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24A -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24A
KR20100116524A KR1020097022813A KR20097022813A KR20100116524A KR 20100116524 A KR20100116524 A KR 20100116524A KR 1020097022813 A KR1020097022813 A KR 1020097022813A KR 20097022813 A KR20097022813 A KR 20097022813A KR 20100116524 A KR20100116524 A KR 20100116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ison
cut
mold
line
b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678B1 (ko
Inventor
다카오 구로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492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37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1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64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1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8643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0011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Abstract

병 형상의 합성수지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품에 있어서, 바닥부의 저면에 남아 형성되는 3개 이상의 컷 오프 선을, 저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을 분산 감소시키고, 이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해 바닥부 내면에 형성되는 함몰 오목부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또한, 사각통 형상에 있어서는, 4개의 컷 오프 선을 열십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저면의 대각선상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대각선의 1개를 파팅라인상에 위치시켜, 국부 연신 성형되는 바닥부의 다리부에 대해, 각 컷 오프 선의 선단을 근접시키고, 이로써 다리부에 있어서의 연신량을 작게 하여, 극단적인 얇은 두께 발생을 방지하였다. 또한, 몸통부의 각 능선을 동일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네 개의 상기 능선 중, 대향한 두 개의 능선 위에 파팅라인을 위치시켜, 파팅라인에 의해, 몸통부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게 하였다.

Description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BLOW-MOLDED CONTAINER AND MO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이렉트 블로우(direct blowing)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제 블로우 성형 용기와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출기로부터 밀려나온 통 형상의 패리슨(parison)을, 한 쌍의 블로우 금형에 끼워 넣고, 이 끼워 넣은 패리슨을 용기로 블로우 성형하는 것인데, 이 때, 패리슨의 한쪽의 개구부분은, 금형에서 편평하게 찌부러져 용착되는 동시에, 컷 오프(cut-off)되어 컷 오프부로 성형되며, 바닥부의 일부로 성형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07-214653 호
이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부에서의 컷 오프부는, 일반적으로는, 바닥부의 저벽 외면에 거의 돌출하는 일 없이, 잘라낸 흔적으로서 직선 형상으로 남아있는 컷 오프 선으로서 형성되는 데, 이 컷 오프 선에 대향하는 저벽의 내면 개소에는, 특허문헌 2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함몰 오목부(dent)가 성형된다.
이 저벽의 내면에 형성되는 함몰 오목부는, 용기로 블로우 성형되는 패리슨 부분으로부터 잘라 제거되는, 패리슨 절제 부분(parison cut-off part)으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블로우 금형으로부터의 냉각을 받는 일이 적은 패리슨 절제 부분으로부터의 열작용에 의해, 이 패리슨 절제 부분에 대향하는 저벽부분에, 냉각 고화(固化)의 지연이 발생하고, 이 냉각 고화의 지연에 의한 후수축에 의해 발생한다.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06-024431 호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부에서의 컷 오프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4는 용기를 기울기 하방으로부터 본 전체 외관 경사도, 도 15는 그 저면도, 도 16은, 도 15중, E-E선 및 F-F선 를 따라서 절단하여 화살표로 도시한,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블로우 성형 용기는, 상단에 어깨부(2a)를 사이에 두고 입구부(1a)를 연이어 설치한 몸통부(3a)의 하단에, 바닥부(4a)를 연이어 설치하여 구성되고, 바닥부(4a)는, 조금 만곡하여 용기내에 함몰한 저벽(5a)으로 구성되고, 저벽(5a)의 둘레단부인 하단부를 다리부(7a)로 하고 있다.
저벽(5a)의 외면(13a)의 중앙에는, 이 외면(13a)을 횡단하는 형태로, 또한 파팅라인(parting line)(P)과 겹쳐져 컷 오프 선(9a)이 위치하고 있고, 저벽(5a)의 내면(14a)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 형태가 크게 상이하다.
즉, E-E선을 따른 저벽(5a) 부분은, 벽 두께의 변화가 대부분 없는데 비하여, F-F선을 따른 저벽(5a) 부분은,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수반하는 연신 변형의 영향에 의해, 다리부(7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벽 두께가 감소하므로, 내면(14a)은, 중앙에, 직선 형상으로 횡단하는 봉우리 부분을 설치한, 요철이 있는 형상이 된다.
또한, 컷 오프 선(9a)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후(後)수축에 의한 함몰 오목 부(15a)가 성형되지만, 이 종래기술에서의 함몰 오목부(15a)는, 컷 오프 선(9a)의 전체 길이에 대향하여 홈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컷 오프 선(9a)이 한 개의 직선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으므로, 패리슨 절제 부분으로부터의 열 영향이, 컷 오프 선(9a)의 전체 길이범위에 걸쳐서 균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저벽(5a)의 내면(14a)은, 중앙에 횡단 형상으로 봉우리 형상 부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봉우리 형상 부분의 정수리부에 홈 형상의 함몰 오목부(15a)를 형성하는 것이 되고, 또한 함몰 오목부(15a)는, 패리슨의 두께를 크게 한 경우, 패리슨 절제부의 용량이 커지므로, 그 만큼, 함몰 정도가 커진다.
