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488A -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488A
KR20100109488A KR1020100028451A KR20100028451A KR20100109488A KR 20100109488 A KR20100109488 A KR 20100109488A KR 1020100028451 A KR1020100028451 A KR 1020100028451A KR 20100028451 A KR20100028451 A KR 20100028451A KR 20100109488 A KR20100109488 A KR 20100109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display
unit
touch
pressu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297B1 (ko
Inventor
나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두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두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 드롭 조작이 기술된다. 인접한 제1 및 제2터치패널이 표시물을 표시하고, 표시물과 관련된 지정점의 위치가 소정의 조건들을 토대로 결정된다. 그 후, 상기 표시물은 상기 터치패널들 가운데 어느 하나 상에서 사전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본 출원은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VICE"라는 제목으로 2009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087966호를 35 U.S.C.§119 하에 우선권주장하고,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서 인용참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 인터페이스(UI)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단말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 상용화되는 휴대단말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에 필적할 만한 매우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어, 복잡한 표시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컴퓨터 기능 또는 피처의 복잡한 표시를 위해 2개의 터치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두 터치패널 양자 모두가 표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두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조작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같은 제1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물을 그의 오른손으로 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2터치패널 상의 원하는 위치를 그의 왼손으로 터치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그의 왼손을 상기 제2터치패널에서 제거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을 제2터치패널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휴대단말장치들을 한 손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때문에, 양손을 이용한다는 것은 불편한 동시에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터치패널간 표시물의 이동과 같은 복수의 터치패널 상의 한 손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된다.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2개의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두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 드롭 조작이 기술된다. 인접한 제1 및 제2터치패널이 표시물을 표시하고, 표시물과 관련된 지정점의 위치가 소정의 조건들을 토대로 결정된다. 그 후, 상기 표시물은 상기 터치패널들 가운데 어느 하나 상에서 사전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인터페이스(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1 이상의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제1터치패널, 및 상기 1 이상의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제2터치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제1가압점이 가압, 이동 및 해제될 때, 그리고 상기 제1가압점의 움직임이 사전정의된 조건에 순응할 때,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지정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판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또한 상기 판정유닛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정유닛에 의한 상기 지정점의 위치의 결정을 토대로 상기 판정유닛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단말(휴대단말장치)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저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제1터치패널 및 제2터치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제2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물이 하나의 터치패널로부터 다른 것으로 드래깅되도록 작동가능하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또한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작동가능한 실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또한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에 가압이 개시된 경우, 가압 개시를 나타내는 제1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가 변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 변화가 사전정의된 조건에 순응하는 경우, 상기 가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가압의 해제를 나타내는 제3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된 것과 상이한 터치패널 상에서 가압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제3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가압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하도록 작동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한 터치패널 상의 가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물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인터페이스장치는 또한 가압 개시와 가압 해제 간에 상기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 위치의 변화가 사전정의된 조건에 순응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제1터치패널 상에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터치패널간 표시물의 이동과 같은 복수의 터치패널 상의 한 손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하기 도면들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 및 묘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크기, 범위, 규모 또는 적용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이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이 도면들이 반드시 척도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다.
도 1a는 제1터치패널로 이동하기 전 손가락이 터치한 제2터치패널 상의 아이콘을 예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제2터치패널에서 제1터치패널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시도;
도 1c는 아이콘이 제1터치패널에서 제2터치패널로 이동한 후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 팝업된 신규 이메일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휴대단말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정면도;
도 4는 2개의 터치패널의 개략도;
도 5는 사용자에 의한 예시적인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6a는 제2터치패널 상의 아이콘을 제1터치패널 상의 목적지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는 사용자를 예시한 도면;
도 6b는 도 6a에 예시된 조작에 따라, 목적지를 향해 제2경계영역에서 추가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한 도면;
도 6c는 도 6b에 예시된 조작에 따라, 목적지를 향해 제1경계영역에서 추가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사용자에 의한 예시적인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8a는 제2터치패널 상의 아이콘을 제1터치패널 상의 목적지로 드래그하기 시작하는 사용자를 예시한 도면;
도 8b는 도 8a에 예시된 조작에 따라, 목적지를 향해 제2터치패널의 상부 에지 영역에서 추가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한 도면; 및
도 8c는 도 8b에 예시된 조작에 따라, 목적지를 향해 제1터치패널의 하부 에지 영역에서 추가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당업계의 당업자들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하기 상세한 설명은 본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본 명세서 또는 본 출원 및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용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혀 없다. 특정 디바이스,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설명도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예들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타의 예시들과 응용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앞선 기술분야, 배경기술, 요약서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 여하한의 명시되거나 암시된 이론에 의해서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 본 명세서는 청구범위와 일치하는 허용된 범위이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예시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적으로 제한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즉 유저인터페이스디바이스의 문맥으로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유저인터페이스디바이스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은 여타의 유저인터페이스어플리케이션들에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게임기, 디지털뮤직플레이어, 휴대정보단말기(PDA), 개인용휴대폰시스템(PHS), 랩탑컴퓨터 등에도 실시예들이 적용가능하다.
본 명세서를 읽은 당업계의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한 바와 같이,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예시들에 따라 조작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타의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당업계의 당업자들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설명을 하기로 한다. 특정 디바이스,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설명도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들에 대한 각종 변형예들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여타의 예시들과 응용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된 예시들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혀 없으며, 청구범위와 일치하는 범위까지 허용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전화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로서 기술된다. 두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 드롭 조작이 기술된다. 하지만, 당업계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두 터치패널을 구비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는,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터치패널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래그 & 드롭 조작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컨대 '이동' 및/또는 '컷 앤드 페이스트'와 같은 조작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휴대단말)의 사시도로서, 제1터치패널로 이동되기 전에 손가락이 터치한 제2터치패널 상의 아이콘을 예시하고 있다. 도 1b는 제2터치패널에서 제1터치패널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예시하는 휴대단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아이콘이 제1터치패널에서 제2터치패널로 이동한 후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 팝업된 신규 이메일 스크린을 예시하고 있다.
휴대전화(100)는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형 휴대전화이다. 상기 휴대전화(100)는 제1하우징(101) 및 제2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01) 및 제2하우징(102)은 슬라이딩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1)은 스피커(103)와 제1터치패널(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2)은 마이크로폰(104)과 제2터치패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터치패널(110)은 엔드포인트 a 및 엔드포인트 b를 포함한다. 상기 제2터치패널(120)은 엔드포인트 c 및 엔드포인트 d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패널(110, 120)은 커서키 및 숫자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와 아이콘과 같은 아이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펜, 바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패널들을 터치함으로써 상이한 조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메일 아이콘(1)이 제1터치패널(110) 상에 표시된다. 텍스트파일 아이콘(2, 3),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4) 및 뮤직파일 아이콘(5)이 제2터치패널(120)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손가락(11)을 이용하여 아이콘(5)을 터치하여 드래그 조작을 시작하게 된다(도 1a). 이러한 조작에 의하면, 포토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다이어그램 데이터와 같은 여하한의 데이터 파일의 아이콘이 드래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터치패널(110)을 향해 아이콘(5)을 드래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11)이 (제2터치패널(120) 상의 압력(가압력)을 가해) 제2터치패널(120)의 우하측 코너 상에 위치한 아이콘(5)을 터치하고(도 1a), 제2터치패널(120) 상의 아이콘(5)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가락(11)을 슬라이딩시켜, 제1터치패널(110)을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손가락(11)이 제2터치패널(120)의 상단에 이른다(도 1b).
