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289B1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289B1
KR101213289B1 KR1020107017545A KR20107017545A KR101213289B1 KR 101213289 B1 KR101213289 B1 KR 101213289B1 KR 1020107017545 A KR1020107017545 A KR 1020107017545A KR 20107017545 A KR20107017545 A KR 20107017545A KR 101213289 B1 KR101213289 B1 KR 10121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nozzle
air
s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184A (ko
Inventor
아끼히꼬 사까시따
요시하루 미찌쯔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실내 팬의 흡입측에 에어 필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먼지 제거부에 의해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는 구성을 얻는다.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51)와, 상기 먼지 제거부(51)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와, 청소기의 노즐(150)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부(110)와,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삽입부(110)를 연통시키는 흡인 통로(95)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 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기의 흡입구에 에어 필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필터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제거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실내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먼지 제거부로서의 흡인 노즐에서 흡인하도록 구성된 것이나, 먼지 제거부로서의 브러시부에 의해 먼지를 긁어 떨어뜨리도록 구성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상자 형상의 케이싱 내에 열교환기나 실내 팬 등의 구성 기기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내 팬의 흡입구에는 에어 필터나 먼지 제거부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실내측은, 실내 패널에 의해 덮어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83612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례예와 같이,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를 구비한 구성에서는, 상기 먼지 제거부에 의해 제거된 먼지를 회수할 필요가 있다. 먼지의 회수 방법으로서는,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용기 내에 포집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고려되지만, 천장에 설치되는 카세트식의 경우에는, 천장의 실내 유닛으로부터 용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용기 내로부터 먼지를 회수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내 팬의 흡입측에 에어 필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먼지 제거부에 의해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는 구성을 얻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3)에서는,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51, 52)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와,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를 흡인 통로(95)를 통하여 연통함으로써, 먼지를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흡인 회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발명에서는, 케이싱(18, 101)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실내측으로 분출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51, 52)와, 상기 먼지 제거부(51, 52)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와,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와,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접속부(121)를 연통시키는 흡인 통로(95)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는, 먼지 제거부(51, 52)에 의해 제거된 후, 상기 먼지 제거부(51, 52)와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를 연통하는 흡인 통로(95)를 통하여,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흡인 회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천장까지 올라가 회수하지 않고,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회수 작업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인 통로(95)는, 상기 먼지 제거부(51, 52)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상기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효율적이면서 확실하게 흡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 포집부(90)와,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하기 위한 먼지 반송 수단(8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제2 발명).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먼지 제거부(51, 52)에 의해 제거된 먼지는,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해 먼지 포집부(90)에 반송되어 저류되기 때문에, 먼지를 회수하는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먼지 포집부(90)를 연통시키는 먼지 반송로(9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먼지 반송로(96)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흡인 통로(95)를 통하여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먼지를 흡인 회수할 때에, 먼지 포집부(90) 내에 포집된 먼지뿐만 아니라,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도 회수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연결되는 먼지 반송로(96)를,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시킴으로써, 청소기의 노즐(150)의 흡인에 의해, 상기 먼지 포집부(90)로부터 먼지 반송로(96), 수납 용기(60, 81) 및 흡인 통로(95)로 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에 저류되어 있거나 막혀 있던 먼지도 확실하게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측과 상기 수납 용기(60, 81)를 연통시키는 분출 공기 통로(89)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먼지 반송로(96)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4 발명).
이와 같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먼지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측과 수납 용기(60, 81)를 연통시키는 분출 공기 통로(89)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먼지 반송로(96)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수납 용기(60, 81)를 통하여 먼지 포집부(90)에 원활하게 흘릴 수 있고,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공기의 유로를,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로부터 먼지 반송로(96)로 공기가 흐르는 반송 유로와, 상기 먼지 반송로(96)로부터 흡인 통로(95)로 공기가 흐르는 흡인 유로로 전환 가능한 유로 전환 수단(82)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5 발명).
이에 의해, 먼지의 반송 유로와 흡인 유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인 통로(95)를 통하여 수납 용기(60, 81) 내 및 먼지 포집부(90) 내의 먼지를 회수하는 경우에,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먼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즉,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 내에 반송할 때의 공기의 흐름과, 상기 먼지 포집부(90) 내로부터 먼지를 흡인 회수할 때의 공기의 흐름은, 먼지 반송로(96)나 수납 용기(60, 81) 내에서 역방향의 흐름이 되므로, 상기 유로 전환 수단(82)에 의해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서로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60, 81)는,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 및 흡인 통로(95)가 접속되는 접속 통로부(81)를 갖고, 상기 유로 전환 수단(82)은, 상기 접속 통로부(81)에 대한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의 연통부와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6 발명).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납 용기(60, 81) 내의 공기의 흐름을 반송 유로와 흡인 유로로 전환하는 상기 제5 발명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95)를 구성하는 흡인 덕트(87)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덕트(87)의 접속 부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7 발명).
이에 의해, 흡인 덕트(87)를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흡인 덕트(87)의 레이아웃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레이아웃을 변경(예를 들어, 흡입 그릴의 방향을 바꾼 경우 등)하여도, 그에 대응하여 상기 흡인 덕트(87)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흡인 덕트(87)에 의해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접속부(121)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8, 101)의 실내측을 덮는 실내측 패널(11)에는, 청소기의 노즐(150)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상기 노즐 삽입부(1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8 발명). 또한,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를 덮는 상부 커버 부재(116) 및 하부 커버 부재(117)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 부재(116)는, 상기 흡인 통로(95)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부 커버 부재(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9 발명).
이에 의해,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내부에 설치되는 노즐 삽입부(110)는, 그 상부 커버 부재(116)가 하부 커버 부재(117)에 대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흡입 그릴의 방향을 바꾼 경우 등, 실내측 패널(11)의 구성을 바꾸어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상기 노즐 삽입부(110)와의 위치 관계를 변경한 경우에도, 상기 흡인 덕트(87)에 의해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접속부(121)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인 덕트(87)와의 수납 용기(60, 81)에 대한 접속 부분이 회전 가능한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접속부(121)를 최단 거리에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흡인 덕트(87)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제거부(51, 52)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를,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와 흡인 통로(95)에 의해 연통시킴으로써,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 회수할 수 있어, 먼지 회수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 포집부(90)와,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하기 위한 먼지 반송 수단(80)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해 먼지 포집부(90)에 저류할 수 있어, 먼지의 회수 빈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회수 작업의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발명에 따르면,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의 먼지 반송로(96)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통로(95)를 통하여 먼지를 흡인 회수할 때에, 먼지 포집부(90) 내에 포집된 먼지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도 회수할 수 있어, 먼지의 회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에 따르면,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측과 연통하는 분출 공기 통로(89)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먼지 반송로(96)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에 원활하게 분출 공기를 흘릴 수 있어,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효율적으로 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공기의 유로를,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로부터 먼지 반송로(96)로의 반송 유로와, 상기 먼지 반송로(96)로부터 상기 흡인 통로(95)로의 흡인 통로로 전환 가능한 유로 전환 수단(8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유로에서 공기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먼지를 반송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먼지를 반송할 수 있음과 함께, 먼지를 회수할 때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로 전환 수단(82)은, 상기 수납 용기(60, 81)의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 및 흡인 통로(95)가 접속되는 접속 통로부(81)에 있어서,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의 연통부와 흡인 통로(95)의 연통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5 발명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인 통로(95)를 구성하는 흡인 덕트(87)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덕트(87)의 접속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덕트(87)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노즐 삽입부(110)의 레이아웃의 변경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8, 제9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설치되어 있는 노즐 삽입부(110)의 상부 커버 부재(116)는, 상기 흡인 통로(95)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하부 커버 부재(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측 패널(11)의 흡입 그릴(12) 등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인 덕트(87)의 접속부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흡인 덕트(87)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배관 계통도.
도 2는 실내 유닛 내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실내 유닛을 각 유닛으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구획판의 통기 구멍, 에어 필터 및 먼지 저류 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에어 필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필터 구동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먼지 제거 수단 및 먼지 저류 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9는 먼지 저류 용기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의 XI-XI선 단면에 있어서, 먼지 제거 동작시 및 브러시 청소 동작시의 회전 브러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입용 덕트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는 먼지 반송 수단의 댐퍼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실내측으로부터 본 화장 패널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6은 댐퍼 박스와 노즐 삽입부의 접속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노즐 삽입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8은 흡입 그릴을 도 16의 경우와는 다른 각도에서 설치한 경우의 (A) 도 16 상당도, (B) 도 17 상당도.
도 19는 노즐 접속부 및 밸브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상부 커버의 핀부 및 하부 커버의 팽출부를 합쳐 도시하는 노즐 삽입부의 확대 단면도.
도 21은 하부 커버의 평면도.
