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374A - 강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374A
KR20100130374A KR1020090049031A KR20090049031A KR20100130374A KR 20100130374 A KR20100130374 A KR 20100130374A KR 1020090049031 A KR1020090049031 A KR 1020090049031A KR 20090049031 A KR20090049031 A KR 20090049031A KR 20100130374 A KR20100130374 A KR 20100130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telescopic
moving mechanism
wir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847B1 (ko
Inventor
서남섬
Original Assignee
서남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067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303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남섬 filed Critical 서남섬
Priority to KR102009004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84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강선을 높은 위치 및 먼거리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높은 위치에서의 강선 삽입작업을 효율좋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를 구비하며, 강선이동기구는, 강선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강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 및,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이 강선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강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강선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로부터 인출된 강선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관 세그먼트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강선 삽입장치{STEEL WIRE INSE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강선을 높은 위치 및 먼거리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소 교각과 같은 높은 위치에서의 강선 삽입작업을 효율좋게 수행할 수 있는 강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교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과, 교각(1)에 설치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보(Girder)(3)들과, 콘크리트 보(3)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5)을 포함한다. 특히, 콘크리트 보(3)들은, 상판(5)을 받쳐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판(5)에 가해진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콘크리트 보(3)는, 지속되는 하중에 의해, 또는 인장력이 취약한 콘크리트의 물성으로 인해 처짐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강화시켜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보(3)에 강선(W)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보(3)에 길이방향의 강선삽 입구멍(3a)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강선삽입구멍(3a)에 강선(W)을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이 완료되면, 강선(W)의 양단을 당겨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보강한다.
이러한 기술은, 강선(W)을 통해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보(3)의 처짐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이로써,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강선(W)은, 여러 가닥의 금속와이어가 꼬아진 구조이므로,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겁다. 따라서, 다루기가 매우 힘들다. 이로써,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에 기계적으로 자동 삽입하는 강선 삽입기를 개발하여 국내에 특허출원하고 특허등록받은 바 있다.
이 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542154호의 "강선 삽입기"로서, 테이블과, 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들과, 지지롤러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은, 강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설치되는 것으로, 강선의 하면 및 상면부분과 마찰 접촉하면서 상기 강선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강선 삽입기는, 기계적인 힘을 통해 강선(W)의 삽입작업을 수행하므로, 강선(W)의 삽입작업이 매우 빠르고 용이하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인원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강선 삽입기는, 콘크리트 보(3)가 높은 곳에 위치할 경우, 콘크리트 보(3)가 있는 곳까지 일일이 운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작업하기 힘들고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콘크리트 보(3)는 지면(E)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강선 삽입기를 교각(1)의 상부로 끌어올려 운반한 다음, 강선(W)의 삽입작업을 시행해야 한다.
그런데, 강선 삽입기는 중량체이므로, 교각(1)의 상부까지 운반하기가 매우 힘들고 까다롭다. 이를 감안하여, 크레인으로 강선 삽입기를 들어올려 운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강선 삽입기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고, 많은 노동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높은 위치의 콘크리트 보가 있는 곳까지 직접 운반하지 않고서도 강선의 삽입작업을 원거리에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위치의 콘크리트 보가 있는 곳까지 직접 운반하지 않고서도 강선의 삽입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강선 삽입작업을 안전사고의 우려없이 적은 인원으로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하 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선 삽입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강선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는, 상기 강선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 및, 상기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이 상기 강선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강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선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로부터 인출된 강선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관 세그먼트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선이동기구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은 다단의 텔레스코픽 붐을 갖춘 텔레스코픽 크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의 붐 세그먼트들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도 동시에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각 관 세그먼트를 상기 텔레스코픽 붐의 각 붐 세그먼트에 지지시키는 지지브라켓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는, 크레인 차량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곳으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작업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이송관을 통해 강선을 먼거리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상기 강선을 원하는 곳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을 원하는 곳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의 삽입작업이 필요한 곳이 높은 위치에 있더라도 강선의 삽입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의 삽입작업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없고, 강선의 삽입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의 삽입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의 삽입작업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강선의 삽입을 수작업으로 시행하는 종래에 비해 안전사고의 우려도 적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는, 크레인 차량(10)을 구비한다.
크레인 차량(1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제어하여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와,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장치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텔레스코픽 크레인(12)을 구비한다.
텔레스코픽 크레인(12)은, 차체(10a)에 상,하,좌,우 스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텔레스코픽 붐(14)을 구비한다.
