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523B1 -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523B1
KR101529523B1 KR1020150067885A KR20150067885A KR101529523B1 KR 101529523 B1 KR101529523 B1 KR 101529523B1 KR 1020150067885 A KR1020150067885 A KR 1020150067885A KR 20150067885 A KR20150067885 A KR 20150067885A KR 101529523 B1 KR101529523 B1 KR 10152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hole
connection
holes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섬
Original Assignee
서남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남섬 filed Critical 서남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보강을 위해 복수개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이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서로 꼬임을 방지함으로써 여러 개의 강선 가닥에 동일한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선의 인장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The tensile steel for bridges pull top gear}
본 발명은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보강을 위해 복수개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이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서로 꼬임을 방지함으로써 여러 개의 강선 가닥에 동일한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선의 인장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36847호(등록일: 2011년 05월 18일)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W)을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상기 강선(W)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 및, 상기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이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강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선(W)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30a)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강선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에 형성된 강선 삽입구멍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삽입하여 인장시킴으로써 교량 상판의 지속되는 하중에 의해, 또는 인장력이 취약한 콘크리트의 물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처짐변형을 방지한다.
그러나, 강선 삽입구멍에 여러 가닥의 강선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강선삽입구멍 내부에서 꼬임이 발생하여 여러 가닥의 강선에 동일한 인장력이 부여되지 못하고 1~2가닥의 강선에 집중적으로 인장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여러 가닥의 강선에 부여되는 피로하중에 불균형이 일어남으로써 강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량의 강선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여러 가닥의 강선이 강선삽입구멍 내부에서 꼬임을 방지함으로써 여러 가닥의 강선에 균일한 인장하중을 발생시켜 강선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판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에 설치되는 여러 가닥의 강선이 교량 상판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닥의 강선에 동일한 피로하중을 부여함으로써 강선의 꼬임에 따른 수명단축 및 몇몇 가닥에만 피로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교량용 상판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판의 강선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의 삽입을 위한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선 당김장치는,
복수 개의 조립공(11)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일측에 삽입공(21)과 타측에 연결공(2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25)와, 연결볼트(2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체결되어 회전체(2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20);와,
상기 제1연결부(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조립공(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 삽입공(31)과 타측에 연결공(3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35)와, 연결볼트(3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3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체결되어 회전체(3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부(30);와,
상기 제1연결부(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당김줄(400)의 연결상태를 고정하는 제1 조임수단(40);과,
상기 제2연결부(30)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강선(200)의 연결상태를 고정하는 제2 조임수단(5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에 각각 당김줄(400)과 강선(200)을 연결하여 복수 개의 강선(200)을 동시에 당김 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임수단(40)은 제1 연결부(20) 회전체(25)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당김줄(4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연결부(20) 회전체(25)의 삽입공(2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24)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공(24)에 무두볼트(2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26)의 끝부분이 당김줄(4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조임수단(50)은 제2 연결부(30) 회전체(35)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강선(2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2 연결부(30) 회전체(35)의 삽입공(3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34)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공(34)에 무두볼트(3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36)의 끝부분이 강선(20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25, 35)의 연결공(23, 33)내면에는 끼움되는 연결볼트(27, 37)와의 연결을 부드럽게 하여 회전체(25, 35)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베어링(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20)의 회전체(25)와 제2연결부(30)의 회전체(35)에 형성된 삽입공(21, 31)을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암나사공(24, 34)의 깊이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무두볼트(26, 36)가 삽입공(21, 31)에 삽입된 강선(200)과 당김줄(400)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와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를 연결하는 연결볼트(27, 37)에는 와셔(28, 38)와 너트(29, 39)를 몸체(10)측으로 형성하여 연결부분의 자연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는 판상의 타원형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는 당김장치와 강선 삽입장치를 당김줄로 연결하고 당김장치의 타측으로 상판에 설치될 강선을 연결하고 삽입장치를 구동시켜 당김장치에 연결된강선을 당김으로서 강선을 강선삽입구멍에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당김장치의 몸체는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몸체의 양측이 강선 삽입구멍의 내면에 근접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기 삽입된 강선과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기 설치된 강선은 강선 삽입구멍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강선의 상부를 통하여 새로운 강선이 당김장치에 견인되어 삽입됨으로서 기 설치된 강선이 당김장치의 몸체에 눌려진 상태에서 그 상부로 새로운 강선이 삽입됨으로서 강선의 꼬임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당김장치에 의하여 견인되는 강선은 연결부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강선이 견인 중 흔들리거나 회전하여도 연결부가 회전하여 보상함으로써 강선의 이동 중 회전에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강선을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의 강선삽입구멍에 강선이 삽입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중 헤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중 헤드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이하, '당김장치'라 한다.)(100)는 대략 타원형의 몸체(10) 양측으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한 한 쌍의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가 연결된다.
