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708A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708A
KR20100102708A KR1020107017755A KR20107017755A KR20100102708A KR 20100102708 A KR20100102708 A KR 20100102708A KR 1020107017755 A KR1020107017755 A KR 1020107017755A KR 20107017755 A KR20107017755 A KR 20107017755A KR 20100102708 A KR20100102708 A KR 2010010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passage
collecting box
alluv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359B1 (ko
Inventor
아끼히꼬 사까시따
쯔요시 요꼬미조
요시하루 미찌쯔지
겐지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먼지 저류 용기(60)와,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송풍 작용에 의해 반송되는 먼지 포집 상자(90)를 구비하고 있다. 먼지 저류 용기(60)에는,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충적 검지 수단(70)은, 저류부(62)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를 구비하고 있다.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의 먼지 반송 동작이 행하여진 후에, 저류부(62)를 투과한 발광 LED(72)의 광의 광도가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 광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저류부에 저류된 에어 필터의 먼지를 공기에 의해 반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의 흡입구에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에어 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내 유닛에서는,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저류 상자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그 저류 상자를 실내 유닛으로부터 취출하여 먼지를 버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실내 유닛은, 일반적으로 실내의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고령자나 여성에게 있어서는 저류 상자의 출납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자동적으로 실내 유닛 외(실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 유닛 내에 에어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 수단(쓰레기 수취 상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 내에는, 쓰레기 회수 상자와 진공 흡인 팬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 유닛의 쓰레기 수취 상자와 실외 유닛의 쓰레기 회수 상자가 쓰레기 반송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쓰레기 수취 상자에 의해 에어 필터로부터 쓰레기(먼지)가 제거되고, 그 쓰레기가 진공 흡인 팬에 의해 쓰레기 회수 상자에 흡입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에어 필터에 포착된 쓰레기가 유닛 밖으로 배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0136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쓰레기 회수 상자의 먼지가 충적(充積) 상태가 되면 먼지를 버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쓰레기 회수 상자가 충적 상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쓰레기 회수 상자가 충적 상태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흡인 동작을 계속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아무리 흡인 동작을 계속 행하여도 쓰레기 수취 상자로부터 먼지가 회수되지 않기 때문에, 쓸데없는 운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되어 저류부에 저류된 먼지를 공기에 의해 소정의 먼지 포집 상자까지 반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먼지 포집 상자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간이하게 검출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상태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보는 것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발명은, 케이싱(10)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내 유닛은,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50)과,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저류부(62)와, 상기 저류부(62)와 연통되는 먼지 포집 상자(90)와,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공기와 함께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하는 먼지 반송 수단(80)과, 상기 저류부(62)에서의 광의 투과량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에 의해 케이싱(10) 내에 흡입된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할 때에, 그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다.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는,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되어, 저류부(62)에 저류된다. 이 저류부(62)의 먼지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다른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되어 저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반송 동작시 또는 반송 동작 후에, 저류부(62)에서 퇴적되어 있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투과시킨다. 그리고, 먼지의 간극을 투과한 광의 양에 따라 저류부(62)에서의 먼지의 잔존 상태가 검출된다. 구체적으로, 광의 투과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반송 동작을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류부(62)에 먼지가 잔존한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먼지 포집 상자(90)는 충적 상태라고 판단된다.
제2 발명은, 케이싱(10)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내 유닛은,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50)과,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저류부(62)와, 상기 저류부(62)와 연통되는 먼지 포집 상자(90)와,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공기와 함께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하는 먼지 반송 수단(80)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상기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에 의해 케이싱(10) 내에 흡입된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할 때에, 그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다.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는,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되어, 저류부(62)에 저류된다. 이 저류부(62)의 먼지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다른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되어 저류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반송 동작 후에, 저류부(62)의 내부에 공기가 도입된다. 여기서,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량이 많을수록, 저류부(62)에 도입된 공기가 먼지 포집 상자(90)에 흐르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저하되어 간다. 그리고,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충적 상태가 되면, 저류부(62)에 도입된 공기가 먼지 포집 상자(90)에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공기 유량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제3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저류부(62)의 외측에 배치되는 발광부(72)와, 상기 발광부(72)와 상기 저류부(62)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여 상기 저류부(62)를 투과한 상기 발광부(72)의 광의 광도를 검출하는 수광부(73)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부(73)의 검출 광도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발광부(72)와 수광부(73)가 저류부(6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발광부(72)의 광이 저류부(62)의 벽부 및 먼지의 간극을 투과한다. 투과한 광의 광도는 수광부(73)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그 광도에 따라 저류부(62)의 먼지 저류량이 검출된다. 구체적으로, 저류부(62)에 있어서, 광의 투과량이 많으면 수광부(73)에 의한 검출 광도가 높아져, 먼지 저류량이 적다고 판단된다. 반대로, 광의 투과량이 적으면 수광부(73)에 의한 검출 광도가 낮아져, 먼지 저류량이 많다고 판단된다.
제4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62)의 저류벽에는, 상기 발광부(72)의 광이 투과하기 위한 개구(64, 6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저류부(62)의 개구(64, 65)를 막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발광부(72) 및 수광부(73)가 상기 저류부(62)의 개구(64, 65)에 대응하도록 수납된 상자체(7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발광부(72)의 광이 저류부(62)의 개구(64, 65)를 통하여 상기 저류부(62)를 투과하고, 그 투과한 광의 광도가 수광부(73)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저류부(62)의 개구(64, 65)가 상자체(71)에 의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저류부(62) 내의 먼지는 외부로 넘치지 않는다.
제5 발명은, 상기 제3 또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72)가 발광 LED이고, 상기 수광부(73)가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발광 LED의 광이 저류부(62)의 저류벽 및 먼지의 간극을 투과하고, 그 투과한 광의 광도가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그 검출 광도에 따라 저류부(62)의 먼지 저류량이 검출된다.
제6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되고, 그 도입 공기와 함께 저류부(62)의 먼지가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된다. 즉,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 이동된다.
제7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에 설치되는 풍속 센서(101)를 구비하고, 상기 풍속 센서(101)의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되고, 그 도입 공기와 함께 저류부(62)의 먼지가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된다. 즉,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 이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량이 많아지면, 공기 통로(8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저하하여, 그 결과,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이 저하한다. 즉, 풍속 센서(101)의 검출값이 저하한다.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충적 상태가 되면, 공기 통로(8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더 저하하여, 그 결과,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도 한층 더 저하한다. 즉, 풍속 센서(101)의 검출값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풍속 센서(101)의 검출값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제8 발명은, 상기 제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는 통로의 교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의 풍속 센서(101)는, 상기 교축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공기 통로(86)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즉, 공기 통로(86)의 풍속)이 교축부에서 커진다. 그리고, 그 교축부에서의 공기 유속이 풍속 센서(101)에 의해 검출된다.
