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552A -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 Google Patents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552A
KR20100112552A KR1020107013350A KR20107013350A KR20100112552A KR 20100112552 A KR20100112552 A KR 20100112552A KR 1020107013350 A KR1020107013350 A KR 1020107013350A KR 20107013350 A KR20107013350 A KR 20107013350A KR 20100112552 A KR20100112552 A KR 2010011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microcapsules
fibers
thermoplastic elastomer
natur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흥젠 첸
티나 후앙
Original Assignee
노베코 트레딩 2008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베코 트레딩 2008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베코 트레딩 2008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11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이 제공된다. 본 제조방법은 다음의 공정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폴리올레핀 칩, 일정 량의 열가소성 탄성체(TPE)와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방향유가 캡슐화된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이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가 형성되도록 2축 스크류 압출기에서 롤링(rolling) 및 밀링(milling)하는 과정; 상기 마스터배치와 제1폴리올레핀과 동일한 제2폴리올레핀을 용융 및 혼합하여 마이크로캡슐의 최종 량이 1-32 wt%가 되도록 합성물질을 제조하는 과정; 방적, 냉각, 가열 신장 및 열 정형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과정. 이와 같이 제조된 섬유 및 직물은 장기간 지속 가능한 천연식물 향을 갖는다.

Description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Imitating natural plant fib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abric made of it}
본 발명은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물 추출 방향유가 캡슐화된 마이크로캡슐, 열가소성 탄성체(TPE) 및 폴리올레핀을 혼합하고 섬유로 방적하여 섬유를 직물로 제작함으로써 섬유 또는 직물이 오래 지속 가능한 천연식물 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향기의 놀라운 힘은 5000년 전의 고대 문명부터 발견되었으며, 정신적 평온과 정신적 신체적 건강 추구와 함께 심지어 미용 보양에 대해서도 고전 역사인 "4대 고대문명"에 기록되어 있다. 고대인에 의해 사용되는 추출방법 및 추출 식물들은 현 시대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소 상이하다. 예전의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에서 소수의 식물 방향유가 방향유로써 사용되었던 반면에 수지, 향정(香精)(essence), 농축액, 발삼(balm)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료, 향수, 약품 및 종교적 의식에서 식물이 사용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도 부패를 막기 위하여 미이라에 에센스 오일(essence oil)과 유향(frankincense) 수지를 사용하였다.
천연식물 에센스 오일로부터 제조된 나노 마이크로캡슐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은 효과적인 노화 조절이 가능하며, 공기 중의 천연성분의 결핍을 보완할 수 있어서 감정과 기분의 보조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에센스 오일 제품은 향을 채용하거나 공기 중으로 에센스 오일이 증발될 수 있도록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과 같은 인공 첨가물을 첨가한다. 그러나, 이는 에센스 오일의 원래 효과를 잃어버리기가 쉽다. 마이크로캡슐 내에 에센스 오일을 캡슐화하는 것은 에센스 오일이 효과적으로 제어되어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노화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직물은 인간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며 일반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필터, 스크린 윈도우, 모자, 시트 쿠션, 슬리핑 패드와 신발, 커튼과 같은 의복의 대부분은 섬유로부터 제작된다. 인류는 직물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왔으며, 직물은 인체 건강에 관계하고 있으므로 많은 기능성 직물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어떤 기술들은 인체 건강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항균 효과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직물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어떤 기술들은 사용 편안함을 높이기 위하여 식물향 효과를 갖는 직물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직물 또는 식물향 효과를 갖는 직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상당 수는 직물에 항균제 층 또는 탈취제 층을 도포하여 제조된다. 도포된 물질들은 쉽게 증발되므로 초기에는 향균 및 탈취 효과 또는 방향 효과가 좋지만, 금방 증발되므로 짧은 시간 이내에 효과가 없어진다. 더욱이, 섬유 내에 항균제를 혼합하는 기술이 있지만, 항균제는 섬유 내에 박힌 상태가 되어 보통은 항균 효과를 보일 수가 없다. 특히, 종래의 기술 중에는 식물 추출 방향유를 섬유 내에 혼합하고 장기간 동안에 방향(芳香)을 유지하기 위한 우수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다 년간의 섬유 및 직물 개발의 실험에 근거하여 높은 경제적 이익과 음이온 발생 및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섬유 및 직물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발명자는 또한 오래 지속 가능한 식물향을 갖는 섬유 개발에도 활발히 전념하였다. 일정 수준의 결과물을 얻고 나서는 2004년에 음이온을 발생하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섬유에 대한 특허출원이 대만 특허출원 번호 제93129156호로 출원되어 특허 결정되었다. 그밖에도, 다수의 실험과 개량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이 있었으며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11/416,155호로 출원되었다. 최근에는,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성과가 있어서 본 출원을 하게 된 것이다.
