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790A -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790A
KR20100105790A KR1020107019073A KR20107019073A KR20100105790A KR 20100105790 A KR20100105790 A KR 20100105790A KR 1020107019073 A KR1020107019073 A KR 1020107019073A KR 20107019073 A KR20107019073 A KR 20107019073A KR 20100105790 A KR20100105790 A KR 20100105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igh strength
strength steel
low
t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20B1 (ko
Inventor
다이시 후지시로
신야 사까모또
다꾸야 하라
히또시 아사히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whole cross-section, e.g.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 C21D7/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whole cross-section, e.g. of concrete reinforcing bars by expanding tubul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1Warm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292Workpiece with longitudinal passageway or stopweld material [e.g., for tubular stock,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639Adjacent, identical composition, components
    • Y10T428/12646Group VIII or IB metal-base
    • Y10T428/12653Fe,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65Both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이것을 모재로 하는 고강도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판은 Mo : 0.05 내지 1.00%, B : 0.0003 내지 0.0100%를 함유하고, Ceq가 0.30 내지 0.53이고, Pcm이 0.10 내지 0.20이고,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90%이고, 잔량부가,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인 금속 조직을 갖는다. 상기 강판을 얻기 위해, 개시 온도가 Ar3+60℃ 이하, 종료 온도가 Ar3 이상, 압하비가 1.5 이상인 변형 도입 압연을 행하고, 그 후, 공냉하여 Ar3-100℃ 내지 Ar3-10℃의 온도로부터 10℃/s 이상으로 가속 냉각한다.

Description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HIGH-STRENGTH STEEL PLATE EXCELLENT IN LOW-TEMPERATURE TOUGHNESS, STEEL PIPE,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BOTH}
본 발명은, 특히 원유 및 천연 가스 수송용 라인 파이프에 적합한,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유 및 천연 가스의 수송 효율 향상을 위해, 파이프 라인의 내압의 고압화가 검토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라인 파이프용 강관의 고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강관에는 인성, 변형 성능, 내어레스트성 등도 요구된다. 그로 인해,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여, 미세한 페라이트를 생성시킨 강판 및 강관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9307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30674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46407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은 미국 석유 협회(API) 규격 X100(인장 강도 760㎫ 이상) 이상의 고강도 강관이다.
한편, 간선 파이프 라인의 소재로서 실용화되고 있는, API 규격 X70(인장 강도 570㎫ 이상)이나, API 규격 X80(인장 강도 625㎫ 이상)의 고강도 강관의 고성능화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베이나이트 중에 미세한 페라이트를 생성시킨 모재를 갖는 강관의 용접 열 영향부(HAZ)를 가열 처리하여, 변형 성능과 저온 인성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1799호 공보 참조.
이와 같이, 강도와 인성을 양립시킨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하는 강판 및 강관을 기초로, 페라이트를 생성시켜, 변형 성능 등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저온 인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져, ―60℃ 이하 등의 극저온에서의 모재 인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모재뿐만 아니라, HAZ의 저온 인성도 매우 중요하다.
HAZ 인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탄소당량(Ceq) 및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제어하고, 또한 B 및 Mo를 첨가하여, 켄칭성을 높여, 베이나이트를 주체로 하는 미세한 금속 조직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모재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히, B와 Mo를 복합 첨가하여 켄칭성을 높이면, 페라이트의 변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특히, 열간 압연의 종료 직후에 공냉하여,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탄소당량(Ceq) 및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제어하고, 또한 B 및 Mo의 첨가에 의해 켄칭성을 높인 고강도 강판에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모재의 저온 인성을 개선하고, 또한 이 고강도 강판을 모재로 하는 고강도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연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지 않은, 어스펙트비가 4 이하인 페라이트를 폴리고널 페라이트라고 한다. 여기서, 어스펙트비는 페라이트 입자의 길이를 폭으로 나눈 값이다.
종래, B 및 Mo를 동시에 첨가하여, 켄칭성의 지표(Ceq) 및 용접성의 지표인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최적의 범위로 제어하여, HAZ 인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강판의 금속 조직에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켄칭성이 높은 성분 조성을 갖는 강판의 금속 조직을, 열간 압연의 조건의 최적화에 의해, 폴리고널 페라이트와 경질상의 복상 조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 : 0.010 내지 0.08%, Si : 0.01 내지 0.50%, Mn : 0.5 내지 2.0%, S : 0.0001 내지 0.005%, Ti : 0.003 내지 0.030%, Mo : 0.05 내지 1.00%, B : 0.0003 내지 0.010%, O : 0.0001 내지 0.008%를 포함하고, P : 0.050% 이하, Al : 0.020% 이하로 제한하고, 잔량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지는 Ceq가 0.30 내지 0.53이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지는 Pcm이 0.10 내지 0.20이고, 금속 조직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90%이고, 잔량부가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수학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C, Si, Mn, Ni, Cu, Cr, Mo, V 및 B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이다.