또한, 몸통부가 사각통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 몸통부를 바닥부와의 경계 부분인 다리부는, 그 벽 구조가 예각적으로 굴곡하는 것이 되므로, 국부 연신 성형되기 쉬운 부분이 되고 있다. 한편, 이 특허문헌의 기술에 있어서는, 한 쌍의 분할 금형으로 패리슨을 핀치 오프하므로, 성형되는 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에 의한 컷 오프 흔적인 컷 오프 선은 파팅라인상에 위치하게 된다.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07-016912 호
이 경우, 컷 오프 선(9)의 길이는 패리슨 외형의 1.6배가 되므로, 도 6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이 컷 오프 선(9)의 단부로부터 파팅라인(P)상의 다리부(7)까지의 거리는 짧고, 이 때문에 다리부(7) 부분이 국부 연신에 의해 성형되는 부분이더라도, 국부 연신 성형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는 적다.(도 5(a) 참조).
이에 대해서, 컷 오프 선(9)과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대각선(t)상에 위치하는 다리부(7)의 모서리부(8)는, 컷 오프 선(9)으로부터의 거리가 크고, 이 때문에 국부 연신 변형이 집중하게 되어, 국부 연신 성형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가 극히 현저하게 된다(도 5(b) 참조).
또한, 성형되는 블로우 성형품은, 개폐하는 한 쌍의 분할 금형으로부터의 형 분리의 관계 때문에, 형 분리시에 금형에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구조로 제한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이, 패리슨을, 단순하게 좌우로부터 찌부러뜨리고, 한 개의 직선 형상의 컷 오프 선을 형성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저벽의 내면은, 중앙 횡단 형상으로 위치하는 봉우리 형상 부분과, 이 봉우리 형상 부분의 정수리부의 홈 형상의 함몰 오목부에 의해, 요철 정도가 큰 표면이 되고, 이 때문에 용기 전체를 투명 혹은 반투명으로 성형하면, 이 큰 요철 정도가 용기의 외부로부터 보여 버려, 상품으로서의 용기의 외관 체재를 크게 열화시킬 우려가 있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병과 비슷한 딱딱함을 나오게 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두께를 크게 하면 좋은 것이지만, 이 경우, 패리슨 전체의 두께가 커져, 이것에 따라서 저벽의 내면의 요철 정도는 더 커지므로, 용기의 외관 체재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덧붙여, 종래의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블로우 성형 용기에 있어서는, 바닥부의 파팅라인상에 위치하는 모서리부가 두께가 얇아져, 이 때문에 용기의 바닥부로서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유리와 비슷한 딱딱함을 나오기 하기 위해서 전체의 두께를 크게 하면, 상기한 바닥부의 다리부의 두께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패리슨 전체의 두께가 커져, 성형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병과 비슷한 크리스탈(crystal)감을 얻기 위해서, 상술과 같이 전체를 투명하게 한 경우, 바닥부에서의 상기한 다리부의 극단적인 두께 변화가, 외관으로서 출현하므로, 이 극단적인 두께 변화가 미관을 손상시키고, 위화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에 더하여, 성형되는 블로우 성형품은, 형 분리시에 금형에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구조로 제한되므로, 전체 형상에 변화가 부족해지기 쉬어져서, 이 때문에 외관 체재가 재미가 부족한 불만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투명 혹은 반투명인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품에 있어서, 컷 오프 선이 형성되는 저벽의 내면의 요철 정도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저벽내면의 요철 정도에 의해, 용기의 외관 체재를 열화시키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부의 다리부에 있어서의 국부 연신 변형 정도를 억제하는 동시에 균등화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상기한 다리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품의 몸통부를, 형 분리시에 금형에 걸릴지도 모르는 부분을 갖게 되는 사각 나선 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따라서 사각 나선 통체의 외관 체재의 재미를, 용기의 외관 체재로서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을,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서는, 하단을 바닥부로 막은 통 형상의 몸통부의 상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원통형상의 입구부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하고, 상기 바닥부의 저벽에 남아 형성되는 잘라낸 흔적인 컷 오프 선을 3개 이상 설치하고, 이 3개 이상의 컷 오프 선은, 저벽 외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잘라낸 흔적인 컷 오프 선은, 3개 이상이, 저벽 외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컷 오프를 위해서 패리슨을 불러모으는 부분이, 3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분산하게 되는 동시에, 저벽 외면의 중심부에 집중한다.
이 때문에, 각 컷 오프 선에, 대향하여 연결되어 있는 각 패리슨 절제부 부분은, 그 용량이 작아져,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저벽의 내면 부분에 대한 열 영향이 작아지지만, 반면, 저벽의 중심부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이 저벽 중심부분에 있어서의 패리슨 절제부 부분의 실질적인 용량은 커져,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저벽의 내면 중심부분에 대한 열 영향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저벽의 내면에 있어서는, 컷 오프 선이 집중하는 부분에 대향하는 중심부분에, 패리슨 절제부로부터 열 영향이 냉각의 지연에 의한 후수축으로서 나타나, 함몰 오목부가 형성되게 되지만, 다른 컷 오프 선에 대향하는 부분은,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구성은, 제 1 구성에 더하여, 상기 몸통부는 사각통 형상으로 컷 오프 선을 4개 갖고, 4개의 상기 컷 오프 선을 열십자로 배열하여, 이 컷 오프 선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한 쌍 중 1개를, 파팅라인상에 위치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각 컷 오프 선이 연결되는 패리슨 절제부의 용량을, 종래의 절반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저벽의 중심부를 제외한 내면의 컷 오프 선에 대향하는 부분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의 열 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블로우 분할 금형과, 패리슨을 컷 오프하는 핀치 오프부를 갖는, 4분할된 바닥 금형의, 동기(同期)한 연동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구성은, 제 2 구성에 더하여, 몸통부의 각 능선(edge line)을 동일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네 개의 능선 중, 대향한 두 개의 능선상에 파팅라인을 위치시킨 것이 되고 있다.
