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027A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027A
KR20100113027A KR1020100029990A KR20100029990A KR20100113027A KR 20100113027 A KR20100113027 A KR 20100113027A KR 1020100029990 A KR1020100029990 A KR 1020100029990A KR 20100029990 A KR20100029990 A KR 20100029990A KR 20100113027 A KR20100113027 A KR 2010011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lid
side wall
cover body
w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198B1 (ko
Inventor
류지 츠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1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페트병 등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고, 본체의 높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한 컵 홀더를 얻는다.
(해결수단) 덮개체(36)가 개방되면, 측벽부재(22)가 본체(12)의 둘레벽의 상단면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컵부(20)의 외측에서는 측벽부재(22)의 벽부(24)가 솟아 오르게 된다. 즉, 용기(16)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벽부(24)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측벽부재(22)가 솟아 오른 만큼 용기(16)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캔보다도 높이가 높은 페트병 등의 용기(16)도 안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등에 설치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센터콘솔에 설치된 컵 홀더에는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본체에 형성되며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부 내에 4개의 다리편이 형성된 용기 받이판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원통부 내에 수용되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용기 받이판의 상하를 역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용기바닥 받이부재가 덮개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의 원통부 내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통부 내에 수용되는 용기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용기바닥 받이부재를 경도 또는 기립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3-3599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6-193883호 공보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원통부 내에 용기 받이판이나 용기바닥 받이부재를 배치함에 의해서 원통부의 바닥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원통부 내에 수용되는 용기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원통부의 깊이는 페트병 등과 같은 큰 용기에 맞춘 깊이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서 본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페트병 등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고, 본체의 높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한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컵 홀더에 있어서,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수용부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용기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재와;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을 상기 측벽부재의 상하 이동동작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서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에 대해서 덮개체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체에 의해서 수용부의 개구가 개폐된다. 수용부 내에는 측벽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용기의 측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변환수단에 의해서 덮개체의 개폐동작이 측벽부재의 상하 이동동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측벽부재가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측벽부재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측벽부재를 본체에서 솟아 오르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측벽부재에 의해서 수용부 내의 용기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여기서는, 덮개체를 개방시키면 측벽부재가 상측으로 향해 솟아 오르기 때문에, 측벽부재가 솟아 오른 만큼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의 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캔보다도 높이가 높은 페트병 등의 용기도 안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덮개체를 폐지시키면, 측벽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부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본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이 상기 덮개체를 지지하는 지지암과;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지지암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 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1 기어를 회전시키면서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제 1 래크와; 상기 측벽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측벽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서는, 덮개체가 지지암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며, 지지암의 선단부에는 제 1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에는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래크가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기어가 제 1 래크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함으로써 덮개체를 개폐시킨다. 또, 측벽부재에는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래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래크를 통해서 측벽부재가 상하 이동한다. 즉,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측벽부재가 상하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 또는 제 2 특징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측벽부재 내에서 용기를 지지하는 컵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에는 상기 덮개체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컵부에 맞닿아서 수납되고 상기 덮개체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상기 컵부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서는, 측벽부재 내에 용기를 지지하는 컵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측벽부재에는 덮개체가 폐지된 상태에서 컵부에 맞닿아서 수납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체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상기 지지편이 컵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용기의 외경치수가 컵부의 내경치수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지지편이 용기의 측벽에 맞닿음으로써, 즉 용기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용기를 안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 또는 제 3 특징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2 래크에 타단부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2 래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상기 덮개체가 소정 각도 이하로 폐지되면 상기 제 2 래크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반전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서는, 반전 스프링의 일단부가 본체에 부착되고 반전 스프링 타단부가 제 2 래크에 부착되어, 덮개체의 개폐 도중에 반전 스프링의 탄지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제 2 래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여 덮개체를 개방시키고, 덮개체가 소정 각도 이하로 폐지되면 제 2 래크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여 덮개체를 폐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 내지 제 4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에 댐퍼 기어가 부착되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 3 래크와 맞물려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서는, 측벽부재에 댐퍼 기어를 부착하여 본체의 제 3 래크와 맞물림으로써, 측벽부재를 상하 이동시킬 때, 측벽부재의 속도를 감속하여 측벽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측벽부재와 덮개체는 변환수단에 의해서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부재를 천천히 이동시킴에 의해서 덮개체를 천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컵 홀더에 고급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 내지 제 5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를 상기 본체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 덮개체를 누르면 상기 걸어 고정한 걸림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서는, 걸림수단에 의해서 덮개체를 폐지할 때에는 덮개체가 본체에 걸려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덮개체를 누르면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덮개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덮개체의 자유단부에 손가락을 걸고서 덮개체를 개방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페트병 등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체의 높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부 파단도
도 5(A)는 도 1의 5(A)-5(A) 단면도, 도 5(B)는 도 2의 5(B)-5(B)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의 폐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가 30°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가 45°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가 60°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가 75°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덮개체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A) 및 도 13 (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컵 홀더(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된 센터콘솔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터콘솔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컵 홀더의 구성>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는 상자형상을 이루는 본체(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12)의 수용부(14) 내에는 용기(16,18)(도 3 참조)를 지지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컵부(20)가 수용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2개 배치되어 있다. 컵부(20)의 외주면과 본체(12)의 둘레벽의 사이에는 측벽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재(22)는 바닥면을 상면(22A)으로 하는 대략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수용부(1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측벽부재(22)의 상면(22A)에서는 컵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컵부(20)의 외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벽부(24)가 하측으로 드리워져 있다.