(2) 질량%로, Cu : 0.05 내지 1.5%, Ni : 0.05 내지 5.0%의 한쪽 또는 양쪽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3) 질량%로, Cr : 0.02 내지 1.50%, W : 0.01 내지 0.50%, V : 0.01 내지 0.10%, Nb : 0.001 내지 0.20%, Zr : 0.0001 내지 0.050%, Ta : 0.0001 내지 0.050%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4) 질량%로, Mg : 0.0001 내지 0.010%, Ca : 0.0001 내지 0.005%, REM : 0.0001 내지 0.005%, Y : 0.0001 내지 0.005%, Hf : 0.0001 내지 0.005%, Re : 0.0001 내지 0.005%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
(5) 금속 조직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강도 강판.
(6) 모재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
(7)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강편을, 950℃ 이상으로 재가열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고, 상기 열간 압연의 최종 공정으로서, 개시 온도가 Ar3+60℃ 이하, 종료 온도가 Ar3 이상, 압하비가 1.5 이상인 변형 도입 압연을 행하고, 그 후, 공냉하여, Ar3-100℃ 내지 Ar3-10℃의 온도로부터, 1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지는 Bs 이하의 온도까지 가속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수학식 3]
Figure pct00003
여기서, C, Mn, Ni, Cr 및 Mo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이다.
(8) 상기 (7)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강판을, UO 공정에서 관 형상으로 성형하여, 맞댐부를 내외면으로부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하고, 그 후, 관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의 제조 방법.
도 1은 열간 가공 온도와 폴리고널 페라이트 면적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수냉 개시 온도와 폴리고널 페라이트 면적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폴리고널 페라이트 면적률과 인성 및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강도 강판의 인성의 향상, 특히 ―40℃, 또는 ―60℃라고 하는 극저온에서의 인성의 확보에는 결정립의 미세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압연에 의해 미세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연질인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면 인성은 향상된다. 그러나,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가 공존하는 온도 영역에서 열간 압연을 행하여, 가공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면, 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열간 압연의 종료 후, 고온에서의 냉각 시에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켜, 고강도 강판의 저온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HAZ의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켄칭성을 높인 고강도 강판에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은 어렵다.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강판을 열간 압연한 직후, 즉 공냉 전에, 미재결정의 오스테나이트의 전위 밀도를 높여 두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금속 조직이 오스테나이트이고, 재결정하지 않은 온도 영역, 즉 미재결정 γ영역에서의 압연의 조건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질량%로, C : 0.01 내지 0.08%, Si : 0.01 내지 0.50%, Mn : 0.5 내지 2.0%, S : 0.0001 내지 0.005%, Ti : 0.003 내지 0.030%, O : 0.0001 내지 0.008%를 포함하고, P : 0.050% 이하, Al : 0.020% 이하로 제한하고, Mo의 함유량을 0.05 내지 1.00%, B의 함유량을 0.0003 내지 0.010%로 하고, 켄칭성의 지표인 탄소당량(Ceq)을 0.30 내지 0.53 및 용접성의 지표인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0.10 내지 0.20으로 한 강을 용제하고, 주조하여 강편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강편으로부터 높이 12㎜, 직경 8㎜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열간 압연을 모의한 가공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가공 열처리로서, 압하비를 1.5로 하는 1회의 가공을 실시하여, 공냉에 상당하는 0.2℃/s로 냉각하고, 또한 수냉에 상당하는 15℃/s로 가속 냉각하였다. 또한, 가공 페라이트의 생성을 피하기 위해, 가공 온도는 냉각 시의 변태 온도 Ar3 이상의 온도로 하였다. 냉각 시의 변태 온도 Ar3은 열팽창 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가공 열처리 후, 시험편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압연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지 않은, 어스펙트비가 1 내지 4인 페라이트를 폴리고널 페라이트로 하였다.
수냉에 상당하는 15℃/s에서의 가속 냉각을 개시하는 온도는, Ar3-90℃, Ar3-70℃, Ar3-40℃로 하고, 가공을 가하는 온도(가공 온도)를 변화시켜, 폴리고널 페라이트가 생성되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가공 온도와 Ar3의 차에 대해 플롯한 것으로, 「○」, 「□」, 「△」는 가속 냉각의 개시 온도를, 각각, Ar3-90℃, Ar3-70℃, Ar3-40℃로 한 결과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간 가공의 가공 온도를 Ar3+60℃ 이하로 하면, 면적률 20% 이상의 폴리고널 페라이트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간 압연기를 사용하여, 가속 냉각 개시 온도와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의 관계 및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과 인성의 관계에 대해 검토를 행하였다. 열간 압연은 재가열 온도를 1050℃로 하고, 패스 횟수를 20 내지 33회로 하고, Ar3 이상에서 압연을 종료하여, 공냉한 후, 가속 냉각으로서 수냉을 행하였다.
