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648A -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648A
KR20110000648A KR1020107021760A KR20107021760A KR20110000648A KR 20110000648 A KR20110000648 A KR 20110000648A KR 1020107021760 A KR1020107021760 A KR 1020107021760A KR 20107021760 A KR20107021760 A KR 20107021760A KR 20110000648 A KR20110000648 A KR 2011000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se portion
lamp cap
electrical connec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881B1 (ko
Inventor
위르겐 게. 메르텐
빈센트 도이르바데르
피트 베르버그
헨크 테 루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0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 Y10T29/4921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of fus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램프의 소켓(203)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102)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102)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대향 측부(104)를 구비하는 베이스부(101); 상기 개구(105)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부(101)의 제2 측부(104)에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 계면(106)-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과 상기 측벽 배열(103)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됨-;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통해 연장하여, 상기 램프 소켓(203)과 전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램프 캡(100)이 설명된다. 램프 캡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도 설명된다.

Description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A LAMP CA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램프 캡에 관한 것이다. 배타적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상에 램프를 탑재하기 위한 램프 캡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그러한 램프 캡을 포함하는 헤드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램프 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램프 캡들은 램프 홀더 상에 버너와 같은 램프 요소를 탑재하는 데 사용된다. 램프 요소는 일반적으로 투명 물질의 전구 내에 배치된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 램프 캡은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램프 홀더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램프 캡은 일반적으로 램프의 램프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램프 홀더의 대응하는 전기 접점들과 결합하는 전기 접점들을 구비한다.
램프 캡 및 버너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사용될 수 있다. 램프 버너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헤드라이트의 반사기를 조명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데 필요한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반사기에 대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반사기에 대한 램프의 정확한 배치는 램프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최적 반사를 얻는 데에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몇몇 타입의 램프 캡이 열경화성 프로세스들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열경화성 물질들의 사용은 처리 시간 및 제조 수율이 최적화되지 않는 결함을 갖는다. 또한, 열경화성 물질들의 가용성은 한정적이며, 가격이 상승하고, 열경화성 물질의 처리 시간은 더 길다. 더욱이, 제조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열경화성 물질들은 부정적인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감소된 비용, 향상된 제조 수율 및 덜 부정적인 환경적 영향으로 제조될 수 있는 램프 캡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전술한 문제들 중 하나 이상을 더 양호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램프 캡으로서, 상기 램프 캡의 주축을 따라 제1 측부를 통해 램프의 소켓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 및 개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대향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개구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 계면 -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과 상기 측벽 배열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됨 -;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램프 소켓과 전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램프 캡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제2 측부에 대해 밀봉된다.
상기 램프 캡은 상기 램프 캡의 제조 및/또는 조립 동안에 상기 램프 캡을 배치하기 위한 기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측벽 배열의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커넥터는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부; 상기 램프를 향해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 내에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램프의 전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램프 캡의 중심 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과 상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에 최소의 소정 거리가 정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램프의 전기 접속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원뿔 형상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을 통해 S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램프 홀더 내에 상기 램프 캡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대부분의 주위에 연장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측부를 통해 램프의 소켓을 수납하고, 공동을 정의하는 내벽들 및 개구를 둘러싸는 제2 대향 측부를 구비하는 지지 링;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링의 제2 측부에 고정되는 전기 절연체-상기 전기 절연체와 상기 지지 링의 내벽들 사이에 갭이 제공됨-; 및 상기 전기 절연체를 통해 연장하여, 상기 램프 소켓과 전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램프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의 광을 광빔으로서 반사하기 위한 반사기, 및 상기 램프를 상기 반사기의 램프 홀더에 접속하기 위한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램프 캡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램프 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측부를 통해 램프의 소켓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 및 개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대향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제공하는 단계; 주입 몰딩(insert moulding) 처리 시스템의 몰드 장치에 상기 베이스부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몰드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서로에 대하여 적소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몰드 장치를 고정하고, 상기 몰드 장치 내에 열가소성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열가소성 물질의 몰딩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베이스부의 제2 대향 측부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열 가소성 물질과 상기 측벽 배열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몰딩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을 갖는 상기 측벽 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대향 평면에 따라 공급 장치 내에 상기 베이스부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부; 상기 램프를 향해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 내에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연장하고, 상기 램프의 전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중간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보다 상기 램프 캡의 중심 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과 상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에 최소의 소정 거리가 정의된다.