제9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는 통로의 교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에서의 상기 교축부의 상류측의 풍압과 상기 교축부의 하류측의 풍압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111)를 구비하고, 상기 차압 센서(111)의 차압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되고, 그 도입 공기와 함께 저류부(62)의 먼지가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된다. 즉,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 이동된다. 또한, 공기 통로(86)에서는, 공기가 교축부를 통과할 때에 감압된다. 그로 인해, 공기 통로(86)에서는, 교축부의 하류측 통로의 풍압(공기압)이 교축부의 상류측 통로의 풍압(공기압)보다도 낮아진다. 즉, 교축부의 상하류의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이 차압은 차압 센서(1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량이 많아지면, 공기 통로(8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저하하여, 그 결과, 공기 통로(86)의 전체에 있어서 풍압이 저하한다. 즉, 공기 통로(86)에서는 풍압이 공기 유량에 비례하여 저하한다. 그렇게 하면, 공기 통로(86)에 있어서 교축부의 상하류의 사이의 차압도 저하한다.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충적 상태가 되면, 공기 통로(8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더 저하하여, 그 결과, 공기 통로(86)의 전체에 있어서 풍압이 한층 더 저하한다. 따라서, 공기 통로(86)에 있어서 교축부의 상하류의 사이의 차압도 저하한다. 즉, 차압 센서(111)의 검출값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차압 센서(111)의 검출값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제10 발명은, 상기 제8 또는 제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 설치되고, 개방도가 변경 자유롭게 구성된 통로 개폐 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86)의 교축부는,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이 반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통상 운전의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이 완전 폐쇄 상태가 되어 저류부(62)로의 공기의 도입이 금지된다. 에어 필터(30)의 청소 운전의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이 전개방 상태가 되어 저류부(62)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필터 청소가 필요한 때에만,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저류부(62)에 도입된다. 그리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하는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이 반개방 상태가 되어 공기가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된다. 여기서, 공기 통로(86)에서는, 공기가 통로 개폐 수단(82)을 통과할 때에 감압된다. 그로 인해, 공기 통로(86)에서는, 통로 개폐 수단(82)의 상하류의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이 차압은 차압 센서(111)에 의해 검출된다.
제11 발명은,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공기 통로(86)와,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상기 저류부(62)에 도입되는 상태와 그 도입을 금지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통로 개폐 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보다도 통로 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기 통로(86)에서의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106)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106)에 설치되는 풍속 센서(107)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의 완전 폐쇄시에 상기 풍속 센서(107)의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에어 필터(30)의 청소 운전의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이 전개방 상태가 되고,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된다. 그 도입 공기와 함께 저류부(62)의 먼지가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된다. 즉,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 이동된다.
그리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하는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이 완전 폐쇄 상태가 되고,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10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된다. 여기서,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량이 많으면, 바이패스 통로(10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저하하여, 그 결과, 바이패스 통로(106)에서의 풍속이 저하한다. 즉, 풍속 센서(107)의 검출값이 저하한다.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충적 상태가 되면, 바이패스 통로(106) 및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더 저하하여, 그 결과, 바이패스 통로(106)에서의 풍속이 한층 더 저하한다. 즉, 풍속 센서(107)의 검출값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풍속 센서(107)의 검출값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또한, 바이패스 통로(106)는 공기 통로(86)보다도 통로 면적이 작기 때문에, 실내 팬(21)의 분출 풍량이 동일하여도, 바이패스 통로(106)에서의 풍속은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그 큰 풍속이 풍속 센서(107)에 의해 검출된다.
제12 발명은, 상기 제6, 제7, 제9 또는 제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86, 88)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2)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상기 저류부(62)에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이며, 실내 열교환기(22)에 공급되기 전의 공기에 의해 저류부(62)의 먼지가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되어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실내 유닛에 있어서, 저류부(62)에서의 광의 투과량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하게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포집 상자(90)가 충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불필요한 반송 동작을 행하지 않고 끝난다. 그 결과, 먼지 반송 동작 및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 회수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를 회수하고, 그 후에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류부(62)에서의 광의 투과량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먼지의 반송 통로에 있어서 막힘 등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지의 반송 통로에서의 막힘 등의 문제를 조기에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실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되어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기능을 구비한 실내 유닛에 있어서,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하게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먼지 반송 동작 및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 회수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72)와 수광부(73)를 설치하여, 저류부(62)에서 투과한 광의 광도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확실하게 저류부(62)를 투과한 광의 광도를 검출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에 따르면, 저류부(62)에서 발광부(72)의 광이 투과하는 개구(64, 65)를 형성하고, 발광부(72) 및 수광부(73)가 수납된 상자체(71)를 상기 개구(64, 65)를 막도록 설치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저류부(62)를 제작하기 쉬워진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저류부(62) 내의 먼지가 외부로부터 보이면 불쾌하기 때문에, 저류부(62)의 저류벽은 불투명한 쪽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발광부(72)의 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저류벽의 일부를 투명창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의해 저류부(62)의 제작에 손이 많이 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류벽에 개구(64, 65)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투명창에 비하여 광이 통과하기 쉽고, 저류부(62)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개구(64, 65)는 상자체(71)에 의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저류부(62)의 먼지가 넘칠 우려도 없다.
특히, 제5 발명에 따르면, 발광부(72)로서 발광 LED를 사용하고, 수광부(73)로서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하면서 콤팩트한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간이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에 따르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여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다. 즉,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을 이용하여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흡인 팬 등의 반송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저류부(62)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닛의 대형화 및 고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먼지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여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흡인 팬 등의 반송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저류부(62)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에서는, 공기 통로(86)에 풍속 센서(101)를 설치하고, 그 풍속 센서(101)의 풍속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하면서 콤팩트한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8 발명에서는, 공기 통로(86)에 교축부를 설치하고, 그 교축부에 풍속 센서(101)를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큰 풍속을 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공기 통로(86)의 풍속 및 그 풍속의 변화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9 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제6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여 먼지를 반송하기 때문에, 반송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저류부(62)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먼지를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9 발명에서는, 공기 통로(86)에 교축부를 설치함과 함께 교축부의 상하류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111)를 설치하고, 그 차압 센서(111)의 차압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하면서 콤팩트한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0 발명에서는, 공기 통로(86)에 통로 개폐 수단(82)을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어 필터(30)를 청소하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통로 개폐 수단(82)을 완전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전부를 실내 열교환기(22)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거주자의 쾌적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0 발명에서는, 통로 개폐 수단(82)을 반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공기 통로(86)의 교축부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즉, 통로의 교축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통로 개폐 수단(82)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공기 통로(86)의 풍속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통로(86)에 있어서 간이하면서 용이하게 차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통로 개폐 수단(82)의 개방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풍속 센서(101)나 차압 센서(111)의 측정 레인지에 적합한 풍속이나 차압을 공기 통로(86)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 센서(101)나 차압 센서(111)의 측정 레인지가 높은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의 개방도를 작게 함으로써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이나 차압을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풍속 센서(101) 등의 측정 레인지가 낮은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이나 차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풍속 센서(101)나 차압 센서(111)의 선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제11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발명과 마찬가지로,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여 먼지를 반송하기 때문에, 반송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저류부(62)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먼지를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0 발명과 마찬가지로, 공기 통로(86)에 통로 개폐 수단(82)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어 필터(30)를 청소하지 않는 통상 운전시에는 통로 개폐 수단(82)을 완전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전부를 실내 열교환기(22)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거주자의 쾌적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 발명에서는,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를 행하는 경우, 통로 개폐 수단(82)을 완전 폐쇄로 한 상태에서,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10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된다. 바이패스 통로(106)는 공기 통로(86)보다도 통로 면적이 작기 때문에, 바이패스 통로(106)에서의 풍속은 공기 통로(86)에서의 풍속보다도 비교적 커진다. 따라서, 바이패스 통로(106)에 설치한 풍속 센서(107)는 풍속 및 그 풍속의 변화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12 발명에 따르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이며 실내 열교환기(22)에 흐르기 전의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냉방시의 경우, 실내 열교환기(22)에서 냉각되기 전의 공기를 저류부(62)에 도입하기 때문에, 저류부(62)에 있어서 냉기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적 검지 수단(70)을 결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결로 방지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실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실내 유닛의 구성을 상방으로부터 본 횡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구획판, 에어 필터 및 먼지 저류 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에어 필터의 설치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필터 구동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제거 수단 및 먼지 저류 용기의 구성을 상방으로부터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제거 수단 및 먼지 저류 용기의 구성을 하방으로부터 보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저류 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먼지 저류 용기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반송 수단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반송 수단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에어 필터와 먼지 제거 수단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는 필터 청소 운전시의 상태를, (C)는 통상 운전시의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먼지 제거 동작시의 에어 필터와 먼지 제거 수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브러시 청소 동작시의 먼지 제거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5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먼지 저류 용기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도입용 덕트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7은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1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도입용 덕트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8은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2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도입용 덕트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충적 검지 수단의 구성을 도입용 덕트와의 관계로 도시하는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은, 공기 조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고,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된다.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 유닛에 설치되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팽창 밸브와, 상기 실내 유닛(1)에 설치되는 실내 열교환기(22)가 배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냉매 회로는, 냉매가 가역으로 순환하여,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행한다.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냉방 운전과, 냉매 회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실내 유닛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유닛(1)은, 케이싱(10)과 화장 패널(11)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실내 열교환기(22), 드레인 팬(23), 실내 팬(21), 에어 필터(30), 필터 구동 수단(40), 먼지 제거 수단(50), 먼지 저류 용기(60), 먼지 반송 수단(80) 및 먼지 포집 상자(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하측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내면에는, 단열재(17)가 적층되어 있다. 케이싱(10)은, 하부가 천장판의 개구에 삽입 관통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화장 패널(11)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장 패널(11)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케이싱(10)의 평면에서 본 형상보다도 한층 크게 되어 있다. 화장 패널(11)은, 시일 부재(16)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케이싱(10)의 하측을 덮도록 설치된다. 화장 패널(11)이 케이싱(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화장 패널(11)이 실내에 노출된다.
