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635A - 흡수식 냉동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635A
KR20100121635A KR1020107019642A KR20107019642A KR20100121635A KR 20100121635 A KR20100121635 A KR 20100121635A KR 1020107019642 A KR1020107019642 A KR 1020107019642A KR 20107019642 A KR20107019642 A KR 20107019642A KR 20100121635 A KR20100121635 A KR 2010012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refrigerant
absorption chiller
carbon atoms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자일러
베른트 글p클러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14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using 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휘발성 수착 매체 및 휘발성 냉매를 함유하는 작동 매체, 및 냉매 포함 증기상 및 수착 매체 포함 액체상이 냉매에 대해 투과성이고 수착 매체에 대해 비투과성인 반투과성 막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흡수기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기 {ABSORPTION TYPE REFRIGERATING MACHINE}
본 발명은 감소된 기계적 에너지 요구량을 갖는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냉동기는 냉매가 기화되고 냉매에 의해 흡수된 기화열에 의해 냉각이 달성되는 회로를 기반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기화에서보다 높은 온도에서 응축시키면, 기화열이 다시 방출된다. 액화된 냉매를 후속적으로 다시 기화기의 압력으로 감압시킨다.
기존의 냉동기는 이들이 기체 냉매의 압축에 많은 양의 기계적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비교하여, 흡수식 냉동기는 감소된 기계적 에너지 요구량을 갖는다. 흡수식 냉동기는, 기존의 냉동기의 냉매, 기화기 및 응축기 이외에, 수착 매체, 흡수기 및 탈착기를 갖는다. 흡수기에서, 기화된 냉매는 기화 압력에서 수착 매체 중에 흡수되고, 후속적으로 탈착기에서 열의 도입에 의해 보다 높은 응축 압력에서 수착 매체로부터 다시 탈착된다. 냉매 및 수착 매체로 구성된 액체 작동 매체의 압축은 기존 냉동기에서의 냉매 증기의 압축보다 적은 기계적 에너지를 요구하고; 기계적 에너지 소모량은 냉매의 탈착에 사용되는 열 에너지로 대체된다.
US 1,882,258호에는 흡수 매체액 및 냉매 암모니아로 구성된 액체상이 흡수기에서 다공성의 투과성 벽에 의해 기체 암모니아 및 불활성 기체를 함유하는 기체상으로부터 분리되는 흡수식 냉동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냉동기는 기계적 에너지의 공급 없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냉동기에서는, 흡수기, 탈착기, 응축기 및 기화기가 모두 동일한 압력에서 작동되어, 낮은 효율을 야기한다. 또한, 암모니아 뿐만 아니라 수증기가 다공성 벽을 통해 액체상으로부터 기화기로 유입될 수 있어, 예를 들어 얼음 형성으로 인해 기계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문제는 흡수기에 격판이 구비되어 있고 이를 통해 흡수 매체액이 마찬가지로 증기 형태로 흡수기로 유입될 수 있는 DE 633 146호에 제안된 방법 및 또한 수착 매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WO 2004/104496호에 기재된 방법에서도 발생한다.
DE 195 11 709호에는 비휘발성 수착 매체로서 LiBr 또는 LiBr/ZnBr2 및 휘발성 냉매로서 물 또는 메탄올을 함유하는 작동 매체를 가지는 흡수식 냉동기가 기재되어 있다. 냉매의 응축 및 기화는 상기 냉동기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에, 냉각은 흡수기에서 나오는 냉매-풍부 작동 매체로부터, 탈착기로부터 오는 냉매-부족 작동 매체로의 소수성 막을 통한 냉매의 투석증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냉동기에서, 막은 흡수기에 배치되지 않는다.
US 4,152,9001호 및 US 5,873,260호에는 탈착기에 막이 장착되고 이를 통해 작동 매체로부터 냉매의 탈착이 일어나는 흡수식 냉동기가 기재되어 있다. US 4,152,9001호의 방법에서, 수착 매체는 막을 통과하여 기화기로 유입된다. US 5,873,260호에서도, 수착 매체액이 증기로서 막을 통과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냉동기의 기화기로 유입되는 흡수 매체로 인해 발생하는 고장 없이, 선행 기술의 흡수식 냉동기와 비교하여 기계적 에너지 요구량을 추가로 감소시킬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수착 매체 및 휘발성 냉매를 함유하는 작동 매체, 및 냉매를 함유하는 증기상 및 수착 매체를 함유하는 액체상이 막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흡수기를 갖고, 상기 막이 냉매에 대해 투과성이고 수착 매체에 대해 비투과성인 반투과성 막인, 흡수식 냉동기를 제공한다.
