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493A -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 Google Patents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493A
KR20100136493A KR1020107022623A KR20107022623A KR20100136493A KR 20100136493 A KR20100136493 A KR 20100136493A KR 1020107022623 A KR1020107022623 A KR 1020107022623A KR 20107022623 A KR20107022623 A KR 20107022623A KR 20100136493 A KR20100136493 A KR 2010013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rete panel
lightweight
emulsion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짐파치
마사카도 겐노키
쓰토무 나가나와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3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applied to the substrate as oligomers or polymers
    • C04B41/4961Polyorganosiloxanes, i.e. polymers with a Si-O-Si-O-chain;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6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6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f carbon-to-silic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9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completely or partially of insulating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or foamed pla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갖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한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분무법 또는 롤러 피복법으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에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아민 당량 500 내지 100,000g/mol 및 25℃에서의 점도 50 내지 1,000,000mPa·s를 갖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O/W형 수성 에멀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Water-repellent light weight cellular concrete panel, method of producing the aforesaid, and water-based organopolysiloxane emulsion}
본 발명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non-film-forming)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갖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특히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특히 경량성, 내화성, 단열성 및 시공성의 이점으로 인해 건축 재료로서, 예를 들면, 외벽, 파티션, 마루, 지붕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분말상 규산질 물질 및 석회질 물질은 이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기재 성분이고, 이들 패널들은 기포 또는 공기 버블을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 후 반경화시키고, 추가로 고온 및 고압에서 수증기 양생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제조 직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약 40중량%의 수분을 함유하지만, 보관, 출하 및 시공 기간에 건조되어 약 10중량%의 수분에 이른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개수가 많아서, 이의 실내 보관은 실질적으로 무리이며, 이들은 통상 실외에 보관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비와 눈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서, 패널을 비닐 시트로 덮는 방책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공장과 같이 큰 부지에서의 이러한 방책의 실시는 적층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덮고 제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방책은 또한 패널 건조를 억제한다. 더구나, 구입, 보관 및 유지 비용을 포함하여 비닐 시트의 총 비용을 고려할 때, 당해 방법은 확실히 매우 실용적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비닐 시트로 덮지 않고 외부에 보관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이 비나 눈에 노출되는 경우, 물이 외표면을 통해 흡수되어 건조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백색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이 회색이나 적갈색으로 변색된다. 그 결과, 외관과 품질이 저하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중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더구나, 물 흡수에 의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이 변색될 뿐만 아니라 강우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어 건조 공정 동안 오염 및 착색을 일으키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에 잔류하여 외관 및 품질을 저하시킨다.
그 결과, 실외 보관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을 통한 물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시 발포제(예: 알루미늄 금속), 물, 및 규산질 물질 및 석회질 물질의 기재 성분의 출발 슬러리 혼합물에 실리콘계 발수성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에 발수성을 제공하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하면, 더 이상 비나 눈에 노출되지 않지만, 건축물의 외벽 또는 지붕에 시공 후 즉시 방수성 도료를 도포한다. 그 결과, 이러한 경우, 영구 발수 거동을 사용하는 것보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시공까지 단기 발수성을 유지하는 것이 오히려 수용 가능하다. 이로 인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에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를 소량 또는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과 실록산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를 소량 피복시킴으로써 발수성이 되도록 함으로써 단기간을 기준으로 물 흡수 유발된 변색 또는 중량 증가를 일으키지 않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실리콘계 발수성 물질을 출발 슬러리에 혼합시킴으로써 발수성이 제공되는 제조방법은, 발수성이 필요하지 않는 내부 영역이 발수성이되기 때문에, 당해 방법의 한 가지 문제점은 대량의 발수성 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성이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깍이거나 손상된 영역을 몰타르계 수선 재료로 수선하고자 하는 경우, 생성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몰타르계 수선 재료가 접착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 또는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과 실록산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를 피복시킴으로써 단기간의 발수성이 제공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경우, 한 가지 문제점은 몰타르 또는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를 사용하여 시공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들 사이/중의 조인트(joint)를 밀봉시키고자 할 때 몰타르 또는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에 의한 접착이 불량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시공 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합성 수지 수성 도료를 도포하는 경우, 도료 접착력이 불량하다는 것이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 또는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과 실록산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로 도포면에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도포하는, 특허문헌 5에 제공된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 고 공정 단계의 수도 증가시킨다.