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680B1 -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 Google Patents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680B1
KR102169680B1 KR1020190000744A KR20190000744A KR102169680B1 KR 102169680 B1 KR102169680 B1 KR 102169680B1 KR 1020190000744 A KR1020190000744 A KR 1020190000744A KR 20190000744 A KR20190000744 A KR 20190000744A KR 102169680 B1 KR102169680 B1 KR 102169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ar
maintenance vehicle
base
vehicle
mobil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630A (ko
Inventor
이승규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9000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차 승강용 리프트카를 장착 및 탈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정비차량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이동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Travelling maintenance vehicles with lift car}
본 발명은 고장차 승강용 리프트카를 장착 및 탈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정비사 또는 사용자 등이 차량이나 이동장치에 간편하게 휴대하여 점검 및 간단한 수리가 필요한 장소에서 전개하여 차량의 점검 및 간단한 수리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구조의 이동형 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사형의 곡면형상으로 되는 제1지지대(10)와; 상기 제1지지대(10)와 대칭 형상이고, 상기 제1지지대(10)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20); 및 상기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를 연결하고, 접철 구조로 상기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를 고정하기 위한 힌지부(Hinge Part)(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2는 차량 견인을 위한 이동식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견인할 차량이 올려지는 리프트판과; 접었다펴는 동작을 통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리프트판의 각 모서리 부근에 가이드힌지로 고정되어 상기 리프트판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리프트판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리프트판의 양 측단 하부면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4개의 지지암 단부가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암의 사이를 횡방향으로 통과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너트가 장착된 자키와; 상기 자키의 스크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자키구동모터와; 상기 자키의 하부 일측에 각각 연결된 바퀴구동모터와; 상기 바퀴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구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바퀴와; 상기 자키구동모터 및 상기 바퀴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3은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프레임(110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1쌍의 고정가이드(2900)와; 상기 1쌍의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 나란히 배치된 제2횡이동가이드(1300)와; 상기 고정가이드(2900)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횡이동부재(1400)와; 상기 제2횡이동가이드(1300)를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2횡이동부재(1500)와; 상기 제1횡이동부재(1400)에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부재(2000)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이동부재(1600)와;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를 개재하여 고정가이드(2900)와 제1횡이동부재(1400) 또는 수직가이드부재(2000)를 연결하는 횡이동부재 전동수단과; 상기 제2횡이동부재(1500)와 고정가이드(2900) 사이에 연결된 제1왕복구동수단(1700)과;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를 구동하기 위한 제3왕복구동수단(2600)과; 상기 수직이동부재(1600)를 따라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와; 상기 리프팅포크 설치부재(1800)에 설치된 리프팅포크(19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4는 전동차량의 하부장치 교환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리프트의 상부에 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후이동판과 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좌우이동판이 설치되며 좌우이동판의 상부에는 여러 가지 하부장치 교환용 부속지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테이블 리프트의 전방에는 운반용 대차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장치의 교환작업시 전동차량의 외측하부로 접근하거나 전동차량의 하부중앙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하여 소수의 작업인원만으로도 협소한 작업공간내에서 전동차량의 하부에 장착된 중량물의 하부장치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해, 조립 및 운반할 수 있게 하므로 교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축하여 작업성과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량의 하부장치 교환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KR 10-1702057 B1 (2017년02월02일) KR 10-0964756 B1 (2010년06월10일) KR 10-0615920 B1 (2006년08월18일) KR 10-1322891 B1 (2013년10월22일)
본 발명은 고장차 승강용 리프트카를 장착 및 탈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정비차량(1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일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이동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베이스(100);, 이동대(2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이동대(200) 후면에 착탈되며, 높이가 가변되는 리프트카(3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이동대(20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대(200)에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회동시키는 힌지(25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베이스(100);, 이동대(2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일측이 상기 이동대(200)에 내장되며, 유입 또는 유출되며, 상기 리프트카(300)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트를 회동시키는 와이어(2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베이스(100);, 이동대(2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베이스(100)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파지하는 고정대(400);, 상기 베이스(100)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동대(20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500);를 부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트카가 수용된 정비차량.