비휘발성 수착 매체와 함께 흡수기에서, 기체 냉매를 액체 작동 매체로부터 분리하는 반투과성 막의 배열은, 수착 매체가 흡수기의 증기 공간 및 기화기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기체 냉매와 액체 작동 매체 사이의 압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흡수가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상기 냉매는 기화 압력보다 상당히 높은 액체 작동 매체의 압력에서도, 기체 냉매의 압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리고 기화기로 유입되는 수착 매체로 인해 발생하는 고장 없이 흡수될 수 있다. 액체 작동 매체의 압축을 위한 기계적 에너지 요구량은 흡수기에서의 액체 작동 매체의 압력 증가로 인해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흡수식 냉동기와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는 비휘발성 수착 매체 및 휘발성 냉매를 함유하는 작동 매체, 및 냉매에 대해 투과성이고 수착 매체에 대해 비투과성인 반투과성 막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적합한 반투과성 막과 함께,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비휘발성 수착 매체 및 휘발성 냉매를 갖는 모든 작동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작동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냉매로서 물, 암모니아 또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한다. 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냉매로서 사용된다.
작동 매체는 추가로 비휘발성 수착 매체를 함유한다. 상기 문맥에서, 용어 비휘발성 수착 매체는 증기압이 냉매의 증기압보다 10,000 초과의 인자만큼 더 낮은 수착 매체를 지칭한다. 20℃에서 10-3 mbar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6 mbar 미만의 증기압을 갖는 수착 매체가 바람직하다. 비휘발성 수착 매체로서 중합체 또는 염 유사 수착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에 적합한 작동 매체는 냉매로서의 물 및 비휘발성 수착 매체로서의 리튬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리튬 브로마이드 수용액이다.
1종 이상의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수착 매체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된다. 상기 문맥에서, 용어 이온성 액체는 음이온 및 양이온으로 구성된 염 또는 염의 혼합물을 지칭하고, 여기서 염 또는 염의 혼합물은 100℃ 미만의 융점을 갖는다. 리튬 브로마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수착 매체와 비교하여, 이온성 액체는 보다 많은 분량의 냉매가 수착 매체의 고화 없이 탈착기에서 유출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수착 매체로서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면, 흡수식 냉동기는 고장 없이 작동 매체의 냉매에 대한 보다 높은 용량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보다 조밀한 구조의 흡수식 냉동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온성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을 갖는 유기 양이온의 1종 이상의 염으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유기 양이온 및 동일한 음이온을 갖는 다수의 염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유기 양이온은 특히 하기 화학식 I 내지 V의 양이온이다:
[화학식 I]
R1R2R3R4N+
[화학식 II]
R1R2N+=CR3R4
[화학식 III]
R1R2R3R4P+
[화학식 IV]
R1R2P+=CR3R4
[화학식 V]
R1R2R3S+
식 중,
R1, R2, R3,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5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7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릴 라디칼,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O-, -NH-, -NR'-, -O-C(O)-, -(O)C-O-, -NH-C(O)-, -(O)C-NH-, -(CH3)N-C(O)-, -(O)C-N(CH3)-, -S(O2)-O-, -O-S(O2)-, -S(O2)-NH-, -NH-S(O2)-, -S(O2)-N(CH3)- 또는 -N(CH3)-S(O2)- 기가 개재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OH, OR', NH2, N(H)R' 또는 N(R')2에 의해 말단 관능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블록 또는 무작위 구조를 갖는 화학식 -(R5-O)n-R6의 폴리에테르 라디칼이고,
R'은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5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n은 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0이며,
R6은 수소,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5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7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릴 라디칼 또는 -C(O)-R7 라디칼이고,
R7은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5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7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릴 라디칼이며,
여기서 라디칼 R1, R2, R3 및 R4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는 수소가 아니다.
라디칼 R1과 R3이 함께 4원 내지 10원, 바람직하게는 5원 내지 6원 고리를 형성하는 화학식 I 내지 V의 양이온이 또한 적합하다.