또한, 열간 압연의 최종 공정, 즉, Ar3+60℃ 이하로부터 종료까지의 압연을 변형 도입 압연이라고 한다. Ar3+60℃ 이하로부터 종료까지의 압하비, 즉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를 1.5 이상으로 하여, 공냉한 후, 다양한 온도로부터 수냉(가속 냉각)을 개시하였다. 변형 도입 압연의 패스 횟수는 4 내지 20회로 하였다.
얻어진 강판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인장 시험과 낙중 시험(Drop Weight Tear Test, DWTT라고 함)을 행하였다. 인장 특성은 API 규격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DWTT는 ―60℃에서 행하여, 균열의 연성 파면율(Shear Area, SA라고 함)을 구하였다.
가속 냉각의 개시 온도와,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열간 압연 후의 가속 냉각의 개시 온도를 Ar3-100℃ 내지 Ar3-10℃로 하면, 강판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90%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열간 압연의 종료 후, Ar3 이상의 온도로부터, Ar3-100℃ 내지 Ar3-10℃의 범위 내의 온도까지 공냉하면, 면적률 20 내지 90%의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과, 인장 강도 및 ―60℃에서의 연성 파면율(SA)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20% 이상으로 하면, 극히 양호한 저온 인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 X70에 상당하는 570㎫ 이상의 인장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90%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80에 상당하는 625㎫ 이상의 인장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자들은,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을 행할 때에,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에 의한 변형의 도입이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한층 상세한 검토를 행하여, 이하의 지식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열간 압연에서는 Ar3+60℃ 이하에서의 압하비의 확보가 중요하다. 그로 인해, 열간 압연의 최종 공정으로서, 변형 도입 압연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변형 도입 압연은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Ar3+60℃ 이하, 압연 종료까지의 패스로, 적어도 1 패스는 필요하고, 복수의 패스로 해도 좋다. 열간 압연 후의 공냉에 의해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는 1.5 이상으로 한다. 또한,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는 Ar3+60℃의 판 두께와 압연 종료 후의 판 두께의 비이다.
압연 후, 공냉하여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킨 후, 베이나이트 변태에 의한 강도의 향상을 위해, 1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가속 냉각한다. 또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가속 냉각은 베이나이트 생성 온도(Bs) 이하로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강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 : 0.01 내지 0.08%
C는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로, 금속 조직에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을 생성시키므로,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와 고인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C의 함유량을 0.08% 이하로 한다.
Si : 0.01 내지 0.50%
Si는 탈산 원소로, 효과를 얻기 위해 0.01%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한편, 0.50% 초과의 Si를 함유시키면, HAZ의 인성이 열화되므로, 상한을 0.50%로 한다.
Mn : 0.5 내지 2.0%
Mn은 켄칭성을 높이는 원소로, 강도 및 인성의 확보를 위해, 0.5%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한편, Mn의 함유량이 2.0%를 초과하면, HAZ의 인성을 손상시킨다. 따라서, Mn의 함유량을 0.50 내지 2.0%로 한다.
P : 0.050% 이하
P는 불순물로, 0.050% 초과를 함유하면, 모재의 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HAZ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의 함유량을 0.0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 0.0001 내지 0.005%
S는 불순물로, 0.005% 초과를 함유하면 조대한 황화물을 생성하여, 인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강판에 Ti의 산화물을 미세하게 분산시키면, MnS가 석출되어 입자 내 변태가 발생하여, 강판 및 HAZ의 인성이 향상된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S를 0.0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HAZ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S량의 상한을 0.00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 0.020% 이하
Al은 탈산제이지만, 개재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강판 및 HAZ의 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한을 0.02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Al의 함유량을 제한함으로써, 입자 내 변태에 기여하는 Ti의 산화물을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입자 내 변태의 생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Al량을 0.0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008%이다.
Ti : 0.003 내지 0.030%
Ti는 강판 및 HAZ의 입경의 미세화에 기여하는 Ti의 질화물을 생성하는 원소로, 0.003% 이상의 첨가가 필요하다. 한편, Ti를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조대한 개재물이 발생하여 인성을 손상시키므로, 상한을 0.030%로 한다. 또한, Ti의 산화물은 미세하게 분산시키면, 입자 내 변태의 생성핵으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Ti를 첨가할 때의 산소량이 많으면, 조대한 Ti의 산화물을 생성하므로, 제강 시에는, Si, Mn에 의해 탈산을 행하여, 산소량을 저하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Al의 산화물은 Ti의 산화물보다도 생성되기 쉬우므로, 과잉의 Al의 함유는 바람직하지 않다.
B : 0.0003 내지 0.010%
B는 켄칭성을 현저하게 높이고, 또한 HAZ에서의 조대한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B를 0.0003% 이상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B를 과잉으로 첨가하면 조대한 BN이 발생하여, 특히 HAZ의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B량의 상한을 0.010%로 한다.