즉, 몸통부는 사각 나선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외관체재에, '뒤틀림'으로부터 받는 동적인 요소, 즉 동일 평면에서도, 그 장소가 다른 것에 의한 외관 체재의 변화가 발휘된다.
몸통부에 있어서의 파팅라인은, 몸통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능선 중, 대향한 두 개의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능선이 형성하는 모서리부와 겹쳐진 상태가 되어, 이 때문에 파팅라인이 몸통부의 외관으로서 눈에 띄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 4 구성은, 상술한 제 2 혹은 제 3 구성에 더하여, 컷 오프 선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한 쌍의 각각을, 두 개의 대각선상에 위치시켰다고 하는 것이다.
4개의 컷 오프 선을 두 개의 대각선상에 위치시킨 것에 있어서는,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된 각 컷 오프 선의 선단은, 각각이 다리부의 모서리부에 대해서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각 컷 오프 선의 선단 부근에 위치한 패리슨 부분은, 크게 연신 변위하는 일 없이, 바닥부의 모서리부에 국부 연신 성형되게 되어, 이 모서리부 부분에 있어서의 국부 연신 변형에 의해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국부 연신 변형 정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신 성형 그 자체를 무리 없이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모서리부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몸통부의 두께의 균일화, 특히 능선 부분의 두께의 균일화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몸통부를 '비틀림' 변형시켰을 때는, 균등한 '비틀림' 변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구성은, 상술의 어느 쪽인가의 구성에 더하여, 전체를, 함부로 휨변형하지 않는 딱딱함을 발휘하는 두께로 한 것이다.
전체를, 함부로 휨 변형하지 않는 딱딱함을 발휘하는 두께로 한 것에 있어서는, 다리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국부 연신 변형 정도가 충분히 억제되어 있으므로, 비록 두께가 커져도, 다리부의 성형성이 저하할 우려는 없다.
또한, 두께가 커지는 만큼, 패리슨 절제부의 용량도 커지므로, 저벽 내면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의 열 영향이 커지지만, 이 커진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은, 패리슨 절제부의 가장 용량의 큰 부분, 즉 중앙 부분에 집중하여 작용하게 되어, 이것에 의해 패리슨 절제부의 중앙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부터의 열 영향은, 완화되어 작아진다.
게다가, 성형품 전체에, 유리나 도자기를 닮은 질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구성은, 상술의 어느 쪽인가의 구성에 더하여,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한 것이다.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한 것에 있어서는, 용기 전체에 크리스탈감을 출현시킬 수 있는 상태에서, 다리부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가 억제된 것이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관찰되는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로 위화감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또한, 몸통부가 사각통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사각통이라는, 각이 있는 구조와, 투명 혹은 반투명이라고 하는 조합에 의해, 성형품에, 광학적으로 크리스탈 효과를 출현시킬 수 있고, 특히 두께를 크게 한 것이라는 조합에 있어서는, 유리병을 닮은 질감을 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구성은, 하단을 바닥부로 막은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의 상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원통형상의 입구부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한 구조를 갖고,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형 분리 후의, 열변형 가능한 온도가 되고 있는 형 분리성형품에 대해, 상기 형 분리 성형품의 어깨부와 바닥부와의 사이에, 상기 형 분리 성형품의 가상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원하는 중심각도의 '비틀림' 변위를 주어, 상기 몸통부를 나선 통 형상으로 성형한다고 하는 것이다.
형 분리 성형품에 있어서의 몸통부는, 직선 사각통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이 형 분리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금형은, 통상의 분할 금형 구조로 좋고, 특수한 금형 구조로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형 분리 성형품의 몸통부의 나선 통 형상에의 성형은, 이 형 분리 성형품의 몸통부에 '비틀림'을 주는 것에 의해 달성하므로, 몸통부의 나선 정도를 자유롭게 또한 간단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8 구성은, 제 9 구성에 더하여, 형 분리 성형품의 어깨부와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는 패리슨 절제부를 지지하고, 상기 어깨부와 바닥부와의 사이에 '비틀림' 변위를 주는 것이다.
패리슨의 절제부를 지지하고, 어깨부와 바닥부와의 사이에 '비틀림' 변위를 주는 것에 있어서는, 불용(不用) 성형 부분에서, 성형품 완성시에는 제거되는 패리슨 절제부를, 몸통부를 '비틀림' 변형시키기 위한 외력의 작용 부분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비틀림'을 위한 외력의 '작용자국'이 생겼다고 해도, 이 '작용자국'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은 없다.
