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256A -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256A
KR20100135256A KR1020107022859A KR20107022859A KR20100135256A KR 20100135256 A KR20100135256 A KR 20100135256A KR 1020107022859 A KR1020107022859 A KR 1020107022859A KR 20107022859 A KR20107022859 A KR 20107022859A KR 20100135256 A KR20100135256 A KR 20100135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ber
cleaning
long
long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636B1 (ko
Inventor
미노루 와다
히로시 오츠카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063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18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520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133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0Cleaning implements actua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Devices for cleaning same; Magnetic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29C65/08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 B29C65/08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using a rotary sonotrode or a rotary anvil using a rotary anv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69General aspects of joining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Domestic articles
    • B29L2031/7406Sponges; Clean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1A)는 기재 시트(2)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장섬유(31)가 집합한 장섬유속(3)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청소용 시트이다.
이 장섬유속(3)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장섬유(31)끼리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1A)는 이와 같이 형성된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에 시트 접합부(21)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1A)는 섬유 접합부(32) 전체 또는 상기 섬유 접합부(32)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 시트(2)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시트 접합부(21)가 섬유 접합부(32)와 직각으로 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CLEANING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다수개의 장섬유를 구비하는 청소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드부 및 헤드부에 연결된 자루(handle)를 가지는 청소구에 있어서의 헤드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청소용 시트로서, 무수개의 장섬유를 구비한 청소용 시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한방향으로 연장되는 무수한 열융착성 장섬유가,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열융착성 장섬유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복수 배치된 용착부에 의해, 열융착 시트에 접합되어 형성된 청소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청소용 시트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에 의해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용착부들 사이에서는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려, 먼지 포집성을 향상시키기가 어렵다. 또한, 열융착성 장섬유가 청소 대상물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용착부들 사이에서 무수한 열융착성 장섬유를 절단하여, 열융착성 장섬유의 길이를 이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소용 시트는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에 의해서만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열융착성 장섬유로 이루어지는 장섬유속(長纖維束)의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 먼지 포집성을 향상시키기가 어렵다.
특허문헌 3에는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웃하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들 사이에서 다수개의 열융착성 장섬유를 절단하여, 길이가 다른 열융착성 장섬유를 구비한 청소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청소용 시트는 이웃하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들 사이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간헐적인 절단선을 배치함으로써 열융착성 장섬유를 절단하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용착부들 사이의 다수개의 열융착성 장섬유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웃하는 용착부들 사이의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린다. 또한, 절단된 열융착성 장섬유는 이웃하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용착부의 한쪽 용착부가 가지는 길이와, 다른쪽 용착부가 가지는 길이가 다르지만, 한쪽 또는 다른쪽 용착부가 가지는 열융착성 장섬유의 길이는 각각 균일하다. 따라서, 열융착성 장섬유의 길이에 랜덤성이 없어 먼지 포집성을 향상시키기가 어렵다.
US6329308B1 EP0777997A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24567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장섬유속의 자유도가 제한되지 않아,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먼지 포집성이 뛰어난 청소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제한되지 않고, 열융착성 장섬유가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 청소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착부에서 열융착성 장섬유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랜덤하여, 먼지 포집성이 뛰어난 청소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基材)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장섬유가 집합한 장섬유속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청소용 시트이다.
장섬유속은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에 의해 장섬유끼리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는 장섬유속을 기재 시트에 시트 접합부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는 섬유 접합부 전체 또는 섬유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 시트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시트 접합부가 섬유 접합부와 직각으로 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상기 장섬유의 집합체를 풀어내, 소정 폭으로 폭을 확대하고,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섬유 접합부에 의해 상기 장섬유끼리 접합하여 일체화한 장섬유속을 형성하는 장섬유속 형성공정과,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된 띠형상의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공급하는 장섬유속 공급공정과, 상기 장섬유속과 띠형상의 상기 기재 시트를 상기 시트 접합부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해서 각각의 청소용 시트를 얻는 청소용 시트 형성공정을 적어도 가지는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다수개의 장섬유를,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에 의해 섬유속으로 하는 장섬유속을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접합한 청소용 시트이다.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장섬유가,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로 컷팅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는 선형상 컷팅부와 미(未)컷팅부가 교대로 배치된 불연속선을,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병행하여 2개 형성하고 있다.
청소용 시트의 2개의 불연속선은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장섬유속의 자유도가 제한되지 않아,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향상하고, 먼지 포집성이 뛰어난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에 있어서의 장섬유속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의 X1-X1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의 X2-X2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를 청소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하나의 실시양태의 전체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의 X-X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를 청소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청소용 시트의 X1-X1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5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장섬유(31)가 집합한 장섬유속(3)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청소용 시트이다. 이 장섬유속(3)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장섬유(31)끼리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1A)는 이와 같이 형성된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에 시트 접합부(21)를 통해 접합하고, 섬유 접합부(32)의 적어도 일부는 기재 시트(2)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청소용 시트이다.
또한, 청소용 시트(1A)의 복수개의 시트 접합부(21)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소용 시트(1A)는 기재 시트(2)의 양면상 또는 한면상에, 한면에 대하여, 장섬유속(3)을 바람직하게는 2개∼30개 구비하고 있다.
이하, 기재 시트(2)의 양면상에, 한면에 대하여, 장섬유속(3)을 2개 구비하고 있는 청소용 시트(1A)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기재 시트(2)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방형상이며, 기재 시트(2)의 길이는 10cm∼60cm이고, 기재 시트(2)의 폭은 5cm∼40cm이다. 청소용 시트(1A)는 기재 시트(2)의 양면상에 장섬유속(3)이 시트 접합부(21)를 통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는 통상 제조시의 그 소재의 반송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여기서 '장섬유(31)가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한다'는 것은 제조상의 오차, 장섬유(31)가 권축 가공(捲縮加工;crimping) 등 됨으로써, 일부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이 그 밖의 대부분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에서 어긋났을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상기 장섬유속(3)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수개의 장섬유(31)를,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1개의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장섬유속(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시적으로 봤을 때 장방형상이다.
