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02B1 - 강선삽입용 대차 - Google Patents

강선삽입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02B1
KR101518702B1 KR1020140164916A KR20140164916A KR101518702B1 KR 101518702 B1 KR101518702 B1 KR 101518702B1 KR 1020140164916 A KR1020140164916 A KR 1020140164916A KR 20140164916 A KR20140164916 A KR 20140164916A KR 101518702 B1 KR101518702 B1 KR 10151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body frame
mast
mast assembl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필수
Original Assignee
오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필수 filed Critical 오필수
Priority to KR102014016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삽입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이나 거더의 보강을 위해 복수 개의 삽입구멍에 설치되는 인장강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작업 위치 결정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또한 비좁은 장소나 지상에서 고공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도 작업이 가능하여 전반적으로 작업 공간의 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강선삽입용 대차{Car for inserting steel wire}
본 발명은 강선삽입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이나 거더의 보강을 위해 복수 개의 삽입구멍에 설치되는 인장강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교량의 상판 및 박스형 거더는 통상 그 내부에 철근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내구력을 향상시켜 제조되고 있으나, 지속되는 하중에 의한 처짐변형이나, 이 처짐변형에 의한 균열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보다 안전하게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장강선을 설치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삽입구멍(13)을 폭방향으로 복수개(통상 9~12개) 구비하고, 이 삽입구멍(13)에 인장강선(W)을 삽입한 후, 양쪽에서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W)의 양끝단을 고정함으로써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판(10)을 설치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인장강선의 삽입작업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일이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으로, 인장강선의 선단을 삽입구멍에 넣고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 밀어 넣었다.
인장강선은 인장강도가 높은 여러 가닥의 금속와이어를 꼬아 이루어지고 매우 두껍기 때문에 상당히 무겁다. 따라서 길이가 대략 30m 정도인 상판에 인장강선을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하여 시공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특허 제10-542154호에는 "테이블(1)과, 상기 테이블(1) 상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강선(W)을 사이에 끼워 가압하여 강제 이송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11) 및 구동롤러(12)와, 상기 구동롤러(12)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과, 상기 테이블(1)의 강선인출 측에 구비되어 삽입대상물의 위치에 대응하여 강선의 인출각도를 조절하는 인출 측 강선안내기구(50)와, 상기 인출 측 강선안내기구(50)의 끝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측 강선안내기구(50)를 통해 인출되어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강선을 절단하는 커터기(15)와, 테이블 하부에 구비하여 자체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기구를 구비하는 강선삽입기에 있어서, 상기 커터기(15)가 구비된 인출 측 강선안내기구(50)를 테이블(1)로부터 분리형성하고, 상기 커터기(15)의 위치를 강선 인출방향으로 조절하는 커터기 위치조절기구(70)를 인출 측 강선안내기구(50)와 테이블(1) 사이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강선 삽입기는, 지지롤러(11)의 상측에 구동롤러(12)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롤러(11)와 구동롤러(12)의 사이로 강선(W)을 인입시키되 상기 강선(W)은 구동롤러(12)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이송되는 구조로, 상기 강선 이송시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든 강선의 구조로 인해 상기 구동롤러(12)에 접촉되는 강선은 꼬아진 상태로 인출되므로 교량용 상판(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구멍(13)에 상기 강선은 일직선이 아닌 나선형의 꼬아진 상태로 삽입되어 지므로 상기 강선의 양끝단에 인장력을 가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선은 상기 강선 삽입기로부터 나선형으로 꼬아져 인출되므로 상기 지지롤러(11)와 구동롤러(12)의 사이에 다수의 강선을 인입시키는 경우, 상기 다수의 강선은 상기 강선 삽입기의 내부에서 서로 꼬이게 되므로 한번에 하나의 강선만을 이송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선 삽입기는 강선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 강선과 구동롤러(12)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변화시킬 수 없어 사용성이 떨어질 뿐더러 상기 지지롤러(11)에는 회전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구동롤러(12)와의 간격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강선과 지지롤러(11) 또는 구동롤러(12) 사이에는 강선의 슬립이 발생하고 하나의 구동수단(23)에 의해 복수의 구동롤러가 기어식 물림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소음이 심하여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슬립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강선을 공급시킬 수 있는 강선 삽입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542154호(2006.01.03)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을 넣는 등 강선을 삽입대상의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작업이 기계동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과 롤러의 회전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이 개선되게 하고, 또한 강선삽입 대차를 상하로 조정하여 지상 및 고공 작업이 가능하고, 강선롤과 강선삽입 방향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와 마스트 조립체를 편리하게 조정하여 강선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강선 삽입용 대차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삽입용 대차는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인장강선(W)을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용 대차에 있어서,
구동부의 구동을 위한 자체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의 상부에 방향 및 각도 조절부, 강선삽입부 및 제어부가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강선삽입부가 전면에 탑재되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전면에 탑재되어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W)이 삽입되게 하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인장강선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W)을 절단하는 커터기을 구비하는 강선삽입부;
궤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된 궤도차 구동부; 및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 상기 강선삽입부, 및 상기 궤도차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 삽입용 대차를 이용하여 강선을 삽입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콘크리트 교량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을 삽입하는 작업이 기계적인 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선 삽입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무소음, 고속 인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이 용이하여 단시간에 많은 양을 소화할 수 있어서 경제성이 있다.