상기 화장 패널(11)에는, 1개의 흡입구(13)와 4개의 분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장 패널(1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에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흡입 그릴(12)이 끼워넣어져 있다. 각 분출구(14)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분출구(14)는, 화장 패널(11)의 각 변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출구(14)에는, 풍향 조정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정판(15)은, 회동하여 풍향(분출 방향)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실내 팬(21)은, 소위 터보 팬이다. 실내 팬(21)은, 케이싱(10)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고, 흡입구(13)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내 팬(21)은, 팬 모터(21a)와 날개차(21b)를 구비하고 있다. 팬 모터(21a)는, 케이싱(10)의 천장판에 고정되어 있다. 날개차(21b)는, 팬 모터(21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실내 팬(21)의 하측에는, 흡입구(13)에 연통되는 벨 마우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24)는, 케이싱(10) 내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2)의 상류측의 공간을 실내 팬(21)측과 흡입 그릴(12)측으로 구획하고 있다. 실내 팬(21)은, 벨 마우스(24)를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주위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2)는, 크로스 핀식의 핀ㆍ앤드ㆍ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2)는, 평면에서 볼 때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내 팬(2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2)에서는, 냉매와 실내 팬(21)에 의해 보내지는 실내 공기(분출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상기 드레인 팬(23)은, 실내 열교환기(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23)은, 실내 열교환기(22)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드레인 팬(23)에는,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도시 생략). 드레인 팬(23)은, 드레인 펌프를 설치한 개소에 드레인수가 모이도록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벨 마우스(24)의 하방에는, 구획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판(25)은, 벨 마우스(24)와 흡입 그릴(12)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있다. 즉, 구획판(25)은, 실내 열교환기(22)의 상류측 공간을 벨 마우스(24)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22)측과 흡입 그릴(12)측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구획판(25)의 중앙에는,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벨 마우스(24)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통기 구멍(26)은, 원형 구멍이 그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직경 방향 부재(27)에 의해 부채형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직경 방향 부재(27)는, 서로 원 중심에서 연결되어 있고, 그 부분에 원통 형상의 필터 회전축(28)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필터 회전축(28)은, 상기 에어 필터(30)가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이다. 또한, 1개의 직경 방향 부재(27)에는, 필터 가압부(29)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는, 구획판(25)의 하방에 배치되고, 벨 마우스(24)의 입구를 덮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필터(30)는, 환상의 필터 본체(31)와 메쉬 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본체(31)의 외주면에는, 기어부(32)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본체(31)의 환상 중심부에는, 6개의 직경 방향 리브(34)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축 삽입 관통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직경 방향 리브(34)는, 축 삽입 관통부(33)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필터 본체(31)의 내원부에는, 상기 필터 본체(31)와 동심의 환상으로 형성된 내측 둘레 방향 리브(35) 및 외측 둘레 방향 리브(36)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둘레 방향 리브(36)는, 내측 둘레 방향 리브(35)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쉬 부재(37)는, 필터 본체(31)의 내원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4)로 유입된다. 그 때, 공기 중의 먼지가 메쉬 부재(37)에 포착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필터(30)는, 상술한 필터 가압부(29)가 각 둘레 방향 리브(35, 36)에 접촉함으로써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가 후술하는 먼지 제거 수단(50)의 회전 브러시(51)에 가압된다. 따라서,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한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도 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는, 축 삽입 관통부(33)가 구획판(25)의 필터 회전축(28)에 끼워넣어져 설치된다. 에어 필터(30)는, 필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에어 필터(30)의 하방에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필터(30)가 축 삽입 관통부(33)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의 필터 설치부(68)가 구획판(25)의 축 삽입 관통부(33)에 고정 나사(28a)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구획판(25)과 먼지 저류 용기(60) 사이에 에어 필터(30)가 유지된다.
상기 에어 필터(30)의 근방에는, 에어 필터(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필터 구동 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즉, 이 필터 구동 수단(40)은, 에어 필터(30)와 회전 브러시(5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구동 수단(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구동 모터(41)와 리미트 스위치(44)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구동 모터(41)의 구동축에는, 구동 기어(4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42)가 필터 본체(31)의 기어부(32)와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42)의 일단부면에는, 돌기인 스위치 작동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작동부(43)는, 구동 기어(42)의 회전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부(43)가 레버(44a)에 작용하면, 리미트 스위치(44)가 검지한다. 즉, 스위치 작동부(43) 및 리미트 스위치(44)는, 구동 기어(42)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 먼지 저류 용기(60) 및 먼지 반송 수단(80)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먼지 제거 수단(50) 등은, 구획판(25)이나 에어 필터(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1이나 도 2를 참조).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먼지 제거 수단(50)은,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와, 브러시 구동 수단(53)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는, 후술하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브러시용 개구(6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51a)와, 상기 샤프트(51a)의 외주면에 설치된 브러시(51b)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51b)는, 복수의 식모(植毛)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러시(51b)는, 샤프트(51a)의 둘레 방향에서의 일부분에 설치됨과 함께, 샤프트(51a)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청소용 브러시(52)는, 회전 브러시(51)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는, 본체부(52a)와, 브러시(52b)와, 스프링부(52c)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2a)는, 판 형상 부재이며,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2a)는, 그 판면이 회전 브러시(51)의 외주면에 대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2a)의 상부는,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호부로 되어 있다. 이 본체부(52a)의 원호부에는, 본체부(52a)의 길이 방향에 걸쳐 브러시(52b)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부(52c)는, 본체부(52a)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체부(52a)는, 스프링부(52c)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는, 에어 필터(30)의 반경과 동등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는, 에어 필터(30)의 원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회전하는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에 브러시(51b)가 접촉함으로써 메쉬 부재(37)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51)는, 상기 브러시 구동 수단(53)에 의해 가역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구동 수단(53)은, 브러시 구동 모터(54)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55) 및 종동 기어(5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55)는 브러시 구동 모터(54)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56)는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브러시(51)가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브러시 구동 수단(53)은,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켜 그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에 접촉하는 상태와 에어 필터(30)로부터 이격하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는, 회전 브러시(51)가 브러시 구동 수단(53)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접촉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로부터 먼지가 제거된다. 즉, 청소용 브러시(52)는, 회전 브러시(51)로부터 먼지를 제거하여 상기 회전 브러시(51)를 청소하는 것이다. 이들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먼지 제거 작용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각 브러시(51b, 52b)는, 소위 파일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일 직물은, 기포(foundation cloth)에 털(파일사)이 짜 넣어져 이루어지는 유모 섬유이며, 털이 비교적 짧다. 그리고, 이 파일 직물은 털 배열이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파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브러시(51)에서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은, 도 8에 있어서 샤프트(51a)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즉, 이 브러시(51b)의 털 배열은, 에어 필터(3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에어 필터(30)가 브러시(51b)의 털 배열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회전하면, 메쉬 부재(37)의 먼지가 효율적으로 긁어내어진다. 한편, 브러시(51b)의 털 배열에 대하여 그 경사 방향으로 에어 필터(30)가 회전하면, 메쉬 부재(37)의 먼지는 긁어내어지지 않고, 반대로 브러시(51b)에 포착되어 있는 먼지가 제거된다. 또한, 청소용 브러시(52)에서의 브러시(52b)의 털 배열은, 도 8에 있어서 본체부(52a)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즉, 이 브러시(52b)의 털 배열은, 회전 브러시(51)가 도 8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그 회전 방향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는,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것, 즉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것이다. 먼지 저류 용기(60)는, 측면에서 본 형상(도 6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약간 역 く자(字)로 굴곡되어 있는 기둥 형상의 용기이다. 먼지 저류 용기(60)는, 상측 부분이 에어 필터(30)의 먼지가 제거되는 제거부(61)이며, 하측 부분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저류되는 저류부(62)로 되어 있다.