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대를 하강시켜 리프트카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대에 리프트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리프트카를 활용하여 고장차량을 승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정비차량(1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일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이동대(200); 상기 이동대(200) 후면에 착탈되며, 높이가 가변되는 리프트카(300); 일측이 상기 이동대(200)에 내장되며, 유입 또는 유출되며, 상기 리프트카(300)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트카를 회동시키는 와이어(260); 상기 베이스(100)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정비차량(1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되는 고정돌기(110);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정비차량(10)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정비차량(10)에 착탈가능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장차량을 정비하기 위한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정비차량은 이동성 확보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필요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장차량은 리프트 시켜야 된다. 고장차량의 리프트를 위해, 후술되는 리프트가 본 발명 이동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트카(300)고정용 베이스(100)가 정비차량 후면 또는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를 따라 상하이동되는 이동대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리프트카(3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정비차량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정비차량(10) 후면에 완전결합 또는 체결결합 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정비차량 내부에 형성되며, 장비가 수납되며, 장비를 종류별로 구분하는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비차량은 고장차량(20) 정비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차량 정비용 장비를 구비한다. 차량 정비용 장비는 정비차량 내부에 수납되며, 다양한 종류별로 복수의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정비장비 및 부품을 수납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정비차량(10)은 후면으로 차량 정비용 장비를 싣도록 후면에 개폐문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정비차량(10)의 후면에 이격되어 부착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정비차량(1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되는 고정돌기(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발명의 베이스(100)는 정비차량(10)의 후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정비차량은 차량종류에 따라 상이한 후면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베이스가 정비차량과 결합되기 위하여는 어뎁터 역할의 구조물이 요구되며, 이는 후술되는 고정돌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는 차량 및 베이스 간격을 일정량 이격 시키며, 다양한 차종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5 발명의 고정돌기(110)는 베이스(100)의 전면에서 정비차량(1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됨에 따라 정비차량(10)의 형상에 관계없이 베이스(100)를 정비차량(10)의 후면에서 이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차량 형상에 따라 수량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정비차량(10)의 형상에 따라 다수가 각각 다른 길이로 돌출된다.
실시예 1-6 발명의 고정돌기(110)는 정비차량(10)과 접하는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른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0)는 다양한 정비차량(10)에 착탈가능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발명의 고정돌기(110)는 베이스(100)를 정비차량(10)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비차량(10)에 결합되도록 고정돌기(11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조절장치는 나선결합, 실린더 등 다양한 구조로 고정돌기(110) 길이를 조절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정비차량(10)과 접하는 단부에 패킹(111)이 구비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정비차량(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체결장치와 결합된다.
고정돌기(110) 및 정비차량(10)과 접촉부위는 패킹을 형성한다. 상기 패킹은 차량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패킹은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며, 고무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은 고정돌기에 고정되며, 차량과는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 일면에 형성되며, 홈형상이며, 이동대(200)를 삽입하는 수용홈(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0)은 상기 이동대(200)를 승하강시키는 가이드장치(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130)는 상기 이동대(200)가 승하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1);, 상기 가이드레일(131)에서 상기 이동대(200)를 승하강시키는 가이드모터(1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에는 이동대를 장착하며, 상기 이동대는 베이스 내부에서 상하이동된다. 상하이동의 활동성 확보를 위해, 베이스에 형성된 수용홈 내부에 이동대를 안착시킨다. 따라서, 이동대는 수용홈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상하이동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및 이동대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구현하기 위해 가이드장치(130)가 베이스(100) 및 이동대(200) 사이에 위치한다. 가이드 모터는 이동대의 승하강 이동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의 동력은 동력전달 수단으로 이동대를 이동시킨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랙과 피니언의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체인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시하지 않은 대상으로 치환할 수 있다.
(실시예 1-13)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모터(13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비차량(10)의 전력을 사용한다.