이와 유사하게, 2개의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조작에서는, 사용자가 제1터치패널(110)로 손가락이 들어갈 때까지 하우징의 표면상에서 손가락(11)을 슬라이딩시킨다. 아이콘(5)의 드래깅은 제1터치패널(110)측에 있는 제2터치패널(120)의 경계상에서 해제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터치패널(110) 상에서 드래깅이 계속된다.
그 후,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을 제1터치패널(110) 상에서 더욱 슬라이딩시켜, 아이콘(5)을 메일 아이콘(1) 상에 드롭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터치패널(11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손가락이 제1터치패널(110) 상의 아이콘(1)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손가락이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제거된다(제1터치패널(110) 상의 압력이 해제됨). 그 결과, 드롭된 아이콘(5)에 대응하는 파일을 갖는 신규 메일 생성 스크린이 도 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손가락은 도 1b의 제2터치패널(120)의 상단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손가락은 이와 유사하게 화살표를 따라 제1터치패널을 계속해서 터치하면서 제1터치패널 상의 아이콘(1)으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전화(100)는 제1터치패널(110), 제2터치패널(120) 및 베젤(93)을 포함하는 가상터치패널(150)을 포함한다. 아이콘(5)은 가상터치패널(15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드래그 & 드롭 조작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수행된 것처럼, 2개의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휴대전화(10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100)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 뿐만 아니라 좌표기억유닛(130) 및 컨트롤러(140)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치패널(110)은 제1표시유닛(111) 및 제1입력유닛(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120)은 제2표시유닛(121) 및 제2입력유닛(122)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유닛들은 각각 LCD(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유닛들은 표시 제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지시들에 응답하여 LCD 상에 아이콘과 같은 이미지 및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회로로서 규정될 수도 있다.
표시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OS(운영체제)로부터의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LCD를 표시-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다.
하기 설명에서는, 제1표시유닛(111) 내의 LCD의 픽셀수(종횡)가 예컨대 150 x 300 픽셀(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이고, 제2표시유닛(121) 내의 LCD의 픽셀수(종횡)는 예컨대 150 x 200 픽셀(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이다.
상기 제1표시유닛(111)은 제1좌표계(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표시유닛(121)은 제2좌표계(220)를 포함한다. 상기 좌표계(210, 220)의 도면 부호 x 및 y는 각각 픽셀수에 대응하는 값들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1좌표계(210)에서는 x가 0 - 150의 값을 갖고, y는 0 - 300의 값을 가지며, 제2좌표계(220)에서는 x가 0 - 150의 값을 갖고, y는 0 - 200의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좌표계(210)에서는, 예컨대 도 1a에 예시된 점 a(제1터치패널(110) 내의 LCD의 좌상단)가 제1좌표값 (0, 0)으로 표시되고, 점 b(제1터치패널(110) 내의 LCD의 우하단)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좌표값 (150, 300)으로 표시된다(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이와 유사하게, 제2좌표계(220)에서는, 예컨대 도 1a에 예시된 점 c(제2터치패널(120) 내의 LCD의 좌상단)가 제2좌표값 (0, 0)으로 표시되고, 도 1b에 예시된 점 d(제2터치패널(120) 내의 LCD의 우하단)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좌표값 (150, 200)으로 표시된다(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상기 제1입력유닛(112) 및 제2입력유닛(122)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터치들을 검출하고, 이와 동시에 단위시간(예컨대, 매 1/60초)의 간격으로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들의 좌표값 (x, y)을 컨트롤러(140)에 전달한다. 본 설명에서는 '단위시간'이라고 불리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하한의 시간 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입력유닛(112, 122)들은 예컨대 공통 터치패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저항형, 광학(적외)형 또는 콘덴서형일 수도 있다(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입력유닛(112)은 점 a(도 1a)가 터치될 때 제1좌표값 (0, 0)을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점 b(도 1a)가 터치될 때 제1좌표값 (150, 300)을 컨트롤러(140)에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2입력유닛(122)은 점 c(도 1a)가 터치될 때 제2좌표값 (0, 0)을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점 d(도 1b)가 터치될 때 제2좌표값 (150, 200)을 컨트롤러(140)에 각각 출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100)는 좌표기억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은 또한 상이한 좌표값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표시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터치패널들 간의 매개체가 될 OS로서 기능한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여하한의 운영체제에서와 같이, 예컨대 터치패널 상의 아이콘과 같은 아이템들의 크기, 모양 및 위치(좌표)들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또한 터치패널 상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메시지들을 조작부를 표시-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다시 컨트롤러(140)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0)는 검출유닛(141), 메시지발행유닛(142), 좌표변환유닛(143) 및 판정유닛(144)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유닛(141)은 입력유닛들로부터 받은 좌표값들을 토대로 사용자가 다루는 각각의 터치패널들의 조작 상태들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터치패널(110, 120)의 조작 상태들은 터치 상태, 디태치 상태 및 드래그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상태는 터치 패널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기타 도구에 의해 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터치패널 상에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이다. 상기 디태치 상태는 손가락이 터치 패널로부터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터치패널 상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상태이다. 상기 드래그 상태는 생성된 터치 상태가 디태치 상태로 이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드래그 상태란 용어는 터치된 위치의 이동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드래그 상태는 이동되지 않고 남아 있는 터치된 위치를 포함한다.
이제 메시지발행유닛(142)을 참조하면,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검출유닛(141)에 의해 획득한 검출 결과 또는 판정유닛(144)에 의해 획득한 판정 결과에 기초한 메시지들을 표시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 이러한 메시지들을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제 좌표변환유닛(143)을 참조하면,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제1입력유닛(112) 및/또는 제2입력유닛(122)으로부터 받은 제1 및 제2좌표값(물리적인 좌표값)을 제3좌표계(조작 제어를 위한 좌표계)의 제3좌표값(논리적인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에 변환된 제3좌표값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3좌표계를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휴대단말장치의 개략적인 예시의 정면도이다.
가상터치패널(150)에 대응하는 제3좌표계는 예컨대 하기와 같이 규정된다(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 예시에서, 원점 (0, 0)으로서 제1터치패널(110) 상의 좌상측 코너(도 1a의 점 a)의 좌표값들을 갖는 제3좌표계는 원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x축과 그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y축을 가진다.
제1터치패널(110)에 있어서, 우상단의 좌표값들은 (150, 0)이고, 좌하단의 좌표값들은 (0, 300)이며, 우하단(도 1a의 점 b)의 좌표값들은 (150, 300)이다. 제2터치패널(120)에 있어서, 좌상단(도 1a의 점 c)의 좌표값들은 (0, 350)이고, 우상단의 좌표값들은 (150, 350)이며, 좌하단의 좌표값들은 (0, 550)이고, 우하단(도 1b의 점 d)의 좌표값들은 (150, 550)이다.
제2터치패널(120) 상의 상단의 y 좌표는 베젤(93)의 a 폭을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y 좌표는 제3좌표계의 베젤(93)의 폭을 포함하여 할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젤(93)의 y 좌표가 300 내지 350 범위에 있다.
