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614A -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614A
KR20100138614A KR1020090057211A KR20090057211A KR20100138614A KR 20100138614 A KR20100138614 A KR 20100138614A KR 1020090057211 A KR1020090057211 A KR 1020090057211A KR 20090057211 A KR20090057211 A KR 20090057211A KR 20100138614 A KR20100138614 A KR 20100138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light
sa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카이호츠
정종삼
심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8614A/ko
Priority to US12/816,882 priority patent/US20100328519A1/en
Priority to EP10166429.0A priority patent/EP2268001A3/en
Priority to JP2010143796A priority patent/JP2011008260A/ja
Publication of KR2010013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Focus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카메라는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카메라의 촬상부에 결상되도록 배치되는 동분할부, 및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는 별도의 장치 없이 저비용으로 동분할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초점, 동분할

Description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Apparatus for auto-focusing detection and camera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촬상용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기 및 인터넷이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이 촬영한 사진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보관하거나 인터넷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보유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카메라는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해주는 기능인 자동 초점(AF : Auto Focusing) 검출 기능이 지원된다. AF 장치는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 방식 또는 위상차 검출방식이 사용된다.
하지만, 콘트라스트 방식은 초점 조절 상태의 편차량(디포커스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차례 측정을 해야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방식은 초점 조절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방식은 단시간에 초점조절이 가능하지만, 전용의 검출장 치가 필요하고, 초점 검출을 위한 광속을 이끄는 별도의 광학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위상차 검출방식은 가격이 상승된다는 점과 별도 공간의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이다.
따라서, 동(瞳, pupil)분할 방식의 자동초점 검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동분할 방식은 촬상용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초점을 검출하기 때문에, 자동 초점 검출을 위한 별도의 센서가 필요없다. 따라서, 동분할 방식은 적은 비용 및 작은 공간으로 자동초점 조절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동분할 방식은 시계열로 광속(光束, pencil of light ray)을 분할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시계열로 광속을 분할할 경우, 손떨림 또는 피사체 치우침에 의해 자동 초점 검출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하여 광속을 분할하는 방식은 비용 증대 및 촬상 정보량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제안된 동분할 방식은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장치없이 저비용으로 동분할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카메라의 촬상부에 결상되도록 배치되는 동분할부, 및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동분할부; 촬영시에는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고, 초점 조절시에는 상기 동분할부를 통해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과한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의 광량을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량 조절장치는, 셔터, 조리개, 및 광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셔터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는, 셔터 개방(open) 상태, 셔터 폐쇄(close) 상태 및 동분할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조리개 상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개는, 상기 동분할부가 열린 상태일 경우,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필터는,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이고, 상기 동분할부는, ND 필터와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분할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2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구멍은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구멍을 통과하여 결상된 상과 제2 구멍을 통과하여 결상된 상의 위치에 따라,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는,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카메라의 촬상부에 결상되도록 배치되는 동분할부; 및 상기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과한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의 광량을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량 조절장치는, 셔터, 조리개, 및 광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카메라의 촬상부에 결상되도록 배치되는 동분할부, 및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장치없이 저비용으로 동분할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분할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각 구멍을 통과하는 광속이 결상되어 촬상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 방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는 별도의 장치가 장착되지 않더라도 저비용으로 동분할 방식의 자동초점 검출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검출장치가 포함된 카메라(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동(瞳, pupil)분할부(110), 조리개(115), 촬영렌즈(120), 촬상부(130)를 포함한다.
동분할부(110)는 촬영렌즈(120)를 통해 입사된 광속(光束, pencil of light ray)을 2개의 광속으로 분할한다. 이를 위해, 동분할부(110)는 2개의 서로 크기가 다른 구멍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동분할부(110)는 촬영렌즈(120)를 통해 입사된 광속 중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2개의 광속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동분할부(110)는 카메라(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할 때 촬영렌즈(120)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분할한다. 그리고, 그 외의 경우에 동분할부(110)는 촬영렌즈(120)를 통해 입사되는 광속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동분할부(110)의 동작을 구동시키기 위해, 동분할부(110)는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조리개(115)에 동분할부(110)가 배치된 경우, 동분할부(110)는 조리개(115)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되게 된다.
