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850A -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850A
KR20100100850A KR1020107012241A KR20107012241A KR20100100850A KR 20100100850 A KR20100100850 A KR 20100100850A KR 1020107012241 A KR1020107012241 A KR 1020107012241A KR 20107012241 A KR20107012241 A KR 20107012241A KR 20100100850 A KR20100100850 A KR 2010010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oven
door
coke
oven
ove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킴
베르너 히페
울리히 코한스키
Original Assignee
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0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6Doors; Door frames for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2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for ovens with horizontal 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Special W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코크스 챔버 오븐을 밀폐하기 위한 내열성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내화 재료로 구성되며, 특히 실리카 함유 재료 또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 함유 재료가 사용된다. 재료는 코킹 과정 동안 도어가 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낮은 온도 팽창 계수 및 양호한 열 단열 특성을 갖는다. 도어 장치는 대체로 도어 위에 위치하는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벽 및 아래에 위치하는 이동가능한 도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코크스 배출 동안 덜 차가운 주위 공기가 코크스 오븐 챔버에 들어오며 방사손실은 최소가 된다. 도어는 타원체 볼록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석탄이 코킹 챔버 내로 보다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오븐 챔버를 둘러싸는 오븐 벽은 또한 내화 실리카 함유 또는 내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 함유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FIRE-PROOF OVEN DOORS AND FIRE-PROOF OVEN DOOR FRAME WALLS OF A COKE OVEN BATTERY}
본 발명은 이른바 "비-회수(Non-recovery)" 또는 "열-회수(Heat-recovery)" 코크스 오븐 배터리(coke oven battery)에서 일반적으로 만나는 코크스 오븐을 위한 밀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 밀폐 장치를 갖는 이러한 코크스 오븐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밀폐 장치는 가능한 공기가 스며들지 않는 방식으로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수평으로 지향된 개구부들을 밀폐한다. 전방 및 후방측 오븐 벽에 위치한 이들 개구들은 주기적으로 작동되며 석탄 건류 사이클의 완료 시 각각 밀려지고 장전되는 수평 방향 코크스 오븐 챔버들을 장전하는 가능을 한다.
어떤 타입의 코크스 오븐은 오븐 상단 영역에 위치한 개구들을 통해 또한 장전된다. 측방향 오븐벽에 위치한 개구부들은 레벨링 장치(levelling device), 예를 들면 레벨러 바로 코크스 케이크(coke cake)를 평평하게 하는(level-off)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장전시 빈번하게 발생하여 석탄 건류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장전 콘(charging cone)은 평평하게 될 수 있으며 코크스 케이크의 벌크(bulk) 밀도는 레벨링 설비에 의해 석탄 건류 공정을 위해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흔히 오븐 도어는 오븐 벽 내로 통합되며 이에 의해 둘러싸인다. 개구부 또는 도어의 크기에 의존하면서, 이들은, 코크스 케이크의 균질화 및 최적의 장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븐의 전체 하부 영역을 밀폐하거나 단지 부분만을 덮을 수 있다. 구현된 플랜트 설계에 의존하면서, 석탄 건류 공정은 하나의 코킹 사이클에 대해 16 내지 192 시간이 소요되며, 800 내지 15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코크스 오븐의 코너에서는 중앙에서보다 온도가 약간 더 낮다.
코크스 오븐의 모서리진 형상에 기인하여, 그것은, 외부를 향하는 열전도로 인한 코크스 및 특히 코너의 코크스가 내부의 주요 코크스 케이크보다 현저하게 더 냉각되기 때문에 석탄 건류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접근할 수 없는 지점과 리세스(recess)를 갖는다. 벽돌 쌓기에서 조인트 및 틈을 갖는 이들의 설계 및 구성으로 인해, 코크스 오븐의 코너 및 가장자리는 특히 외부를 향하여 증대된 열 전도율을 갖는다. 또한 가열 상승에 기여하지 않는 도어 인근의 영역에 설치된 하중 베어링 장치들이 있다. 이차 공기 솔(secondary air sole)은 종종 도어 하부측에 도달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 영역이 현저하게 더 냉각된다.
코크스 오븐의 벽은 종종 내화 벽돌로 구성된다. 벽의 설계 및 구성을 위한 일반적인 재질은 석조 벽돌 또는 다른 적절한 내화 구성 재질이다. 이들 물질들은 석탄 건류 공정으로부터의 열에 대해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석탄 건류 시 발생하는 열의 단지 작은 부분만을 외부로 방산시켜서 일반적으로 외부원으로부터의 가열이 필요하지 않다. 코크스 오븐의 가열은 장전된 석탄의 부분 연소로 공기를 오븐 챔버 내부로 공급함에 의해 구현된다. 이를 위해, 정확히 분량된 공기량이 공급된다. 코크스 오븐 장입 시, 석탄은 일반적으로 오븐 상단까지 채워지지 않으며 전체 오븐 높이의 일부까지만 채워진다.