셋째, 작업 위치 결정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또한 지상에서 고공에 위치한 교량 상판에도 작업이 가능하여 전반적으로 작업 공간의 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강선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강선삽입용 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강선삽입용 대차의 강선삽입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삽입용 대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삽입부의 측면도.
도 6a는 도 5의 강선삽입부의 가이드부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6b는 상기 강선삽입부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삽입용 대차의 방향 및 각도 조절부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8은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9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평면도.
도 10은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마스트 조립체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승하강부재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12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의 마스트 조립체 및 승하강부재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13은 회전바디 프레임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의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인장강선(W)을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삽입용 대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강선 삽입용 대차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00)의 구동을 위한 자체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의 상부에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강선삽입부(300) 및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강선삽입부(300)가 전면에 배치되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의 전면에 탑재되어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W)이 삽입되게 하고, 상부프레임(320), 하부프레임(310) 및 인장강선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인장강선(W)을 절단하는 커터기(340)을 구비하는 강선삽입부(300);
궤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된 궤도차 구동부(500); 및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상기 강선삽입부(300), 및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전후방 각각에 설치되되 유압실린더(212)를 통해서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21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211)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바디 프레임(210)과,
전방에 상기 강선삽입부(300)가 장착되게 하고 유압실린더(229)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마스트(221)와,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지지해주는 고정마스트(222)와, 상기 고정마스트(222)에 장착되어서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롤러(223)로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 조립체(220)와,
일측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23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승하강되게 설치되어서 강선삽입부(300)이 고정되는 지지대(24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251)와, 일측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240)와 장착되어서 상기 풀리(251)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상기 지지대(240)를 승하강시키는 체인(252)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250)와,
상기 가변마스트(221)가 하강할 때 상기 지지대(240)가 안착되게 하는 받침대(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기(230)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양측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크(225)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의 후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레크(225)와 치합되는 레크기어(226)와,
전단부에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와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27)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228)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28)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226)가 상기 레크(225)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하단에 롤러(224)를 구비하여 직립시 상기 롤러(224)가 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는, 상기 레크기어(226)에 축결합되는 회전축(227-1)과, 상기 회전축(227-1)의 양단에 장착되는 롤러(227-2)와, 상기 롤러(227-2)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27-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고정마스트(222)는 슬라이딩부재(227)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마스트 조립체(220)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고, 좌우로 기울어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스트 조립체(220)의 전면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250)는 지지대(240)의 양측에 2개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편차가 있게 승하강시켜 강선삽입부(300)의 전후에 단차를 형성하여 강선삽입부(300)의 전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하부에 장착된 궤도차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 및 전후이동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301)과, 그 내부에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롤러(302)가 지지프레임(303) 상의 회전축(304)에 고정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하부프레임(310)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피동롤러(321)가 상부 지지프레임(322) 상의 회전축(324)에 고정결합되고, 작동바(325)가 복수의 고정바(323)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22)에 연결되어 하부프레임(310)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기 작동바(325)의 상부 양측은 유압실린더(326)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326)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 프레임(320)을 구동 롤러(302)와 피동롤러(321)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승하강시키고,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인장강선(W)은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롤러(302)는 모터(M)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기 하부프레임(310)과 상부프레임(320)은 스프링에 의해 완충력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3)의 양단의 상부에는 스프링(306)을 수용하는 가이드 브라켓(305)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325)와 지지프레임(322)에 고정 결합된 간격제한 돌부(327)가 상기 브라켓(305) 내로 가이드되어 하강함에 따라 스프링(306)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기 피동롤러(321)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기 하우징(301)의 일단에는 인장강선(W)을 인입시키기 위한 강선 인입구(3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인입된 인장강선(W)을 강제로 이송하여 배출하기 위한 강선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311)의 입구에는 인장강선(W)의 가이드부(330)가 