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114A -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114A
KR20100129114A KR1020090073212A KR20090073212A KR20100129114A KR 20100129114 A KR20100129114 A KR 20100129114A KR 1020090073212 A KR1020090073212 A KR 1020090073212A KR 20090073212 A KR20090073212 A KR 20090073212A KR 20100129114 A KR20100129114 A KR 20100129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cylinder
lift
rack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야스
Publication of KR2010012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하멈춤 장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강하멈춤 장치가 받침대의 회전도 방지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외통(2) 내에 하단램(3)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함과 함께, 이 하단램(3) 내에 또한 상단램(4)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하고, 하단램(3) 내에 하향 피스톤 로드(5a)를 마련한 하향 실린더(5)와, 상향 피스톤 로드(6a)를 마련한 상향 실린더(6)를 병렬 배치한 병렬 실린더를 수용하고, 상단램(3) 내에 상단램(3)의 강하멈춤 장치(20)를 마련하고, 하단램(4) 측면 및 외통(2) 측면에 하단램(3)의 강하멈춤 장치(30)를 마련하였다. 하향 피스톤 로드(5a)의 신장에 의해 하단램(3)이 외통(2) 내로부터 상방으로 활주하고, 상향 피스톤 로드(6a)의 신장에 의해 상단램(4)이 하단램(3) 내로부터 상방으로 활주한다.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Description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TELESCOPIC TYPE LIFT AND VEHICLE MAINTENANCE LIFT}
본 발명은,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사용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럼을 다단(多段)으로 구비한 텔레스코프형의 리프트를 사용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가, 피트를 얕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신축 동작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리프트에는 고장 등으로 자연적으로 강하하지 않도록 안전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실린더와 다단식의 플런저를 구비한 리프트를 피트 내에 수용하고, 리프트에 플런저와 함께 이동(同動) 가능한 걸어 맞춤봉(係合杆)을 마련하고, 걸어 맞춤봉의 길이를 플런저의 최고 양정(揚程)과 같은 길이로 형성함과 함께, 걸어 맞춤봉과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 폴을 진퇴 가능하게 마련한 안전 장치가 기재되고, 걸어 맞춤봉을 복수로 분할하고, 그 적어도 최하 위치의 걸어 맞춤봉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최하 위치의 걸어 맞춤봉과 실린더 상부 사이를, 가요성의 연결 부재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복수의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대가 리프트 본체로부터 순차적으로 승강하는 복수단식 리프트에 있어서, 승강대의 하방에, 단부(端部)에서 서로 걸어 맞추는 내외 복수의 통체(筒體)를 연결함과 함께, 승강대의 급격한 하강에 즈음하여, 복수의 통체의 강하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271950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10-29744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구성은, 강하멈춤을 위한 걸어 맞춤봉은 다단식의 플런저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리프트가 피트 내를 이동하는 구성에서는 피트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공사비가 증대하였다. 또한, 피트를 막기 위한 피트 커버도 크게 하여야 하였다. 또한, 리프트가 자연강하하여 강하멈춤이 작용한 경우는, 리프트 중심에 대해 편심한 걸어 맞춤봉으로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리프트 안정감이 손상되기 쉽고, 좌우 한 쌍의 걸어 맞춤봉을 필요로 하였고, 다단식에서는 관절부에서 걸어 맞춤부의 덜커덕거림 등에 의해 굴곡하기 쉽기 때문에, 불안정감은 현저하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
또한, 램 상부에 마련한 받침대는 안전을 위해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의 구성은, 강하멈춤으로 하여, 2연(連)의 폴부 및 래크가 마련되고, 비교적 안정하게 강하멈춤을 행할 수 있지만, 해제(解除) 확인 센서를 사용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고, 신뢰성에 불안이 있다. 또한, 받침대에 회전력이 작용한 경우, 안전 장치인 강하멈춤 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강하멈춤 장치를 위한 전용 스페이스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간이한 구성으로 받침대의 회전멈춤을 실시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제 1항의 발명에 관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는, 기립(起立) 배치한 외통 내에 통형상의 하단(下段)램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하고, 상기 하단램 내에 또한 통형상의 상단램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하고, 유압에 의해 하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하향 실린더와, 유압에 의해 상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상향 실린더를 병렬로 마련한 병렬 실린더를 상기 하단램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램 내에 상기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을 