상기 장섬유속(3)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양면상 각각에 장섬유속(3)의 길이방향과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의 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병렬해서 배치하고 있다. 장섬유속(3)의 길이는 기재 시트(2)의 길이와 같고, 장섬유속(3)의 폭은 2cm∼30c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장섬유속(3)의 폭의 합계 폭보다 기재 시트(2)의 폭쪽이 넓고, 기재 시트(2)에 있어서의 장섬유속(3)보다도 폭방향 바깥쪽의 영역(이하 '플랩(flap)(22)'이라고 함)은 청소구의 헤드부에 장착될 때에 이용되는 부분이 된다(상세한 것은 후술).
상기 장섬유(31)는 장섬유속(3)에 있어서, 티끌의 포착성(trapping capability)의 관점에서, 섬유 접합부(32) 1cm당, 한쪽에 1000개∼50000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0개∼40000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티끌의 포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1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20mm이다. 장섬유(31)의 섬유길이란, 섬유 접합부(32)에서 장섬유(31)의 선단까지의 길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섬유길이를 가지는 장섬유(31)를 섬유 집합체(토우;tow)의 상태로 이용한다. 섬유 집합체(토우)는 공지의 개섬장치를 이용해서 충분히 개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의 굵기는 특별히 임계적이지는 않지만, 티끌의 포착성이나 청소 대상면에의 흠집 방지성의 관점에서 0.1∼200dtex, 특히 2∼3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로서는 권축성 섬유를 이용하면, 티끌의 포착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로서는 제품으로서의 외관의 향상, 부착된 때가 보이기 쉽게 하는 등의 점에서, 백색 이외의 색(예를 들면 오렌지색, 하늘색)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 접합부(32)는 장섬유속(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접합부(32)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 시트(2)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섬유 접합부(32)는 열융착 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섬유(31)를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섬유 접합부(32)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섬유 접합부(32)의 길이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와 같고, 섬유 접합부(32)의 폭은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5mm∼10mm이다.
상기 시트 접합부(21)는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며, 열융착 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섬유(31)를 기재 시트(2)에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시트 접합부(2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체로서 시트 접합부군(23)을 형성하고 있다.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와의 간격은 대략 등간격이다.
상기 시트 접합부(2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접합부(21)와 그것에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와의 간격이 10mm∼4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4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이 10mm 미만이면 장섬유속의 자유도가 낮아지고, 45mm보다 크면 장섬유속의 자유도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시트 접합부(21) 각각의 크기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시트 접합부(21) 각각의 길이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mm∼50mm이고, 시트 접합부(21) 각각의 폭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5mm∼10m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접합부(3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접합부(21)와 접합되어 있고,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32)의 적어도 일부가 기재 시트(2)와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시트 접합부(21) 각각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32)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 접합부(21)와 섬유 접합부(32)가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접합부(21) 각각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32)와 직각으로 접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에 접합시키고 있다. 또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들 사이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속(3)과 기재 시트(2)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기재 시트(2)로부터 장섬유속(3)이 떨어져 있다. 즉, 섬유 접합부(32) 중에서, 시트 접합부(21)와 접하는 부분만이 기재 시트(2)와 접합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섬유 접합부(32) 중의 시트 접합부(21)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기재 시트(2)와 접합되어 있지 않고, 기재 시트(2)로부터 장섬유속(3)이 떨어져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시트 접합부군(23, 23)을 가지고 있고, 시트 접합부군(23, 23)들 사이에 있어서, 기재 시트(2)를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로 컷팅해서 형성하고 있다. 선형상 컷팅부(24)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부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 이른바 지그재그(staggered)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의 형성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재 시트(2)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재 시트(2)에 접합되어 있는 장섬유속(3)도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쉬워지므로, 청소용 시트(1A)에 의한 먼지, 티끌 등의 포착 효과가 높아져 있다.
기재 시트(2)로서는 종래의 청소용 시트에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등의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시트(2)의 형성 재료는 부직포, 네트형상 시트, 필름, 합성지 또는 그들의 복합 재료여도 된다.
상기 장섬유(31)로서는 열용착성 합성 섬유, 복합 섬유, 그들을 열처리해서 얻어지는 권축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섬유(31)에는 필요에 따라 유제(油劑) 함침 처리나 대전 방지 처리, 대전 처리, 친수화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기재 시트(2)를 이용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41) 및 헤드부(41)에 연결된 자루(42)를 구비한 청소구(4)에 있어서의 헤드부(41)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청소구(4)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가 장착 가능한 헤드부(41), 및 헤드부(41)에 유니버셜 조인트(43)를 통해 연결된 봉형상의 자루(42)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41)의 장착면(바닥면)은 평면에서 봤을 때 장방형상이고, 통상의 사용양태에서는, 청소구(4)는 헤드부(41)를 그 폭방향으로 이동(특히 왕복이동)시켜 청소를 행한다. 즉, 청소구(4)의 청소방향은 헤드부(41)의 폭방향이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과, 청소구(4)의 헤드부(41)의 길이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기재 시트(2)의 중심점과 헤드부(41)의 중심점을 일치시켜 헤드부(41)의 장착면(바닥면)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기재 시트(2)의 플랩(22, 22)을 헤드부(41)의 상면측으로 젖힌다. 또한 플랩(22)을 헤드부(41)에 있어서의, 방사상의 슬릿을 가지는 가요성(可撓性;flexibility)의 복수의 시트 유지부(44) 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로써 청소용 시트(1A)를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기재 시트(2)가 네트형상 시트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재 시트(2)와 시트 유지부(44)를 걸어맞추는 힘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이 상태로, 예를 들면 마루(flooring)의 걸레질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시트(2)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장섬유속(3)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은 실질적으로 청소구(4)의 청소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에 의하면,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통상의 자루걸레(mop)용 청소구와 마찬가지로 마루방(wooden-floored room)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속(3)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접합부(32)와,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에 접합하기 위한 시트 접합부(21)가 별개로 존재한다. 