상기 정의한 라디칼 R1을 가지며 고리에서 1개 이상의 4급 질소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옥사졸, 이속사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인돌, 퀴놀린, 이소퀴놀린, 신놀린, 퀴녹살린 또는 프탈라진의 유도체가 또한 적합하다.
적합한 무기 음이온은, 특히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술페이트, 히드로겐술페이트, 포스페이트, 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히드록시드, 카르보네이트, 히드로겐카르보네이트 및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이다.
적합한 유기 음이온은, 특히 RaOSO3 -, RaSO3 -, RaOPO3 2 -, (RaO)2PO2 -, RaPO3 2 -, RaCOO-, RaO-, (RaCO)2N-, (RaSO2)2N- 및 NCN-이고, 식 중 Ra는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5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 6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7 내지 4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아릴 라디칼, 또는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퍼플루오로알킬 라디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온성 액체는 1종 이상의 1,3-디알킬이미다졸륨염을 포함하고, 여기서 알킬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및 n-헥실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 1,3-디메틸이미다졸륨,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1-(n-부틸)-3-메틸이미다졸륨, 1-(n-부틸)-3-에틸이미다졸륨, 1-(n-헥실)-3-메틸이미다졸륨, 1-(n-헥실)-3-에틸이미다졸륨 및 1-(n-헥실)-3-부틸이미다졸륨 중 하나 이상과 음이온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메틸술페이트, 에틸술페이트, 디메틸포스페이트 또는 메틸술포네이트 중 하나의 염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온성 액체는 1가 음이온 및 상기 화학식 I의 양이온을 갖는 1종 이상의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고,
여기서, R1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고,
R2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며,
R3은 n이 1 내지 200이고 R = H 또는 CH3인 (CH2CHRO)n-H 라디칼이고,
R4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 또는 n이 1 내지 200이고 R = H 또는 CH3인 (CH2CHRO)n-H 라디칼이다.
음이온으로서 클로라이드, 아세테이트, 메틸술페이트, 에틸술페이트, 디메틸포스페이트 또는 메틸술포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수착 매체로서 150 ℃의 온도에서 안정한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 가수분해에 대해 안정한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에 대해 안정한 이온성 액체는 80℃에서 8000시간 동안의 저장 시 물 50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물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5% 미만의 분해를 나타낸다.
냉매의 증기압을 낮추면서 냉매를 함유하는 비이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이온성 액체가 바람직하게 수착 매체로서 사용된다.
작동 매체는 수착 매체 및 냉매 이외에 추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부식 억제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여기서, 선행 기술로부터 흡수식 냉동기에 사용되는 물질로 적합하다고 알려진 모든 비휘발성 부식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흡수기내 반투과성 막은 용액 확산 막이다. 용액 확산 막은 실제로 세공을 갖지 않는다. 용액 확산 막에 있어서, 냉매에 대한 막의 선택적 투과성은 냉매가 막의 재료에 용해되고 막을 통해 확산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수착 매체는 막의 재료에 불용성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용해 확산 막의 적합성은 막의 재료에서의 냉매 및 수착 매체의 용해도에 대한 단순한 실험에 의해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냉매로서 물을 사용하고 염 유사 수착 매체를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경우에, 용액 확산 막으로서 투석, 역삼투 및 투석증발의 기술 분야로부터 염 수용액의 탈염화에 적합한 것으로서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세공이 없는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 확산 막에 사용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콜, 폴리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벤즈이미다졸론, 폴리아미드 히드라지드, 셀룰로스 에스테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폴리우레아, 폴리푸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틸메틸-실록산), 폴리실록산, 폴리알킬실록산, 폴리디알킬실록산,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술폰, 술폰화 폴리술폰, 폴리아미드, 특히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우레아 복합체, 폴리아미드-우레아 복합체,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친수성 또는 친수성으로 관능화된 중합체이다. 또한 상기 중합체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가교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가교된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 용액 확산 막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흡수기 내 반투과성 막은 미세다공성 막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미세다공성 막은 0.3 nm 내지 100 ㎛ 범위의 최소 직경을 갖는, 막 전체에 펼쳐진 세공을 갖는 막이다. 상기 막은 바람직하게는 0.3 nm 내지 0.1 ㎛ 범위의 세공을 갖는다.