이 분야에는 식물 방향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와 관련된 기술들이 다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번호 제6,673,857호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물질 성분에 대한 연구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탄성체가 장난감과 같은 상품 제조에 사용된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기술적 특징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지속적인 연구 및 제조 실험으로부터 얻은 성과물에 기초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허요건을 만족시키는 실질적인 효과를 갖는 실험적인 증거들에 의해 증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연구, 개발의 성과물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출원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방법은 식물 추출 방향유가 캡슐화된 마이크로캡슐과, 열가소성 탄성체(TPE)와, 폴리올레핀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비율로 혼합하고 방적작업에 의해 식물향을 방출할 수 있는 섬유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오래 지속 가능한 식물향을 방출할 수 있는 섬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섬유는 혼합된 열가소성 탄성체를 가지며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며, 이 마이크로캡슐은 캡슐화된 식물 추출 방향유를 갖는다. 섬유가 오랫동안 향을 유지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향유의 방출은 열가소성 탄성체의 적절한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Ⅰ. 본 발명의 기본 기술적 특징
본 발명은 모조 천연식물 향을 갖는 섬유의 연구 및 실험에 집중한다. 기본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섬유가 캡슐화된 식물 추출 방향유를 갖는 마이크로캡슐과, 열가소성 탄성체와 폴레올레핀을 포함하는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섬유가 오랫동안 식물향의 방출 기능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직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물로는 에어필터, 신발 패드, 모자, 스크린 윈도우, 마스크, 슬리핑 패드, 등받이 쿠션, 의자 쿠션, 커튼 또는 TV 고글과 같은 것일 수 있다.
Ⅱ. 본 발명의 섬유
본 발명의 섬유는 주로 캡슐화된 식물 추출 방향유를 갖는 마이크로캡슐과, 설정된 량의 열가소성 탄성체(TPE)와, 설정된 량의 폴리올레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함께 혼합하고 섬유가 형성되도록 방적하여 제조된다. 열가소성 탄성체의 효과에 의하여 본 발명의 섬유는 오랫동안 안정되게 식물향을 방출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이 섬유로부터 제작된 직물은 실질적인 기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작된 섬유는 0.005 ㎜ ∼ 5 ㎜의 직경(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 3 ㎜)을 갖는다. 첨가되는 마이크로캡슐은 섬유의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32 wt% 범위의 양이다.
본 발명의 모조 천연식물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로 이루어진다.:
(a) 다음의 물질들을 준비하는 과정:
(a1) 3.15×105 g/mole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칩 또는 1.5 ∼ 2.5×105 g/mole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칩일 수 있는 기본 재료인 제1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10 wt% ∼ 80 wt%의 다수 제1폴리올레핀 칩(실시예로서 다음의 본 발명의 실험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설명된다)과;
(a2) 캡슐화된 식물 방향유를 갖되, 바람직하게는 천연식물로부터 추출된 식물 방향유를 갖는 5 wt% - 40 wt%의 다수의 마이크로캡슐과;
(a3) 1 wt% - 80 wt%의 열가소성 탄성체(TPE 또는 EPDM)과;
(b) 2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제1폴리올레핀 칩, 다수의 마이크로캡슐 및 설정된 량의 열가소성 탄성체를 혼합하는 과정;
(c)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와 제2폴리올레핀 칩을 준비하는 과정이되, 제2폴리올레핀은 제1폴리올레핀과 같은 재료로서 형성되며, 다수의 마스터배치와 제2폴리올레핀 칩을 용융, 혼합하여 합성물질을 만들어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합성물질의 중량에 대해 1 - 32 wt%가 되도록 하는 과정과;
(d) 섬유가 형성되도록 합성 물질을 방적, 냉각, 열 신장(thermal stretching), 및 열 정형(heat setting)하는 과정.
이때, 방적 온도는 200℃ ∼ 300℃(본 발명의 실질 작동예에서 폴리프로필렌의 방적온도는 200℃ ∼ 250℃이며, 폴리에틸렌은 250℃ ∼ 300℃이다)의 범위이며, 드래프팅 팩터(drafting factor)는 3 ∼ 8 배(본 발명의 실질 작동예에서 드래프팅 팩터는 6배이다), 열 신장 온도는 130℃ ∼ 160℃(본 발명의 실질 작동예에서 신장에는 100℃의 물이 사용된다)이며, 열 정형온도는 70℃ ∼ 100℃이다.
