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487B1 -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487B1
KR102221487B1 KR1020200078838A KR20200078838A KR102221487B1 KR 102221487 B1 KR102221487 B1 KR 102221487B1 KR 1020200078838 A KR1020200078838 A KR 1020200078838A KR 20200078838 A KR20200078838 A KR 20200078838A KR 102221487 B1 KR102221487 B1 KR 10222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wire
roller
improved structur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수
Original Assignee
(주)고려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정공 filed Critical (주)고려정공
Priority to KR102020007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suspended by wires, chains or the like from horizontal rails, e.g. the rails forming part of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로서,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상기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와,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기울어진 각도를 갖는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수직레일 속에서 와이어의 부딪힘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와이어 손상의 예방을 통한 와이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화물의 적재 또는 하치를 위해 사용되는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기울어진 각도를 준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 방지를 통한 장수명이 가능하고, 와이어 수명 연장에 따른 주기적인 교체 관리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A LIFT GATE DEVICE FOR TRUCKS WITH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WIRE DAMAGE}
본 발명은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내릴 때 사용되는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적용되는 홀드 브래킷의 각도를 주어 수직레일 속에서 와이어 부딪힘으로 인한 와이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차량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차량으로서, 화물 차량의 적재함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들어 올려야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다. 물론, 물류센터와 같이, 화물을 적재 또는 하치하는 장소는 화물 차량의 높이에 맞춘 화물 적재장 또는 하치장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물을 들어 올리지 않고 미는 것만으로도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치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화물 적재장 또는 하치장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화물 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화물 차량으로부터 화물을 하치하기 위하여 사람이 화물을 직접 들어 올리거나 지게차 등을 이용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같은 장소에서 지게차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사람이 직접 화물을 적재 또는 하치해야 함에 따른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화물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화물차에는 화물의 적재 및 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리프트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화물차용 리프트는, 리프트 가이드의 이동경로가 되는 리프트 프레임을 바닥과 근접하도록 길게 형성하고, 게이트가 설치된 리프트 가이드를 슬라이드 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며,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실린더와, 복수의 롤러, 및 와이어가 연결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물차용 리프트는 게이트를 이용하여 적재하는 중량물의 경우, 대체로 중량이 매우 크고 부피가 커서 낙하 시 작업자의 안전을 크게 위협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를 견인하는 와이어가 단선되지 않도록 금속선의 가닥수를 늘려 굵기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물차용 리프트는 게이트를 견인하는 와이어가 수직레일 속에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와이어에 손상이 발생되고, 그에 따른 와이어 수명의 단축으로 주기적인 교체 관리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와,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기울어진 각도를 갖는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수직레일 속에서 와이어의 부딪힘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와이어 손상의 예방을 통한 와이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 또는 하치를 위해 사용되는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기울어진 각도를 준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 방지를 통한 장수명이 가능하고, 와이어 수명 연장에 따른 주기적인 교체 관리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로서,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상기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에서,
상기 리프트 가이드는 전단 측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으로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면을 따라 상하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전단 측의 중심 부위에 와이어 연결구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후단 하부 양측에는 게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게이트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에서,
상기 홀드 브래킷은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된 브래킷 본체의 내부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 바를 형성하되, 한 쌍의 체결 바는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드 브래킷 각각은,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수직레일 속에서 리프트 M/C롤러에 감긴 와이어가 부딪히지 않도록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와이어 손상을 예방하고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는,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M/C롤러는 상기 구동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뒤쪽으로 유동 M/C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M/C롤러와,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을 매개로 체결되는 리프트 M/C롤러와, 상기 유동 M/C롤러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를 상기 리프트 M/C롤러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M/C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M/C롤러는,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을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연결 M/C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와이어를 리프트 가이드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로 전달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는,
투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되, 굵기는 8㎜로 구성될 수 있다.