흡수기에서 수착 매체 및 냉매로 구성된 작동 매체에 의해 습윤화되지 않는 미세다공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상, 용어 습윤화는 작동 매체와 미세다공성 막 사이의 접촉각이 90˚미만인 것을 의미하고, 이는 모세관력에 의해 작동 매체가 막의 세공으로 침투하도록 한다. 작동 매체와 미세다공성 막 사이의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120˚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초과이다. 비습윤화 미세다공성 막의 사용으로, 막의 세공을 통한 막의 증기쪽으로의 액체 작동 매체의 흐름은 증기쪽에서의 압력보다 높은 액체 작동 매체 쪽에서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자는 작동 매체와 막 사이의 접촉각을 측정함으로써 미세다공성 막의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냉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투과성 막으로서 소수성 미세다공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소수성 미세다공성 막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기능성 의류의 기술 분야에서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인 방수막으로서 알려져 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플루오로알킬-개질된 중합체로 구성된 소수성 미세다공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체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소수성 미세다공성 막 또는 무기 소수성 미세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막, 예를 들어 세공이 실리카라이트 또는 소수성 실리카에 의해 형성된 막이 적합하다.
반투과성 막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지지체 층 상에 배열된다. 다공성 지지체 층 상의 배열은 얇은 반투과성 막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기계적으로 안정한 막 단위체가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막을 통한 보다 신속한 물질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흡수기의 보다 작고 보다 조밀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체 층은 바람직하게는 증기상과 접촉하는 반투과성 막 쪽에 배열된다. 지지체 층의 이러한 배열은 액체 작동 매체를 향해 있는 막 쪽에 지지체 층을 배열하는 것보다 감소된 물질 이동 저항을 유발한다.
다공성 지지체 층은 무기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막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중합체, 특히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다공성 지지체 층 상에 배열된다. 상기 지지체 층은 추가로, 예를 들어 직물 층에 의한 보강재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투과성 막은 중공 섬유의 형태로 흡수기 내에 배열된다. 중공 섬유 형태의 막의 배치는 흡수기의 특히 조밀한 구조 및 흡수기 내 증기상과 액체상 사이의 보다 큰 압력 차이에서의 흡수기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는 추가로 탈착기에서 막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매의 작동 매체로부터의 탈착이 일어난다. 탈착기에서,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의 흡수기에 반투과성 막으로서 적합한 모든 막을 사용할 수 있다. 탈착기에서 막의 사용은 또한 탈착 동안 기포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작동 매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는 또한 문헌 [F. Ziegler, R. Kahn, F. Summerer, G. Alefeld "Multi-Effect absorption chillers", Rev. Int. Froid 16 (1993) 301-311]에 기재된, 다단계 냉동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조밀한 구조 및 낮은 기계적 에너지 요구량으로 인해,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는 이동성이 있는 용도, 특히 자동차 및 선박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동기는, 특히 저소음으로 작동될 수 있고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는 효율적인 에어컨디셔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물의 에어컨디셔닝에도 특히 적합하다.

Claims (12)

  1. 비휘발성 수착 매체 및 휘발성 냉매를 함유하는 작동 매체, 및 냉매를 함유하는 증기상 및 수착 매체를 함유하는 액체상이 막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흡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막이 냉매에 대해 투과성이고 수착 매체에 대해 비투과성인 반투과성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냉매가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착 매체가 1종 이상의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가 유기 양이온과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가 1종 이상의 1,3-디알킬이미다졸륨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6. 제4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가 화학식 R1R2R3R4N+A- (식 중, R1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고,
    R2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이며,
    R3은 n이 1 내지 200이고 R = H 또는 CH3인 (CH2CHRO)n-H 라디칼이고,
    R4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라디칼 또는 n이 1 내지 200이고 R = H 또는 CH3인 (CH2CHRO)n-H 라디칼이며,
    A-는 1가 음이온임)의 1종 이상의 4급 암모늄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투과성 막이 용액 확산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투과성 막이 작동 매체에 의해 습윤화되지 않는 미세다공성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9. 제8항에 있어서, 냉매가 물이고 반투과성 막이 소수성 미세다공성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투과성 막이 다공성 지지체 층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체 층이 증기상과 접촉하는 반투과성 막 쪽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투과성 막이 중공 섬유의 형태로 흡수기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20107019642A 2008-02-05 2009-01-28 흡수식 냉동기 KR20100121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01297.3A EP2088389B1 (de) 2008-02-05 2008-02-05 Absorptionskältemaschine