즉, 동분할부(110)의 구동원(미도시)은 자동 초점 조절시에 동분할부(110)가 촬영렌즈(120)를 통과하는 광속을 가리도록 등분할부(11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자동 초점 조절 외의 경우에는, 동분할부(110)의 구동원은 동분할부(110)가 촬영렌즈(120)를 통과하는 광속을 가리지 않게 배치되도록 동분할부(110)를 구동시킨다.
또한, 동분할부(110)는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동분할부(110)는 카메라(100)의 조리개(115)에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동분할부(110)가 조리개(115)와 일체형인 경우에 대해서는 추후 도 5a 내지 도 5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외에도, 동분할부(110)는 카메라의 셔터(미도시)에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동분할부(110)가 셔터와 일체형인 경우에 대해서는 추후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동분할부(110)는 카메라의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미도시)와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동분할부(110)가 ND 필터와 함께 배치된 경우에 대해서는 추후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리개(115)는 다양한 크기로 변경될 수 있는 입사광의 통로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입사되는 광속의 광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리개(115)는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므로 렌즈에 의해 상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조리개(115)의 앞쪽(피사체에서 조리개 사이)에 배치된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개(115)의 허상을 입사동(entrance pupil)이라고 하고, 조리개(115)의 뒷쪽(조리개에서 촬상영역 사이)에 배치된 렌즈에 의해 셩성된 조리개(115)의 허상을 사출동(exit pupil)이라고 한다. 특히, 사출동은 사진의 밝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조리개(115)의 상이므로, 밝기 조절 기능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촬영렌즈(120)는 피사체의 빛을 모아서 촬상부(130)에 상이 맺히게 한다. 촬영렌즈(110)는 복수개의 렌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렌즈들은 기능별로 광학군을 형성한다.
또한, 촬영렌즈(120)에는 AF 구동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AF 구동부는 연산부(140)로부터 자동초점 조절 정보를 수신하여 초점이 맞도록 렌즈를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촬영렌즈(120)에는 조리개(115)가 포함되어 있다. 조리개(115)는 촬영렌즈(110)를 통과하는 빛의 양 및 화상의 심도를 조절한다. 즉, 조리개(115)를 넓히면, 촬영렌즈(120)는 보다 많은 빛을 통과시키기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밝은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조리개(115)를 넓히면 구경이 커지므로 사진의 심도는 낮아진다. 반면, 조리개(115)를 좁히면, 촬영렌즈(110)는 보다 적은 빛을 통과시키기게 되므로, 사진은 좀더 어둡게 촬영된다. 그리고 조리개(115)를 좁히면 구경이 작아지므로 심도가 깊은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촬상부(130)는 피사체의 상에 대한 감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필름 카메라의 경우, 촬상부(130)에 필름이 놓여진다.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는, 촬상부(130)에 이미지 센서들이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부(130)에는 피사체의 상을 감광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가 분포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쓰이는 이미지 센서는 보통 크게 CCD(charge coupled devices)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나뉘며 방식은 다르지만 기본원리는 동일하다.
CCD는 약한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미지품질이 높아 대부분의 디지털카 메라에 사용된다. 하지만 생산 공정이 까다롭고 생산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CMOS는 CCD에 비해 생산 단가가 적게 들고 생산과정도 비교적 쉬워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로 많이 사용됐었으며, 최근에는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고화질 고품질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져 전문가용 DSLR에도 쓰이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100)가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촬상부(130)는 동분할부(110)를 통해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을 촬상하게 된다. 카메라(100)가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동분할부(110)가 촬영렌즈(120)를 가리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촬상부(130)는 촬영시에 촬영렌즈(120)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고, 초점 조절시에 동분할부(110)를 통해 입사되는 상을 촬상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동분할부(110)의 구동원(미도시)은 자동 초점 조절시에 동분할부(110)가 촬영렌즈(120)를 통과하는 광속을 가리도록 등분할부(11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자동 초점 조절 외의 경우에는, 동분할부(110)의 구동원은 동분할부(110)가 촬영렌즈(120)를 통과하는 광속을 가리지 않게 배치되도록 동분할부(110)를 구동시킨다.