마련하는 한편, 하단램 측면 및 상기 외통 측면에 상기 하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하향의 피스톤 로드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기 하단램이 상기 외통 내로부터 상방으로 활주함과 함께, 상기 상향 피스톤 로드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기 상단램이 상기 하단램 내에서 상방으로 활주하고, 리프트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상단램 내에 수용되고, 하단램 강하멈춤 수단은 하단램의 측면, 및 외통 측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외통 밖에 마련되는 강하멈춤 수단의 설치 스페이스는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으로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프형으로 함으로써, 램 길이에 비하여 긴 리프트 길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램 내에 병렬 실린더를 배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압 텔레스코프식이 되지만, 저압식 유압 실린더에 비하여 작동유를 소량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상단램 내 측면에 마련한 상(上)래크와, 상기 병렬 실린더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래크에 걸어 맞추는 강하멈춤 폴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하단램 측면에 마련한 하(下)래크와, 상기 외통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 래크에 걸어 맞추는 강하멈춤 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래크와 래크에 걸어 맞추는 폴로 이루어지는 기계식의 강하멈춤 수단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강하 멈춤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래크는, 상기 병렬 실린더 상부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판의 단부에 오목부를 마련(凹設)한 상래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한편, 상기 하래크는, 상기 외통에 마련된 하단램 활주용 헤드 실린더에 오목부를 마련한 하래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단램에 마련된 래크를 안내하는 상래크 가이드 수단, 하단램에 마련된 래크를 안내하는 하래크 가이드 수단을 갖기 때문에, 램이 회전하는 일이 없고, 안정된 승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쌍방의 래크 가이드는, 원래 필요한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4항의 발명에 관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작업상면(作業床面)에 오목부를 마련한 피트 내에 복수 배치하고, 모든 상기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동기(同期) 시켜서 신장함으로써, 상기 피트 내에 배치한 받침대를 리프트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스 절약으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피트 전체를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피트 커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량에 비하여 램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트도 얕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상단램 내에 수용되고, 하단램 강하멈춤 수단은 외통 측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외통 밖에 설치되는 강하멈춤 수단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으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프형으로 함으로써, 램 길이에 비하여 큰 리프트 길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사용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피트 커버를 작게 할 수 있고, 피트의 깊이도 얕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하고, 도 1은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승강 수단을 구성하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의 정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2는 그 우측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3은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신장시킨 상태의 우측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4는 마찬가지로 신장시 킨 상태의 배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5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의 평면 투시 설명도이다.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이 텔레스코프형 리프트(1)를, 작업상면(F)에 오목부가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피트에 복수(예를 들면 4기(機)) 설치하여 구성되고, 설치한 모든 텔레스코프형 리프트(1)를 동기(同期)시켜서 신축시킴으로써, 피트상에 배치한 자동차를 리프트업/리프트다운 가능하게 하고 있다.
텔레스코프형 리프트(1)는, 기립 배치한 단면 개략 사각형의 외통(2) 내에, 원통형상의 하단램(3)을 상방으로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고, 이 하단램(3) 내에 또한 원통형상의 상단램(4)을 상방으로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하단램(3)에는, 하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5a)를 배치한 하향 실린더(5)와, 상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6a)를 배치한 상향 실린더(6)를 병렬로 배치하여 고정한 병렬 실린더(10)를 수용하고, 쌍방의 실린더(5, 6)를 신장시킴으로써, 하단램(3) 및 상단램(4)의 쌍방이 상방으로 활주하여 리프트업 동작한다.