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 또는 기재 성분으로서 알킬알콕시실란과 실록산을 갖는 수성 에멀젼형 발수제 대신 특허문헌 6에 제공된 방법에 교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릭 디오가노폴리실록산과 관능성 그룹 함유 트리알킬실란으로부터의 유화 중합 라텍스의 도포; 특허문헌 7에 제공된 방법에 교시된 바와 같이, 아미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과 α,ω-디하이드록시폴리디알킬실록산의 에멀젼의 도포; 및 특허문헌 8에 교시된 바와 같이, (A) (A1) C1 내지 C20-하이드로카빌-C1 내지 C6-알콕시실란 및 (A2) C1 내지 C6 알콕시 그룹을 함유하는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B) (B1) 아미노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C1 내지 C6 알콕시실란 및 (B2) 아미노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분지상 오가노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및 (C) 유화제를 함유하는 에멀젼을 도포하는 방법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 각각은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경화 피막 또는 고화 피막을 형성하는 조막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에멀젼을 사용한다. 분무 피복, 즉 통상 사용되는 분무 장치의 경우, 분무기의 노즐 및 도관 내에서의 막 형성으로 인해 노즐이 막히거나 도관이 막히는 문제가 야기된다. 롤러 도포의 경우, 연속 도포 작업 동안 롤러 표면에 경화 피막 또는 고화 피막이 형성되어 롤러 표면이 발수성으로 되게 하여 에멀젼의 흡수를 막고 도포 작업을 계속할 수 없게 한다.
Figure pct00001

발명의 요지
해결하려는 기술적 문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으며,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이러한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단기간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으며,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이러한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무 도포하는 동안 분무 장치의 노즐 또는 도관을 막히게 하지 않고, 연속 롤러 도포 동안 롤러 표면에 방수막을 형성하지 않으며,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에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단기간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으며,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은 다음에 의해 달성된다.
"[1]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갖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포함하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2]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분무법 또는 롤러 피복법에 의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에멀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에 발수 처리층을 갖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상기 목적은 다음에 의해 달성된다.
"[3] 규산질 물질과 석회질 물질을 기재 성분으로서 갖고, 기포가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 후 반경화시키고, 추가로 고온 및 고압에서 수증기 양생시켜 제조된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과, 당해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환산하여 0.6 내지 12.0g/m2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발수 처리층을 포함하는,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4] 규산질 물질과 석회질 물질을 기재 성분으로서 갖고, 기포가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 후 반경화시키고, 추가로 고온 및 고압에서 수증기 양생시켜 제조된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분무법 또는 롤러 피복법에 의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환산하여 0.6 내지 12.0g/m2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에멀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에 발수 처리층을 갖는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상기 목적은 다음에 의해 달성된다.
"[5]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으로서, 상기 에멀젼이 O/W형 에멀젼이고, 상기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 내지 1000nm이고,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고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아민 당량 500 내지 100,000g/mol 및 25℃에서의 점도 50 내지 1,000,000mPa·s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5-1] [5]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레이저 산란식 서브마이크론 입자 분석기로 에멀젼 입자에 대해 측정된 체적 입자 크기 분포에서 체적-평균 입자 크기인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6] [5]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7] [6]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이, 메틸 그룹만 말단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거나, 메틸 그룹과 하이드록실 그룹이 말단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이고,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 그룹의 일부가 아미노알킬 그룹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7-1] [7]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알킬 그룹이 아미노프로필 그룹이고, 상기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이 N-(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그룹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8] [5]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중의 아미노 그룹 전부 또는 일부를 유기산 또는 무기산으로 중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8-1] [6], [7] 또는 [7-1]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 중의 아미노 그룹 전부 또는 일부를 유기산 또는 무기산으로 중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이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고,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분무 도포 동안 분무 장치의 노즐 또는 도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연속 롤러 도포 동안 롤러 표면에 방수막의 형성을 방지한다. 당해 방법은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고,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이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단기간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고,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기간 보관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분무 도포 동안 분무 장치의 노즐 또는 도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연속 롤러 도포 동안 롤러 표면에 방수막의 형성을 방지한다. 