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550B1 -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550B1
KR101639550B1 KR1020160003133A KR20160003133A KR101639550B1 KR 101639550 B1 KR101639550 B1 KR 101639550B1 KR 1020160003133 A KR1020160003133 A KR 1020160003133A KR 20160003133 A KR20160003133 A KR 20160003133A KR 101639550 B1 KR101639550 B1 KR 10163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wire
pulley
guid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덕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주현덕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덕, 이미경 filed Critical 주현덕
Priority to KR102016000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커버 내측에 삽입되어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함에 따라 리프트가이드가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고 리프트가이드의 지지축이 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분산시켜 각 와이어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리프트가이드를 견인하는 와이어를 두겹으로 구성하며, 토션바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워게이트의 개폐를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Truck lift powergate}
본 발명은 화물차에 중량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싣기위한 리프트에 무거운 게이트를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파워게이트를 형성한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견인하기 위한 리프트를 다단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하여 중량물의 하중에 의한 리프트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고, 리프트를 견인하는 와이어를 두겹으로 구성하여 리프트의 안정성과 와이어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물차용 리프트는, 리프트가이드의 이동경로가 되는 리프트커버를 바닥과 근접하도록 길게 형성하고, 리프트가이드를 슬라이드하는 형태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화물차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수송하는 경우, 특히 건설현장과 같은 장소와 같이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비포장 도로에 진입하게 되면 바닥에서 돌출된 지형이 리프트커버와 부딪히며 리프트커버를 손상시켜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지형과 리프트커버의 충돌을 피하고자 리프트커버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바닥면에서 크게 이격시킨 경우에는 중량물이 적재된 리프트의 작동 시 리프트커버가 리프트가이드를 충분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중량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을 견디지 못한 리프트가이드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리프트를 이용하여 적재하는 중량물의 경우는 대체로 중량이 매우 크고 부피가 커 낙하 시 작업자의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으므로 리프트를 견인하는 와이어가 단선되지 않도록 매우 튼튼해야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리프트용 와이어는 와이어의 단선 방지를 위해 와이어를 구성하는 금속선의 가닥수를 늘려 굵기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굵은 형태의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버리므로 종래와 같이 한겹의 와이어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된 리프트는, 리프트의 동작 시 양측간의 균형이 서로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작업자의 불편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231호(화물차량용 화물리프트 장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프트를 견인하는 와이어의 내구력과 수명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비포장도로에서도 리프트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프트의 내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리프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프트커버 내측에 삽입되어 리프트가이드가 하강함에 따라 리프트가이드가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고 리프트가이드의 지지축이 되는 슬라이드프레임을 구비하고,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분산시켜 각 와이어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리프트가이드를 견인하는 와이어를 두겹으로 구성하며, 토션바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워게이트의 개폐를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는 일 측마다 두겹의 와이어가 리프트를 견인 할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가 견딜 수 있는 피로한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끊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얇은 굵기의 와이어를 사용하여도 더 큰 내구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리프트의 균형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커버와 리프트가이드 사이에 슬라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다단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리프트가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의 하중으로 인해 리프트가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장착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린더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린더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워게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측으로 리프트동작의 주축이 되는 리프트커버(7)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트커버(7)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관체의 형상으로 후단면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커버(7)의 내부로 리프트가이드(9)의 지지축이 되는 슬라이드프레임(8)을 삽입하여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8)은 리프트커버(7)와 마찬가지로 속이 빈 형태의 각관의 형상으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프레임(8)의 후단면은 일부가 절개되어 있어 리프트가이드(9)가 파워게이트(14)와 결합되어 상기 파워게이트(14)를 견인한 상태로 슬라이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프레임(8)은 리프트커버(7)의 내부에서 별도의 외력이 없을 경우 무게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8)의 후단면 