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722A - 플로팅 안벽 - Google Patents

플로팅 안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722A
KR20100131722A KR1020090050455A KR20090050455A KR20100131722A KR 20100131722 A KR20100131722 A KR 20100131722A KR 1020090050455 A KR1020090050455 A KR 1020090050455A KR 20090050455 A KR20090050455 A KR 20090050455A KR 20100131722 A KR20100131722 A KR 2010013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ating
quay
quay wall
floating qu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487B1 (ko
Inventor
김좌진
홍진표
이승호
김효건
윤여환
김영상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4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안벽에 관한 것으로,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플로팅 안벽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인 갑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크레인레일과; 상기 크레인레일을 따라 선수에서 선미까지 이동가능하게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해상크레인과; 상기 본체의 선수, 선미, 중앙에 설치된 다수의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밸러스트탱크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 상에 설치되며, 안벽 공정 중 필요한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중인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고, 건조에 필요한 장비의 승선이 용이하며, 이동성 및 건현 조정성이 있어 수심의 유동성에 상관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필요시 안벽과 플로팅 도크의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 공기 지연 방지,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안벽, 플로팅, 접안, 이동성, 건현 조정성, 교량, 수심 유동성

Description

플로팅 안벽{FLOATING QUAY}
본 발명은 플로팅 안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벽의 이동성을 확보하여 새로운 안벽의 증축 및 설비를 갖추는데 사용되는 비용 절감 및 공기 단축을 도모하고, 안벽 주변 수심의 유동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안벽의 이동성 및 건현 조정성을 갖는 플로팅 안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벽(Quay)은 조선소 내에서 선박 건조과정 중 진수 이후의 생산공정을 소화하기 위한 일종의 선박 계류장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항만은 직선식 육상 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육상 안벽 상에만 편중된 각종 크레인의 배치구조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및 나아가 선박 건조와 관련된 제반 작업을 편측으로 치우쳐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근 육상 안벽에 대응하여 각종 크레인 작업을 양측에서 수행할 수 있는 부유식 안벽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일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466881호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부선(10)과, 상기 부선(10)을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충수탱크(21) 및 펌핑부(22)를 포함하는 부선고정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부선(10)은 예인선(미도시, 통상 이를 '터그보트(Tugboat)'라 한다)에 의해 항만의 안벽(5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항만의 안벽(50) 상에서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펌핑부(22)가 가동되고, 이후 상기 펌핑부(22)에 의해서 해수가 충수탱크(21) 내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충수탱크(21) 내에 공급된 해수에 의해 부선(10)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충수탱크(21)의 저면이 해저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선(10)의 보다 견고한 착지 및 안정된 지지력 발휘를 위하여,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해저 상에는 사전 지반처리 후 평탄한 사력층(60) 형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예의 종래 부유식 안벽은 이동시 다수의 예인선이 요구됨은 물론, 이동된 부선(10)을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해저 지반처리 후 사력층(60) 형성 작업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안벽은 육상에서 건조되는 선박블록의 해상탑재에 이용되는 플로팅 도크 및 바지선의 접안시설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블록의 이송에 이용되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의 통행에 무리가 없도록 안벽의 에지는 강한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안벽의 신,증축에 소용되는 비용이 급증하고, 환경적 해상상태적(조석간만)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벽의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소모도 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이동성과 건현 조정성을 확보하여 조석간만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한 수심 변동시 안벽공정이 가능한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로워 선박 건조공정의 지연을 막고, 토크나 바지선이 안벽에 직접적으로 접안하지 못할 경우 접안에 필요한 수심을 만족하는 범위까지 안벽의 길이를 연장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공정지연을 방지하며, 안벽의 신,증축에 따른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에지부의 강도가 보강되어 트랜스포터의 통행시 안전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플로팅 안벽을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플로팅 안벽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인 갑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크레인레일과; 상기 크레인레일을 따라 선수에서 선미까지 이동가능하게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해상크레인과; 상기 본체의 선수, 선미, 중앙에 설치된 다수의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밸러스트탱크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 상에 설치되며, 안벽 공정 중 필요한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접안용 펜더(Pender)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수중구조물에 결속되는 결박부재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박부재는 와이어 혹은 체인 형태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결박부재는 서로 교차 배열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러스트탱크는 선수에 3개, 중앙에 6개, 선미에 3개 배치되어 총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청수탱크는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제외한 위치에 총 18개가 구비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밸러스트탱크 및 상기 청수탱크에는 주수 및 배수를 위한 펌프실과,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실이 함께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중인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고, 건조에 필요한 장비의 승선이 용이하며, 이동성 및 건현 조정성이 있어 수심의 유동성에 상관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필요시 안벽과 플로팅 도크의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 공기 지연 방지,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은 해수에 부유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탱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면, 즉 갑판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크레인레일(110)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레일(110) 상에는 해상크레인(1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해상크레인(1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 즉 선수에서 선미까지 움직이면서 접안된 건조중인 선박의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력하게 되며, 도시와 같이 마주보고 한 쌍의 해상크레인(1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완충 및 접안을 위한 설비로 펜더(Pender)(130)가 설치된다.
상기 펜더(130)는 선박의 계류 또는 접안시 충돌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선박의 접안 및 계류 후 안벽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박부재(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박부재(140)는 와이어 형태가 바람직하고 상호 교차 배열되는 형태로 수중구조물(200)에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박부재(140)를 통해 상기 본체(100)를 보다 견고히 결박함으로 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선박이 플로팅 안벽으로 이동 후 작업시 선박의 복원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탱크가 다수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탱크는 건현 조정성과 이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독립된 강 구조물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 12개의 밸러스트탱크(T1)와 18개의 청수탱크(T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밸러스트탱크(T1)는 선수 3개, 선미 3개 및 중앙 6개와 같이 배치되어 건현 조절 및 트림 조절용 밸러스트수를 주수하거나 배수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이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육상안벽(300)과 플로팅 도크(400) 사이의 교량 역할을 수행할 경우, 조석간만의 차로 인해 발생되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청수탱크(T2)는 선박의 안벽 공정중 필요한 청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탱크에는 주수와 배수 뿐만 아니라 피작업물의 공정 진행을 지원하는 청수 공급을 위한 펌프실(P) 및 동력을 생산하는 전기실(E) 등이 갖추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안벽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 플로팅 안벽은 도 6과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육상안벽(300)에는 기존과 달리 크레인이 설치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 즉 본체(100)의 상면인 갑판상에 설치된 해상크레인(120)을 통해 계류 중인 건조용 선박(S)의 건조공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결박부재(140)를 통해 수중구조물(200)에 견고히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특히, 상기 결박부재(140)는 와이어 형태 혹은 체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되어 있고, 또 서로 교차 결박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의 유동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은 해상크레인(120)을 자체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육상안벽(300)의 신축이나 증축 등의 작업을 더욱 쉽게 하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그로 인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은 도 7과 같은 형태로 플로팅 도크(400)나 혹은 바지선 등이 수심 관계로 인해 육상안벽(300)으로의 접근이 어려울 때 이들 사이의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로팅 안벽에는 밸러스트탱크(T1, 도 4 참고) 및 청수탱크(T2, 도 4 참고)가 구비되어 있어 청수탱크(T2)를 통해 안벽 공정중 필요한 청수를 쉽게 직접 공급받을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또한 교량 역할을 수행할 때 수심변동이 생기더라도 상기 밸러스트탱크(T1)의 주수와 배수 조절을 통해 본체(100)의 부상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수심의 변 동 유무에 상관없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플로팅 안벽은 기존 고정식 혹은 부유식 안벽 보다 기능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수심 변동에도 상관없이 작업 가능하여 안벽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부유식 안벽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안벽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110....크레인레일
120....해상크레인 130....펜더
140....결박부재 200....수중구조물
300....육상안벽 400....플로팅 도크