당해 방법은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부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고,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 단기 보관용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특히 단기간 보관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은 분무 도포 동안 분무 장치의 노즐 또는 도관을 막지 않고 연속 롤러 도포 동안 롤러 표면에 방수막을 형성하지 않으며,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외표면에 발수성을 부여할 수 있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적어도 2 내지 3개월 동안 우수한 발수성을 유지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에 존재하는 물의 증발이 방해받지 않고, 발수성 표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은 우수한 보존 안정성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내로의 우수한 침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이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으로부터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 발수 처리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JIS에 규정된 범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한정되지 않고 광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규산질 성분(예: 규석 등), 석회질 성분(예: 소성 석회, 시멘트 등) 등을 포함하는 기재 성분에 석고, 발포제 및 물을 혼합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거푸집에 부어 넣은 후, 발포시키고 반경화시킨 다음, 오토클레이브 양생으로 거의 완전히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통상적으로 다음 방법으로 제조된다. 혼합기에서 혼합하면서, 규산질 성분(예: 규석 등), 석회질 성분(예: 소성 석회, 시멘트 등) 등을 포함하는 기재 성분에 석고, 발포제 및 물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된 슬러리를 강화 바가 들어있는 거푸집에 부어 넣는다. 슬러리를 거푸집에서 발포시키면서 경화시켜 반경화체를 형성시킨다. 당해 반경화체를 거푸집으로부터 탈형시키고, 피아노 와이어를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다. 그 다음, 소정 형상의 반경화체를 오토클레이브 탱크에 넣고, 고온 및 고압 양생시킨다. 이러한 고온 및 고압 양생에 의해 반경화체가 완전 경화되어 경량 기포 큰크리트 패널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규산질 성분은 통상적으로 평균 단결정 입자 크기가 10㎛ 내지 100㎛인 석영을 포함하는 규석이고, 상이한 평균 단결정 입자 크기를 갖는 2 내지 3종의 규석이 사용될 수 있다.
규사가 규석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결정질 실리카, 예를 들어 규조토, 석탄회(fly ash), 고로 슬래그(blast furnace slag) 등이 또한 규석과 일부 혼합될 수 있다.
석회질 성분은 일반적으로 생석회, 소석회 및/또는 각종 시멘트 등이다.
무수 석고 또는 석고 2수화물이 석고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알루미늄 금속 분말이 발포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기타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타 재료를 배합할 수 있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오토클레이브 양생 동안 규산질 성분과 석회질 성분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결정도가 높은 토버모라이트(5CaO·6SiO2·5H2O)가 규석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를 나타낸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서 공극의 체적 분율은 일반적으로 약 80%이다. 일반적으로, 밀도는 450 내지 550kg/m3이고; 압축 강도는 4 내지 6N/mm2이며; 굽힘 강도는 1 내지 1.5N/mm2이다. 그러나, 이는 또한 450kg/m3 미만 200kg/m3(포함)까지의 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초경량 기포 콘크리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두께가 75mm 이상인 두꺼운 패널과 두께가 35mm 이상 75mm 미만인 얇은 패널로 대략적으로 분류되지만, 이들과 상이한 크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은 이의 수분의 증발과 함께 막을 형성하지 않고, 언급된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에멀젼을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부착하고, 침투시킨 후, 건조시키는 경우 막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경화 막 또는 고화 막을 형성하지 않는 유형이다.
당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직쇄 분자 구조를 갖지만, 높은 중합도를 갖는 경우 분지화될 수 있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특히 비조막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침투성 또는 투과성, 발수 처리 효과 및 발수 처리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 몰타르계 보수제 또는 수성 합성 수지 도료의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에서 유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아민 당량이 500 내지 100,000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1,000,000mPa·s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민 당량은 500 내지 50,000g/mol이고, 25℃에서의 점도는 100 내지 100,000mPa·s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는 200 내지 10,000mPa·s이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메틸폴리실록산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를 아미노알킬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대체하여 수득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말단 규소원자에 메틸 그룹만 결합되어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또는 말단 규소 원자에 메틸 그룹과 하이드록실 그룹이 결합되어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를 아미노알킬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치환함으로써 수득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이다. 이러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의 예로는 양 말단이 트리메틸실록시 그룹으로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쇄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 - 특히 측쇄 위치 또는 말단 위치 또는 두 위치 모두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 - 를 아미노알킬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치환함으로써 수득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 및 양 말단이 디메틸(하이드록시)실록시 그룹으로 차단된 디메틸폴리실록산 쇄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 - 특히 측쇄 위치 또는 말단 위치 또는 두 위치 모두에서 메틸 그룹의 일부 - 를 아미노알킬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치환함으로써 수득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각각의 분자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알킬 그룹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이 존재해도 되지만, 아민 당량 500 내지 100,000g/mol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수가 바람직하다.