상부에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촉면이 리프트가이드(9)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리프트가이드(9)의 동작에 따라 상·하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프트가이드(9)가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승하강 작용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8)의 상부에는 롤러(10)를 설치하여 리프트커버(7)의 내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9)는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의 형상이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전단측 상·하부 양측으로 롤러(10)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10)가 슬라이드프레임(8)의 내측으로 수용된 채 슬라이드프레임(8)의 내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프트가이드(9)의 후단부는 슬라이드프레임(8) 및 리프트커버(7)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데, 리프트가이드(10) 후단의 하부 양측에는 파워게이트(14)를 결합하기 위한 게이트결합판(13)이 형성되어 있어 파워게이트(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프트가이드(9)의 전단면 중심부에는 리프트가이드(9)를 상·하 동작할 수 있도록 견인해주는 와이어(12)(12')를 연결하는 와이어연결구(11)(11')가 설치되어 있어 와이어(12)(12')와 리프트가이드(9)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화물차량의 적재함(20) 하부에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먼저, 적재함(20) 하부 일측에 리프트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2)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의 로드에는 실린더(2)의 동작에 의해 와이어(12)(12')를 밀어내며 리프트가이드(9)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풀리(3)(3')를 로드의 양측으로 각 한쌍씩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의 뒤쪽에는 유동풀리(3)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의 진행방향을 180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풀리(5) 한쌍과, 유동풀리(3')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를 리프트풀리(6')로 전달하기 위한 이음풀리(4') 한쌍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의 앞쪽에는 실린더(2)의 작동거리 이상 떨어진 채로 방향전환풀리(5)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를 리프트풀리(6)로 전달하기 위한 이음풀리(4) 한쌍이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풀리(6)(6')는 리프트커버(7)의 상부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달받은 와이어(12)(12')를 리프트가이드(9)에 형성된 와이어연결구(11)(1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12)는 적재함(20) 하부의 바닥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1)에 양 끝이 고정된 채 실린더(2)의 로드에 설치된 유동풀리(3)를 거쳐 방향전환풀리(5)로 전달되고, 방향전환풀리(5)를 지난 와이어(12)가 이음풀리(4)로 전달되면 리프트풀리(6)를 거쳐 와이어연결구(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향전환 과정이 필요없는 와이어(12')는 적재함(20)의 하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1')에 양 끝이 고정된 채 실린더(2)의 로드에 설치된 유동풀리(3')를 거쳐 이음풀리(4')로 전달되고, 이음풀리(4')를 지난 와이어(12')는 리프트풀리(6')를 거쳐 와이어연결구(11')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와이어 연결 상태가 매우 단순하고 간결하다.
상기와 같이 각 리프트가이드(9)는 한쌍의 와이어에 의해 견인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와이어(12)(12')에 걸리는 장력이 분산되어 와이어의 수명을 늘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파워게이트(14)의 내측에는 탄성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 끝이 절곡된 형상을 갖는 토션바(16)가 구비되는데, 도션바(16)의 일측은 파워게이트(14) 내부에 용접되어 파워게이트(14)화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일측 게이트결합판(13)에 회전하지 않도록 용접되어 있는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있어서, 파워게이트 개방시 비틀림 응력을 갖도록 한것으로, 파워게이트(14)의 개방 시 토션바(16)의 비틀리지 않으려는 탄성에 의해 갑작스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워게이트(14)의 폐쇄시 비틀린 토션바(16)가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적은힘으로 파워게이트(14)를 쉽게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파워게이트(14)를 개방하면, 파워게이트(14)의 회전에 의해 토션바고정편(15)이 함께 회전한다. 이 때, 토션바(16)는 일측이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토션바고정편(15)과 함께 회전하지만 타측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있어 비틀리지 않으려는 탄성력을 발생하게 되어 상기 파워게이트(14)가 갑작스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워게이트(14)가 완전히 개방되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실린더(2)가 후진하게 되는데, 실린더(2)의 로드에 구비된 유동풀리(3)(3')가 후진하며 밀어내고 있던 와이어(12)(12')를 늘어뜨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12')가 늘어지면 실린더(2)가 후진한 거리만큼 와이어(12)(12')의 여유분이 발생하는데, 상기 와이어(12)(12')의 끝단은 리프트가이드(9)에 형성된 와이어연결구(11)(1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리프트가이드(9)는 늘어난 와이어(12)(12')의 여유분을 무게에 의해 끌어당기며 하강하게 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9)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리프트가이드(9)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얹혀져 있던 슬라이드프레임(8)이 함께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상기 리프트가이드(9)가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게 되면 리프트가이드(9)보다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프레임(8)의 하부면이 바닥에 닿게 되어 더이상 하강하지 않고 리프트가이드(9)가 진행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며 리프트가이드(9)의 지지축을 형성한다.
중량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실린더(2)가 동작하며 유동풀리(3)(3')를 감싸고 있는 와이어(12)(12')를 다시 밀어내게 되는데, 이 때, 실린더(2)의 전진과 함게 와이어(12)(12')가 밀려나며 실린더(2)가 전진한 거리만큼 리프트가이드(9)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리프트가이드(9)가 상승하는 중 상기 리프트가이드(9)의 상부면이 리프트가이드(9)의 지지축 역할을 하고 있던 슬라이드프레임(8)에 형성된 접촉면과 맞닿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8)을 밀어올리며 리프트커버(7)의 내부로 복귀하게 된다.