EP08101297.3 2008-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635A true KR20100121635A (ko) 2010-11-18

Family

ID=3970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642A KR20100121635A (ko) 2008-02-05 2009-01-28 흡수식 냉동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326126A1 (ko)
EP (1) EP2088389B1 (ko)
JP (1) JP2011511258A (ko)
KR (1) KR20100121635A (ko)
CN (1) CN101939602A (ko)
CA (1) CA2714425A1 (ko)
IL (1) IL207324A0 (ko)
RU (1) RU2010136663A (ko)
WO (1) WO2009098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8451B4 (de) 2005-06-17 2017-02-1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m Transport von Wärme
EP2087930A1 (de) 2008-02-05 2009-08-1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Absorption eines flüchtigen Stoffes in einem flüssigen Absorptionsmittel
US8268041B2 (en) * 2008-06-30 2012-09-1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Hollow organic/inorganic composite fibers, sintered fibers, methods of making such fibers, gas separation modules incorporating such fibers, and methods of using such modules
DE102009000543A1 (de) 2009-02-02 2010-08-1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Absorptionsmedien und Vorrichtung zur Absorption von CO2 aus Gasmischungen
US20110126563A1 (en) * 2009-11-30 2011-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Absorption chiller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DE102009047564A1 (de) * 2009-12-07 2011-06-09 Evonik Degussa Gmbh Arbeitsmedium für eine Absorptionskältemaschine
US20110239692A1 (en) * 2010-04-01 2011-10-0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Utilization of waste heat using fiber sorb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EP2380940A1 (de) * 2010-04-20 2011-10-26 Evonik Degussa GmbH Absorptionswärmepumpe mit Sorptionsmittel umfassend Lithiumchlorid und ein organisches Chloridsalz
SG188955A1 (en) * 2010-11-08 2013-05-31 Evonik Degussa Gmbh Working medium for absorption heat pumps
DE102011077377A1 (de) 2010-11-12 2012-05-1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Absorption von sauren Gasen aus Gasmischungen
CN103403476A (zh) * 2011-02-23 2013-11-20 徐建国 用于泵热及发电的热驱动的增压装置
CN102443378A (zh) * 2011-11-02 2012-05-09 中山大学 一种适用于吸收式制冷及热泵系统的亲水性离子液体/水循环工质对
MX2014005746A (es) 2011-11-14 2014-07-09 Evonik Degussa Gmbh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separacion de gases acidos de una mezcla de gases.
DE102012200907A1 (de) 2012-01-23 2013-07-25 Evonik Industries Ag Verfahren und Absorptionsmedium zur Absorption von CO2 aus einer Gasmischung
DE102012207509A1 (de) 2012-05-07 2013-11-07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Absorption von CO2 aus einer Gasmischung
EP2735821A1 (de) 2012-11-23 2014-05-28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Verfahren zum Entziehen thermischer Energie aus einem Medium
EP3017013A4 (en) * 2013-05-28 2017-01-25 Yanjie Xu Refrigeration system with dual refrigerants and liquid working fluids
CN104592941A (zh) * 2014-12-24 2015-05-06 巨化集团技术中心 一种添加酰胺类相容剂的制冷剂及其制备方法
DE102015212749A1 (de) 2015-07-08 2017-01-1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Entfeuchtung von feuchten Gasgemischen
US10808970B2 (en) 2015-09-28 2020-10-20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Ionic liquid-based absorption cooling system with high coefficient of performance
WO2017205807A1 (en) * 2016-05-26 2017-11-30 Yazaki Corporation Eutectic mixtures of ionic liquids in absorption chillers
US10465950B2 (en) 2016-05-26 2019-11-05 Yazaki Corporation Guanidinium-based ionic liquids in absorption chillers
DE102016210478A1 (de) 2016-06-14 2017-12-14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Entfeuchtung von feuchten Gasgemischen
DE102016210483A1 (de) 2016-06-14 2017-12-14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und Absorptionsmittel zur Entfeuchtung von feuchten Gasgemischen
DE102016210481B3 (de) 2016-06-14 2017-06-08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ionischen Flüssigkeit
DE102016210484A1 (de) 2016-06-14 2017-12-14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Entfeuchtung von feuchten Gasgemischen
EP3257843A1 (en) 2016-06-14 2017-12-20 Evonik Degussa GmbH Method of preparing a high purity imidazolium salt
EP3257568B1 (de) 2016-06-14 2019-09-18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entfeuchtung von feuchten gasgemischen mit ionischen flüssigkeiten