Mo : 0.05 내지 1.00%
Mo는, 특히 B와의 복합 첨가에 의해, 켄칭성을 현저하게 높이는 원소로, 강도 및 인성의 향상을 위해 0.05% 이상을 첨가한다. 한편, Mo는 고가의 원소로, 첨가량의 상한을 1.0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O : 0.0001 내지 0.008%
O는 불순물로, 개재물의 생성에 의한 인성의 저하를 피하기 위해, 함유량의 상한을 0.008%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자 내 변태에 기여하는 Ti의 산화물을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주조 시에 강 중에 잔존하는 0량을 0.0001% 이상으로 한다.
또한,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Cu, Ni, Cr, W, V, Nb, Zr 및 Ta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이들 원소는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특히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으므로, 불순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Cu 및 Ni는 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강도를 상승시키는 유효한 원소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u량 및 Ni량의 하한을 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u량의 상한은 강편의 가열 시 및 용접 시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는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용접성을 손상시키므로, 상한을 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u와 Ni는, 표면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복합하여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용의 관점으로부터는 Cu 및 Ni의 상한을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W, V, Nb, Zr 및 Ta는 탄화물, 질화물을 생성하여, 석출 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좋다. 강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Cr량의 하한은 0.02%, W량의 하한은 0.01%, V량의 하한은 0.01%, Nb량의 하한은 0.001%, Zr량 및 Ta량의 하한은 모두 0.00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r, W의 한쪽 또는 양쪽을 과잉으로 첨가하면, 켄칭성의 향상에 의해 강도가 상승하여, 인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Cr량의 상한을 1.50%, W량의 상한을 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V, Nb, Zr, Ta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과잉으로 첨가하면, 탄화물, 질화물이 조대화되어, 인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V량의 상한을 0.10%, Nb량의 상한을 0.20%, Zr량 및 Ta량의 상한을 모두 0.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재물의 형태를 제어하여, 인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Mg, Ca, REM, Y, Hf 및 Re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이들 원소도, 함유량이 바람직한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특별히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으므로, 불순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Mg는 산화물의 미세화나, 황화물의 형태 억제에 효과를 발현하는 원소이다. 특히, 미세한 Mg의 산화물은 입자 내 변태의 생성핵으로서 작용하고, 또한 피닝 입자로서 입경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이들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01% 이상의 Mg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0.010%를 초과하는 양의 Mg를 첨가하면, 조대한 산화물이 생성되어, HAZ의 인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Mg량의 상한을 0.0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a 및 REM은 황화물의 형태 제어에 유용하고, 황화물을 생성하여 압연 방향으로 신장된 MnS의 생성을 억제하여, 강재의 판 두께 방향의 특성, 특히 내라멜라 티어성을 개선하는 원소이다. 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a량 및 REM량의 하한을 모두 0.00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a, REM의 한쪽 또는 양쪽은 함유량이 0.005%를 초과하면 산화물이 증가하고, 미세한 Ti 함유 산화물이 감소하여, 입자 내 변태의 생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0.0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 Hf 및 Re도, Ca 및 REM과 동일한 효과를 발현하는 원소로, 과잉으로 첨가하면 입자 내 변태의 생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Y, Hf 및 Re의 양의 바람직한 범위는 0.0001 내지 0.005%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HAZ의 켄칭성을 확보하여 인성을 높이기 위해, C, Mn, Ni, Cu, Cr, Mo 및 V의 함유량[질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하기 수학식 1의 탄소당량(Ceq)을 0.30 내지 0.53으로 한다. 탄소당량(Ceq)은 용접부의 최고 경도와 상관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켄칭성이나 용접성의 지표가 되는 값이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4
또한, 강판 및 HAZ의 저온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C, Si, Mn, Cu, Cr, Ni, Mo, V 및 B의 함유량[질량%]으로부터 계산되는, 하기 수학식 2의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0.10 내지 0.20으로 한다. 균열 감수성 지수(Pcm)는 용접 시의 저온 균열의 감수성을 추측할 수 있는 계수로서 알려져 있고, 켄칭성이나 용접성의 지표가 되는 값이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5
또한, 선택적으로 함유되는 원소인, Ni, Cu, Cr, V는 상술한 바람직한 하한 미만인 경우, 불순물이므로,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있어서는, 0으로서 계산한다.
강판의 금속 조직은 폴리고널 페라이트와 경질상을 포함하는, 복합 조직으로 한다. 폴리고널 페라이트는 열간 압연 후의 공냉 시에 비교적 고온으로 생성한 페라이트이다. 폴리고널 페라이트는 어스펙트비가 1 내지 4이고, 압연되어 연신된 가공 페라이트나, 가속 냉각 시에 비교적 저온으로 생성하여, 입성장이 불충분한 미세 페라이트와는 구별된다.