상향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6a) 선단(상단)에는, 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7)가 설치되고, 이 받침대(7)는 리프트다운시에 작업상면(F)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1)의 주위의 피트상은 피트 커버(8)에 의해 덮여, 작업상면(F)을 구성하고 있다.
병렬 실린더(10)는, 하단램(3)의 하단 플랜지부에 마련된 저판(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저판(11)에는, 하향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이하, 하향 피스톤 로드라고 칭한다)(5a)를 삽통하는 피스톤 로드 삽통 구멍(11a)이 마련되고, 피스톤 로 드 삽통 구멍(11a)으로부터 돌출한 하향 피스톤 로드(5a)의 선단이, 외통(2)의 저판(13)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병렬 실린더(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판(15)에는,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이하, 상향 피스톤 로드라고 칭한다)(6a)를 삽통하는 피스톤 로드 삽통 구멍(15a)이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 삽통 구멍(15a)으로부터 돌출한 상향 피스톤 로드(6a)의 선단은, 상단램(4)상의 램 캡(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향 실린더(5)의 후단부에 마련된 저판(5b)과, 상향 실린더의 후단부에 마련된 저판(6b)은, 구동 오일을 공급하는 실린더 배관(17)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실린더 고정판(15)상에는, 상단램(4)의 자연강하를 방지하는 강하멈춤 수단의 한쪽을 구성하는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20)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대응하는 상단램(4)의 내측면에는, 강하멈춤 수단의 다른쪽을 구성하는 상(上)래크(2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래크(21)는, 상하에 걸쳐서 봉형상으로 배치되고, 톱형상(鋸狀)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결합 고정홈(21a)이 마련되고, 상단램(4) 내에 상단램(4)의 강하멈춤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20)는, 상단램(4)의 상단에 볼트 고정된 램 캡(14)을 벗김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고정판(15) 측부의 소정 개소에는, 상래크(21)의 단면(斷面) 형상에 맞추어서 ㄷ자형상으로 노치한 상래크 가이드(15b)가 형성되고, 상래크(21)의 삽통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통(2)의 외측면에는, 하단램(3)의 자연강하를 방지하는 강하멈춤 수단의 한쪽을 구성하는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30)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대응하는 하 단램(3)의 외측면에는, 강하멈춤 수단의 다른쪽을 구성하는 하래크(3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하래크(31)는, 상하에 걸쳐서 봉형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톱형상으로 적절한 간격으로 결합 고정홈(31a)이 마련되고, 하단램(3)과 외통(2) 측면에 하단램(3)의 강하멈춤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래크(31)는, 램(3, 4)의 중심에서 보아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통(2)의 내측부에는, 하단램(3)의 활주를 가이드하는 헤드 실린더(16)가 마련되고, 이 헤드 실린더(16)의 소정 부위에는, 하래크(31)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서 ㄷ자형상으로 노치한 하래크 가이드(16a)가 형성되고, 하래크(31)의 삽통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20)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사시도, 도 7(a)는 평면도, 도 7(b)는 측면도, 도 8은 A-A선 단면도이다. 실린더 고정판(15)상에 상(上)폴 지지 블록(23)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진퇴동작하여 상래크(21)의 결합 고정홈(21a)에 계지한 상(上)강하멈춤 폴(22)이 그 속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강하멈춤 폴(22)은, 상폴 지지 블록(23)을 관통하도록 후방으로 신장하는 걸어 맞춤봉(22a)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上)크랭크 암(25)이 이 걸어 맞춤봉(22a)에 끼워 맞추고 있다. 상크랭크 암(25)은, 상폴 지지 블록(23)상에 마련된 상폴 누름 스프링(24)에 의해 가세되고, 후방에서 걸어 맞춤봉(22a)을 누르고, 상강하멈춤 폴(22)을 전방 진출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또한, 상폴 지지 블록(23)의 상부에는, 상폴 누름 스프링(24)에 인접하여 상 에어실린더(26)가 마련되고, 이 상에어실린더(26)의 작용에 의해 상강하멈춤 폴(22)은 후퇴 동작한다. 즉, 상에어실린더(26)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크랭크 암(25)의 축이 상폴 누름 스프링(24)의 가세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폴 누름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상강하멈춤 폴(22)이 후퇴 동작한다.