상기 방법은 원뿔 형상의 개구를 갖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뿔 형상의 개구에 의해 램프 요소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기 커넥터와 전도성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램프의 소켓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 및 개구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바닥 측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램프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열가소성 물질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 장치; 상기 베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상기 몰드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 상기 몰드 장치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를 서로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 상기 몰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열가소성 물질을 상기 몰드 장치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물질의 몰딩은,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베이스부의 제2 대향 측부의 개구를 커버하고, 상기 열 가소성 물질과 상기 측벽 배열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 배열은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평면에 따라 공급 장치 내에 상기 베이스부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램프의 전기 커넥터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원뿔 형상의 용접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용접 개구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 요소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용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아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을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램프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5a의 라인 II-II'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단면도.
도 3은 도 5b의 라인 III-III'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저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하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상부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에 대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하부 사시도.
도 6c는 램프 캡 내의 도 6a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몰드 공급 시스템 내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의 개략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캡이 도 1a 내지 6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200) 및 램프 캡(100)을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버너(200)는 유리 전구(202) 내에 배치되고 램프 캡(100)에 접속하기 위한 소켓(203)을 구비하는 광원(201), 및 버너 베이스 어셈블리(204)를 포함한다. 도 1b는 램프 캡(100) 상에 탑재된 버너(200)를 나타낸다. 탑재 시에, 버너(200)의 소켓(203)은 버너 베이스 어셈블리(204)를 통해 램프 캡(100)의 소켓 수납 공동 내로 연장한다. 램프는 임의 타입, 예컨대 크세논, 할로겐 백열, 비 할로겐 백열, LED, LED 모듈, 네온 타입일 수 있다.
램프 캡(100)은 도 2 내지 5b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램프 캡(100)은 베이스부(10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1)는 버너(200)의 소켓(203)을 수납하기 위해 상측에 개방된 내부 공동(102)을 정의하며, 공동(102)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바닥 측부(104)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01)의 상측은, 베이스부(101)의 대부분의 주위에 연장하고 헤드라이트의 반사기 내에 램프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외측 플랜지(108)를 갖는 링(107)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108)는 그의 하면에 3개의 리세스(118)를 구비한다. 3개의 리세스(118)는 플랜지(108)의 상면에 3개의 대응하는 돌출부(118)를 형성한다. 리세스들(118) 중 하나는 헤드라이트 반사기 또는 다른 적절한 리셉터클 내에 램프 캡(100)을 적절히 정렬하기 위한 키 피처(key feature)(119)를 제공한다.
램프 캡(100)은, 열가소성 물질이 개구(105)를 커버하고, 전기 절연성 계면(106)과 측벽 배열(103)의 내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부(101)의 바닥 측(104)에 대해 밀봉 또는 몰딩된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더 포함한다.
전기 절연성 계면(106)과 측벽 배열(103)의 내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므로,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형성하기 위해 더 적은 플라스틱이 요구된다. 플라스틱 양의 감소는 더 경제적인 램프 캡 및 향상된 가스 제거 성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전기 절연성 계면(106)이 베이스부(101)의 바닥 측(104)에 대해 밀봉되므로, 램프 캡(100)의 제조 동안에 베이스부(101)를 몰드 구조 내에 삽입하기 위해 더 적은 공차가 요구된다. 이것은 제조 프로세스를 개선한다.
측벽 배열(103)은 부분적으로 원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측 상에 링 형상의 바닥 측(104)으로부터 벽 배열(103)의 일부를 따라 베이스부(101)의 상측 링(107)을 향해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 평면(109)을 포함한다. 대향 평면들(109)은 키 피처(119)에 대해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원에 의해 급전되는 램프 홀더의 전기 접점들과 버너(200) 사이의 전기적 계면을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 요소를 포함한다(도 6a 참조).