'비틀림'을 위한 외력 작용 부분은, 패리슨 절제부에 특정된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형 분리 성형품의 일부(예를 들면 입구부나 바닥부)라도 좋고, 패리슨 절제부와 형 분리 성형품의 일부와의 조합이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이 되고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 있어서는, 저벽의 내면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은, 중앙 부분에 대해서는, 냉각의 지연에 의한 후수축으로서 나타나, 함몰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되지만, 다른 부분은,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대해서 후수축은 충분히 작게 할 수 있고, 저벽의 내면은 중앙 부분만이 함몰되고, 그 외는 대략 평활하게 된 형상이 되어, 이것에 의해 외관이 요철이 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투시된 저벽의 내면 형상이, 용기의 외관 체재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 2 구성에 있어서는, 4개의 컷 오프 선을 열십자로 배치하고, 이 컷 오프 선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한 쌍 중 1개를, 파팅라인상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벽내면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을, 중심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 잃을 수 있으므로, 저벽내면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평활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한 한 쌍의 블로우 분할 금형과 패리슨을 자르는 핀치 오프부를 갖는, 4분할된 바닥 금형의, 동기한 연동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용기가 안정된 양호한 성형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구성에 있어서는, 몸통부에 있어서의 파팅라인은, 능선의 모서리부와 겹쳐져 몸통부의 외관으로서 눈에 띄는 일이 없기 때문에, 몸통부가 나선 통 형상이더라도, 파팅라인이 외관 체재를 열화시킬 우려가 없는, 블로우 성형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구성에 있어서는, 바닥부 다리부의 모서리부 부분에서의 국부 연신 변형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극단적으로 두께가 얇은 바닥부의 모서리부가, 용기의 외관 체재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없고, 바닥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극단적인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부족 발생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덧붙여, 바닥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국부 연신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신 변형 그 자체를 무리없이 달성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안정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각 컷 오프 선의 선단을 대각선상의 모서리부 부분에 근접시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극단적인 국부 연신이 발생하기 쉬운 대각선상의 모서리부 부분에서의 국부 연신 변형의 발생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를 '비틀림' 변형시켰을 때에 균등한 '비틀림' 변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축대칭이 되어 외관 체재가 좋은 사각 나선 통 형상의 몸통부를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구성에 있어서는, 비록 두께가 커져도, 바닥부의 다리부의 성형성이 저하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두께를 크게 한 딱딱한 용기를, 무리없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저벽 내면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로부터의 열 영향이, 중앙 부분에 작용하고, 다른 부분에는 완화되어 작아지므로, 두께로서도, 저벽 내면의 요철이 커지는 일은 없고, 유리병을 닮은 딱딱함과 외관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성형품 전체에 유리나 도자기를 닮은 질감을 줄 수 있으므로, 고급감이 풍부한, 블로우 성형 용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구성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관찰되는 바닥부에서의 모서리부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는 정도로, 위화감을 일으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두께를 크게 한 딱딱한 용기를, 무리없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가 사각통 형상의 것에 있어서는, 사각통이라는, 각이 있는 구조와, 투명 혹은 반투명이라고 하는 조합에 의해, 성형품에, 광학적으로 크리스탈 효과를 출현시킬 수 있고, 특히 두께를 크게 한 것과의 조합에 있어서는, 유리병을 닮은 질감을 출현시킬 수 있으므로, 변화가 풍부한, 크리스탈 장식 효과를 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구성에 있어서는, 형 분리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블로우 금형은, 통상의 분할 금형 구조로 좋고, 특수한 금형 구조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성형이 간단한 동시에, 염가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형 분리 성형품의 몸통부의 나선 통 형상에의 성형은, 자유롭게 또한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실시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 8 구성에 있어서는, 몸통부를 '비틀림' 변형시키기 위한 외력의 '작용자국'이 생겼다고 해도, 이 '작용자국'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은 없기 때문에, 나선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블로우 성형 용기를 안전하게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도 3중, A-A선 를 따라서 일부 세로로 자른 사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패리슨 컷 오프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예의 일부를 세로로 자른, 사시 부분 측면도이고, (a)는 도 6중, B-B선에 따른 파선도, (b)는 도 6중, C-C선을 따른 파단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종래예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실시예 중 도 8의 A-A선 및 B-B선을 따라서 세로로 자른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 중 패리슨 절제부가 부착한 상태의 하방으로부터 기울려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 중 도 12의, C-C선 및 D-D선을 따라서 세로로 자른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종래예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종래예 중 도 15의 E-E선 및 F-F선을 따라서 세로로 자른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성형방법의 설명에 제공하는 전체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 : 입구부 2, 2a : 어깨부
3, 3a : 몸통부 4, 4a : 바닥부
5, 5a : 저벽 6 : 저면
7, 7a : 다리부 8 : 모서리부
9, 9a : 컷 오프 선 10 : 바닥 분할 금형
11 : 핀치 오프부 12 : 패리슨
13, 13a : 외면 14, 14a : 내면
15, 15a : 함몰 오목부 16 : 패리슨 절제부,
17 : 통면 18 : 능선
19 : 형 분리 성형품 t : 대각선
P : 파팅라인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예를, 도 1 내지 도 3, 도 7 내지 도 13,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하단을 바닥부 (4)로 막은 정사각통 형상의 몸통부(3)의 상단에, 어깨부(2)를 사이에 두고, 외주면에 나사조를 새겨 설치한 원통형상의 입구부(1)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4)는, 그 주체 부분인 저벽(5)의 하면인 저면(6)을, 완만하게 만곡하여 조금 함몰하는 것에 의해, 주위에 다리부(7)를 형성하는 오목 곡면으로 하고 있고, 이 저면(6)에는 패리슨의 잘라낸 흔적인 4개의 컷 오프 선(9)이, 잔존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컷 오프 선(9)(이하, 도 3 참조)은,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직선 형상으로 나열된 한 쌍의 컷 오프 선(9)의 각각은, 정사각형 형상의 저면(6)에서, 가상의 다른 대각선(t)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하나의 대각선(t)은, 파팅 라인(P)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블로우 성형 용기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고, 패리슨(12)을 압출기로부터 다이스를 사이에 두고 압출하고, 이 패리슨(12)을 2분할의 분할 금형이 형 체결하여 끼워 넣고, 이 분할 금형의 캐비티의 저변에 배치된 날부인 핀치 오프부로 패리슨(12)의 하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열용착 시일하고, 금형의 상부에서는 패리슨 커터로 통 형상의 패리슨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체의 패리슨(12)을 형성하고, 이어서 분할 금형의 정수리부로부터 삽입하는 에어 노즐에 의해서 블로우 에어를 패리슨(12)에 불어넣어, 블로우 성형한다.