설치되어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부(330)는 줌인 기능을 하는 유압실린더(331, 332)를 포함하여, 인장강선(W)은 유압실린더(332) 내부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단부는 각도 조절을 위하여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인입되는 인장 강선(W)의 인입각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타단은 고정턱(334)이 마련되고, 고정홀(335)은 브래킷(337)의 단부의 원판(336) 상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고정턱(334)은 고정구(333a)가 형성되어 고정핀(333)으로 고정홀(335)에 관통시켜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브래킷(337)의 단부는 2 단의 인입롤러(338, 339)가 내부에 종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로 인장 강선(W)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10)의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인장강선(W)을 상기 상판(10)의 다수 개의 삽입구멍(13)에 강제로 삽입시켜 설치하되 상기 삽입구멍(13)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인장강선 출구의 높이 및 각도를 가변시켜 삽입시킬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 삽입용 대차는 도 5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0),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강선삽입부(300), 궤도차 구동부(500) 및 제어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그 하부에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하부에 장착된 궤도차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 및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의 상부에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강선삽입부(300), 및 제어부(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구동부(500)의 구동을 위한 자체의 기본적인 프레임으로 역할을 하는데, 통상의 체인식 또는 궤도식 구동부의 전후에 바퀴가 회전하여 이동하게 하는 회전축을 고정하고 지지한다. 이러한 프레임의 구조는 자동차나 콤바인 등의 일반적인 회전 및 구동 수단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설명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구동부(500)에 대하여 전후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전후 이동 및 회전 수단은 포크레인이나 콤바인 등의 일반적인 전후 또는 회전 수단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설명한다.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강선삽입부(300)가 상하이동 가능하고, 전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그의 전면에 탑재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100)이 설치되는 저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서있는 각도가 가변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고,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디 프레임(210), 마스트 조립체(220), 각도조절기(230), 지지대(240), 승하강부재(250) 및 받침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상하 승강되는 강선삽입부(300)가 일측을 통하여 지지대(240)의 상부에서 전면에 탑재되는데, 강선삽입부(300)가 전후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제어부(600)에 대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은 도 7,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12)를 통해서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21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211)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휠(211)은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구동휠(211-1)과,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후방 중간에 설치되는 후방구동휠(211-2)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구동휠(211-1)과 후방구동휠(211-2) 모두 전후좌우의 4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구동휠(211)의 4 방향 회전은 유압실린더(212)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휠(211)의 내측에 회전축(214)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214)에 기어(215)를 결합시킨 다음 유압실린더(212)를 이용하여 기어(215)를 회전시키면 구동휠(211)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어 방향 제어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휠(211)은 강선삽입용 대차에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휠(211)에 롤러(216)를 결합하고,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217)에 의해 롤러(216)가 지지되도록 하면 하중이 무거울 경우에도 구동휠(211)이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동휠(211)은 모터(213)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모터(213)에 인가되는 전원은 자체 배터리로부터 공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화물차의 발전기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전원 공급방식이 배터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터(213)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킬 수만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전방에 강선삽입부(300)가 탑재되어 지지되게 하고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마스트(222)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변마스트(221)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 또는 슬라이딩부재(227)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지지해주는 고정마스트(222)와, 상기 고정마스트(222)에 장착되어서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롤러(223)로 이루어져서 회전바디 프레임(210) 및 제어부(6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 즉 가변마스트(221)는 상하운동이 가능하며, 이는 유압실린더(229)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서 마스트 조립체(220)가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게 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229)는 고정마스트(222)와 가변마스트(221)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229)가 종래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각 가변마스트(221) 및 고정마스트(222)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하고, 외적으로도 미려한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상하 운동시 발생하는 유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마스트(222)와 상기 가변마스트(221) 사이에 롤러(2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롤러(223)를 설치하면 가변마스트(221)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정의 지지력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크(225), 레크기어(226), 슬라이딩부재(227) 및 유압실린더(228)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28)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레크기어(226)가 레크(225)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마스트 조립체(220)가 회전바디 프레임(21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크(225)는, 일단부가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마스트 조립체(220)와 회전바디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기(230)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양측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레크기어(226)는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의 후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레크(225)와 치합된다.