도 22는 노즐 삽입부와 플렉시블 덕트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3은 본체 유닛과 청소 유닛을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청소 유닛 내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5는 청소 유닛 내로부터 에어 필터 및 서비스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실내 유닛(3)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실내 유닛(3)이 실내 공간의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음에 실내 유닛(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 장치(1)는,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실외 유닛(2)에는, 압축기(4), 실외 열교환기(5), 팽창 밸브(6), 4로 전환 밸브(7) 및 실외 팬(8)이 설치되어 있다. 실내 유닛(3)에는, 실내 열교환기(22) 및 실내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 유닛(2)에 있어서, 압축기(4)의 토출측은 4로 전환 밸브(7)의 제1 포트(P1)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4)의 흡입측은 4로 전환 밸브(7)의 제3 포트(P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5)는 크로스 핀식의 핀ㆍ앤드ㆍ튜브형 열교환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5)의 일단부는 4로 전환 밸브(7)의 제4 포트(P4)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5)의 타단부는 액측 폐쇄 밸브(9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실외 팬(8)은, 실외 열교환기(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외 열교환기(5)에서는, 실외 팬(8)에 의해 보내지는 실외 공기와 상기 열교환기(5) 내를 유통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실외 열교환기(5)와 액측 폐쇄 밸브(9a) 사이에는, 개방도 가변의 팽창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4로 전환 밸브(7)의 제2 포트(P2)는 가스측 폐쇄 밸브(9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4로 전환 밸브(7)는, 제1 포트(P1)와 제2 포트(P2)가 서로 연통하고, 또한 제3 포트(P3)와 제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는 제1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와, 제1 포트(P1)와 제4 포트(P4)가 서로 연통하고, 또한 제2 포트(P2)와 제3 포트(P3)가 서로 연통하는 제2 상태(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4로 전환 밸브(7)가 제1 상태인 경우, 난방 운전이 행하여지고, 4로 전환 밸브(7)가 제2 상태인 경우, 냉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난방 운전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5)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22)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이 행하여진다. 한편, 냉방 운전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2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이 행하여진다.
<실내 유닛의 구성>
이하에서, 상기 실내 유닛(3)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유닛(3)은, 상기 실내 팬(21)이나 실내 열교환기(22)를 구비한 본체 유닛(10)과, 상기 본체 유닛(10)의 실내측에 배치된 청소 유닛(100)과, 상기 청소 유닛(100)의 실내측을 덮는 화장 패널(11)(실내측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실내 유닛(3)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상기 본체 유닛(10), 청소 유닛(100) 및 화장 패널(11)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유닛(10)은, 실내를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되는 상자 형상의 본체 케이싱(18)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케이싱(18) 내에는, 실내 팬(21), 실내 열교환기(22), 드레인 팬(23), 벨 마우스(24) 및 전장품 상자(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드레인 팬(23)의 일부 및 벨 마우스(24)의 일부에 의해, 상기 본체 유닛(10)의 본체 케이싱(18)의 하측을 가리는 통풍 구획판이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싱(18)의 내면에는, 단열재(17)가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개구측이 실내측에 위치 부여되도록, 천장 뒤의 천장면으로부터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실내 팬(21)은 소위 터보 팬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팬(21)은, 본체 유닛(10)의 본체 케이싱(18)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화장 패널(11)의 흡입구(13)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실내 팬(21)은, 팬 모터(21a)와 날개차(21b)를 구비하고 있다. 팬 모터(21a)는, 본체 케이싱(18)의 천장판에 고정되어 있다. 날개차(21b)는, 팬 모터(21a)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내 팬(21)의 하측에는, 상기 흡입구(13)에 연통하도록 벨 마우스(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2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유닛(3) 내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2)의 상류측의 공간을 실내 팬(21)측(실내 팬(21)의 분출측)과 흡입 그릴(12)측(실내 팬(21)의 흡입측)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벨 마우스(2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실내 팬(21)에 의해 상기 벨 마우스(24)의 하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기 벨 마우스(24)의 상방에서 둘레 방향으로 분출된다.
또한, 상기 벨 마우스(24) 및 드레인 팬(23)에 의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통풍 구획판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 케이싱(18)의 네 구석 중 하나의 구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4a)가, 후술하는 도입용 덕트(86)의 도입구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개구(24a)는, 청소 유닛(100)이 없는 실내 유닛(3)의 경우(본체 유닛(10)만)에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커버(도시 생략)에 의해 막혀져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2)는, 평면에서 볼 때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18) 내에 상기 실내 팬(2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내 열교환기(22)에서는, 상기 실내 팬(21)에 의해 보내지는 실내 공기(분출 공기)와 상기 열교환기(22) 내를 유통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상기 드레인 팬(23)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23)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22)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레인 팬(23)에는,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도시 생략). 또한, 상기 드레인 팬(23)은, 드레인 펌프를 설치한 개소에 드레인수가 모이도록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장품 상자(20)는, 실내 유닛(3) 내의 실내 팬(21) 등의 구성 부품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각종 전장 부품이 수납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 마우스(24)의 하측이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구에 겹치지 않도록 상기 흡입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장품 상자(20)는, 상기 벨 마우스(24)에 형성된 개구(24a)에 대하여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구를 사이에 끼워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 유닛(100)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챔버 케이싱(101) 내에, 원형 형상의 에어 필터(30), 먼지 제거 수단(50), 먼지 반송 수단(80), 먼지 포집 상자(90)(먼지 포집부) 등이 배치된 것이다. 즉, 상기 청소 유닛(40)은,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에어 필터(30)에 부착된 먼지를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제거함과 함께, 제거한 먼지를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반송하고,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 케이싱(101)은, 상기 본체 유닛(10)의 본체 케이싱(18)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싱(18)과의 사이에 시일 부재(102)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18)의 실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챔버 케이싱(101)의 실내측에는, 시일 부재(103)를 사이에 끼워 화장 패널(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챔버 케이싱(101)에는, 각 변을 따르도록 공기 통로(101a)가 4개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기 통로(101a)는, 상기 본체 유닛(10)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2)의 외측에 형성되는 본체 케이싱(18) 내의 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2)에서 냉매와 열교환을 한 후의 공기가 실내측을 향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챔버 케이싱(101)의 공기 통로(101a) 내를 흐른 공기는, 상기 화장 패널(11)에 형성된 분출구(14)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케이싱(10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101a)의 내측을 형성하는 부분은, 시일 부재(104)를 개재하여 상기 본체 유닛(10)의 드레인 팬(23)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상기 화장 패널(11)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 패널(11)은, 그 평면에서 본 형상이, 본체 유닛(10)의 본체 케이싱(18)이나 청소 유닛(100)의 챔버 케이싱(101)의 평면에서 본 형상보다도 훨씬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 패널(11)은, 시일 부재(103)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챔버 케이싱(101)의 하측을 가리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화장 패널(11)은, 도 3에 도시한 상태에서 실내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 패널(1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흡입구(13)와 4개의 분출구(14, 1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13)는, 화장 패널(11)의 중앙부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슬릿부(12a)를 갖는 흡입 그릴(12)이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각 분출구(14)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청소 유닛(100)의 공기 통로(101a, 101a, …)에 대응하여 상기 화장 패널(11)의 각 변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출구(14)에는, 풍향 조정판(15)이 설치되어 있다(도 2 등 참조). 이 풍향 조정판(15)은, 회전하여 풍향(분출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 그릴(12)은, 그 중앙 부분에 슬릿 형상의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슬릿부(12a)를 갖는 커버 부재이며, 상기 화장 패널(11)의 흡입구(13)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 그릴(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의 노즐(150)을 삽입하기 위한 노즐 삽입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청소 유닛(100)의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를 청소기에 의해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의 노즐(150)을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장 패널(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유닛(100)의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저류된 경우나,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에어 필터(3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고 있는 경우 등에 점등하는 LED(16)가 설치되어 있다.
<청소 유닛의 구성>
다음에, 상기 청소 유닛(100) 내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유닛(100)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챔버 케이싱(101) 내에, 에어 필터(30), 먼지 제거 수단(50), 먼지 반송 수단(80), 먼지 포집 상자(90) 및 전장품 상자(105) 등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본체 유닛(10)의 실내 팬(21)의 흡입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 필터(30)를 청소하기 위한 유닛이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100)에는, 상기 벨 마우스(24)의 하방을 덮도록 구획판(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판(25)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 마우스(24)와 상기 흡입 그릴(12)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있다. 즉, 상기 구획판(25)은, 실내 열교환기(22)의 상류측 공간을 벨 마우스(24)를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22)측과 흡입 그릴(12)측으로 구획하고 있다.