여기서, 블로우 성형 금형 중,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부(4)를 성형하는 부분을 4분할한, 바닥 분할 금형(10)(도 4 참조)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열십자 형상의 컷 오프 선(9)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로우 성형용기의 바닥부(4) 이외의 부분, 즉, 몸통부(3), 어깨부(2), 그리고 입구부(1)에 상당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본체 분할 금형은, 종래대로 2분할한 것을 사용한다.
도 4는, 각각이 날부인 핀치 오프부(11)를 가진, 4분할의 바닥 분할 금형 (10)에 의한 패리슨(12)의 핀치 오프 공정을 저면도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우선 4분할된 바닥 분할 금형(10)의 각각의 코너부가, 패리슨(12)에 대향하고(도 4(a)), 패리슨(12)의 중심축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도 4(b)), 패리슨(12)이 열십자 형상으로 핀치 오프되고(도 4(c)), 결과적으로 패리슨(12)의 바닥부(4)의 외면(13)에 열십자 형상의 컷 오프 선(9)이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것은, 파팅라인(P)이다.
이와 같이, 패리슨(12)을, 네 개의 핀치 오프부(11)로 열십자 형상으로 잘라 유지한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면, 성형되는 다리부(7)중, 가상의 연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모서리부(8)이더라도, 그 두께의 차이가 작게 억제되어 있다(도 3 참조).
PET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두께 용기에 성형한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조를 새겨 설치한 입구부(1)의 외형이 16mm, 안지름이 10mm이고, 몸통부(3)의 높이가 650mm, 각 변의 벽의 폭이 27mm, 각 벽의 중앙부의 두께가 2.5mm, 각 벽의 능선에 가까운 부분의 두께가 1.5mm이고, 그리고 바닥부(4)의 저벽 (5) 중앙부의 두께가 3mm, 다리부(7)의 변 부분 중앙부의 두께가 4mm, 모서리부(8)에 있어서의 두께가 2mm이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십자 형상이 된 컷 오프 선(9)의 교차점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저벽(5)의 내면측 중앙 부분은, 그 주위보다 움푹 패여 성형되어 있는 데, 이것은 바닥 분할 금형(10)의 핀치 오프부(11)로 잘라지는, 패리슨(12)의 절제 부분으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해, 냉각 속도의 지연이 중앙 부분에 집중하여, 이것에 의해 냉각의 지연에 의한 후수축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 2 실시예는, 하단을 바닥부(4)로 막은 정사각통 형상의 몸통부(3)의 상단에, 어깨부(2)를 사이에 두고, 외주면에 나사조를 새겨 설치한 원통형상의 입구부(1)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4)는, 그 주체 부분인 저벽(5)의 하면인 저면(6)을, 완만하게 만곡시 켜, 조금 함몰시키는 것에 의해, 주위에 다리부(7)를 형성하는 오목 곡면으로 하고 있다. 이 저면(13)에는 패리슨 잘라낸 흔적인 4개의 컷 오프 선(9)이, 잔존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각 컷 오프 선(9)(이하, 도 8 참조)은,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직선 형상으로 나열된 한 쌍의 컷 오프 선(9)의 각각은, 정사각형 형상의 외면(13)에서, 가상의 다른 대각선(t)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하나의 대각선(t)은, 파팅라인(P)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로우 성형 용기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로우 성형 용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다.
이 때, 핀치 오프부에서 패리슨(12)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잘라낸 형상으로 구획된 패리슨(12)의 하부 부분은, 이 패리슨(12)의 본체 부분에 부착한 상태에서 패리슨 절제부(16)(도 10 참조)가 되어 있고, 이 패리슨 절제부(16)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이 완료되어 형 분리된 용기로부터, 비틀어 떼는 형상으로 제거된다.
여기에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부(4)를 성형하는 부분을 4분할한 바닥 분할 금형(10)(도 4 참조)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열십자 형상의 컷 오프 선(9)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는, 각각이 날부인 핀치 오프부를 가진, 4분할의 바닥 분할 금형에 의한 패리슨의 핀치 오프 공정을 저면도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패리슨(12)을, 네 개의 핀치 오프부(11)로 열십자 형상으로 잘라 유지한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면, 성형되는 다리부(7)중, 네 개의 '변'부분은, 가상의 연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크게 두께를 감소시키는 일 없이 블로우 성형되는(도 9 (b)) 것에 대해, 이 '변'부분에 비해 연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모서리부(8)이더라도, 핀치 오프부(11)에 의해 성형되는 컷 오프 선(9)의 선단에 가까운 시일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연신량(stretching amount)이 작아져, 이것에 의해 두께의 감소 정도가 작게 억제되고 있다(도 9(a) 참조).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컷 오프 선(9)을 사이에 두고 저벽(5)에 접속하고 있는 패리슨 절제부(16)로부터의 열 영향은, 컷 오프 선(9)이 집중하는 중앙 부분에서는 강해지지만, 각 컷 오프 선(9) 부분에서는 중앙 부분에 열 영향이 집중하게 되어, 종래의 절반 이하가 된다.