그리고 청소용 시트(1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들 사이에서는 장섬유속(3)과 기재 시트(2)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떨어져 있어, 장섬유속(3)이 시트 접합부(21)에 의해 구속되는 일이 없다. 즉,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들 사이에서는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의 자유도가 시트 접합부(21)에 의해 제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1A)의 먼지 포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접합부(21) 각각의 크기가 장섬유(31)의 배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섬유(31)끼리의 얽힘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용 시트(1A)의 먼지 포집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트 접합부(21) 각각의 크기가 청소구(4)의 청소방향으로 배향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접합부(21)가 청소 대상물에 걸리는 일이 없고, 청소용 시트(1A)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재 시트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섬유속(3)의 자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청소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대하여 도 7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와 동일하며,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의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부(33)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이른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로서 섬유 접합부군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섬유 접합부군(34a, 34b)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의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폭방향에서 봤을 때, 다른 섬유 접합부군(34a, 34b)을 형성하는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의 말단끼리 겹쳐져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군(34a)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의 말단과,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섬유 접합부군(34b)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의 말단이 겹쳐져 있으며, 섬유의 접합의 관점에서 간격(w)은 0mm∼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mm∼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 접합부군(34a)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와,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섬유 접합부군(34b)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의 거리(d)는 섬유속의 자유도의 관점에서 1mm∼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4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접합부(32') 각각의 길이(l)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mm∼100mm이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의 장섬유속(3)은 이러한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의 시트 접합부(21') 각각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섬유 접합부(32')상에 배치되어 있고, 시트 접합부(21')와 섬유 접합부(32')가 접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일부의 섬유 접합부(32')에서는, 시트 접합부(21') 각각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32')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교차한 섬유 접합부(32') 부분만 기재 시트(2)와 접합해 있으며, 그 밖의 섬유 접합부(32') 부분에서는 기재 시트(2)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술한 일부의 섬유 접합부(32') 이외의 그 밖의 섬유 접합부(32')는 시트 접합부(21')와 접해 있지 않고, 그 밖의 섬유 접합부(32')에서는 그 전부가 기재 시트와 접합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에 의하면,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통상의 자루걸레용 청소구와 마찬가지로 마루방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들 사이에서는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의 자유도가 시트 접합부(21')에 의해 제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1B)의 먼지 포집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대하여, 상술한 도 1∼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서는 하기 (1)∼(6)의 공정을 거쳐 청소용 시트(1A)를 제조한다.
(1)장섬유속 형성공정
(2)장섬유속 절단공정
(3)장섬유속 공급공정
(4)적층체 형성공정
(5)청소용 시트 형성공정
(6)컷팅부 형성공정
(1)장섬유속 형성공정
본 공정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장섬유(31)의 집합체를 풀어내, 폭 확대 롤(50)에 의해 소정 폭방향으로 폭을 확대하고, 장섬유(31)의 배향방향(장섬유(31)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장섬유(31)끼리 접합하여 일체화한 장섬유속(3)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섬유 접합부(32)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장섬유(31)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중앙 연속 씰선(132)이다. 본 공정에서는, 섬유 접합부(32)가 되는 중앙 연속 씰선(132)은 제1 가열 엠보싱기(51)로 눌려서 형성되어 있고, 풀어낸 장섬유(31) 집합체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연속 씰선(132)은 히트 씰, 초음파 씰 등의 공지의 씰 수단에 의해 박리 불능하도록 실시한다.
(2)장섬유속 절단공정
본 공정은 도 8,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화한 장섬유속(3)을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이웃하는 중앙 연속 씰선(132, 132) 사이를, 장섬유(31)의 배향방향(장섬유(31)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컷터(61)로 눌러 장섬유(31)를 절단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장섬유속(3)이 얻어진다.
(3)장섬유속 공급공정
본 공정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한 장섬유속(3)을, 연속된 띠형상의 부직포(102)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공급하는 공정이다. 도 8,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된 띠형상의 부직포(102)를 풀어내, 띠형상의 부직포(102)의 외면측상 및 내면측상의 양면에 장섬유속(3)을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한다. 한편 부직포(102)는 기재 시트(2)가 된다.
(4)적층체 형성공정
본 공정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한 장섬유속(3)과 띠형상의 부직포(102)를 시트 접합부(21)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적층체(5)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도 8,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접합부(21)가 되는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은 제2 가열 엠보싱기(52)에 의해 눌려서 형성되어 있고,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부직포(102)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형성된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 각각의 크기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으로 길고,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은 중앙 연속 씰선(132)과 직각으로 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의 씰 수단은 중앙 연속 씰선과 동일하다.
(5)청소용 시트 형성공정
본 공정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5)를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해서 각각의 청소용 시트(1A)를 얻는 공정이다. 띠형상의 부직포(102)는 그 폭에 비해서 반송방향으로 짧아지도록 제2 컷터(62)에 의해 눌려서 절단된다. 적층체(5)는 장섬유속(3)이 띠형상의 기재 시트(2)의 양면상에, 한면에 대하여 2개∼30개 배치되도록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실시양태에서는 장섬유속(3)이 한면에 대하여 2속(束) 배치된 청소용 시트(1A)를 얻고 있다.
(6)컷팅부 형성공정
본 공정은 이웃하는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 121)의 사이를,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부직포(102)의 반송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슬릿 컷팅함으로써 선형상 컷팅부(24)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4)적층체 형성공정과 (5)청소용 시트 형성공정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이다.