더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에서,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는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의 바닥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에 양 끝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를 거쳐 방향전환 M/C롤러로 전달되고, 방향전환 M/C롤러를 거친 와이어가 연결 M/C롤러와 리프트 M/C롤러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에 고정되고,
방향전환 과정이 필요 없는 와이어는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에 양 끝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를 거쳐 연결 M/C롤러로 전달되고, 연결 M/C롤러를 거친 와이어는 리프트 M/C롤러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와,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기울어진 각도를 갖는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수직레일 속에서 와이어의 부딪힘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와이어 손상의 예방을 통한 와이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따르면, 화물의 적재 또는 하치를 위해 사용되는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기울어진 각도를 준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 방지를 통한 장수명이 가능하고, 와이어 수명 연장에 따른 주기적인 교체 관리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작동 전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작동 후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서,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서, 리프트 가이드와 게이트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홀드 브래킷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된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홀드 브래킷이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작동 전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리프트 작동 후 상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100)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 구동 실린더(130), 및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과,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112)와, 리프트 가이드(112)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113)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1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에서 리프트 가이드(112)는 전단 측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으로 롤러(112a)가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면을 따라 상하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가이드(112)의 전단 측의 중심 부위에는 와이어 연결구(112b)가 설치되어 와이어(152)의 일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후단 하부 양측에는 게이트(113)를 결합하기 위한 게이트 결합부(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113)는 리프트 가이드(112)의 게이트 결합부(112c)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에서 홀드 브래킷(114)은 도 8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된 브래킷 본체의 내부에 리프트 M/C롤러(151c)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 바를 형성하되, 한 쌍의 체결 바는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드 브래킷(114)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바가 대응하여 마주하는 형태에서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홀드 브래킷(114)은 한 쌍의 체결 바의 기울어진 각도로서 0° 내지 25° 범위의 각도를 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각도를 줄 수 있다.
또한, 홀드 브래킷(114) 각각은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수직레일 속에서 리프트 M/C롤러(151c)에 감긴 와이어(152)가 부딪히지 않도록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와이어 손상을 예방하고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130)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가이드(112)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 실린더(130)는 리프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는, 구동 실린더(130)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가이드(112)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151)와 와이어(152)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는 구동 실린더(130)의 작동에 따라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에서 복수의 M/C롤러(151) 각각은 와이어(152)가 감겨지는 롤러 본체의 센터 중심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는 복수의 M/C롤러(151)와 와이어(152)의 연결 구조로 구성하되, 복수의 M/C롤러(151)는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와, 구동 실린더(130)의 뒤쪽으로 유동 M/C롤러(151a)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52)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M/C롤러(151b)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114)을 매개로 체결되는 리프트 M/C롤러(151c)와, 유동 M/C롤러(151a)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52)를 리프트 M/C롤러(151c)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M/C롤러(15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M/C롤러(151c)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114)을 매개로 체결되어, 연결 M/C롤러(151d)를 통해 전달받은 와이어(152)를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로 전달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52)는 투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되, 굵기는 8㎜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52)에서,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152)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하부의 바닥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102)에 양 끝이 고정되고,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를 거쳐 방향전환 M/C롤러(151b)로 전달되고, 방향전환 M/C롤러(151b)를 거친 와이어(152)가 연결 M/C롤러(151d)와 리프트 M/C롤러(151c)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 과정이 필요 없는 와이어(152a)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하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102a)에 양 끝이 고정되고,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를 거쳐 연결 M/C롤러(151d)로 전달되고, 연결 M/C롤러(151d)를 거친 와이어(152a)는 리프트 M/C롤러(151c)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서,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서, 리프트 가이드와 게이트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100)에 구비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과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 간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100)에 구비되는 리프트 가이드(112)와 게이트(113)의 연결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홀드 브래킷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된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의 홀드 브래킷이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는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홀드 브래킷(114)은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된 브래킷 본체의 내부에 리프트 M/C롤러(151c)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 바를 형성하되, 한 쌍의 체결 바는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드 브래킷(114)은 한 쌍의 체결 바의 기울어진 각도로서 0° 내지 25° 범위의 각도를 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의 각도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홀드 브래킷(114) 각각은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수직레일 속에서 리프트 M/C롤러(151c)에 감긴 와이어(152)가 부딪히지 않도록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와이어 손상을 예방하고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과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와 리프트 가이드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와, 화물차의 적재함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와, 구동 실린더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리프트 승강 장치부의 리프트 가이드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와 와이어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기울어진 각도를 갖는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가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의 수직레일 속에서 와이어의 부딪힘이 방지되고, 그에 따른 와이어 손상의 예방을 통한 와이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화물의 적재 또는 하치를 위해 사용되는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기울어진 각도를 준 홀드 브래킷에 리프트 M/C롤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게이트의 견인을 위한 와이어의 손상 방지를 통한 장수명이 가능하고, 와이어 수명 연장에 따른 주기적인 교체 관리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게이트 장치