한편, 상기 레크(225)는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후반부에만 설치되면 족하고, 전반부에는 설치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레크(225)는 슬라이딩부재(227)의 이동을 위한 것인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레크(225)가 후반부에만 설치되더라도 슬라이딩부재(227)의 이동에 문제가 없고,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무게도 감량되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27)는 전단부에서 마스트 조립체(220)와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는, 레크기어(226)에 축결합되는 회전축(227-1)과, 상기 회전축(227-1)의 양단에 장착되는 롤러(227-2)와, 상기 롤러(227-2)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27-3)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전방에는 고정마스트(2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압실린더(228)는 슬라이딩부재(227)와 회전바디 프레임(210)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227)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부재(227)는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양측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레크(225)가 설치되고, 상기 레크(225)에 슬라이딩부재(227)의 후단에 마련된 레크기어(226)가 치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227)의 지지프레임(227-4)과 회전바디 프레임(210)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228)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2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전단에 마스트 조립체(220)를 힌지 결합시키면 슬라이딩부재(227)의 동작에 따라 마스트 조립체(22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강선삽입부(3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22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크기어(226)에 축결합되는 회전축(227-1)과, 상기 회전축(227-1)의 양단에 장착되는 롤러(227-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227)가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롤러(227-2)의 양측에 ㄱ자 형태의 가이드부재(227-3)를 설치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좌우 유격이 방지되어 마스트 조립체(220)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27-1)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유압실린더(228)가 결합되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딩부재(227)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228)도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마스트 조립체(220)가 완전하게 폴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그의 하단에 롤러(224)를 구비하여 직립시 롤러(224)가 저면에 접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하단부에 롤러(2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직립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력이 확보될 수 없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하단에 롤러(224)를 설치하면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가 직립하면서 롤러(224)가 지지판에 접지되어 지지력이 확보되기 때문에 강선삽입부(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기(230)는, 일측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마스트 조립체(22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와 제어부(600) 사이에 각도조절기(230)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기(230)의 압축과 팽창에 의해 마스트 조립체(220)가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40)는 마스트 조립체(220)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인장강선이 설치되는 강선삽입부(300)를 지지한다.
상기 승하강부재(250)는, 마스트 조립체(220), 즉 가변마스트(221)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251)와, 일측은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타측은 지지대(240)와 장착되어서 풀리(251)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 즉 권취되어 지지대(240)를 승하강시키는 체인(2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부재(250)는 지지대(240)의 양측에 대응하여 2개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편차가 있게 승하강 시키면 강선삽입부(300)의 전후는 단차를 형성하게 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삽입부(300)은 일측이 상기 승하강부재(2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40)에 반드시 직접적으로 체결될 필요는 없다.