제1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서는 하기 공정(7)을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장섬유를 3차원 방향으로 랜덤하게 기모(起毛)하도록 개섬하는 공정
본 공정은 적층체 형성공정 뒤에 이루어진다. 본 공정은 적층체(5)의 장섬유속(3)에 대하여, 에어 블로우를 실시하여 장섬유(31)를 개섬시켜 기모시키는 공정이다.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B)를 제조하는 제2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제1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의 (1)장섬유속 형성공정 및 (4)적층체 형성공정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양태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며, 제1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2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1)장섬유속 형성공정에 있어서, 섬유 접합부(32')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부직포(102)의 반송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연장되는 중앙 비연속 씰선(13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4)적층체 형성공정에 있어서, 사이드 비연속 씰선(121')은 중앙 비연속 씰선(132')과 직각으로 교차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전혀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서의 각 구성 요건은 본 발명의 취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 1B)에서는 도 1, 도 2,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 32')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 1B)에서는 시트 접합부(21, 21') 각각의 크기가 다르게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 1B)에서는, 시트 접합부(21, 21')는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와의 사이의 거리가 대략 등간격이었지만 거리를 바꿔도 된다. 예를 들면 청소용 시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 21')와의 거리를, 길이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것보다 넓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의 제조방법은 (1)장섬유속 형성공정과 (3)장섬유속 공급공정 사이에 (2)장섬유속 절단공정을 구비하고 있지만, 절단하지 않고 장섬유속 형성 후에 직접 장섬유속 공급공정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4)적층체 형성공정과 (5)청소용 시트 형성공정 사이에 (6)컷팅부 형성공정을 구비하고 있지만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2)장섬유속 절단공정에서, 장섬유속(3)이 한쌍이 되는 2개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을 가지도록 2개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마다 절단되고, (6)컷팅부 형성공정에서, 한쌍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 사이를 슬릿 컷팅함으로써 선형상 컷팅부(24)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2)장섬유속 절단공정에서, 장섬유속(3)을 2개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을 가지도록 절단하고, 2개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 사이의 섬유는 절단하지 않고, (6)컷팅부 형성공정에서, 한쌍의 중앙 연속 씰선(132, 132) 사이를 슬릿 컷팅함으로써 선형상 컷팅부(24)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대하여 도 9∼도 12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와 동일하며,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다수개의 장섬유(31)를, 상기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섬유속으로 하는 장섬유속을 접합한 청소용 시트(1C)이다. 청소용 시트(1C)의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장섬유(31)가,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와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로 컷팅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1C)는 선형상 컷팅부(24)와 미컷팅부(25)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을 형성하고 있다. 이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은 장섬유(31)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소용 시트(1C)는 다수개의 장섬유(31)를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섬유속으로 하는 장섬유속(3)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의 표면상에 접합한 것이며,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를 선형상 컷팅부(24)로 컷팅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청소용 시트는 기재 시트(2)의 양면상 또는 한면상에 장섬유속(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이하, 기재 시트(2)의 양면상에 장섬유속(3)을 구비하고 있는 청소용 시트(1C)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기재 시트(2)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방형상이며, 기재 시트(2)의 길이는 10cm∼60cm이고, 기재 시트(2)의 폭은 5cm∼40cm이다. 청소용 시트(1C)는 기재 시트(2)의 양면상에 장섬유(31)가 섬유 접합부(32)를 통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섬유(31)는 통상 제조시의 그 소재의 반송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여기서 '장섬유(31)가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한다'는 것은 제조상의 오차, 장섬유(31)가 권축 가공 등 됨으로써, 일부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이 그 밖의 대부분의 장섬유(31)의 배향방향에서 어긋났을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다수개의 상기 장섬유(31)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양면상 각각에,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장섬유(31)의 배향방향은 기재 시트(2)의 폭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다수개의 장섬유(31)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서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고, 기재 시트(2)의 폭의 50%∼90%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2)의 폭쪽이, 장섬유(31)를 배치하는 범위보다도 넓고, 기재 시트(2)에서의 장섬유(31)보다도 폭방향 바깥쪽 영역(이하 '플랩(22)'이라고 함)은 청소구의 헤드부에 장착될 때에 이용되는 부분이 된다(상세한 것은 후술).
상기 장섬유(31)는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티끌의 포착성의 관점에서 기재 시트(2) 1cm당, 한쪽에 1000개∼50000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0개∼40000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3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섬유 집합체(토우)의 상태로 이용한다. 섬유 집합체(토우)는 공지의 개섬장치를 이용해서 충분히 개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의 굵기는 특별히 임계적이지는 않지만, 티끌의 포착성이나 청소 대상면에의 흠집 방지성의 관점에서 0.1∼200dtex, 특히 2∼3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로서는 권축성 섬유를 이용하면 티끌의 포착성이 한층 향상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장섬유(31)로서는 제품으로서의 외관의 향상, 부착된 때가 보이기 쉽게 하는 등의 점에서, 백색 이외의 색(예를 들면 오렌지색, 하늘색)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섬유 접합부(32)는 다수개의 장섬유(31)를 장섬유속으로 하기 위한 것인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섬유속(3)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장섬유속(3)을 기재 시트(2)의 표면상에 접합하는 것이다. 섬유 접합부(32)는 열융착 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섬유 접합부(32)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30개이며, 이하, 섬유 접합부(32)의 수가 2개인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 각각은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 양 단에 걸쳐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섬유 접합부(32) 각각의 길이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와 같고, 섬유 접합부(32)의 폭은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5mm∼10mm이다.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그 간격은 섬유의 자유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mm∼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40mm이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의 중간부(32a)에 있어서, 장섬유(31) 및 장섬유(31)와 같은 위치의 기재 시트(2)를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함으로써 얻어진다. 중간부(32a)는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며, 1cm∼10cm의 폭을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상기 선형상 컷팅부(24)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부(25)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 이른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상기 선형상 컷팅부(24)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체로서 2개의 선형상 컷팅부(24)군으로 이루어지는 불연속선(26a, 26b)을 형성하고 있다. 이 2개의 불연속선(26a, 26b) 각각은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는 불연속이지만, 장섬유(31)의 배향방향에서 보면,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도록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을 배치함으로써,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선형상 컷팅부(24)는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 즉 기재 시트(2)의 폭방향에서 봤을 때, 다른 불연속선(26a, 26b)을 형성하는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의 말단끼리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연속선(26a)을 구성하는 선형상 컷팅부(24)의 말단과,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불연속선(26b)을 구성하는 선형상 컷팅부(24)의 말단이 겹쳐져 있고, 겹침 간격(w1)은 섬유의 절단의 관점에서 0mm 이상, 5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1mm∼2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연속선(26a)을 구성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불연속선(26b)을 구성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거리(d1)는 섬유길이 및 기재 시트의 강도의 관점에서 1mm∼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5mm∼3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형상 컷팅부(24) 각각의 길이(l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mm∼50mm이다.