ES2926341T3 (es) * 2018-01-30 2022-10-25 Carrier Corp Purga integrada de baja presión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88C (de) * 1922-10-24 1924-08-11 Hans Hylander Absorptionskaeltemaschine
US1882258A (en) 1930-09-10 1932-10-11 Randel Bo Folke Means and method of refrigeration
DE633146C (de) 1933-06-01 1936-07-20 Sachsenberg Akt Ges Geb Absorptionsapparat
US2516625A (en) * 1946-12-02 1950-07-25 Shell Dev Derivatives of dihydropyridine
US2601673A (en) * 1951-04-09 1952-06-24 Shell Dev Shortstopping the addition polymerization of unsaturated organic compounds
US2802344A (en) * 1953-07-08 1957-08-13 Eureka Williams Corp Electrodialysis of solutions in absorption refrigeration
US3276217A (en) * 1965-11-09 1966-10-04 Carrier Corp Maintaining the effectiveness of an additive i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US3609087A (en) * 1968-02-01 1971-09-28 American Gas Ass Inc The Secondary alcohol additives for lithium bromide-wate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US3580759A (en) * 1968-06-25 1971-05-25 Borg Warner Heat transfer additives for absorbent solutions
SE409054B (sv) 1975-12-30 1979-07-23 Munters Ab Carl Anordning vid vermepump i vilken ett arbetsmedium vid en sluten process cirkulerar i en krets under olika tryck och temperatur
US4022785A (en) * 1976-01-08 1977-05-10 Petrolite Corporation Substituted pyridines and dihydropyridines
US4201721A (en) * 1976-10-12 1980-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Catalytic aromatic carbonate process
US4152900A (en) * 1978-04-04 1979-05-08 Kramer Trenton Co. Refrigeration cooling unit with non-uniform heat input for defrost
US4251494A (en) * 1979-12-21 1981-02-1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removing acidic compounds from gaseous mixtures using a two liquid phase scrubbing solution
US4360363A (en) * 1982-02-16 1982-11-23 Combustion Engineering, Inc. Physical solvent for gas sweetening
US4466915A (en) * 1982-09-29 1984-08-21 The B. F. Goodrich Company Non-catalytic ketoform syntheses
JPS61129019A (ja) * 1984-11-26 1986-06-17 Hitachi Ltd 吸収式温度回生器
US4701530A (en) * 1985-11-12 1987-10-20 The Dow Chemical Company Two-stage process for making trimethyl pyridine
US5016445A (en) * 1986-07-07 1991-05-21 Darrell H. Williams Absorption apparatus, method for producing a refrigerant effect, and an absorbent-refrigerant solution
US5186010A (en) * 1985-11-18 1993-02-16 Darrel H. Williams Absorbent-refrigerant solution
US4714597A (en) * 1986-06-26 1987-12-22 Hylsa, S.A. Corrosion inhibitor for CO2 absorption process using alkanolamines
US5126189A (en) * 1987-04-21 1992-06-30 Gelman Sciences, Inc. Hydrophobic microporous membrane
JPH02298767A (ja) * 1989-05-12 1990-12-11 Nissin Electric Co Ltd 吸収冷凍装置
JP2959141B2 (ja) * 1991-02-22 1999-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装置
JPH0784965B2 (ja) * 1991-12-24 1995-09-13 誠之 渡辺 太陽熱冷却装置
US5303565A (en) * 1993-03-11 1994-04-19 Conserve Resources, Inc. Rotary absorption heat pump of improved performance
JPH07167521A (ja) * 1993-12-15 1995-07-04 Asahi Glass Co Ltd 吸収式冷凍装置
DE19511709A1 (de) 1995-03-30 1996-10-02 Klement Arne Verfahren zur Erzeugung von Kälte und Wärme mit Hilfe einer durch Pervaporation angetriebenen Sorptionskältemaschine
US6331289B1 (en) * 1996-10-28 2001-12-18 Nycomed Imaging As Targeted diagnostic/therapeutic agents having more than one different vectors
US6117963A (en) * 1997-03-26 2000-09-12 Th Goldschmidt Ag Tetrahydrofuran-containing silicone polyethers
US5873260A (en) 1997-04-02 1999-02-23 Linhardt; Hans D.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184433B1 (en) * 1997-04-14 2001-02-06 Nippon Shokubai Co., Ltd. Pressure-resistant absorbent resin, disposable diaper using the resin, and absorbent resi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DE19850624A1 (de) * 1998-11-03 2000-05-0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anessigsäureestern
US6155057A (en) * 1999-03-01 2000-12-05 Arizona Board Of Regents Refrigerant fluid crystallization control and prevention
JP2001074322A (ja) * 1999-09-03 2001-03-23 Daikin Ind Ltd 冷凍装置
DE19949347A1 (de) * 1999-10-13 2001-04-19 Basf Ag Brennstoffzelle
JP2001219164A (ja) * 2000-02-08 2001-08-14 Toyobo Co Ltd 純水製造器および純水製造装置
EP1283197B1 (en) * 2000-05-16 2009-10-21 Ajinomoto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cinnamylaldehyde derivatives, use thereof and the like
BR0208176B1 (pt) * 2001-03-20 2011-09-20 processo para separar lìquidos ou gases condensáveis no estado condensado.
