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992B1 - 강선 삽입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삽입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992B1
KR101421992B1 KR1020140070023A KR20140070023A KR101421992B1 KR 101421992 B1 KR101421992 B1 KR 101421992B1 KR 1020140070023 A KR1020140070023 A KR 1020140070023A KR 20140070023 A KR20140070023 A KR 20140070023A KR 101421992 B1 KR101421992 B1 KR 10142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onnecting plate
telescopic
rollers
wir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남섬
Original Assignee
서남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남섬 filed Critical 서남섬
Priority to KR102014007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에서 고소 교각에 강선을 삽입할 경우 강선 삽입 곡선 구간에서 강선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선(W)이 삽입되는 입구인 강선삽입부(110)와, 강선이 배출되는 강선배출부(120)와, 상기 강선삽입부(110)와 강선배출부(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강선(W)을 교각 등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관의 곡선 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W)을 안내하는 강선 삽입안내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연결판(131)이 연속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조립되어 내측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판(131)은 그 단부에서 금속 재질의 주 롤러(13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선 삽입 안내장치{GUIDING APPARATUS FOR STEEL WIRE INSERTING}
본 발명은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선이 곡선 구간을 통과할 때 저항 없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고, 특히 지상에서 고소 교각의 강선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할 경우 단부의 곡선 구간에서 강선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교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교각(1)과, 상기 교각(1)에 설치되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콘크리트 보(3)들과, 상기 콘크리트 보(3)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5)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보(3)들은 상판(5)에 가해진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콘크리트 보(3)는 반복되는 하중 또는 인장력이 취약한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인해 처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증대시켜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보(3)에 강선(W)을 삽입한 후 이를 인장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보(3)에 길이 방향의 강선삽입구멍(3a)을 형성한 다음 이 강선삽입구멍(3a)에 강선(W)을 삽입한다. 그리고 강선의 삽입이 완료되면 강선(W)의 양단을 당겨서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보강한다.
이러한 기술은, 강선(W)의 인장력에 의해 콘크리트 보(3)의 인장력을 보강하여 콘크리트 보(3)의 처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교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한 강선(W)은 여러 가닥의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가 길고 무거워 다루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에 자동으로 삽입하는 "강선 삽입기"를 개발하여 특허 제542154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한 "강선 삽입기"는, 테이블과, 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들과, 지지롤러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롤러들과 구동롤러들은, 강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설치되어 강선의 하면 및 상면 부분과 마찰 접촉하면서 강선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상기한 "강선 삽입기"는, 자동적으로 강선(W)을 삽입하므로 강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강선(W)의 삽입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강선 삽입기"는, 콘크리트 보(3)가 높은 곳에 위치할 경우, 콘크리트 보(3)가 있는 곳까지 운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고소 교각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의 상판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보(3)는 대부분 지면(E)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강선 삽입기를 크레인(Crane)으로 들어올린 후 교각(1)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산악 지역에 설치되는 교량은 교각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중량체인 강선 삽입기를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강선 삽입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선 삽입기를 교각의 상부로 들어올리지 않고 강선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강선 삽입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1036847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한 "강선 삽입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W)을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키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상기 강선(W)과 마찰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 및, 상기 지지롤러(24)들과 구동롤러(26)들이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강선 삽입장치"는, 상기 강선(W)이 끼워져 관통되는 다단의 관 세그먼트(30a)들로 구성되며, 상기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의 상기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송시키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자동으로 펼치거나 접으면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차량(10)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10)은 다단의 텔레스코픽 붐(Telescopic Boom)(14)을 갖춘 텔레스코픽 크레인(Telescopic Crane)(12)을 구비하며,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텔레스코픽 붐(14)의 붐 세그먼트(Boom Segment)(14a)들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도 동시에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상기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시키는 지지브라켓(Bracket)(40)들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종래의 "강선 삽입장치"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강선 삽입장치는 텔레스코픽 크레인(12)을 구비한 크레인 차량(10)에 설치된다.