아미노알킬 및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의 예로는
Figure pct00002
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CH2CH2CH2NH2 (3-아미노프로필 그룹) 및 -CH2CH2CH2(NHCH2CH2)NH2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그룹)이 바람직하다.
고려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의 예로는 아래에 제공된 평균 구조식을 갖는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학식에서, Me는 메틸 그룹이고; B는 아미노알킬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이고; m 및 n은 1 이상의 수이고; m + n은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의 25℃에서의 점도 50 내지 1,000,000 mPa·s를 제공하는 수이다.
Figure pct00003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을 둘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수 처리에 사용되는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은 수중유형 에멀젼 또는 유중수형 에멀젼일 수 있고, 수중유형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분 제거시 경화 또는 고화되어 방수막을 형성하는 에멀젼은 아닐 수 있다. 저장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nm이다. 이러한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산란식 서브마이크론 입자 분석기(모델명: COULTER N4, 제조원: Coulter Electronics, Inc.)로 측정한 에멀젼 입자의 체적 입자 크기 분포에서 체적 평균 입자 크기이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은 비가교결합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을 물 속에서 유화시켜 제조(유화형)할 수 있거나,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유화 중합형)할 수 있다. 기타 제조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희석되지 않은 수성 에멀젼은 주위 온도에서 액상이고, 우수한 보존 안정성이 존재하는 한, 이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희석되지 않은 수성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A)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 (B) 유화제 1 내지 20중량부 및 (C) 물 50 내지 300중량부를 포함한다. 유화제(B)는 2 내지 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물(C)은 100 내지 2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으로, 물로 5배 내지 50배로 희석된 수성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유화제(B)는 성분(A)을 물 속에서 안정하게 유화시키는 성분이고, 이의 예로는 우수한 유화능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고급 지방족 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고급 지방족 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롤/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 및 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과 같은 4급 암모늄염형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한, 예를 들면, 증점제(예: 수용성 중합체), 방부제, 침투제, 대전방지제, 염료 등을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임의로 혼입시킬 수 있다.
유화형 수성 에멀젼은 상기 성분(A)에 성분(B)를 가하고, 이를 호모믹서, 균질화기, 콜로이드 밀, 콤비네이션식 믹서 등으로 물 속에서 유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중합형의 수성 에멀젼은 물 속에서 사이클릭 디오가노폴리실록산과 아미노알킬(알킬)디알콕시실란간의 유화 중합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수성 에멀젼 중에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특히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아미노 그룹 전부 또는 일부를 유기산(예: 아세트산) 또는 무기산(예: 염산)으로 중화시킬 수 있고, 일부가 중화되는, 즉 부분 중화가 바람직하다. 부분 중화는 수성 에멀젼 자체에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에 수성 에멀젼이 피복되면, 부분 중화는 수성 에멀젼에 파괴 내성을 부여하여 수성 에멀젼 상태로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발수 처리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즉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갖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단순히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제조 즉시 또는 실내에서 수 일 방치 후,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체 표면에 도포 또는 부착시킨 다음, 상기 도포 또는 부착된 에먼젼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연속 도포 방법, 즉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롤러 컨베이어에 놓고 고정 분무 도포 스테이션 내를 통과시키는 방법이 패널 길이가 1 내지 6m인 각종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형에 발수 처리를 수행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대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의 도포량은 발수 처리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단기간 실외 보관하려는 경우, 즉 2 내지 3개월간 보관하려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2.0g/m2이다. 발수 처리된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2 내지 3개월을 초과하는 기간 동안 실외에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12.0g/m2 초과량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 (12.0을 포함하지 않음) 내지 24.0g/m2가 바람직하다.