상기 구획판(25)의 중앙에는, 도 2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벨 마우스(24)로 유입하기 위한 통기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26)은, 원형 구멍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직경 방향 빔부(27)에 의해 내부가 부채형으로 구획되어 있다. 각 직경 방향 빔부(27)는, 서로 상기 통기 구멍(26)의 원 중심에서 연결되어 있고, 그 부분에 원통 형상의 필터 회전축(28)(회전축부)이 하방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필터 회전축(28)은, 상기 에어 필터(30)가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이다. 또한, 상기 직경 방향 빔부(27) 중 하나에는, 상기 에어 필터(30)를 먼지 제거 수단(50)의 회전 브러시(51)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누르기 위한 필터 가압부(29)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25)의 통기 구멍(26)의 측방에는, 상기 통기 구멍(26)과 연결되도록 서비스 구멍(2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서비스 구멍(25a)을 막도록 서비스 덮개(106)가 배치되어 있다(도 24 및 도 25 참조).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는, 구획판(25)의 통기 구멍(26)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벨 마우스(24) 및 통기 구멍(26)보다도 대직경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 필터(30)는, 환상의 필터 본체(31)와 메쉬 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필터 본체(31)의 외주면에는, 기어부(32)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필터 본체(31)의 중심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6개의 직경 방향 리브(34)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 형상의 축 삽입 관통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직경 방향 리브(34)는, 축 삽입 관통부(3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 본체(3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본체(31)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본체(31)와 동심으로 배치된 환상의 내측 둘레 방향 리브(35) 및 외측 둘레 방향 리브(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둘레 방향 리브(36)는, 내측 둘레 방향 리브(35)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 삽입 관통부(33)는, 그 삽입 관통 구멍(33a)의 내경이 상기 구획판(25)에 형성된 필터 회전축(28)이나, 후술하는 고정 나사(28a)의 헤드부(28b)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 부재(37)는, 필터 본체(31)의 내측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4)로 유입된다. 그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상기 메쉬 부재(37)에 포착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필터(30)는, 상술한 필터 가압부(29)가 환상의 각 둘레 방향 리브(35, 36)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가 후술하는 먼지 제거 수단(50)의 회전 브러시(51)에 가압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한 먼지의 제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는, 축 삽입 관통부(33)가 구획판(25)의 필터 회전축(2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상기 에어 필터(30)의 하방에는, 먼지 제거 수단(50)의 먼지 저류 용기(6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필터(30)가 필터 회전축(28)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의 필터 설치부(68)와 구획판(25)의 필터 회전축(28)이 고정 나사(28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판(25)과 먼지 저류 용기(60) 사이에 에어 필터(30)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상기 에어 필터(30)의 근방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필터 구동 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구동 수단(4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구동 모터(41) 및 리미트 스위치(44)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구동 모터(41)의 구동축에는, 구동 기어(4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42)가 에어 필터(30)의 기어부(32)와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42)의 일단부면(도면의 예에서는 하면)에는, 돌기인 스위치 작동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작동부(43)는, 구동 기어(42)의 회전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44a)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이 레버(44a)가 동작하면, 그것을 리미트 스위치(44)가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 작동부(43) 및 리미트 스위치(44)는, 상기 구동 기어(42)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구동 기어(42)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을 동작시키는 시기를 검출하거나, 상기 구동 기어(42)가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의 이상 검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 청소 유닛(100) 내에 설치된,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 저류량 검출 수단(70), 먼지 반송 수단(80) 및 먼지 포집 상자(90)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먼지 제거 수단(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부재인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먼지 제거부)와, 브러시 구동 수단(53)과, 제거한 먼지를 모아 두기 위한 먼지 저류 용기(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브러시용 개구(6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51a)와, 상기 샤프트(51a)의 외주면에 설치된 브러시(5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브러시(51b)는, 복수의 식모(植毛)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51b)는, 샤프트(51a) 외표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에, 상기 샤프트(51a)의 축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는, 회전 브러시(51)의 일측에, 상기 회전 브러시(51)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는, 본체부(52a)와, 브러시(52b)와, 스프링부(52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52a)는,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에 대응하여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2a)는, 회전 브러시(51)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52a)의 상부는,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52a)의 원호 형상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부(52a)의 길이 방향에 걸쳐 브러시(5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52c)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의 단부가 상기 본체부(52a)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의 단부가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의 내벽에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부(52a)는, 그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부(52c)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는, 각각, 원형 형상의 에어 필터(30)의 반경과 동등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에어 필터(30)의 원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상기 에어 필터(3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회전하는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에 브러시(51b)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메쉬 부재(37)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구동 수단(53)에 의해 가역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브러시 구동 수단(5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구동 모터(54)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55) 및 종동 기어(5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어(55)는 브러시 구동 모터(54)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종동 기어(56)는 회전 브러시(51)의 샤프트(51a)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브러시 구동 모터(54)의 회전이 구동 기어(55) 및 종동 기어(56)를 통하여 회전 브러시(51)에 전달되고, 상기 회전 브러시(51)가 회전 구동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회전 브러시(51)가 브러시 구동 수단(53)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접촉하고,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로부터 먼지가 제거된다. 즉,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는, 회전 브러시(51)로부터 먼지를 제거하여 상기 회전 브러시(51)를 청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브러시 구동 수단(53)은,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된 먼지를 상기 청소 브러시(52)에 문지르도록 상기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각 브러시(51b, 52b)는, 소위 파일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일 직물은, 기포(foundation cloth)에 털(파일사)이 짜 넣어져 이루어지는 유모 섬유이며, 털의 길이가 비교적 짧다. 또한, 이 파일 직물은, 털 배열이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 파일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브러시(51)에서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은, 도 10에 있어서 샤프트(51a)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즉, 이 브러시(51b)의 털 배열은, 에어 필터(30)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에어 필터(30)가 브러시(51b)의 털 배열에 대향하도록 회전하면, 메쉬 부재(37)에 포착된 먼지가 효율적으로 긁어내어진다.
또한, 청소용 브러시(52)에서의 브러시(52b)의 털 배열은, 도 10에 있어서 본체부(52a)로부터 비스듬하게 하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즉, 이 브러시(52b)의 털 배열은, 회전 브러시(51)가 상기 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그 회전 방향에 대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 브러시(51)가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의 털 배열에 대향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먼지 제거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는,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모아 일시적으로 저류하기 위한 것이다. 이 먼지 저류 용기(60)는, 측면에서 보아(도 8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본 경우)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에 대하여 우측방으로 팽출된, 약간 역 く자(字)로 굴곡되어 있는 기둥 형상의 용기이다.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는, 상측 부분이 에어 필터(30)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 브러시(51) 등이 배치되는 제거부(61)이며, 하측 부분이 상기 회전 브러시(51)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된 먼지를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62)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거부(61)의 상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브러시용 개구(63)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브러시용 개구(63) 내에 먼지 제거 수단(50)의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61)의 일측면에는, 상술한 필터 설치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필터 설치부(68)의 구성이나 에어 필터(30)와의 접속 구조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저류부(62)는, 단면에서 보아 하단부측(바닥부측)이 원호 형상으로 팽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저류부(62)의 원호부에는,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로부터 제거된 먼지가 낙하하여 저류된다. 또한, 상기 저류부(6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부(66, 67)가 개구되어 있다. 이 저류부(62)의 제1 단부(66)에는,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댐퍼 박스(81)가 접속되고, 제2 단부(67)에는,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의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에는, 저류부(62)에 저류된 먼지량을 검출하기 위한 저류량 검출 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저류량 검출 수단(70)은, 센서 박스(71) 내에 수납된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 박스(71)는,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의 제2 단부(67) 근처에, 상기 저류부(62)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바닥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5, 도 8, 도 9 참조). 상기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는, 상기 센서 박스(71) 내에, 상기 저류부(62)를 그 횡단 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대향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저류부(62)의 벽면에는, 상기 발광 LED(72) 및 포토 트랜지스터(73)에 각각 대응하여, 제1 투명창(64) 및 제2 투명창(65)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저류량 검출 수단(70)에 있어서, 발광 LED(72)에서 발생한 광은, 제1 투명창(64) 및 제2 투명창(65)을 순서대로 투과한 후,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광도가 검출된다. 이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된 광도에 따라, 저류부(62)에서의 먼지의 저류량(즉, 충전도)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먼지의 저류량이 적으면, 상기 저류부(62)에 있어서 제1 투명창(64)으로부터 제2 투명창(65)으로의 광의 투과율이 높아지고,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되는 광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먼지의 저류량이 많으면, 상기 저류부(62)에 있어서 제1 투명창(64)으로부터 제2 투명창(65)으로의 광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되는 광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이 저류량 검출 수단(70)에 따르면, 예를 들어 광도가 소정값 이하가 되면, 저류부(62)의 저류량이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해 저류부(62) 내의 먼지를 반송하는 먼지 반송 동작을 행한 후에도, 상기 저류량 검출 수단(70)에 의해 상기 저류부(62) 내의 먼지의 저류량이 많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먼지의 반송처인 먼지 포집 상자(90) 내가 가득 찼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류량 검출 수단(70)을, 반송용 덕트(88)에 연결되는 상기 저류부(62)의 제2 단부(67) 근처에 설치함으로써, 먼지가 상기 반송용 덕트(88) 내에 반송되어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모여질 때, 상기 제2 단부(67)에서 먼지가 막힌 경우에도, 그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반송용 덕트(88)와의 접속 부분인 상기 저류부(62)의 제2 단부(67) 주변에서 가장 먼지가 막히기 쉬워지지만, 이 부분에 상기 저류량 검출 수단(70)을 설치함으로써, 먼지의 막힘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가 후술하는 먼지 반송 수단(80)에 의해 반송되어 저류되는 것이다. 이 먼지 포집 상자(90)는, 예를 들어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와 마찬가지로 구획판(2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평면에서 볼 때 에어 필터(30)와 겹치지 않도록, 상기 에어 필터(30)의 측방이고, 또한 상기 구획판(25)의 일단부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상기 댐퍼 박스(81)에 대하여, 에어 필터(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이고, 또한 상기 본체 유닛(10)의 전장품 상자(20) 및 서비스 덮개(106)의 하방에 배치된다(도 23 내지 도 25 참조).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상기 에어 필터(30)와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필터(30)측의 측판이, 상기 에어 필터(30)의 외주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한쪽의 단부(일측부)의 측면에 유입구(9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94)에 상기 반송용 덕트(88)의 타단부측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다른쪽의 단부(타측부)는, 청소 유닛(100)의 챔버 케이싱(101)을 관통하고 있고, 그 단부면에는 상기 케이싱(101)의 외측으로 개구하는 배기구(9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기구(9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는, 배기구(91)측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단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 4에 있어서, 도면 부호 93은,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챔버 케이싱(101)을 관통하는 부분을, 케이싱 내측으로부터 시일하는 시일 부재이다.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는, 상기 배기구(91) 근처에 필터(9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92)를 설치함으로써,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먼지를 반송할 때에, 공기는 배기구(91)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반송된 먼지는 상기 필터(92)에 포착되어 배기구(91)로부터 유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청소기에 의한 흡인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로부터 먼지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구(91)를 통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유입하지만, 유입한 공기 중의 먼지는 상기 필터(92)에 의해 포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구(91)에 의한 급배기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압력 밸런스가 적절해지므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대한 먼지의 반송 동작 및 배출 동작이 적절하게 행하여진다.