DE10208822A1 (de) * 2002-03-01 2003-09-11 Solvent Innovation Gmbh Halogenfreie ionische Flüssigkeiten
DE10316418A1 (de) * 2003-04-10 2004-10-21 Basf Ag Verwendung einer ionischen Flüssigkeit
DE10324300B4 (de) * 2003-05-21 2006-06-14 Thomas Dr. Weimer Thermodynam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r Aufnahme von Wärme
US20050129598A1 (en) * 2003-12-16 2005-06-16 Chevron U.S.A. Inc. CO2 removal from gas using ionic liquid absorbents
DE102004011427A1 (de) * 2004-03-09 2005-09-29 Basf Ag Absorptionsmittel mit verbesserter Oxidationsbeständigkeit und Verfahren zum Entsäuern von Fluidströmen
DE102004024967A1 (de) * 2004-05-21 2005-12-08 Basf Ag Neue Absorptionsmedien für Absorptionswärmepumpen, Absorptionskältemaschinen und Wärmetransformatoren
FR2877858B1 (fr) * 2004-11-12 2007-01-12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avec une solution absorbante a regeneration fractionnee
US8715521B2 (en) * 2005-02-04 2014-05-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bsorption cycle utilizing ionic liquid as working fluid
DE102005013030A1 (de) * 2005-03-22 2006-09-28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Verfahren zur destillativen Reinigung schwerflüchtiger Fluide
DE102005028451B4 (de) * 2005-06-17 2017-02-1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m Transport von Wärme
US8506839B2 (en) * 2005-12-14 2013-08-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bsorption cycle utilizing ionic liquids and water as working fluids
FR2895273B1 (fr) * 2005-12-22 2008-08-0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avec une solution absorbante a regeneration fractionnee avec controle de la teneur en eau de la solution
FR2898284B1 (fr) * 2006-03-10 2009-06-05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par solution absorbante avec regeneration fractionnee par chauffage.
CN101405146A (zh) * 2006-03-20 2009-04-08 巴斯夫欧洲公司 纳米颗粒状金属硼化物组合物以及其用于识别标记塑料部件的用途
FR2900842B1 (fr) * 2006-05-10 2009-01-2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effluent gazeux avec extraction des produits a regenerer
FR2900843B1 (fr) * 2006-05-10 2008-07-04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par multiamines partiellement neutralisees
DE102006036228A1 (de) * 2006-08-03 2008-02-07 Universität Dortmund Verfahren zum Abtrennen von CO2 aus Gasgemischen
WO2008099726A1 (ja) * 2007-02-16 2008-08-21 Hachiyo Engineering Co., Ltd. 吸収式冷凍装置
EP2087930A1 (de) * 2008-02-05 2009-08-1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Absorption eines flüchtigen Stoffes in einem flüssigen Absorptionsmittel
EP2093278A1 (de) * 2008-02-05 2009-08-26 Evonik Goldschmidt GmbH Performance-Additive zur Verbesserung der Benetzungseigenschaften von ionischen Flüssigkeiten auf festen Oberflächen
DK2300127T3 (en) * 2008-06-23 2015-07-06 Basf Se ABSORPENT AND PROCEDURE FOR THE REMOVAL OF ACID GASES FROM LIQUID FLOWS, PARTICULARLY FROM Flue gases
FR2936165B1 (fr) * 2008-09-23 2011-04-0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par solution absorbante avec controle de la demixtion
DE102009000543A1 (de) * 2009-02-02 2010-08-1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Absorptionsmedien und Vorrichtung zur Absorption von CO2 aus Gasmischungen
FR2942972B1 (fr) * 2009-03-10 2012-04-0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par solution absorbante avec vaporisation et/ou purification d'une fraction de la solution absorbante regeneree.