에멀젼을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피복시키는 경우, 에멀젼은 패널 내부에 침투하거나 투과한다. 에멀젼은 통상적으로 표면으로부터 1 내지 2mm 깊이까지 침투한다. 물론 에멀젼의 점도가 보다 낮고 에멀젼 도포량이 보다 많으면, 더 깊이 침투된다. 장기간 실외에서 보관하는 경우, 보다 많은 도포량이 바람직하다.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으로부터 기재된 방식으로 수득된 발수 처리층을 표면에 갖는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실외 보관과 같은 보관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거동을 나타낸다: 패널의 표면은 비나 눈에 의해 거의 완전히 젖지 않고, 변색되지 않으며, 패널에 초기에 다량으로 존재하던 수분은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함수량은 35mm 두께의 패널의 경우 약 2주 후에, 두께가 100mm 이상인 패널의 경우에는 1 내지 2개월 후에 약 10중량% 미만으로 되고, 건축물의 외벽 재료, 마루 재료, 지붕 재료 등으로 적용시 단열 성능이 향상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아래에 기재한다.
실시예용의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 비교예용의 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1 및 2), 비조막성 에폭시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3) 및 알킬트리알콕시실란/실록산 혼합물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4)에 대해 다음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의 조막성, 물로 희석된 에멀젼의 조막성,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의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분무함으로써 발수 처리하여 수득된 패널에 대한 물 흡수 방지성, 발수 처리된 패널(발수 처리는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분무함으로써 수행된다)을 실내에 방치하는 경우의 건조 거동(수분 함유량의 감소 정도) 및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 직후 당해 패널의 표면에 분무함으로써 제조된 발수 처리면에 대한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프라이머 포함)의 부착성.
[수성 에멀젼]
표 1은 발수 처리에 사용된 수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에멀젼의 명칭, 종류, 성상 및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표 2는 이들 에멀젼에 함유된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종류, 성상 및 특성을 나타낸다. 표에서, %는 중량%이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2에서, BX22-591은 양 말단 규소 원자에 메틸 및 하이드록실 그룹이 결합되어 있고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일부의 메틸 그룹이 -CH2CH2CH2(NHCH2CH2)NH2로 대체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나타내고; BX22-593은 말단에 트리메틸실록시 및 디메틸(하이드록시)실록시 그룹을 갖고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일부의 메틸 그룹이 CH2CH2CH2(NHCH2CH2)NH2로 대체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나타내고; BC22-971 및 BC22-972는 부분 가교결합된 메틸폴리실록산의 일부의 메틸 그룹이 CH2CH2CH2(NHCH2CH2)NH2로 대체된 부분 가교결합된 메틸폴리실록산을 나타내고; BC22-592는 메틸 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측쇄의 일부의 메틸 그룹이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 그룹으로 대체된 메틸 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을 나타낸다.
아민 당량의 단위는 g/mol이다. 부분 중화는 아세트산으로 수행하였다. BX22-591, BX22-593 및 BC22-592 각각에 대해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점도를 유화 공정에 제공된 실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고; 25℃에서 회전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BC22-734에 대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점도는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아세톤을 수성 에멀젼에 가하여 에멀젼을 파괴하고; 물을 증발시키며; 잔류물을 25℃에서 회전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BC22-971 및 BC22-972의 경우, 아세톤을 가하여 에멀젼을 파괴한 후 물을 증발시키는 경우 조막성 물질이 수득되고, 그 결과,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조막 상태]
각각의 수성 에멀젼 또는 이의 수 희석액(농도 =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1.5중량%)을 1mL 용량의 알루미늄 용기에 넣고, 실험실에서 1일 동안 정치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물의 조막 여부를 육안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물이 액상인 경우, 스코어(+)를 부여하고, 건조물이 필름상 또는 고무상이고 필름을 형성한 경우, 스코어(x)를 부여한다.