한편,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는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그 장섬유(31)의 전체 개수 모두가 완전히 절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95% 이상 절단되어 있으면 완전히 절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함으로써 얻어진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섬유 접합부(32, 32)는 모두,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섬유길이와 짧은 섬유길이라는 2종류의 섬유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티끌의 포착성의 관점에서, 장섬유(31)의 긴 섬유길이는 바람직하게는 20∼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mm이고, 장섬유(31)의 짧은 섬유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mm이다. 장섬유(31)의 섬유길이란, 섬유 접합부(32)에서 장섬유(31)의 선단까지의 길이이다.
한편,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보다도, 청소용 시트(1C)의 폭방향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각각 티끌의 포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1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20mm이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형성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재 시트(2)는 그 길이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청소 대상면을 따라 추종하기 쉬워지므로, 청소용 시트(1C)에 의한 먼지, 티끌 등의 포착 효과가 높아져 있다.
기재 시트(2) 및 장섬유(31)로서는 제1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A)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기재 시트(2)를 이용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41) 및 헤드부(41)에 연결된 자루(42)를 구비한 청소구(4)에 있어서의 헤드부(41)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청소구(4)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가 장착 가능한 헤드부(41), 및 헤드부(41)에 유니버셜 조인트(43)를 통해 연결된 봉형상의 자루(42)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41)의 장착면(바닥면)은 평면에서 봤을 때 장방형상이고, 통상의 사용양태에서는, 청소구(4)는 헤드부(41)를 그 폭방향으로 이동(특히 왕복이동)시켜 청소를 행한다. 즉, 청소구(4)의 청소방향은 헤드부(41)의 폭방향이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과, 청소구(4)의 헤드부(41)의 길이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기재 시트(2)의 중심점과 헤드부(41)의 중심점을 일치시켜 헤드부(41)의 장착면(바닥면)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기재 시트(2)의 플랩(22, 22)을 헤드부(41)의 상면측으로 젖힌다. 또한 플랩(22)을 헤드부(41)에 있어서의, 방사상의 슬릿을 가지는 가요성의 복수의 시트 유지부(44) 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로써 청소용 시트(1C)를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기재 시트(2)가 네트형상 시트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재 시트(2)와 시트 유지부(44)를 걸어맞추는 힘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이 상태로, 예를 들면 마루의 걸레질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시트(2)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은 실질적으로 청소구(30)의 청소방향으로 배향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의하면,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통상의 자루걸레용 청소구와 마찬가지로 마루방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는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을 형성하고,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장섬유(31)가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구속되는 일이 없어, 청소용 시트(1C)의 먼지 포집성이 향상된다. 또한 장섬유(31)가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는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가,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절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의 한쪽 또는 다른쪽 섬유 접합부는 긴 섬유길이와 짧은 섬유길이라는 2종류의 섬유길이의 장섬유(3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들 2종류의 섬유길이는 섬유 접합부(32, 32)부터도, 청소용 시트(1C)의 폭방향 양 바깥쪽에 위치하는 장섬유(31)의 섬유길이와도 다르다.
따라서, 한쪽 또는 다른쪽 섬유 접합부(32, 32) 각각이 가지는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균일하지 않고 3종류의 섬유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랜덤하기 때문에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한 후에, 3종류의 섬유길이를 가지는 장섬유(31)를 3차원 방향으로 랜덤하게 기모 개섬함으로써, 더욱 장섬유(31)의 섬유길이가 랜덤하게 되어 먼지 포집성이 더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대하여 도 14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하며,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의 섬유 접합부(32)의 개수는 3개이며, 3개의 섬유 접합부(32, 32, 32) 각각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 양 단에 걸쳐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의 선형상 컷팅부(24)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선형상 컷팅부(24)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의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조 형성되어 있다. 2조의 불연속선(26a, 26b) 각각은 섬유 접합부간의 중간부(32a)의 위치에서, 한쪽 불연속선(26a, 26b)의 형성 위치를, 다른쪽 불연속선(26a, 26b)의 형성 위치와 다르도록 어긋내서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에 의하면,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마루방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을 형성하고,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가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어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랜덤하게 되어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제4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D)는 2조의 2개의 불연속선(26a, 26b)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의 형성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비해 더욱 랜덤성이 향상하여 먼지 포집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대하여 도 15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하며,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의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부(33)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이른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로서 섬유 접합부군을 형성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섬유 접합부군(34a, 34b)을 구비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의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2)의 폭방향에서 봤을 때, 다른 섬유 접합부군(34a, 34b)을 형성하는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의 말단끼리 겹쳐져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군(34a)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의 말단과,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섬유 접합부군(34b)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의 말단이 겹쳐져 있고, 섬유속 형성의 관점에서 간격(w2)은 0mm∼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mm∼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 접합부군(34a)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와, 그것에 이웃하는 다른 섬유 접합부군(34b)을 구성하는 섬유 접합부(32')와의 거리(d2)는 섬유 접합부의 강도의 관점에서 5mm∼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m∼4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접합부(32') 각각의 길이(l2)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mm∼50mm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에 의하면,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마루방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을 형성하고,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가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어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랜덤하게 되어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제5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E)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에 비해 더욱 랜덤성이 향상되어 먼지 포집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대하여 도 16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에 대해서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하며,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의 섬유 접합부(32)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장섬유(31)가 집합한 장섬유속(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장섬유(31)와 기재 시트(2)의 접합에는 관여하지 않는 접합부이며,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와 기재 시트(2)의 접합은 시트 접합부(21)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의 복수개의 시트 접합부(2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섬유 접합부(32)상에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체로서 시트 접합부군(23)을 형성하고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의 선형상 컷팅부(24)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열의 시트 접합부군(23)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에 의하면,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청소구(4)의 헤드부(41)에 장착한 상태로 마루방의 걸레질(바닥청소) 등의 청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F)는 제3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와 마찬가지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을 형성하고,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하는 1개의 선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 사이의 장섬유(31)가 확실하게 절단되어 있어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장섬유(31)의 섬유길이는 랜덤하게 되어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는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전혀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건은 본 발명의 취지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 1D, 1E, 1F)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 및 장섬유(31)와 같은 위치의 기재 시트(2)를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하고 있지만,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만 컷팅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 1D , 1E, 1F)에서는 도 9, 도 10, 도 14,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 접합부(32, 32')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 1D, 1E, 1F)에서는 도 9, 도 10, 도 14,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 1D , 1E, 1F)에서는, 컷팅부(24)는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부(32a)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웃하는 섬유 접합부(32, 32)와의 사이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제3∼제6 실시형태의 청소용 시트(1C, 1D, 1E, 1F)에서는, 컷팅부(24) 각각의 길이는 같은 길이가 아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로서, 코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스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굵기 2.2dtex의 코어시스형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이용하였다. 상기 복합 섬유의 섬유속(토우): 5g(약 16만개)을 개섬장치로 개섬하여, 길이 280mm, 폭 80mm로 넓힌다. 장섬유(31)가 흩어지지 않도록 장섬유속(3)의 폭방향 중앙부에, 그 길이방향(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도록, 1개의 섬유 접합부(32)를 적용하여 접합한다. 섬유 접합부(32)의 폭은 3mm이다. 섬유 접합부(32)의 접합법은 열융착법이다. 또한, 장섬유속(3)의 폭방향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일치한다.