그 곳 위에 위치하는 오븐 자유 공간(oven free space)은 석탄 건류 공정 동안 방출되는 가스를 포획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열 시, 석탄에 의해 방산되는 물질들의 부분 연소가 오븐 자유 공간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취지로, 연소에 필요한 아화학량론적(sub-stoichiometrical) 양의 공기, 소위, 일차 공기(primary air)가 안으로 공급된다. 일차 공기 공급을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공기가 코크스 케이크 위의 오븐 자유 공간 내로 흐른다. 이것은 오븐 도어 위의 오븐 벽 영역의 개구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오븐 상단 영역 내의 개구부를 통해 구현된다.
연소 과정 동안 방출되는 부분적으로 연소된 가스들은 수집되고 코크스 케이크, 벽 또는 도어 내의 채널들을 지나 오븐 플로어(oven floor) 아래의 영역 내로 이동한다. 이들 채널들은 또한 "하강 유로(downcomer)" 채널이라고도 불리운다. 소위 이차 공기 솔(secondary air sole)은 오븐 플로어 아래로 연장되는 채널들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석탄 건류로부터의 가스가 추가적으로 공급된 공기, 소위 이차 공기에 의해 연소되며, 오븐 플로어 아래의 영역에 위치한다. 코크스 오븐의 플로어는 일반적으로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지기 때문에, 석탄 건류 공정은 또한 이러한 이차 연소에 의해 아래로부터 가열된다.
"하강 유로(downcomer)" 채널은 코크스 케이크 내에 금속 튜브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또한 도어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벽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오븐 자유 공간은 석탄 건류 공정 동안 압력 형성으로부터 완화된다. 마지막으로, 코킹 가스는 또한 도어 내의 중간 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코크스 오븐 도어는 그 곳에서 압력 형성으로부터 완화된다.
코크스 오븐의 전방측 상의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도어는 종종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도어 프레임으로서 설계되고 구성된다. 매우 내열성인 재료로 구성되며 주위에 대하여 벽 두께를 넘어 석탄 건류 시 코크스 케이크를 실링(sealing)하는 소위 플러그가 이들에 장착된다. 도어 플러그가 코크스 오븐 챔버와 코크스 오븐 도어 사이의 공간을 기밀하게 밀봉한다면, 석탄 건류 공정 동안 이러한 도어는 외부를 향하는 열 손실을 비교적 낮은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차가운 공기가 코크스 오븐 챔버의 내부로 도달하는 경우 그리고 열 손실이 방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경우, 코크스 오븐 챔버의 푸싱(pushing) 동안의 열 손실만이 발생한다.
코크스 오븐의 도어는 금속 및 내화 오븐 구성 재료 양자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종종 오븐 도어는, 금속으로 구성된 도어가 어떤 단점들을 가지기 때문에, 세라믹 재질로 구성된다. 금속 보호 실드의 주된 문제점은 열 팽창이다. 둘러싸는 벽의 세라믹 재질에 대한 열팽창의 결과는 도어가 석탄 건류 공정 동안 변형할 수 있으며 개구부에 정확히 맞지 않으며, 이에 의해 정확하지 않은 공기가 흡인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속 도어의 또 다른 문제점은 영구 변형이다. 사용된 스틸에 의존하면서, 심각한 내향으로의 또는 외향으로의 벌징(bulging)이 발생할 것이다. 극도의 열 부하에 노출되는 경우, 모든 스틸 등급은 영구 변형을 나타낸다. 또한 고도로 내열성인 스틸의 제조는 비용이 많이 들며 그 가공이 어렵다. 또 다른 문제점은 이 재질의 높은 열 전도율로부터 결과하는 금속 오븐 도어의 높은 레벨의 표면 복사이다.
전적으로 내화 구성 재료로 형성되는 도어는 이번에는 이들이 무게가 무겁고 안정한 도어 본체 및 작동 장치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단점을 갖는다. 내화 본체는 종종 도어 본체 프레임 내로의 소위 플러그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들 내화 도어 플러그는 종종 충분한 기밀성을 제공하지 못해서 코킹 가스가 외부로 달아나며 탄소가 도어와 세라믹 바디 사이의 연결 부재 내로 침투한다. 그 결과, 도어는, 종종 대규모의 보수와 도어의 너무 이른 교체를 수반하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종종 도어 프레임과 플러그 사이에는 세라믹 본체 내의 누출로 인해 탄소와 미세 먼지가 혼합된 가스 수집 공간이 위치한다. 또한, 이 세라믹 구성의 재료는 종종 프러그의 부서짐으로 이어지며 고가의 도어 수리 비용을 필요로 한다.