이를 통해, 카메라(100)는 별도의 초점조절용 센서를 구비할 필요없이, 촬상부(130)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조절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연산부(140)는 동분할부(110)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촬상부(130)에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상태를 연산한다. 이 때, 연산 부(140)는 위상차 검출방식을 통해 카메라(100)의 초점 조절상태를 연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동분할부(110)의 2개의 구멍을 지난 광속은 각각 촬상부(130) 상에 2개의 상을 만든다. 따라서, 촬상부(130)에서 검출되는 합성 이미지 데이터는 2중의 상이 된다. 그리고, 연산부(140)는 2중의 상의 편차량을 계산하여 초점 조절 상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상의 편차량이 a(도 2b 참고)이고, 차이 방향이 x 축 방향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제1의 상을 f(x)로 하면, 제2의 상은 D×f(x-a)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D은 2개의 구멍의 구경비이다. 이 2개의 합성 화상은 f(x)+D×f(x-a)가 된다. 즉, 합성 화상과 편차량 a를 주어 주면, 합성되지 않는 화상 f(x)를 계산에 의해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a가 올바른 값이면 추출된 화상 f(x)도 올바른 화상이 되지만, a가 잘못된 값일 때, 추출되는 화상 f(x)도 잘못된 화상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산부(140)는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연산부(140)는 f(x)가 가장 실제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조건을 발견하고, 그 때의 a를 편차량으로 추정한다.
또한, 연산부(140)는 동분할부(110)의 2개의 구멍을 통과하여 촬상부(130)에 결상된 두 개의 상의 위치 및 광량에 따라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b를 참고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연산부(140)는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올바른 초점으로 조절되도록 초점 조절 제어신호를 촬영렌즈(120)의 렌즈 구동부(미도시) 로 출력한다. 그러면, 렌즈 구동부는 초점이 맞는 위치로 렌즈가 이동되도록 촬영렌즈(12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100)는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자동 초점 검출장치가 포함된 카메라(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카메라(100)는 별도의 장치의 추가 없이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카메라 제조자는 낮은 비용으로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자동 초점 검출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검출장치(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초점 검출장치(200)는 동분할부(110), 촬영렌즈(120), 촬상부(130) 및 연산부(140)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에서, 동분할부(110)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입사되는 광은 동분할부(110)의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멍(111)과 제2 구멍(112)에서 입사된 광의 합성 화상이 촬상부(130)에 결상되고, 촬상부(130)는 합성 화상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연산부(140)로 출력하게 된다. 이외의 다른 기능들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기능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부(130)의 위치에 따라 맺히는 상의 모양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의 동분할부(110)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을 포함하고, 제1 구멍(111)보다 제2 구멍(112)이 크기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30)가 제1 위치(21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1의 상(215)과 같은 형태가 된다. 그리고, 촬상부(130)가 제2 위치(22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2의 상(225)과 같은 형태가 된다. 또한, 촬상부(130)가 제3 위치(23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3의 상(235)과 같은 형태가 된다.
제1 위치(210), 제2 위치(220) 및 제3 위치(230)는 초점면(240)의 앞쪽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결상되는 제1의 상(215), 제2의 상(225), 및 제3의 상(235)은 크기가 더 큰 상(즉, 제2 구멍(112)을 통과한 광속의 상)이 밑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부(130)에 결상된 제1 구멍(111)을 통과한 광속의 상과 제2 구멍(112)을 통과한 광속의 상의 위치가, 동분할부(110)의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의 위치와 같을 경우, 촬상부(130)는 초점면(240)의 앞쪽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촬상부(130)가 제4의 위치인 초점면(240)에 위치된 경우, 초점이 맞은 상태이므로 제4의 상(245)과 같이 점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30)가 제5 위치(25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5의 상(255)과 같은 형태가 된다. 그리고, 촬상부(130)가 제6 위치(26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6의 상(265)과 같은 형태가 된다. 또한, 촬상부(130)가 제7 위치(270)에 위치한 경우, 촬상부(130)에 촬상되는 상은 제7의 상(275)과 같은 형태가 된다.