또한, 측벽부재(22)는 본체(12)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후술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가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덮개체(36)가 폐지된 페지상태}에서는 측벽부재(22)의 상면(22A)이 컵부(20)의 선단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가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덮개체(36)가 완전히 개방된 완전개방상태}에서는 측벽부재(22)의 상면(22A)이 컵부(20)의 선단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의 벽부(24)와 벽부(24)의 사이에는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결부(26) 내에는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된 1쌍의 플랩(지지편)(28)이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 벽부(2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플랩(28)의 양 측벽의 상부에는 샤프트(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30)는 절결부(26)의 상부에 형성된 축구멍(도시생략) 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30)는 축구멍과의 슬라이드 저항에 의해서 소정의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샤프트(30)에는 맞닿음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구멍 내에 형성된 스토퍼(도시생략)에 맞닿음으로써 샤프트(30)는 약 0∼90°의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20) 내에 삽입된 용기(18)의 외경치수가 컵부(20)의 내경치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플랩(28)을 벽부(24) 내로 돌출시켜서 용기(18)의 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18)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랩(28)의 선단부에는 캔 등과 같은 작은 지름의 용기(18)에 맞게 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형상의 원호부(28A)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가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측벽부재(22)의 상면(22A)이 컵부(20)의 선단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플랩(28)을 90°개방시킨 상태에서 측벽부재(22)를 최하부로 이동시키면, 플랩(28)이 컵부(20)의 상단부와 간섭하게 된다.
그래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20)의 상단부와 간섭하는 측벽부재(22)의 절결부(26) 측에 플랩(28)의 두께만큼 잘라낸 절결부(34)를 형성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가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90° 개방시킨 상태의 플랩(28)과 컵부(20)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는 긴 판형상의 덮개체(36)를 구비하고 있으며, 덮개체(36)의 폭방향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12)에 대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12)의 전벽(12A)의 상단 중앙부에는 절결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결부(38)를 통해서 덮개체(36)의 자유단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체(36)의 폭방향의 일단부에서는 지지암(40)(변환수단)이 덮개체(36)의 폭방향의 타단부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암(40)의 선단부에는 제 1 기어(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기어(42)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측벽(12B)에는 상기 본체(12)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제 1 래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래크(44)에 제 1 기어(42)가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12)의 측벽(12B)에는 걸어맞춤홈(46)이 제 1 래크(44)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홈(46)에는 상기 제 1 기어(42)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가 걸어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어맞춤돌기 및 걸어맞춤홈(46)을 통해서 제 1 기어(42)를 가이드하고 있다.
덮개체(36)를 개폐시키면, 지지암(40)을 통해서 제 1 기어(42)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래크(44)를 따라서 제 1 기어(42)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지지암(40)의 축부의 위치가 바뀌게 되며, 덮개체(36)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36)를 본체(12)의 배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체(12)의 측벽(12B)에는 당해 측벽(12B)을 관통하는 개구부(48)가 제 1 래크(44)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8)에서는 상기 측벽부재(22)의 측벽에 형성된 제 2 래크(50)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 2 래크(50)는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와 맞물려 있으며, 덮개체(36)의 개폐에 따른 제 1 기어(4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래크(50)를 통해서 측벽부재(22)를 상하 이동시킨다. 즉, 덮개체(36)의 개폐 이동에 연동하여 측벽부재(22)가 상하 이동한다.