상기한 텔레스코픽 크레인(12)은, 차체(10a)에 상,하,좌,우 스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텔레스코픽 붐(14)을 구비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붐(14)은, 다수의 세그먼트(14a)들을 다단으로 조립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식 구동장치에 의해 서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된다. 케이블식 구동장치와 텔레스코픽 붐(14)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강선 삽입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차량(10)에 설치되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한다.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레인 차량(10)의 텔레스코픽 붐(14)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크레인 차량(10)의 텔레스코픽 붐(14)에 고정된 강선이동기구(20)는, 크레인 차량(10)과 함께 이동하므로 운반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프레임(Frame)(22)을 구비하며, 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4)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롤러(24)들은, 인입된 강선(W)의 하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하부면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프레임(22)에는, 복수의 구동롤러(26)들과, 이들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롤러(26)들은,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24)와 대응되게 설치되며, 강선(W)의 상부면과 마찰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롤러(26)들은, 강선(W)의 상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상부면을 일측방향으로 끌어당긴다. 특히, 지지롤러(24)와 함께 강선(W)의 상,하부면을 동시에 끌어당기면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수단은, 프레임(22)에 설치되는 전기모터(28)로 구성된다. 전기모터(28)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면서 구동롤러(26)들을 구동시켜 상기 강선(W)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전기모터(28) 대신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압모터를 사용할 경우,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를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유압펌프는 차량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로 이송하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구비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다수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다단으로 조립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이 끼워져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도입 한 다음, 도입된 강선(W)을 높은 위치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끝부분으로부터 인출된 강선(W)이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강선 삽입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자동으로 신장 및 수축시키는 신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신축수단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시키는 지지브라켓(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0)들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각 관 세그먼트(30a)를 텔레스코픽 붐(14)의 각 붐 세그먼트(14a)에 1:1로 지지시킨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붐(14)의 붐 세그먼트(14a)들이 서로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하면, 각 붐 세그먼트(14a)에 지지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들도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신축수단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신장 및 수축시키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강선(W)의 삽입작업이 필요한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는 그 끝부분에 플렉시블(Flexible) 삽입관(32)을 더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삽입관(32)는 휨 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끝부분으로부터 인출되는 강선(W)을 콘크리트 보(3)의 강선 삽입구멍(3a)으로 안내한다.
상기한 종래의 "강선 삽입장치"는 크레인 차량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장소로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통해 강선을 높은 위치까지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고소 교각에서의 강선 삽입작업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강선 삽입장치"는 지상에서 높은 교각에 강선을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도 4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단부와 강선삽입구멍(3a) 사이에 곡선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즉, 상기한 강선 삽입장치에서는 강선(W)을 수평으로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할 수가 없고,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삽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직선상의 파이프는 사용할 수가 없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삽입관(32)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고무 재질의 플렉시블 삽입관(32)은 강성이 부족하여 그 내부를 통과하는 강선 및 외부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강선 삽입장치에 의해 고속으로 강선을 삽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현장 상황에 따라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야 하고 곡선 구간의 곡률이 달라질 경우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절곡된 스틸 파이프는 곡선 구간에서 강선이 저항을 받기 때문에 강선을 고속으로 삽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텔레스코픽 이송관을 구비한 강선 삽입장치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높은 교각에 강선을 삽입하는 경우,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단부와 강선삽입구멍 사이의 곡선 구간에서 강선이 저항을 받지 않고 고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단부와 강선삽입구멍 사이의 곡선 구간에 설치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하게 굴곡 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상에서 높은 교각에 강선을 삽입하는 경우, 강선의 고속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강선 삽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선 삽입 안내장치가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현장 상황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는, 강선이 삽입되는 입구인 강선삽입부와, 강선이 배출되는 강선배출부와, 상기 강선삽입부와 강선배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강선을 교각 등의 강선삽입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관의 곡선 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을 안내하는 강선 삽입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연결판이 연속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조립되어 내측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판은 그 단부에서 금속 재질의 주 롤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외측 원호상에 구비되는 주 롤러 사이에 합성수지 재질의 부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판에는, 외측 원호상의 주 롤러 사이 및 내측 원호상의 주 롤러 사이에 부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내측 원호상에 구비되는 주 롤러 조립구멍은 슬롯 홀(Slot Hole)로 형성되어 연결판이 내측으로 구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삽입부의 일단부에는 삽입부측 연결판이 안착되어 조립되기 위한 평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배출부는, 그 입구에 강선을 안내하기 위한 깔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깔때기부는 배출부측 연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이송관을 구비한 강선 삽입장치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높은 교각에 강선을 삽입하는 경우,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단부와 강선삽입구멍 사이의 곡선 구간에서 강선이 저항을 받지 않고 고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단부와 강선삽입구멍 사이의 곡선 구간에 설치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하게 굴곡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상에서 높은 교각에 강선을 삽입하는 경우, 강선의 고속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강선 삽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선 삽입 안내장치가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현장 상황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용 콘크리트 보의 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강선 삽입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를 사용하여 강선을 삽입하는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서 강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서 강선을 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 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강선 이동기구 및 텔레스코픽 크레인을 구비한 강선 삽입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강선 삽입장치는 크레인 차량(10)에 설치되는 강선이동기구(20)를 구비한다.