상기 제1터치패널(110)은 제1경계영역(91)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계영역(91)의 y 좌표는 350 내지 360 범위에 있다. 상기 제2터치패널(120)은 제2경계영역(92)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경계영역(92)의 y 좌표는 290 내지 300 범위에 있다.
또한 상기 예시에서는, 제1입력유닛(112)이 제1터치패널(110)의 LCD의 좌상단(점 a)이 터치될 때 좌표값 (0, 0)을 제1좌표값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전달하고, 그 우하단(점 b)이 터치될 때 좌표값 (150, 300)을 제1좌표값으로서 컨트롤러(140)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제2입력유닛(122)이 제2터치패널(120)의 LCD의 좌상단(점 c)이 터치될 때 좌표값 (0, 0)을 제3좌표값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전달하고, 그 우하단(점 d)이 터치될 때 좌표값 (150, 200)을 제3좌표값으로서 컨트롤러(140)에 각각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예시에서는, 제1터치패널(110)(제1입력유닛(112))로부터 받는 물리적인 좌표값들이 제3좌표계의 논리적인 좌표값들과 같다. 그러므로, 좌표변환유닛(143)은 제3좌표값으로서 제1터치패널(110)(제1입력유닛(112))로부터 받는 제1좌표값들을 직접 이용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제2터치패널(120)(제2입력유닛(122))로부터 받는 제2좌표값들의 y 좌표에 "350"을 더하여, 그 결과 값들을 제3좌표값들로 사용한다.
검출유닛(141)에 의해 검출되는 드래깅된 위치가 제1터치패널(110) 밖으로 이동되는 경우, 다시 말해 디태치 상태가 제1터치패널(110)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판정유닛(144)(도 2 참조)은 드래그 상태가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제3좌표값들을 토대로 제2터치패널(120)에 계속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터치패널(110)에서 드래그 상태가 디태치 상태로 시프트되는 위치(예컨대,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 또는 예비-이동 좌표계)가 상기 제1터치패널(110)의 제1경계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그리고 추가로 상기 위치에서의 드래그 속도의 절대값이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인 경우에 드래그가 계속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 속도는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보다 단위시간(본 예시에서는 1/60초)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의 y 좌표값을 상기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부터 감산하여 정의된다. 이하, 드래그 상태가 제1터치패널(110)의 디태치 상태로 시프트될 때 음의 값을 보여주는 드래그 속도를 제외하고는, 가정으로 그리고 예시의 방법을 통해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2"로 설정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대안적으로는, 드래그 속도가 양의 값을 보여줄 때, 드래그 상태가 제2터치패널(120)에서 디태치 상태로 시프트되면, 상기 드래그 속도가 "0"으로 간주된다.
나아가, 드래그 상태가 계속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유닛(144)이 판정하고,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을 가상터치패널(150) 상에서 떼지 않으면서 드래그를 계속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하게 될 위치의 좌표값("목적지 좌표값")들은 예컨대 단위시간의 간격으로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논리적인 좌표값들을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목적지 좌표값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터치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이 예시된 2개의 터치패널(110, 120)의 개략도이다.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터치한(시점 T2) 위치의 좌표값들은 (x2, y2)이고,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시점 T1) 위치의 좌표값들은 (x1, y1)이라고 가정하면, 단위시간당 이동량은 (x2-x1, y2-y1)로 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위시간당 이동량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단위시간만큼 시점 T2 보다 늦은 시점 T3에서 터치하게 될 위치의 좌표값(목적지 좌표값)들은 (2×x2-x1, 2×y2-y1)이고, 단위시간만큼 더 늦은 시점 T4에서 터치하게 될 위치의 목적지 좌표값들은 (3×x2-2×x1, 3×y2-2×y1)으로 결정될 수 있다.
목적지 좌표값들이 이렇게 결정됨에 따라, 시점 T6에서의 위치 P6의 좌표값들은 다른 터치패널의 경계영역(본 예시에서는 제1경계영역) 너머에 있다. 이러한 다른 터치패널은 가장 최근에 터치된(시점 T2) 터치패널(본 예시에서는 제1터치패널(110))과 상이하다. 이 경우, 상기 판정유닛(144)은 목적지 좌표값들로서 다른 터치패널의 경계(본 예시에서는 경계 B1) 상의 위치 P6'의 좌표값들을 이용한다.
상기 위치 P6'의 좌표값들은 시점 T5에서 터치하게 될 위치 P5를 시점 T6에서 터치하게 될 위치 P6에 연결시키는 직선과 경계 B1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의 좌표값들이다. 위치 P5와 위치 P6을 서로 연결하는 직선은 1차함수로 표시되고(y = ax + b), 상수 a 및 b의 값들은 연립 방정식을 풀어 계산할 수 있다. 경계 B1의 y 좌표(본 예시에서는 290)를 방정식 (y = ax + b)에 단순히 대입하면, x 좌표가 계산되고, 위치 P6'의 좌표값들이 쉽게 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위한 제어처리단계들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500)이다. 상기 검출유닛(141)은 제1 또는 제2터치패널로부터 제1 또는 제2좌표값들을 수신할 때 터치 상태를 검출한다(태스크 ST1).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상기 검출유닛(141)에 의해 획득한 검출 결과를 토대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PRESS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2). 상기 PRESS 메시지는 좌표값들을 전달한 터치패널의 식별 정보 및 터치된 위치의 제1 또는 제2좌표값(태스크 ST1에서 받은 좌표값)을 포함하는 터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PRESS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또는 제2좌표값에서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태스크 ST1에서 받은 제1 또는 제2좌표값들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값들을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한다.
상기 검출유닛(141)은 디태치 상태의 발생이 태스크 ST1의 터치 상태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터치패널에서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단위시간(본 예시에서는 1/60초)의 간격으로 판정한다(태스크 ST3). 보다 상세하게는, 사실상 좌표값들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그 이유는 터치 상태가 지속되는 한 단위시간의 간격으로 목표 터치패널로부터 좌표값들이 수신되기 때문이다. 그 후, 좌표값들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태치 상태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한다.
상기 검출유닛(141)이 디태치 상태를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태스크 ST3; N),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상기 검출유닛(141)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MOVE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4). 이에 따라,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태스크 ST3에서 받은 제1 또는 제2좌표값들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값들을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하며, 상기 검출유닛(141)이 다시 태스크 ST3을 판정한다.
상기 MOVE 메시지는 좌표값들을 전달한 터치패널의 식별 정보 및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태스크 ST3에서 받은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MOVE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값들로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기 검출유닛(141)이 디태치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태스크 ST3; Y), 상기 판정유닛(144)은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들이 태스크 ST1의 터치 상태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터치패널의 경계영역(제1경계영역 또는 제2경계영역)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5). 상기 값들이 경계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태스크 ST5; N),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상기 판정유닛(144)에 의해 획득한 음의 판정 결과를 토대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하고(태스크 ST14), 그 후에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RELEASE 메시지는 좌표값들을 전달한 터치패널의 식별 정보 및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대응하는 논리적인 좌표값들을 물리적인 좌표값들로 재변환하여 얻어지는) 가장 최근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들을 특정하는 디태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대응하는 논리적인 좌표의 y 좌표값이 350 미만인 경우에는 RELEASE 메시지에 제1터치패널(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한편, 대응하는 논리적인 좌표의 y 좌표값이 350 초과인 경우에는 RELEASE 메시지에 제2터치패널(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RELEASE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값들보다 먼 아이콘의 여하한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들이 태스크 ST1의 터치 상태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터치패널의 경계영역에 포함되는 경우(태스크 ST5; Y), 상기 판정유닛(144)은 상기 판정 결과와 연관된 y 좌표값(논리적인 y 좌표값) 및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y 좌표값으로부터 드래그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드래그 속도의 절대값이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6).