DE 2945017 A1은 금속 재질로 구성된 코크스 오븐 도어를 기술한다. 금속 재질은 도어 이동 장치 내에 플러그 형태로 만들어진다. 플러그는 그 내부에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가스성 코킹 제품에 접근하기 쉬운 수직 가스 수집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오븐 챔버를 향하는 측부에는 플러그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가스들이 수집 공간 내로 들어갈 수 있으며 연소 또는 또 다른 공정으로 갈 수 있다. 양호한 열적 단열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적 단열재로 구성되는 단열 장치는 도어와 플러그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열 팽창을 보상하기 위하여 팽창 조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실제의 도어 플러그는 볼팅 장치에 의해 도어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코크스 오븐 도어는 오븐의 전방측에서 전체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을 덮는다. 특별한 개구부를 통해, 도어측 수직 카스 수집 공간과 챔버측 수평 가스 수집 공간 사이에 연결부가 설치된다.
EP186774 B1은 세라믹 재질로 제조되는 도어 플러그를 기술한다. 도어 플러그는 금속 캐리어 프레임에 볼트 체결되거나 쐐기로 고정된다. 도어 플러그로부터 외향 방향으로는, 단열층이 있으며 도어 플러그와 함께 가스 수집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가스가 가스 수집 공간으로 배출되며 마침내 이차 공기 솔 내로 배출됨에 따라, 도어 실(seal)은 완화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플러그는 오븐 챔버 내로 돌출하며 오븐 장입물을 도어 바디로부터 어떤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유지시키며, 건류 공정 동안 도어 바디는 오븐의 도어 프레임에 대해 래칭 장치(latching device)에 의해 가압된다. 특히, 수경성 본딩 내화 콘크리트가 세라믹 재질로서 제공된다. 내화 콘크리트의 필수 성분들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및 산화철이다. 또한 세라믹 플레이트는 교환가능한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손상의 경우 보다 쉬운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작은 리세스(recess)를 제외하고는, 코크스 오븐 도어는 오븐의 전방측에서 전체 코크스 오븐 챔버를 덮는다.
이용가능한 모든 도어 설계 및 구조는 개폐 동안 높은 기계적 힘에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점을 갖는다. 세라믹 재질로 제조된 도어는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대체로 더 짧은 수명을 갖는다. 반대로 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도어 플러그는 열 팽창으로 인한 하중에 노출되며 이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짧은 시간 후에는 오븐 도어를 기밀하게 실링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열 팽창으로 인해, 도어는 높은 열 처리량을 갖는 코크스 오븐에 대한 안전 위험을 의미하는 폐쇄 위치에 빠질 수 있다.
코크스 오븐 챔버의 도어는 석탄 건류 공정 동안 무엇보다도 코크스 오븐 챔버를 기밀하게 밀폐시켜야 한다. 새는 코크스 오븐 도어를 통해 코크스 오븐 챔버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부산물들은 석탄 건류 동안 형성된다. 특히 이들은 코킹 카스 및 타르 응축물들이다. 이들은 환경과 작업 스태프에게 위험성과 유해성을 지닌다. 또한 코크스 푸싱 시, 차가운 공기가 도어 개구부를 통해 코크스 오븐 내로 침투하며 코크스 오븐 챔버를 냉각시킨다. 코크스 오븐 가스의 연소가 종종 코킹 에너지을 발생시키기 위해 단지 충분하기 때문에, 이것은 불리하다. 결과적으로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냉각은 증대된 석탄 소비와 코크스 품질의 저하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크스 오븐 챔버의 푸싱 시 높은 온도 차이를 갖는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 또는 오븐 뱅크를 위한 도어 설계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븐 내부를 기밀하게 실링시키도록 설계해서, 코크스 오븐 챔버의 작동에 어려움을 갖게 할 수도 있고 환경에 유해하며 코크스 오븐 작동에 문제점을 가져올 수도 있는, 어떤 미세 성분의 오븐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탈출을 방지해야만 한다. 내용물을 코크스 오븐 챔버로부터 밖으로 미는 동안, 가능한 차가운 공기가 코크스 오븐 챔버의 내부로의 유입이 거의 없어야 하며, 이것은 외부로의 방사로 인한 열 손실을 가능한 낮게 유지시킨다.