101: 적재함
102, 102a: 와이어 고정구
110: 리프트 승강 장치부
111: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
112: 리프트 가이드
112a: 롤러
112b: 와이어 연결구
112c: 게이트 결합부
113: 게이트
114: 홀드 브래킷
130: 구동 실린더
150: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
151: 복수의 M/C롤러
151a: 유동 M/C롤러
151b: 방향전환 M/C롤러
151c: 리프트 M/C롤러
151d: 연결 M/C롤러
152, 152a: 와이어

Claims (8)

  1.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100)로서,
    화물차의 적재함(101) 후단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여 설치되는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과,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내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하는 리프트 가이드(112)와, 상기 리프트 가이드(112)에 각각 결합되어 개폐되는 게이트(113)와,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에 체결되는 홀드 브래킷(114)을 구비하는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
    화물차의 적재함(101) 후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가이드(112)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되는 구동 실린더(130); 및
    상기 구동 실린더(130)의 전후진의 구동에 대응하여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가이드(112)가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도록 복수의 M/C롤러(151)와 와이어(152)의 연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에서,
    상기 홀드 브래킷(114)은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절곡된 브래킷 본체의 내부에 리프트 M/C롤러(151c)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 바를 형성하되, 한 쌍의 체결 바는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홀드 브래킷(114) 각각은,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의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수직레일 속에서 리프트 M/C롤러(151c)에 감긴 와이어(152)가 부딪히지 않도록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와이어 손상을 예방하고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승강 장치부(110)에서,
    상기 리프트 가이드(112)는 전단 측의 상부와 하부의 양측으로 롤러(112a)가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내측 면을 따라 상하로 부드럽게 이동하고, 전단 측의 중심 부위에 와이어 연결구(112b)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52)의 일단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후단 하부 양측에는 게이트(113)를 결합하기 위한 게이트 결합부(11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력 전달부(150)는,
    복수의 M/C롤러(151)와 와이어(152)의 연결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M/C롤러(151)는 상기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와, 상기 구동 실린더(130)의 뒤쪽으로 유동 M/C롤러(151a)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52)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M/C롤러(151b)와,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114)을 매개로 체결되는 리프트 M/C롤러(151c)와, 상기 유동 M/C롤러(151a)로부터 전달받은 와이어(152)를 상기 리프트 M/C롤러(151c)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M/C롤러(151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M/C롤러(151c)는,
    상기 리프트 승강지지 프레임(111)의 상단 내부에 홀드 브래킷(114)을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연결 M/C롤러(151d)를 통해 전달받은 와이어(152)를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로 전달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52)는,
    투 와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되, 굵기는 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52)에서,
    리프트를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152)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하부의 바닥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102)에 양 끝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를 거쳐 방향전환 M/C롤러(151b)로 전달되고, 방향전환 M/C롤러(151b)를 거친 와이어(152)가 연결 M/C롤러(151d)와 리프트 M/C롤러(151c)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에 고정되고,
    방향전환 과정이 필요 없는 와이어(152a)는 화물차의 적재함(101) 하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구(102a)에 양 끝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130)의 로드 단부에 이송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는 유동 M/C롤러(151a)를 거쳐 연결 M/C롤러(151d)로 전달되고, 연결 M/C롤러(151d)를 거친 와이어(152a)는 리프트 M/C롤러(151c)를 거쳐 리프트 가이드(112)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112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20200078838A 2020-06-26 2020-06-26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KR10222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38A KR102221487B1 (ko) 2020-06-26 2020-06-26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38A KR102221487B1 (ko) 2020-06-26 2020-06-26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487B1 true KR102221487B1 (ko) 2021-03-02

Family

ID=7516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38A KR102221487B1 (ko) 2020-06-26 2020-06-26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4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0B1 (ko) * 2016-01-11 2016-07-13 주현덕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550B1 (ko) * 2016-01-11 2016-07-13 주현덕 화물차용 리프트 파워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6585C (en) Vehicle trailer system
US8444365B2 (en) Roll off hoist with hinged tail and hydraulic reeving system
US10583847B2 (en) Raisable carrying device
US5662453A (en) Truck bed lift system and method
US4563121A (en) Cargo elevator system
US20070020076A1 (en) Cargo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R112012019353A2 (pt) conjunto de portador de veículo de leito plano e método de posicionamento de um conjunto de portador de veículo de leito plano para carregar um veículo no mesmo
CN107531175B (zh) 车辆拖车系统
US10843615B2 (en) Lift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cargo on a vehicle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US10160366B1 (en) Rollback dump truck
US7112030B2 (en) Roll off hoist with front retractable loading frame
NL2004268C2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US3371805A (en) Combined elevat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argo platforms
US3214046A (en) Container handling mechanism
KR102221487B1 (ko) 와이어 손상 방지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US5067869A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apparatus
KR102221485B1 (ko) 롤러 마모 개선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리프트 게이트 장치
WO1989006611A1 (en) Lifting device in a goods-carrying vehicle
CA3127273C (en) Vehicle leveler with door interlock
AU2018201919B2 (en) Easy loading trailer
US20190168553A1 (en) Trailer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KR100723637B1 (ko)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NL1008169C1 (nl) Inrichting voor het heffen van een last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SU1022833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о съемным кузо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