드래그 속도의 절대값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태스크 ST6; N),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유사하게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하고(태스크 ST14), 그 후에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드래그 속도의 절대값이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인 경우(태스크 ST6; Y), 상기 판정유닛(144)은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되는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 및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두 논리적인 좌표값들로부터 단위시간당 이동량을 계산하고, 단위시간만큼 늦은 목적지 좌표값들을 결정한다(태스크 ST7).
상기 검출유닛(141)은 단위시간(본 예시에서는 1/60초)의 간격으로, 다른 터치패널이 태스크 ST3의 디태치 상태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터치패널과 상이한 상기 다른 터치패널에서 터치 상태의 발생이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8). 즉, 좌표값들이 다른 터치패널로부터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좌표값들의 수신이 없으면(태스크 ST8; N), 상기 검출유닛(141)은 디태치 상태가 태스크 ST3에서 검출된 후 사전설정된 시간이 이미 경과하였는 지(예컨대, 1초)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9). 사전설정된 시간이 이미 경과된 경우(태스크 ST9; Y),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유사하게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하고(태스크 ST14), 그 후에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사전설정된 시간이 여전히 지나고 있는 경우(태스크 ST9; N), 상기 판정유닛(144)은 목적지 좌표값들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머물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즉, 논리적인 y 좌표값이 300 내지 350 범위에 있는 지를 판정한다)(태스크 ST10).
나아가, 목적지 좌표값들이 베젤(93)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태스크 ST10; N),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MOVE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11). 상기 발행된 MOVE 메시지는 그 후에 태스크 ST4에 기술된 MOVE 메시지에서와 같이 이동 위치를 나타낸다. 하지만, 여기에서 MOVE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값들이 가장 최근에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후술하는 태스크 ST12 및 태스크 ST7에서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들 중 어느 것)들을 물리적인 좌표값들로 재변환시켜 얻어진다는 점에서 앞서 기술된 MOVE 메시지와 상이하다. MOVE 메시지에 포함될 터치패널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앞서 기술된 RELEASE 메시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유사하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태스크 ST7에서 계산된 단위시간당 이동량 및 가장 최근에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들을 토대로 단위시간만큼 늦게 얻어진 목적지 좌표값들을 결정하고(태스크 ST12), 태스크 ST8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처리 단계들을 재시작한다. 목적지 좌표값들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머물러 있는 경우(태스크 ST10; Y), 상기 판정유닛(144)은 태스크 ST11을 스킵하고 태스크 ST12로 진행된다.
상기 검출유닛(141)이 태스크 ST8에서 터치 상태의 발생을 검출하는 경우, 다시 말해 상기 좌표값들이 다른 터치패널로부터 수신된 경우(태스크 ST8; Y),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상기 수신된 좌표값들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값들을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판정유닛(144)은 상기 획득한 제3좌표값들이 그 메디안으로서 가장 최근에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들을 포함하는 한정된 범위(예컨대, 반경이 50 좌표와 같은 원으로 표시된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13).
제3좌표값들이 가장 최근에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 부근의 한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태스크 ST13; Y), 상기 판정유닛(144)은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하지 않으면서도 태스크 ST3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처리 단계들을 재시작한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제3좌표값들이 한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13; N). 상기 제어 처리는 그 후에 종료된다.
이하, 휴대전화(100)의 제어 처리 단계들을 구체적인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사용자가 제1터치패널(110)을 향해 도 1a에 예시된 제2터치패널(120) 상에 표시된 아이콘(2)을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휴대전화(100)에 의한 제어 처리의 변화를 예시하고 있다. 도 6a는 사용자가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아이콘을 드래깅하기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6b는 도 6a에 예시된 상태에 이어 사용자가 아이콘을 제2경계영역(92)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6c는 도 6b에 예시된 상태에 이어 사용자가 아이콘을 제1경계영역(91)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아이콘(2)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좌표값들(예컨대, (50, 150))을 수신하여, 터치 상태를 검출한다(도 5의 태스크 ST1).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그 후에 상기 수신된 좌표값 (50, 150) 및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2터치패널(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PRESS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2).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태스크 ST1에서 수신된 좌표값 (50, 150)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 (50, 500)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값들을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유닛(141)은 디태치 상태의 발생이 제2터치패널(120)에서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를 단위시간(본 예시에서는 1/60초)의 간격으로 판정한다. 즉, 상기 검출유닛(141)은 상기 좌표값들이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3). 디태치 상태는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아이콘(2)을 계속해서 드래깅하는 동안 검출되지 않는다(태스크 ST3; N). 그러므로,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상기 수신된 좌표값(예컨대, (48, 145)) 및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2터치패널(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MOVE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4).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MOVE 메시지에 포함된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아이콘을 상기 좌표값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도 6a).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상기 수신된 좌표값 (48, 145)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 (48, 495)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값들을 좌표기억유닛(30)에 저장한다. 상기 검출유닛(141)은 다시 태스크 ST3을 판정한다.
태스크 ST3 - ST4는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2)의 드래그 시에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을 도 6b에 예시된 위치에서 제거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좌표값들을 수신받지 못하고, 디태치 상태를 검출한다(태스크 ST3; Y).
상기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된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예컨대, (46, 355))들은 제2터치패널(120)의 제2경계영역(92)에 포함된다(태스크 ST5; Y). 상기 판정과 연관된 논리적인 y 좌표값 (355)로부터, (드래그 속도가 "-3"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되는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y 좌표값(예컨대, "358")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값의 절대값은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본 실시예에서는 "2")이다(태스크 ST6; Y). 이에 따라, 상기 판정유닛(144)은 단위시간만큼 늦게 얻어진 목적지 좌표값들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정유닛(144)은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되는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예컨대, (46, 358)) 및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 (46, 355)로부터 단위시간당 이동량 (0, -3)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단위시간만큼 늦게 얻어진 목적지 좌표값 (46, 352)을 결정하게 된다(태스크 ST7).
사용자가 아직 제1터치패널(110)을 터치하지 않은 또 다른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좌표값을 수신하지 못하고, 터치 상태를 검출하지 못한다(태스크 ST8; N).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본 예시에서는 1초)이 이 시간에 여전히 지나되, 단지 디태치 상태 후의 1/60초만이 태스크 ST3에서 검출되었다. 그 후, 상기 판정유닛(144)은 목적지 좌표값들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즉, 상기 판정유닛(144)은 논리적인 y 좌표값이 300 내지 350 범위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10).
주어진 예시에서, 목적지 좌표값 (46, 352)는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태스크 ST10; N). 그러므로,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제2터치패널(120)의 식별 정보 및 목적지 좌표값들을 재변환시켜 얻어지는 물리적인 좌표값 (46, 2)를 포함하는 MOVE 메시지를 발행한다(태스크 ST11).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MOVE 메시지에 포함된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아이콘을 좌표값 (46, 2)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태스크 ST7에서 계산된 단위시간당 이동량 (0, -3) 및 목적지 좌표값 (46, 352)를 토대로 단위시간만큼 늦게 얻어진 목적지 좌표값 (46, 349)를 결정한다(태스크 ST12).