상기 제거부(61)의 상판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러시용 개구(63)가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브러시용 개구(63)에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거부(61)의 일측면에 상술한 필터 설치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용 개구(63)의 후방측(즉, 청소용 브러시(52)측과 반대측)의 테두리부(61a)는, 회전 브러시(51)를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단부면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테두리부(6c)와 회전 브러시(51)의 간극이 끝없이 작아진다. 따라서, 만일 회전 브러시(51)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상기 회전 브러시(51)를 통과해 버린 에어 필터(30)의 먼지는, 바로 테두리부(61a)를 따라 에어 필터(30)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즉, 회전 브러시(51)를 통과한 먼지는, 제거부(61)의 상판에 차단되지 않고 에어 필터(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61a)를 고안함으로써, 회전 브러시(51)와 제거부(61)의 상판과의 간극에 있어서 먼지가 정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체하면 그 먼지가 점차 성장하여 큰 덩어리가 되어, 최종적으로 그 간극으로부터 튀어나와 실내 등으로 낙하해 버리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것이 방지된다. 또한, 테두리부(61a)와 회전 브러시(51)의 간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먼지 저류 용기(60)의 밀폐성(시일성)이 높아진다.
상기 저류부(62)는, 하단부측(바닥부측)이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저류부(62)의 원호부에는,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낙하하여 저류된다. 저류부(62)는,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부(66, 67)가 개구되어 있다. 그 저류부(62)의 제1 단부(66)에는,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댐퍼 박스(81)가 접속되고, 제2 단부(67)에는,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에는, 후술하는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충적 검지 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충적 검지 수단(70)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용 덕트(86)와, 반송용 덕트(88)와, 흡인용 덕트(8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입용 덕트(86)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접속되어 있다. 도입용 덕트(86)의 저류부(62)측의 단부는 댐퍼 박스(81)를 구성하고 있다. 이 댐퍼 박스(81)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댐퍼 박스(81)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에는, 저류부(62)의 제1 단부(66)가 접속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박스(81) 내에는, 본 발명에 관한 통로 개폐 수단인 댐퍼(82)가 1개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82)가 닫히면, 댐퍼 박스(81)의 내부 공간이 그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다. 즉, 댐퍼 박스(81)의 내부 공간이 제1 실(81a)과 제2 실(81b)로 구획된다. 제2 실(81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62)의 제1 단부(66)가 접속되어 있다.
도 7이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댐퍼(82)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댐퍼 구동 모터(83)와 구동 기어(84)와 종동 기어(85)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84)는 댐퍼 구동 모터(83)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85)는 댐퍼(82)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84) 및 종동 기어(85)는 서로 맞물려 있다. 이 구성에서는, 댐퍼 구동 모터(83)의 회전이 각 기어(84, 85)를 통하여 댐퍼(82)의 회동축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댐퍼(82)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개폐 동작이 행하여진다.
상기 도입용 덕트(8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박스(81)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구획판(25)을 관통하고 있다. 도입용 덕트(86) 중 댐퍼 박스(81)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횡단면이 원형인 상류측 덕트(86a) 및 하류측 덕트(86b)를 구비하고, 그 2개의 부재가 고정 나사(28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류측 덕트(86a)의 횡단면적(유로 면적)은, 하류측 덕트(86b)의 횡단면적(유로 면적)보다도 크다. 하류측 덕트(86b)의 하단부(도 10에서의 하측)는, 댐퍼 박스(81)에 접속되어 있다. 상류측 덕트(86a)의 상단부(도 10에서의 상측)는, 벨 마우스(24)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부재에 시일 부재(86e)를 통하여 접촉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24)의 수평 부재에는, 관통 구멍인 도입구(8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입구(86d)를 통하여, 상류측 덕트(86a)가 실내 팬(21)측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즉, 이 도입용 덕트(86)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 내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입용 덕트(86)는, 상류측 덕트(86a)와 하류측 덕트(86b)의 연결 부분이 구획판(25)의 관통부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류측 덕트(86a)의 바닥판과 하류측 덕트(86b)의 상단부 플랜지 사이에 구획판(25)의 관통 구멍 주연부를 끼워넣도록, 양쪽 덕트(86a, 86b)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 부분 및 시일 부재(86e)의 부분은, 도입용 덕트(86)와 먼지 저류 용기(60)가 일체로 도입용 덕트(8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인용 덕트(87)는, 유입측인 일단부가 도입용 덕트(86)의 댐퍼 박스(81)의 하면에 접속되어 제2 실(81b)에 연통되어 있다. 흡인용 덕트(87)의 유출측인 타단부는, 화장 패널(11)에 형성된 청소기 삽입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 청소기 삽입구는, 청소기의 호스 등이 삽입되어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또한, 흡인용 덕트(87)는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용 덕트(88)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먼지 저류 용기(60)에서의 저류부(62)의 제2 단부(67)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먼지 포집 상자(90)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반송용 덕트(88)는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반송용 덕트(88)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에서는, 냉난방을 행하는 통상 운전의 경우,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닫혀진다(도 11의 (A) 참조). 이에 의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먼지 저류 용기(60)로 도입되지 않는다. 또한, 먼지 반송 수단(80)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경우,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열린다(도 11의 (B) 참조). 이에 의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도입용 덕트(86)를 통하여 먼지 저류 용기(60)로 도입된다. 그 결과,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는, 공기와 함께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된다. 즉,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배출된다. 또한, 먼지 반송 수단(80)에서는,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를 케이싱(10)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닫혀진다(도 11의 (C) 참조). 이 경우, 청소기에 의해 청소기 흡인구로부터 흡인함으로써,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반송용 덕트(88), 댐퍼 박스(81) 및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청소기에 흡인된다. 즉, 이 먼지 반송 수단(80)은,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가 반송되어 저류되는 것이다. 먼지 포집 상자(90)는, 약간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먼지 저류 용기(60)와 마찬가지로 구획판(2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먼지 포집 상자(90)는, 평면적으로 에어 필터(30)에 덮이지 않도록, 구획판(25)의 일단부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흡입 그릴(12)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흐름이 먼지 포집 상자(90)에 의해서는 방해받지 않는다. 먼지 포집 상자(90)는,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가 배기구(91)로 되어 있다. 이 배기구(91)의 부분은, 케이싱(10)을 관통하여 실내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배기구(91)의 관통 부분에는 시일 부재(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평면에서 보아, 배기구(91)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먼지 포집 상자(90)의 에어 필터(30)측의 측판은, 에어 필터(30)의 외주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는, 배기구(91) 근처에 필터(9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먼지 포집 상자(90)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가 반송되는 경우,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91)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 필터(9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된 먼지가 배기구(91)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청소기에 의한 흡인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부터 먼지가 배출되는 경우, 실내 공기가 배기구(91)를 통하여 먼지 포집 상자(90) 내로 유입된다. 