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677A - 착용물품 - Google Patents

착용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677A
KR20100120677A KR1020107019504A KR20107019504A KR20100120677A KR 20100120677 A KR20100120677 A KR 20100120677A KR 1020107019504 A KR1020107019504 A KR 1020107019504A KR 20107019504 A KR20107019504 A KR 20107019504A KR 20100120677 A KR20100120677 A KR 20100120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elastic member
flap
hook element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721B1 (ko
Inventor
카츠미 미즈타니
하루키 토다
마이코 스즈키
요시카즈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three-dimensional, e.g. embossed, textured, pleated, or with three-dimensional features, like gather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38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djustable open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Abstract

본 발명은, 훅 요소에 걸림결합된 타깃 부직포가 찢어져버리는 일없이,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타깃으로 할 수 있는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섀시(2)의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8)로서 일반적인 부직포를 이용하고, 세로방향(Y)으로 그 섬유를 배향시킨다. 섀시(2)의 후측 가장자리부(14)에는 플랩(16)을 접합시키며, 섀시(2)와 접합되는 접합부(19)와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가 구비되어 있다. 접합부(19)와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의 가로방향(X) 사이에는, 가로방향(X)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부(23)에는, 복수의 플랩 탄성부재(24)가 부착되며, 플랩 탄성부재(24)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접합부(19)에 의해 비신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플랩(16)의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를 외면 시트(8)에 걸림결합시켜,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을 둘레방향으로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착용물품{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1회용의 기저귀, 배변 트레이닝 팬티, 실금 브리프 등의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른바 오픈형의 1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을 연결하여 팬티형으로 만든 것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180748호(특허문헌 1)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기저귀는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및 가랑이(crotch) 영역과, 착용자측 내면 및 착의(着衣)측 외면을 포함하는 섀시(chassis)를 포함한다. 상기 섀시는, 착용자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를 포함하며, 외면 시트를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고, 후측 웨이스트 영역의 내면 시트에 훅(hook)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훅 요소를 전측 웨이스트 영역의 외면 시트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을 연결하여 팬티형으로 하고 있다.
훅 요소에 걸림결합되는 타깃을 섬유 부직포로 함으로써, 루프 요소를 특별히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훅 요소를 타깃으로부터 분리할 때의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훅 요소에 루프 요소를 걸림결합시켰을 경우에는, 그 걸림결합을 해제할 때 커다란 소리가 발생하여, 예컨대 다인실의 병실을 사용하는 등의 경우에는 한밤중에 기저귀를 교환할 때 다른 환자에게 폐를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3-180748호
훅 요소를 타깃 섬유 부직포에 걸림결합시키도록 한 경우에는, 루프 요소에 걸림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해 그 걸림결합력이 약하여, 착용시에 이러한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타깃 섬유 부직포로서는, 이것을 구성하는 섬유길이가 비교적 짧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에어스루 부직포와 훅 요소를 걸림결합시킨 후, 착용자가 앉거나 했을 경우에, 에어스루 부직포가 찢어져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착용자의 상기와 같은 움직임에 따라 기저귀의 레그 홀(leg hole)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연결된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도 가로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이 잡아당겨지면, 걸림결합된 에어스루 부직포와 훅 요소 사이에 전단(剪斷)방향으로 과대한 인장력이 발생하여, 에어스루 부직포가 찢어져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에어스루 부직포는 섬유길이가 짧고, 서로 교락(交絡)되어 있는 수(數)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타깃 섬유 부직포가 에어스루 부직포에 한정되므로, 다른 사용목적에 따른 부직포의 선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훅 요소에 걸림결합된 타깃 부직포가 찢어져버리는 일없이,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타깃으로 할 수 있는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과, 신체측 내면 및 착의측 외면과, 전측 웨이스트 영역, 후측 웨이스트 영역,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며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옆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연결하는 패스닝(fastening)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스닝수단에 의해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되는 착용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착용물품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수단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훅 요소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어 상기 훅 요소와 탈부착가능하게 걸림결합하는 타깃 섬유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훅 요소의 상기 가로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신축(伸縮)가능한 신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섀시는, 상기 신체측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상기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면 시트는, 상기 타깃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신축부의 상기 가로방향 내측에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비(非)신축부가 상기 신축부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타깃 섬유 부직포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섬유가 배향(配向)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섀시는, 상기 옆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세로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 다리둘레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착용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함께 대략 환(環)형상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신축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또는 띠형상의 신축성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또는 상기 띠형상의 신축성 부직포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다.