상기 제1터치패널(110)이 태스크 ST8에서 여전히 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터치 상태를 검출하지 못하고(태스크 ST8; N), 디태치 상태가 태스크 ST3에서 검출된 이후에는 사전설정된 시간(본 예시에서는 1초)이 경과하지 못한다(S9; N). 그러므로, 상기 판정유닛(144)은 목적지 좌표값들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즉, 논리적인 y 좌표값이 300 내지 350 범위에 있는 지를 판정한다)(태스크 ST10).
태스크 ST12에서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 (46, 349)는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태스크 ST10; Y). 그러므로,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이 MOVE 메시지를 발행하지 못하고, 상기 판정유닛(144)은 태스크 ST7에서 계산된 단위시간당 이동량 (0, -3) 및 목적지 좌표값 (46, 349)를 토대로 단위시간만큼 늦게 얻어진 목적지 좌표값 (46, 349)를 결정한다(태스크 ST12).
상기 태스크 ST8 - ST12의 처리 단계들은, 메시지발행유닛(142)에 의해 발행된 MOVE 메시지에 포함된 좌표값들로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안 반복해서 수행된다. 그 후, 상기 아이콘(2)은 최종적으로 제1터치패널(110)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패널(110)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상기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좌표값(예컨대, 55, 297)을 수신한다. 그 후, 상기 검출유닛(141)은 터치 상태를 검출하고(태스크 ST8; Y), 상기 좌표변환유닛(143)은 상기 수신된 좌표값들을 제3좌표계의 제3좌표값 (55, 297)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값들을 좌표기억유닛(130)에 저장한다.
논리적인 좌표값들은 그 메디안으로서 가장 최근에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예컨대, 46, 295)을 포함하는 한정된 범위(예컨대 반경이 50 좌표와 같은 원으로 표시된 범위)에 포함된다(태스크 ST13; Y). 그러므로, RELEASE 메시지의 발생이 스킵되고, 다시 말해 드래그 상태가 유지되고, 태스크 ST3에서 그리고 그 이후의 처리 단계들이 재시작된다.
사용자는 그런 다음 아이콘(2)을 제1터치패널(110) 상에서 계속 드래깅하고, 상기 검출유닛(141)은 상기 드래그 시에 디태치 상태를 검출하지 못한다(태스크 ST3; N). 그 후,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MOVE 메시지를 발행하고(태스크 ST4),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MOVE 메시지에 포함된 제1터치패널(110) 상에서 아이콘을 상기 좌표값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아이콘(2)을 원하는 위치로 드래깅하고, 그의 손가락을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더 이상 상기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좌표값들을 수신하지 않게 되어, 디태치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태스크 ST3; Y).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논리적인 좌표값은 태스크 ST1에서 터치 상태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제2터치패널(120)의 제2경계영역(92)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태스크 ST5; N), 상기 메시지발행유닛(142)은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RELEASE 메시지를 발행하고(태스크 ST14), 상기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가 한 디스플레이 상에서 조작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처럼 복수의 원거리 터치패널들 간에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정된 실시예를 기술하되, 여기서 설정될 조건은 아이콘이 경계영역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가 아니라, 상기 아이콘의 일부가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이다. 본 변형예의 설명은 앞서 기술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에 초점을 맞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도 5의 처리 단계들의 일부가 상이하다. 태스크 ST5 대신에, 아이콘의 일부가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를 판정한다(태스크 ST25).
도 7은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위한 제어 처리 단계들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700)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휴대전화(100)에 의한 제어 처리의 변화의 예시이다. 도 8a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드래그하기 시작한 직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8b는 사용자가 도 8a에 예시된 상태에 이어 제2터치패널(120)의 상단으로 아이콘을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 8c는 도 8b에 예시된 상태에 이어 제1터치패널(110)의 하단으로 아이콘을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아이콘(2)을 그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고, 상기 아이콘(2)을 제1터치패널(110)을 향해 드래깅하는 경우(도 8a 참조), 도 7에 예시된 태스크 ST21 내지 ST24의 처리 단계들은 ST1 내지 ST4로서 앞서 기술된 방식으로 수행된다. 사용자가 그 후에 그의 손가락을 도 8b에 예시된 위치에서 제거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디태치 상태를 검출한다(태스크 ST23; Y). 상기 판정유닛(144)은 사용자에 의해 드래깅된 아이콘의 일부가 상기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논리적인 y 좌표값이 300 - 350 범위 내에 머무르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태스크 ST25).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아이콘의 크기, 모양 및 위치(좌표)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최초 접촉된 아이콘의 섹션을 나타내는 정보가 태스크 ST25의 처리 단계에 보유된다. 그 후, 상기 판정유닛(144)은 상기 아이콘의 일부가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었는 지의 여부(논리적인 y 좌표값이 300 - 350 범위 내에 머무르는 지의 여부)를, 예컨대 상기 보유된 정보를 토대로 터치패널 상에서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로부터 아이콘의 피크점들을 특정하여 판정한다.
도 8b에 예시된 예시에서는, 아이콘의 일부가 베젤(93)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논리적인 y 좌표가 300 - 350 범위 내에 포함됨)(태스크 ST25; Y), 상기 처리는 태스크 ST26으로 진행된다.