상기의 융용 방적은 합성물질을 가열 용융하고 스핀홀에서 융용물을 공기 중으로 압출하면서 공기 중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일정 속도로 감고 용융된 합성물질이 얇아지는 동안에 고형화가 이루어지면서 섬유가 만들어진다. 섬유의 기계적인 성질을 높이기 위하여 열 신장을 실시한다. 용융 방적 과정에서, 용융점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중합 과정에서 얻은 방적 가능한 폴리머는 스핀 플레이트의 홀에서 압출되고 냉각된 후에 실형태의 고체로 정제되면서 동시에 감긴다.
Ⅲ.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과 식물 추출 방향유의 실시예
섬유가 오랜 기간 동안에 식물 향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추출 방향유를 캡슐화한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며, 마이크로캡슐은 키틴질, 폴리우레탄 탄성체, 열가소성 탄성체 및 전기석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에 의해 제조된다. 식물 에센스가 캡슐화된 마이크로캡슐을 열가소성 탄성체와 혼합하는 기술에 의하여 본 발명은 오랜 기간 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다음의 실험 결과들에서 보여지듯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오랜 기간 향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보여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마이크로캡슐은 두 종류 이상의 캡슐화된 식물 방향유를 가질 수 있으며, 두 개의 다른 종류의 식물 방향유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향 지속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서, 식물 방향유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되며, 천연 식물로는 라벤더, 레몬, 노송나무(hinoki), 로즈메리(rosemary), 유칼립투스(eucalyptus), 티트리(tea tree), 샌달우드(sandalwood), 베르가못(bergamot), 소나무, 재스민, 장미, 카밀레(chamomile), 일랑일랑(Ylang Ylang), 바질(basil), 제라늄(geranium), 니아울리(niaouli), 카르다몸(cardamom), 사향(musk), 몰약(myrrh), 계피(cinnamon), 회향풀(fennel), 유향(frankincense), 감귤류(citrus), 페퍼민트(peppermint), 시더우드(cedarwood), 파출리(patchouli), 팔마로사(palmarosa), 정향(clove),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 벤조인(benzoin), 생강, 시트로넬라(citronella)와 마조람(marjoram)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출 방향유에서 선택된다.
Ⅳ. 본 발명의 실험예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기본재료로서 3.15×105 g/mole의 분자량을 갖는 다수의 폴리프로필렌 칩이 이용된다. 다수의 폴리프로필렌 칩은 전체 중량에 대해 20 wt%이다. 준비된 마이크로캡슐은 전체 중량에 대해 50 wt%이며, 각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된 식물 방향유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된다. 준비된 열가소성 탄성체(TPE)는 전체 중량에 대해 30 wt%이다. 이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열가소성 탄성체(TPE) 량(30%)이 폴리프로필렌 량(20%)보다 많아서 마이크로캡슐은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탄성체와 쉽게 사전 혼합될 수 있다.
제조 시에 20 wt%의 폴리프로필렌 칩, 50 wt%의 마이크로캡슐 및 30 wt%의 열가소성 탄성체가 혼합되며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가 형성되도록 2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알갱이 형태로 가공한다. 다음으로, 다수의 마스터배치와 추가 폴리프로필렌 칩이 마련되며, 마스터배치와 추가 폴리프로필렌 칩을 혼합하여 합성물질을 만들며, 이때 마이크로캡슐의 최종 량은 합성 물질 전체 중량에 대해 20 wt%가 된다. 최종적으로 합성 물질은 방적, 냉각, 열 신장(thermal stretching) 및 열 정형 과정을 거쳐 섬유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방적 온도는 240℃, 드래프팅 팩터(drafting factor)는 6배, 가열 신장 온도는 100℃이다.
특정한 실험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작하였다. 즉, 경사와 위사 방향을 갖는 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의 모조 천연식물 섬유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세정 능력 및 향 지속력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세정 능력 분석
본 실험의 샘플 사이즈는 101.6㎜ × 203.2㎜(4in×8in)이며, 경사 방향으로 단위 길이당 분포되는 섬유량은 인치 당 42줄이며, 위사 방향으로 단위 길이당 분포되는 섬유량은 인치 당 34줄이다.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직물체는 효과적인 천연 방향유의 세정 능력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ii) 노화 분석
본 발명은 다음의 8개의 동적 노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장기간의 내구성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 방법은 샘플(크기: 23.5 CM × 36.5 CM)을 에어크리너(풍속: 3.3m3/min)에 위치시켜 실험하였으며, 에어크리너를 작동시킨 후에 실험에서 설정한 시간에 본 발명의 직물체의 적정 영역을 절단하고 가스 수집 백에 넣고 6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에 공기를 수집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기(gas phase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와 연결된 열탈착장치(thermal desorption device)에 의해 샘플을 분석하였다.