제 2 래크(50)에는 부착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전 스프링(54)의 일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반전 스프링(54)의 타단부는 본체(12)의 측벽(12B)의 높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부착부(56)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전 스프링(54)에 의해서 제 2 래크(50)의 위치에 따라서 반전 스프링(54)에 의한 탄지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부(52)가 부착부(5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반전 스프링(54)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부착부(52)가 부착부(56)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한 탄지력(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일례로서,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30°∼60°의 범위(도 7 및 도 9 참조)에서는 반전 스프링(54)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60°이상 또는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30°이하의 범위에서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한 탄지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8은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약 45°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완전히 개방된 완전개방상태에서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한 탄지력이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부착부(52)를 통해서 제 2 래크(50)를 밀어올림으로써, 지지암(40)을 통해서 덮개체(36)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폐지된 폐지상태에서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한 탄지력이 화살표 A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탄지력에 의해서 부착부(52)를 통해서 제 2 래크(50)를 밀어내림으로써, 지지암(40)을 통해서 덮개체(36)는 폐지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또한, 상기한 각도에 대해서는 반전 스프링(54)의 부착부(52,56)의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측벽(12B)에는 당해 측벽(12B)을 관통하는 개구부(58)가 개구부(48)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8)에는 제 3 래크(60)가 제 1 래크(44)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래크(60)에는 상기 측벽부재(22)의 측벽에 부착된 댐퍼 기어(62)의 기어부(62A)가 맞물려 있다.
상기 댐퍼 기어(62)의 하우징(62B)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가 충전되어 있으며, 기어부(62A)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 모두에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저항이 작용함으로써 이 점성저항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컵 홀더의 작용>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폐지된 폐지상태에서, 본체(12)에 형성된 절결부(38)를 통해서 덮개체(36)의 자유단부에 손가락을 걸고서 덮개체(36)를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가 본체(12)의 제 1 래크(44)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덮개체(36)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가 회전하면, 제 2 래크(5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래크(50)를 통해서 측벽부재(22)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1 기어(42)는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2 래크(50)는 제 1 기어(42)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서 이동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도 9∼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60°이상이 되면, 반전 스프링(54)의 부착부(52)가 반전 스프링(54)의 부착부(56)의 경사 상측{도면에서는 우상(右上)측}에 배치됨으로써, 반전 스프링(54)에는 부착부(56)를 기준으로 하여 부착부(52)를 화살표 B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10은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약 75°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부착부(52) 및 제 2 래크(50)를 통해서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를 회전시키면서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덮개체(36)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탄지되어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여기서, 측벽부재(22)의 측벽에는 댐퍼 기어(6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 기어(62)의 기어부(62A)가 상기 본체(12)의 측벽(12B)의 개구부(58)에 형성된 제 3 래크(60)에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측벽부재(22)의 이동에 의해서 제 3 래크(60)를 통해서 기어부(62A)가 회전한다. 따라서, 측벽부재(22)에는 상기 기어부(62A)를 통해서 댐퍼 기어(62)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측벽부재(22)는 천천히 또한 조용히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컵 홀더(10)에 고급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완전히 개방된 완전개방상태에서는 반전 스프링(54)의 탄지력 및 덮개체(36) 자중에 의해서 당해 덮개체(36)의 완전개방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폐지된 폐지상태에서는 측벽부재(22)의 상면(22A)이 컵부(20)의 선단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도 2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개방되면, 측벽부재(22)가 본체(12)의 둘레벽의 상단면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컵부(20)의 외측에서는 측벽부재(22)의 벽부(24)가 솟아 오르게 된다.