또한, 경질상은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조직이다. 강판의 광학 현미경 조직에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잔량부로서 잔류 오스테나이트, MA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은 20% 이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켄칭성을 높인 성분 조성을 갖는 강판에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고, 또한 잔량부를 베이나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경질상으로 함으로써 강도와 인성의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특히,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인성은 현저하게 향상되어, ―60℃에서의 DWTT의 결과, SA를 8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90%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X70 이상에 상당하는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강도를 높여, X80 이상에 상당하는 인장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잔량부는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이다. 경질상의 면적률은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90%이므로, 10 내지 80%로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압연 종료 온도가 Ar3을 하회하고, 어스펙트비가 4를 초과하는 가공 페라이트가 생성되면, 인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고널 페라이트라 함은, 광학 현미경 조직에 있어서, 입자 내에 조대한 시멘타이트나 MA 등의 석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어스펙트비 1 내지 4인, 백색 둥근 형상을 띤 괴상의 조직으로서 관찰된다. 여기서, 어스펙트비는 페라이트 입자의 길이를 폭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베이나이트는 라스 혹은 괴상 페라이트 사이에 탄화물이 석출된 것, 또는 라스 내에 탄화물이 석출된 조직으로 정의된다. 또한, 마르텐사이트는 라스 또는 라스 내에 탄화물이 석출되어 있지 않은 조직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고온으로 생성된 오스테나이트가 변태되지 않고, 잔류한 오스테나이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강판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성분은 HAZ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켄칭성을 높인 것으로, 강판의 저온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의 조건을 제어하여,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판 두께가 20㎜ 이상인 강판과 같이,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압하비를 높이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도, 비교적 저온에서의 압하비를 확보함으로써, 페라이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우선, 제강 공정에서 강을 용제한 후, 주조하여 강편으로 한다. 강의 용제 및 주조는 상법으로 행하면 좋지만,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 연속 주조가 바람직하다. 강편은 열간 압연을 위해 재가열된다.
열간 압연 시의 재가열 온도는 950℃ 이상으로 한다. 이는, 열간 압연을 강의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되는 온도, 즉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행하여, 모재 강판의 결정립 직경을 미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한은 규정하지 않지만, 유효 결정립 직경의 조대화 억제를 위해서는, 재가열 온도를 12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가열 온도의 상한을 10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가열된 강편은, 온도와 압하비를 제어하면서 복수회의 패스 열간 압연을 실시하고, 종료 후, 공냉하여 가속 냉각을 행한다. 또한, 열간 압연은 모재의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되는 Ar3 온도 이상에서 종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Ar3 온도 미만에서 열간 압연을 행하면, 가공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의 최종 공정으로서, 변형 도입 압연을 행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이는, 압연 종료 후, 미재결정 오스테나이트에,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생성 사이트로 되는 변형을 많이 도입하기 때문이다. 변형 도입 압연은 Ar3+60℃ 이하로부터 압연 종료까지의 패스라고 정의된다. 변형 도입 압연의 개시 온도는 Ar3+60℃ 이하에서의, 최초의 패스의 온도이다. 변형 도입 압연의 개시 온도는 보다 저온인 Ar3+40℃ 이하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는 열간 압연 후의 공냉 시에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 1.5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라 함은, Ar3+60℃에 있어서의 판 두께, 또는, 변형 도입 압연의 개시 온도에서의 판 두께를, 열간 압연 종료 후의 판 두께로 나눈 비이다. 압하비의 상한은 규정하지 않지만, 압연 전의 강편의 판 두께와 압연 후의 모재 강판의 판 두께를 고려하면, 통상 12.0 이하이다. 켄칭성을 높인 성분 조성의 강판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형 도입 압연 전에, 재결정 압연, 미재결정 압연을 행해도 좋다. 재결정 압연은 900℃ 초과의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이고, 미재결정 영역 압연은 900℃ 이하의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이다. 재결정 압연은 강편을 가열로로부터 추출 후, 즉시 개시해도 좋으므로, 개시 온도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다. 강판의 유효 결정립 직경을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재결정 압연의 압하비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연 종료 후, 공냉하여 가속 냉각을 실시한다. 면적률이 20 내지 90%인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Ar3 미만의 온도까지 공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속 냉각을, Ar3-100℃ 내지 Ar3-10℃의 범위 내의 온도로 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펄라이트나 시멘타이트의 생성을 억제하여, 인장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속 냉각의 냉각 속도를 10℃/s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속 냉각은 펄라이트나 시멘타이트의 생성을 억제하여,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을 생성시키기 위해, 정지 온도를 수학식 3의 Bs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Bs는 베이나이트 변태 개시 온도이고, 수학식 3에 의해, C, Mn, Ni, Cr, Mo의 함유량으로부터 구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Bs 이하의 온도까지 가속 냉각하면, 베이나이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6
수냉 정지 온도의 하한은 규정하지 않고, 실온까지 수냉해도 좋지만, 생산성이나 수소성 결함을 고려하면, 1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을 용제하여, 240㎜의 두께를 갖는 강편으로 하였다. 이들 강편을,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열간 압연하고, 냉각하여 강판을 제조하였다. 각 강종의 Ar3은 용제한 강편으로부터 높이 12㎜, 직경 8㎜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열간 압연을 모의한 가공 열처리를 실시한 후, 열팽창 측정에 의해 구하였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강판의 판 두께 중앙부의 마이크로 조직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여, 폴리고널 페라이트와, 잔량부인 베이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강판으로부터, API, 5L3, ASTM, E436에 준거하여, 판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노치를 판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설치한 프레스 노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DWTT는 ―60℃에서 행하여, SA를 구하였다. 인장 특성은 API 규격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제조 번호 1 내지 3, 6, 7, 10, 12, 14, 16 내지 19는 본 발명예로, 어스펙트비 1 내지 4인 폴리고널 페라이트가 면적률로 20 내지 90%로 되어 있다. 이들은 X70 이상, 또는 X80 이상의 강도를 만족시켜, DWTT에서의 SA가 85% 이상으로 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판이다.