제5 위치(250), 제6 위치(260) 및 제7 위치(270)는 초점면(240)의 뒷쪽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결상되는 제5의 상(255), 제6의 상(265), 및 제7의 상(275)은 크기가 더 큰 상(즉, 제2 구멍(112)을 통과한 광속의 상)이 위에 위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부(130)에 결상된 제1 구멍(111)을 통과한 광속의 상과 제2 구멍(112)을 통과한 광속의 상의 위치가, 동분할부(110)의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의 위치와 반대가 된 경우, 촬상부(130)는 초점면(240)의 뒷쪽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구멍(112)이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제2 구멍(112)을 통과한 광속의 상이 광량이 더 많다. 따라서, 촬상부(130)에서 촬상된 두 개의 상 중 광량이 더 많은 상이 어느 위치에서 검출되는지를 판단하여, 현재 촬상부(130)가 초점면(240)의 앞쪽에 위치되어 있는지 뒷쪽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산부(140)는 촬상부(130)에서 촬상된 두 개의 상 중 광량이 더 많은 상이 어느 위치에서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초점 조절 방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동분할부(110)의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의 크기가 상이한 점을 이용하여, 연산부(140)는 현재의 초점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초점 조절 방향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산부(140)는 두 상의 편차량 a를 이용하여, 현재 촬상부(130)의 위치가 초점면(240)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편차량 a가 크 면 클수록 촬상부(130)는 초점면(24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산부(140)는 편차량 a에 적절한 함수를 적용하여, 편차량 a에 따른 촬상부(130)와 초점면(24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산부(140)는 촬상부(130)에 결상된 두 상의 편차량과 두 상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 방향 및 디포커스(defocus)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디포커스의 정도는 촬상부(130)와 초점면(24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별도의 자동초점 검출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광량 조절장치에 장착된 동분할부(110), 촬상부(130) 및 연산부(140)를 이용하여 자동초점 검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광량 조절장치에 장착된 동분할부(110)의 예에 대해 도 3a 내지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310)에 함께 장착된 동분할부(320)를 도시한 도면이다.
ND 필터(310)는 장면의 밝기를 낮게 조절할 때 쓰는 렌즈 필터이다. ND 필터(310)는 렌즈의 입사광량을 전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감소시킨다. 피사체가 너무 밝은 관계로 조리개만으로는 조정이 불가능한 경우, 조리개를 죄면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심도를 가능한 변화시키지 않고 촬영하고 싶을 경우에 ND 필터(310)가 이용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동분할부(320)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분할부(320)는 ND 필터(310)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분할부(320)와 ND 필터(310)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즉, 구동원은 상황에 따라 동분할부(320)와 ND 필터(310)가 도 3a 내지 도 3c 중 어느 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동분할부(320)와 ND 필터(310)를 구동시킨다.
도 3a는 사진을 촬영하는 동안 ND 필터(310)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D 필터(310)가 사용되는 동안은 ND 필터(310)가 광경로에 배치되고, 동분할부(320)는 광경로에서 벗어나 위쪽으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ND 필터(310)와 동분할부(320)가 모두 사용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ND 필터(310)와 동분할부(320)가 모두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ND 필터(310)와 동분할부(320)가 모두 광경로에서 벗어나 위쪽으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카메라(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동안, 동분할부(320)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초점 검출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동분할부(320)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이 광경로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분할부(320)는 ND 필터(310)와 함께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분할부가 일체형으로 배치된 셔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렌즈셔터에 동분할부에 해당되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이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셔터는 제1 셔터날개(410) 및 제2 셔터날개(420)를 포함하고,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은 제2 셔터날개(420)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의 경우, 렌즈 셔터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동분할부도 함께 구동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구동원은 상황에 따라 렌즈셔터가 도 4a 내지 도 4c 중 어느 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제1 셔터날개(410) 및 제2 셔터날개(420)를 구동시킨다.
도 4a는 촬영을 위해 셔터가 개방된 셔터 개방(open)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날개(410) 및 제2 날개(420)는 광경로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는 자동 초점 검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렌즈셔터가 동분할 상태가 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410)와 제2 날개(420)는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어 셔터가 닫힌 상태가 된다. 하지만, 제1 구멍(111)과 제2 구멍(112)이 광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제2 셔터날개(420)가 배치되므로, 입사된 빛은 제1 구멍(111)과 제2 구멍(112)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셔터날개(410)와 제2 셔터날개(420)가 배치됨으로써, 렌즈셔터는 동분할부(11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c는 셔터가 완전히 폐쇄된 셔터 폐쇄(close)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410)와 제2 날개(420)는 서로 완전히 맞물린 상태가 되어, 제1 구멍(111)과 제2 구멍(112)도 막힌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광경로가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카메라(100)는 셔터 폐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렌즈 셔터는 셔터 개방(open) 상태, 동분할 상태 및 셔터 폐쇄(close)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동분할부(110)는 렌즈 셔터와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분할부(110)가 일체형으로 배치된 조리개(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조리개(500)에 동분할부에 해당되는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이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500)는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을 포함하고,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은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의 경우, 조리개(500)의 구동원에 의해,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도 함께 구동된다. 따라서, 구동원은 상황에 따라 조리개(500),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이 도 5a 및 도 5b 중 어느 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조리개(500),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을 구동시킨다.