상기 몸체(10)는 중앙부분이 폭이 넓은 대략 타원형의 형태를 갖으며 길이방향 양측으로 조립공(1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강선삽입구멍(3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저 삽입된 강선(200)이 강선삽입구멍(310)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강선(200)의 상부를 몸체(1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폭이 강선삽입구멍(310)의 내면과 근접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서 하부에 위치한 강선(200)이 몸체(10)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 30)는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구동수단(500)과 연결되는 당김줄(400)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20)와 강선(200)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30)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20)는 일측에 삽입공(21)과 타측에 연결공(2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25)와, 연결볼트(2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연결되어 회전체(2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당김줄(400)은 제1조임수단(40)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조임수단(40)은 상기 회전체(25)의 삽입공(2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24)과, 상기 암나사공(24)에 무두볼트(2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26)의 끝부분이 당김줄(4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1연결부(2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2 연결부(30)는일측에 삽입공(31)과 타측에 연결공(3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35)와, 연결볼트(3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3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연결되어 회전체(3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0)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강선(200)은 제2조임수단(50)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조임수단(50)은 상기 회전체(35)의 삽입공(3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34)과, 상기 암나사공(34)에 무두볼트(3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36)의 끝부분이 강선(2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5, 35)에 형성되는 삽입공(21, 31)은 회전체(25, 35)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고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부분에 암나사공(24, 3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암나사공(24, 34)에 체결되는 무두볼트(26, 36)의 나사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삽입공(21, 31)에 끼움되는 강선(200) 및 당김줄(400)의 일측을 무두볼트(26, 36)가 가압하여 강선(200) 및 당김줄(400)이 강선 삽입작업 중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공(23, 33)의 일측으로 노출된 연결볼트(27, 37)는 몸체(10)의 조립공(11)에 나사체결되는데, 연결부분에 와셔(38)와 너트(39)를 형성하여 회전체(25, 35)와 몸체(10)의 나사체결상태가 자연 풀림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체(25, 35)와 몸체(10)가 연결볼트(27, 3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회전체(25, 35)에 강선(200) 및 당김줄(400)이 연결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볼트(27, 37)의 연결공(23, 33)에 끼움된 부분이 연결공(23, 33)의 내면을 미끄러지며 회전함으로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강선(200) 또는 당김줄(400)의 흔들림을 상쇄시킨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25, 35)와 연결볼트(27, 37)의 연결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아래에 설명할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회전체(25, 35)가 연결볼트(27, 37)의 외면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며 이동하는 과정을 좀더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회전체(35)의 내부에 베어링(32)를 설치하고 연결볼트(37)와 연결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회전체(35)는 일측에 강선(200)이 삽입되는 삽입공(31)과 타측에 베어링(32)이 삽입되는 확장홈(331)과 연통되는 연결공(33)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확장홈(331)의 내부에 베어링(32)의 내부에 연결볼트(37)를 삽입한상태로 형성하고 연결볼트(37)의 타측을 연결공(3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시켜 