또한, 상폴 지지 블록(23)의 측부에는, 상강하멈춤 폴(22)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상폴 검지 레버(27)가 축지지(軸支)되어 있다. 상폴 검지 레버(27)는, 상강하멈춤 폴(22)에 마련된 걸어 멎춤편(22b)에 걸어 멎추고, 상폴 검지 레버(27)의 진퇴동작을 받아 회동한다. 이 상폴 검지 레버(27)의 회동 상태가, 상폴 검지 레버(27)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는 상폴 IN 검지 밸브(28)에 의해 검지된다.
도 9, 도 10은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30)를 도시하고, 도 9는 사시도,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30)는, 외통(2)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30a)상에 설치되고, 상폴 지지 블록(23)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진퇴동작하여 하래크(31)의 결합 고정홈(31a)에 계지하는 하강하멈춤 폴(32)이 그 속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강하멈춤 폴(32)은, 하폴 지지 블록(33)을 관통하도록 후방으로 신장한 걸어 맞춤봉(32a)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크랭크 암(35)이 이 걸어 맞춤봉(32a)에 끼워 맞추고 있다. 걸어 맞춤봉(32a)에는, 하폴 지지 블록(33) 내에서 하 폴누름 스프링(34)이 외감(外嵌)되고, 하강하멈춤 폴(32)은 전방 진출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한, 하강하멈춤 폴(32)이 배치된 외통(2)의 소정의 부위에는, 하강하멈춤 폴(32)을 삽통하는 삽통 구멍이 마련되고, 하단램(4)에 설치되어 있는 하래크(31)에 돌출한 하강하멈춤 폴(32)이 계지한다.
하크랭크 암(35)은, 하폴 지지 블록(33)에 인접하여 지지대(30a)상에 부착되어 있는 하에어실린더(36)에 의해 회동하고, 하에어실린더(36)의 신장 동작으로 하 폴누름 스프링(34)의 작용에 대항하여 하강하멈춤 폴(32)을 후퇴시킨다.
하폴 지지 블록(33)의 다른쪽의 측면에는, 하강하멈춤 폴(32)의 돌출동작을 검지하기 위한 하폴 검지 레버(37)가 축지지되어 있다. 하폴 검지 레버(37)는, 하강하멈춤 폴(32)에 마련된 걸어 멎춤편(32b)에 걸어 멎추고, 하폴 검지 레버(37)의 진퇴동작을 받아 회동한다. 이 하폴 검지 레버(37)의 회동 상태가, 하폴 검지 레버(37)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는 하폴 IN 검지 밸브(38)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상하 폴 IN 검지 밸브(28, 38)에는, 공전(空電) 릴레이(도시 생략)에 에어 배관(41)에 의해 접속되고,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의 상태는 공전 릴레이의 동작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배관(41)은, 상하 폴 IN 검지 밸브(28, 38)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왕(往)/복귀(歸) 검지 에어튜브(41a)와, 후술하는 상하에어실린더(26, 36)를 구동한 왕/복귀 에어튜브(41b)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리프트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부(도시 생략)의 상승 버튼을 누르면, 유압 펌프(도시 생략)로부터 오일이 하향 실린더(5)에 공급되고, 그 후 실린더 배관(17)을 통하여 상향 실린더 저판(6b)으로부터 상향 실린더(6)에 공급된다. 이 유압에 의해 하향 피스톤 로드(5a) 및 상측 피스톤 로드(6a)가 진출 동작을 시작하고, 하향 피스톤 로드(5a)가 외통(2) 저부를 가압하여 하향 실린더(5a)를 상승시키 고, 상향 피스톤 로드(6a)는 받침대(7)를 상승시킨다. 이 결과, 외통(2)으로부터 하단램(3)이 상방으로 진출함과 함께, 상단램(4)이 하단램(3)으로부터 상방으로 진출하고, 받침대(7)가 상승한다. 즉, 리프트업 동작한다.