CA2754599A1 (en) * 2009-03-31 2010-10-1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onic compounds in lithium bromide/water absorption cycle systems
DK2258460T3 (da) * 2009-06-05 2012-05-29 Evonik Degussa Gmbh Fremgangsmåde, absorptionsmedie og anordning til absorption af CO2 fra gasblandinger
DE102009047564A1 (de) * 2009-12-07 2011-06-09 Evonik Degussa Gmbh Arbeitsmedium für eine Absorptionskältemaschine
EP2380941A1 (de) * 2010-04-20 2011-10-26 Evonik Degussa GmbH Absorptionswärmepumpe mit Sorptionsmittel umfassend ein Lithiumsalz und ein organisches Salz mit gleichem Anion
EP2380940A1 (de) * 2010-04-20 2011-10-26 Evonik Degussa GmbH Absorptionswärmepumpe mit Sorptionsmittel umfassend Lithiumchlorid und ein organisches Chloridsalz
SG188955A1 (en) * 2010-11-08 2013-05-31 Evonik Degussa Gmbh Working medium for absorption heat pumps
DE102011077377A1 (de) * 2010-11-12 2012-05-1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Absorption von sauren Gasen aus Gasmischungen
MX2014005746A (es) * 2011-11-14 2014-07-09 Evonik Degussa Gmbh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separacion de gases acidos de una mezcla de g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6126A1 (en) 2010-12-30
JP2011511258A (ja) 2011-04-07
RU2010136663A (ru) 2012-03-20
WO2009098155A1 (de) 2009-08-13
EP2088389A1 (de) 2009-08-12
CN101939602A (zh) 2011-01-05
CA2714425A1 (en) 2009-08-13
EP2088389B1 (de) 2017-05-10
IL207324A0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1635A (ko) 흡수식 냉동기
KR101378242B1 (ko) 동일한 음이온을 갖는 리튬 염 및 유기 염을 포함하는 흡수 매체를 갖는 흡수 열 펌프
KR101403155B1 (ko) 염화리튬 및 유기 염화물 염을 포함하는 흡수제를 갖는 흡수 열 펌프
JP6161717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並びにメタンスルホン酸を含有する、吸収式ヒートポンプ用の吸収剤
US20070044494A1 (en) Super Energy Saver Heat Pump with Dynamic Hybrid Phase Change Material
JP2006529022A (ja) 熱吸収用熱力学的装置および方法
RU2741544C2 (ru) Способ осушки влажных газовых смесей
JP2004044848A (ja) 冷却システム
JPH04268176A (ja) 吸収式冷凍装置
EP3060856A1 (en) Methods for enhancing the dehumidification of heat pumps
US20230069597A1 (en) Compact membrane-based absorption heat pump
ES2324884T3 (es) Dispositivo de intercambio y de transferencia termica, especialmente para un vehiculo automovil.
CN101849147B (zh) 非真空吸收制冷
JP7024317B2 (ja) 車載用吸収式ヒートポンプ装置
KR200461818Y1 (ko) 흡수식 냉동기
KR102130336B1 (ko) 역삼투압 필터 부재가 적용된 흡수식 냉동 장치
CA2995023A1 (en) A mixture to be used in an absorption machine
RU2729243C1 (ru) Абсорбционно-конденсационный способ осушения природных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газовых смесей на нанопористых мембранах
JPH05203284A (ja) 吸収冷温水機
CN112944719A (zh) 一种化学吸收制冷循环用复配工质对和应用方法
CN102719230A (zh) 一种化学吸收式制冷工质对
WO2021097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orking fluid from an absorbent
JP2000146349A (ja) 吸収式氷蓄熱冷凍システム
JP2001147053A (ja) 2段2重効用吸収冷凍機
JPH11281455A (ja) 製氷装置における氷充填率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