그 때,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가 필터(92)에 의해 포착된다. 이와 같이, 배기구(91)에 의한 급배기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압력 밸런스가 적절해지므로, 먼지 포집 상자(90)에 대한 먼지의 반송 동작 및 배출 동작이 적절하게 행하여진다.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센서 박스(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센서 박스(71)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의 제2 단부(67)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도 6이나 도 7을 참조). 센서 박스(71)는, 저류부(62)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바닥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센서 박스(71)에 의해 덮히는 저류부(62)의 벽면(저류벽)에는, 2개의 개구(64, 6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개구(64)와 제2 개구(65)는, 서로 대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개구(64, 65)는, 후술하는 발광 LED(72)의 광이 통과(투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 박스(71)는, 저류부(62)의 저류벽을 덮는 원호 부재(75)에 2개의 투명창(76, 7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투명창(76) 및 제2 투명창(77)은, 각각 저류부(62)의 제1 개구(64) 및 제2 개구(65)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센서 박스(71)는, 저류부(62)의 개구(64, 65)를 막도록 설치되며, 본 발명에 관한 상자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박스(71) 내에는, 발광 LED(72)와 포토 트랜지스터(73)가 수납되어 있다. 발광 LED(72)는 제1 투명창(76) 및 제1 개구(64)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토 트랜지스터(73)는 제2 투명창(77) 및 제2 개구(6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는, 저류부(62)를 그 횡단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에서는, 발광 LED(72)에 의한 광이 제1 투명창(64) 및 제1 개구(64)를 투과한 후, 제2 개구(65) 및 제2 투명창(77)을 순서대로 투과하여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수광된다. 포토 트랜지스터(73)에서는 수광한 광의 광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광도에 따라 저류부(62)에서의 먼지의 저류량(즉, 충전도)이 검출된다. 즉, 먼지의 저류량이 적으면, 저류부(62)에 있어서 제1 투명창(64)으로부터 제2 투명창(65)으로의 광의 투과율(투과량)이 높아지고, 검출되는 광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먼지의 저류량이 많으면, 저류부(62)에 있어서 제1 투명창(64)으로부터 제2 투명창(65)으로의 광의 투과율(투과량)이 낮아지고, 검출되는 광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이 충적 검지 수단(70)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 내에 먼지가 잔존하여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량이 가득찼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저류부(62)에서의 광의 투과량에 기초하여 저류부(62) 내의 먼지 저류량을 검출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토 트랜지스터(73) 대신에 포토 다이오드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운전 동작-
다음에, 상기 실내 유닛(1)에서의 운전 동작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내 유닛(1)은, 냉난방을 행하는 통상 운전과, 에어 필터(30)의 청소를 행하는 필터 청소 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 운전>
통상 운전에서는,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켜 그 브러시(51b)를 청소용 브러시(52)측에 위치시킨다. 즉,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켜, 회전 브러시(51)의 비브러시면(즉, 브러시(51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샤프트(51a)의 외주면)을 에어 필터(30)에 대면시킨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도 11의 (A)의 상태). 또한, 이 때 에어 필터(30)는 정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내 팬(21)이 구동된다. 그렇게 하면, 실내 유닛(1)에서는,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4)로 유입된다.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에 포착된다. 벨 마우스(24)에 유입된 공기는 실내 팬(21)으로부터 분출된다. 이 분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22)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각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통상 운전에서는,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도입용 덕트(86)를 통하여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로 도입되는 일은 없다. 즉,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로의 공기의 도입이 금지된다.
또한, 이 통상 운전에서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에어 필터(30)가 비접촉 상태가 된다. 즉,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에 계속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필터 청소 운전>
필터 청소 운전에서는, 냉매 회로에서 압축기가 정지되어 냉매가 순환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필터 청소 운전에서는,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과 「먼지 반송 동작」과 「충적 검지 동작」과 「먼지 배출 동작」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먼지 제거 동작」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동작이다. 「브러시 청소 동작」은, 회전 브러시(5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동작이다. 「먼지 반송 동작」은,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에 먼지를 반송하는 동작이다. 「충적 검지 동작」은,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동작이다. 「먼지 배출 동작」은, 먼지 포집 상자(90)로부터 케이싱(10) 밖으로 먼지를 배출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이 교대로 행하여진다. 우선 「먼지 제거 동작」에서는, 실내 팬(21)이 정지된다. 그리고,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켜 그 브러시(51b)를 에어 필터(30)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에어 필터(30)는 도 12의 (A)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화살표(백색 화살표)와 같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에 대향하도록 에어 필터(30)가 이동한다. 또한, 이 때 회전 브러시(51)는 정지시킨 채이다.
그렇게 하면, 에어 필터(30)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된다(도 14의 (A)를 참조). 그리고, 필터 구동 수단(40)의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작동하면, 필터 구동 모터(41)가 정지되어 에어 필터(30)가 정지한다. 즉, 에어 필터(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에어 필터(30)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통과한 영역의 먼지가 제거된다. 여기서, 브러시(51b)의 털 배열이 에어 필터(30)의 회전 방향(이동 방향)에 대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에어 필터(30)의 먼지가 브러시(51b)에 의해 용이하게 긁어내어진다. 따라서, 회전 브러시(51)에 의한 먼지의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에어 필터(30)가 정지하면, 「먼지 제거 동작 」으로부터 「브러시 청소 동작」으로 전환된다.
「브러시 청소 동작」에서는, 계속해서 실내 팬(21) 및 회전 브러시(51)가 정지한 상태에서, 우선, 에어 필터(30)가 도 12의 (B)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에어 필터(30)는, 「먼지 제거 동작」시와는 역방향, 즉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폭 분만큼 에어 필터(30)가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에어 필터(30)와 브러시(51b) 사이에 저류된 먼지, 즉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되어 걸린 먼지가 브러시(51b)에 균일하게 부착된다.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의 먼지가 브러시(51b)에 확실하게 포착된다. 따라서, 회전 브러시(51)에 의한 먼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브러시 청소 동작」에서는, 실내 팬(21)이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51)가 도 14에서의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 회전 브러시(51)는, 브러시(51b)에 먼지를 포착한 채 회전한다. 또한,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1b, 52b)끼리 접촉하면서, 회전 브러시(51)가 회전한다(도 14의 (B)를 참조). 그리고, 회전 브러시(51)는,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면 정지한다.
계속해서, 회전 브러시(51)는, 상기와는 역회전(즉, 도 14에서의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되어 있던 먼지가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의해 제거된다(도 14의 (C)를 참조). 이것은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의 털 배열이 하향, 즉 털 배열이 회전 브러시(51)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로부터 먼지가 긁어내어진다. 또한, 양쪽의 브러시(51b, 52b)끼리 접촉함으로써 청소용 브러시(52)의 본체부(52a)가 후방으로 밀리지만, 스프링부(52c)에 의해 본체부(52a)가 회전 브러시(51)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브러시(51b, 52b)끼리 이격하지 않고, 청소용 브러시(52)가 적절하게 회전 브러시(51)에 가압된다. 따라서,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로부터 먼지가 보다 확실하게 제거된다. 이상에 의해,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먼지가 포착된다. 회전 브러시(51)는, 원래의 상태(도 14의 (A)의 상태)까지 회전하여 정지한다.