[물 흡수 방지성]
각각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1.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시키고, 250 mm x 606 mm x 35 mm 보드(제조 직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함수율 약 40중량%, 밀도 = 500kg/m3)의 평활면 및 발포면(전기 플래너로 절삭된 표면)에, 도포량이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5g/m2가 되도록 상기 희석액을 분무 도포하였다. 도포된 보드를 실험실에서 3일 동안 정지시킨 후, 0.5mL의 물을 평활면 및 발포면에 적하시켰다.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20mL 비이커로 물 적하 부위를덮었다. 적하 1시간 후에 적하된 물의 잔존 상황을 관찰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수성 에멀젼으로 도포된 보드에 대해 동일한 평가를 수행하는데, 단 당해 경우에는 보드를 실외에서 2개월간 노출시킨 후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떨어뜨린 물의 반 이상이 잔존하는 경우, 스코어(+)를 부여하고; 떨어뜨린 물이 잔류하는 경우, 스코어(△)를 부여하고; 떨어뜨린 물이 잔존하지 않는 경우, 스코어(x)를 부여하였다.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의 부착 강도]
각각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1.5중량%의 농도로 되도록 물로 희석시키고, 250 mm x 606 mm x 35 mm 보드(제조 직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함수율 약 40중량%, 밀도 = 500kg/m3)의 발포면(전기 플래너로 절삭된 표면)에, 도포량이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5g/m2가 되도록 상기 희석된 에멀젼을 분무 도포하였다. 도포된 보드를 실험실에서 3일 동안 정치시킨 후, 도포면에 아크릴계 프라이머(제품명: P 프라이머, 제조원: Nippon NSC Ltd.)를 도포하였다.
반일 후, 프라이머 도포면에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제품명: Bell Ace P4000K, 제조원: Nippon NSC Ltd.)를 폭 7mm 및 길이 200mm의 비드를 형성하도록 캐스팅하였다. 실험실에서 2개월 동안 양생시켜 경화시킨 후, 길이 25mm 피치로 커터로 절개하였다. 인장 폭이 21mm인 그리퍼(gripper) 및 푸쉬-풀 게이지(push-pull gauge)(최대 100N)를 사용하여 경화된 실란트를 인장시킴으로써 결합 강도 또는 부착 강도를 측정하였다(n = 8). 평가: 무도포(강도비 100)를 기준으로 하여, 강도비가 95 이상인 경우, 스코어(+)를 부여하고, 강도비가 95 미만인 경우, 스코어(x)를 부여하였다.
[건조성]
각각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1.5중량%의 농도로 되도록 물로 희석시키고, 250 mm x 606 mm x 35 mm 보드(제조 직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함수율 약 40중량%, 밀도 = 500kg/m3)의 전면에, 도포량이 유효 성분으로 환산하여 5g/m2가 되도록 상기 희석액을 분무 도포하였다. 그 다음, 보드를 25±5℃의 실험실에 설치하고, 이의 직후부터 1일 후, 2일 후, 3일 후, 6일 후, 10일 후, 15일 후, 20일 후 및 25일 후에 중량을 측정했다. 표 3의 수치는 함수율(중량%)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평가: 15일 후 함수율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스코어(+)를 부여하는 한편, 15일 후 함수량이 10중량% 이상인 경우 스코어(x)를 부여하였다.
[종합 평가]
전체 평가된 특성을 근거로 종합적 평가를 하였다. 종합 평가: 평가된 특성이 스코어(x)를 받지 않은 경우, + 로 평가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평가된 특성이 스코어(x)를 받은 경우, x 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 결과 및 종합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건조 상태]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 비조막성 에폭시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3) 및 알킬트리알콕시실란/실록산 혼합물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4)의 경우, 최초 에멀젼으로부터 건조물 및 물로 희석된 에멀젼으로부터 건조물은 둘 다 액상이었고, 조막은 일어나지 않았다. 발명자의 경험상, 이런 경우, 분무 도포 장치에서 노즐 또는 도관의 막힘이 야기될 위험은 없다. 이에 반해, 조막성 아미노 변성 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1 및 2)은 최초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물 및 물로 희석된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물 둘 다 필름상 또는 고무상 막 형성을 나타내었다. 발명자의 경험상, 현장 도포 작업 동안 이는 분무 도포 장치의 노즐 및 도관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거나 연속 롤러 도포 작업 동안 롤러 표면에 방수막을 생성시켜 롤러를 사용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물 흡수 방지성]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은 우수한 물 흡수 방지성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발수성을 나타낸다. 무도포 상태(비교예 5) 및 비조막성 에폭시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3)은 둘 다 물 흡수 방지성이 작고, 따라서 발수성이 작다.
[수성 아크릴계 실란트의 부착성]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의 경우, 발수 처리면에 대한 부착성은 정상이다. 알킬트리알콕시실란/실록산 혼합물의 수성 에멀젼(비교예 4)의 경우에는 발수 처리면에 대한 부착성이 약하다.