상기 강선이동기구(20)는, 크레인 차량(10)의 텔레스코픽 붐(14)에 설치되어 강선(W)을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강선이동기구(20)는, 프레임(22)을 구비하며, 프레임(22)에는 다수의 지지롤러(24)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롤러(24)들은, 인입된 강선(W)의 하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하부면을 일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프레임(22)에는, 강선(W)을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24)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26)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롤러(26)들은, 강선(W)의 상부면과 마찰접촉하면서 상기 강선(W)의 상부면을 일 방향으로 끌어당겨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강선 삽입장치는,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원거리로 이송하는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구비한다.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다수의 관 세그먼트(30a)들을 다단으로 조립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에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이 끼워져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은, 강선이동기구(20)로부터 인출된 강선(W)을 도입한 다음, 도입된 강선(W)을 원거리로 이송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및 수축하면서 고소 교각 등의 콘크리트 보(3)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강선(W)이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강선 삽입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W)을 고소 교각 등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장치에서 곡선 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W)을 안내하는 강선 삽입안내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W)이 삽입되는 입구인 강선삽입부(110)와, 강선이 배출되는 강선배출부(120)와, 상기 강선삽입부(110)와 강선배출부(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판(131)이 연속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조립되어 내측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1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롤러(132)를 개재하여 볼트에 의해 조립된다.
이에 따라 곡선 구간에서도 강선(W)을 고속으로 삽입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붐(14)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강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13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에서 서로 겹쳐진 상태로 금속 재질의 주 롤러(13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판(131)의 개수 조절에 의해 굴곡의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즉, 곡선 구간의 곡률이 작을수록 연결판(131)을 많이 연결하여 많이 굴곡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6에서 연결판(131)의 위쪽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를 '외측 원호'라 부르고, 연결판(131)의 아래쪽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를 '내측 원호'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연결판(131)의 외측 원호상 주 롤러(132) 사이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부 롤러(133)가 더 구비된다. 상기 부 롤러(133)는, 강선(W) 삽입시 강선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강선 삽입 안내장치에서는 베어링을 구비한 금속재질의 주 롤러(132)가 강선의 삽입력 및 삽입 안내장치의 자중을 지탱하고 있으므로, 상기 부 롤러(133)는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 롤러(133)는 힘을 받는 것이 아니고 강선(W) 삽입시 강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는 주 롤러(132) 사이에 2개의 부 롤러(133)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부 롤러(133)의 개수는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31)의 높이는 삽입 강선이 증가함에 따라 증대될 수 있고, 그 개수 역시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131)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중앙 연결판(131b)에는 내측 원호상의 주 롤러(132) 사이에도 상기 부 롤러(133)가 더 구비된다. 즉, 중앙 연결판(131b)에는 내측 원호상과 외측 원호상 모두에 부 롤러(133) 구비된다.