상기 전장품 상자(105)는, 청소 유닛(100) 내의 필터 구동 수단(40)이나, 먼지 제거 수단(50), 먼지 반송 수단(80) 등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전자 부품 등이 수납된 것으로, 내부의 전장 부품은, 상기 본체 유닛(10)의 전장품 상자(20) 내의 전장 부품과 신호선 등에 의해 신호의 수수가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장품 상자(10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유닛(100)의 구획판(25)의 하방에,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가 배치되는 변과 인접하는 변이고, 또한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에 접속되는 댐퍼 박스(81)와는 에어 필터(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보수시에 상기 청소 유닛(100)의 구획판(25)에 설치된 서비스 덮개(106)나 에어 필터(30)를 제거할 때,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를 회전시켜도 전장품 상자(105)가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와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구조>
다음에,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회전 구조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먼지 저류 용기(60)는, 제1 단부(66)에서 댐퍼 박스(8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댐퍼 박스(81)의 상면에는, 도입용 덕트(86)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81) 내의 제1 실(81a)에 연통되어 있다. 이 도입용 덕트(86)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유닛(100)과 본체 유닛(10)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25)을 관통하도록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본체 유닛(10)의 드레인 팬(23)의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입용 덕트(86)는, 원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상류측 덕트(86a) 및 하류측 덕트(86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2개의 부재(86a, 86b)가 고정 나사(86c)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류측 덕트(86a)는, 그 횡단면적(유로 면적)이 상기 하류측 덕트(86b)의 횡단면적(유로 면적)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하류측 덕트(86b)의 하단부(도 12에서의 하측)는, 댐퍼 박스(81)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상기 상류측 덕트(86a)의 상단부(도 12에서의 상측)는, 드레인 팬(23)의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에 시일 부재(86e)를 개재하여 접촉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23)의 연장부에는, 관통 구멍인 도입구(86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류측 덕트(86a)는, 이 도입구(86d)를 통하여 실내 팬(21)측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류측 덕트(86a)에는, 그 하부가 상부보다도 소직경이 되도록 단차부(86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류측 덕트(86b)는, 그 상부에 외측을 향하여 넓혀지는 플랜지부(86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류측 덕트(86a)의 단차부(86f)와 상기 하류측 덕트(86b)의 플랜지부(86g)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86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류측 덕트(86b)의 플랜지부(86g)의 상면에는,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나사(86c)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설치부(86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류측 덕트(86a)의 단차부(86f)와 상기 하류측 덕트(86b)의 플랜지부(86g) 사이의 외주 부분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 내에 상기 구획판(25)의 개구 주연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상류측 덕트(86a) 및 하류측 덕트(86b)는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도입용 덕트(86)가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구획판(25)의 개구 주연부를 끼워 넣으면서,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상단부를 벨 마우스(24)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류측 덕트(86a)의 단차부(86f)와 하류측 덕트(86b)의 플랜지부(86g) 사이에서 구획판(25)의 개구 주연부를 끼워 넣도록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상류측 덕트(86a)와 하류측 덕트(86b)의 연결 부분이 구획판(2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상류측 덕트(86a)와 상기 시일 부재(86e)의 접촉 부분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입용 덕트(86), 댐퍼 박스(81) 및 먼지 제거 수단(50)은, 도입용 덕트(86)의 축심(도입구)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을, 상기 에어 필터(30)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위치(도 23 참조)와,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 필터(30)에 겹치지 않도록 하는 유지 보수 위치(도 24 참조)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상류측 덕트(86a)의 단차부(86f)의 외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6i)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25)의 상면이고, 또한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먼지 제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돌출부(86i)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5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86i, 25b)는,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유지 보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86i, 25b)끼리는,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먼지 제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상하로 접촉하는(도 13의 (A) 참조) 한편,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유지 보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도 13의 (B) 참조)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먼지 제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상기 구획판(25)에 대하여 돌출부(25b)의 돌출 높이분만큼 들어 올려져,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에어 필터(30)의 하면에 가압된다. 한편,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유지 보수 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먼지 제거 위치의 경우보다도 하방에 위치 부여되고,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은 상기 에어 필터(30)의 하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에어 필터(30)에 대한 높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유지 보수 위치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어 필터(30)와 겹치는 위치인 경우에는,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을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 부여함으로써, 상기 에어 필터(30)를 탈착할 때에, 상기 에어 필터(30)가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필터(30)의 유지 보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돌출부(86i, 25b)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유지 보수 위치일 때에 서로 대향하는 측의 단부가, 상기 돌출부(86i, 25b)의 연장 설치 방향의 선단을 향하여 서서히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입용 덕트(86)가 회전하여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이 먼지 제거 위치 또는 유지 보수 위치로 전환될 때에, 상기 돌출부(86i, 25b)는 원활하게 접촉 또는 이격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먼지 제거 수단(50)을 원활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 필터의 설치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 유닛(100)에 먼지 제거 수단(50) 등을 회전시키는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유지 보수시에 에어 필터(3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필터 설치 구조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저류 용기(60)의 제거부(61)의 일측면에, 에어 필터(30)를 설치하기 위한 필터 설치부(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 설치부(68)는, 저류부(62)보다도 측방으로 팽출한 제거부(61)의 팽출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필터 설치부(68)에는, 상기 팽출 방향으로 개구하는 슬릿부(6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부(68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폭 치수가 구획판(25)의 필터 회전축(28)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나사(28a)의 나사부(28c)의 직경보다도 크고, 상기 필터 회전축(28)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설치부(68)와 구획판(25)의 직경 방향 빔부(27) 사이에 에어 필터(30)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28a)를 필터 회전축(28)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에어 필터(30)를 필터 설치부(68) 및 구획판(25)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30)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 고정 나사(28a)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슬릿부(68a)가 형성된 필터 설치부(68)를 갖는 먼지 저류 용기(60)를 상기 제거부(61)의 팽출 방향과는 반대측(필터 설치부(68)의 개구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터 회전축(28)에 고정 나사(28a)의 선단부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에어 필터(30)의 하측의 가압부인 상기 필터 설치부(68)만을 상기 에어 필터(30)의 축 삽입 관통부(33)의 하방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 필터(30)의 축 삽입 관통부(33)는, 그 내경이 상기 구획판(25)의 필터 회전축(28)이나 고정 나사(28a)의 헤드부(28b)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 필터(30)를 하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에어 필터(30)의 설치 구조로 함으로써, 유지 보수시에는, 상기 고정 나사(28a)를 제거하지 않고, 용이하게 에어 필터(30)를 제거할 수 있다.
<먼지 반송 수단>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예를 들어 도 4, 도 5, 도 8,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댐퍼 박스(81) 및 반송용 덕트(88)와, 도입용 덕트(86)와, 흡인용 덕트(87)(흡인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댐퍼 박스(8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이 상기 저류부(62)의 제1 단부(66)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댐퍼 박스(81)와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에 의해 본 발명의 수납 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댐퍼 박스(81)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덕트(86, 87, 88)가 접속되는 접속 통로부가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 내에는, 개폐 부재로서의 댐퍼(82)(유로 전환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82)가 폐쇄되면, 댐퍼 박스(81)의 내부 공간이 그 길이 방향으로 구획된다. 즉, 댐퍼 박스(81)의 내부 공간은, 상기 댐퍼(82)에 의해, 타단부측의 제1 실(81a)과 일단부측인 먼지 저류 용기(60)측의 제2 실(81b)로 구획된다. 상기 댐퍼 박스(81)의 일단부측에 구획 형성되는 상기 제2 실(81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류부(62)의 제1 단부(66)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실(81b)과 저류부(62)가 연통되어 있다.
도 9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댐퍼(82)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댐퍼 구동 모터(83)와 구동 기어(84)와 종동 기어(8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 기어(84)는 댐퍼 구동 모터(83)의 구동축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종동 기어(85)는 댐퍼(82)의 회전축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동 기어(84) 및 종동 기어(85)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댐퍼 구동 모터(83)의 회전은, 각 기어(84, 85)를 통하여 댐퍼(82)의 회전축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댐퍼 구동 모터(8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댐퍼(8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 동작이 행하여진다.