패스닝수단은,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훅 요소와,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어 상기 훅 요소와 탈부착가능하게 걸림결합하는 타깃 섬유 부직포에 의해,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이 연결되도록 하였으므로, 타깃으로서 루프 요소를 이용한 경우보다 탈부착시의 발생음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훅 요소의 가로방향 내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부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그 신축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훅 요소와 타깃 부직포 간의 걸림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걸림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걸림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부직포를 이용할 필요없이,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타깃으로 할 수 있다.
섀시는, 신체측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를 포함하며, 외면 시트를 타깃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루프 요소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만큼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신축부의 가로방향 내측에, 탄성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비신축부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훅 요소 또는 그 주변을 끼움지지하여 잡아당겼을 때, 그 인장력을, 비신축부를 통해 섀시 전체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훅 요소 또는 그 주변을 끼움지지하여 착용물품의 착용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타깃 섬유 부직포는, 세로방향으로 섬유가 배향되도록 되어 있다. 훅 요소와 타깃 부직포를 걸림결합시켜, 훅 요소에 신축부의 가로방향으로의 잡아당기는 듯한 수축력이 작용하면, 훅 요소가 타깃 부직포에 파고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들 훅 요소와 타깃 부직포 간의 걸림결합을 한층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섀시는, 옆측 가장자리부에 세로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 다리둘레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신축부는, 착용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함께 대략 환형상을 형성하므로,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신축부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부수(附隨)하여 레그 홀이 넓어졌을 때에도 이에 추종할 수 있으며, 패스닝수단에 작용하는 전단방향의 인장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신축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또는 띠형상 신축성 부직포를 포함하고, 탄성부재 또는 띠형상 신축성 부직포는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그 이격된 부분을 통해 통기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부착시킨 경우에는, 내구성을 확보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착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훅 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레그 홀의 인장력과 변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플랩의 다른 실시양태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이른바 오픈 타입의 1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며, 설명을 위해 그 일부가 파단(破斷)되어 있다. 기저귀(1)는, 흡액성(吸液性) 섀시(2)와, 섀시(2)에 형성된 패스닝수단(3)을 포함한다. 섀시(2)는, 세로방향(Y)으로 연속되는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과,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섀시(2)는, 신체측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7)와,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8)와, 이들 내외면 시트(7, 8) 사이에 개재시킨 흡액구조체(9)와, 흡액구조체(9)와 외면 시트(8) 사이에 개재시킨 샘 방지(防漏) 시트(10)를 포함한다.
내면 시트(7)로는 통기성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액구조체(9)는, 예컨대 솜털 펄프(fluff pulp)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심재(芯材, 11)와 심재(11)를 싸고 있는 티슈페이퍼(12)를 포함한다. 샘 방지 시트(10)는, 적어도 흡액구조체(9)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흡액구조체(9)로부터 착의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 시트(10)로서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외면 시트(8)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등의 일반적인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포인트 본드 부직포를 이용한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포인트 본드 부직포에 비해 부피가 크며, 섬유길이가 짧고 서로 교락되어 있는 수가 적어서, 훅 요소와의 걸림결합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외면 시트(8)로서는, 그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단, 어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세로방향(Y)으로 그 섬유가 배향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섀시(2)는, 내외면 시트(7, 8)에 의해 대략 모래시계형을 이루며, 가로방향(X)을 이등분하는 세로중심선(P-P)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이러한 섀시(2)는, 전측 웨이스트 영역(4), 후측 웨이스트 영역(5) 및 가랑이 영역(6)의 각각에 있어서 가로방향(X)으로 마주보며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전측 가장자리부(13), 후측 가장자리부(14) 및 가랑이측 가장자리부(15)를 포함한다. 전후측 가장자리부(13, 14)에 대해 가랑이측 가장자리부(15)가 오목한 형상으로 잘라내어짐으로써 모래시계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후측 가장자리부(14)에는, 플랩(flap, 16)이 접합되어 있다. 플랩(16)은 거의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인 2장의 플랩용 시트(17, 18)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시트(17, 18)로는 예컨대 불투액성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시트(17, 18)의 일부는 후측 가장자리부(14)에 있어서 각각 내면 시트(7) 및 외면 시트(8)와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플랩(16)과 섀시(2)를 접합하는 접합부(19)를 형성하고 있다. 접합부(19)는, 후측 가장자리부(14)를 따라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플랩(16)은, 접합부(19)와 마주보는 가로방향(X)의 외측에 있어서, 시트(17)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보강 시트(20)가 접합되어 있다. 보강 시트(20)에는,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가 구비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는, 세로방향(Y)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다.