상기 체인(252)의 일단부는 지지대(2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마스트(222)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유압실린더(229)의 신장 또는 차등신장으로 가변마스트(221)가 상승함에 따라 체인(252)이 잡아당겨지고, 그 결과 상기 지지대(240)도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체인(252)은 풀리(251)에 권취된 상태로 잡아 당겨지므로 지지대(240)의 상승 높이는 유압실린더(229)의 신장 길이의 2배가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240)의 승하강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40)와 상기 가변마스트(221) 사이에 롤러(253)가 적절한 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260)는 가변마스트(221)가 하강할 때 지지대(240)가 안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방에, 즉 하중이 무거울 경우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되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지지포크(27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포크(270)는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방에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상기 지지포크(270)의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의 전방에 상하이동 가능하고 좌우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설치된다.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의 전면의 마스트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서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W)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301)과, 그 내부에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롤러(302)가 지지프레임(303) 상의 회전축(304)에 고정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하부프레임(310)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피동롤러(321)가 상부 지지프레임(322) 상의 회전축(324)에 고정결합되고, 작동바(325)가 복수의 고정바(323)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22)에 연결되어 하부프레임(310)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325)의 상부 양측은 유압실린더(326)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326)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 프레임(320)을 구동 롤러(302)와 피동롤러(321)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승하강시킨다. 따라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인장강선(W)은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302)는 모터(M)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므로 기어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거의 없어서 쾌적한 환경에서 강선인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310)과 상부프레임(320)은 스프링 등의 수단에 의하여 완충력이 제공되게 설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지지프레임(303)의 양단의 상부에는 스프링(306)을 수용하는 가이드 브라켓(305)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325)와 지지프레임(322)에 고정 결합된 간격제한 돌부(327)가 상기 브라켓(305) 내로 가이드되어 하강함에 따라 스프링(306)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기 피동롤러(321)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301)의 일단에는 인장강선(W)을 인입시키기 위한 강선 인입구(3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인입된 인장강선(W)을 강제로 이송하여 배출하기 위한 강선 배출구(312)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구(311)의 입구에는 인장강선(W)의 가이드부(330)가 설치되어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인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인장강선(W)은 강선롤의 중량이 무겁고 강선 또한 구부리려서 인입시키기가 쉽지 않으므로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가이드부가 이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이 불편한 강선롤을 그 위치에 두고 인입각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가이드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한다.
상기 가이드부(330)는 도 6a, 6b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줌인 기능을 하는 유압실린더(331, 332)를 포함하여, 인장강선(W)은 유압실린더(332) 내부로 가이드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단부는 각도 조절을 위하여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인입되는 인장 강선(W)의 인입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가이드부(300)의 길이 및 각도 조절을 함으로써 강선의 인입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타단은 고정턱(334)이 마련되고, 고정홀(335)는 브래킷(337)의 단부의 원판(336) 상에 복수개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고정턱(334)은 고정구(333a)가 형성되어 고정핀(333)으로 고정홀(335)에 관통시켜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회전각을 필요에 따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의 단부는 2 단의 인입롤러(338, 339)가 내부에 종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로 인장 강선(W)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332)의 줌인 기능과 인입각의 각도 조절기능 및 브래킷의 회전 기능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인입되는 인장 강선(W)의 가이드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312)의 후단에는 커터부(340)가 설치된다. 상기 커터부(340)는 강선삽입부(300)의 인장강선(W) 출구측에 설치되어서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설치되는 인장강선(W)을 적당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커터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강선의 인출측 강선안내기구(미도시)의 지지판(341) 끝단에 설치되고, 전동모터(342)에 의해 회전하고 커터(343)를 구비한 것으로, 삽입대상물에 삽입된 인장강선(W)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별법으로, 상기 커터부(340)는 안내롤러(344)를 마련하고, 전후로 작동하는 유압실린더(331, 332)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부(3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줌인 기능을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커터부(340)는 강선삽입부(300)과 직접 결합되어 위치할 필요는 없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인장강선(W)의 시작 끝단을 삽입대상인 교량의 상판(10)에 형성한 삽입구멍(13)에 넣으면 강선삽입부(300)의 상부 프레임(320)과 하부프레임(310)의 협력 작용에 의한 기계적인 힘으로 인장강선(W)을 상판(10)의 삽입구멍(13)에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삽입후에는 