계속해서, 회전 브러시(51)는, 다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포착되어 있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의해 긁어내어져,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낙하한다(도 14의 (D)를 참조). 이것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이 회전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로부터 먼지가 확실하게 긁어내어진다. 그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부(52c)에 의해 청소용 브러시(52)가 회전 브러시(51)에 적절하게 가압되므로, 청소용 브러시(52)로부터 먼지가 보다 확실하게 제거된다. 이상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에 포착된 먼지가 제거되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저류된다. 그 후, 회전 브러시(51)는 다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도 14의 (A)의 상태)로 복귀되고, 「브러시 청소 동작」이 일단 종료된다.
「브러시 청소 동작」이 종료되면, 다시 상술한 「먼지 제거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다시 에어 필터(30)가 회전되고,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다시 작동하면 에어 필터(30)가 정지한다.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통과한 영역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된다(도 14의 (A)의 상태). 이와 같이,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그 결과, 에어 필터(30)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마다 먼지가 제거되어 간다. 그리고, 에어 필터(30)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먼지가 제거되면, 「먼지 제거 동작」 및 「브러시 청소 동작」이 완전하게 종료된다.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소정 횟수 작동하면, 에어 필터(30)가 1회전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동작이 종료된다.
상기 「먼지 제거 동작」 및 「브러시 청소 동작」이 종료되면, 「먼지 반송 동작」으로 전환된다. 이 「먼지 반송 동작」에서는, 회전 브러시(51)가 도 14의 (A)의 상태에서 정지됨과 함께, 에어 필터(30)가 정지 상태가 된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전개방 상태(도 11의 (B)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실내 팬(21)이 구동된다.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를 통하여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반송 동작」은 소정 시간 행하여지면 종료된다. 이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저류부(62) 내의 먼지의 대부분이 반송될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먼지 반송 동작」이 종료되면, 「충적 검지 동작」으로 전환된다. 이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먼지 반송 동작」과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51)가 도 14의 (A)의 상태에서 정지되어, 에어 필터(30)가 정지 상태가 되고,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전개방 상태(도 11의 (B)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실내 팬(21)이 구동된다.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를 통하여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 및 먼지 포집 상자(90)로 순서대로 흐른다.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충적 검지 수단(70)에 의해 저류부(62)에서의 먼지 저류량이 검출된다. 즉, 발광 LED(72)에 의한 광이 저류부(62)의 투명창(64, 65) 및 그 내부의 먼지를 투과한다. 투과한 광의 광도가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설정값(하한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저류부(62)의 먼지의 대부분이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되어 저류부(62)에는 먼지가 거의 잔존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는 충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한편,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설정값(하한값) 이하로 되어 있으면, 저류부(62)에 먼지가 어느 정도 잔존해 있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는 충적 상태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충적 검지 수단(70)에 따르면,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반송 동작을 행한 후에도 또한 저류부(62)에 먼지가 어느 정도 남아있으면, 먼지 포집 상자(90)가 충적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즉,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충적 검지 수단(70)에 의해, 저류부(62) 내의 먼지 저류량이 검출되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또한, 충적 검지 수단(70)은, 「충적 검지 동작」시 이외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발광 LED(72)나 포토 트랜지스터(73)는 「충적 검지 동작」시에만 동작한다. 이에 의해, 발광 LED(72)나 포토 트랜지스터(73)의 사용 빈도를 억제할 수 있어, 이들의 내용 연수(durable years)가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반송 동작」의 종료 후가 아니라 「먼지 반송 동작」 중에 있어서 「충적 검지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먼지 반송 동작」 중에 있어서,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좀처럼 상승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검출 광도가 일정 시간 변화하지 않는 경우), 저류부(62)의 먼지가 반송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가 충적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적 검지 동작」에서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되면, 「먼지 배출 동작」으로 전환된다.
「먼지 배출 동작」에서는, 상술한 「먼지 반송 동작」과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51)가 도 14의 (A)의 상태에서 정지됨과 함께, 에어 필터(30)가 정지 상태가 된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폐쇄 상태(도 11의 (C)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의 호스가 화장 패널(11)의 청소기 삽입구에 삽입된다. 이 흡인 동작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가 반송용 덕트(88), 먼지 저류 용기(60), 댐퍼 박스(81) 및 흡인용 덕트(87)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청소기에 흡입된다. 그 때,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도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청소기에 흡입된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 및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회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배출 동작」을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 조작에 의해 임의로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서 투과한 광의 광도(투과량)에 기초하여 먼지 저류량을 검출하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류부(62)에서의 투과 광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가 검지된다. 따라서, 간이하게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포집 상자(90)가 충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한 반송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즉, 쓸데없는 먼지 반송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반송 동작 및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 회수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LED(72)와 포토 트랜지스터(73)를 사용하여 광의 광도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이하면서 콤팩트한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간이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의 저류벽에 개구(64, 65)를 형성하여 발광 LED(72)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먼지 저류 용기(6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저류부(62) 내의 먼지가 외부로부터 보이면 불쾌하기 때문에, 저류부(62)의 저류벽은 불투명한 쪽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발광부(72)의 광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저류벽의 일부를 투명창으로 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먼지 저류 용기(60)의 구성이 복잡해져 제작에 손이 많이 간다. 따라서, 저류벽에 개구(64, 65)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투명창에 비하여 광이 통과하기 쉽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개구(64, 65)는 센서 박스(71)에 의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저류부(62) 내의 먼지가 넘칠 우려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먼지 저류 용기(60)에 도입하여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흡인 팬 등의 반송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닛의 대형화 및 고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먼지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저류 용기(60)가 에어 필터(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유통의 저항(방해)으로 된다. 그로 인해, 먼지 저류 용기(60)는 가능한 한 용적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먼지 저류 용기(60)에는 다량의 먼지를 저류할 수 없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보다도 용적이 큰 먼지 포집 상자(90)를 공기 유통의 저항이 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여,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다량으로 저류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한 먼지 처리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포집 상자(90)를 설치함으로써 먼지 저류 용기(60)를 가능한 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내 유닛(1)에서의 흡입 공기의 유통 저항을 저감할 수 있어, 운전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이며 실내 열교환기(22)에 흐르기 전의 공기를 먼지 저류 용기(60)에 도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예를 들어 냉방 운전의 경우, 실내 열교환기(22)에서 냉각되기 전의 공기를 먼지 저류 용기(60)에 도입하기 때문에, 먼지 저류 용기(60)에 있어서 냉기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LED(72)나 포토 트랜지스터(73)의 전자 부품을 결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의 향상을 더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결로 방지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운전시에는, 댐퍼(82)를 닫아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먼지 저류 용기(60)에 도입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통상 운전에서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전부를 실내 열교환기(22)에 공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거주자의 쾌적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상 운전시에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에어 필터(30)가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브러시(51b)의 에어 필터(30)에 장시간 계속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먼지 제거 기능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파일 직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브러시(51b)의 털이 짧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51)의 설치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51b)의 털이 짧기 때문에, 나아가 그 브러시(51b)가 회전 브러시(51)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저류 용기(60) 내에 있어서 공기(즉,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유통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먼지 반송 동작의 반송 효율 및 먼지 배출 동작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 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1의 충적 검지 수단(70) 및 먼지 저류 용기(60)의 구성을 변경하도록 하였다.