Claims (7)

  1.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플로팅 안벽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인 갑판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크레인레일과;
    상기 크레인레일을 따라 선수에서 선미까지 이동가능하게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해상크레인과;
    상기 본체의 선수, 선미, 중앙에 설치된 다수의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밸러스트탱크가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 상에 설치되며, 안벽 공정 중 필요한 청수를 공급하는 청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접안용 펜더(Pender)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수중구조물에 결속되는 결박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부재는 와이어 혹은 체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부재는 서로 교차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탱크는 선수에 3개, 중앙에 6개, 선미에 3개 배치되어 총 12개가 구비되고, 상기 청수탱크는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제외한 위치에 총 18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탱크 및 상기 청수탱크에는 주수 및 배수를 위한 펌프실과,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실이 함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안벽.
KR1020090050455A 2009-06-08 2009-06-08 플로팅 안벽 KR10109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55A KR101092487B1 (ko) 2009-06-08 2009-06-08 플로팅 안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455A KR101092487B1 (ko) 2009-06-08 2009-06-08 플로팅 안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722A true KR20100131722A (ko) 2010-12-16
KR101092487B1 KR101092487B1 (ko) 2011-12-13

Family

ID=4350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455A KR101092487B1 (ko) 2009-06-08 2009-06-08 플로팅 안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20A1 (ko) * 2013-05-24 2014-11-27 주식회사래티스테크놀로지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485A (ja) 1998-02-24 1999-09-07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係留装置
KR100662048B1 (ko) * 2005-08-03 2006-12-28 한국해양연구원 양현하역용 부유식 안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9320A1 (ko) * 2013-05-24 2014-11-27 주식회사래티스테크놀로지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20140137799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래티스테크놀로지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487B1 (ko)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2782A1 (en) Offshore equipment deploying and retrieving vessel
FI114306B (fi) Menetelmä ja ponttoni kannen asentamiseksi kelluvalle meritekniselle alusrakenteelle
KR20080080194A (ko) 계류 시스템
CN103910044B (zh) 一种大型浮式海洋结构物半潜式举升平台及其应用方法
CN201406013Y (zh) 一种具有定位调节防撞功能的海上浮体
CN100393576C (zh) 停泊的方法和系统
KR20020081378A (ko) 잠수형 중화물용 쌍동선
KR102417737B1 (ko) 탄화수소 생성물의 생산 및 저장을 위한 해양 선박
JPH0986485A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KR101092487B1 (ko) 플로팅 안벽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NL2021166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CN110104133A (zh) 浮船坞式多功能浮码头
KR20150137353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추가 부력탱크 탈착구조
KR100979145B1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CN1302961C (zh) 防浪型坐底式浮码头
CN204548441U (zh) 一种船坞
EP02494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ising rigs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A2306945C (en) Passive stabilizer for floating petroleum-production systems
KR20150008271A (ko) 부력 장치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20130003914A (ko) 선박용 아지무스 쓰러스터의 육상 설치 방법
CN215155511U (zh) 一种下潜过程中防倾覆的半潜船
KR200312005Y1 (ko) 부두의 선박 종접안시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