이 때문에, 저벽(5)의 내면(14)은, 중앙 부분에 패리슨 절제부(16)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한 후수축으로 함몰 오목부(15)가 성형되지만, 중앙부분 이외의 컷 오프 선(9)에 대향하는 부분은, 패리슨 절제부(16)로부터의 열 영향에 의한 후수축을 억제할 수 있어(도 9(a) 참조), 요철이 대부분 성형되지 않는다.
패리슨(12)의 두께를 크게 하여 유리병 감을 출현시키고 싶은 경우, 두께가 커진 만큼, 저벽(5)의 내면(14)에 대한 패리슨 절제부(16)로부터의 열 영향도 커지지만, 실제로는 중앙부분에 함몰 오목부(15)가 성형될 뿐이고, 각 컷 오프 선(9)에 대향하는 부분은, 열 영향에 의한 후수축의 흔적이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패리슨(12)의 두께가 커진 만큼, 패리슨 절제부(16)로부터의 열 영 향의 중앙부분에의 집중 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각 컷 오프 선(9)에 대향하는 부분에 작용하는 열 영향이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의 몸통부(3)를 갖고 있고, 저벽(5)의 외면(13)에는, 컷 오프 선(9)이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컷 오프 선(9)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은, 파팅라인 (P)상에 위치(도 12 참조)하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2 실시예와 같이, 저벽(5)의 내면(14)은, 그 중앙부분에 함몰 오목부(15)가 성형되지만, 다른 부분은 대부분 요철이 없는 원활면이 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다리부(7)의 각 부는 연신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으므로, 그 두께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동일해질 것이지만, 핀치 오프 동작시에, 각 컷 오프 선(9)의 선단부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형성되므로, 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형성된 만큼, 각 컷 오프 선(9)의 선단에 대향하는 다리부(7) 부분(도 13 (a) 참조)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조금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있어서는, 저벽(5)의 내면(14)의 중앙부분에 만곡하여 함몰하는 함몰 오목부(15)가 형성되므로, 이 함몰 오목부(15)를 흡상(吸上) 펌프의 흡상 파이프의 하단 개구부를 위치시키는 부분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내용액을 마지막까지 낭비없이 빨아올리는데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4개의 컷 오프 선(9)을 설치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컷 오프 선(9)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일 없이, 3개나 5개 등의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몸통부를 구성하는 각통의 모서리 수만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하단을 바닥부(4)로 막은 정사각통 형상의 몸통부(3)의 상단에, 어깨부(2)를 사이에 두고, 외주면에 나사조를 새겨 설치한 원통형상의 입구부(1)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체를 투명하게, 또한 함부로 휨 변형하지 않는 두께로 성형되어 있다.
몸통부(3)는, 네 개의 각 능선(18)을 동일한 나선 형상으로 한 사각 나선 통 형상이 되어 있고, 각 능선(18) 및 통면(17)은, 가상의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향하는 능선(18)끼리 및 통면(17)이 축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 네 개의 능선(18)중, 대향한 두 개의 능선(18)상에는, 용기를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할 때의 금형 맞춤면 자국인 파팅라인(P)이 위치하고 있지만, 이 파팅라인(P)은, 능선(18)의 모서리부와 겹쳐진 상태가 되므로, 외관상 전혀 눈에 띄는 일이 없고, 몸통부(3)의 파팅라인(P)이, 용기의 외관 체재를 열화시키는 일은 없다.
바닥부(4)는, 그 주체 부분인 저벽의 하면인 저면(6)을, 완만하게 만곡하여 조금 함몰하는 것에 의해, 주위에 다리부(7)를 형성하는 오목 곡면으로 하고 있고, 이 저면(6)에는 패리슨의 잘라낸 흔적인 4개의 컷 오프 선(9)이, 잔존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각 컷 오프 선(9)(이하, 도 17과 도 21을 참조)은,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되 어 있고, 직선 형상으로 나열된 한 쌍의 컷 오프 선(9)의 각각은, 정사각형 형상의 저면(6)의 가상의 다른 대각선(t)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하나의 대각선(t)은, 파팅라인(P)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블로우 성형 용기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고, 패리슨(12)을 압출기로부터 다이스를 사이에 두고 압출하고, 이 패리슨 (12)을 2분할의 분할 금형이 형을 체결하여 끼워 넣고, 이 분할 금형의 캐비티의 저변에 배치된 날부인 핀치 오프부에서 패리슨(12)의 하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찌부러뜨리는 동시에 열용착 시일하고, 금형의 상부에서는 패리슨 커터로, 통 형상의 패리슨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체의 패리슨(12)을 형성하고, 이어서 분할 금형의 정수리부로부터 삽입된 에어 노즐에 의해서 블로우 에어를, 패리슨 (12)에 불어넣어, 블로우 성형한다.
이 때, 핀치 오프부에서, 패리슨(12)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잘라낸 형상으로 구획된 패리슨(12)의 상하 양단 부분은, 이 패리슨(12)의 본체 부분에 부착한 상태에서 패리슨 절제부(16)(도 22 참조)가 되어 있고, 이 패리슨 절제부(16)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이 완료되어 형 분리된 형 분리 성형품(19)(도 22 참조)으로부터 비틀어 떼는 형상으로 제거된다.