이들 강판을 UO 공정으로 조관하여, 맞댐부를 내외면으로부터 서브머지 아크 용접하여, 관 확대하여 강관을 제조하였다. 이들 강관의 조직은 강판과 마찬가지로, 강도는 강판보다도 20 내지 30㎫ 높고, 저온 인성은 강판과 마찬가지였다.
한편, 제조 번호 4는 가속 냉각의 개시 온도가 낮아,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증가하여, 강도가 저하된 예이다. 또한, 제조 번호 5는 가속 냉각의 냉각 속도가 지연되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경질상이 얻어지지 않아, 강도가 저하된 예이다. 제조 번호 8은 압연 종료 온도가 Ar3을 하회하고 있으므로, 어스펙트비가 4를 초과하는 가공 페라이트가 생성되어, 폴리고널 페라이트가 감소하여, 저온 인성이 저하된 예이다.
또한, 제조 번호 8에 있어서, 폴리고널 페라이트 및 경질상의 잔량부는 어스펙트비가 4 초과인 페라이트이다.
제조 번호 9, 13, 15는 가속 냉각의 개시 온도가 높고, 제조 번호 11은 변형 도입 압연의 압하비가 낮아, 페라이트의 생성이 불충분해져, 인성이 저하된 예이다.
또한, 제조 번호 20 내지 22는 화학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외의 비교예이다. 제조 번호 20은 B량이 적고, 제조 번호 22는 Mo를 첨가하고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제조 조건은 폴리고널 페라이트가 증가하여, 강도가 저하된 예이다. 제조 번호 21은 Mo량이 많아, 본 발명의 제조 조건에서도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낮아, 인성이 저하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당량(Ceq) 및 균열 감수성 지수(Pcm)를 제어하고, 또한 B 및 Mo를 첨가하여 켄칭성을 높인 성분 조성을 갖는 고강도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폴리고널 페라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강도 및 HAZ 인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저온 인성에도 극히 우수하고, 금속 조직이 폴리고널 페라이트와 경질상으로 이루어지는 고강도 강판, 또한 이것을 모재로 하는 고강도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의 제공이 가능해져, 산업상의 공헌이 극히 현저하다.

Claims (8)

  1. 질량%로,
    C : 0.01 내지 0.08%,
    Si : 0.01 내지 0.50%,
    Mn : 0.5 내지 2.0%,
    S : 0.0001 내지 0.005%,
    Ti : 0.003 내지 0.030%,
    Mo : 0.05 내지 1.00%,
    B : 0.0003 내지 0.010%,
    O : 0.0001 내지 0.008%
    를 포함하고,
    P : 0.050% 이하
    Al : 0.020% 이하
    로 제한하고, 잔량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조성을 갖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지는 Ceq가 0.30 내지 0.53이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지는 Pcm이 0.10 내지 0.20이고, 금속 조직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90%이고, 잔량부가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수학식 1]
    Figure pct00010

    [수학식 2]
    Figure pct00011

    여기서, C, Si, Mn, Ni, Cu, Cr, Mo, V 및 B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Cu : 0.05 내지 1.5%,
    Ni : 0.05 내지 5.0%
    의 한쪽 또는 양쪽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Cr : 0.02 내지 1.50%,
    W : 0.01 내지 0.50%,
    V : 0.01 내지 0.10%,
    Nb : 0.001 내지 0.20%,
    Zr : 0.0001 내지 0.050%,
    Ta : 0.0001 내지 0.050%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로,
    Mg : 0.0001 내지 0.010%,
    Ca : 0.0001 내지 0.005%,
    REM : 0.0001 내지 0.005%,
    Y : 0.0001 내지 0.005%,
    Hf : 0.0001 내지 0.005%,
    Re : 0.0001 내지 0.005%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조직의 폴리고널 페라이트의 면적률이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6. 모재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강편을, 950℃ 이상으로 재가열하여, 열간 압연을 행하고, 상기 열간 압연의 최종 공정으로서, 개시 온도가 Ar3+60℃ 이하, 종료 온도가 Ar3 이상, 압하비가 1.5 이상인 변형 도입 압연을 행하고, 그 후, 공냉하여, Ar3-100℃ 내지 Ar3-10℃의 온도로부터, 1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지는 Bs 이하의 온도까지 가속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수학식 3]
    Figure pct00012

    여기서, C, Mn, Ni, Cr 및 Mo는 각 원소의 함유량[질량%]이다.