즉, 용기(16)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는 벽부(24)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측벽부재(22)가 솟아 오른 만큼(H2) 용기(16)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의 깊이(H1+H2)가 깊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캔보다도 높이가 높은 페트병 등의 용기(16)도 안정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덮개체(36)가 개방된 개방상태에서는 플랩(28)을 회전시켜서 벽부(24) 내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컵부(20) 내에 삽입된 용기가 작은 지름으로 된 용기(18)인 경우에도, 상기 플랩(28)을 용기(18)의 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용기(18)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랩(2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24) 내로 돌출시킨 채로 측벽부재(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36)를 개방시켰을 때, 상기 플랩(28)이 벽부(24) 내로 돌출되어 있게 되는데, 플랩(28)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플랩(28)을 눌러내려서 측벽부재(22)의 절결부(26)에 수납시키면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완전히 개방된 완전개방상태에서 상기 덮개체(36)를 폐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도 10∼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가 본체(12)의 제 1 래크(44)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덮개체(36)의 폐지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가 회전하면, 제 2 래크(5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 2 래크(50)를 통해서 측벽부재(22)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덮개체(36)의 개방각도가 약 30°이하로 되면, 반전 스프링(54)의 부착부(52)가 반전 스프링(54)의 부착부(56)의 경사 하측{도면에서는 우하(右下)측}에 배치됨으로써, 반전 스프링(54)에는 부착부(56)를 기준으로 하여 부착부(52)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력이 작용한다(도 6 참조).
따라서, 부착부(52) 및 제 2 래크(50)를 통해서 지지암(40)의 제 1 기어(42)를 회전시키면서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덮개체(36)는 반전 스프링(54)에 의해서 폐지방향으로 탄지되어 자동적으로 폐지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가 폐지된 폐지상태에서는 반전 스프링(54)의 탄지력 및 측벽부재(22)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36)의 폐지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36)를 폐지시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재(2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부(14)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본체(12)의 높이로서는 컵부(20)의 높이(H1)만큼을 확보해 두면 된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본체(12)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28)을 수동으로 돌출 또는 수납시키도록 하였으나, 측벽부재(22)의 상하 이동에 연동시켜서 플랩(28)을 돌출 또는 수납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28)의 샤프트(30)를 당해 플랩(28)의 양 측벽의 하부에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30)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션 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 플랩(28)이 벽부(24) 내로 돌출되는 돌출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탄지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측벽부재(22)가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플랩(28)의 상부가 컵부(20)의 상단부에 맞닿음으로써 그 이동이 규제되지만, 측벽부재(2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측벽부재(22)와 일체로 플랩(28)이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컵부(20)의 상단부에 맞닿는 플랩(28)의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랩(28)은 서서히 벽부(24) 내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동이 규제된다.
또, 덮개체(36)를 폐지시킬 때에는 측벽부재(22)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플랩(28)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컵부(20)의 상단부에 맞닿는 플랩(28)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플랩(28)은 서서히 세워지면서 측벽부재(22)의 절결부(26) 내에 수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36)를 수동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컵 홀더(1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64)를 이른바 푸쉬 오픈 타입으로 한 컵 홀더(66)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 덮개체(64)에는 걸림수단으로서의 핀(걸림수단)(68)이 형성되고, 본체(70)에는 상기 핀(68)이 걸려 고정되는 주지의 래치장치에 형성된 하트형상 캠(걸림수단)(72)이 형성된다. 또, 덮개체(64)의 자유단측에는 스프링(걸림수단)(74)이 장착되어 당해 덮개체(64)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한다.
핀(68)이 하트형상 캠(72)에 걸려 고정된 걸림상태에서는 상기 덮개체(64)가 폐지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 폐지상태에서 덮개체(64)의 자유단측을 누르면, 스프링(74)에는 탄지력이 축적됨과 아울러, 핀(68)이 하트형상 캠(72)에서 빠짐으로써 상기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74)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64)가 개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36)의 폭방향의 일단부에 지지암(4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암(40)을 중심으로 덮개체(36)를 개방시키는 이른바 외여닫이 타입의 덮개체(36)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쌍여닫이 타입의 덮개체(80,82)를 구비한 컵 홀더(84)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시켜도 좋다.