이에 비하여 중앙 연결판(131b) 이외의 연결판(131)에는 외측 원호상에만 부 롤러(133)가 구비된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131)의 내측 원호상에 구비되는 주 롤러(132) 조립구멍은 슬롯 홀(135)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연결판(131)이 내측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삽입부(110)의 일단부에는 삽입부측 연결판(131a)이 안착되어 조립되기 위한 평탄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강선삽입부(110)와 삽입부측 연결판(131a)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된다.
또한, 강선배출부(120)의 입구에는 강선(W)을 안내하기 위한 깔때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깔때기부(122)는 연결판(131)을 통과한 강선(W)이 강선배출부(12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깔때기부(122)는 그 내부로 삽입되는 강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출부측 연결판(131c)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단부에 강선 삽입 안내장치(100)의 강선삽입부(110)를 조립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이송관(30)과 강선삽입부(110)는 파이프의 결합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고 파이프의 단부에 플랜지를 구비하여 서로 연결할 수 도 있다.
이어서 크레인 차량(10)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키고,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관 세그먼트(30a)를 인장시켜 강선을 삽입하고자 하는 장소에 근접시킨다. 예컨대 고소 교각 콘크리트 보(3)의 강선삽입구멍(3a) 근처에 근접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강선 삽입 안내장치(100)는 그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배출부(120)의 단부를 강선삽입구멍(3a)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이어서 강선이동기구(20)의 구동롤러(26)를 구동한다. 그러면 강선(W)은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을 통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상부의 강선 삽입 안내장치(100)의 입구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강선(W)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31)의 외측 원호상에 구비된 주 롤러(132) 및 부 롤러(133)를 타고 원활하게 이동하여 강선배출부(120)를 거쳐 강선삽입구멍(3a)으로 삽입된다.
이때 강선(W)은 직진성을 유지하려 하므로 내측 원호상의 주 롤러(132) 및 부 롤러(133)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곡선 구간에서도 강선(W)을 저항 없이 삽입할 수 있고 강선의 삽입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강선(W) 삽입이 완료되면 다른 강선(W)을 동일한 방식에 의해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한다. 통상적으로 강선삽입구멍(3a)에는 다수의 강선(W)이 삽입된다.
강선삽입구멍(3a)에 강선(W)의 삽입이 완료되면, 강선을 다시 잡아당겨 인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때 강선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중 및 인장력에 의해 연결판(131)의 내측 원호상에 접하면서 당겨진다.
따라서 중앙 연결판(131b)의 내측 원호상에만 부 롤러(133)를 설치하면 충분하고, 나머지 연결판에는 내측 원호상에 부 롤러(133)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9에는 작도의 편의상 하나의 강선(W)을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강선(W)을 인장하게 된다.
강선(W)을 인장한 후에는, 콘크리트 보(3)의 외부에 강선을 고정하여 콘크리트 보(3)가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의 강선 삽입장치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이송관(30)의 단부에 고무재질의 삽입관(32)을 설치하여 강선(W)을 삽입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관(32)이 강선의 저항 및 외부 마찰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강선을 고속으로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판이 자연스럽게 굴곡되는 구조이므로, 강성을 유지하면서 곡선 부위에서 강선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가 있다.