상기 도입용 덕트(86)는, 그 일단부측이 상기 댐퍼 박스(81)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더스트 박스(81) 내의 제1 실(81a)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타단부측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박스(81)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청소 유닛(100)과 본체 유닛(10)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25)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 유닛(10)의 드레인 팬(23)의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23)의 연장부에는, 관통 구멍인 도입구(8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입구(86d)를 통하여, 도입용 덕트(86)가 실내 팬(21)측의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즉, 이 도입용 덕트(86)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댐퍼 박스(81) 내로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입용 덕트(86) 내에는, 분출 공기 통로(89)가 형성되고,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더스트 박스(81)의 내부는 상기 분출 공기의 통풍로가 된다. 또한,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회전 구조의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흡인용 덕트(87)는, 예를 들어 도 14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측인 일단부가 상기 댐퍼 박스(81)의 일단부측(상기 도입용 덕트(86)와 먼지 저류 용기(60) 사이)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댐퍼 박스(81) 내의 제2 실(81b)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인용 덕트(87)의 유출측인 타단부는, 화장 패널(11)에 형성된 노즐 삽입부(1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노즐 삽입부(110)는, 청소기의 노즐(150)을 삽입하여 흡인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흡인용 덕트(87) 내에는, 흡인 통로(95)가 형성되고, 상기 흡인 통로(95) 내를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흡인되는 먼지 및 공기가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인용 덕트(87)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접속관(87a)(접속 부분)과, 상기 접속관(87a)과 상기 화장 패널(11)의 노즐 삽입부(110)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덕트(87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관(87a)의 기단부측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원형 형상의 플랜지부(87c, 87d)가 한쌍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부(87c, 87d)의 사이에, 상기 댐퍼 박스(8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81c)의 주연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댐퍼 박스(81)에 대하여, 상기 접속관(87a)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에 접속되는 접속관(87a)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접속관(87a)과 상기 노즐 삽입부(110)를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덕트(87b)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상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유닛(3)을 설치할 때에 하면에서 보아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의 방향이 바뀐 경우에도, 상기 댐퍼 박스(81)와 노즐 삽입부(110)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삽입부(11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댐퍼 박스(81)와 상기 노즐 삽입부(110)를 플렉시블 덕트(87b)에 의해 최단 거리에서 접속할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면서, 상기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의 방향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자유롭게 바꾸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반송용 덕트(88)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먼지 저류 용기(60)에서의 저류부(62)의 제2 단부(67)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후술하는 먼지 포집 상자(90)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반송용 덕트(88)에 의해,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와 먼지 포집 상자(90)를 연통시킬 수 있고, 상기 반송용 덕트(88) 내에서의 먼지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반송용 덕트(88) 내에는, 먼지 반송로(96)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 반송로(96) 내를 먼지가 반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반송용 덕트(88)는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용 덕트(88)는, 먼지 저류 용기(60)에 대하여, 상기 도입용 덕트(86)나 흡인용 덕트(87)의 접속 부분(연통부)과는 반대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먼지를 반송할 때에는, 상기 도입용 덕트(88)를 통하여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원활하게 먼지 저류 용기(60) 및 반송용 덕트(88) 내에 도입할 수 있음과 함께, 먼지의 회수시에는,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뿐만 아니라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도 함께 흡인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먼지를 반송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반송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먼지를 회수할 때에는 효율적으로 먼지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먼지 반송 수단(80)에 있어서, 냉난방을 행하는 통상 운전의 경우, 상기 댐퍼 박스(81)의 댐퍼(82)는 폐쇄되어 있다(도 14의 (A) 참조). 이에 의해,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댐퍼 박스(81)의 제2 실(81b)로 도입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개방된다(도 14의 (B) 참조). 이에 의해,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도입용 덕트(86) 및 댐퍼 박스(81)를 통하여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로 도입하는 반송 유로가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는, 도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반송용 덕트(88)를 흘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로 반송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 내의 댐퍼(82)를 개방함으로써,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를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로부터 배출하여 소정 위치까지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에서는,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포집된 먼지를 케이싱(101) 밖으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상기 댐퍼 박스(81)의 댐퍼(82)는 폐쇄되어 있다(도 14의 (C) 참조). 이 경우에는, 흡인 유로가 형성되고, 청소기에 의해 노즐 삽입부(110)로부터 흡인함으로써,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반송용 덕트(88), 댐퍼 박스(81) 및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청소기에 흡인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에 있어서, 도입용 덕트(86)의 접속 위치와 흡인용 덕트(87)의 접속 위치 사이에, 개폐 부재로서의 댐퍼(82)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82)를 개폐시킴으로써, 반송 유로와 흡인 유로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노즐 삽입부>
다음에, 상기 흡인용 덕트(87)가 접속되는 노즐 삽입부(110)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2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흡입 그릴(12)에는, 그 한변에 화장 패널(11)과의 접속부인 힌지부(12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힌지부(12c)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흡입 그릴(12)의 한변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 삽입부(110)를, 상기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 외측의 힌지부(12c)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노즐 삽입부(110)를 흡입 그릴(12)의 그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노즐 삽입부(110)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덕트(87b)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그릴(12)을 개방할 때에, 상기 노즐 삽입부(110)가 상기 흡입 그릴(12)의 힌지부(12c)측에 위치하고 있는 쪽이 상기 댐퍼 박스(81)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필요한 플렉시블 덕트(87b)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삽입부(110)를 흡입 그릴(12)의 폭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12)의 설치 위치를 바꾼 경우(도 16 및 도 18의 (A) 참조)에도, 상기 댐퍼 박스(81)로부터 노즐 삽입부(110)의 길이를 동일 정도로 할 수 있고, 상기 노즐 삽입부(110)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덕트(87b)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12)의 천장 이측에 설치된 상자 형상의 커버 부재(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 부재(11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커버(116)(상부 커버 부재)와 하방으로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커버(117)(하부 커버 부재)가 상하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 커버(116) 내에는 제1 공간(114)이, 상기 하부 커버(117) 내에는 제2 공간(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116)는,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하면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116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부 커버(117)의 상면에는, 상기 개구(116a)의 주연부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11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117a)에 대하여 상기 개구(116a)의 주연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커버(116)가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커버(117)의 결합부(117a)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개구(116a)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11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117b)와, 그 돌출 단부측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설치된 팽출부(117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팽출부(117c)와 상기 하부 커버(117)의 상면 사이에, 상기 상부 커버(116)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116a)의 주연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6)를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 커버(116)는, 폭 방향(도 17에 있어서 종이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상부 커버(116)를 부착할 때에는, 상기 하부 커버(117)의 결합부(117a)를 끼워 넣도록 부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16)와 하부 커버(117)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의 방향을 변경한 경우에도,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16)를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흡인용 덕트(87)를 가능한 한 짧은 거리에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6)의 측면 중 하나는, 상방을 향할수록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에는,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덕트용 개구(116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덕트용 개구(116b)에 상기 흡인용 덕트(87)의 플렉시블 덕트(87b)의 타단부측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덕트용 개구(116b)는, 상부 커버(116)의 내측으로부터 밸브체(126)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 밸브체(126)는, 그 상단부에서 상기 상부 커버(1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부 커버(116) 내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26a)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6a)는 피스톤 부재(120)의 일부와 접촉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126)는 상기 피스톤 부재(1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 그릴(12)에는, 상기 하부 커버(117)에 대응하여, 개구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2b) 내에는, 2매의 판 형상의 덮개 부재(112, 112)(커버)가 병설되어 있고, 이들 덮개 부재(112, 112)가 개구부(12b)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 테두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하부 커버(117)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덮개 부재(112)는, 개구부(12b)에, 상방을 향하여 양쪽으로 열려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112)의 회전 중심측과 상기 하부 커버(117)의 내면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부재(113)에 의해 상기 덮개 부재(112)는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도 17의 (A)와 같이 청소기의 노즐(15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 부재(112)를 항상 폐쇄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실내측으로부터 노즐 삽입부(110)의 내부가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먼지가 실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17)의 결합부(117a)에서의 원통 형상의 본체부(117b)의 내측은, 후술하는 피스톤 부재(120)의 노즐 접속부(121)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117d)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결합부(117a)의 본체부(117b)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 접속부(121), 즉 피스톤 부재(120)를 원활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120)는,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와,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상측에 상기 노즐 접속부(121)와 일체 형성된 축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상측이 평판부(121a)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 노즐 접속부(121)의 돌출 단부에는 구멍부(1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면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청소기의 노즐(150)에서도,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켜, 상기 구멍부(121b)를 통하여 먼지를 흡인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단부측(도면 중의 상측)의 일부에, 개구부(1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21c)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반구 형상 부분의 기단부측으로부터 평판부(121a)의 일부에 걸쳐,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121c)의 좌우에는, 상기 평판부(121a)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부(12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부(121d)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덕트용 개구(116b)를 커버 내측으로부터 덮는 밸브체(126)에 형성된 돌출부(126a)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밸브체(126)의 돌출부(126a)는, 상기 밸브체(126)의 폭 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상승하면,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접촉부(121d)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26)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121d)는, 상기 상부 커버(116)가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상부 커버(116)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6)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피스톤 부재(120)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122)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평판부(121a) 상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122)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116c) 내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노즐 접속부(121)를 상하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122)의 외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6c)의 하단부와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평판부(121a)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스프링 부재(1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25)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를 하방(최하점)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청소기의 노즐(150)이 가압된 경우에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상기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평판부(121a)의 외주부가 하부 커버(117)의 결합부(117a)의 팽출부(117c)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대하여, 청소기의 노즐(150)을 하방으로부터 가압하면,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상기 스프링 부재(12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형성된 개구부(121c)의 전체가 상부 커버(116) 내의 제1 공간(114)을 향하여 개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개구부(121c)의 좌우에 설치된 접촉부(121d)가, 상부 커버(116)의 덕트용 개구(116b)를 커버 내측으로부터 덮는 밸브체(126)의 돌출부(126a)를 밀어 올리고, 이에 의해, 상기 밸브체(126)를 개방 상태로 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덕트용 개구(116b)를 통하여 흡인용 덕트(87)와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내부 공간이 연통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내부 공간이,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형성된 개구부(121c), 상부 커버(116) 내의 제1 공간(114), 흡인용 덕트(87), 댐퍼 박스(81), 먼지 저류 용기(60) 및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먼지 포집 상자(90)의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청소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청소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저류된 먼지가, 반송용 덕트(88), 먼지 저류 용기(60), 댐퍼 박스(81), 흡인용 덕트(87), 커버 부재(111)의 제1 공간(114), 노즐 접속부(121)를 통하여 청소기의 노즐(150)에 흡인된다.