  8. 제7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강판을, UO 공정에서 관 형상으로 성형하여, 맞댐부를 내외면으로부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하고, 그 후, 관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의 제조 방법.
KR1020107019073A 2008-04-07 2009-04-07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1252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9653 2008-04-07
JPJP-P-2008-099653 2008-04-07
JP2009092511A JP4358900B1 (ja) 2008-04-07 2009-04-06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JP-P-2009-092511 2009-04-06
PCT/JP2009/057420 WO2009125863A1 (ja) 2008-04-07 2009-04-07 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790A true KR20100105790A (ko) 2010-09-29
KR101252920B1 KR101252920B1 (ko) 2013-04-09

Family

ID=4116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73A KR101252920B1 (ko) 2008-04-07 2009-04-07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10292B2 (ko)
EP (1) EP2264205B1 (ko)
JP (1) JP4358900B1 (ko)
KR (1) KR101252920B1 (ko)
CN (1) CN101965414B (ko)
BR (1) BRPI0911117A2 (ko)
WO (1) WO20091258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52B1 (ko) * 2011-08-23 2014-02-2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후육 전봉 강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95103A (ko) * 2011-12-28 2014-07-3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성능과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 고강도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50057998A (ko) * 2013-11-19 2015-05-2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8235B2 (ja) * 2006-07-04 2012-12-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靱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管及び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119240B1 (ko) * 2006-11-30 2012-03-2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용접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5251089B2 (ja) * 2006-12-04 2013-07-3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ラインパイプ用溶接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57547B1 (ko) * 2007-07-23 2013-04-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특성이 우수한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5573265B2 (ja) * 2010-03-19 2014-08-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引張強度590MPa以上の延靭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57491B2 (ja) * 2011-07-19 2016-02-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Sr後の溶接部靱性に優れた低降伏比耐hic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53456B2 (ja) * 2011-07-19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Sr後の溶接部靱性に優れた低降伏比耐hic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383057A (zh) * 2011-10-26 2012-03-21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耐低温k60管线钢及其所制弯管和弯管的制作方法
JP5447741B1 (ja) 2012-02-17 2014-03-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めっき鋼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03882305A (zh) * 2012-12-21 2014-06-25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抗低温应变时效脆性的超高强度船板及其生产方法
CN103147006B (zh) * 2013-02-19 2016-03-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抗腐蚀无缝集输管线管及其制造方法
CN103215513B (zh) * 2013-04-25 2016-03-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抗腐蚀集输管线管及其制造方法
CN103486428B (zh) * 2013-09-29 2016-01-20 苏州市凯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抗腐蚀u型金属管
WO2015075771A1 (ja) * 2013-11-19 2015-05-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
KR101795979B1 (ko) * 2013-12-20 2017-11-0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전봉 용접 강관
CN103741074B (zh) * 2013-12-23 2015-12-09 马鞍山市盈天钢业有限公司 一种汽车半轴套管用无缝钢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866204B (zh) * 2014-02-27 2016-02-17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低温大压下工艺生产的大应变x80双相钢板
CN108034885B (zh) * 2017-11-09 2020-05-15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低温条件下使用的低裂纹敏感性管件用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010081B1 (ko) 2017-12-26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고인성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9355549B (zh) * 2018-12-11 2020-10-02 东北大学 一种具有高强度和优异低温韧性的钢板及其制造方法
CN110951956B (zh) * 2019-12-19 2021-07-27 中北大学 一种超高塑性twip钢的生产方法
CN112048665B (zh) 2020-08-17 2022-03-22 莱芜钢铁集团银山型钢有限公司 一种极地海洋工程用钢板及其制备方法
CN112553526B (zh) * 2020-11-20 2022-04-22 林州凤宝管业有限公司 一种960MPa级超高强度结构钢、钢管及其制造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5663A (en) * 1980-08-11 1982-02-26 Kobe Steel Ltd Hot rolled steel plate for rim of wheel
JPS57101649A (en) * 1980-12-15 1982-06-24 Kobe Steel Ltd Hot rolled steel plate for wheel disc
JPH09296217A (ja) * 1996-05-02 1997-11-18 Nippon Steel Corp 低温靱性の優れた高強度ベンド管の製造法
JPH11193445A (ja) * 1997-12-26 1999-07-21 Kawasaki Steel Corp 圧延のままで鋼板の厚み方向の靱性および音響異方性に優れる引張り強さが590MPa級の溶接用極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35208B2 (ja) * 1999-03-29 2005-04-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靱性に優れた低降伏比型耐火用鋼板及び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6451134B1 (en) * 1999-06-24 2002-09-17 Kawasaki Steel Corporation 590MPa class heavy gauge H-shaped steel having excellent toughnes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2012939A (ja) * 2000-04-27 2002-01-15 Nippon Steel Corp 高温強度に優れた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09561B2 (ja) * 2000-06-20 2009-08-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温強度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8242C (zh) * 2000-10-26 2003-11-19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高洁净度高强韧性输气管线钢的制备方法