전기 접점들(122) 중 하나가 도 6a 및 6b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전기 접점(122)은
- 버너(2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 홀더의 대응 전기 접점들과 결합하기 위해 전기 절연성 계면(106)의 제1 표면으로부터 세로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접촉부(123);
- 한 쌍의 S자 형상의 레그(125)를 포함하고, 각각의 레그는 접촉부(123)로부터 이 S자형 레그의 말단부를 향해 전기 절연성 계면(106) 내에서 세로로 연장하며, 따라서 이 말단부는 제1 단부(123)보다 램프 캡(101)의 중심 축에 더 가깝다. 이러한 레그들(125)의 구조는 전기 접점(122)과 베이스부(101)의 전도성 바닥 측(104) 사이에 최소 거리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며, 따라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와 베이스부(101)의 전도성 부분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방지된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와 베이스부(101) 사이의 거리는 IEC 60061-4의 요구들을 따른다. 전기 접점(122)은 또한 램프의 전기 커넥터 요소를 수납하고 안내하기 위한 원뿔 형상의 개구(126)를 포함하며, 원뿔 형상의 개구(126)는 접촉부(123)로부터 램프 캡(101)의 중심 축을 향해 연장하는 평면부(127)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원뿔 형상의 개구를 통한 납땜 또는 용접에 의해 램프의 전기 커넥터 요소와 전기 접점(122) 사이의 전기적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양호하게 정의된 원뿔 형상은 전기 커넥터 요소들의 배치가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더 양호하게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원뿔 형상의 개구는 전기 커넥터 상에 미리 형성되므로, 램프 캡의 조립 동안에 전기 커넥터 내에 개구가 펀칭되는 종래의 시스템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램프 캡(101) 내의 이물질 유입의 위험이 더 적다.
전술한 램프 캡(100)의 다양한 특징들은 램프 캡이 주입 몰딩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 프로세스를 더 효율적이게 하고, 수율을 향상시키며,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주입 몰딩 프로세스에서, 물건의 개별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적절히 배치된 개별 부분들 주위의 열가소성 물질의 주입에 의해 단일 컴포넌트로 결합될 수 있다. 주입 몰딩은 열가소성 물질을 이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를 서로 결합하므로, 조립 및 노동 비용이 크게 최소화될 수 있다. 통상적인 주입 몰딩 프로세스 동안, 맞춤 제작된 몰드에는 로봇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삽입물들(최종 제품으로 조립될 개별 부분들)이 로딩된다.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적절히 형상화된 몰드 내에 주입되고, 냉각시에 삽입물들을 서로 결합한다. 몰드가 개방되고, 컴포넌트들이 제거된다. 적절한 경우에, 최종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포스트 몰딩 어셈블리 동작들은 다양한 보조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캡의 다양한 특징들로 인해, 본 발명에서 램프 캡을 제조하기 위하여 주입 몰딩 프로세스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프로세스의 최초 단계는 몰딩 시스템에 금속 삽입물들(베이스부(101) 및 전기 커넥터(122))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들(101)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는 베이스부들(101)이 공급되는 진동 용기를 포함한다. 진동 용기는 진동하며, 따라서 각각의 베이스부가 공급 채널(300)의 축에 대하여 한 축을 따라 올바른 배향에 있을 때까지 각각의 베이스부를 공급 채널(300)에 대해 상이한 배향들로 이동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1)의 평면 대향 벽들(109)은, 공급 채널 내의 각각의 베이스부가 공급 채널(300)에 대해 동일한 배향을 갖고, 평면 벽들(109)이 공급 시스템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공급 채널(300)의 축을 따라 베이스부(101)를 정렬하기 위한 자동 기준 안내 피처를 제공한다.
베이스부들(101)은 몰딩 공급 시스템 내에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링 배치의 수동 단계가 제조 프로세스로부터 생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조 사이클 시간이 감소하고, 수율이 증가하며, 비용이 감소한다. 더욱이, 평면 벽들(109)의 위치가 알려지므로, 공급 프로세스의 끝에 키 피처(119)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평면 벽들(101)은 또한, 필요한 경우에, 제조 동안의 로봇 그립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몰딩 프로세스 동안, 전기 절연성 계면을 제공하고, 베이스부(101)를 램프 캡의 전기 접점들(122)에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된 몰드들에 의해 열가소성 물질이 적절한 형태로 몰딩된다. 프로세스 동안, 전기 접점들(122)과 베이스부(101)의 쌍은 서로에 대해 적절한 위치들에 배치되고, 열가소성 물질이 고정된 몰드 내에 주입되며, 전기 접점들(122)과 베이스부(101)를 함께 유지하도록 냉각되어, 필요한 램프 캡(100)의 구조를 제공한다.
램프 캡(100)의 베이스부(101)의 바닥 측(104)에 대해 플라스틱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밀봉하는 것은 베이스부(101)를 몰드 구조 내에 삽입하는 데 필요한 공차가 감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절연성 계면(106)과 측벽 배열(103) 사이에 제공되는 갭은 더 강한 힘이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형성하는 몰드(310)에 인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플라스틱 전기 절연성 계면(106)의 에지들에서 플래시(flash)를 줄이는 것을 돕는 더 높은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램프 캡(100)의 제조 동안, 전기 커넥터 레그들(125)은 플라스틱 몰드 내에 전기 접점들(122)을 배치하기 위한 기준면(R)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접점들(122)의 레그들(125)의 S자 형상 구조는 전기 절연성 계면(106)의 플라스틱 내에 양호한 앵커링(anchoring)을 제공한다.