중량물이 적재함(20)의 내부로 옮겨지고 나면 작업자는 개방된 상태의 파워게이트(14)를 밀어올려 파워게이트(14)가 폐쇄되도록 하는데, 이 때, 비틀린 상태의 토션바(16)에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기위해 발생하고 있던 탄성력이 작업자의 힘과 더해져 작은 힘으로도 파워게이트(14)를 쉽게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는 리프트를 견인하는 와이어(12)(12')가 두겹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2)(12')에 인가되는 장력을 분산시켜 각 와이어(12)(12')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와이어(12)(12')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더 얇고 유연성있는 와이어(12)(12')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리프트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리프트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하게 토션바(1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워게이트(14)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워게이트(14)의 무게의 증가로 인한 리프트의 부담은 없앨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 : 와이어고정구 2 : 실린더
3, 3' : 유동풀리 4, 4' : 이음풀리
5 : 방향전환 풀리 6, 6' : 리프트풀리
7 : 리프트커버 8 : 슬라이드프레임
9 : 리프트가이드 10 : 롤러
11,11' : 와이어연결구 12,12' : 와이어
13 : 게이트결합판 14 : 파워게이트
15,15' : 토션바고정편 16 : 토션바
20 : 적재함

Claims (1)

  1.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측으로 리프트동작의 주축이 되는 리프트커버(7)가 구성되고, 리프트커버(7)의 내부에는 하단에 파워게이트(14)가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 하는 리프트가이드(9)가 설치되며, 실린더(2)의 전후진에 의해 파워게이트(14)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에 있어서,
    리프트커버와 리프트가이드의 사이에는 속이 빈 형태의 각관 형상이고 리프트가이드(9)의 지지축이 되는 슬라이드프레임(8)을 삽입하여 리프트가이드와 함께 승강하도록 하면서 슬라이드프레임(8)의 상부에는 롤러(10)를 설치하여 리프트커버(7)의 내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리프트가이드(9)는 전단측 상·하부 양측으로 롤러(10)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10)가 슬라이드프레임(8)의 내측으로 수용된 채 슬라이드프레임(8)의 내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리프트가이드(9)의 후단 하부 양측에는 파워게이트(14)를 결합하기 위한 게이트결합판(13)이 형성되어 있어 파워게이트(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파워게이트(14)의 내측에는 탄성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 끝이 절곡된 형상을 갖는 토션바(16)를 구비하되, 토션바(16)의 일측은 파워게이트(14) 내부에 용접되어 파워게이트(14)화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일측 게이트결합판(13)에 회전하지 않도록 용접되어 있는 토션바고정편(15')의 내부로 삽입 고정하여, 파워게이트(14)의 비틀림 응력을 이용하여 개방 시 갑작스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쇄시 쉽게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며,
    리프트가이드(9)의 전단면 중심부에 와이어연결구(11)(11')가 설치되어 있어 와이어(12)(12')와 리프트가이드(9)를 견고하게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2)의 로드에는 실린더(2)의 동작에 의해 와이어(12)(12')를 밀어내면서 리프트가이드(9)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풀리(3)(3')를 로드의 양측으로 각 한 쌍씩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2)의 뒤쪽에는 유동풀리(3)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의 진행방향을 180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풀리(5) 한쌍과, 유동풀리(3')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를 리프트풀리(6')로 전달하기 위한 이음풀리(4') 한쌍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2)의 앞쪽에는 방향전환풀리(5)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2)를 리프트풀리(6)로 전달하기 위한 이음풀리(4) 한쌍이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풀리(6)(6')는 리프트커버(7)의 상부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달받은 와이어(12)(12')를 리프트가이드(9)에 형성된 와이어연결구(11)(1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12)는 적재함(20) 하부의 바닥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1)에 양 끝이 고정된 채 실린더(2)의 로드에 설치된 유동풀리(3)를 거쳐 방향전환풀리(5)로 전달되고, 방향전환풀리(5)를 지난 와이어(12)가 이음풀리(4)로 전달되면 리프트풀리(6)를 거쳐 와이어연결구(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방향전환 과정이 필요없는 와이어(12')는 적재함(20)의 하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1')에 양 끝이 고정된 채 실린더(2)의 로드에 설치된 유동풀리(3')를 거쳐 이음풀리(4')로 전달되고, 이음풀리(4')를 지난 와이어(12')는 리프트풀리(6')를 거쳐 와이어연결구(11')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상기와 같이 각 리프트가이드(9)는 한쌍의 와이어에 의해 견인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와이어(12)(12')에 걸리는 장력이 분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KR1020160003133A 2016-01-11 2016-01-11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KR10163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33A KR101639550B1 (ko) 2016-01-11 2016-01-11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133A KR101639550B1 (ko) 2016-01-11 2016-01-11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550B1 true KR101639550B1 (ko) 2016-07-13