커터기(15)의 커터(15b)로 강선(W)을 절단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강선 삽입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10)은, 삽입구멍(13)에 인장강선을 삽입한 후, 양쪽에서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의 양끝단을 고정함으로 써 인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커터기(340)에 의해 절단된 인장강선(W)의 끝단이 교량용 상판(10)으로부터 소정 길이, 즉 강선의 끝단을 잡아당기고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길이로 돌출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인장강선(W)을 소정 길이 돌출시켜 절단할 수 있도록 커터기(340)의 위치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프레임으로 역할을 하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하부에 상기 바디 프레임(100)이 회전 및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는 통상적인 고무 궤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는 바디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어서 대차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동부(500)의 구조는 자동차나 콤바인 등의 일반적인 회전 이동 수단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설명한다.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는 교량 공사가 주로 도로가 개설되지 않는 지역에서 수행됨에 따라 노면이 거칠거나 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대차가 지면에 대해 밀리지 않거나 대차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는 등 특히 효율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술된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상기 강선삽입부(300), 및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필요할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전자의 탑승을 위한 조종석을 설치하지 않고도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여 화물차에 적재 가능하도록 서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삽입용 대차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강선삽입용 대차를 강선롤에 인접하게 정차하고,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높이를 조절하여 강선삽입부(300)를 강선롤의 근처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강선삽입부(300)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고, 인장강선(W)을 인입구(311)의 가이드부(330)를 이용하여 삽입한 다음 상부프레임(320)을 하방으로 일정한 위치까지 가압하는 한편, 하부프레임(310) 상의 구동롤러(302)들을 개별 모터(M)에 의해 작동시켜 인장 강선을 이송시킨다. 이송 후 필요한 길이로 커터기(340)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인장강선(W)의 삽입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강선삽입부(300)는 수평으로 위치시켜 지상에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배출구(312)를 상방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서 고공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바디 프레임 200: 방향 및 각도 조절부
210: 회전바디 프레임 211: 구동휠
211-1: 전방구동휠 211-2: 후방구동휠
212, 228, 229: 유압실린더 213: 모터
214: 회전축 215: 기어
216, 223, 224, 227-2, 253: 롤러 217: 가이드브라켓
220: 마스트 조립체 221: 가변마스트
222: 고정마스트 225: 레크
226: 레크기어 227: 슬라이딩부재
227-1: 회전축 227-3: 가이드부재
227-4: 지지프레임 230: 각도조절기
240: 지지대 241: 수직프레임
242: 수평프레임 250: 승하강부재
251: 풀리 252: 체인
260: 받침대 270: 지지포크
300: 강선삽입부 310: 프레임
311: 강선 인입구 312: 강선배출구
340: 커터기 341: 지지판
342: 전동모터 343: 안내 롤러
344: 커터

Claims (15)

  1. 콘크리트 교량용 상판에 인장강선(W)을 삽입하기 위한 강선 삽입용 대차에 있어서,
    구동부(500)의 구동을 위한 자체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의 상부에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강선삽입부(300) 및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강선삽입부(300)가 전면에 탑재되는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의 전면에 탑재되어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인장강선(W)이 삽입되게 하고, 상기 강선삽입부(300)의 인장강선 출구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교량용 상판의 삽입구멍에 설치된 상기 인장강선(W)을 절단하는 커터기(340)을 구비하는 강선삽입부(300);
    궤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된 궤도차 구동부(500); 및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 상기 강선삽입부(300), 및 상기 궤도차 구동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의 하우징(301)과, 그 내부에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롤러(302)가 지지프레임(303) 상의 회전축(304)에 고정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하부프레임(310)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피동롤러(321)가 상부 지지프레임(322) 상의 회전축(324)에 고정결합되고, 작동바(325)가 복수의 고정바(323)를 통하여 상기 지지프레임(322)에 연결되어 하부프레임(310)과 연계하여 인장 강선(W)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310)과 상부프레임(320)은 스프링에 의해 완충력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3)의 양단의 상부에는 스프링(306)을 수용하는 가이드 브라켓(305)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바(325)와 지지프레임(322)에 고정 결합된 간격제한 돌부(327)가 상기 브라켓(305) 내로 가이드되어 하강함에 따라 스프링(306)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기 피동롤러(321)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 및 각도 조절부(200)는,
    전후방 각각에 설치되되 유압실린더(212)를 통해서 전후좌우의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21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휠(211)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바디 프레임(210)과,
    전방에 상기 강선삽입부(300)가 장착되게 하고 유압실린더(229)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마스트(221)와,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지지해주는 고정마스트(222)와, 상기 고정마스트(222)에 장착되어서 상기 가변마스트(221)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롤러(223)로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 조립체(220)와,
    일측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져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23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승하강되게 설치되어서 강선삽입부(300)이 고정되는 지지대(240)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251)와, 일측은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240)와 장착되어서 상기 풀리(251)의 회동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상기 지지대(240)를 승하강시키는 체인(252)으로 이루어진 승하강부재(250)와,