태스크 ST26에서는, 상기 처리가 앞서 기술된 실시예의 처리 단계들의 구현 이후에 태스크 ST27로 진행된다. 태스크 ST27에서는, ST7로서 앞선 실시예에 기술된 태스크 ST27의 처리 단계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패널(110)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검출유닛(141)은 터치 상태를 검출하고(태스크 ST28; Y),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처리 단계들을 구현한다. 상기 태스크 ST29 내지 ST34는 도 5의 ST9 내지 ST14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실시예 및 그 수정된 실시예를 토대로 기술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 및 그 수정된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타의 예시들이 후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는, 그것에 2개의 터치패널이 갖춰지는 한, 다른 외형을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폴딩(폴드)형 또는 바(직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터치패널(110) 및 제2터치패널(120)은 각각 사용자 측에서 볼 때 통상적인 사용 시에 좌우측 상에 위치할 수도 있되(좌측에는 제1터치패널(110), 우측에는 제2터치패널(120)), 이 경우 제3좌표계에 할당될 x 좌표는 베젤(93)의 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패널(110) 및 제2터치패널(120)은 그들이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반드시 위치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패널들은 터치패널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것으로 계속 드래깅하기 위한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한 여하한의 방식으로 임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터치패널(110)은 그 뒷면에 배치된 제2터치패널(120)과 함께 휴대전화의 앞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는 특별히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 사이에 베젤(93)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3좌표계에 할당될 y 좌표는 상기 베젤(93)의 폭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젤(93)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좌우측에 배치되는 구조에서 유사하게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위시간당 이동 또는 드래그 속도는 목적지 좌표값이 결정될 때 일정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단위시간당 이동량이 예컨대 단위시간당 결정된 목적지 좌표값들이 다른 터치패널 상의 여하한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좌표값들은 2개의 좌표값, 즉 가장 최근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과 단위시간만큼 앞서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들을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지 좌표값들은 3개의 좌표값 또는 그 이상을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3 이상의 좌표값들로부터 Bezier 곡선을 얻고, 상기 획득한 Bezier 곡선을 토대로 목적지 좌표값들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경계영역(91) 및 제2경계영역(92)의 형상들이 직사각형일 수도 있지만, 여타의 모양들이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값 i는 드래그 속도의 절대값이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인 것으로 판정될 때 "2"일 수도 있다. 하지만, 주어진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여타의 값(예컨대, "1")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컨트롤러(140)에 의해 발행된 메시지는 물리적인 좌표값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물리적인 좌표값들을 전달한 터치패널의 식별 정보는 대신에 논리적인 좌표값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메시지들이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지시를 토대로 발행되어야 하는 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1 이상의 칩, 컴퓨터프로그램 및 기타 기술적인 수단들이 갖춰진 여하한의 집적회로가 상술된 구성요소들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패널들과 표시유닛은 각각 제1 및 제2터치패널(110, 120), 메모리에 저장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세서에 대응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이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터치패널들이 입력 및 출력유닛들로서 제공되는 한, 휴대전화 이외의 디바이스에 속하는 구성요소 또는 독립적인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터치패널 상의 a 위치는 압력이 먼저 상기 위치에 인가된 이후 상기 위치로부터 압력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결정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도 5의 태스크 ST9에서의 사전설정된 시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초이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전설정된 시간은 2초 또는 3초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하우징 표면을 따라 그의 손가락을 슬라이딩시켜 2개의 터치패널들 간에 베젤(93) 상의 아이콘을 드래깅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시간량이 사전에 미리 측정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사전설정된 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UI) 디바이스(유저인터페이스)는 제1터치패널(110) 및 제2터치패널(120)을 포함할 수도 있되, 아이콘과 같은 표시물은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의 시간만큼 압력에 현재 종속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됨으로써,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데, 상기 압력이 터치패널들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 먼저 인가되기 때문이다(즉 드래그 상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디바이스는 판정유닛(144) 및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판정유닛(144)은 압력이 먼저 상기 위치에 인가된 이후 상기 압력이 상기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의 표시물의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판정유닛(144)에 의해 결정되는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에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UI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되, 표시물은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의 시간만큼 압력에 현재 종속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됨으로써,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데, 상기 압력이 터치패널들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 먼저 인가되기 때문이다.
상기 UI 디바이스는 판정수단 및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되; 상기 판정수단은 압력이 먼저 상기 위치에 인가된 이후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압력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에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UI 디바이스는 병치 관계로 배치된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간의 드래그 & 드롭을 위한 시도 시,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물의 위치를 가압하고, 상기 손가락 등을 제1터치패널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물은 상기 손가락 등의 여하한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UI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등을 제1터치패널로부터 제2터치패널로 이동시킬 때, 상기 표시물은 상기 제1터치패널로부터 제2터치패널로 전달되어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UI 디바이스는 표시물이 제2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후, 상기 표시물은 종래의 단일 터치패널 상의 드래그 & 드롭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제2터치패널 상에서의 이동에 응답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UI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터치패널 상에서 드래그 & 드롭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이동 조작 또는 컷 앤드 페이스트 조작과 같은 기타 유형의 조작들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제2터치패널(120)의 제2경계영역(92)으로 가압된 위치가 들어갈 때, 제1터치패널(110)에 더 근접한 그 측면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범위를 차지하여,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제2터치패널(120)에 더 근접한 그 측면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범위를 차지하는 제1터치패널(110)의 경계영역으로 가압된 위치가 들어가,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조건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등을 제1터치패널(110)로부터 제2터치패널(120)로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에 현재 표시된 물체가 제2터치패널(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예컨대 제2터치패널(120) 상에 가장 최근에 가압된 위치 및 단위시간만큼 빨리 가압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목적지 위치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적어도 압력의 최종 해제보다 이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서 상기 압력의 현재 해제의 시점까지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위치를 토대로 제1터치패널(110) 상의 목적지 위치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컨대 표시물 상에 배치되는 손가락 등이 제2터치패널 상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제1터치패널 상에 도시된 표시물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예컨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상기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 및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가장 최근에 가압된 위치와 단위시간만큼 빨리 가압된 위치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표시물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머무를 때의 시간 길이에 대응하여) 압력이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해제된 이후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아이콘과 같은 표시물을 표시한다.
상기 판정유닛은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이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토대로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판정할 수도 있고, 적어도 압력의 최종 해제보다 이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력의 현재 해제 시점까지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서 검출된 가압된 위치를 판정할 수도 있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압력이 제2터치패널로부터 해제된 이후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표시물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물은,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2터치패널 상에 현재 배치된 그의 손가락 등을 상기 제1터치패널 상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제1터치패널 상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예컨대 제1터치패널(110)에 더 근접한 그 측면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범위를 차지하는 제2터치패널(120)의 제2경계영역(92)으로 가압된 위치가 들어가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이러한 조건을 나타내고, 가장 최근에 가압된 위치의 y 좌표값으로부터, 단위시간만큼 빨리 가압된 위치에서의 y 좌표값(드래그 속도)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값의 절대값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어도 사전설정된 값이다.
상기 사전설정된 조건은, 제1터치패널에 더 근접한 그 측면으로부터 사전설정된 범위를 차지하는 제2터치패널의 경계영역으로 가압된 위치가 들어가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이러한 조건을 나타낼 수도 있고, 상기 측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압된 위치의 구성요소는,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이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압력의 해제보다 이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력의 해제 시점까지의 적어도 사전설정된 정도까지 단위시간당 상기 측면을 향해 지향시키기 위하여 변경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물은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등을 제2터치패널 상에서 이동시키는 속도에 따라 상기 제1터치패널 상에 적절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판정유닛(144)은, 예컨대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토대로, 압력이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해제된 이후 상기 압력이 제1터치패널(110) 상에 먼저 인가될 때의 단위시간 간격으로 상기 위치가 복수회 변경되도록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를 판정하고, 가장 최근에 가압된 위치와 상기 제2터치패널(120) 상의 단위시간만큼 빨리 가압된 위치를 판정한다.