이 때,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20)의 상강하멈춤 폴(22)은, 상폴 누름 스프링(24)에 의해 진출 방향으로 가세된 상태에 있고, 상래크(21)에 걸어 맞추면서 상단램(4)은 상승한다. 동시에,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30)의 하강하멈춤 폴(32)은, 하 폴누름 스프링(34)으로 진출 방향으로 가세된 상태에 있고, 하래크(31)에 걸어 맞추면서 하단램(3)은 상승한다. 또한, 상승 동작중은, 상래크 가이드(15b)가 상래크(21)를 항상 가이드하고, 헤드 실린더(16)의 하래크 가이드부(16a)가 하래크(31)를 항상 가이드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7)는, 회전하는 일 없이 안정하게 상승한다.
상하 폴 검지 레버(27, 37)는,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의 동작에 연동하여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고, 리프트 상승중은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은 진출 상태가 됨으로써, 상하 폴 검지 레버(27, 37)는 상하 폴 IN 검지 밸브(28, 38)를 열리는 방향으로 경도(傾倒)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때 하폴 IN 검지 밸브(38)는 열려 있기 때문에, 유입한 에어는 램 내의 왕/복귀 검지 에어튜브(41a)의 왕로(往路)를 통과하고, 상폴 IN 검지 밸브(28)의 IN측에 유입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상폴 IN 검지 밸브에 유입한 에어는, 0UT측으로부터 왕/복귀 검지 에어튜브(41a)의 귀로(歸路)를 통과하고, 도시하지 않은 유압 유닛 내의 폴 IN 공전 릴레이에 들어간다.
이 결과, 폴 IN 공전 릴레이가 0N 하고,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이 상하래크(21, 31)에 걸어 맞추면서 상승하고 있는 것이 검지되고, 이 상태를 표시 등을 시킴으로써,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의 작동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어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폴 IN 공전 릴레이는, 상승 버튼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만일 양 강하멈춤 폴이 걸어 맞춤하지 않고 상승하려고 하면, 폴 IN 공전 릴레이가 0FF로 되기 때문에, 리프트가 상승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부의 강하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하에어실린더(36)에 에어가 유입하고, 하강하멈춤 폴(32)이 후퇴한다. 동시에 왕/복귀 에어튜브(41b)의 왕로를 통과하고, 상에어실린더(26)의 IN측에 에어가 유입하고, 상강하멈춤 폴(22)을 후퇴시킨다. 상강하멈춤 폴(22)이 완전히 후퇴하면, 상에어실린더(26)의 0UT측부터 에어가 되돌아와 에어튜브(41b)의 귀로를 통과하여, 유압 유닛 내의 폴 0UT 공전 릴레이(도시 생략)에 들어가고, 폴 0UT 공전 릴레이가 0N 하여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이 후퇴하는 것이 검지된다.
또한,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이 후퇴하면, 그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 폴 검지 레버(27, 37)가 지점축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고, 상하 폴 IN 검지 밸브(28, 38)를 닫는다. 이렇게 하여, 에어는 유압 유닛 내의 폴 IN 공전 릴레이로부터 빠지고,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이 후퇴한 것을 검지할 수 있고, 쌍방의 공전 릴레이에 의해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의 후퇴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폴 0UT 공전 릴레이와 폴 IN 공전 릴레이는, 하강 버튼 회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폴 0UT 공전 릴레이가 0N 하고, 또한 폴 IN 공전 릴레이가 0FF 한 때에 하강 제어가 실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강하멈춤 폴(22, 32)이 후퇴하여 상하래크(21, 31)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면, 리프트의 강하가 시작된다. 유압 펌프(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리프트업과는 반대의 경로로, 하향 실린더(5) 및 상향 실린더(6)로부터 오일이 빠져서, 외통(2) 내로 하단램(3) 및 상단램(4)이 들어가고, 받침대(7)가 강하한다. 즉, 리프트다운 동작한다. 이 때, 상래크 가이드(15b)가 상래크(21)를 항상 가이드하고, 헤드 실린더(16)의 하래크 가이드부(16a)가 하래크(31)를 항상 가이드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7)는, 회전하는 일 없이 안정하게 하강한다.
