 배치된 복수의 라인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1 라인의 제 1 지점에서 상기 복수의 라인에 포함된 제 2 라인의 제 2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지점이 속하는 제 1 메뉴 항목을 상기 제 2 라인 중 상기 제 2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어느 라인은, 해당 메뉴 항목으로서 이동 불가능한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인은,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배치 이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에 더하여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 설정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 항목에 대하여 이동 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메뉴 항목의 이동 가능 상태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넘김 동작에 상응하는 페이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화면과 다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른 메뉴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 상태의 상기 제 1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 동작 중에 상기 복수의 라인 중 상기 제 1 메뉴 항목이 배치 가능한 라인에서 배치 가능 위치를 알리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전체 이미지 중 어느 부분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 영역에 대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전체 이미지를 스크롤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롤 결과 상기 전체 이미지 중 다른 부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메뉴 화면이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의 일 영역에 복수의 페이지 각각에 해당하는 페이지 인디케이터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239A KR101761612B1 (ko) | 2010-07-16 | 2010-07-16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US13/024,175 US9134905B2 (en) | 2010-07-16 | 2011-02-0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rganizing a menu screen therein |
EP11159662A EP2410417A1 (en) | 2010-07-16 | 2011-03-24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rganizing a menu screen therein |
CN201110077364.6A CN102339203B (zh) | 2010-07-16 | 2011-03-24 | 移动终端和在其中组织菜单屏幕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239A KR101761612B1 (ko) | 2010-07-16 | 2010-07-16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408A true KR20120008408A (ko) | 2012-01-30 |
KR101761612B1 KR101761612B1 (ko) | 2017-07-27 |
Family
ID=4411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9239A KR101761612B1 (ko) | 2010-07-16 | 2010-07-16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134905B2 (ko) |
EP (1) | EP2410417A1 (ko) |
KR (1) | KR101761612B1 (ko) |
CN (1) | CN102339203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4043A (ko) * | 2015-05-14 | 201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513B1 (ko) * | 2011-03-03 | 2013-02-07 | 한국과학기술원 |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JP5782810B2 (ja) | 2011-04-22 | 2015-09-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1817653B1 (ko) * | 2011-09-30 | 2018-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KR20140055133A (ko) * | 2012-10-30 | 2014-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5945157B2 (ja) * | 2012-05-11 | 2016-07-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CN104321736B (zh) | 2012-05-21 | 2018-11-13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于通过使用触摸屏来控制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
KR20140000876A (ko) * | 2012-06-26 | 2014-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CN103631498B (zh) * | 2012-08-22 | 2016-06-08 | 三竹资讯股份有限公司 | 金融商品报价软件栏位重置的装置与方法 |
CN103838456B (zh) * | 2012-11-21 | 2017-12-1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桌面图标显示位置的控制方法及系统 |
KR20140073398A (ko) | 2012-12-06 | 2014-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20140282207A1 (en) * | 2013-03-15 | 2014-09-18 | Rita H. Wouhaybi | Integration for applications and containers |
WO2014157885A1 (en) * | 2013-03-27 | 2014-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
US10229258B2 (en) | 2013-03-27 | 2019-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
WO2015108310A1 (en) * | 2014-01-20 | 2015-07-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interface for touch devices |
US9477316B2 (en) | 2014-03-24 | 2016-10-25 | Intel Corporation |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via movement of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
KR20160005609A (ko) * | 2014-07-07 | 2016-0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
KR20160009915A (ko) * | 2014-07-17 | 2016-0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N104850340B (zh) * | 2015-01-30 | 2018-11-30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触控显示屏上的文档显示方法及装置 |
US10386994B2 (en) | 2015-02-17 | 2019-08-2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ontrol of item arrangement in a user interface |
KR20170020998A (ko) * | 2015-08-17 | 2017-0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JP7363096B2 (ja) * | 2019-05-23 | 2023-10-18 |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KR20210105153A (ko) * | 2020-02-18 | 2021-08-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CN114356177A (zh) * | 2021-12-31 | 2022-04-15 | 上海洛轲智能科技有限公司 | 车载系统菜单栏的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10799A1 (en) * | 1997-08-22 | 1999-03-04 | Natrificial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sizing and relocating windows within a graphical display |
US7013432B2 (en) * | 2001-04-30 | 2006-03-14 | Broadband Graphics, Llc | Display container cell modification in a cell based EUI |
JP2005004396A (ja) * | 2003-06-11 | 2005-01-06 | Sony Corp |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7370284B2 (en) * | 2003-11-18 | 2008-05-06 | Laszlo Systems, Inc. |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multiple applications |
US20060246955A1 (en) * | 2005-05-02 | 2006-11-02 | Mikko Nirhamo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
US7509588B2 (en) * | 2005-12-30 | 2009-03-2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
US20090213086A1 (en) * | 2006-04-19 | 2009-08-27 | Ji Suk Chae |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1094466A (zh) | 2006-06-21 | 2007-12-26 |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 移动通讯装置及其选单操作画面的显示方法 |
KR100841330B1 (ko) * | 2007-04-20 | 2008-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배경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들을이용한 단말기 |
US8127254B2 (en) * | 2007-06-29 | 2012-02-28 | Nokia Corporation | Unlocking a touch screen device |
US9619143B2 (en) | 2008-01-06 | 2017-04-1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
CN101452363A (zh) | 2007-11-30 | 2009-06-10 | 英业达股份有限公司 | 快捷图示选择界面及其选择方法 |
KR101613838B1 (ko) * | 2009-05-19 | 201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2010
- 2010-07-16 KR KR1020100069239A patent/KR101761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2-09 US US13/024,175 patent/US913490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3-24 EP EP11159662A patent/EP2410417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3-24 CN CN201110077364.6A patent/CN10233920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4043A (ko) * | 2015-05-14 | 201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10417A1 (en) | 2012-01-25 |
CN102339203B (zh) | 2015-07-29 |
KR101761612B1 (ko) | 2017-07-27 |
US20120017177A1 (en) | 2012-01-19 |
US9134905B2 (en) | 2015-09-15 |
CN102339203A (zh) | 2012-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161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 |
US10423297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660746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 |
KR10178805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110250930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10064044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
KR2011013985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 |
KR20110006361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20100039024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2012006691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058117A (ko) |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166073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070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0954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7814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1011294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11137A (ko) | 이동 단말기 및 멀티 태스킹 제어 방법 | |
KR20120055876A (ko) | 이동 단말기 및 다중 클립보드 제어 방법 | |
KR20140104316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81303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KR201200336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095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118061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13461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리스트 관리 방법 | |
KR20120046399A (ko) |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