한편, 상기 노즐 접속부(121)가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밀어 올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상기 스프링 부재(12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용 개구(116b)의 밸브체(126)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의 접촉부(121d)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 않고, 상기 덕트용 개구(116b)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노즐 접속부(121)와 흡인용 덕트(87)는 비연통 상태가 되어, 먼지가 실내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117)의 내부의 측면 및 상면에는, 청소기의 노즐(150)을 상기 노즐 접속부(121)에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노즐 가이드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 가이드부(118)는, 상기 하부 커버(117)의 내부의 측면과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 커버(117)의 상면의 각 변에 대하여,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삽입부(110)의 하부 커버(117)의 팽출부(117c)는, 둘레 방향의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팽출부(117c)는, 외경이 큰 대경부(117e)과 외경이 작은 소경부(117f)로 이루어진다(도 21 참조). 한편, 상부 커버(116)의 저면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위치가 하부 커버(117)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팽출부(117c)의 대경부(117e)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소경부(117f)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핀부(116d)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116)가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하면, 상기 상부 커버(116)의 핀부(116d)가 하부 커버(117)의 소경부(117f)와 대경부(117e)의 단차 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도 21 참조). 즉, 상기 상부 커버(116)의 핀부(116d)가 하부 커버(117)의 결합부(117a)를 구성하는 팽출부(117c)의 소경부(117f)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은 허용되는 한편, 상기 핀부(116d)가 하부 커버(117)의 팽출부(117c)의 소경부(117f)와 대경부(117e)의 단차부에 접촉하면,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이 규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 삽입부(110)의 상부 커버(116)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116)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덕트(87b)가 굴곡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흡입 그릴(1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 삽입부(110)의 상부 커버(116)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 그릴(12)을 폐쇄하면, 상기 상부 커버(116)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덕트(87b)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하면,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 내의 공기나 먼지의 흐름이 크게 저해됨과 함께,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에 손상을 줄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 범위를, 상기 흡입 그릴(12)을 폐쇄하여도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각도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가 굴곡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0의 구성의 경우, 상기 노즐 삽입부(110)가 흡입 그릴(12)의 힌지부(12c)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커버(116)의 회전 범위는, 상기 힌지부(12c)가 설치된 흡입 그릴(12)의 한변에 대하여 상부 커버(116)의 덕트용 개구(116b)가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60도에서부터 -60도(합계 120도)를 제외한 범위로 설정된다. 즉, 상기 상부 커버(116)는, 흡입 그릴(12)의 힌지부(12c)가 설치되어 있는 변과는 반대측의 180도에 추가하여, 그 범위로부터 양방향으로 30도씩 더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16)를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116)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 커버(116)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덕트(87b)를 청소 유닛(100) 내에 억지로 밀어 넣을 수 있어,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에 방해되지 않고 상기 흡입 그릴(12)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삽입부(110)와 플렉시블 덕트(87b)의 접속부(131)에 있어서, 상기 노즐 삽입부(110)의 상부 커버(116)에 제1 접속부(132)를 설치하는 한편, 그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의 단부에 제2 접속부(133)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접속부(132)와 제2 접속부(133)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1 접속부(132)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의 외주면 상에 전체 둘레에 걸쳐 팽출하는 팽출부(132a)가 형성된 것으로, 이 팽출부(132a)에 후술하는 제2 접속부(133)의 결합부(133c)가 결합한다.
상기 제2 접속부(133)는, 상기 제1 접속부(132)보다도 대직경인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33a)를 구비하고 있고, 그 외주면 상에 갈고리부(133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부(133b)는,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의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부(132)의 팽출부(132a)와 결합하는 원통 형상의 결합부(133c)와, 상기 결합부(133c)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상의 레버부(133d)와, 상기 결합부(133c) 및 레버부(133d)를 그 중간 부분에서 상기 본체부(133a)와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탄성 변형부(133e)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레버부(133d)는, 선단측을 향할수록 직경 방향 외측으로 위치 부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부(133d)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부(133e)가 변형을 발생시켜, 상기 레버부(133d)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결합부(133c)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부(133d)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탄성 변형부(133e)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133c)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접속부(133)의 결합부(133c)를 상기 제1 접속부(132)의 팽출부(132a)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33c)가 팽출부(132a)에 접촉하면, 상기 결합부(133c)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변형부(133e)가 탄성 변형을 발생시켜 상기 결합부(133c)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켜, 상기 결합부(133c)와 팽출부(132a)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도 22의 (B) 참조). 한편, 상기 제2 접속부(133)를 제1 접속부(132)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부(133d)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133c)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상기 결합부(133c)를 상기 제1 접속부(132)의 팽출부(132a)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부(133c)와 팽출부(132a)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노즐 삽입부(110)에 대하여 플렉시블 덕트(87b)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유지 보수시 등에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유지 보수 구조>
이하에서, 상기 본체 유닛(10)의 전장품 상자(20)를 유지 보수할 때에, 상기 청소 유닛(100)을 상기 본체 유닛(10)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장품 상자(20)에 액세스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 유닛(100)은, 에어 필터(30) 및 서비스 덮개(106)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덮개(106)를 제거하면, 상기 본체 유닛(10)의 전장품 상자(20)에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서비스 덮개(106) 및 전장품 상자(20)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및 댐퍼 박스(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박스(81)에 접속된 도입용 덕트(8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에어 필터(30)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및 댐퍼 박스(81)를 상기 에어 필터(30)의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24 참조).
또한,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및 댐퍼 박스(81)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와 먼지 포집 상자(90) 사이를 접속하는 반송용 덕트(88)나, 상기 댐퍼 박스(81)와 화장 패널(11)의 노즐 삽입부(110)를 접속하는 흡인용 덕트(87)(플렉시블 덕트(87b))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상기 반송용 덕트(88)의 먼지 저류 용기(60) 및 먼지 포집 상자(90)의 접속 부분(107, 108)이나, 상기 플렉시블 덕트(87b)의 댐퍼 박스(81)(접속관(87a))와의 접속 부분(109)은, 상기 노즐 삽입부(110)와 플렉시블 덕트(87b)의 접속부(131)와 마찬가지의 구성(도 22 참조)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100) 내의 먼지 포집 상자(90)는, 상기 청소 유닛(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의 상방에 설치된 서비스 덮개(106)가 노출된다. 이 서비스 덮개(106)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필터(30), 서비스 덮개(106)의 순서대로 제거하면, 상기 본체 유닛(10) 내의 전장품 상자(20)가 노출되어, 상기 전장품 상자(20)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가능해진다.