장섬유속(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32)에 의해, 장섬유속(3)은 기재 시트(2)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장섬유(31)의 집합 상태가 유지된다.
기재 시트(2)로서 평량 40g/㎡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구성 섬유는 코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스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열융착성 복합 섬유(2.2dtex×51mm)이었다. 기재 시트(2)의 치수는 길이: 285mm×폭: 205mm이었다.
기재 시트(2)의 한면에 2개의 장섬유속(3, 3)을 실질적으로 간격을 두지 않고 병렬시켜서, 시트 접합부(21)를 적용하여 접합시켰다. 시트 접합부(21)의 접합법은 열융착법이다. 시트 접합부(21)의 길이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으로 길고, 20mm이며, 그 폭은 3mm이다. 복수개의 시트 접합부(21)는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형상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이 30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접합부(21) 각각은 섬유 접합부(32)와 직각으로 접해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2의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은 40mm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3의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은 10mm이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비해서, 시트 접합부(21)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섬유 접합부(32)상을, 섬유 접합부(32)와 같은 방향으로 연속하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시트 접합부(21)와 섬유 접합부(32)는 같은 형태·같은 크기이고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2의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은 5mm이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실시예 1에 비해서,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3의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끼리의 간격은 50mm이다.
[머리카락 포집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청소용 시트를 도 6에 나타내는 청소구(4)에 장착하고, 머리카락이 산포된 8첩(1첩=182cm×91cm) 마루방에 대하여 걸레질을 하고, 머리카락 포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머리카락을 완전히 포집할 수 있었다.
○: 머리카락이 약간 남지만, 머리카락을 거의 포집할 수 있었다.
△: 일부의 머리카락이 포집되지 않고 남는 경우가 있었다.
×: 약 절반 정도의 머리카락이 포집되지 않고 남았다.
[빵 부스러기 포집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청소용 시트를 도 6에 나타내는 청소구(4)에 장착하고, 빵 부스러기가 산포된 8첩 마루방에 대하여 걸레질을 하고, 빵 부스러기 포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빵 부스러기를 완전히 포집할 수 있었다.
○: 빵 부스러기가 약간 남지만, 빵 부스러기를 거의 포집할 수 있었다.
△: 일부의 빵 부스러기가 포집되지 않고 남는 경우가 있었다.
×: 약 절반 정도의 빵 부스러기가 포집되지 않고 남았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는 머리카락과 같은 가느다란 먼지뿐만 아니라, 빵 부스러기와 같은 비교적 큰 먼지까지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시트 접합부(21)와 섬유 접합부(32)가 실질적으로 같은 부위에 직선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어, 장섬유속(3)이 시트 접합부(21)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빵 부스러기 포집성이 저하한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의 자유도가 시트 접합부(21)에 의해 제한된다. 그 때문에 빵 부스러기 포집성이 저하한다. 또한 비교예 3에서는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21)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섬유속의 섬유 자유도가 너무 높아져서 섬유가 응집해 버린다. 그 때문에 빵 부스러기 포집성이 저하한다.
[실시예 4]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내는 청소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장섬유속(3)을 구성하는 장섬유(31)로서, 코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스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굵기 2.2dtex의 코어시스형 열융착성 복합 섬유를 이용하였다. 상기 복합 섬유의 섬유속(토우): 5g(약 16만개)을 개섬장치로 개섬하여, 길이 280mm, 폭 80mm로 넓힌다. 장섬유(31)가 흩어지지 않도록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를 통해 기재 시트(2)에 접합한다.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 각각은 기재 시트(2)의 길이방향(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섬유 접합부(32) 각각의 폭은 3mm이다.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의 간격은 8cm이다. 한편, 섬유 접합부(32)의 접합법은 열융착법이다. 장섬유속(3)의 폭방향은 장섬유(31)의 배향방향과 일치한다.
기재 시트(2)로서 평량 40g/㎡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였다. 구성 섬유는 코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스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시스형 열융착성 복합 섬유(2.2dtex×51mm)이었다. 기재 시트(2)의 치수는 길이: 285mm×폭: 205mm이었다.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32, 32)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장섬유(31) 및 기재 시트(2)를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하여 실시예 4의 청소용 시트를 형성하였다.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는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이 0.1mm,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거리(d)가 30mm, 선형상 컷팅부(24) 각각의 길이(l)가 40mm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실시예 4에 비해서,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5의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은 0.5mm이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6의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은 2.0mm이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실시예 5, 6과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실시예 7의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w)은 0mm이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실시예 4에 비해서, 장섬유(31) 및 기재 시트(2)를 컷팅하지 않았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실시예 4에 비해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장섬유(31) 및 기재 시트(2)를 컷팅하지 않고,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의 컷팅선으로 장섬유(31) 및 기재 시트(2)를 컷팅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비교예 6]
비교예 6은 실시예 4에 비해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장섬유(31) 및 기재 시트(2)를 컷팅하지 않고,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의 컷팅선으로 장섬유(31)를 컷팅하였다. 또한, 기재 시트(2)를 컷팅하지 않고, 장섬유(31)만을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24)에 의해 컷팅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다.