(실시예 1-14)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모터(131)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차량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베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충전전원을 사용할 경우, 내장된 자체 충전기에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차량의 동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엔진구동동력이 상기 모터축과 결합한다. 이때 모터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5)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전력이 차단될 때 상기 이동대(200)를 승하강시키는 회전레버(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회전레버(140)는 모터(131)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베이스(100) 외측에 구비된다. 회전레버(14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대(200)가 승하강되며, 모터(131)의 고장 및 전력이 차단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를 사용할 경우, 모터와 회전축의 결합이 차단되도록 클러치를 형성한다. 즉, 클러지의 결합을 제거한 후, 회전레버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는 웜 및 웜기어의 형태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동력의 감속비를 이용하여, 적은힘으로 중량의 무게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과정에서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16)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200)는 하단에서 후면으로 돌출되는 안착판(220);, 상기 안착판(220)의 상단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측판(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대(200) 하단은 돌출된 안착판(220)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판(220)은 리프트카(300)의 무게를 지지하는 강도를 형성한다. 또한 안착판(220) 상단 양측면에서 돌출된 측판(230)을 형성한다. 상기 측판(230)은 리프트카(300) 일부를 고정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200) 후면에 착탈되며, 높이가 가변되는 리프트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프트카는 고장차량을 리프트 시키는 목적을 가진다. 고장차량 리프트을 위해 리프트카는 정비차량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정비차량의 이동중에는 정비차량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트카는 정비차량의 이동대와 결합되기 위한 탈착수단이 요구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이동대(200)에 하단에 형성되며, 리프트카에 삽입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회동시키는 힌지(25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힌지(250)는 상기 삽입홈(320)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단부가 라운딩 또는 챔버링 된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힌지(250)는 측판(230)에서 삽입 및 돌출시키는 돌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힌지는 이동대에 형성된다. 상기 힌지는 리프트카와 결속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리프트카를 회동시켜, 리프트카를 이동대에 안착시킨다. 리프트카 전면부 양측에는 힌지와 결속되는 힌지구를 형성한다. 상기 힌지는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필요에 따라 리프트카와 결속된다. 상기 힌지 돌출을 위해 돌출장치를 형성한다.
힌지의 힌지구 삽입을 원활히 하기위해, 힌지 단부에는 라운드 형상 및 모따기 형상을 형성한다. 즉, 정확하지 않은 위치설정에서 힌지의 돌출에 의해 정확한 위치를 자동으로 확보할 수 있다.
힌지는 선택적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이를 휘해 돌출장치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사용하거나, 또는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일측이 상기 이동대(200)에 내장되며, 유입 또는 유출되며, 상기 리프트카(300)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트를 회동시키는 와이어(26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60)는 상기 이동대(200) 내부에서 권취되도록 권취롤(261)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261)은 권취모터(131)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260)의 연장길이를 조절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은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60)는 일단부에 상기 리프트카(300)를 결속하는 결속고리(2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리프트카를 이동대에 체결하기 위함이다. 즉, 와이어가 리프트카와 결속되며, 와이어의 구동으로 리프트카를 회동시켜,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결속시킨다. 이때, 리프트카 일측은 힌지로 회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로 형성될 경우, 리프트카 타단 한곳에 결속구를 형성하며, 상기 결속고리가 결속구와 결속된다. 또한 2개의 와이어가 존재하는 경우, 리프트카 양단 측면에 결속구를 형성하며, 상기 결속구에 와이어의 결속고리를 체결한다.
와이어는 권취롤에 감겨지며, 권취롤 회전에 따라 와이어가 풀려지거나 감겨지게 된다. 상기 권취롤은 권치모터에 의해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권취롤의 회전으로 와이어를 권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대 내부에 와이어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 일부는 실린더와 같은 엑츄에이터와 결합되어 실린더 작동으로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리프트카를 수용하는 정비차량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있어서, 상기 베이스(100)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파지하는 고정대(400);,