플랩(16)의 접합부(19)와 보강 시트(20)와의 가로방향(X) 사이에는, 가로방향(X)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신축부(23)는,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랩 탄성부재(24)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플랩 탄성부재(24)는, 서로 세로방향(Y)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시트(17, 18) 사이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시트(17, 18)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플랩 탄성부재(24)는, 접합부(19)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신축부(23)의 가로방향(X) 내측에는, 적어도 접합부(19)에 의해 비신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비신축부는 접합부(19)만에 의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접합부(19)의 가로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플랩(16)이면서 플랩 탄성부재(24)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나, 접합부(19)의 가로방향(X) 내측에 위치하는 섀시(2)이면서 다른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도, 비신축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섀시(2)의 가랑이측 가장자리부(15)의 가로방향(X) 내측이면서, 외면 시트(8)와 샘 방지 시트(10)의 사이에는,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둘레 탄성부재(25)가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다리둘레 탄성부재(25)는, 서로 가로방향(X)으로 이격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 탄성부재(25)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6)에 있어서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상기 다리둘레 탄성부재(25)에 의해, 기저귀(1) 착용시 가랑이 영역(6)을 다리둘레에 피트시킬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 소변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플랩 탄성부재(24)에 의해 형성되는 신축부(23)는, 다리둘레 탄성부재(25)보다도 가로방향(X)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섀시(2)는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에 각각 형성되어, 세로방향(Y)으로 마주보며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후단부(26, 27)를 포함한다. 후단부(27)에는,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웨이스트 탄성부재(28)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웨이스트 탄성부재(28)는, 서로 세로방향(Y)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내면 시트(7)와 샘 방지 시트(10)와의 사이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웨이스트 탄성부재(28)에 의해 기저귀(1)를 착용자의 웨이스트에 피트시킬 수 있어, 웨이스트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한다.
웨이스트 탄성부재(28)는, 후단부(27)의 대략 중앙부분에 부착되며, 그 가로방향의 양단은, 접합부(19)까지는 도달되어 있지 않다. 접합부(19)의 가로방향(X) 내측에 있어서 웨이스트 탄성부재(28)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접합부(19)와 함께 비신축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기저귀(1)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플랩(16)의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를 외면 시트(8)에 걸림결합시켜서,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을 둘레방향으로 연결시킨다. 즉,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의 타깃으로서 외면 시트(8)인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에 의해 패스닝수단(3)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를 외면 시트(8)에 걸림결합시킬 경우,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 혹은 플랩(16)의 보강 시트(20)를 세로중심선(P-P)측으로 잡아당긴다.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 혹은 보강 시트(20)를 잡아당기면, 이것에 연속되는 플랩 탄성부재(24)가 신장된다.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를 걸림결합시킨 후에는, 플랩 탄성부재(24)가 가로방향(X)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플랩 탄성부재(24)가 수축하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가 플랩 탄성부재(24)측으로 잡아당겨져, 외면 시트(8)와의 사이에서 전단력이 발생한다. 외면 시트(8)는 세로방향(Y)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가 외면 시트(8)의 섬유에 파고들어가듯이 걸린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가 외면 시트(8)의 섬유에 걸림으로써, 이들의 걸림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이들의 걸림결합이 착용시에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신축부(23)의 플랩 탄성부재(24)에 의한 신축응력에 따라,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 간의 걸림결합력이 달라지는데, 신축부(23)의 신축응력은 0.2N 이상, 5.0N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응력이 0.2N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간의 걸림결합력이 거의 증가함이 없이 약한 상태이므로, 그 걸림결합이 벗겨져버린다. 신축응력이 5.0N보다 클 경우에는, 착용자의 웨이스트 전체에 대한 체결력이 커져, 피부 트러블이 생기거나, 착용자가 꼭 끼는 느낌을 받거나 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 간의 전단력의 강도와, 걸림결합력과의 관계가 표 1에 나타나있다. 샘플 부직포로서 스펀본드 부직포인 A 및 B를 이용하고, 각각의 부직포에 대해 30회의 측정을 행하여 그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샘플 부직포 A 및 B는 각각 평량(坪量)이 다르고, 훅 요소와의 걸림결합력의 경향이 다른 것을 이용하였다.