상기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은, 압력이 제2터치패널(120)로부터 해제된 이후 (표시물이 베젤(93)의 범위 내에 머무를 때의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판정유닛(144)에 의해 상기 위치가 판정되는 모든 시간에 상기 판정된 위치에 표시물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UI 디바이스의 판정유닛은,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120)이 디바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병치 관계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토대로, 압력이 제2터치패널로부터 해제된 이후 상기 압력이 제1터치패널 상에 먼저 인가될 때의 단위시간 간격으로 상기 위치가 복수회 변경되도록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판정할 수도 있고, 적어도 상기 압력의 최종 해제보다 이른 시점으로부터 상기 압력의 현재 해제 시점까지 검출되는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된 위치를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수단은, 압력이 제2터치패널로부터 해제된 이후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위치가 판정유닛에 의해 판정되는 모든 시간에 상기 판정된 위치에 표시물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등을 제2터치패널로부터 제1터치패널로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표시물은 사용자가 제1터치패널에 터치하기 이전에도 상기 제1터치패널 상에 트랙을 남겨, 사용자로 하여금 그의 손가락 등으로 터치될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보다 손쉽게 파악하도록 만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는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을 포함하는 UI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여기서 아이콘과 같은 표시물은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의 압력에 현재 종속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어, 압력이 먼저 터치패널들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 인가된 후(다시 말해, 드래그 상태 시),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휴대전화는, 예컨대 압력이 먼저 제2터치패널(120) 상의 위치에 인가된 이후 압력이 상기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의 표시물의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를 판정하는 판정유닛(144)이 제공된 UI 디바이스, 및 상기 판정유닛(144)에 의해 판정되는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에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제공된 UI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되, 여기서 표시물은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의 시간만큼 압력에 현재 종속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어, 상기 압력이 먼저 터치패널들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 인가된 후, 상기 압력을 해제시키게 되고, 상기 UI 디바이스는 또한 압력이 먼저 상기 위치에 인가된 이후 상기 위치로부터 압력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압력에 종속되는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유닛, 및 상기 판정유닛에 의해 판정되는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에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사용자가 복수의 터치패널들 간의 드래그 & 드롭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는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제공된 휴대단말장치이되, 여기서 아이콘과 같은 표시물은 압력이 먼저 인가된 후에 상기 압력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터치패널들 상의 압력에 현재 종속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또한 표시물을 표시-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제1터치패널(110) 또는 제2터치패널(120) 상에서, 가압의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가압이 개시될 때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위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가압의 해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예컨대 가압 개시 시 제2터치패널(120) 상에 표시된 표시물의 위치에 상기 표시물을 표시-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가압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120) 상의 가압된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를 판정하며, 제2터치패널(120) 상의 압력이 해제된 이후 제1터치패널(110) 상의 상기 판정된 위치에서 가압 개시 시 제2터치패널(120) 상의 압력의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압력의 해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송을 억제하고, 상기 판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가압 개시에 응답하여 상기 가압의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에는 제1 및 제2터치패널들이 제공될 수도 있되, 여기서 표시물은 터치패널들 상에서의 가압 개시 이후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가압된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또한 표시물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부, 및 제1터치패널 또는 제2터치패널 상에서, 상기 가압 개시 시에 가압의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가압된 위치가 변경될 때 위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전달하며,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 상기 가압의 해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가압의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2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물의 위치에서 가압 개시 시 표시물을 표시-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된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판정하며,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이 해제된 후에 제1터치패널 상의 판정된 위치에서 가압 개시 시 상기 제2터치패널 상에서의 가압의 해제에 응답하여 상기 가압의 해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하며, 상기 판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가압의 개시에 응답하여 상기 가압의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단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메시지들의 전달이 억제되는 경우, 표시물을 표시-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제어 단계들에 의해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간의 드래그 & 드롭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는 제1터치패널(110)과 제2터치패널(120)이 제공된 휴대단말장치이되, 여기서 표시물은 가압이 터치패널들 상에서 개시된 이후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가압된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또한 제2터치패널(120)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서 가압 개시 이후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가압된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110) 상의 위치에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용 어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에는 제1터치패널과 제2터치패널이 제공될 수도 있되, 여기서 표시물은 가압이 터치패널들 상에서 개시된 이후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가압된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또한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위치에서 가압 개시 이후 상기 가압이 해제될 때의 시간만큼 검출되는 가압된 위치의 변동이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에 상기 표시물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터치패널들 간의 드래그 & 드롭을 수행할 수 있게 하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는 1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가 상술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변형예들이 자명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 시, 상술된 실시예의 요소들이 본 명세서의 기술적인 범위 또는 그 균등론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상기 요소들과 관련하여 각종 변형, 조합, 하위-조합 및 변경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명세서의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상술된 설명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템플릿을 제공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적법한 등가물로 설명된 본 명세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요소들의 기능과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변경 및 변형들이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들은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본 명세서의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 사용되는 용어 및 어구와 그 변형예들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제한되는 것이 아닌 개방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의 일례로서: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포함하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등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고; "예시"라는 용어는 그 배타적이거나 제한적인 목록이 아니라 논의 중인 항목의 예시적인 경우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며; "종래의", "전통적인", "통상적인", "표준", "공지된"과 같은 형용사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들은 소정의 기간으로 기술된 항목 또는 소정의 기간대에 이용가능한 항목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그 대신 현재 또는 미래의 여하한의 기간대에 이용가능할 수도 있는 종래의, 전통적인, 통상적인 또는 표준 기술들을 내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접속사 "및"과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은 상기 항목들 각각 그리고 그들 중 어느 하나가 그룹핑에 존재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판독되어야만 한다. 이와 유사하게, 접속사 "또는"과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도 상기 그룹 가운데 상호 배타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 판독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항목, 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은 단수인 것으로 기술되거나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인 것으로 제한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서 복수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1 이상", "적어도",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음"과 같은 광범위한 용어와 어구들 또는 기타 유사한 어구들은 이러한 광범위한 어구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에 보다 협소한 경우가 의도되거나 요구된다는 것으로 판독되어서는 안 된다. 수치값 또는 범위를 언급하는 경우에 "대략"이란 용어는 측정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실험 오차에 기인하는 값들을 포괄하고자 의도되어 있다.

Claims (13)

  1. 유저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1 이상의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제1터치패널;
    상기 1 이상의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제2터치패널;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의 제1가압점이 가압, 이동 및 해제될 때, 그리고 상기 제1가압점의 움직임이 사전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지정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판정유닛; 및
    상기 판정유닛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정유닛에 의한 상기 지정점의 위치의 결정을 토대로 상기 판정유닛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상기 표시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패널은 상기 제1터치패널에 더 근접한 그 일측을 포함하는 제1경계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사전정의된 조건은 상기 제1가압점이 상기 제1경계영역에 있을 때의 가압 해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유닛은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 해제시 또는 그 이전에 검출된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1 이상의 가압점들을 토대로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지정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유닛은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간의 상대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지정점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 해제 이후 사전결정된 시간 후에 상기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정의된 조건은 해제점에서 상기 제1터치패널에 더 근접한 쪽에 수직한 상기 제1가압점의 이동 속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속도는 사전설정된 값보다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유닛은 추가로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 해제와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가압 개시 사이에 상기 지정점의 위치를 반복해서 결정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유닛은, 상기 판정유닛에 의한 결정을 토대로, 상기 제2터치패널로부터의 가압 해제 이후 사전정의된 시간이 경과하는 시간 간격으로 상기 표시물을 결정된 위치에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제1터치패널 상에서 상기 판정유닛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표시된 후, 그리고 가압 중인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제2가압점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제어유닛은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제2가압점에 대응하는 표시점에 상기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11. 제1항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장치.
  12. 유저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제1터치패널;
    제2터치패널; 여기서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제2터치패널 상에 표시된 표시물은 하나의 터치패널로부터 다른 것으로 드래깅되도록 작동가능하며,
    상기 제1터치패널과 상기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에 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작동가능한 실행유닛; 및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표시물에 가압이 개시된 경우, 가압 개시를 나타내는 제1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가 변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 변화가 사전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또는 상기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가압의 해제를 나타내는 제3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고; 및 상기 가압이 해제된 것과 상이한 터치패널 상에서 가압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제3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하고, 상기 가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를 상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상기 제1터치패널 상의 가압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메시지의 전달을 억제하도록 작동가능한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13. 유저인터페이스장치에 있어서,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한 터치패널 상의 가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물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가압 개시와 가압 해제 간에 상기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제2터치패널 상의 가압 위치의 변화가 사전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터치패널 중 제1터치패널 상에 상기 표시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인터페이스장치.