노출된 부분을 몸체(10)의 삽입공(11)에 나차체결함으로써 몸체(10)와 회전체(35)가 이동 중 강선(200)의 흔들림에 따른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당김장치(100)를 구동수단(500)과 당김줄(400)로 연결하여 전 후진 가능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당김장치(100)의 타측에 삽입될 강선(200)을 연결하고 구동수단(500)을 구동하여 연결된 강선(200)을 당김으로써 강선삽입구멍(310) 내부에 여러 가닥의 강선을 꼬임 없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당김장치(100)의 사용과정에서 인장강선(200)을 별도의 삽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강선삽입구멍(310)내부로 유입하는 형태에서도 당김장치(100)의 제2연결부(30)에 강선(200)을 연결하고 강선삽입구멍(310)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당김장치(100)의 몸체(10)가 기존 삽입된 강선(200)의 상부로 이동함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강선끼리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을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중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중 헤드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헤드(600)는 강선삽입구멍(310)의 입구부(330)와 배출구(320)에 각각 일면이 밀착 형성되어 강선삽입구멍(310)으로 유입되는 강선(200)의 유입위치와 배출위치를 제어함으로서 강선(200)이 강선삽입구멍(310)내부에서 꼬임을 보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610)형성된 헤드(600)의 표면에 각각 번호를 부여하여 유입된 관통공(610)의 번호와 배출된 관통공(610)의 번호를 갖도록 함으로써 혼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부(330)에 형성된 헤드(600)의 관통공(610)에 강선을 관통시킨 후 당김장치(100)와 연결하고 배출구(320)측으로 강선을 당김한 후 배출구(320)에 형성된 헤드(600)의 관통공(610)을 통과시켜 강선을 배출한다. 이때, 입구부(330)에 형성된 관통공(610)과 배출구(320)에 형성된 관통공(610)은 동일한 번호를 갖는 관통공을 이용하여 강선을 삽입 및 배출함으로써 혼선을 방지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당김장치의 동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강선 삽입 준비 >
먼저, 구동수단(500)으로부터 인출된 당김줄(400)의 선단부에 본 발명의 당김장치(100)의 제1연결부(20)를 연결하고 교량(300)의 강선삽입구멍(310)의 배출구(320)측으로 상기 당김장치(100)를 삽입하고 구동수단(500)을 동작시켜 당김장치(100)가 강선삽입구멍(310)의 입구부(33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하는 당김장치(100)는 당김줄(400)이 연결된 제1 연결부(20)가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미도시)에 의하여 몸체(10)로부터 자연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서 강선삽입구멍(310)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나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된 턱에 의하여 걸림이 발생하더라도 몸체(10)가 회전하여 유연하게 회피하며 이동함으로서 무리없이 당김장치(100)가 강선삽입구멍(310) 내부를 이동한다.
< 강선 삽입 >
상기와 같이 구동수단(100)을 구동시켜 당김장치(100)를 강선삽입구멍(310)의 입구부(330)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당김장치(100)의 제2연결부(30)에 강선(200)을 연결하는데, 상기 제2 연결부(30)의 삽입공(31)에 강선(200)의 선단부를 끼움하고 여러 개의 무두볼트(36)를 조임하여 끼움된 강선(200)의 표면 일측을 가압함으로서 강선(200)은 제2연결부(30)에 끼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당김장치(100)에 강선(200)을 연결한 상태에서 구동수단(500)을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강선(200)을 교량(300)의 입구부(330)에서 배출부(320)측으로 잡아당겨 강선삽입구멍(310) 내부로 강선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유입되는 강선은 타원형의 몸체(10)에 의하여 기 설치된 상선의 상부로 꼬임없이 적층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강선(200)은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체가 몸체로부터 자연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서 흔들림으로부터 안전하게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강선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좀더 부드러운 이송을 위하여 외전체(35)의 연결공(33) 내부에 베어링(32)를 형성하고 연결볼트(37)을 형성하여 좀더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강선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강선은 입구부(330)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다음 강선의 삽입을 준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강선삽입구멍(310)에 강선(200)을 삽입한 후 당김장치(100)의 제2연결부(30)로부터 강선(200)을 해체하고 배출부(320)측에 위치한 당김장치(100)를 다시 입구부(330)측으로 이동시켜 다음 강선(200)의 설치를 준비한다.