(1) 0 시간에서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2
(2) 600 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3
(3) 8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4
(4) 12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5
(5) 25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6
(6) 30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7
(7) 35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서 나와 있다.
Figure pct00008
(8) 4500시간 노화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09

(iii) 보존 노화 분석
표 2의 결과에서 나와 있듯이, 본 발명은 2년 동안 일반 환경에 놓여 있은 후에도 여전히 효과적인 방향 효과를 가지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는 마이크로캡슐 내에 첨가된 방향유의 방향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증명함에 충분하다.
표 2: 방향유가 첨가된 마이크로캡슐의 방향 지속성 실험
Figure pct00010

(iv) 본 발명의 물리적 조건 분석
분석 결과는 다음 표에 나와 있다.
Figure pct00011

Ⅴ. 결론
본 발명은 방향유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이 첨가되는 경우에 열가소성 탄성체가 같이 첨가되므로 탄성체의 기능에 의하여 방향유가 급속히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유는 거의 일정 량만이 방출되므로 낭비를 방지하고 향 지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성분 비율과 2차 합성 공정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은 실용적이면서도 기대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가능한 예일 뿐이며, 이러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특허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청구범위의 내용, 특징 및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형들은 본 발명의 특허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Claims (15)

  1. (a) 다음 물질을 준비하는 과정;
    (a1) 기본 재료로서 70 wt% - 95 wt%의 다수 제1폴리올레핀 칩;
    (a2) 5 wt% - 50 wt%의 다수 마이크로캡슐이되, 각 마이크로캡슐은 최소한 하나의 캡슐화된 식물 방향유를 갖는 마이크로캡슐;
    (a3) 1 wt% - 60 wt%의 열가소성 탄성체(TPE);
    (b)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가 형성되도록 상기 다수의 제1폴리올레핀 칩과, 다수의 기능성 입자와 열가소성 탄성체를 혼합하는 과정;
    (c) 상기 다수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와 제2폴리올레핀 칩을 준비하는 과정이되, 상기 제2폴리올레핀은 상기 제1폴리올레핀과 같은 재료로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마스터배치와 제2폴리올레핀 칩을 용융, 혼합하여 합성물질을 만들어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합성물질의 중량에 대해 1 - 32 wt%가 되도록 하는 과정과;
    (d) 상기 합성물질을 섬유로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올레핀과 제2폴리올레핀은 모두 폴리프로필렌인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은 3.15×105 g/mole인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올레핀과 제2폴리올레핀은 모두 폴리에틸렌인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은 1.5 ∼ 2.5×105 g/mole인 모조 쳔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키틴질, 폴리우레탄 탄성체, 열가소성 탄성체 및 전기석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물질로 제조되는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 (d)에서 상기 합성물질은 방적, 냉각, 열 신장 및 섬유 형성을 위한 열 정형이 이루어지는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적 온도는 240℃이며, 가열 신장온도는 100℃이며, 열 정형온도는 90℃인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방향유는 천연식물에서 추출되는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은 라벤더, 레몬, 노송나무(hinoki), 로즈메리(rosemary), 유칼립투스(eucalyptus), 티트리(tea tree), 샌달우드(sandalwood), 베르가못(bergamot), 소나무, 재스민, 장미, 카밀레(chamomile), 일랑일랑(Ylang Ylang), 바질(basil), 제라늄(geranium), 니아울리(niaouli), 카르다몸(cardamom), 사향(musk), 몰약(myrrh), 계피(cinnamon), 회향풀(fennel), 유향(frankincense), 감귤류(citrus), 페퍼민트(peppermint), 시더우드(cedarwood), 파출리(patchouli), 팔마로사(palmarosa), 정향(clove),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 벤조인(benzoin), 생강, 시트로넬라(citronella)와 마조람(marjoram) 중의 최소한 하나의 추출 방향유에서 선택되는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 (a)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량은 제1폴리올레핀 칩의 량보다 많은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 (a)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량은 30 wt%이며, 다수의 제1폴리올레핀 칩의 량은 20 wt%이며, 마이크로캡슐의 량은 50 wt%인 모조 천연식물 섬유의 제조방법.