걸림결합력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훅 요소는 길이 100mm, 폭 30mm로 절단하고, 타깃이 되는 섬유 부직포는 길이 150mm, 폭 50mm로 절단한다. 절단한 섬유 부직포를 시험대에 올려놓고, 이 섬유 부직포에 훅 요소를 올려놓는다. 훅 요소 상으로부터 700g의 롤러를 1회 왕복시켜, 섬유 부직포와 훅 요소를 걸림결합시킨다. 섬유 부직포와 훅 요소에 100g, 300g 또는 500g의 전단력을 10초 동안 가한다. 시험대에 대해 135°방향에서 속도 300mm/min으로 필링(peeling)을 행하고, 그 필링을 했을 때 작용하는 저항으로부터 훅 요소와 섬유 부직포와의 걸림결합력(N)을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對照)를 위해 전단력이 0g, 즉 전단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샘플 부직포 A 및 B의 어느 경우에도, 전단력을 가하지 않는 대조의 경우에 비해, 전단력을 가한 쪽이 걸림결합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단력이 0g인 경우에는, 걸림결합력이 0.02N 이하인 샘플이 복수 확인된다. 걸림결합력이 0.02N 이하인 경우에는 섬유 부직포와 훅 요소가 벗겨져 버린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해명되어 있으므로, 전단력은 적어도 20g 이상으로 하며, 100g 이상, 50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를 확대한 것이며, 도 4는 제 1 훅 요소(21)의 평면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서는, 제 1 훅 요소(21)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훅 요소(21)와 제 2 훅 요소(22)는 동일한 구성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훅 요소(21)는 보강 시트(20)에 직교하는 축부(35)와, 축부(35)와 직교하는 갈고리부(36)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부(36)는 대략 타원형이며, 긴 지름(D)이 가로방향(X)으로 평행이 되도록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제 1 훅 요소(21)에 있어서 갈고리부(36)가 가로로 길게 배치됨으로써, 세로방향(Y)으로 배향된 외면 시트(8)의 섬유와 걸림결합되기 쉬워져, 그 걸림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36)의 배치 차이에 의한, 훅 요소와 섬유 부직포 간의 걸림결합력의 측정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걸림결합력의 측정은, 표 1의 측정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섬유 부직포와 훅 요소에 가하는 전단력은 300g으로 하고 있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샘플 1은 갈고리부(36)를 긴 지름(D)이 가로방향(X)과 평행이 되도록 가로로 길게 배치시킨 본 실시형태의 경우이며, 샘플 2는 긴 지름(D)이 세로방향(Y)과 평행이 되도록 세로로 길게 배치시킨 경우이다. 가로로 길게 배치시킨 샘플 1의 경우는 외면 시트(8)를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와의 걸림결합력이 0.09N이고, 세로로 길게 배치시킨 샘플 2의 경우는 0.02N이었다. 갈고리부(36)를 가로로 길게 배치시킨 쪽이, 세로로 길게 배치시킨 경우보다도 약 4.5배나 높은 걸림결합력을 나타내고 있다. 갈고리부(36)를 가로로 길게 배치시킴으로써, 섬유를 세로방향(Y)으로 배향시킨 섬유 부직포에 보다 많이 파고들어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깃 섬유 부직포의 섬유를 세로방향(Y)으로 배향시킴으로써 훅 요소와의 걸림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대략 타원형인 훅 요소의 갈고리부를 가로로 길게 배치함으로써, 그 걸림결합력을 한층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훅 요소의 가로방향(X) 내측에는, 가로방향(X)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부(23)를 형성함으로써, 훅 요소와 타깃 섬유 부직포를 확실하게 걸림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훅 요소와 타깃 섬유 부직포와의 걸림결합이 벗겨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훅 요소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제의 메커니컬 패스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고리부(36)로서 대략 타원형인 것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상의 갈고리부(36)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형상의 갈고리부(36)를 이용한 경우라도, 섬유 부직포의 섬유의 배향을 세로방향(Y)을 따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걸림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훅 요소와 타깃 섬유 부직포와의 걸림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섬유 부직포라도 타깃으로서 이용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섬유 부직포에 한정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랩 탄성부재(24)로서는, 실(絲)고무나 평(平)고무 등의 일반적인 고무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신축성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 신축부(23) 전체를 덮는 1장의 신축성 필름을 이용하면, 신축부가 두꺼워져 착용감이나 통기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가격도 상승된다. 