-운전 동작-
다음에, 상기 실내 유닛(3)에서의 운전 동작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실내 유닛(3)은, 냉난방을 행하는 통상 운전과, 에어 필터(30)의 청소를 행하는 필터 청소 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 운전>
통상 운전에서는, 회전 브러시(51)를 회전시켜 그 브러시(51b)를 청소용 브러시(52)측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회전 브러시(51)를,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시켜,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비브러시면(즉, 브러시(51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샤프트(51a)의 외주면)을 에어 필터(30)에 대면시킨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는 폐쇄된 상태로 한다(도 14의 (A)의 상태). 또한, 에어 필터(30)는 회전하지 않는 정지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내 팬(21)이 구동된다. 그렇게 하면, 실내 유닛(3)에서는,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4) 내로 유입된다. 공기가 에어 필터(30)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에어 필터(30)의 메쉬 부재(37)에 포착된다. 벨 마우스(24)에 유입된 공기는 실내 팬(21)으로부터 분출된다. 이 분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22)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각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행하여진다. 이 운전에서는,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가 댐퍼 박스(81)를 통과하여 먼지 저류 용기(60)로 도입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통상 운전에서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에어 필터(30)가 비접촉 상태가 된다. 즉,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브러시(51b)가 에어 필터(30)에 계속해서 접촉하는 것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필터 청소 운전>
필터 청소 운전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압축기(4)가 정지되어 냉매가 순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필터 청소 운전에서는,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과 「먼지 반송 동작」과 「먼지 배출 동작」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제거 동작」, 「브러시 청소 동작」 및 「먼지 반송 동작」의 사이는, 화장 패널(11)에 설치된 LED(16)가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들 동작을 행하고 있는 취지를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먼지 제거 동작」은,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동작이다. 「브러시 청소 동작」은, 회전 브러시(51)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동작이다. 「먼지 반송 동작」은,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에 먼지를 반송하는 동작이다. 「먼지 배출 동작」은, 먼지 포집 상자(90)로부터 실내 유닛(3) 밖으로 먼지를 배출하는 동작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이 교대로 행하여진다. 우선 「먼지 제거 동작」에서는, 실내 팬(21)이 정지된다. 그리고,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에어 필터(30)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에어 필터(30)는,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털을 곤두세우도록 회전 이동한다(도 11의 (A)의 백색 화살표 방향). 또한, 이 때 회전 브러시(51)는 정지시킨 채이다.
그렇게 하면, 상기 에어 필터(30)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된다(도 11의 (A)). 그리고, 필터 구동 수단(40)의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작동하면, 필터 구동 모터(41)가 정지하여 에어 필터(30)의 회전이 정지한다. 즉, 에어 필터(30)는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에어 필터(30)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와 접촉한 영역의 먼지가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51b)는, 에어 필터(30)의 회전 방향(이동 방향)에 대하여 곤두서도록 경사져 식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 필터(30)의 먼지는 브러시(51b)에 의해 용이하게 긁어내어진다. 따라서, 회전 브러시(51)에 의한 먼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필터(30)의 회전이 정지하면, 「먼지 제거 동작 」으로부터 「브러시 청소 동작」으로 전환된다.
「브러시 청소 동작」에서는, 계속해서 실내 팬(21)이 정지한 상태에서, 우선 상기 회전 브러시(51)가 도 11에 있어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브러시(51b)에 먼지를 포착한 채, 청소용 브러시(52)에 대하여 브러시부(51b, 52b)끼리 접촉하도록 회전한다(도 11의 (B)).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한 후, 정지한다.
그 후,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상술한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11)에 있어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되어 있던 먼지는,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의해 제거된다(도 11의 (C)). 이것은,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의 털 배열이 하향, 즉 회전 브러시(51)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곤두서도록 경사져 식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부착된 먼지가 긁어내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51) 및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부(51b, 52b)끼리 접촉함으로써,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본체부(52a)가 상기 회전 브러시(51)와 이격하는 방향으로 밀리지만, 상기 본체부(52a)는 스프링부(52c)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부(51b, 52b)끼리 이격하지 않고, 청소용 브러시(52)가 적절하게 회전 브러시(51)에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로부터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원래의 상태(도 11의 (A)의 상태)의 위치까지 회전하여 정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회전 브러시(51)는, 다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에 포착되어 있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의해 긁어내어져,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낙하한다(도 11의 (D)). 즉, 상기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의 털 배열이 회전 방향을 따르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청소용 브러시(52)의 브러시(52b)로부터 먼지를 긁어낼 수 있다. 그 때에도,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는, 스프링부(52c)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측에 적절하게 가압되므로, 상기 청소용 브러시(52)로부터 먼지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회전 브러시(51)에 포착된 먼지는 제거되고, 먼지 저류 용기(60)의 저류부(62)에 저류된다. 그 후, 회전 브러시(51)는 다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도 11의 (A))로 복귀되고, 「브러시 청소 동작」이 일단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브러시 청소 동작」이 종료되면, 다시 상술한 「먼지 제거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다시 에어 필터(30)가 회전되고,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다시 작동하면 에어 필터(30)가 정지한다. 이에 의해, 에어 필터(30)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를 통과한 영역의 먼지가 회전 브러시(51)의 브러시(51b)에 포착된다(도 11의 (A)). 이와 같이, 「먼지 제거 동작」과 「브러시 청소 동작」이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에어 필터(30)의 소정 영역마다 먼지가 제거되어 간다. 그리고, 상기 에어 필터(30)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먼지가 제거되면, 「먼지 제거 동작」 및 「브러시 청소 동작」이 완전하게 종료된다.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44)의 레버(44a)가 소정 횟수 작동하면, 에어 필터(30)가 1회전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동작이 종료된다.
그런데, 상술한 「먼지 제거 동작」 및 「브러시 청소 동작」시에는, 저류량 검출 수단(70)에 의해 먼지 저류 용기(60)에서의 먼지 저류량이 검출된다. 즉, 발광 LED(72)에 의한 광의 광도가 포토 트랜지스터(73)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설정값(하한값) 이하가 되면, 먼지 저류 용기(60)에서의 먼지량이 소정량에 도달하였다고 하여, 「먼지 반송 동작」으로 전환된다.
「먼지 반송 동작」에서는, 회전 브러시(51)가 도 11의 (A)의 상태에서 정지됨과 함께, 에어 필터(30)가 정지 상태가 된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개방 상태(도 14의 (B)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내 팬(21)이 구동됨으로써,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는, 도입용 덕트(86) 및 댐퍼 박스(81)를 통하여 먼지 저류 용기(60) 내로 도입된다. 이에 의해,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공기와 함께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먼지 포집 상자(90) 내로 반송된다. 그렇게 하면,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에 있어서 먼지의 저류량이 감소하고, 포토 트랜지스터(73)의 검출 광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그 검출 광도가 설정값(상한값) 이상이 되면, 먼지 저류 용기(60)에서의 먼지가 거의 배출되었다고 하여, 「먼지 반송 동작」이 종료된다. 그 후, 「먼지 제거 동작」 또는 「브러시 청소 동작」이 재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청소 운전에서는, 소정 조건에 의해 「먼지 배출 동작」이 행하여진다. 즉, 상기 「먼지 반송 동작」에서 댐퍼(82)를 개방한 후에, 발광 LED(72)를 점등시켜, 그 광도를 검출하고, 광도가 소정값보다도 낮으면,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가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에 의해 반송되지 않은, 즉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먼지 포집 상자(90)까지의 반송로에서 먼지가 막혀져 있거나, 혹은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다량의 먼지가 포집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화장 패널(11)의 LED(16)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고, 리모콘 조작 등에 따라, 이하와 같은 「먼지 배출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댐퍼(82)의 움직임과 연동시켜 상기 발광 LED(72)의 광도를 검출하는 동작(이하, 충적(充積)ㆍ막힘 검출 동작이라고도 함)은, 예를 들어 1주일에 1회 등, 정기적으로 행하여진다.
「먼지 배출 동작」에서는, 상술한 「먼지 반송 동작」과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51)가 도 11의 (A)의 상태에서 정지됨과 함께, 에어 필터(30)가 정지 상태가 된다. 또한, 댐퍼 박스(81)의 댐퍼(82)가 폐쇄 상태(도 14의 (C)의 상태)가 된다.