상기 실시 형태 1이 저류부(62)의 저류벽에 개구(64, 65)를 형성한 것을 대신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투명창(64, 65)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센서 박스(71)는, 원호 부재(75)가 생략된 상태에서 저류부(62)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발광 LED(72)의 광이 저류부(62)의 제1 투명창(64) 및 제2 투명창(65)을 순서대로 투과하여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수광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은,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충적 검지 수단(7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풍속 센서(10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댐퍼 구동 모터(83), 구동 기어(84) 및 종동 기어(85)를 생략하고 있고, 후술하는 도 17 내지 도 1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풍속 센서(101)는, 댐퍼 박스(81)의 제2 실(102)에서의 먼지 저류 용기(60)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풍속 센서(101)는, 「충적 검지 동작」시에 있어서, 댐퍼 박스(81) 내의 풍속을 검출한다. 즉, 풍속 센서(101)는,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유속을 검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풍속 센서(101)의 풍속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충적 검지 동작」에 있어서, 풍속 센서(101)의 풍속이 설정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적은 경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비교적 흐르기 쉽다. 그로 인해, 도입용 덕트(86)나 저류부(62)에서의 풍속(공기의 유속)이 비교적 높아진다. 한편, 풍속 센서(101)의 풍속이 설정값 이하로 되어 있으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라고 판단된다.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인 경우(현저하게 많은 경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흐르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도입용 덕트(86)나 저류부(62)에서의 풍속(공기의 유속)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즉,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도입용 덕트(86)나 저류부(62)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여, 그 결과 풍속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충적 검지 수단(70)은,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도입용 덕트(86)나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 유속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을 판단하고,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먼지 반송 동작」의 종료 후가 아니라 「먼지 반송 동작」 중에 있어서 「충적 검지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먼지 반송 동작」 중에 있어서, 풍속 센서(101)의 풍속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풍속 센서(101)의 배치를 변경한 것이다.
본 변형예의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전개방이 아니라 반개방 상태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댐퍼(82)의 개소가 통로의 교축부가 된다. 풍속 센서(101)는, 댐퍼(82)의 개구 부분에 배치된다. 이 댐퍼(82)의 개구 부분에서는, 통로 면적이 좁혀지기 때문에 공기의 유속이 커진다. 따라서, 풍속 센서(101)는, 댐퍼(82)를 전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 비하여 큰 풍속을 검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댐퍼 박스(81)에서의 풍속 및 그 풍속의 변화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풍속 센서는 측정 레인지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경우에도, 댐퍼(82)의 개방도를 변경함으로써,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측정 레인지에 적합한 풍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 센서(101)의 측정 레인지가 높은 경우, 댐퍼(82)의 개방도를 작게 함으로써 댐퍼 박스(81)에서의 풍속을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풍속 센서(101)의 측정 레인지가 낮은 경우, 댐퍼(82)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댐퍼 박스(81)에서의 풍속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풍속 센서(101)의 선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충적 검지 수단(7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본 변형예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바이패스 통로(106)와 풍속 센서(107)와 바이패스용 댐퍼(108)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패스 통로(106)는, 유입 단부가 도입용 덕트(86)에서의 댐퍼 박스(81)의 상류측 부분에 개구되고, 유출 단부가 댐퍼 박스(81)의 제2 실(81b)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통로(106)의 통로 면적은 도입용 덕트(86)의 통로 면적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풍속 센서(107)는, 바이패스 통로(106)에 설치되어, 바이패스 통로(106) 내의 풍속을 검출한다. 바이패스용 댐퍼(108)는, 바이패스 통로(106)의 유입 단부에 설치되어, 그 유입 단부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본 변형예의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고, 바이패스용 댐퍼(108)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의 도중에서 바이패스 통로(106)를 통하여 저류부(62)에 도입된다. 여기서, 바이패스 통로(106)는 도입용 덕트(86)보다도 통로 면적이 작기 때문에, 실내 팬(21)의 분출 풍량이 동일하여도, 바이패스 통로(106)에서의 풍속은 도입용 덕트(86)에서의 풍속보다도 커진다. 그 큰 풍속이 풍속 센서(107)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충적 검지 동작」시에서의 풍속 및 그 풍속의 변화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바이패스용 댐퍼(108)의 개방도를 변경함으로써, 바이패스 통로(106)에 있어서 풍속 센서(107)의 측정 레인지에 적합한 풍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바이패스용 댐퍼(108)의 개방도를 작게 하면 풍속이 커지고, 바이패스용 댐퍼(108)의 개방도를 크게 하면 풍속이 작아진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실내 유닛(1)도,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충적 검지 수단(7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센서 본체(111)와 하류측 관(112)과 상류측 관(113)을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관(113)은, 댐퍼 박스(81)의 제1 실(81a)과 센서 본체(111)를 연통시키고 있다. 하류측 관(112)은, 댐퍼 박스(81)의 제2 실(81b)과 센서 본체(111)를 연통시키고 있다. 센서 본체(111)는,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제1 실(81a)과 제2 실(81b)의 풍압의 차(차압)를 검출하는 차압 센서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동작」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2의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반개방 상태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댐퍼(82)의 개소가 통로의 교축부가 된다. 그로 인해,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제1 실(81a)에 도입된 공기는 그 교축부에서 감압되어 제2 실(81b)로 흐른다. 즉, 댐퍼(82)의 하류측인 제2 실(81b)의 풍압은 댐퍼(82)의 상류측인 제1 실(81a)의 풍압보다도 작아진다. 이 댐퍼(82)의 상하류의 사이에 발생하는 풍압차(차압)가 센서 본체(1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충적 검지 수단(70)은, 「충적 검지 동작」시에 센서 본체(111)의 차압에 기초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충적 검지 동작」에 있어서, 센서 본체(111)의 차압이 설정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된다.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적은 경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비교적 흐르기 쉽다. 그로 인해, 도입용 덕트(86) 전체에서의 풍속(공기의 유속) 및 풍압이 비교적 높아지고, 그에 수반하여 댐퍼(82)의 상하류의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이 커진다. 한편, 센서 본체(111)의 차압이 설정값 이하로 되어 있으면,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라고 판단된다.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충적 상태인 경우(현저하게 많은 경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로 흐르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도입용 덕트(86) 전체에서의 풍속(공기의 유속) 및 풍압이 낮아지고, 그에 수반하여 댐퍼(82)의 상하류의 사이에 발생하는 차압이 작아진다. 즉,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도입용 덕트(86)나 저류부(62)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여, 그 결과, 센서 본체(111)의 차압이 저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간이한 구성으로 먼지 포집 상자(90)의 충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차압 센서도 풍속 센서와 마찬가지로 측정 레인지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경우에도, 댐퍼(82)의 개방도를 변경함으로써, 댐퍼(82)의 상하류의 사이에 있어서 측정 레인지에 적합한 차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본체(111)의 측정 레인지가 높은 경우, 댐퍼(82)의 개방도를 작게 함으로써 댐퍼 박스(81)에서의 차압을 크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 본체(111)의 측정 레인지가 낮은 경우, 댐퍼(82)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댐퍼 박스(81)에서의 차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 본체(111)의 선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거된 먼지를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저류시키도록 하였지만, 즉 저류부(62)를 용기 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먼지 저류 용기(60)(먼지 제거 수단(50)을 제외함)를 생략하고, 반송용 덕트(88)의 일부를 본 발명에 관한 저류부(62)로 하여도 된다. 즉, 반송용의 통로인 도입용 덕트(86)나 반송용 덕트(88)의 일부를 저류부(62)로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21)의 송풍 작용을 이용하여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를 반송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송용의 팬을 별도로 설치하여 그 송풍 작용을 이용하여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필터(3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에어 필터(3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에어 필터(30)는 회전 브러시(51)에 대하여 직선 이동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22)를 통과하기 전의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댐퍼 박스(81)에 도입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내 열교환기(22)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도입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어 냉방 중이면, 실내 열교환기(22)에서 냉각된 공기가 먼지 저류 용기(60) 등을 흐르기 때문에, 이들 먼지 저류 용기(60) 등에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먼지 저류 용기(60)나 각 덕트(86, 88)를 단열재로 덮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소위 벽걸이식의 실내 유닛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먼지 저류 용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으로서 유용하다.