특히 기저귀(1)가 크고, 플랩(16)의 면적이 넓은 어른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신축성 필름을 이용할 때에는 띠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이들을 이격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를 대신하여,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착용감이나 통기성을 고려하여, 띠형상의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내구성이나 가격을 고려할 때에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신축부(23)를 신축성 부직포와 비신축성 부직포의 복합구조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신축성 부직포로서, 예컨대 PP섬유와 우레탄섬유의 혼합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레치시킨 신축성 부직포에 비신축성 부직포를 서로 붙임으로써 신축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신축부(23)의 가로방향(X) 내측인 접합부(19)는, 플랩 탄성부재(24)가 부착되지 않고 비신축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합부(19)를 비신축부로 함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기저귀를 착용할 경우에는, 착용자의 엉덩이와 침대 사이에 기저귀(1)를 집어넣고, 플랩(16)을 잡아당겨 엉덩이와의 위치관계를 조절하면서,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를 외면 시트(8)에 걸림결합시킨다. 이때 플랩(16)에는 커다란 인장력이 작용하는데, 좌우의 플랩(16)에 걸쳐서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랩(16)을 아무리 잡아당겨도 엉덩이와의 위치조절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플랩(16)을 지나치게 잡아당겨서, 이것이 찢어져 버릴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신축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신축부를 직접 끼움지지하여 위치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합부(19)는, 플랩(16)을 형성하는 플랩용 시트(17, 18)와, 후측 웨이스트 영역(5)을 형성하는 내외면 시트(7, 8)의 총 4장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끼움지지하여 잡아당기더라도 찢어져 버리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섀시(2)와는 별도로 플랩(16)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섀시(2)에 직접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 및 신축부(23)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플랩 탄성부재(24)는 다리둘레 탄성부재(25)의 가로방향(X) 외측에 형성되도록 하였으므로,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플랩 탄성부재(24)가 다리둘레를 따라 U자형상이 된 다리둘레 탄성부재(25)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시킴으로써, 플랩 탄성부재(24)와 다리둘레 탄성부재(25)가 외관상 하나로 이어져, 레그 홀을 따라 한 바퀴를 이루도록 대략 환형상으로 둘러싸게 된다.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한 채로 웅크리거나 하였을 때, 기저귀(1)의 레그 홀이 크게 넓어지게 되는데, 레그 홀을 탄성부재(24, 25)로 둘러싸도록 하였으므로, 그 인장력이 레그 홀 전체에 분산되게 된다. 또한, 다리둘레 탄성부재(25)와 플랩 탄성부재(24)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함으로써, 레그 홀의 신장량(伸長量)을 늘릴 수 있어, 레그 홀 전체가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다.
도 5는 다리둘레 탄성부재만으로 레그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와,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플랩 탄성부재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인장력에 대한 변위를 측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상태, 즉 제 1 및 제 2 훅 요소를 타깃 부직포인 외면 시트에 걸림결합시킨 상태에서, 레그 홀에 2개의 측정막대를 삽입하여, 측정막대 중 하나는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때의 측정막대에 걸리는 인장력(N)과, 기저귀의 레그 홀의 변위량(mm)을 측정하였다.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 다리둘레 탄성부재만으로 레그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이며, 파선으로 나타낸 것이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플랩 탄성부재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이다. 실선 및 파선 모두 2줄의 선이 그려져 있는데, 도면 중 좌측 선이 인장력을 점점 강하게 했을 때, 즉 측정막대를 점점 더 이격시켰을 때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 선은 인장력을 점점 약하게 했을 때, 즉 한번 이격시킨 측정막대를 본래의 자리로 되돌렸을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경우에도 인장력이 5N을 초과하면 변위량은 거의 변화되지 않으나, 5N일 때의 변위량은 다리둘레 탄성부재만으로 레그 홀을 형성한 경우에는 약 75mm인데 비해,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플랩 탄성부재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한 경우에는 약 125mm로 약 1.7배가 신장되었다.