또한 연결판의 가감에 따라 굴곡의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곡선 구간이 달라지더라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삽입되는 강선이 주 롤러 및 부 롤러를 타고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강선 삽입시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강선의 삽입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강선 삽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가 텔레스코픽 이송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지상의 곡선부분에서 강선을 안내할 때 사용될 수도 있고, 고소 작업시 강선 이송관의 중간에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교각
3: 콘크리트 보
3a: 강선삽입구멍
10: 크레인 차량
12: 텔레스코픽 크레인
14: 텔레스코픽 붐
14a: 붐 세그먼트
20: 강선이동기구
22: 프레임
24: 지지롤러
26: 구동롤러
28: 전기모터
30: 텔레스코픽 이송관
30a: 관 세그먼트
32: 플렉시블 삽입관
40: 지지브라켓
100: 강선 삽입 안내장치
110: 강선 삽입부
112: 평탄부
120: 강선 배출부
122: 깔때기부
131: 연결판
131a: 삽입부측 연결판
131b: 중앙 연결판
131c: 배출부측 연결판
132: 주 롤러
133: 부 롤러
135: 슬롯 홀

Claims (5)

  1. 강선(W)이 삽입되는 입구인 강선삽입부(110)와, 강선이 배출되는 강선배출부(120)와, 상기 강선삽입부(110)와 강선배출부(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강선(W)을 교각 등의 강선삽입구멍(3a)에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관의 곡선 구간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W)을 안내하는 강선 삽입안내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의 연결판(131)이 연속적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조립되어 내측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판(131)은 그 단부에서 금속 재질의 주 롤러(13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판(131)의 외측 원호상에 구비되는 주 롤러(132) 사이에 합성수지 재질의 부 롤러(1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31)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연결판(131b)은, 외측 원호상의 주 롤러(132) 사이 및 내측 원호상의 주 롤러(132) 사이에 부 롤러(1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31)의 내측 원호상에 구비되는 주 롤러(132) 조립구멍은 슬롯 홀(135)로 형성되어 연결판(131)이 내측으로 구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110)의 일단부에는 삽입부측 연결판(131a)이 안착되어 조립되기 위한 평탄부(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배출부(120)는,
    그 입구에 강선(W)을 안내하기 위한 깔때기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깔때기부(122)는 배출부측 연결판(131c)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삽입 안내장치.
KR1020140070023A 2014-06-10 2014-06-10 강선 삽입 안내장치 KR10142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3A KR101421992B1 (ko) 2014-06-10 2014-06-10 강선 삽입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23A KR101421992B1 (ko) 2014-06-10 2014-06-10 강선 삽입 안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111 Division 2013-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992B1 true KR101421992B1 (ko) 2014-07-23

Family

ID=517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23A KR101421992B1 (ko) 2014-06-10 2014-06-10 강선 삽입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2753A (ja) 2009-07-02 2011-01-20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036847B1 (ko)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JP4762951B2 (ja) * 2007-05-16 2011-08-31 均 深尾 ケーブルチェーン用角度規制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951B2 (ja) * 2007-05-16 2011-08-31 均 深尾 ケーブルチェーン用角度規制体
KR101036847B1 (ko)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JP2011012753A (ja) 2009-07-02 2011-01-20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47B1 (ko) 강선 삽입장치
CN103774704B (zh) 管道支撑系统
DE102007013083A1 (de) Kabelführungsanordnung
CA2560229A1 (en) Pipe guides and methods of guiding pipes in snubbing units
US20160200550A1 (en) Cable clamp, and lift system having a cable clamp
KR101421992B1 (ko) 강선 삽입 안내장치
KR102264022B1 (ko) 철망 절곡장치
CN110498324B (zh) 电梯轿厢框架的装配
KR101740530B1 (ko) 하부 주행체의 프레임 장치
KR100780858B1 (ko) 주름형 강관 성형기의 입구측 가이드롤러 승강장치
EP3031991A1 (de) Abstützvorrichtung
KR101724437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3352406A (en) Belt take-up and storage unit for extensible belt conveyors
US5361874A (en) Confined, single shaft wall elevator lifting system
CN111455945B (zh) 一种适用于引水隧洞大直径压力管道的专用台车
CN110963436B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举升安装装置
CN111316014B (zh) 具有两个能量引导链和可调整的固定点的组件
US20080078624A1 (en) Vertical conveyor with hydraulic drive
KR200174940Y1 (ko) 판텍스 라티스 거더 자동제작 장치
KR100251085B1 (ko) 멀티 체인구조를 갖는 곤도라 아암의 다단 신축장치
KR100261135B1 (ko) 건자재 운반용 자주식 리프트 장치
KR100552615B1 (ko) 롤 벤딩형 조관장치
KR102142756B1 (ko) 활선 작업용 전력 케이블 지지 장치
KR101562805B1 (ko) 현수바닥판교의 연속 압출식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슬라이드 거더 일체형 현수바닥판교
CN210795566U (zh) 门式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