전기 접점(122)의 정의된 원뿔 개구(126)는 전기 접속들을 제공하기 위한 용접 프로세스가 안정화될 수 있게 하며, 주입 몰딩 프로세스가 램프 캡(100)을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게 하는 추가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센트링 링 오더(centring ring order)의 평면 바닥 상에 고정되는 도구 내의 공동은 열가소성 물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열가소성 물질은 더 짧은 사이클 시간 및 더 높은 수율을 가능하게 한다.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센트링 링은 제조 프로세스에서 사전 배향을 제공하는 2개의 편평한 측면들을 구비한다.
램프 캡들의 제조를 위한 주입 몰딩 프로세스의 이용은 많은 이익을 갖는다. 더 값싼 가공되지 않은 열가소성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고, 열가소성 물질들 및 공급자들의 더 넓은 선택이 가능하여, 비용이 감소된다. 열가소성 물질들은 종래의 열경화성 프로세스들에 비해 더 짧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램프 캡의 물리적 특징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마킹들은 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따라서 더 높은 제품 출력이 달성되어, 수율이 더 높아지고 경제적 이익이 증가된다. 이러한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는 더 적은 플라스틱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가스 제거 및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적 영향들을 감소시킨다. 더 넓은 범위의 상이한 컬러의 열가소성 물질이 이용 가능하여 선택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헤드라이트들에서 응용을 발견한다. 램프 캡에 의해 제공되는 기준 특징들은 램프 캡-램프 요소 어셈블리의 반사기 내로의 자동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사전 정의된 원뿔 형상의 특징은 종래 기술의 열경화성 방법들에 의해 제조되는 램프 캡들에 비해 헤드라이트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위험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이익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참조시에 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많은 추가적인 변형 및 변경들이 암시될 것이다. 특히, 적절한 경우에,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상이한 특징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하나"라는 단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이한 특징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들에 기재되는 단순한 사실은 그러한 특징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 내의 어떠한 참조 부호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7)

  1. 램프 캡(100)으로서,
    상기 램프 캡의 주축을 따라 제1 측부를 통해 램프(200)의 소켓(203)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102)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102)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대향 측부(104)를 갖는 베이스부(101);
    상기 개구(105)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부(101)의 제2 측부(104)에 고정되는 전기 절연성 계면(106) -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과 상기 측벽 배열(103) 사이에는 공간이 제공됨 -;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램프 소켓(203)과 전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20)
    를 포함하는 램프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은 상기 베이스부(101)의 제2 측부(104)에 대해 밀봉되는 램프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캡(100)의 제조 및/또는 조립(fitting) 동안에 상기 램프 캡(100)을 배치하기 위한 기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램프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단은 상기 베이스부(101)의 측벽 배열(103)의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들(109)에 의해 제공되는 램프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20)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기 커넥터(122)는,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부(123);
    상기 램프와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부(123)보다 상기 주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제2 단부(126);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 내에서 상기 제1 단부(123)와 상기 제2 단부(125) 사이에 연장하는 중간부(127)를 포함하는 램프 캡.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단부(126)에는 상기 램프(200)의 대응하는 전기 접속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원뿔 형상의 개구(126)가 제공되는 램프 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123)는 상기 공동(102)의 제1 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으로부터 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단부(127)는 상기 램프와의 접속을 위해 상기 공동(102)으로부터의 접근이 제공되는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 내에 배열되는 램프 캡.
  8.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가 S자 형상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S자 형상 부분은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 내에서 상기 제1 단부(123)로부터 상기 S자 형상 부분의 말단부까지 연장하며, 따라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제1 단부(123)보다 상기 주축에 더 가까운 램프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1)에는 램프 홀더 내에 상기 램프 캡(100)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101)의 대부분의 주위에 연장하는 플랜지(108)가 제공되는 램프 캡.