도어 구조의 재질은 온도 충격에 안정해야만 하며 쉽게 부서지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긴 수명을 제공하며 낮은 작동 비용을 수반한다. 마지막으로 재질은 제조 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크스 오븐 챔버의 코너진 형상으로부터 결과하는 코크스 케이크의 온도 분포의 불규칙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쿨러 코너에서의 조악한 석탄 건류는 가능한 방지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어떤 틈 없이 코크스 오븐 개구부 내로 정확히 맞는 내열 재질로 제조되는 일-부품 또는 다-부품 오븐 도어 구조로서, 바닥 부품은 이동가능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로서 설계되고 구성되며, 상단 부품은 상기 재질로 제조된 견고하게 안착된 코크스 오븐 벽으로서 설계되고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온도 팽창을 낮게 그리고 파쇄 강도를 높게 유지시키기 위해 재질은 적절히 구성되어야 한다.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의 상부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에 의해 실링된다.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주요 부분은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위치한다. 개방 동안,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은 코크스 오븐 개구부의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외벽으로서 유지된다.
하부는, 도어 장치의 타입에 의존하면서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로부터 선회 운동으로 또는 수직으로 상향 운동으로 또는 온전히 그대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도어로서 설계되며 구성된다.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소수 부분은 도어를 측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코크스 오븐 도어의 정확히 맞는 구성의 결과로서, 코크스 오븐 도어와 코크스 오븐 벽 사이에 누설이 없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코크스 케이크의 상부 가장자리는 도어 위에 위치한 코크스 오븐 챔버 벽 부분의 하부 가장자리 바로 아래에서 종료한다. 유리하게는 상부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하부 가장자리와 코크스 케이크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50 내지 500 mm 범위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mm 사이의 범위이어야 한다. 이에 의해,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 밀려진 냉각 공기의 침투를 수반하지 않고 코크스 케이크가 밀려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상부 부분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이다. 열 방사는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최소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오븐 도어와 동일한 재질 또는 내화 재질로 제조된다. 이에 의해,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와 도어를 둘러싸는 벽의 온도 팽창 계수들이 거의 같기 때문에, 도어 구조는 비틀려지지 않을 것이며 움직이지 않게 되지 않을 것이다. 설계 및 구조에 의해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도어를 플러그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해 예정된 개구부 내로 바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푸싱 장치는 코크스 오븐 챔버의 도어 및 도어 개구부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코크스를 푸싱 장치 뒤로 슬라이딩하도록 야기하지 않고, 코크스 케이크가 밀려나갈 수 있다. 따라서 열 손실 및 주위로부터의 냉각 공기의 침투 또한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도어 구조는 어떤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석탄 건류 공정 동안 압력 형성을 감퇴시킨다. 대신에 이것은 도어를 갖지 않는 측방향 벽에 수용되는 소위 "하강 유로(downcomer)" 채널에 의해 담당된다. 이들 "하강 유로" 튜브들은 방출 코킹 가스를 이차 공기 솔 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시, 플러그를 생략할 수 있으며 비충진 공간이 도어와 코크스 케이크 사이에 형성된다. 그 곳에서 이것은 압력 형성을 개시할 수 있다.
수평으로 지향된 전방측 또는 후방측 오븐 개구부를 통해 석탄 건류를 위해 장전되거나 또는 준비되는 코크스 오븐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기서
Figure pct00001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에는 코크스 오븐의 장전 또는 준비를 위해 개방되며 장전 후 다시 밀폐되는 본 발명의 도어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Figure pct00002
도어는 수평 방향으로 지향된 오븐 벽을 외부에 대해 실링하는 수직 벽 내로 삽입되며, 도어는 그것을 개방하기 위해 벽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며, 여기서
Figure pct00003
도어에는 적절한 틀 장치와 적절한 개폐를 위한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에 있어서,
Figure pct00004
도어측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는 강체 코크스 오븐 챔버 벽과 그리고 플러그로서 제조되며 코크스 오븐 챔버 벽에 의해 구성되는 이동가능한 또는 제거가능한 도어 바디의 조합에 의해 실링되며, 그리고 여기서 이들 도어들은 코크스 오븐 개구부 내로의 밀폐 시 정확하게 맞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5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주된 부분 또는 전체 부분은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의 위에 위치하며, 그리고
Figure pct00006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위치하는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부분의 바닥 가장자리는 코크스 케이크의 상단 가장자리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를 특히 청구한다.