텔레스코픽 붐(14)은, 다수의 붐 세그먼트(14a)들을 다단으로 조립한 것으로, 붐 세그먼트(14a)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신장 및 수축되며, 이렇게 신축하는 텔레스코픽 붐(14)은 끝부분의 후크(15)에 매달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운반작업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붐(14)의 붐 세그먼트(14a)들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식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된다. 케이블식 구동장치와 텔레스코픽 붐(14)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는, 크레인 차량(10)에 설치되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한다.
강선이동기구(20)는,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 차량(10)의 텔레스코픽 붐(14)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크레인 차량(10)의 텔레스코픽 붐(14)에 고정된 강선이동기구(20)는, 크레인 차량(10)과 함께 이동하므로, 별도의 운반작업 없이도 운반된다. 따라서, 운반이 쉽고, 신속한 운반이 가능하다.
한편, 강선이동기구(20)는, 프레임(22)을 구비하며, 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4)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롤러(24)들은, 인입된 강선(W)의 하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하부면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프레임(22)에는, 복수의 구동롤러(26)들과, 이들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구동롤러(26)들은,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24)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강선(W)의 상부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롤러(26)들은, 강선(W)의 상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상부면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긴다. 특히, 지지롤러(24)와 함께 강선(W)의 상,하부면을 동시에 끌어당기면서 이동시킨다.
구동수단은, 프레임(22)에 설치되는 전기모터(28)로 구성된다. 전기모터(28)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면서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구동롤러(26)들이 구동되면서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전기모터(28)는, 어느 하나의 구동롤러(26)를 직접 구동시키고, 다른 것의 구동롤러(26)들은 체인(28a)과 체인휠(28b)들을 통해 구동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구동롤러(26)들을 동시에 구동시킨다.
그리고 전기모터(28)는, 후술하는 차량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전기모터(28)를 대신하여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압모터를 사용할 경우,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를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유압펌프는 차량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로 이송하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구비한다.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다수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다단으로 조립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이 끼워져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도입 한 다음, 도입된 강선(W)을 원거리로 이송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및 수축하면서 높은 위치의 콘크리트 보(3)로 이송한다. 따라서, 끝부분으로부터 인출된 강선(W)이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끝부분에 고정되는 플렉시블 삽입관(32)을 더 구비한다.
플렉시블 삽입관(32)은, 휨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삽입관(32)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으로부터 인 출되는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으로 가이드 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직접 삽입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직접 삽입한다. 따라서, 강선(W)의 삽입작업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자동으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구비한다.
신축수단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시키는 지지브라켓(40)들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40)들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1:1로 지지시킨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붐(14)의 붐 세그먼트(14a)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하면,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도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신축수단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신장 및 수축시키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강선(W)의 삽입작업이 필요한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으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콘크리 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강선(W)의 삽입작업이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이동기구(20)의 도입측에 설치되는 강선 가이더(50)를 더 구비한다.
강선 가이더(5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Cone)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의 가이드 통로(52)를 구비하며, 이 가이드 통로(52)는, 큰 직경의 입구부(54)와 작은 직경의 출구부(56)를 구비한다. 가이드 통로(52)는 입구부(54)에서 출구부(56)로 갈수록 점차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큰 직경의 입구부(54)는, 강선롤(R)로부터 풀려진 강선(W)을 도입하고, 작은 직경의 출구부(56)는 도입된 강선(W)을 배출한다.
특히, 출구부(56)는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강선(W)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출구부(56)로 배출되는 강선(W)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강선이동기구(20)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강선 가이더(50)의 입구부(54)에는, 안착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58)은, 입구부(5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홈(5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이동기구(2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강선(W)이 역방향으로 후퇴될 경우, 더 이상의 후퇴가 어려워진 강선(W)이 둥글게 말아지면서 입구부(54)의 안착홈(58)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강선(W)이 역방향으로 후퇴될 경우, 역방향 으로 후퇴된 강선(W)이 흐트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정리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에 의하면, 크레인 차량(10)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곳으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통해 강선(W)을 먼거리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상기 강선(W)을 원하는 곳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선(W)을 원하는 곳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강선(W)의 삽입작업이 필요한 곳이 높은 위치에 있더라도 강선(W)의 삽입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강선(W)의 삽입작업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없고, 강선(W)의 삽입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다.
또한, 강선(W)의 삽입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강선(W)의 삽입작업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강선(W)의 삽입을 수작업으로 시행하는 종래에 비해 안전사고의 우려도 적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용 콘크리트 보의 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강선 삽입장치를 구성하는 강선 가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강선 가이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강선 가이더에 강선이 역방향으로 후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교각 3: 콘크리크 보
3a: 강선삽입구멍 10: 크레인(Crane) 차량
12: 텔레스코픽 크레인(Telescopic Crane)
14: 텔레스코픽 붐(Telescopic Boom)
14a: 붐 세그먼트(Boom Segment) 20: 강선이동기구
22: 프레임(Frame) 24: 지지롤러( Roller)
26: 구동롤러( Roller) 28: 전기모터
30: 텔레스코픽(Telescopic) 이송관
30a: 관 세그먼트(Segment)
32: 플렉시블(Flexible) 삽입관 40: 지지브라켓(Bracket)
50: 강선 가이더(Guider) 52: 가이드 통로
54: 입구부 56: 출구부
58: 안착홈