  10. 램프 캡(100)으로서,
    제1 측부를 통해 램프(200)의 소켓을 수납하고, 공동(102)을 정의하는 내벽(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제2 대향 측부(104)를 갖는 지지 링(101);
    상기 개구(105)를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링(101)의 제2 측부(104)에 고정되는 전기 절연체(106) - 상기 전기 절연체(106)와 상기 지지 링(101)의 내벽(103) 사이에 갭이 제공됨 -; 및
    상기 전기 절연체(106)를 통해 연장하여, 상기 램프 소켓(203)과 전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122)
    를 포함하는 램프 캡.
  11. 램프(200), 상기 램프로부터의 광을 광빔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기, 및 상기 램프(200)를 상기 반사기의 램프 홀더에 접속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램프 캡(10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12. 램프 캡(100)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측부를 통해 램프(200)의 소켓(203)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102)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102)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대향 측부(104)를 갖는 베이스부(101)를 제공하는 단계;
    주입 몰딩(insert moulding) 처리 시스템의 몰드 장치에 상기 베이스부(101)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몰드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부(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를 서로에 대하여 적소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몰드 장치를 고정하고, 상기 몰드 장치 내에 열가소성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열가소성 물질의 몰딩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101)를 고정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베이스부(101)의 제2 대향 측부의 개구(105)를 커버하고, 상기 열가소성 물질과 상기 측벽 배열(103)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몰딩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109)을 갖는 상기 측벽 배열(103)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대향 평면(109)에 따라 공급 장치 내에 상기 베이스부(101)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전원과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부(123),
    상기 램프와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부(123) 보다 상기 주축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제2 단부(126), 및
    상기 전기 절연성 계면(106) 내에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123) 사이에 연장하는 중간부(127)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22)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램프의 소켓(203)을 수납하기 위한 공동(102)을 정의하고, 상기 공동(102)을 제한하는 측벽 배열(103) 및 개구(105)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바닥 측부(104)를 갖는 베이스부(101)를 포함하는 램프 캡(10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열가소성 물질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 장치;
    상기 베이스부(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를 상기 몰드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
    상기 몰드 장치 내에서 상기 베이스부(10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를 서로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
    상기 몰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열가소성 물질을 상기 몰드 장치 내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물질의 몰딩은,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베이스부(101)의 제2 대향 측부의 개구(105)를 커버하고, 상기 열 가소성 물질과 상기 측벽 배열(103)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122)에 대해 상기 베이스부(101)를 고정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배열(103)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평면(109)이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대향 평면(109)에 따라 공급 장치 내에 상기 베이스부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122)에는 램프(200)의 전기 커넥터 요소를 수납하기 위한 원뿔 형상의 용접 개구(126)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용접 개구(127)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 요소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용접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107021760A 2008-02-29 2009-02-24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5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5042 2008-02-29
EP08305042.7 2008-02-29
PCT/IB2009/050738 WO2009107060A1 (en) 2008-02-29 2009-02-24 A lamp ca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48A true KR20110000648A (ko) 2011-01-04
KR101955881B1 KR101955881B1 (ko) 2019-03-08

Family

ID=406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760A KR101955881B1 (ko) 2008-02-29 2009-02-24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13348B2 (ko)
EP (1) EP2248149B1 (ko)
JP (1) JP5372021B2 (ko)
KR (1) KR101955881B1 (ko)
CN (1) CN101965624B (ko)
AT (1) ATE535934T1 (ko)
RU (1) RU2513147C2 (ko)
WO (1) WO2009107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2368B (zh) * 2010-09-28 2013-07-31 上海亚明灯泡厂有限公司 替换支架灯灯管及灯头盖
TW201414950A (zh) * 2012-10-05 2014-04-16 Lextar Electronics Corp 燈管的端蓋
CN104882354B (zh) * 2014-03-02 2017-11-24 浙江美科电器有限公司 一种灯头压条设备
GB2554213B (en) * 2015-05-15 2021-02-2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istributed scintillation detector for downhole positioning