본 발명 장치의 설계 및 구성을 위해, 도어는 어떤 추가적인 구조물을 장착함이 없이 오븐 개구부 내로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어는 가능한 정확히 맞도록 오븐 개구부를 실링하도록 구성되어 오염 물질들 또는 코킹 산출물들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오븐 챔버로부터의 연소 매질의 배출은 전적으로 도어로부터 떨어진 측부에 구성된 "하강 유로(downcomer)" 채널에 의해 담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는 같은 동일 평면 배치(같은 높이 배치)로 오븐 챔버 벽을 실링하여 돌출부 또는 오프셋이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 또는 게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는 단지 도어를 둘러싸는 장치가 오븐 챔버 도어로부터 돌출할 것이다. 도어를 도어 플레이트 전방에 플러그로서 구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내화 재질로 제조되는 본 발명 장치는 금속 플레이트의 앞면에 볼트 체결되며, 예를 들면 이것은 개폐를 위한 이동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그러나 내화 플러그를 금속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프레임에는 플러그가 볼트, 스크루 연결 또는 유사한 설비들의 도움으로 고정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도어는 또한 도어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또는 도어 위 그리고 아래에 위치하는 오프셋을 나타낼 수 있으며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 내로 정확히 맞춰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프셋은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두께의 반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50 내지 500 mm 높이이다. 그러나 오프셋에 대한 상이한 두께 또는 상이한 높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프셋 또는 오프셋들은 상향으로, 하향으로 또는 측부로 지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들은 어떤 임의의 수 또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오븐 도어의 구성의 바람직한 재질은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 또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이다. 이들 물질들은 매우 낮은 온도 팽창 계수를 가지므로 도어 구조가 석탄 건류 공정 동안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실리콘(silicon)의 산화 물질 또는 실리콘 및 알루미늄의 산화 물질을 함유하는 모든 물질들은 적합하다. 적절한 물질들의 리스트가 스케치 1에 도시되며, 여기서 거의 순수한 산화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들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어는 균일한 재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어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일부 부품들을 상이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금속 재질 또는 수경성 거나이팅 콘크리트일 수 있다.
내화 제품들
원재료 및 조성
Figure pct00007
스케치 1
스케치 1 번역
Products 제품들
Silica products 실리카 제품들
Siliceous fireclay products 규토질 내화 점토 제품들
Fireclay products 내화 점토 제품들
High-alumina products 고 알루미나 제품들
Raw materials 원재료들
Quartzite 규암
Clays 점토
Fireclays 내화 점토
Kaolin 카올린
Fireclay-Mullite 내화 점토 뮬라이트
Andalusite, sillimanite 홍주석, 규선석
Mullite 뮬라이트
Bauxite 보크사이트
Corundum 강옥
코크스 케이크가 코크스 케이크의 상당히 향상된 균일한 가열을 보장하는 형상체 내로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너진 형상으로 인해, 특히 오븐 챔버로부터 외향으로 지향된 도어 측부의 코너에서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비균일 가열이 종종 발생하며 이것은 코너에서의 지연된 코킹 공정으로 이어진다. 가열 연도의 부족과 바닥측 가열 공정에 기여하지 못하는 도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캐링 장치의 존재에 의해 온도는 더욱 감소한다. 그 결과 열등한 품질의 코크스를 얻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도어는 내부에 타원체 벌지(bulg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원체 형상 대신에 경사부 또는 오프셋 에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도어측 코너에서의 더욱 어려운 석탄 건류의 문제점은 도어로부터 진행하여 오븐 챔버 내로 돌출할 수 있는 오프셋 에지 또는 경사부 또는 타원체 벌지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타원체 벌지는 또한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 또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된다. 도어의 감소된 깊이로 인해, 하나의 사이클에 대해 석탄 장전량이 상당히 증대될 수 있다.
플로어로 더욱 접근함에 따라 타원체 벌지는 오븐 안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도어측 코너들은 모가 없어지고 둥글게 된다. 이에 의해, 쿨러 오븐 코너들이 회피되기 때문에 석탄 건류 공정은 전체적으로 개선된다. 이러한 벌지를 오븐 상단에 장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 벌지는 오븐 상단에 접근함에 따라 오븐 안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종종 코크스 오븐 배터리가 오븐 상단 영역까지 장전될 경우 의미있다. 이에 의해, 오븐 상단의 코너들은 또한 모가 없어지고 둥글게 되며, 따라서 개선된 석탄 건류 공정을 결과시킨다.
위에서 약술된 장치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이들은 석영석 또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석재로부터 프레스 가공한 재질들이다. 이들 재질들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온도 팽창 계수를 가지며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따라서 쉽게 재질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재질은 어떤 임의의 종류 및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은 소결 공정이지만, 또한 프레스 및 주조 공정이 본 발명 도어 장치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낮은 온도 팽창 계수를 갖는 코크스 오븐 도어로 안내하여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하거나 낮은 재료 파손 특성을 갖게 하는 어떤 공정도 본 발명 장치의 제조를 위해 적합하다.