이때, 이동하는 당김장치(1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몸체(10)의 양측이 강선삽입구멍(310)의 내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며 몸체(10) 하부에 삽입된 강선(200)이 위치함으로써 당김줄(400)이 기 설치된 강선(200)과 꼬임되는 것을 방지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렇게 강선삽입구(310)의 배출부(320)에서 입구부(330)측으로 이동한 당김장치(100)의 제2연결부(30)에 새로운 강선(200)을 연결하고 앞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게 당김하여 강선을 설치한다.
또한, 새로 설치되는 강선은 당김장치(100)의 타원형의 몸체(10)에 의하여 기 설치된 강선(200)의 상면을 미끄럼 이동함으로서 꼬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강선 삽입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강선삽입구멍(310)에 설정된 여러 가닥의 강선을 꼬임 없이 설치할 수 있음으로 교량을 완성 후 강선삽입구멍(310)에 설치된 강선(200)이 동일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강선의 수명연장 및 동일한 피로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당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강선을 연결하는 연결부(30)를 복수 개로 형성하여 한번의 당김작업을 통하여 여러 개의 강선을 한번에 삽입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더욱이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의 내부에 베어링(미도시)을형성하여 몸체(10)와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여러 가닥의 강선을 동시에 당김하더라도 서로 꼬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러 번의 당김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기 삽입된 강선이 몸체(10)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새로 삽입되는 강선과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판상의 타원형의 몸체의 구성에 의하여 기 삽입된 인장강선과 새로 삽입되는 인장강선이 서로 꼬임 없이 연속하여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강선꼬임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아울러 여러 가닥의 인장강선에 동일한 인장피로도를 발생시켜 인장강선의 부분적인 단선을 방지하고 인장피로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당김장치에 의하여 견인되는 인장강선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구성이 몸체와 분리되어 몸체는 회전하지 않고 강선만이 자연회전가능하게 구성됨으로서 인장강선이 견인 중 흔들리거나 회전하여도 각각의 연결부가 회전하며 보상함으로써 강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강선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 당김장치 10 : 몸체
11 : 조립공 20 : 제1연결부
30 : 제2연결부 31 : 삽입공
32 : 베어링 33 : 연결공
34 : 암나사공 35 : 회전체
36 : 무두볼트 37 : 연결볼트
38 : 와셔 39 : 너트
200 : 강선 300 : 교량
310 : 강선삽입구멍 320 : 배출부
330 : 입구부 400 : 당김줄
500 : 구동수단 600 : 헤드
610 : 관통공

Claims (6)

  1. 교량용 상판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판의 강선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의 삽입을 위한 인장강선 당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강선 당김장치는,
    복수 개의 조립공(11)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일측에 삽입공(21)과 타측에 연결공(2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25)와, 연결볼트(2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체결되어 회전체(2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20);와,
    상기 제1연결부(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조립공(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에 삽입공(31)과 타측에 연결공(33)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35)와, 연결볼트(37)의 일측이 상기 연결공(33)을 관통하여 상기 조립공(11)에 체결되어 회전체(35)가 몸체(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부(30);와,
    상기 제1연결부(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당김줄(400)의 연결상태를 고정하는 제1 조임수단(40);과,
    상기 제2연결부(30)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강선(200)의 연결상태를 고정하는 제2 조임수단(50);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에 각각 당김줄(400)과 강선(200)을 연결하여 강선(200)을 동시에 당김 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수단(40)은 제1 연결부(20) 회전체(25)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당김줄(4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연결부(20) 회전체(25)의 삽입공(2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24)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공(24)에 무두볼트(2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26)의 끝부분이 당김줄(400)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조임수단(50)은 제2 연결부(30) 회전체(35)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강선(2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2 연결부(30) 회전체(35)의 삽입공(31)과 