도 5a는 촬영을 위해 조리개(500)가 사용된 조리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500)만 사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은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을 가린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자동 초점 검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리개(500)가 동분할 상태 가 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은 제1 구멍(111) 및 제2 구멍(112)을 가리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개(500)는 폐쇄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입사된 빛은 제1 구멍(111)과 제2 구멍(112)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개(500), 제1 가림막(510) 및 제2 가림막(520)이 배치됨으로써, 조리개(500)는 동분할부(11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개(500)는 조리개 사용 상태, 동분할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동분할부(110)는 조리개와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분할부(110)는 ND 필터, 셔터, 및 조리개에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0)는 별도의 초점 검출 장치가 추가되지 않더라도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분할부(110)의 구멍이 2개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동분할부(110)의 구멍은 2개를 초과한 복수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촬상부(130)는 초점 조절시에 동분할부(110)를 통해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을 촬상하게 된다. 그리고, 연산부(140)는 동분할부(110)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촬상부(130)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게 된다. 또한, 연산부(140)는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과한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의 광량을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검출장치가 포함된 카메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검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부의 위치에 따라 맺히는 상의 모양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D 필터에 함께 장착된 동분할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분할부가 일체형으로 배치된 셔터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분할부가 일체형으로 배치된 조리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5)

  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동분할부;
    촬영시에는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고, 초점 조절시에는 상기 동분할부를 통해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과한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의 광량을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장치는,
    셔터, 조리개, 및 광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셔터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는,
    셔터 개방(open) 상태, 셔터 폐쇄(close) 상태 및 동분할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조리개 상에 일체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개는,
    상기 동분할부가 열린 상태일 경우, 닫힘상태가 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는,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이고,
    상기 동분할부는
    ND 필터와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2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멍은 제1 구멍 및 제2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구멍을 통과하여 결상된 상과 제2 구멍을 통과하여 결상된 상의 위치에 따라,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속을 복수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카메라의 촬상부에 결상되도록 배치되는 동분할부; 및
    상기 동분할부를 통과한 복수개의 광속이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되어 출력된 합성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초점 조절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과한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광속의 광량을 기초로 하여, 초점 조절의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동일한 구동원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할부는,
    상기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와 함께 또는 일체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장치는,
    셔터, 조리개, 및 광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검출장치.