[먼지 포집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청소용 시트를 도 13에 나타내는 청소구(4)에 장착하고, 머리카락 및 솜먼지가 산포된 8첩 마루방에 대하여 걸레질을 하고, 먼지 포집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먼지를 완전히 포집할 수 있었다.
○: 먼지가 약간 남지만, 먼지를 거의 포집할 수 있었다.
△: 일부의 먼지가 포집되지 않고 남는 경우가 있었다.
×: 약 절반 정도의 먼지가 포집되지 않고 남았다.
[장섬유가 잘 걸리지 않음]
상기 [먼지 포집성]에 따라 걸레질을 할 때, 청소용 시트의 장섬유에 대하여, 걸리지 않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전혀 걸리지 않는다.
○: 드물게 걸리는 경우가 있다.
△: 걸리는 경우가 있다.
×: 상시 걸린다.
[컷팅한 장섬유의 먼지 발생]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청소용 시트를 작성할 때의 장섬유의 먼지 발생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 먼지가 극소량 발생한다.
△: 먼지가 소량 발생한다.
×: 먼지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청소용 시트의 제작의 용이함]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청소용 시트를 작성할 때의 제작의 용이함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
◎: 매우 제조하기 쉽다.
○: 제조하기 쉽다.
△: 제조하기 어렵다.
×: 매우 제조하기 어렵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로부터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7의 청소용 시트에 의하면, 거의 모든 평가 항목에서 뛰어난 결과가 얻어졌지만, 실시예 6의 청소용 시트에서는, 이웃하는 선형상 컷팅부(24)와의 겹침 간격이 넓기 때문에 컷팅한 장섬유가 먼지로서 소량 발생하였다.
비교예 4의 청소용 시트는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간의 장섬유(31)를 컷팅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섬유(31)의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리고 먼지 포집성이 떨어져, 장섬유(31)가 청소 대상물에 걸리기 쉬웠다. 비교예 5의 청소용 시트는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간의 장섬유(31)뿐만 아니라, 기재 시트(2)도 일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컷팅선으로 컷팅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로서 평가할 수 없었다. 비교예 6의 청소용 시트는 청소용 시트의 최우선 기능인 먼지 포집성이 실시예 4∼7의 청소용 시트에 비해 떨어졌다. 또한, 기재 시트(2)를 컷팅하지 않고, 이웃하는 2개의 섬유 접합부간의 장섬유(31)만을, 일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컷팅선으로 컷팅하기 때문에 매우 제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에 의하면,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장섬유속의 자유도가 제한되지 않아,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향상하여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청소용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에 의하면, 열융착성 장섬유 및 열융착 시트를 접합하는 접합부에 의해 열융착성 장섬유의 자유도가 제한되지 않아, 열융착성 장섬유가 청소 대상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용착부에서 열융착성 장섬유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랜덤하기 때문에 먼지 포집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3)

  1.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장섬유가 집합한 장섬유속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청소용 시트로서,
    상기 장섬유속은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섬유 접합부에 의해 상기 장섬유끼리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섬유속을 상기 기재 시트에 시트 접합부를 통해 접합하고, 상기 섬유 접합부 전체 또는 상기 섬유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기재 시트와 접합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시트 접합부는 상기 섬유 접합부와 직각으로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시트 접합부는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합부 각각의 크기는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접합부는 상기 섬유 접합부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접합부는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또는 불연속부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접합부는 상기 시트 접합부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섬유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재 시트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상기 장섬유의 집합체를 풀어내, 소정 폭으로 폭을 확대하고,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섬유 접합부에 의해 상기 장섬유끼리 접합하여 일체화한 장섬유속을 형성하는 장섬유속 형성공정과,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된 띠형상의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공급하는 장섬유속 공급공정과,
    상기 장섬유속과 띠형상의 상기 기재 시트를 상기 시트 접합부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형성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해서 각각의 청소용 시트를 얻는 청소용 시트 형성공정을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일체화한 상기 장섬유속을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하는 장섬유속 절단공정과,
    소요되는 길이로 절단한 상기 장섬유속을,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속된 띠형상의 상기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공급하는 장섬유속 공급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의 제조방법.
  9.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 배향하는 다수개의 장섬유를,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섬유 접합부에 의해 섬유속으로 하는 장섬유속을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 표면상에 접합한 청소용 시트로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 접합부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다수개의 상기 장섬유가, 이웃하는 상기 섬유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선형상 컷팅부로 컷팅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상 컷팅부와 미컷팅부가 교대로 배치된 불연속선을, 이웃하는 상기 섬유 접합부와의 사이에서 병행하여 2개 형성하고 있고, 상기 2개의 불연속선은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불연속선을 형성하는 이웃하는 상기 선형상 컷팅부의 말단끼리가,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에서 봤을 때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 접합부 각각은 상기 장섬유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장섬유와 같은 위치에서 상기 선형상 컷팅부에 의해 컷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섬유 접합부 각각은 1개의 연속된 직선형상으로, 또는 불연속부가 교대로 배치된 병행하는 2개의 불연속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KR1020107022859A 2008-04-16 2009-04-09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6357A JP5231854B2 (ja) 2008-04-16 2008-04-16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106357 2008-04-16
JPJP-P-2008-152015 2008-06-10
JP2008152015A JP5241334B2 (ja) 2008-06-10 2008-06-10 清掃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256A true KR20100135256A (ko) 2010-12-24
KR101585636B1 KR101585636B1 (ko) 2016-01-14

Family

ID=4119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859A KR101585636B1 (ko) 2008-04-16 2009-04-09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13768B2 (ko)
EP (1) EP2283758B1 (ko)
KR (1) KR101585636B1 (ko)
CN (1) CN102006812B (ko)
AU (1) AU2009237048B2 (ko)
CA (1) CA2721340C (ko)
MY (1) MY175164A (ko)
WO (1) WO2009128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587B2 (en) * 2010-04-16 2021-03-23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Dusting devices
JP5746983B2 (ja) * 2012-01-10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ウエブ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GB2504342B (en) * 2012-07-26 2015-06-10 Ronald Alexander Scot Young Mop material, a mop pad, a mo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mop material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WO2014104325A1 (ja) 2012-12-29 2014-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DE102013006191B3 (de) * 2013-04-11 2014-10-02 Carl Freudenberg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inigungstextils
USD765931S1 (en) * 2014-10-20 2016-09-06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Llc String mop headband
EP3078316B1 (en) * 2015-04-09 2019-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discrete seal bonds