[건조성]
표 3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에 대한 함수율의 감소 경향은 무도포의 경우(비교예 5)와 동일하고, 도포 15일 후 함수율은 10중량% 미만이고, 따라서 차이가 없다.
[종합 평가]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실시예 1 및 2)은 모든 평가에서 만족스런 결과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및 본 발명의 발수성 단기 보관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은, 예를 들면, 건축물의 외벽 재료, 마루 재료, 지붕 재료 등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및 단기간 보관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발수처리에 유용하다.

Claims (7)

  1.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non-film forming)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에 의해 제공된 발수 처리층을 갖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을 포함하는,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water-repellent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panel).
  2.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분무법 또는 롤러 피복법에 의해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에멀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에 발수 처리층을 갖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3. 규산질 물질과 석회질 물질을 기재 성분으로서 갖고, 기포가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 후 반경화시키고, 추가로 고온 및 고압에서 수증기 양생시켜 제조된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과, 당해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환산하여 0.6 내지 12.0g/m2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발수 처리층을 포함하는, 단기 보관용 발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4. 규산질 물질과 석회질 물질을 기재 성분으로서 갖고, 기포가 내부에 존재하도록 한 후 반경화시키고, 추가로 고온 및 고압에서 수증기 양생시켜 제조된 함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분무법 또는 롤러 피복법에 의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환산하여 0.6 내지 12.0g/m2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에멀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에 발수 처리층을 갖는 단기 보관용 발수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5.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으로서,
    상기 에멀젼이 O/W형 에멀젼이고, 상기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 내지 1000nm이고,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고 상기 오가노폴리실록산이 아민 당량 500 내지 100,000g/mol 및 25℃에서의 점도 50 내지 1,000,000mPa·s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이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조막성 아미노 변성 디오가노폴리실록산이, 메틸 그룹만 말단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거나, 메틸 그룹과 하이드록실 그룹이 말단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이고,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 그룹의 일부가 아미노알킬 그룹 또는 N-(아미노알킬)아미노알킬 그룹으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표면의 발수 처리용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KR1020107022623A 2008-03-11 2009-03-11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KR20100136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1679A JP5301178B2 (ja) 2008-03-11 2008-03-11 撥水性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短期保管用撥水性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それらの製造法および撥水処理用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水性エマルション
JPJP-P-2008-061679 2008-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493A true KR20100136493A (ko) 2010-12-28

Family

ID=4075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623A KR20100136493A (ko) 2008-03-11 2009-03-11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129660A1 (ko)
EP (1) EP2252563A1 (ko)
JP (1) JP5301178B2 (ko)
KR (1) KR20100136493A (ko)
CN (1) CN101970379B (ko)
AU (1) AU2009224205A1 (ko)
BR (1) BRPI0909032A2 (ko)
CA (1) CA2718047A1 (ko)
EA (1) EA018598B1 (ko)
MX (1) MX2010009994A (ko)
NZ (1) NZ587681A (ko)
WO (1) WO20091137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145B1 (ko) * 2021-04-14 2021-09-10 김학봉 방수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986B1 (ko) * 2021-04-14 2021-09-24 김학봉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6796A1 (en) * 2010-10-25 2012-04-26 Tomahawk, Inc. Waterproof masonry cement
EP2812402A2 (en) * 2012-02-08 2014-12-17 Dow Corning Corporation Substrate in powder or fibre form
JP6849302B2 (ja) * 2014-07-01 2021-03-24 旭化成建材株式会社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6497924B2 (ja) * 2014-12-16 2019-04-1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JP6499435B2 (ja) * 2014-12-16 2019-04-1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JP6497923B2 (ja) * 2014-12-16 2019-04-1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JP6497922B2 (ja) * 2014-12-16 2019-04-1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JP6619895B2 (ja) * 2019-01-22 2019-12-11 旭化成建材株式会社 木造建築物の耐火外壁構造