  13.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0.005 ㎜ ∼ 5 ㎜의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마이크로캡슐을 갖고 각 마이크로캡슐 내에는 식물 방향유가 캡슐화되는 섬유.
  14. 제13항에 따른 섬유로부터 서로 경사 방향과 위사 방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섬유로 제조된 직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에어필터, 신발 패드, 모자, 스크린 윈도우, 커튼, 마스크, 슬리핑 패드, 등받이 쿠션, 의자 쿠션 및 TV 고글 중의 하나에서 선택되는 직물.
KR1020107013350A 2007-11-27 2007-11-27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KR20100112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7/003339 WO2009067840A1 (en) 2007-11-27 2007-11-27 Imitating natural plant fib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abric made of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552A true KR20100112552A (ko) 2010-10-19

Family

ID=4067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350A KR20100112552A (ko) 2007-11-27 2007-11-27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00227522A1 (ko)
EP (1) EP2216430B1 (ko)
JP (1) JP2011504209A (ko)
KR (1) KR20100112552A (ko)
CN (1) CN101874130B (ko)
AU (1) AU2007361791B2 (ko)
BR (1) BRPI0722224A2 (ko)
CA (1) CA2706980A1 (ko)
EA (1) EA017657B1 (ko)
ES (1) ES2401466T3 (ko)
IL (1) IL205888A (ko)
MA (1) MA31986B1 (ko)
MX (1) MX2010005634A (ko)
NO (1) NO20100725L (ko)
NZ (1) NZ585912A (ko)
TN (1) TN2010000224A1 (ko)
WO (1) WO2009067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1968B2 (en) * 2006-05-03 2012-07-31 Noveko Trading 2008 Llc Natural tourmaline anion fiber and filter and producing method
MX2010005102A (es) * 2007-11-07 2010-08-02 Neveko Trading 2008 Llc Fibra funcional, metodo de preparacion de la misma y la tela hecha de ella.
US9799488B2 (en) * 2010-08-23 2017-10-24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US20170303383A1 (en) * 2010-08-23 2017-10-19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10825685B2 (en) 2010-08-23 2020-11-03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10181402B2 (en) 2010-08-23 2019-01-15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US10202684B2 (en) 2010-08-23 2019-02-12 Exogenesis Corporation Method for neutral beam processing based on gas cluster ion beam technology and articles produced thereby
WO2012164080A1 (en) 2011-06-03 2012-12-06 Intelligent Insect Control Insecticidal polyethylene fiber, yarn or textile products with improved migration profiles and washing resistance
WO2013028761A1 (en) 2011-08-22 2013-02-28 Exogenesis Corporation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2733514B (zh) * 2012-06-06 2015-09-09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下口转接横梁
CN103409938A (zh) * 2013-08-12 2013-11-27 江南大学 一种姜丝纤维/姜渣/聚丙烯轻型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3741305B (zh) * 2014-01-14 2017-01-04 河北瑞春纺织科技有限公司 含有草珊瑚纤维和薄荷纤维的混纺纱线及其制备方法
CN106609399A (zh) * 2015-10-21 2017-05-03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柔软纤维及其织物
CN105708378A (zh) * 2016-03-14 2016-06-29 廖舟 皮肤癣患者专用毛巾
CN105696160A (zh) * 2016-03-14 2016-06-22 廖舟 皮肤癣患者专用毛巾的制备方法
CN105714446A (zh) * 2016-03-14 2016-06-29 廖舟 抗菌毛巾的制备方法
CN105696161A (zh) * 2016-03-14 2016-06-22 廖舟 防霉毛巾的制备方法
IT201600093856A1 (it) * 2016-09-19 2018-03-19 Humanwellness Sa Tessuto cosmetico
CN107475882A (zh) * 2017-09-12 2017-12-15 江阴芗菲服饰有限公司 一种薄荷棉混纺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523081A (zh) * 2018-03-27 2018-09-14 广州城市职业学院 一种天然荔枝风味香料及其制备方法
CN110777540A (zh) * 2019-11-21 2020-02-11 广州市迅泰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洋甘菊卫生面层
CN111636132A (zh) * 2020-06-04 2020-09-08 刘裕芬 一种薄荷纤维抗菌面料
CN112220961B (zh) * 2020-09-14 2022-11-04 株洲千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防褥除臭芯片与产妇垫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2305A (ja) * 1988-05-09 1989-11-14 Kuraray Co Ltd 芳香性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2736433B2 (ja) * 1989-03-22 1998-04-02 タキロン株式会社 徐放性害虫忌避材
DE68920697T2 (de) * 1988-10-31 1995-06-22 Takiron Co Insektenvertreibungsmittel mit gesteuerter Freisetzung.