DE102017115027A1 (de) * 2017-07-05 2019-01-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tuch für eine Reinigungseinrichtung
US10730081B2 (en) 2017-09-11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EP3453303B1 (en) 2017-09-11 2022-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1950737B2 (en) 2017-09-11 2024-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1045061B2 (en) 2017-09-11 202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fted laminated cleaning article
US11253128B2 (en) 2017-09-11 2022-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pitch tow tufts
US10653286B2 (en) 2017-10-06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0722091B2 (en)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US11903542B2 (en) 2018-04-03 202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ouble bonded tow tufts
US20190298141A1 (en) 2018-04-03 2019-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1375867B2 (en) 2018-04-03 2022-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sized tow tufts
US11812909B2 (en) 2020-04-10 2023-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with a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1207441A1 (en) 2020-04-10 2021-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WO2022082192A1 (en) 2020-10-16 2022-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1833237B2 (en) 2021-03-09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scalp active de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393A (en) * 1991-03-19 1992-09-01 Una-Goose Company, Inc. Gooseneck trailer mounting ball installation for pick-up truck
JP3107183B2 (ja) * 1993-12-27 2000-11-06 株式会社ニレコ 溶融金属の変位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3208306B2 (ja)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JP3124478B2 (ja) 1995-12-01 2001-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の製造方法
JP3771325B2 (ja) 1996-06-20 2006-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汚れ拭き取り材
US6143393A (en) 1997-12-16 2000-11-07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3100578B2 (ja) 1997-12-16 2000-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6716514B2 (en) * 1998-01-26 2004-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with enhanced texture
US6180214B1 (en) * 1998-01-26 2001-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iping article which exhibits differential wet extensibility characteristics
JP3642944B2 (ja) 1998-03-19 2005-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長繊維を利用した清掃用物品
JP3558892B2 (ja) 1998-09-24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3668630B2 (ja) 1999-02-26 2005-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3668633B2 (ja) 1999-03-04 2005-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96084A (ja) 1999-04-13 2000-10-24 Uni Charm Corp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42962A1 (en) 2000-02-24 2002-04-18 Willman Kenneth William Cleaning sheets comprising a polymeric additive to improve particulate pick-up and minimize residue left on surfaces and cleaning implements for use with cleaning sheets
DE60133495T2 (de) 2000-07-10 2009-07-09 Uni-Charm Corp., Shikokuchuo Reinigungsartikel
EP1212972B1 (en) 2000-10-13 2015-12-09 Kao Corporation Cleaning sheet for cleaning a piled surface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US20030106568A1 (en) 2001-12-12 2003-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sheet, system and apparatus
US7712178B2 (en) 2004-04-01 2010-05-11 Kikuo Yamada Cleaning tool sheet and cleaning tool
CN1886083A (zh) * 2004-04-01 2006-12-27 山田千代惠 清扫工具用片材及清扫工具
JP3107183U (ja) * 2004-08-12 2005-01-27 王子ネピア株式会社 清掃用複合シート
JP4018690B2 (ja) 2004-12-20 2007-12-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長繊維を利用した清掃用物品
BRPI0507221A (pt) 2004-12-27 2007-06-19 Chiyoe Yamada utensìlio de limpeza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o mesmo
US7566671B2 (en) 2005-01-28 2009-07-28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JP4004508B2 (ja) 2005-02-23 2007-11-07 山崎産業株式会社 払拭材
WO2007046252A1 (ja) * 2005-10-19 2007-04-26 Kao Corporation 清掃具
JP4845525B2 (ja) * 2006-02-08 2011-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4859490B2 (ja) * 2006-03-09 2012-01-25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
US8151402B2 (en) * 2006-03-09 2012-04-10 Kao Corporation Cleaning article, method of fluffing cleaning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article
JP4647540B2 (ja) 2006-04-24 2011-03-09 山田 千代恵 清掃シート
JP5048274B2 (ja) * 2006-05-31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3906260B2 (ja) 2006-08-24 2007-04-18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その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と情報再生装置
JP4709105B2 (ja) * 2006-09-12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EP2127584B1 (en) 2007-02-13 2020-05-13 Yamada, Kikuo Cleaning sheet
JP4823105B2 (ja) * 2007-03-05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及び清掃体
JP5048375B2 (ja) * 2007-03-30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235478B2 (ja) 2007-04-27 2013-07-1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5235501B2 (ja) 2007-05-28 2013-07-1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5007218B2 (ja) 2007-12-27 2012-08-22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5171347B2 (ja) * 2008-03-31 2013-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
WO2010092895A1 (ja) * 2009-02-13 2010-08-19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5436042B2 (ja) * 2009-05-21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ホルダ、清掃用具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US8148197B2 (en) * 2010-07-27 2012-04-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germanium-antimony-tellurium materials and a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164A (en) 2020-06-11
AU2009237048A1 (en) 2009-10-22
CA2721340A1 (en) 2009-10-22
KR101585636B1 (ko) 2016-01-14
US20110088189A1 (en) 2011-04-21
CN102006812B (zh) 2014-08-06
CN102006812A (zh) 2011-04-06
WO2009128381A1 (ja) 2009-10-22
EP2283758A1 (en) 2011-02-16
EP2283758A4 (en) 2016-11-16
EP2283758B1 (en) 2018-08-08
CA2721340C (en) 2016-01-12
US9113768B2 (en) 2015-08-25
AU2009237048B2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256A (ko)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4285B1 (ko) 청소용 시트
EP1566136B1 (en) Cleaning article
US8617685B2 (en) Cleaning sheet
JP4495171B2 (ja) 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5563A (ko) 청소용 시트
JP5231854B2 (ja)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0578B2 (ja)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4448B2 (ja) 清掃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72147A (ja)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1334B2 (ja) 清掃用シート
JP2014050558A (ja) 清掃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