KR1020090057211A 2009-06-25 2009-06-25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KR20100138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11A KR20100138614A (ko) 2009-06-25 2009-06-25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US12/816,882 US20100328519A1 (en) 2009-06-25 2010-06-16 Auto focusing apparatus and camera applying the same
EP10166429.0A EP2268001A3 (en) 2009-06-25 2010-06-18 Auto focusing apparatus and camera applying the same
JP2010143796A JP2011008260A (ja) 2009-06-25 2010-06-24 自動焦点の検出装置及びこれを適用したカメ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211A KR20100138614A (ko) 2009-06-25 2009-06-25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614A true KR20100138614A (ko) 2010-12-31

Family

ID=4232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211A KR20100138614A (ko) 2009-06-25 2009-06-25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28519A1 (ko)
EP (1) EP2268001A3 (ko)
JP (1) JP2011008260A (ko)
KR (1) KR20100138614A (ko)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5209A (en) * 1992-04-03 1996-01-16 Canon Kabushiki Kaisha Pupil divisional type focusing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cameras
JPH07287162A (ja) * 1994-04-15 1995-10-31 Canon Inc 自動焦点調節手段を有した画像入力装置
JP3412915B2 (ja) * 1994-05-2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装置
US6473126B1 (en) * 1996-12-09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Focusing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focus detecting device and camera utilizing the same
JPH10319310A (ja) * 1997-05-16 1998-12-04 Canon Inc 自動焦点調節装置
JP4135202B2 (ja) * 1998-01-16 2008-08-20 株式会社ニコン 焦点検出装置及びカメラ
US7358999B2 (en) * 1998-03-10 2008-04-15 Canon Kabushiki Kaisha Focus sensing apparatus, focus sensing method using phase-differential detec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for
JP2000125177A (ja) * 1998-10-12 2000-04-28 Ricoh Co Ltd 自動合焦装置
JP2000131602A (ja) * 1998-10-22 2000-05-1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0330012A (ja) * 1999-05-18 2000-11-30 Nikon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2001075003A (ja) * 1999-09-03 2001-03-23 Nikon Gijutsu Kobo:Kk 焦点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
US7158183B1 (en) * 1999-09-03 2007-01-02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5002086B2 (ja) * 1999-10-28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と撮像装置
JP3609988B2 (ja) * 2000-06-21 2005-01-1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
JP4500434B2 (ja) * 2000-11-28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方法
JP3844447B2 (ja) * 2001-06-20 2006-11-15 仁 鈴木 カメラ
US7099575B2 (en) * 2002-07-08 2006-08-29 Fuji Photo Film Co., Ltd. Manual focus device and autofocus camera
JP2004191629A (ja) * 2002-12-11 2004-07-08 Canon Inc 焦点検出装置
US7295232B2 (en) * 2003-01-15 2007-11-13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program
JP2006071950A (ja) * 2004-09-01 2006-03-16 Canon Inc 光学機器
JP2006106435A (ja) * 2004-10-06 2006-04-20 Canon Inc 光学機器
JP4378272B2 (ja) * 2004-12-15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装置
WO2006118180A1 (ja) * 2005-04-28 2006-11-09 Nidec Copal Corporation 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7028008A (ja) * 2005-07-13 2007-02-01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JP4708970B2 (ja) * 2005-11-16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当該焦点検出装置を有する撮像装置
US7751700B2 (en) * 2006-03-01 2010-07-06 Nikon Corporation Focus adjustment device, imaging device and focus adjustment method
US7792420B2 (en) * 2006-03-01 2010-09-07 Nikon Corporation Focus adjustment device, imaging device and focus adjustment method
JP2008052246A (ja) * 2006-07-28 2008-03-06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5157377B2 (ja) * 2007-11-12 2013-03-06 株式会社ニコン 焦点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8279318B2 (en) * 2007-12-14 2012-10-0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9258557A (ja) * 2008-04-21 2009-11-05 Funai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5391789B2 (ja) * 2008-06-27 2014-01-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撮像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露出制御方法
JP5317562B2 (ja) * 2008-07-17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相差検出装置、撮像装置、位相差検出方法、位相差検出プログラム
JP5161702B2 (ja) * 2008-08-25 201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焦点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8519A1 (en) 2010-12-30
EP2268001A2 (en) 2010-12-29
EP2268001A3 (en) 2014-06-04
JP2011008260A (ja)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547B2 (en) Stereoscopic image pickup unit, image pickup device, picture processing method, control method, and program utilizing diaphragm to form pair of apertures
JP5393300B2 (ja) 撮像装置
US95912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recomposed images
JP2011013645A5 (ko)
US95912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6372109B2 (ja) Af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0109923A (ja) 撮像装置
JP469370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248908B1 (ko) 자동초점 검출장치, 이를 적용한 카메라, 및 피사체 거리 산출방법
JP5217942B2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WO2016056089A1 (ja) カメラ及び撮影方法
KR20100138614A (ko) 자동초점 검출장치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JP2011176457A (ja) 電子カメラ
JP2001350087A (ja) 自動合焦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1176840B1 (ko) 촬영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자동 초점 검출방법
JP6005955B2 (ja) 測光装置及び撮像装置
US10567662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ing shift direction calculation
JP2016085242A (ja) 撮影装置
JP5157155B2 (ja)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5672323B2 (ja) 測光装置
JP2020068393A (ja) 撮像装置
JP201321967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50880A (ja) 露出演算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6004145A (ja) 光学機器および自動焦点調節方法
JP2006165898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