상기 베이스(100)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동대(20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400) 일측 및 베이스 일면에 형성된 회전힌지(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리프트카 수송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부에 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400)의 유입 및 유출을 작동시키는 받침대작동수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정대 및 받침대는 리프트카의 안정적 고정을 목적으로 한다. 차량에 장착된 리프트카는 정비차량 이동시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카는 정비차량과 완전한 고정을 이루어야 한다. 리프트카는 이동대에 안착되나, 고정대는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정대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에 장착된다. 리프트카가 이동대에 장착되면, 베이스에 장착된 고정대가 회동하여,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고정되는 베이스로부터 회동 가능하다. 상기 고정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는 복수로 형성되어 양측면에서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고정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고정대는 측면에서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고정한다. 수직방향 고정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받침대를 추가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는 베이스 일면을 삽입고정하며, 받침대 타면은 베이스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된 부분은 이동대 및 리프트카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 및 받침대는 리프트카를 안착시킨 정비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리프트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10: 정비차량 20: 고장차량
100: 베이스 110: 고정돌기
111: 패킹 120: 수용홈
130: 가이드장치 131: 가이드레일
132: 모터 140: 회전레버
200: 이동대 210: 가이드판
220: 안착판 230: 측판
250: 힌지 260: 와이어
261: 권취롤 262: 결속고리
300: 리프트카 310: 바퀴
320: 삽입홈 321: 부싱
322: 챔버링 330: 지지판
340: 승강장치 350: 결합홈
360: 고정부 361: 고정홈
362: 고정바 363: 결속홈
364: 결속바 400: 고정대
410: 회전힌지 500: 받침대

Claims (5)

  1.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에 있어서,
    정비차량(1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의 일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이동대(200);
    상기 이동대(200) 후면에 착탈되며, 높이가 가변되는 리프트카(300);
    일측이 상기 이동대(200)에 내장되며, 유입 또는 유출되며, 상기 리프트카(300)와 체결되며, 상기 리프트카를 회동시키는 와이어(260);
    상기 베이스(100)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정비차량(10) 방면으로 다수가 돌출되는 고정돌기(110);
    상기 고정돌기(110)는 상기 정비차량(10)의 형상에 따라 각각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정비차량(10)에 착탈가능한 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200)에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회동시키는 힌지(250);를 포함하는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카(300)를 파지하는 고정대(400);,
    상기 베이스(100)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동대(20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500); 를 포함하는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KR1020190000744A 2019-01-03 2019-01-03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KR102169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44A KR102169680B1 (ko) 2019-01-03 2019-01-03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744A KR102169680B1 (ko) 2019-01-03 2019-01-03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630A KR20200084630A (ko) 2020-07-13
KR102169680B1 true KR102169680B1 (ko) 2020-10-23

Family

ID=7157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744A KR102169680B1 (ko) 2019-01-03 2019-01-03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79Y1 (ko) * 2020-11-03 2021-08-24 이미경 고소 리프트용 레버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9725B (zh) * 2021-03-19 2022-06-10 山东科技大学 一种小型汽车提升行走组合式脱困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0B1 (ko) * 2016-01-11 2016-07-13 주현덕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20B1 (ko) 2005-05-31 2006-08-28 김차규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KR100964756B1 (ko) 2007-12-12 2010-06-21 부천시 시설관리공단 차량 견인을 위한 이동식 리프트장치
NL2008528C2 (nl) * 2012-03-23 2013-09-25 Waatze Willem Nicolai Trekhaaklift, samenstel hiervan en werkwijze hiervoor.
KR101322891B1 (ko) 2012-09-21 2013-10-29 부산교통공사 전동차량의 하부장치 교환용 리프트장치
US9233634B1 (en) * 2014-07-03 2016-01-12 Chad Level Bike dragger
KR101702057B1 (ko) 2015-10-06 2017-02-02 주식회사 마인디즈 경사구조의 이동형 카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0B1 (ko) * 2016-01-11 2016-07-13 주현덕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79Y1 (ko) * 2020-11-03 2021-08-24 이미경 고소 리프트용 레버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630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91B1 (ko)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KR102169680B1 (ko)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US20170297472A1 (en) Mobile Auxiliary Transfer Lift Caddy
US20110010057A1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CN113548607B (zh) 智能断路器升降检修平台车
EP3509978A1 (en) Apparatus for the reparation of post-collision, damaged or under maintenance vehicles
KR20050001271A (ko) 선박내부 작업용 이동대차.
CN105172938A (zh) 一种客车lng气瓶安装工装
CN113200446A (zh) 一种方便对货物进行夹持的起重机
KR100768671B1 (ko) 타이어 교환장치
WO1990006279A1 (en) A crane assembly
CN215548501U (zh) 轮式挖掘机下车工具箱的装配工装车
JP6418931B2 (ja) 高所作業車
JP2729387B2 (ja) 組立ライン
JP4791719B2 (ja) ガスボンベ交換装置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CN205132993U (zh) 起重机
CN112319157B (zh) 一种电气化铁路接触网架线机
CN113233389B (zh) 一种叉车调整装置
CN113997245B (zh) 一种一系橡胶弹簧自动组装装置和工作方法
CN116621072B (zh) 一种电力设备运输升降装置
KR100588536B1 (ko) 가스 용기 로딩 장치
CN217627406U (zh) 一种工件装配车
CN219117063U (zh) 一种中置柜吊装电流互感器更换专用车
CN218800114U (zh) 一种钢结构件焊接用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