이상과 같이, 다리둘레 탄성부재(25)와 플랩 탄성부재(24)에 의해 레그 홀을 형성함으로써, 플랩(16)에 인장력이 집중되지 않게 되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와의 걸림결합부분을 전단하는 등의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시에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와 외면 시트(8)의 걸림결합이 벗겨져버리는 일이 없고,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4, 5)의 연결이 해제되는 일이 없다. 단, 착용자의 체격에 따라서는, 다리둘레를 따른 다리둘레 탄성부재(25)와 플랩 탄성부재(24) 간의 위치관계가 다소 어긋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부재(24, 25)에 의해 레그 홀이 둘러싸이게 된다. 다리둘레 탄성부재(25)와 플랩 탄성부재(24)에 의해 레그 홀을 둘러싸기 위해, 완전히 환형상이 될 필요는 없으며, 이들 탄성부재(24, 25)가 다소 이격되어 있거나 겹쳐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둘레 탄성부재(25)를 직선이 되도록 하여 부착시켰으나, 가랑이측 가장자리부(15)의 형상을 따라 만곡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피트되기 쉽고, 플랩 탄성부재(24)와 함께 환형상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레그 홀의 인장력을 분산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둘레 탄성부재(25)를 전측 가장자리부(13)측에서 만곡시키고, 후측 가장자리부(14)측에서 직선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후측 가장자리부(14)측에서 접합부(19)와 함께 비신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의 타깃으로서 루프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훅 요소와의 결합부위를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착용감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타깃으로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훅 요소를 타깃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타깃이 되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외면 시트(8)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루프 요소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다. 외면 시트(8) 전체가 타깃이 되므로, 훅 요소의 걸림결합위치가 규제되지 않아, 착용자의 체격 등에 맞추어 자유롭게 훅 요소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훅 요소와 타깃 부직포와의 걸림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부직포를 이용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타깃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중 하나는, 내면 시트(7)의 신체측 내면에, 추가로 샘 방지 커프(29)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플랩 탄성부재(24)의 부착위치에 있다. 이러한 특징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샘 방지 커프(cuff)(29)는, 섀시(2)의 전후단부(26, 27)에 걸쳐서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세로중심선(P-P)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가로방향(X)으로 마주보고 있다. 샘 방지 커프(29)는, 가로방향(X)으로 마주보며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내외측 가장자리(30, 31)와, 세로방향(Y)으로 마주보며 가로방향(X)으로 연장되는 전후단 가장자리(32, 33)를 포함한다. 외측 가장자리(31)를 내면 시트(7)에 접합하여 고정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내측 가장자리(30)는 접합없이 자유가장자리부로 하였다. 내측 가장자리(30)는, 가로방향(X) 외측으로 되접어져, 전후단 가장자리(32, 33)에 있어서 내면 시트(7)에 접합되어 있다. 내측 가장자리(30)에는, 세로방향(Y)으로 연장되는 커프 탄성부재(34)가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커프 탄성부재(34)가 수축됨으로써, 자유가장자리부가 내면 시트(7)로부터 기립하도록 이격되어, 소변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복수의 플랩 탄성부재(24)는, 그 부착간격이 세로방향(Y)에 있어서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즉, 플랩(16)을 도시한 것을 보면, 그 하방에서는 플랩 탄성부재(24)의 간격이 좁고, 상방에서는 간격이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하방에서의 플랩 탄성부재(24)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플랩(16)을 균등한 힘으로 잡아당겼을 경우라도, 플랩(16)의 하방, 즉 레그 홀 부근에서, 기저귀(1)에 의한 신체의 체결력이 커진다. 이에 반해, 플랩(16)의 상방, 즉 웨이스트측에서는 기저귀(1)에 의한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예컨대, 침대 등에 누워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에 대해서는, 누설 방지를 중시하며 기저귀(1)를 착용하기 때문에, 본 형태와 같이 레그 홀측의 체결력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플랩 탄성부재(24)의 간격이 플랩(16)의 하방에서 좁아지도록 되어 있지만, 그 상방에서 좁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서거나 앉거나 할 수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 유효하다. 즉, 움직이는 사람은 누설방지보다도 기저귀(1)의 어긋남을 중시하기 때문에, 웨이스트측에서의 체결력을 크게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플랩(16)의 신축부(23)의 신장 응력(應力)을 그 상하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맞는 착용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신축부(23)의 신장 응력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세로방향(Y)의 상하에서 플랩 탄성부재(24)의 신장 배율을 변화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신장 응력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른 부재에 비해 신장 배율을 높게 할 수 있고, 신장 응력을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른 부재에 비해 신장 배율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랩 탄성부재(24)의 굵기를 변화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신장 응력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른 부분에 비해 굵은 탄성부재(24)를 사용하고, 신장 응력을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른 부재에 비해 가느다란 탄성부재(24)를 사용할 수 있다.