이와 같이,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상단램 내에 수용되고, 하단램 강하멈춤 수단은 하단램의 측면, 및 외통 측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외통 밖에 마련되는 강하멈춤 수단의 설치 스페이스는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고, 스페이스 절약으로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프형으로 함으로써, 램 길이에 비하여 긴 리프트 길이를 얻을 수 있고, 램 내에 병렬 실린더를 배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압 텔레스코프식이 되지만, 저압식 유압 실린더에 비하여 작동유를 소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래크와 래크에 걸어 맞추는 폴로 이루어지는 기계식의 강하멈춤 장치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강하 멈춤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단램에 마련된 래크를 안내하는 상래크 가이드 수단, 하단램에 마련된 래크를 안내하는 하래크 가이드 수단을 갖기 때문에, 램이 회전하는 일이 없고, 안정된 승강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쌍방의 래크 가이드는, 원래 필요한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 절약으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피트 전체를 크게 할 필요가 없고, 피트 커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량에 비하여 램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트도 얕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향 실린더(5)와 상향 실린더(6)의 구동 오일을 실린더 배관(17)에 의해 종속(縱續)에 연결하고 있지만, 독립한 배관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과 하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을 등을 맞추어서 배치하고 있지만, 다른 위치로 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 실시 형태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텔레스코프형 리프트(1)는 다른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소(高所) 작업차, 엘리베이터 등 승강하여 이용되는 리프트로서 알맞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한 예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설명도로서, 주요부를 구성하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의 정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2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의 우측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3은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신장시킨 상태의 우측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4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신장시킨 상태의 배면에서 본 단면 설명도.
도 5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의 평면 투시 설명도.
도 6은 병렬 실린더 상부의 사시도로서,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의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8은 A-A선 단면도.
도 9는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2 : 외통
3 : 하단램 4 : 상단램
5 : 하향 실린더 5a : 하향 피스톤 로드
6 : 상향 실린더 6a : 상향 피스톤 로드
7 : 받침대 10 : 병렬 실린더
15 : 실린더 고정판 15b : 상래크 가이드
16a : 하래크 가이드 20 : 상단램 강하멈춤 장치
21 : 상래크 22 : 상강하멈춤 폴
30 : 하단램 강하멈춤 장치 31 : 하래크
32 : 하강하멈춤 폴

Claims (4)

  1. 기립 배치한 외통 내에 통형상의 하단램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하고, 상기 하단램 내에 또한 통형상의 상단램을 활주 자유롭게 수용하고, 유압에 의해 하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하향 실린더와, 유압에 의해 상향으로 신장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상향 실린더를 병렬로 마련한 병렬 실린더를 상기 하단램 내에 수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램 내에 상기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을 마련하는 한편, 하단램 측면 및 상기 외통 측면에 상기 하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하향의 피스톤 로드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기 하단램이 상기 외통 내로부터 상방으로 활주함과 함께, 상기 상향 피스톤 로드의 신장 동작에 의해 상기 상단램이 상기 하단램 내로부터 상방으로 활주하고, 리프트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상단램 내 측면에 마련한 상래크와, 상기 병렬 실린더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래크에 걸어 맞추는 강하멈춤 폴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램의 강하멈춤 수단은, 하단램 측면에 마련한 하래크와, 상기 외통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래크에 