KR1020100028451A 2009-03-31 2010-03-30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 KR101123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7966A JP4904375B2 (ja) 2009-03-31 2009-03-31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JP-P-2009-087966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88A true KR20100109488A (ko) 2010-10-08
KR101123297B1 KR101123297B1 (ko) 2012-03-20

Family

ID=427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51A KR101123297B1 (ko) 2009-03-31 2010-03-30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00245275A1 (ko)
JP (1) JP4904375B2 (ko)
KR (1) KR101123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705A (ko) * 2011-09-15 2013-03-2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20140074561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의 에지부 좌표 보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25A (ko) * 2002-10-17 2004-04-29 동아연필 주식회사 필기판용 잉크조성물
US8984440B2 (en) 2010-10-01 2015-03-17 Z124 Managing expose views in du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US8281241B2 (en) * 2004-06-28 2012-10-02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user interface
US8860765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with an inclinometer
US8836611B2 (en) 2008-09-08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03816B2 (en)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860632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9009984B2 (en)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33874B2 (en) 2008-09-08 2015-01-13 Patrik N. Lundqvist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47320B2 (en) 2008-09-08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US8863038B2 (en)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JP5157971B2 (ja) * 2009-03-09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79563A (ko) * 2009-09-03 2013-07-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의 위치 및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JP5572397B2 (ja) * 2010-01-06 2014-08-1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プログラム
JP5569119B2 (ja) * 2010-04-22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装置、録画装置、録画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5535751B2 (ja) * 2010-04-30 2014-07-0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プログラム、及び入力方法
US20110283212A1 (en) * 2010-05-13 2011-11-17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GB2497383A (en) 2010-09-24 2013-06-12 Qnx Software Systems Ltd Alert display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05296A (ko) 2010-09-24 2013-01-15 큐엔엑스 소프트웨어 시스템즈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GB2496803A (en) 2010-09-24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td Transitional view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84736A1 (en) * 2010-10-01 2012-04-05 Flextronics Id, Llc Gesture controlled screen repositioning for one or more displays
US9001149B2 (en) 2010-10-01 2015-04-07 Z124 Max mode
US20120162091A1 (en) * 2010-12-23 2012-06-28 Lyons Kenton M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display dragging
US8907903B2 (en) * 2011-01-13 2014-12-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anding control of an object from one touch input to another touch input
JP5771401B2 (ja) * 2011-01-27 2015-08-2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EP3734407A1 (en)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42906B1 (ko) * 2011-02-10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9013416B2 (en) 2011-02-25 2015-04-21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splay type device interactions
JP2012203644A (ja) * 2011-03-25 2012-10-22 Kyocera Corp 電子機器
JP5984339B2 (ja) * 2011-04-26 2016-09-0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TWI444883B (zh) * 2011-07-04 2014-07-11 Compal Electronics Inc 輸入介面編輯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
US9351237B2 (en) 2011-09-27 2016-05-24 Z124 Displaying of charging status on dual screen device
US9454186B2 (en) 2011-09-30 2016-09-27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US9582236B2 (en) 2011-09-30 2017-02-28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
US20130222276A1 (en) * 2012-02-29 2013-08-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JP5868727B2 (ja) * 2012-03-02 2016-0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式タッチパッドを備えた入力装置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CN104508618B (zh) 2012-05-09 2018-0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943582B1 (en) 2012-07-18 2015-01-27 Amazon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information among devices using cameras
DE102012014254A1 (de) * 2012-07-19 2014-01-23 Audi Ag Anzeigeeinrichtung
JP6018855B2 (ja) * 2012-09-18 2016-11-02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271960B2 (ja) * 2012-11-26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933637B1 (ko) * 2012-12-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CN105074633B (zh) * 2013-02-25 2018-01-02 夏普株式会社 输入设备和显示装置
US20140267142A1 (en) * 2013-03-15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interactive inputs via sensor fusion
TW201447737A (zh) * 2013-06-13 2014-12-16 Compal Electronics Inc 顯示裝置操作方法及系統
KR102319286B1 (ko) 2014-08-13 2021-10-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래그 앤 드롭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34135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10048851B2 (en) 2015-03-19 2018-08-14 Denso Wave Incorporated Apparatus for operating robots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60274787A1 (en) * 2015-03-19 2016-09-22 Denso Wave Incorporated Apparatus for operating robot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126873B2 (en) 2016-06-24 2018-11-13 Wacom Co., Ltd. Stroke continuation for dropped touches on electronic handwriting devices
CN109426430A (zh) * 2017-09-05 2019-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触摸消息融合方法及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129A (ja) * 1992-03-09 1993-09-2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制御装置
JPH0644001A (ja) * 1992-07-27 1994-02-18 Toshiba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H06274305A (ja) * 1993-03-18 1994-09-30 Hitachi Ltd 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331840B1 (en) * 1998-03-27 2001-12-18 Kevin W. Nielson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 screens of a single virtual desktop
JP2000029601A (ja) * 1998-07-10 2000-01-28 Jeol Ltd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1092578A (ja) * 1999-09-20 2001-04-06 Casio Comput Co Ltd オブジェクト移動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268081B2 (ja) * 2004-03-30 2009-05-2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5346583A (ja) * 2004-06-04 2005-12-15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座標情報出力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4799013B2 (ja) * 2005-03-11 2011-10-19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におけるウインドウの表示制御装置
WO2006106765A1 (ja) * 2005-03-31 2006-10-12 Sega Corporation ゲーム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060241864A1 (en) * 2005-04-22 2006-10-26 Outland Researc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and-send data transfer within a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850646B2 (ja) * 2006-09-15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105724A (ko) * 2007-06-0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갖는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터치 좌표값 산출방법
US20090079699A1 (en) * 2007-09-24 2009-03-26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associating objects
TWI358028B (en) * 2007-12-25 2012-02-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
ATE489804T1 (de) * 2008-05-29 2010-12-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8866840B2 (en) * 2008-09-0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JP5278948B2 (ja) * 2008-12-01 2013-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および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JP2010176332A (ja) * 2009-01-28 2010-08-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57971B2 (ja) * 2009-03-09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JP5606686B2 (ja) * 2009-04-14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705A (ko) * 2011-09-15 2013-03-25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20180113481A (ko) * 2011-09-15 2018-10-16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20140074561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의 에지부 좌표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5275A1 (en) 2010-09-30
US20130201139A1 (en) 2013-08-08
JP2010238148A (ja) 2010-10-21
JP4904375B2 (ja) 2012-03-28
KR101123297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297B1 (ko) 유저인터페이스장치 및 휴대단말장치
US10739947B2 (en)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10331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10025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6606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6606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8954882B2 (en)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A282181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4265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140053113A1 (en) Processing user input pertaining to content movement
CN101308427A (zh) 处理触控屏幕输入机制的装置及方法
EP26607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CN104423836A (zh) 信息处理装置
JP2014211726A (ja) 数量選択装置および端末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CA282177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JP5841109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201400198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5657468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EP2660698A1 (en) Selectable object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14179800A (ja) 電子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6018453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164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