신축부(23)의 신장 응력을 변화시키는 다른 수단으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제 1 및 제 2 훅 요소(21, 22)는, 플랩(16)의 상하단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어, 그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은 거의 균등하다. 이에 반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훅 요소(22)를 플랩(16)의 세로방향(Y)의 상방, 즉 제 1 훅 요소(21)측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플랩(16)의 하방에서 신장 응력이 커진다.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훅 요소(21)를 플랩(16)의 세로방향(Y)의 하방, 즉 제 2 훅 요소(22)측에 위치시켰을 경우에는, 플랩(16)의 상방에서 신장 응력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부(23)의 신장 응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체격이나 라이프 스타일 등에 따른 신장 응력을 가지는 것을 선택할 수 있어, 착용자 각각에 맞는 착용감을 실현할 수 있다.
1 : 기저귀
2 : 섀시
3 : 패스닝수단
4 : 전측 웨이스트 영역
5 : 후측 웨이스트 영역
6 : 가랑이 영역
7 : 내면 시트
8 : 외면 시트
13 : 전측 가장자리부
14 : 후측 가장자리부
19 : 접합부(비신축부)
21 : 제 1 훅 요소
22 : 제 2 훅 요소
23 : 신축부
24 : 플랩 탄성부재

Claims (6)

  1.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과, 신체측 내면 및 착의(着衣)측 외면과, 전측 웨이스트 영역, 후측 웨이스트 영역,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의 상기 가로방향으로 마주보며 상기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옆측 가장자리부를 서로 탈부착가능하게 연결하는 패스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패스닝수단에 의해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이 둘레방향으로 연결되는 착용물품으로서,
    상기 패스닝수단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훅 요소와, 상기 전후측 웨이스트 영역 중 다른 한 쪽에 형성되어 상기 훅 요소와 탈부착가능하게 걸림결합하는 타깃 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훅 요소의 상기 가로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신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신체측 내면을 형성하는 내면 시트와, 상기 착의측 외면을 형성하는 외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면 시트는, 상기 타깃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착용물품.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상기 가로방향 내측에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비(非)신축부가 상기 신축부와 연속하여 형성되는 착용물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섬유 부직포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섬유가 배향(配向)되는 착용물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옆측 가장자리부에 상기 세로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부착된 다리둘레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착용물품의 착용시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탄성부재와 함께 대략 환형상을 형성하는 착용물품.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또는 띠형상의 신축성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또는 상기 띠형상의 신축성 부직포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는 착용물품.
KR1020107019504A 2008-02-04 2008-11-20 착용물품 KR101536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4451 2008-02-04
JP2008024451A JP5328168B2 (ja) 2008-02-04 2008-02-04 着用物品
PCT/JP2008/071079 WO2009098811A1 (ja) 2008-02-04 2008-11-20 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77A true KR20100120677A (ko) 2010-11-16
KR101536721B1 KR101536721B1 (ko) 2015-07-14

Family

ID=4095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504A KR101536721B1 (ko) 2008-02-04 2008-11-20 착용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63185B2 (ko)
EP (1) EP2246020B1 (ko)
JP (1) JP5328168B2 (ko)
KR (1) KR101536721B1 (ko)
CN (1) CN101969907B (ko)
AU (1) AU2008349938B2 (ko)
BR (1) BRPI0820515A2 (ko)
WO (1) WO2009098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34775B (zh) * 2006-11-07 2013-04-17 Sca卫生用品公司 吸收制品
JP5549252B2 (ja) * 2010-02-08 2014-07-16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EP2647360B1 (en) * 2010-11-30 2018-06-20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2120571A (ja) * 2010-12-06 2012-06-28 Kao Corp 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5787689B2 (ja) * 2011-09-16 2015-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9993374B2 (en) * 2011-11-10 2018-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intermeshing flaps
JP2014073251A (ja) * 2012-10-04 2014-04-24 Uni Charm Corp 着用物品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JP6503337B2 (ja) * 2013-03-15 2019-04-17 ディーエスジー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パルプレス波面状芯を備えた吸収性物品
CN113230030B (zh) 2013-07-03 2023-11-28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吸收复合物、采用吸收复合物的吸收制品、制造吸收复合物和/或制品的方法、系统和装置
JP2014036902A (ja) * 2013-11-27 2014-02-27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着用物品
WO2015147870A1 (en) * 2014-03-28 2015-10-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astening system with reduced was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39053B1 (ja) * 2016-06-30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9052B1 (ja) * 2016-06-30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74643B2 (ja) * 2019-02-18 2022-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945646T3 (es) * 2021-02-22 2023-07-05 Fameccanica Data Spa Un laminado elástico continuo extensible transversalmente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US20240033136A1 (en) * 2021-03-02 2024-02-0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absorbent hygiene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903A (ja) * 1984-03-17 1985-10-09 本州キノクロス株式会社 使捨ておむつ