여기서, 블로우 성형 금형 중,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부(4)를 성형하는 부분을 4분할한, 바닥 분할 금형(10)(도 4 참조)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열십자 형상의 컷 오프 선(9)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로우 성형 용기의 바닥부(4) 이외의 부분, 즉 몸통부(3), 어깨부(2), 그리고 입구부(1)에 상당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본체 분 할 금형은, 종래대로 2분할한 것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는, 각각이 날부인 핀치 오프부를 가진, 4분할의 바닥 분할 금형에 의한 패리슨의 핀치 오프 공정을 저면도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와 같이, 패리슨(12)을, 네 개의 핀치 오프부(11)로 열십자 형상으로 잘라 유지한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면, 성형되는 다리부(7)중, 네 개의 '변'부분은, 가상의 연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크게 두께를 감소시키는 일 없이 블로우 성형되는(도 21 참조) 것에 대해, 이 '변'부분에 비해 연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모서리부(8)이더라도, 핀치 오프부(11)에 의해 성형되는 컷 오프 선(9)의 선단에 가까운 시일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연신량이 작아져, 이것에 의해 두께의 감소 정도가 작게 억제되어 있다.
패리슨(12)의 두께를 크게 하여 유리병 감을 출현시키고 싶은 경우, 두께의 감소 정도가 작게 억제되므로, 바닥부(4)에 있어서의 두께의 변화가, 용기의 외관 체재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특히, 내용액으로서, 용기와는 다른 색의 투명한 내용액을 수납한 경우, 색이 다른 내용액에 의해, 바닥부(4)의 두께 변화를, 그대로 볼 수 있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바닥부(4)의 두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이것이 외관 체재를 나쁘게 하는 일이 없다.
도 22는, 본 발명의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형 분리 성형품(19)을 도시하는 것이고, 형 분리 성형품(19)은, 하단을 바닥부(4)로 막은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3)의 상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입구부를 기립하여 연달 아 설치한 구조를 갖고, 그 어깨부에서 입구부에 걸친 부분, 및 바닥부(4)에, 각각 패리슨 절제부(16)가, 두께가 얇은 파단부를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다.
이 형 분리 성형품(19)은,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형 분리 후의 열변형 가능한 온도로 되어 있고, 형 분리 성형품(19)의 성형품 부분과 패리슨 절제부(16)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가 얇은 파단부는, 바닥 분할 금형(10)의 핀치 오프부(11), 및 블로우 분할 금형의 핀치 오프부로 성형된다.
이 형 분리 성형품(19)의 상하의 양 패리슨 절제부(16)를 지지하고, 성형품 부분의 어깨부(2)와 바닥부(4)와의 사이에, 성형품 부분의 가상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원하는 중심각도의 '비틀림' 변위를 주고, 이것에 의해 성형품 부분의 몸통부(3)를 나선 사각통으로 성형한다.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비틀림' 변위 각도는 45°로 상당히 크지만, 어떤 불량을 일으키는 일 없이, 확실하고 안정된 성형을 얻을 수 있었다.
패리슨(12)의 두께를 3mm로 하고, 바닥부(4)의 컷 오프 선(9)의 선단이, 거의 다리부(7)의 모서리부(8) 가까이 위치시킨 정도의 연신 배율로, 무색 투명의 용기를 성형하고, 이 용기내에 유색 투명한 내용액을 수납한 바, 몸통부(3)의 각 능선(18)이 위치하는 모서리부 부분에, 불규칙인 투과광에 의해 일그러진 크리스탈 형상이 출현되어, 동적이고 깊이가 있는 광학적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8)

  1. 하단을 바닥부로 막은 통 형상의 몸통부의 상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원통형상의 입구부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한 병 형상의 합성수지제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품으로서, 상기 바닥부의 저벽 외면에 남아 형성되는 잘라낸 흔적인 3개 이상의 컷 오프 선을, 상기 외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한 블로우 성형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몸통부는 사각통 형상이며 컷 오프 선을 4개 갖고, 상기 4개의 컷 오프 선을 열십자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컷 오프 선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을 파팅라인상에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몸통부의 각 능선을 동일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네 개의 상기 능선중, 대향한 두 개의 능선 위에 파팅라인을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컷 오프 선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한 쌍 중 각각을 두 개의 대각선상에 위치시킨, 블로우 성형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를, 함부로 휨 변형하지 않는 딱딱함을 발휘하는 두께로 한, 블로우 성형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한, 블로우 성형용기.
  7. 하단을 바닥부로 막은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의 상단에, 어깨부를 사이에 두고 원통형상의 입구부를 기립하여 연달아 설치한 구조를 갖고,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형 분리 후의, 열변형 가능한 온도가 되어 있는 형 분리 성형품에 대해, 상기 형 분리 성형품의 어깨부와 바닥부와의 사이에, 상기 형 분리 성형품의 가상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원하는 중심각도의 '비틀림' 변위를 주고, 상기 몸통부를 나선 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블로우 성형품의 성형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형 분리 성형품의 어깨부와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는 패리슨 절제부를 지지하고, 상기 어깨부와 바닥부와의 사이에 '비틀림' 변위를 주는 블로우 성형품의 성형방법.