Family

ID=5650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133A KR101639550B1 (ko) 2016-01-11 2016-01-11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5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7800A (zh) * 2018-04-24 2018-07-27 山东瑞泰宝驰专用汽车有限公司 尾板式后门专用车厢
KR102043131B1 (ko) * 2018-10-23 2019-11-12 장정일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KR20200084630A (ko) * 2019-01-03 2020-07-13 이승규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KR20200140584A (ko) * 2019-06-07 2020-12-16 고인영 드론 안착 시스템
KR102221485B1 (ko) * 2020-06-26 2021-03-02 (주)고려정공 롤러 마모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2221487B1 (ko) * 2020-06-26 2021-03-02 (주)고려정공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20210105786A (ko) 2020-02-19 2021-08-27 장정일 체인 구동소음이 저감된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KR102651251B1 (ko) * 2024-01-12 2024-03-27 하이드로텍(주) 와이어형 리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30A (ja) * 2006-06-16 2007-12-27 Shin Meiwa Ind Co Ltd 荷受台昇降装置
KR200477231Y1 (ko) 2014-11-05 2015-05-19 김우곤 화물차량용 화물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30A (ja) * 2006-06-16 2007-12-27 Shin Meiwa Ind Co Ltd 荷受台昇降装置
KR200477231Y1 (ko) 2014-11-05 2015-05-19 김우곤 화물차량용 화물리프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7800A (zh) * 2018-04-24 2018-07-27 山东瑞泰宝驰专用汽车有限公司 尾板式后门专用车厢
KR102043131B1 (ko) * 2018-10-23 2019-11-12 장정일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KR20200084630A (ko) * 2019-01-03 2020-07-13 이승규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KR102169680B1 (ko) * 2019-01-03 2020-10-23 주식회사 코아스 리프트카 수용 정비차량
KR20200140584A (ko) * 2019-06-07 2020-12-16 고인영 드론 안착 시스템
KR102223520B1 (ko) * 2019-06-07 2021-03-04 고인영 드론 안착 시스템
KR20210105786A (ko) 2020-02-19 2021-08-27 장정일 체인 구동소음이 저감된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KR102221485B1 (ko) * 2020-06-26 2021-03-02 (주)고려정공 롤러 마모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2221487B1 (ko) * 2020-06-26 2021-03-02 (주)고려정공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2651251B1 (ko) * 2024-01-12 2024-03-27 하이드로텍(주) 와이어형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550B1 (ko)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US2867409A (en) Service jack
US20150093223A1 (en) Vertical Adjustable Side Arm Of A Refuse Vehicle
ITRM970543A1 (it) Copertura a pannello per la zona anteriore dell'apertura del telaio di un vano di alloggiamento della capote di un autoveicolo
CN103879464A (zh) 动力驱动的后挡板支架
US2725152A (en) Elevating tail gate for vehicles
US8777545B2 (en) Free lift mast for truck mounted forklift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US6916058B2 (en) Lifting apparatus
CN108216333A (zh) 断路器用多功能手推车
US20200262689A1 (en) Forklift side door
KR101836188B1 (ko) 윙보디 차량의 제어 시스템
DE102008060709A1 (de) Energieversorgungseinheit, insbesondere Batterieblock, eines Flurförderzeugs
CN114852882A (zh) 一种无人机吊装装置
CN112874412A (zh) 车载升降台
JP6099079B2 (ja) 拡幅車体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KR102221485B1 (ko) 롤러 마모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1851110B1 (ko) 차량용 2단 적재장치
CN111038368A (zh) 自卸车及自卸车顶盖结构
EP3293047A1 (en) System for lifting the loading platform and vehicle for transporting motor vehicles equipped with such system for lifting the loading platform
JP6099077B2 (ja) 拡幅車体
CN111038367A (zh) 自卸车及自卸车顶盖结构
KR101144311B1 (ko) 수동 리프트용 가변식 유압전달 장치
JP4457974B2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