JPH01168510A (ja) 1987-12-24 1989-07-04 Tokico Ltd 車高調整装置
JPH01168510U (ko) * 1988-05-13 1989-11-28
US5326612A (en) * 1991-05-20 1994-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327857B (en) * 1997-08-01 2001-09-26 Ykk Europ Ltd A disposable nappy
US6589638B1 (en) * 1997-09-15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useful as an ideal loop fastener component
US6045543A (en) * 1997-11-05 2000-04-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lignment indicators for use with personal care articles
EP0979639A1 (en) * 1998-08-13 2000-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fibrous loop member
JP4205820B2 (ja) * 1999-09-28 2009-01-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4073613B2 (ja) * 2000-09-01 2008-04-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裏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20030069557A1 (en) * 2001-10-10 2003-04-10 Stacy Driskell Absorbent garment with integrated elastiziced connector tabs and waistline
WO2003034966A1 (en) * 2001-10-25 2003-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landing zone graphics
US6692477B2 (en) * 2001-12-12 2004-02-17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garment tab having zones of different elasticity
JP2003180748A (ja) 2001-12-17 2003-07-02 Daio Paper Corp 不織布製ターゲット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8007485B2 (en) * 2001-12-31 2011-08-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fastening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JP3830472B2 (ja) * 2003-07-24 2006-10-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640356B2 (ja) * 2003-07-30 200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672649B2 (ja) * 2004-02-23 2011-04-20 株式会社瑞光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4429039B2 (ja) * 2004-03-02 2010-03-1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4515802B2 (ja) 2004-03-31 2010-08-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スト締結手段を有する着用物品
US20060058772A1 (en) * 2004-09-10 2006-03-16 Hamzeh Karami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opless fastening system
US20060241560A1 (en) * 2005-04-22 2006-10-26 Chang Kuo-Shu E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CA2613648C (en) * 2005-06-29 2012-10-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n unapertured skinless elastomeric layer
JP2007075277A (ja) * 2005-09-13 2007-03-29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US20070066950A1 (en) * 2005-09-21 2007-03-22 Nelson Todd L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with elastic ears
WO2007059933A2 (de) * 2005-11-23 2007-05-31 Wilfried Fenske Anatomisch geformte, hochelastische elemente für babywindeln und inkontinenzproduk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49938B2 (en) 2014-06-05
EP2246020A1 (en) 2010-11-03
AU2008349938A1 (en) 2009-08-13
JP2009183364A (ja) 2009-08-20
US20110046597A1 (en) 2011-02-24
BRPI0820515A2 (pt) 2015-06-16
EP2246020B1 (en) 2015-01-07
KR101536721B1 (ko) 2015-07-14
CN101969907A (zh) 2011-02-09
US8663185B2 (en) 2014-03-04
EP2246020A4 (en) 2011-12-28
CN101969907B (zh) 2014-08-06
JP5328168B2 (ja) 2013-10-30
WO2009098811A1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0677A (ko) 착용물품
JP36403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7833207B2 (en) Pants-type wearing article
KR100784775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TWI272939B (en) Wearing article
RU2598311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разделяемым крепежным элементом
JP4108616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3078371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3070820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528753B2 (ja) 紙おむつ
JP2005270359A (ja) 開閉式使い捨てパンツ
JP578768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482426B2 (ja) 使い捨ておむつ
MX2011000595A (es) Metodo para elaborar un articulo de uso y este articulo de uso.
JP5658926B2 (ja) 吸収性物品
JP5773643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22209034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211618U (ja) パンツ型着用物品
JP2009273732A (ja) パンツ型着用物品
KR20090046889A (ko) 종이 기저귀
JP2005270360A (ja) 開閉式使い捨てパンツ
JP2014237056A (ja) 吸収性物品
JP2012045250A (ja) 吸収性物品
JP2012115462A (ja) 吸収性物品
JP2012070771A (ja) 止着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