KR1020097022813A 2008-02-29 2009-02-27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 KR101562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9273 2008-02-29
JP2008049273A JP5413764B2 (ja) 2008-02-29 2008-02-29 ブロー成形容器
JP2008141694A JP5246480B2 (ja) 2008-05-29 2008-05-29 ブロー成形容器と成形方法
JPJP-P-2008-141039 2008-05-29
JP2008141039A JP2009286437A (ja) 2008-05-29 2008-05-29 ブロー成形容器
JPJP-P-2008-141694 2008-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24A true KR20100116524A (ko) 2010-11-01
KR101562678B1 KR101562678B1 (ko) 2015-10-23

Family

ID=4101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13A KR101562678B1 (ko) 2008-02-29 2009-02-27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11874A1 (ko)
EP (1) EP2261125B1 (ko)
KR (1) KR101562678B1 (ko)
CN (1) CN101678912B (ko)
AU (1) AU2009218025B2 (ko)
CA (1) CA2717029C (ko)
WO (1) WO2009107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7653B2 (ja) * 2011-06-30 2015-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角形壜体
WO2013128457A1 (en) * 2012-02-29 2013-09-06 (1/3)M.S.T. Medical Surgery Technologies Ltd. Manual control system for maneuvering an endoscope
JP5827919B2 (ja) * 2012-04-03 2015-12-02 株式会社ワールド・クリエイト シリコーン樹脂製容器
US9420920B2 (en) * 2013-01-09 2016-08-23 Nourilogic, Llc Beverage container for enhanced mixing
USD741720S1 (en) * 2014-07-17 2015-10-27 Kirti Anandani Rectangular perfume bottle
USD774397S1 (en) * 2014-11-26 2016-12-20 Masato Tamura Water bottle
WO2016084301A1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軸延伸ブロー成形用の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並びに二軸延伸ブロー成形用の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6530270B2 (ja) * 2015-07-31 2019-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の製造方法
USD776544S1 (en) 2015-08-26 2017-01-17 Mary Kay Inc. Cosmetic bottle
USD788593S1 (en) * 2015-11-10 2017-06-06 L'oreal (Uk) Ltd Bottle for perfume
JP7286917B2 (ja) * 2018-05-24 2023-06-06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容器
WO2019246517A1 (en) * 2018-06-21 2019-12-26 Multi-Color Corporation Full body decoration of blow molded tubes
USD886390S1 (en) * 2018-09-11 2020-06-02 Classic Brands, LLC Bottle for a bird feeder
USD905561S1 (en) * 2019-04-18 2020-12-22 Comptoir Nouveau De La Perfumerie Perfume bottle
USD945271S1 (en) 2019-09-17 2022-03-08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Bottle
USD917818S1 (en) 2020-10-01 2021-04-27 Ruben Harvey Diaz Receptacle
USD1017410S1 (en) * 2021-06-25 2024-03-12 Gran Coramino, Llc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455A (en) * 1980-01-18 1983-02-08 National Can Corporation Thin walled plastic container construction
CA1282018C (en) * 1985-04-17 1991-03-26 Akiho Ota Biaxial-orientation blow-molded bottle-shaped container
CN1022900C (zh) * 1989-10-07 1993-12-01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合成树脂制延伸成型瓶体
NL9002084A (nl) * 1990-09-24 1992-04-16 Leer Koninklijke Emballage Matrij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ouder alsmede een volgens deze werkwijze vervaardigde houder.
JP2590033B2 (ja) 1991-09-20 1997-03-12 吉昌 田原 多層ブロー成形容器
JPH0716912A (ja) 1993-07-05 1995-01-20 Nissan Motor Co Ltd ブロー成形方法
JP3354279B2 (ja) * 1993-07-22 2002-12-09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折り畳み容器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JP3443707B2 (ja) 1994-01-28 2003-09-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およびブロー成形金型
JP2004067171A (ja) * 2002-08-06 2004-03-04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品
US7225939B2 (en) * 2005-07-05 2007-06-05 Conopco, Inc. Assymetric handleware container having hidden gripping aper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8912B (zh) 2013-01-16
EP2261125A1 (en) 2010-12-15
AU2009218025A1 (en) 2009-09-03
CN101678912A (zh) 2010-03-24
EP2261125A4 (en) 2012-04-18
US20110011874A1 (en) 2011-01-20
EP2261125B1 (en) 2013-07-24
AU2009218025B2 (en) 2013-08-29
CA2717029C (en) 2016-08-02
WO2009107815A1 (ja) 2009-09-03
KR101562678B1 (ko) 2015-10-23
CA2717029A1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524A (ko) 블로우 성형 용기와 성형방법
US6964347B2 (en) Handy bott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0810676B1 (ko) 합성 수지제 내열 보틀형 용기
TWI391298B (zh) A bottle with a necked part
CN105593128B (zh) 具有清晰轮廓的标记的容器
CN102271895A (zh) 用于吹制具有加强底部的容器的模具
JP2000229615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5694329B2 (ja) 一体成形ハンドルを有する延伸吹込成形容器を作製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050021079A (ko) 일체형 손잡이를 갖는 페트병 및 그 제조방법
JP4700297B2 (ja) グリップボトル
JP5146936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5413764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5610702B2 (ja) 凹凸模様入りガラスびん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3307B2 (ja) ブロー成形用金型及びブロー成形製ボトル
JP2009286437A (ja) ブロー成形容器
JP5246480B2 (ja) ブロー成形容器と成形方法
CN105658529A (zh) 具有在正方形外形与矩形外形之间的渐变截面的容器
JP2002308245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8247430A (ja) 合成樹脂製容器
CN1502321A (zh) 用树脂制造的眼药容器
JP3179016U (ja) ガラス瓶
CN108908785A (zh) 一种具有两段直线型胚身的瓶胚
JPH08143019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7175751B2 (ja) ブロー成形容器
JP5435660B2 (ja) 樹脂製ドラムの上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