    상기 가변마스트(221)가 하강할 때 상기 지지대(240)가 안착되게 하는 받침대(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기(230)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양측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크(225)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의 후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레크(225)와 치합되는 레크기어(226)와,
    전단부에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와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27)와,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를 연결하는 유압실린더(228)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28)의 압축 및 팽창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226)가 상기 레크(225)에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가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는 하단에 롤러(224)를 구비하여 직립시 상기 롤러(224)가 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27)는, 상기 레크기어(226)에 축결합되는 회전축(227-1)과, 상기 회전축(227-1)의 양단에 장착되는 롤러(227-2)와, 상기 롤러(227-2)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회전바디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27-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조립체(220)의 고정마스트(222)는 슬라이딩부재(227)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마스트 조립체(220)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고, 전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스트 조립체(220)의 전면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250)는 지지대(240)의 양측에 2개로 구비하여 지지대에 편차가 있게 승하강시켜 강선삽입부(300)의 전후에 단차를 형성하여 강선삽입부(300)의 전후 각도를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하부에 장착된 궤도차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 및 전후이동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기 작동바(325)의 상부 양측은 유압실린더(326)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326)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 프레임(320)을 구동 롤러(302)와 피동롤러(321)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승하강시키고,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 인장강선(W)은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롤러(302)는 모터(M)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부(300)는,
    상기 하우징(301)의 일단에는 인장강선(W)을 인입시키기 위한 강선 인입구(3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인입된 인장강선(W)을 강제로 이송하여 배출하기 위한 강선 배출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311)의 입구에는 인장강선(W)의 가이드부(330)가 설치되어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인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부(330)는 줌인 기능을 하는 유압실린더(331, 332)를 포함하여, 인장강선(W)은 유압실린더(332) 내부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단부는 각도 조절을 위하여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인입되는 인장 강선(W)의 인입각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32)의 타단은 고정턱(334)이 마련되고, 고정홀(335)는 브래킷(337)의 단부의 원판(336) 상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고정턱(334)은 고정구(333a)가 형성되어 고정핀(333)으로 고정홀(335)에 관통시켜 인입되는 인장강선(W)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브래킷(337)의 단부는 2 단의 인입롤러(338, 339)가 내부에 종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로 인장 강선(W)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삽입용 대차.
KR1020140164916A 2014-11-25 2014-11-25 강선삽입용 대차 KR101518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16A KR101518702B1 (ko) 2014-11-25 2014-11-25 강선삽입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916A KR101518702B1 (ko) 2014-11-25 2014-11-25 강선삽입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702B1 true KR101518702B1 (ko) 2015-05-08

Family

ID=5339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916A KR101518702B1 (ko) 2014-11-25 2014-11-25 강선삽입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7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47B1 (ko) *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KR20110126890A (ko) * 2010-05-18 2011-11-24 박건희 강선 삽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47B1 (ko) * 2009-06-03 2011-05-25 서남섬 강선 삽입장치
KR20110126890A (ko) * 2010-05-18 2011-11-24 박건희 강선 삽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05588U (zh) 拱架台车机械手和拱架台车
CN205805583U (zh) 拱架台车
JP6692264B2 (ja) 連続ベルトコンベア装置及び連続ベルトコンベアの延伸方法
CN113339030B (zh) 一种高边坡钻、注、锚功能集成锚固设备
US10655345B2 (en)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CN103758471B (zh) 一种轻便型修井用管柱移运装置
CN103996992A (zh) 移动式快速跨越架
CN102834342A (zh) 桥式起重机
CN104594944A (zh) 高效安全型矿用液压支架安装运输车
JP4474444B2 (ja) 送出し台車
KR102013575B1 (ko) 유압식 갠트리 크레인
KR101518702B1 (ko) 강선삽입용 대차
EP3296251B1 (en) A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CN109066420A (zh) 一种手车式断路器检修装置
KR102225739B1 (ko) 크레인의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방법
CN110921518B (zh) 汽车装配运输线
JP6698900B1 (ja) 昇降装置
KR20160047830A (ko) 차륜식 크레인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169680B1 (ko)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CN208024369U (zh) 一种多功能隧道拱架作业台车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CN113955674B (zh) 巷道架棚钢梁举升车
CN111284648A (zh) 舵叶支撑架和舵叶安装小车
CN108867388A (zh) 多功能作业平台车
CN208907363U (zh) 一种开挖立架平移安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