Claims (5)

  1. 강선(W)을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상기 강선(W)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 및, 상기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이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강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선(W)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30a)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차량(10)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10)은 다단의 텔레스코픽 붐(14)을 갖춘 텔레스코픽 크레인(12)을 구비하며,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14)의 붐 세그먼트(14a)들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도 동시에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상기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시키는 지지브라켓(40)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에 고정되는 플렉시블 삽입관(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삽입관(32)은, 강선삽입구멍(3a)에 직접 삽입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으로부터 인출되는 강선(W)을 상기 강선삽입구멍(3a)에 직접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이동기구(20)의 도입측에 설치되는 강선 가이더(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강선 가이더(50)는, 상기 강선(W)을 도입하여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통로(52)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통로(52)는 상기 강선이동기구(20)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가이더(50)는,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역방향으로 후퇴될 시에, 더 이상의 후퇴가 어려워진 상기 강선(W)이 둥글게 말아지면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58)이 상기 가이드 통로(52)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장치.
KR1020090049031A 2009-06-03 2009-06-03 강선 삽입장치 KR10103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31A KR101036847B1 (ko) 2009-06-03 2009-06-03 강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31A KR101036847B1 (ko) 2009-06-03 2009-06-03 강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74A true KR20100130374A (ko) 2010-12-13
KR101036847B1 KR101036847B1 (ko) 2011-05-25

Family

ID=4350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031A KR101036847B1 (ko) 2009-06-03 2009-06-03 강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656A (zh) * 2014-12-26 2016-07-20 中山市睿望达精密科技有限公司 钢绞线穿束机
CN113605258A (zh) * 2021-08-04 2021-11-05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支座及其更换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92B1 (ko) 2014-06-10 2014-07-23 서남섬 강선 삽입 안내장치
KR101587406B1 (ko) * 2014-06-18 2016-01-21 서남섬 강선 절단 가이드장치
KR101518702B1 (ko) * 2014-11-25 2015-05-08 오필수 강선삽입용 대차
KR101529523B1 (ko) * 2014-12-29 2015-06-17 서남섬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668A (ja) 1982-12-14 1984-06-25 黒沢建設株式会社 Pc鋼材押込插通方法
US4577725A (en) 1984-05-16 1986-03-25 Hunter Danny P Vehicle mounted fire escape chute
JP2709277B2 (ja) * 1994-12-07 1998-0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cストランド巻付装置
JP3308916B2 (ja) 1998-11-11 2002-07-29 株式会社ピー・エス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のリングケーブル挿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656A (zh) * 2014-12-26 2016-07-20 中山市睿望达精密科技有限公司 钢绞线穿束机
CN113605258A (zh) * 2021-08-04 2021-11-05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支座及其更换方法
CN113605258B (zh) * 2021-08-04 2022-10-25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支座及其更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847B1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47B1 (ko) 강선 삽입장치
CN106089131A (zh) 缠绕管注入机处理设备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US6164113A (en) Variable-speed pipe bending
CN105060034A (zh) 电缆施放装置及设备
US10473237B2 (en) Push rack pipe pusher for floating pipeline installations
KR102098333B1 (ko) 조적 작업 보조용 리프트 장치
JP2006299650A (ja) 送り出し方法
JP2007210772A (ja) 吊具装置
KR101421992B1 (ko) 강선 삽입 안내장치
KR102134922B1 (ko) 인명구조용 소형 소방차
EP0114155A1 (en) A dismountable belt conveyor
JP2006028734A (ja) 移動式ベントを用いた橋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KR20210030294A (ko) 상수도관 장비이동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0251085B1 (ko) 멀티 체인구조를 갖는 곤도라 아암의 다단 신축장치
US20080078624A1 (en) Vertical conveyor with hydraulic drive
JPH0545909Y2 (ko)
JP2008121832A (ja) 管体搬送用台車及び管体の敷設方法
KR101562805B1 (ko)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JPH03115097A (ja) ホースガイド
JP7219681B2 (ja) 移送装置および移送方法
EP1487666B1 (en) Loading device for handling an interchangeable platform
JP4014483B2 (ja) 斜坑推進構築装置
US807861A (en) Rig for oil-wells.
CN218440961U (zh) 斜坡立管安装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021

Effective date: 201402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423

Effective date: 2014082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10

Effective date: 20140822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327

Effective date: 201408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922

Effective date: 201410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