이 경우, 덮개체(80)와 덮개체(82)는 측벽부재(22)를 통해서 연동하게 된다. 즉, 덮개체(80)를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덮개체(80)의 지지암(86)이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래크(제 2 래크)(88)를 통해서 측벽부재(2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래크(제 2 래크)(90)를 통해서 지지암(92)이 회전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체(82)가 개방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덮개체(80,82)에 대응시켜서 측벽부재(22)를 2개로 나누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체(80)와 덮개체(82)는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측벽부재(22)에 댐퍼 기어(62)가 필요하게 된다. 다만, 상기 댐퍼 기어(62)는 상기한 실시형태 모두에 사용되도록 하였으나, 측벽부재(22)를 천천히 또한 조용히 이동시킬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댐퍼 기어(62) 대신에 완충부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 - 컵 홀더 12 - 본체
14 - 수용부 20 - 컵부
22 - 측벽부재 28 - 플랩(지지편)
36 - 덮개체 40 - 지지암(변환수단)
42 - 제 1 기어(변환수단) 44 - 제 1 래크(변환수단)
50 - 제 2 래크(변환수단) 54 - 반전 스프링
60 - 제 3 래크 62 - 댐퍼 기어
64 - 덮개체 66 - 컵 홀더
68 - 핀(걸림수단) 70 - 본체
72 - 하트형상 캠(걸림수단) 74 - 스프링(걸림수단)
80 - 덮개체 82 - 덮개체
84 - 컵 홀더 86 - 지지암(변환수단)
88 - 래크(제 2 래크, 변환수단) 90 - 래크(제 2 래크, 변환수단)
92 - 지지암(변환수단)

Claims (10)

  1. 용기(16,18)를 수용하는 수용부(14)가 형성된 본체(12)와,
    상기 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14)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36)와,
    상기 수용부(14)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14) 내에 수용된 용기(16,18)의 측부를 지지하는 측벽부재(22)와,
    상기 덮개체(36)의 개폐동작을 상기 측벽부재(22)의 상하 이동동작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이
    상기 덮개체(36)를 지지하는 지지암(40)과,
    상기 본체(12)의 높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지지암(4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 1 기어(42)와 맞물리고, 상기 제 1 기어(42)를 회전시키면서 덮개체(36)를 개폐시키는 제 1 래크(44)와,
    상기 측벽부재(22)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42)와 맞물리고, 상기 제 1 기어(4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측벽부재(22)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래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4)에는 상기 측벽부재(22) 내에서 용기(16,18)를 지지하는 컵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2)에는 상기 덮개체(36)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컵부(20)에 맞닿아서 수납되고, 상기 덮개체(36)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상기 컵부(20)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2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4)에는 상기 측벽부재(22) 내에서 용기(16,18)를 지지하는 컵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22)에는 상기 덮개체(36)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컵부(20)에 맞닿아서 수납되고, 상기 덮개체(36)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상기 컵부(20) 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2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2)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2 래크(50)에 타단부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하로 폐지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반전 스프링(5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12)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2 래크(50)에 타단부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하로 폐지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반전 스프링(5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2)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2 래크(50)에 타단부가 부착되며,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상기 덮개체(36)가 소정 각도 이하로 폐지되면 상기 제 2 래크(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반전 스프링(54)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재(22)에 댐퍼 기어(62)가 부착되며, 상기 본체(12)에 형성된 제 3 래크(60)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36)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36)를 상기 본체(12)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 덮개체(36)를 누르면 상기 걸어 고정한 걸림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체(36)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걸림수단(68,72,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36)가 폐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36)를 상기 본체(12)에 걸어 고정하고, 상기 덮개체(36)를 누르면 상기 걸어 고정한 걸림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체(36)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걸림수단(68,72,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100029990A 2009-04-10 2010-04-01 컵 홀더 KR101081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6273 2009-04-10
JP2009096273A JP5364420B2 (ja) 2009-04-10 2009-04-10 カップ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27A true KR20100113027A (ko) 2010-10-20
KR101081198B1 KR101081198B1 (ko) 2011-11-07

Family

ID=4293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990A KR101081198B1 (ko) 2009-04-10 2010-04-01 컵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7108B2 (ko)
JP (1) JP5364420B2 (ko)
KR (1) KR101081198B1 (ko)
CN (1) CN102387940B (ko)