본 장치에는 열반사 재질, 소위 "고방사 코팅"이 특히 벽에 오븐 안쪽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한 열반사 재질은 특히 카바이드, 크롬과 혼합한 무기 금속 산화물들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와 혼합한 철 산화물들이 예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 장치의 벽을 오븐 안쪽 방향으로 코팅하기 위해 적절한 고반사 재질은 EP 742276 A1에 교시된다. 이러한 코팅을 도포함에 의해, 석탄 건류 공정의 에너지 효율은 상당히 개선되며 벽과 도어 장치의 내열성은 향상된다. 실제로 도어 밀폐 장치뿐만 아니라 고열 반사 재질을 갖는 전체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벽도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설계 및 구조의 도어들은 종종 도어들을 코크스 오븐 챔버의 높은 내부 가스 압력으로부터 완화시키기 위해 설계된 내부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공간은 재 및 석탄 미세물들이 쉽게 침투되어, 공정 관리에 어려움을 가지며 도어 실링 재질의 높은 요건을 요구한다.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시, 플러그를 또한 생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와 코크스 케이크 사이에 비충진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석탄 건류 시 방출하는 가스는 보다 잘 배출될 수 있으며 도어 내로 통합되는 수직 가스 수집 공간의 준비를 생략할 수 있다.
석탄 건류 공정의 온도 및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 재질의 짐에 의존하면서 이 벽은 또한 내열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오븐 도어와 동일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 경우, 벽과 도어는 동일한 팽창 계수를 갖게 되므로 도어 구조의 비틀림과 블록킹이 가열 및 냉각 동안 발생할 수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타원체 벌지도 도어 장치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석탄 건류 공정의 최적의 실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어 장치에는 그 전방측에 밀어내고 삽입 시 정확히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리테이너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구동 장치를 가이딩하기 위한 체인 또는 링키지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금속 프레임으로서 구현된다. 어떤 임의의 종류의 장치들이 개폐 및 장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최적의 실링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어에는 그 측부에 또는 내벽에 실링 재질에 제공될 수 있다. 종종 이 재질은 글래스 울(glass wool), 암면(rock wool), 또는 세라믹 파이버 매트이다. 그러나 EP 724007 A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멤브레인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장치는 실링 멤브레인 전방에 플러그로서 또는 플러그 부재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석탄 건류 공정의 절대적인 가스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어에는 또한 탄성 설비에 기초한 실링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설비가 도어를 코크스 오븐에 고정하고 래칭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븐 개구부에 도어를 고정하기 위해 스탬프를 실행할 수 있다. 래치 바(latch bar) 또는 록(lock)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오븐 벽이 오븐 도어를 직접 둘러싸는 경우 그리고 오븐 벽이 오븐 도어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 재질로서 특히 실리카는 온도 상승 시 단지 조금만 팽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실링 재질이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임의의 수의 오븐 도어들이 하나의 코크스 오븐 또는 하나의 코크스 오븐 배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이 구성 조건에 의해 필요로 하다면, 예를 들면 본 발명 도어 실링 장치를 갖는 2 개의 개구부 중 단지 하나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개의 도어 또는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수개의 도어 및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코크스 오븐 챔버 또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 또는 코크스 오븐 뱅크는 본 발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을 통해 장전되는 하나의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오븐 상단에 위치하는 적절한 장전 장치 및 충전 개구부가 존재한다.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통풍(환기)시키기 위한 장치가 또한 코크스 오븐 상단에 배치된다. 본 발명 도어는 통풍을 위한 개구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들은 플랩(flap) 또는 간단한 튜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평 방향으로 장전되도록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또한 임의 구성의 통풍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통풍 장치는 또한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에 위치할 수 있다. 오븐 벽이 본 발명 내화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 이것은 가능하다. 코크스 오븐 챔버의 위에 위치한 벽은 또 다른 개구부, 예를 들면 통풍을 위해 제공되는 노즐 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 이외에도, 본 발명 장치가 작동되는 방법 및 코크스의 보다 쉬운 제조와 개선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또한 청구된다. 코크스 오븐 배터리 또는 코크스 오븐 뱅크의 또는 개별적인 코크스 오븐의 본 발명 밀폐 장치의 이용을 위해, 도어 장치들이 코크스 오븐을 장전하기 위해 사용되는냐 또는 그 장전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냐는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측방향 및 수평으로 지향된 본 발명 코크스 오븐 도어를 통해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장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탄 건류 공정의 완료 시, 잘 건류된 코크스는 스탬프의 도움으로 오븐으로부터 다시 밀려나온다. 장입과 푸싱을 위해, 오븐 도어는 개방되며 장입과 푸싱 후에는 다시 밀폐된다. 석탄은, 예를 들면 썰매 위에서 코크스 오븐 배터리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장전 기계의 도움으로 오븐 배터리 내로 장입될 수 있다. 초기에는 느슨하게 적층된 석탄의 벌크 밀도를 향상시키고 최적화시키는 컴팩터(compactor)에 의해 그리고 있을 수도 있는 장전 콘을 평평하게 하는 레벨러 바에 의해, 석탄 건류 공정을 위해 석탄 장입이 준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코크스 오븐 상단에 위치한 장입 개구부를 통해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장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 코크스 오븐 도어를 갖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개구부는 예를 들면 벌크 밀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장전 콘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건류 공정을 위해 석탄의 적재를 준비하는 기능을 한다.