CN1142309C (zh) * 2000-11-01 2004-03-1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超低碳高韧性抗硫化氢用输气管线钢
KR100482208B1 (ko) * 2000-11-17 2005-04-21 주식회사 포스코 침질처리에 의한 용접구조용 강재의 제조방법
JP3895687B2 (ja) * 2000-12-14 2007-03-22 ポスコ 溶接構造物用のTiN+ZrNを析出させている鋼板、及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溶接構造物
FR2830260B1 (fr) * 2001-10-03 2007-02-23 Kobe Steel Ltd Tole d'acier a double phase a excellente formabilite de bords par eti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le-ci
CN1236092C (zh) * 2001-11-16 2006-01-11 Posco公司 在焊接热影响区具有优良韧性的钢板及其制造方法和使用该钢板的焊接结构
JP3785376B2 (ja) 2002-03-29 2006-06-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靭性及び変形能に優れた鋼管及び鋼管用鋼板の製造法
JP2003306749A (ja) 2002-04-19 2003-10-31 Nippon Steel Corp 変形能に優れた高強度鋼管及び鋼管用鋼板の製造法
JP4205922B2 (ja) 2002-10-10 2009-01-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変形性能および低温靱性ならびにhaz靱性に優れた高強度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1679B2 (ja) 2002-10-23 2008-10-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高靭性低降伏比鋼管素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7745B2 (ja) 2003-07-31 2010-07-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歪時効特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高靱性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46407A (ja) 2003-10-20 2005-06-09 Nippon Steel Corp 高速延性破壊特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及び超高強度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4305216B2 (ja) * 2004-02-24 2009-07-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部の靭性に優れる耐サワー高強度電縫鋼管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0102B2 (ja) 2005-03-17 2011-07-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2010B2 (ja) * 2005-08-22 2010-07-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ラインパイプ用継目無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8235B2 (ja) * 2006-07-04 2012-12-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靱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管及び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119240B1 (ko) * 2006-11-30 2012-03-2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용접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5251089B2 (ja) * 2006-12-04 2013-07-3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ラインパイプ用溶接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52B1 (ko) * 2011-08-23 2014-02-2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후육 전봉 강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95103A (ko) * 2011-12-28 2014-07-3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성능과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 고강도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
KR20150057998A (ko) * 2013-11-19 2015-05-2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8900B1 (ja) 2009-11-04
JP2009270197A (ja) 2009-11-19
EP2264205A1 (en) 2010-12-22
US8110292B2 (en) 2012-02-07
US20110023991A1 (en) 2011-02-03
CN101965414B (zh) 2013-08-28
BRPI0911117A2 (pt) 2015-10-06
EP2264205A4 (en) 2017-05-10
KR101252920B1 (ko) 2013-04-09
CN101965414A (zh) 2011-02-02
WO2009125863A1 (ja) 2009-10-15
EP2264205B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20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강관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1603461B1 (ko) 변형 성능과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관, 고강도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0868423B1 (ko) 조관후 강도변화가 작은 스파이럴 강관용 후물 열연 고강도api-x80 급 강재 및 제조방법
CN110088346B (zh) 具有优异纵向均匀延伸率的用于焊接钢管的钢材、其制造方法和使用其的钢管
JP5742123B2 (ja) 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溶接鋼管向け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7049B1 (ko)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4672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7372325B2 (ja) 低温破壊靭性及び伸びに優れた高強度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200047926A (ko)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77697A (ja) 耐疲労亀裂伝播特性および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7081A (ko) 황화물 응력부식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의 제조방법
KR10161502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231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63248A (ja) 溶接部のctod特性に優れる高張力鋼の製造方法
KR20120132835A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3445B1 (ko) 비열처리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4205A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2372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36627A (ja) 耐腐食性に優れた高強度構造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2376B1 (ko) 열간압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인파이프용 강판
KR101443446B1 (ko) 비열처리형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7890B1 (ko)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4665B1 (ko) 열연강판 제조 방법
KR101299276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5319B1 (ko) 강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