WO (1) WO2010116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167B1 (ko) * 2011-05-19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물품수납박스
JP5965166B2 (ja)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CN103358965B (zh) * 2012-03-31 2015-12-02 上海大众汽车有限公司 杯托杯体夹持机构
CN102951058B (zh) * 2012-11-30 2015-04-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用杯托
US9016650B2 (en) * 2013-02-18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iner holder with adjustable depth
DE102013204000A1 (de) * 2013-03-08 2014-09-11 Bos Gmbh & Co. Kg Schwenkbare Lehnen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20140367434A1 (en) * 2013-06-13 2014-1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p holder and storage bin assembly
JP2015182616A (ja) 2014-03-25 2015-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体の開閉機構
CN104228653A (zh) * 2014-09-29 2014-12-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杯托组件
CN106143329B (zh) * 2015-04-28 2019-01-2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储物盒组件
CN104875960A (zh) * 2015-05-27 2015-09-02 石敏 一种便携式无菌包储存箱
US9597991B2 (en) * 2015-08-07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merging bay door cupholder
CN105416143B (zh) * 2015-12-08 2018-05-18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车用杯托和扶手共用组件
CN105882486B (zh) * 2016-04-08 2018-10-1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压式盖板
JP6378283B2 (ja) * 2016-10-20 2018-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構造
CN108621963A (zh) * 2017-03-17 2018-10-09 福特环球技术公司 车辆储物总成及中控台
CN107009939A (zh) * 2017-03-22 2017-08-04 合肥浦尔菲电线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后座的杯架
CN107031483A (zh) * 2017-03-22 2017-08-11 合肥浦尔菲电线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折叠扶手内的杯架
FR3067576B1 (fr) * 2017-06-16 2019-10-11 Albea Services Boitier pour produit cosmetique
US10328835B1 (en) 2017-08-18 2019-06-25 Karen Meyer Finger well insertable cup holder
JP6927080B2 (ja) * 2018-02-27 2021-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内カップホルダ
CN109967155B (zh) * 2019-04-30 2021-04-20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过号试管存放装置
CN111251965B (zh) * 2019-12-30 2021-07-09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汽车杯托
USD991753S1 (en) 2021-04-19 2023-07-11 Yeti Coolers, Llc Cupholder
USD988094S1 (en) 2021-04-19 2023-06-06 Yeti Coolers, Llc Cupholder
JP7501480B2 (ja) * 2021-09-17 2024-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収納装置および電子レジスタ
GB2612098B (en) * 2021-10-22 2024-03-27 Jaguar Land Rover Ltd Cupholder system for a vehicle
US12083943B2 (en) * 2021-11-23 2024-09-10 Polestar Performance Ab Integrated cupholder
KR20240001580U (ko) 2023-03-16 2024-09-24 슈펙스주식회사 원통형 용기 거치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940Y2 (ja) * 1991-03-01 1997-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装置
JPH0971172A (ja) * 1995-09-08 1997-03-18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収納ケース
JPH10297338A (ja) * 1997-04-24 1998-11-10 Toyota Auto Body Co Ltd カップホルダー付きアームレスト
JP2001227237A (ja) * 2000-02-17 2001-08-24 Tok Bearing Co Ltd ダンピング機構
JP4596564B2 (ja) * 2000-11-07 2010-12-08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JP2003035994A (ja) 2001-05-14 2003-02-07 Heidelberger Druckmas Ag 画質および溶融定着性が改善された電子写真用トナーおよび現像方法
JP4049046B2 (ja) * 2003-07-30 2008-02-20 豊田合成株式会社 収容装置の開閉機構
JP2005053448A (ja) * 2003-08-07 2005-03-03 Toyoda Gosei Co Ltd 容器ホルダ装置
JP2009040196A (ja) * 2007-08-08 2009-02-26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DE102007048947A1 (de) * 2007-10-12 2009-04-16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4420B2 (ja) 2013-12-11
CN102387940A (zh) 2012-03-21
KR101081198B1 (ko) 2011-11-07
US8827108B2 (en) 2014-09-09
JP2010247565A (ja) 2010-11-04
WO2010116890A1 (ja) 2010-10-14
CN102387940B (zh) 2014-07-16
US20120104011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198B1 (ko) 컵 홀더
US7481343B2 (en) Container holding structure for vehicle
US9868401B2 (en) Lid attached storage device
CN107531174B (zh) 容器保持器
US20010020620A1 (en) Storage box
JPH08244514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JP5453160B2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120042629A (ko) 컵 홀더
WO2012032723A1 (ja) カップホルダ
US6010047A (en) Compact dual arm container holder
WO2012173246A1 (ja) 蓋開閉機構及び収納装置
JP6106048B2 (ja) カップホルダ
JP2007196884A (ja) 容器保持装置
JP4333499B2 (ja) 容器ホルダ装置
JP4650369B2 (ja) 蓋付き装置
JP5671886B2 (ja) 車両用容器ホルダ
JP2016016740A (ja) 収納装置
JP2009143507A (ja) 車両用収納装置
GB2445741A (en) Lid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torage cavity
KR100422718B1 (ko) 글러브 박스 댐핑장치
KR20090052044A (ko) 컵 홀더
JP2019119241A (ja) 車両用収容装置
JP2024071020A (ja) 車両用内装品
JP201303212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GB2509585A (en) Storage compartment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