코크스 오븐 상단을 통한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장전을 위한 일반적인 공정이 EP 1293552 B1에 기재된다. 이 공정에 따르면, 석탄 장전 카를 위한 가이딩 장치가 코크스 오븐 상단에 장착되며, 관련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장전하기 위한 이들 가이딩 장치 상에서 이동성 석탄 장전 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장전 과정 동안 석탄 장전 카는 호퍼(hopper) 상으로 이동하며 이것으로부터 석탄이 스크루 컨베이어 및 장전 텔리스코프를 통해 코크스 오븐 내로 수송된다. 대응 장전 위치로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해, 자동 조정 장치가 사용되며 그 힘 전달은 치형 기어 메커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구성에 의존하면서, 리드(lid)를 세정하기 위한 설비가 또한 장전 장치에 장착된다.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 충진시킬 때 미리 석탄의 적재를 평평하게 하는 평탄 설비들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예가 WO 2004/007640 A1에 기재된다.
본 발명 장치 및 본 발명 방법은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위한 효율적이고 저렴한 도어 장치의 이점을 제공한다. 오븐 개구부를 정확히 실링하는 도어 장치는 높은 내열성, 낮은 온도 팽창 계수,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그리고 통상적인 실링 및 래칭 장치로 실링하는 것이 용이하여 미세 재 또는 카본 입자들이 코크스 오븐 배터리로부터 외부로 누출될 수 없다. 도어들은 제조가 용이하며 종래의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 쉽게 편입될 수 있다. 긴 수명 덕택에, 본 발명 코크스 오븐 챔버 실링 장치는 석탄 건류 공정에서의 낮은 작동 비용으로 이어진다.
양호한 열 단열 용량의 결과로서, 특히 실링 시 형성되는 코너들이 타원체 오프셋에 의해 회피되는 경우, 도어는 개선된 코크스 품질로 이어진다. 코크스 오븐 챔버의 푸싱 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놓이 벽은 냉각 공기의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 방사가 또한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석탄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반면에 코크스 품질을 향상된다. 도어의 감소된 깊이 때문에, 하나의 사이클에 대한 코크스 장전량은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석탄 건류를 위한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은 4 개의 도면들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본 발명 방법은 이들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챔버의 푸싱 시 높은 온도 차이를 갖는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 또는 오븐 뱅크를 위한 도어 설계 및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오븐 내부를 기밀하게 실링시키도록 설계해서, 코크스 오븐 챔버의 작동에 어려움을 갖게 할 수도 있고 환경에 유해하며 코크스 오븐 작동에 문제점을 가져올 수도 있는, 어떤 미세 성분의 오븐 챔버로부터 외부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효과와 내용물을 코크스 오븐 챔버로부터 밖으로 미는 동안, 가능한 차가운 공기가 코크스 오븐 챔버의 내부로의 유입이 거의 없게 하여, 외부로의 방사로 인한 열 손실을 가능한 낮게 유지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챔버의 코너진 형상으로부터 결과하는 코크스 케이크의 온도 분포의 불규칙성을 제거하는 효과와,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쿨러 코너에서의 조악한 석탄 건류는 가능한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폐된 도어 실링 장치를 갖는 코크스 오븐 챔버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코크스 오븐 도어와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 양자는 본발명의 내화 재질로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방된 도어 실링 장치를 갖는 코크스 오븐 챔버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단지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만 본 발명의 내화 재질로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밀폐된 도어 실링 장치를 갖는 코크스 오븐 챔버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코크스 오븐 도어와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 양자는 본발명의 내화 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은 통풍을 위한 노즐 제트-형상 개구부를 포함한다. 코크스 오븐 챔버의 모를 없애고 둥글게 하는 타원체 오프셋이 하부 코크스 오븐 코너에 장착된다.
도 4는 코크스 오븐 챔버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코크스 오븐 도어와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 양자는 본 발명 재질로 제조된다.