연통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암나사공(34)을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공(34)에 무두볼트(36)를 나사체결하여 무두볼트(36)의 끝부분이 강선(20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5, 35)의 연결공(23, 33)내면에는 끼움되는 연결볼트(27, 37)와의 연결을 부드럽게 하여 회전체(25, 35)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베어링(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0)의 회전체(25)와 제2연결부(30)의 회전체(35)에 형성된 삽입공(21, 31)을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암나사공(24, 34)의 깊이를 깊게 형성함으로써 무두볼트(26, 36)가 삽입공(21, 31)에 삽입된 강선(200)과 당김줄(400)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를 연결하는 연결볼트(27, 37)에는 와셔(28, 38)와 너트(29, 39)를 몸체(10)측으로 형성하여 연결부분의 자연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판상의 타원형 형태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KR1020150067885A 2014-12-29 2015-05-15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KR101529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257 2014-12-29
KR1020140192257 2014-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523B1 true KR101529523B1 (ko) 2015-06-17

Family

ID=5351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85A KR101529523B1 (ko) 2014-12-29 2015-05-15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5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5B1 (ko) * 2017-06-28 2018-01-16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관 내에 강연선을 삽입 설치하는 방법
CN112411356A (zh) * 2020-11-26 2021-02-26 湖南鸿阳钢结构有限公司 一种更换方便的桥梁用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050A (ko) * 1997-12-31 1999-07-26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100005514U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강산 와이어 고정용 턴버클
KR100996906B1 (ko) * 2010-06-28 2010-11-26 (주)대흥이엔지 일체형 구조물 연결체
KR101036847B1 (ko) *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050A (ko) * 1997-12-31 1999-07-26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100005514U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강산 와이어 고정용 턴버클
KR101036847B1 (ko) *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KR100996906B1 (ko) * 2010-06-28 2010-11-26 (주)대흥이엔지 일체형 구조물 연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5B1 (ko) * 2017-06-28 2018-01-16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관 내에 강연선을 삽입 설치하는 방법
CN112411356A (zh) * 2020-11-26 2021-02-26 湖南鸿阳钢结构有限公司 一种更换方便的桥梁用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0853T3 (es) Dispositivo de terminacion para un cable de ascensor a base de aramida.
CN103842703B (zh) 涉及管敷设的改进
KR101529523B1 (ko) 교량용 상판의 인장강선 당김장치
EP2751376B1 (en) Coiled tubing injector head with chain guides
CN113832866B (zh) 一种预应力锚具用钢绞线张拉装置
EP0639248A1 (de) Seilendverbindung für ein kunststoffseil.
CN101855158A (zh) 绳检查装置
ES2217012T3 (es) Dispositivo de terminacion para elemento tensor plano y flexible.
JP3210088U (ja) 管の牽引装置
EP3255206B1 (de) Zwischenstück für ein verspleisstes drahtseil
BR112014000797B1 (pt) Aparelho para fixação de elementos alongados em uma disposição de superposição paralela, método de fixação de elementos alongados, disposição de superposição e navio de lançamento
EP2020399A1 (en) Compact fixing element for elevator ropes
JP6329260B2 (ja) 巻癖形成装置
US9488016B2 (en) Spherical ball skate for continuous well string injectors
CN110294396A (zh) 人员输送机的驱动带
EP0870428A2 (de) Stall-Entmistungsanlage
KR20090073440A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JP5828315B2 (ja) 斜面安定化工法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張設方法
EP2546545A2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Zugelementes, insbesondere eines Zugseils
CN111064115B (zh) 一种棒瓷绝缘子更换装置
CN213999938U (zh) 松张装置及预制桩成型装置
KR100971613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1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EP2848839A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Drahtseils
EP2261162A1 (de) Tragmittelendverbindung für eine Aufzugsan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