JP2904944B2 (ja) * 1991-02-20 1999-06-14 帝人株式会社 徐放性芳香クッション材
CN1032874C (zh) * 1992-04-29 1996-09-25 营口化学纤维厂 加香合成纤维及其制造方法
CN1244106A (zh) * 1996-08-15 2000-02-09 加拿大吉勒特公司 牙线
DE19920257A1 (de) 1999-05-03 2000-11-09 Basf Ag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
JP4172617B2 (ja) * 2001-02-08 2008-10-29 川崎 智子 忌避活性徐放性多孔質微粒子およびその用途
ITMI20021155A1 (it) * 2002-05-28 2003-11-28 Atex S R L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essuto non tessuto in fibra sintetica con mezzi profumanti
CN1641080A (zh) * 2003-03-06 2005-07-20 王开利 纳米抗菌复合功能芳香纤维
CN1776034A (zh) * 2005-12-06 2006-05-24 颜志勇 一种医用x光显影纤维及其制造方法
US8231968B2 (en) * 2006-05-03 2012-07-31 Noveko Trading 2008 Llc Natural tourmaline anion fiber and filter and producing method
CN201039770Y (zh) * 2007-03-12 2008-03-26 陈宏任 多功能机能性健康养生自净鞋材
MX2010005102A (es) * 2007-11-07 2010-08-02 Neveko Trading 2008 Llc Fibra funcional, metodo de preparacion de la misma y la tela hecha de 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6430A4 (en) 2011-05-25
MA31986B1 (fr) 2011-01-03
AU2007361791A2 (en) 2010-07-08
BRPI0722224A2 (pt) 2014-06-03
WO2009067840A1 (en) 2009-06-04
MX2010005634A (es) 2010-06-09
IL205888A0 (en) 2010-11-30
EA201000870A1 (ru) 2011-04-29
NO20100725L (no) 2010-05-27
AU2007361791A1 (en) 2009-06-04
CN101874130A (zh) 2010-10-27
IL205888A (en) 2013-10-31
WO2009067840A8 (zh) 2009-11-26
TN2010000224A1 (en) 2011-11-11
NZ585912A (en) 2011-11-25
CN101874130B (zh) 2013-11-13
EA017657B1 (ru) 2013-02-28
CA2706980A1 (en) 2009-06-04
EP2216430B1 (en) 2013-01-09
AU2007361791B2 (en) 2013-03-21
US20100227522A1 (en) 2010-09-09
JP2011504209A (ja) 2011-02-03
EP2216430A1 (en) 2010-08-11
ES2401466T3 (es) 201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2552A (ko) 모조 천연식물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KR920005729B1 (ko) 방향성 섬유
CN106400308B (zh) 一种自芳香天然抗菌除臭非织造布及其应用
EP1531169B1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sustained release of volatile materials
CN106283406B (zh) 设有透气孔隙的一次性卫生用品用自芳香非织造布
JP5107565B2 (ja) 消臭芳香器、それに用いる揮散体およびこの揮散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消臭芳香方法
KR101715571B1 (ko)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KR20180138327A (ko) 장기 발향 지속성을 갖는 발향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1394B1 (ko)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CA2387975A1 (en) Aroma delivery device
CN113186622A (zh) 一种负离子抗菌保暖纤维及其制备方法
DE10357676A1 (de) Duftkomposite
Khedkar et al. Aroma textiles
TWI275384B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ragrance-containing back sheet
KR101893023B1 (ko) 기능성 실리콘 실 제조 방법
TWI337631B (ko)
DE102011018965A1 (de) Riechstoffdepo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0132353B1 (ko) 방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DE102013011882A1 (de) Verwendung von Duftöl als Weichmacher und duftender PVC-Kunststoff
JPH09241413A (ja) 抗菌性を有する軟質合成樹脂発泡体
CN206143429U (zh) 一种自芳香非织造布
Mounesan et al. Scent encapsulation into the electrospun nanofibers
CN101181398A (zh) 一种具有明显兴奋作用的香袋
CN102400237A (zh) 释放负离子的薰衣草纤维及其制造方法
KR20160122431A (ko) 방향제용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