US11920740B2 (en) 2021-03-31 2024-03-05 Lumileds Llc Centering ring for an LED retrofit for a vehicle light
US20240084978A1 (en) * 2022-09-12 2024-03-14 Lumileds Llc Self-centering ring for an led retrofit lamp, led retrofit lamp, and vehicle headl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160Y2 (ja) * 1989-06-09 1996-06-26 パテント―トロイハント―ゲゼルシヤフト・フユール・エレクトリツシエ・グリユーラムペン・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 球
US20020163288A1 (en) * 2001-05-04 2002-11-0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r Elektrische Gluhlampen Mgh Electric lamp
JP2004014452A (ja) * 2002-06-11 2004-01-15 Koito Mfg Co Ltd 自動車灯具用光源バルブおよび同光源バルブの組み立て方法
JP2005174936A (ja) * 2003-12-12 2005-06-30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ランプ管を固定するための保持装置および片口金形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68242A1 (ru) * 1979-11-28 1981-09-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461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HU207904B (en) 1991-07-02 1993-06-28 Tungsram Reszvenytarsasag Electric lamp with cap unit
JP2582151Y2 (ja) * 1992-12-15 1998-09-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 球
JPH0822702A (ja) * 1994-07-08 1996-01-2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816814B2 (ja) * 1994-09-27 1998-10-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ランプソケット
US5823806A (en) * 1995-02-22 1998-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amp socket
DE29507879U1 (de) 1995-05-12 1995-07-2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Kittlos gesockelte Halogenglühlampe
RU5438U1 (ru) * 1996-09-30 1997-11-16 Витал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Мосевк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JP3777034B2 (ja) * 1997-12-11 2006-05-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ランプ装置用絶縁プラグ
DE29823160U1 (de) 1998-12-29 1999-02-25 Schnippering Hugo Gmbh Co Kg Lampenfassung aus Isolierstoff für H 7-Lampen
RU2187181C2 (ru) * 2000-06-05 2002-08-10 Сухомлинов Валентин Сергеевич Электропатрон для электроламп
WO2003005399A1 (en) * 2001-07-06 2003-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mp,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headlights
DE10200831A1 (de) * 2002-01-02 2003-07-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Lampe und Scheinwerfer zur einfachen Montage
JP2003331613A (ja) * 2002-05-17 2003-11-21 Yazaki Corp 自動車用電球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160Y2 (ja) * 1989-06-09 1996-06-26 パテント―トロイハント―ゲゼルシヤフト・フユール・エレクトリツシエ・グリユーラムペン・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 球
US20020163288A1 (en) * 2001-05-04 2002-11-0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r Elektrische Gluhlampen Mgh Electric lamp
JP2004014452A (ja) * 2002-06-11 2004-01-15 Koito Mfg Co Ltd 自動車灯具用光源バルブおよび同光源バルブの組み立て方法
JP2005174936A (ja) * 2003-12-12 2005-06-30 Patent Treuhand Ges Elektr Gluehlamp Mbh ランプ管を固定するための保持装置および片口金形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8149A1 (en) 2010-11-10
WO2009107060A1 (en) 2009-09-03
ATE535934T1 (de) 2011-12-15
RU2010139861A (ru) 2012-04-10
EP2248149B1 (en) 2011-11-30
JP2011513908A (ja) 2011-04-28
KR101955881B1 (ko) 2019-03-08
US20110003515A1 (en) 2011-01-06
RU2513147C2 (ru) 2014-04-20
CN101965624A (zh) 2011-02-02
CN101965624B (zh) 2015-07-08
JP5372021B2 (ja) 2013-12-18
US8313348B2 (en)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81B1 (ko) 램프 캡 및 그 제조 방법
US9970622B2 (en) Lighting device
US10359179B2 (en) Light source unit and vehicular lamp
JP4848019B2 (ja) ランプベースおよびランプベースを備えるランプ
CN102939637B (zh) 熔断器单元、模具结构以及使用模具结构的模制方法
JPH0685343B2 (ja) 小形白熱電球用ソ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080087A1 (en) Holiday decorative lamp
KR101089887B1 (ko) 헤드라이트 램프용 베이스 및 헤드라이트 램프
US8562193B2 (en) Wedge-base bulb socket and automotive light for motor vehicles and similar provided with said socket
US7186363B2 (en) LED inserting holder integrated type base board and mold therefor
US20040061249A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injection molding and die for injection molding
US5842781A (en) Vehicular lamps and method of molding a lamp body of vehicular lamps
US8742663B2 (en) Transformer and lamp base element, lamp base, and discharge lamp having such a lamp base
US5743617A (en) Vehicular lamp
US7618290B2 (en) Starter housing for gas discharge lamp, and method of mounting same
JP6559460B2 (ja) 自動接続可能な結線部材を備えた車両用灯具
CN110630971A (zh) 车灯装置及其制造方法
JP4318198B2 (ja) 車両用ランプの製造方法
CN108071978B (zh)
EP2267360B1 (en) Wedge-base bulb socket and automotive light for motor vehicles and similar provided with said socket
JP2006147385A (ja) 口金付電球
JP2000207907A (ja) 車両用灯具の配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8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19

Effective date: 2018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