CN111533574A (zh) * 2020-05-25 2020-08-14 山东天意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发泡混凝土制品表面防护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9446A (en) * 1968-06-04 1972-07-25 Osaka Packing Molding materials of calcium silicate hydrate and shaped products thereof
JPS6041637B2 (ja) * 1980-12-08 1985-09-18 ト−レ・シリコ−ン株式会社 無機質吸水性建材の撥水処理方法
JPH0768489B2 (ja) * 1987-06-15 1995-07-26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高透湿性水性塗料組成物
US5240501A (en) * 1989-06-23 1993-08-31 Vidosava Popovic Material for heat and electrical insulation with a capacity of selective absorpt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spectrum and vibration,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JP2892088B2 (ja) * 1990-03-15 1999-05-17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建築材料の表面処理剤
DE4029640A1 (de) * 1990-09-19 1992-03-26 Goldschmidt Ag Th Zubereitung zur wasserabweisenden impraegnierung poroeser mineralischer baustoffe
US5326483A (en) * 1993-02-19 1994-07-05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clear shampoo products
JP2915803B2 (ja) * 1994-07-22 1999-07-05 昭和高分子株式会社 水系撥水・防水コーティング剤
US6294608B1 (en) * 1995-05-11 2001-09-25 Wacker-Chemie Gmbh Emulsions of organosilicon compounds for imparting water repellency to building materials
US20020037957A1 (en) * 2000-06-23 2002-03-28 Liao Wen P. Silicone weatherproofing compositions
US6323268B1 (en) * 2000-06-27 2001-11-27 Dow Corning Corporation Organosilicon water repellent compositions
US20020117086A1 (en) * 2000-12-19 2002-08-29 Caijun Shi Low shrinkage, high strength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EP1362836B1 (en) * 2001-02-19 2007-03-14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rporation Cured form of calcium silicate having high strength
DE102004040266A1 (de) * 2004-08-19 2006-02-23 Wacker-Chemie Gmbh Öl-in-Wasser Emulsionen von Aminosiloxanen
WO2008134243A1 (en) * 2007-04-26 2008-11-06 Dow Corning Corporation Aqueous silicone emulsions for imparting water repellenc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145B1 (ko) * 2021-04-14 2021-09-10 김학봉 방수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4986B1 (ko) * 2021-04-14 2021-09-24 김학봉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2563A1 (en) 2010-11-24
CN101970379B (zh) 2013-09-25
CA2718047A1 (en) 2009-09-17
JP5301178B2 (ja) 2013-09-25
BRPI0909032A2 (pt) 2018-03-13
JP2009215118A (ja) 2009-09-24
WO2009113732A1 (en) 2009-09-17
NZ587681A (en) 2011-11-25
AU2009224205A1 (en) 2009-09-17
EA201071055A1 (ru) 2011-02-28
US20110129660A1 (en) 2011-06-02
MX2010009994A (es) 2010-12-20
CN101970379A (zh) 2011-02-09
EA018598B1 (ru)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6493A (ko) 발수성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오가노폴리실록산 수성 에멀젼
US6323268B1 (en) Organosilicon water repellent compositions
US5356716A (en) Waterproofing sealer/repellent compositions for concrete, masonry and porous surfaces
US8354480B2 (en) Aqueous silicone emulsion for imparting water repellency
US8470925B2 (en) Aqueous emulsions of silicone resins
JPS63120773A (ja) シリコ−ン水性エマルジヨン防水材組成物
KR970000942B1 (ko) 구조섬유-보강시멘트성분의 함침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알킬트리알콕시실란 에멀젼
EP0234024A1 (en) Aqueous systems containing silanes for rendering masonry surfaces water repellant
JP4083323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系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H0637591B2 (ja) 水ベースシリコーン−有機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ための方法
US5066520A (en) Method of protecting porous masonry
AU8836298A (en) Emulsions of organosilicon compounds for imparting water repellency to building materials
JP5158935B2 (ja) 土木建築用吸水防止剤組成物
JP2006036586A (ja) コンクリートの耐久性改善法
JP2017025181A (ja) コンクリート処理用のシラン/シロキサン系エマルジョン
JP4664345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系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CN114008167A (zh) 可硫化有机硅组合物
WO2021126175A1 (en) Aqueous dispersions of organosilicon compounds
JP3902339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短期の保管方法
US8221533B2 (en) Method to render surfaces water repellent
US20210253487A1 (en) Building waterproofing kit-of-parts and use thereof as liquid building waterproofing agent and use thereof
JP2002336771A (ja) 塗装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056683A (ja) 防水層の形成方法
JPH0316976A (ja) 無機材料の表層改質剤
JP2008013644A (ja) クリーム状浸透型吸水防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