걸어 맞추는 강하멈춤 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래크는, 상기 병렬 실린더 상부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판의 단부에 오목부를 마련한 상래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한편, 상기 하래크는, 상기 외통에 마련된 하단램 활주용 헤드 실린더에 오목부를 마련한 하래크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작업상면에 오목부를 마련한 피트 내에 복수 배치하고, 모든 상기 텔레스코프형 리프트를 동기시켜서 신장함으로써, 상기 피트 내에 배치한 받침대를 리프트업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1020090073212A 2009-05-28 2009-08-10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20100129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9391 2009-05-28
JP2009129391A JP2010275067A (ja) 2009-05-28 2009-05-28 テレスコープ型リフト及び自動車整備用リフ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14A true KR20100129114A (ko) 2010-12-08

Family

ID=4322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12A KR20100129114A (ko) 2009-05-28 2009-08-10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75067A (ko)
KR (1) KR20100129114A (ko)
CN (1) CN101898737A (ko)
TW (1) TW2010417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26B1 (ko) * 2020-05-07 2021-06-21 이광래 리프트 실린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8398B (zh) * 2011-04-29 2015-06-17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升降装置及具有该升降装置的登船桥
CN102887134A (zh) * 2012-09-27 2013-01-23 苏州华电电气股份有限公司 通讯指挥车电动支撑腿
CN103738876B (zh) * 2013-12-09 2015-10-28 太原科技大学 变行程液压推升装置
US10858054B2 (en) 2018-01-31 2020-12-08 Honda Motor Co., Ltd. Multi-stage shift pack assembly and method
CN110803654A (zh) * 2019-11-28 2020-02-18 衡阳思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银浆的光固化托盘用抬升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54Y2 (ja) * 1988-02-12 1994-02-09 日産アルティア株式会社 車輛整備用リフトに於ける下降防止装置
JPH0419597U (ko) * 1990-06-07 1992-02-19
JP2538490Y2 (ja) * 1993-12-28 1997-06-18 杉安工業株式会社 埋込み式車輛整備用リフト
JPH10297445A (ja) * 1997-04-25 1998-11-10 Banzai Kogyo Kk 複数段式リフトの安全装置
JP2001316085A (ja) * 2000-05-11 2001-11-13 Banzai Kogyo Kk 二柱式同芯軸多段リフ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126B1 (ko) * 2020-05-07 2021-06-21 이광래 리프트 실린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1797A (en) 2010-12-01
CN101898737A (zh) 2010-12-01
JP2010275067A (ja)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9114A (ko) 텔레스코프형 리프트 및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KR100674217B1 (ko) 변속장치가 구비된 유체 펌핑용 실린더 장치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US9777755B2 (en) Locking actuator with a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lift
US20130153838A1 (en) Clamper, in-channel-head operation device, and clamping method
JP5892539B2 (ja) 圧入装置
CN112978605B (zh) 智能提升控制方法及系统
CN210180579U (zh) 一种换挡手柄拉脱力检测装置
CN210788660U (zh) 钢卷车
JP2010042478A (ja) Tナット打ち込み装置
CN110259523B (zh) 一种汽轮机缸体下沉自动调节装置
CN210293520U (zh) 一种换挡手柄检测用无损拆卸结构
ITBS20080090A1 (it) Dispositivo anticaduta particolarmente per presse idrauliche
KR101049459B1 (ko) 볼형 잠금장치가 구비된 유압잭
KR100277374B1 (ko) 리프트의 하강금지장치
JP6486238B2 (ja) 昇降機
FI90036B (fi) Pao tryckjaemfoerelse grundad programmerad styrning av floedet i en hydraulisk ventil
JP52376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NL8101660A (nl) Vanginrichting aan een autohefbrug.
JP5308079B2 (ja) 型締装置
JP2009102157A (ja) 車両リフト装置
JPH04303399A (ja) 二柱式リフトの安全装置
KR101266508B1 (ko)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KR200237779Y1 (ko) 입체주차장치
CN109158855B (zh) 一种新型卡簧收紧取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