상술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의 노즐을 화장 패널(11)의 노즐 삽입부(110)에 삽입한 상태에서, 흡인 동작을 행한다. 이 흡인 동작에 의해,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반송용 덕트(88), 먼지 저류 용기(60), 댐퍼 박스(81), 흡인용 덕트(87) 및 노즐 삽입부(110)를 통하여 청소기에 흡입된다. 그 때, 먼지 저류 용기(60) 내에 남아 있던 먼지도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청소기에 흡입된다. 그 결과, 먼지 포집 상자(90) 및 먼지 저류 용기(60)의 먼지가 실내 유닛(3)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충적ㆍ막힘 검출 동작은, 일단, 광도가 소정값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먼지 배출 동작」에 의해 먼지의 막힘이 없어지고, 또한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가 적어질 때까지, 즉 상기 발광 LED(72)의 광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까지, 소정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행하여지고, 상기 광도가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상기 화장 패널(11)의 LED(16)를 소등한다. 그 후에는, 통상의 충적ㆍ막힘 검출 동작을 예를 들어 1주일에 1회 행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기의 노즐(150)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부(110)에 접속되는 흡인용 덕트(87)는, 먼지 제거 수단(50)의 먼지 저류 용기(60)에 연결된 댐퍼 박스(81)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흡인용 덕트(87)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먼지 저류 용기(60)에는, 먼지 포집 상자(90)에 연결되는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흡인하면,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뿐만 아니라,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도 회수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먼지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를 설치함으로써, 먼지 제거 수단(50)에 의해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에 포집할 수 있어, 먼지 회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연결되는 반송용 덕트(88)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댐퍼 박스(81)에는,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흘리기 위한 도입용 덕트(86)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에 의해 상기 댐퍼 박스(8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먼지 저류 용기(60) 내의 먼지를, 상기 반송용 덕트(88)를 통하여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먼지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박스(81) 내에는, 상기 도입용 덕트(86)가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흡인용 덕트(87)가 접속되는 위치 사이에,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댐퍼(8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댐퍼(82)의 전환 동작에 의해,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상기 도입용 덕트(86)를 통하여 상기 댐퍼 박스(81) 및 먼지 저류 용기(60) 내에 도입하여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반송하는 반송 유로와,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를 상기 흡인용 덕트(87)를 통하여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흡인하는 흡인 유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댐퍼(82)는,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도입할 때에는 개방하는 한편, 상기 청소기의 노즐(150)에 의해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 내의 먼지를 회수할 때에는 폐쇄하여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도입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회수시에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에 의해 회수 작업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용 덕트(87)의 접속관(87a)은, 댐퍼 박스(81)에 대하여 접속 부분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댐퍼 박스(81)에 대하여 흡인용 덕트(87)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삽입부(110)도, 그 상부 커버(116)가 하부 커버(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커버(116)에 접속되는 상기 흡인용 덕트(87)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 박스(81)와 노즐 삽입부(110)의 위치 관계가 바뀐 경우에도, 상기 댐퍼 박스(81)와 노즐 삽입부(110)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양자를 최단 거리에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흡입 그릴(12)의 슬릿부(12a)의 슬릿 방향을 바꾸어도, 그에 대응하여 상기 댐퍼 박스(81)와 노즐 삽입부(110)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 그릴(12)에서의 슬릿 방향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유닛(3)을, 본체 유닛(10), 청소 유닛(100) 및 화장 패널(11)의 3개로 분할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케이싱 내에 상기 본체 유닛(10) 및 청소 유닛(100)의 구성 부품이 배치되고, 그 실내측을 화장 패널(11)로 덮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필터(30)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먼지 포집 상자(90)에 포집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구성이면, 예를 들어 주머니 형상의 것 등,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를 청소 유닛(100) 내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 유닛(3)과는 별도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먼지 저류 용기(60)로부터 상기 먼지 포집 상자(90)에 먼지를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먼지를 반송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되며, 전용의 팬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필터(3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에어 필터(30) 및 회전 브러시(51)는 직선적으로 상대 이동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먼지 제거 수단(50) 및 댐퍼 박스(81)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 및 댐퍼 박스(81)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 필터(30)와 겹치지 않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도입용 덕트(86) 및 구획판(25)에, 각각 돌출부(86i, 25b)를 설치하고,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입용 덕트(86)가 구획판(25)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도입용 덕트(86)의 외주면 상에 나사부를 설치하는 등, 상기 도입용 덕트(86)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당연하지만, 상기 먼지 제거 수단(50)의 유지 보수 위치가, 평면에서 볼 때 에어 필터(30)와 겹치지 않는 위치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입용 덕트(86)가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박스(81) 내에 유로 전환 수단으로서 댐퍼(82)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팬의 흡입측에 에어 필터가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특히 유용하다.
1: 공기 조화 장치
3: 실내 유닛
10: 본체 유닛
11: 화장 패널(실내측 패널)
18: 본체 케이싱(케이싱)
21: 실내 팬
22: 실내 열교환기
30: 에어 필터
50: 먼지 제거 수단
51: 회전 브러시(먼지 제거부)
52: 청소 브러시(먼지 제거부)
60: 먼지 저류 용기(수납 용기)
68a: 슬릿부
80: 먼지 반송 수단
81: 댐퍼 박스(수납 용기, 접속 통로부)
82: 댐퍼(유로 전환 수단)
86: 도입용 덕트
87: 흡인용 덕트(흡인 덕트)
88: 반송용 덕트
89: 분출 공기 통로
90: 먼지 포집 상자(먼지 포집부)
95: 흡인 통로
96: 먼지 반송로
100: 청소 유닛
101: 챔버 케이싱(케이싱)
110: 노즐 삽입부
116: 상부 커버(상부 커버 부재)
117: 하부 커버(하부 커버 부재)
121: 노즐 접속부
150: 청소기의 노즐

Claims (9)

  1. 케이싱(18, 101) 내에, 실내 열교환기(22)와, 실내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실내측으로 분출하는 실내 팬(21)과, 상기 실내 팬(21)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이며,
    상기 에어 필터(30)에 포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부(51, 52)와,
    상기 먼지 제거부(51, 52)가 수납된 수납 용기(60, 81)와,
    청소기의 노즐(150)이 접촉하는 노즐 접속부(121)와,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노즐 접속부(121)를 연통시키는 흡인 통로(95)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8, 101)의 실내측을 덮는 실내측 패널(11)에는, 청소기의 노즐(150)이 삽입 가능한 노즐 삽입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접속부(121)는, 상기 노즐 삽입부(1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 포집부(90)와,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하기 위한 먼지 반송 수단(8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수납 용기(60, 81)와 먼지 포집부(90)를 연통시키는 먼지 반송로(9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먼지 반송로(96)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반송 수단(80)은,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 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상기 먼지 포집부(90)에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 팬(21)의 분출측과 상기 수납 용기(60, 81)를 연통시키는 분출 공기 통로(89)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먼지 반송로(96)의 연통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60, 81) 내의 공기의 유로를,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로부터 먼지 반송로(96)로 공기가 흐르는 반송 유로와, 상기 먼지 반송로(96)로부터 흡인 통로(95)로 공기가 흐르는 흡인 유로로 전환 가능한 유로 전환 수단(82)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60, 81)는,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 및 흡인 통로(95)가 접속되는 접속 통로부(81)를 갖고,
    상기 유로 전환 수단(82)은, 상기 접속 통로부(81)에 대한 상기 분출 공기 통로(89)의 연통부와 상기 흡인 통로(95)의 연통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95)를 구성하는 흡인 덕트(87)는, 상기 수납 용기(60, 81)에 대하여, 상기 흡인 덕트(87)의 접속 부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삽입부(110)는, 상기 노즐 접속부(121)를 덮는 상부 커버 부재(116) 및 하부 커버 부재(117)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부 커버 부재(116)는, 상기 흡인 통로(95)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부 커버 부재(1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20107017545A 2008-01-09 2009-01-0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1213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2256 2008-01-09
JPJP-P-2008-002256 2008-01-09
JPJP-P-2008-015639 2008-01-25
JP2008015639A JP4433056B2 (ja) 2008-01-09 2008-01-25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184A KR20100116184A (ko) 2010-10-29
KR101213289B1 true KR101213289B1 (ko) 2012-12-18

Family

ID=408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545A KR101213289B1 (ko) 2008-01-09 2009-01-0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16648B2 (ko)
EP (1) EP2246636A4 (ko)
JP (1) JP4433056B2 (ko)
KR (1) KR101213289B1 (ko)
CN (1) CN101910741B (ko)
AU (1) AU2009203455B2 (ko)
WO (1) WO2009087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84B1 (ko) * 2008-12-23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 2008-12-2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852639B2 (ja) * 2009-10-14 2012-01-11 株式会社長府製作所 空気温調機
KR20120083114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3691218A (zh) * 2013-11-16 2014-04-02 冯晓宏 过滤器清洁单元、自清洁空气净化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133557B1 (ko) * 2013-11-19 2020-07-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패키징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패키징된 배터리모듈
KR101707617B1 (ko)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T520320B1 (de) 2017-09-26 2019-03-15 Avl List Gmbh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dynamischen Geschwindigkeitsprofils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398A (ja) * 2001-05-31 2002-12-13 Kato Denko:Kk 空気調和機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JP2006214663A (ja) * 2005-02-04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5129A (en) * 1941-02-10 1946-08-06 Hoover Co Vacuum cleaning system
JPH0914744A (ja) * 1995-06-27 1997-01-17 N T T Facilities:Kk 空気調和装置の清掃用ノズル
WO2004079270A1 (ja) 2003-03-04 2004-09-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5083612A (ja) 2003-09-05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5083721A (ja) * 2003-09-11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N100416167C (zh) 2003-09-12 2008-09-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调机
JP2005308274A (ja) * 2004-04-20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4124225B2 (ja) * 2005-11-25 2008-07-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918283B2 (ja) 2006-05-23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WO2007145254A1 (ja) * 2006-06-14 2009-11-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080006155A1 (en) * 2006-07-07 2008-01-10 Sellers Cheryl L Particulate filter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398A (ja) * 2001-05-31 2002-12-13 Kato Denko:Kk 空気調和機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JP2006214663A (ja) * 2005-02-04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03455B2 (en) 2012-03-29
EP2246636A4 (en) 2013-04-24
CN101910741B (zh) 2013-05-08
AU2009203455A1 (en) 2009-07-16
US8516648B2 (en) 2013-08-27
KR20100116184A (ko) 2010-10-29
WO2009087969A1 (ja) 2009-07-16
JP4433056B2 (ja) 2010-03-17
JP2009186020A (ja) 2009-08-20
US20100281649A1 (en) 2010-11-11
EP2246636A1 (en) 2010-11-03
CN101910741A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289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KR101213250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JP4416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掃除ユニット
KR101190359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
JP5262634B2 (ja) 空気調和装置
JP4573000B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0060282A5 (ko)
KR101352185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JP201104329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118547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9153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21835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924452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104326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75291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51059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90536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916834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9168338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