1: 실내 유닛
10: 케이싱
21: 실내 팬
22: 실내 열교환기
30: 에어 필터
50: 먼지 제거 수단
60: 먼지 저류 용기
62: 저류부
64: 제1 개구(개구)
65: 제2 개구(개구)
70: 충적 검지 수단
71: 센서 박스(상자체)
72: 발광 LED(발광부)
73: 포토 트랜지스터(수광부)
포토 다이오드(수광부)
80: 먼지 반송 수단
82: 댐퍼(통로 개폐 수단, 교축부)
86: 도입용 덕트(공기 통로)
90: 먼지 포집 상자
101: 풍속 센서
106: 바이패스 통로
107: 풍속 센서
111: 센서 본체(차압 센서)

Claims (12)

  1. 케이싱(10)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이며,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50)과,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저류부(62)와,
    상기 저류부(62)와 연통하는 먼지 포집 상자(90)와,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공기와 함께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하는 먼지 반송 수단(80)과,
    상기 저류부(62)에서의 광의 투과량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充積)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2. 케이싱(10)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이며,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수단(50)과,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는 저류부(62)와,
    상기 저류부(62)와 연통하는 먼지 포집 상자(90)와,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송풍 작용 또는 흡인 작용에 의해 공기와 함께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까지 반송하는 먼지 반송 수단(80)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측을 향하여 상기 저류부(62)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는 충적 검지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저류부(62)의 외측에 배치되는 발광부(72)와, 상기 저류부(62)가 사이에 놓이도록 상기 발광부(72)와 대치하고 상기 저류부(62)를 투과한 상기 발광부(72)의 광의 광도를 검출하는 수광부(73)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부(73)의 검출 광도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62)의 저류벽에는, 상기 발광부(72)의 광이 투과하기 위한 개구(64, 6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저류부(62)의 개구(64, 65)를 막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발광부(72) 및 수광부(73)가 상기 저류부(62)의 개구(64, 65)에 대응하도록 수납된 상자체(7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72)는 발광 LED이고,
    상기 수광부(73)는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포토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에 설치되는 풍속 센서(101)를 구비하고, 상기 풍속 센서(101)의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는 통로의 교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의 풍속 센서(101)는 상기 교축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하는 공기 통로(86)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는 통로의 교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에서의 상기 교축부의 상류측의 풍압과 상기 교축부의 하류측의 풍압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센서(111)를 구비하고, 상기 차압 센서(111)의 차압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 설치되고, 개방도가 변경 자유롭게 구성된 통로 개폐 수단(82)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로(86)의 교축부는,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이 반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저류부(62)의 내부에 도입하여 상기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로 반송하는 공기 통로(86)와, 상기 공기 통로(86)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86)를 통하여 상기 저류부(62)에 도입되는 상태와 그 도입을 금지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통로 개폐 수단(82)을 구비하고,
    상기 충적 검지 수단(70)은, 상기 공기 통로(86)보다도 통로 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기 통로(86)에서의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106)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106)에 설치되는 풍속 센서(107)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 개폐 수단(82)의 완전 폐쇄시에 상기 풍속 센서(107)의 풍속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먼지의 충적 상태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12. 제6항, 제7항,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86)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2)를 통과하기 전의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상기 저류부(62)에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20107017755A 2008-01-11 2009-01-13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1190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4542 2008-01-11
JPJP-P-2008-004542 2008-01-11
JP2008014862 2008-01-25
JPJP-P-2008-014862 2008-01-25
PCT/JP2009/000094 WO2009087980A1 (ja) 2008-01-11 2009-01-13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08A true KR20100102708A (ko) 2010-09-24
KR101190359B1 KR101190359B1 (ko) 2012-10-11

Family

ID=4085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755A KR101190359B1 (ko) 2008-01-11 2009-01-13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68521B2 (ko)
EP (1) EP2246638B1 (ko)
JP (2) JP5338322B2 (ko)
KR (1) KR101190359B1 (ko)
CN (1) CN101910743A (ko)
AU (1) AU2009203466B2 (ko)
WO (1) WO20090879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82B1 (ko) * 2010-11-08 2011-02-08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094A1 (ja) * 2007-10-25 2009-04-30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8647404B2 (en) * 2009-04-30 2014-02-11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8784803B2 (en) 2009-08-28 2014-07-22 Osaka Air Machine Service, Ltd. Therapeutic agent for liver-related diseases
JP5606805B2 (ja) * 2010-06-08 2014-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掃除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9101866B2 (en) 2010-11-16 2015-08-11 Gregory R. Miller Room air purifier
TW201401993A (zh) * 2012-06-28 201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貨櫃資料中心
US9254459B2 (en) * 2013-09-17 2016-02-09 Gregory R. Miller Room air purifier with pressurization relief
JP6326972B2 (ja) 2014-05-27 2018-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容器、および当該容器を備えたミシン
CN203874594U (zh) * 2014-06-12 2014-10-15 百朗楼宇电气用品(惠州)有限公司 一种直接悬挂于墙壁上的空气净化器
CN104089639B (zh) * 2014-06-24 2016-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传感器电器盒
CN204034441U (zh) * 2014-08-15 2014-12-24 百朗楼宇电气用品(惠州)有限公司 一种管道式空气净化器
CN204034442U (zh) * 2014-08-15 2014-12-24 百朗楼宇电气用品(惠州)有限公司 一种管道式空气净化器
CN104848494A (zh) * 2015-05-28 2015-08-19 上海东方低碳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舒适性节能温控面板
ES2959400T3 (es) * 2017-12-13 2024-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Unidad de intercambio de calor y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que tiene la misma montada en él
JP7057315B2 (ja) * 2019-04-23 2022-04-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産業機械のエアフィルタ装置
CN117091308B (zh) * 2023-10-19 2023-12-15 集美大学 一种适用于寒冷地区的蒸发冷低温型冷水机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244A (ja) * 1989-12-15 1991-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電力制御装置
KR930003937Y1 (ko) * 1991-08-14 1993-06-25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감지장치
JP3314501B2 (ja) * 1993-12-20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KR100219420B1 (ko) * 1996-08-29 1999-10-01 윤종용 사이클론집속체를 갖는 반도체용 입자측정기
US6956348B2 (en) * 2004-01-28 2005-10-18 Irobot Corporation Debris sensor for cleaning apparatus
JP2003042477A (ja) * 2001-07-25 200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4040433B2 (ja) * 2002-11-05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206797B2 (ja) * 2003-03-28 2009-01-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5308274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6071121A (ja) *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4591683B2 (ja) * 2004-09-03 2010-12-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2007086064A (ja) * 2005-08-26 2007-04-05 Zojirushi Corp 粒子検出装置及び粒子検出方法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172484B2 (ja) * 2005-11-28 2008-10-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910744B2 (ja) * 2007-02-09 2012-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20080264014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7611558B2 (en) * 2007-04-30 2009-11-03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WO2008142863A1 (ja) 2007-05-17 2008-11-27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2075262A1 (en) * 2007-12-17 2009-07-01 Lanxess Inc. Hydrogenation of diene-based polymers
WO2009078177A1 (ja) * 2007-12-19 2009-06-25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416034B2 (ja) * 2007-12-19 2010-02-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掃除ユニット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82B1 (ko) * 2010-11-08 2011-02-08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환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7980A1 (ja) 2009-07-16
KR101190359B1 (ko) 2012-10-11
EP2246638B1 (en) 2016-11-30
EP2246638A1 (en) 2010-11-03
JP5338322B2 (ja) 2013-11-13
JP2009198165A (ja) 2009-09-03
JP4433088B2 (ja) 2010-03-17
AU2009203466B2 (en) 2011-12-15
JP2009198166A (ja) 2009-09-03
CN101910743A (zh) 2010-12-08
US8568521B2 (en) 2013-10-29
EP2246638A4 (en) 2013-04-24
US20100287968A1 (en) 2010-11-18
AU2009203466A1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59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1134201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JP4573000B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8523969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9186176A5 (ko)
JP2009150593A (ja) 空気調和装置の掃除ユニット
KR101213289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JP443305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2246639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1104329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06731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48786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21835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3265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9153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