도 1: 코크스 오븐 챔버(1)에 석탄이 장전되며 내화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2)로 밀폐된다. 적절한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 또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이다.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수평 방향으로 지향된 벽(3) 또한 이러한 재질로 구성되어 동일한 열 팽창 계수로 인해 도어가 뒤틀려질 수 없다. 도어는 캐리어 프레임(4)에 현수되며 캐리어 프레임에는 도어를 밖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결부(4a)가 고정된다. 도어를 위로 당기기 위한 연결부(4b)가 이 캐리어 프레임에 또한 장착된다. 따라서 코크스 오븐(1)으로의 접근 통로를 얻을 수 있다. 코크스 오븐에는 코크스 오븐 상단까지 충진되지는 않고 어떤 충진 레벨까지만 충진되는 코크스 케이크(5)가 위치한다. 그곳 상부에는 오븐 자유 공간(oven free space)(5a)이 위치한다. 일차 공기가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 취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풍 포트(6)가 코크스 오븐 상단(7)에 배치된다. 부분적으로 연소된 가스가 "하강 유로(downcomer)" 채널(8)을 통해 코크스 오븐 플로어 아래에 위치한 이차 공기 솔(9) 내로 안내된다. 오븐 자유 공간에 개구부(8a)를 갖는 여기에 도시된 "하강 유로"는 코크스 케이크(5)를 통해 또는 측벽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차 공기 솔에는 추가적인 통풍 포트(10)가 제공되며 그를 통해 더 많은 공기가 흐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코킹 가스가 완전히 연소된다.
도 2: 석탄 건류 공정의 완료 시, 코크스 오븐 챔버(1)는 코크스 케이크(5)를 내보내기 위해 개방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2)는 코크스 오븐 챔버로의 접근을 위해 개방 및 상승 위치에 있게 된다. 스탬프(11)에 의해, 코크스 케이크(5)는 코크스 오븐 챔버를 통해 타측으로 밀려져서 그 밖으로 나오게 된다. 도어를 둘러싸는 벽(3)은 통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어를 둘러싸는 전방 및 후방측 코크스 오븐 챔버 벽(3)의 존재에 의해,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의 차가운 공기의 침투는 방지되며 외부로의 열 방사가 감소된다. 이것은, 푸싱 장치(11)가 코크스 오븐 개구부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다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3: 코크스 오븐 챔버(1)는 석탄으로 장전되며 내화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로 밀폐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1)는 폐쇄 위치에 있다. 타원체 오프셋(1a)은 코너의 모서리를 없애 둥글게 하며 코크스 케이크(5)를 코크스 오븐 챔버 내로 가압시키기 위해 코크스 오븐 도어에 장착된다. 따라서 가열은 더욱 균일해지며 이것은 코크스 품질의 향상에 기여한다.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오븐 벽(3)에서 오븐 도어의 위에, 리드(lid)(6) 상의 통풍 튜브와는 별도로, 노즐 제트 형상 통풍 튜브(12)가 장착되며 이것은 추가적인 공기를 오븐 내로 들어오게 한다.
도 4: 코크스 오븐(1)은 가동 중에 있으며 폐쇄 코크스 오븐 도어가 제공된다. 코크스 오븐 도어(2)는 오븐 도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코크스 오븐 벽(3)에 의해 둘러싸인다. 여기서 도어 리테이너 장치(4) 및 특히 도어를 개방 위치에서 위로 당기기 위한 수직으로 지향된 연결 피스(4b)를 잘 볼 수 있다. 여기서, 이차 공기 솔 내로의 공기 흡입을 조절하기 위한 플랩(flap)(13)을 또한 볼 수 있다.
1 코크스 오븐 챔버
2 본 발명 코크스 오븐 도어
3 도어를 둘러싸는 수평으로 지향된 코크스 오븐 벽
4 도어 리테이너 장치(도어 문설주)
4a 구동 메커니즘에 대한 수평으로 지향된 연결 피스
4b 개방 메커니즘에 대한 수직으로 지향된 연결 피스
5 코크스 오븐 케이크
5a 오븐 자유 공간
6 코크스 오븐 상단을 통하는 튜브로서의 통풍 장치
7 코크스 오븐 상단
8 "하강 유로(downcomer)" 튜브
8a "하강 유로" 튜브의 개구부
9 이차 공기 솔(secondary air soles)
10 이차 공기를 위한 공급 설비
11 코크스 케이크를 밀기 위한 스탬프
12 일차 공기의 유입을 위한 노즐 제트 형상 개구부(통로)
13 이차 공기의 조절을 위한 플랩

Claims (22)

  1. 수평으로 지향된 전방측 또는 후방측 오븐 개구부를 통해 석탄 건류를 위해 장전되거나 또는 준비되는 코크스 오븐을 밀폐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기서
    Figure pct00008
    최소한 하나의 개구부에는 코크스 오븐의 장전 또는 준비를 위해 개방되며 장전 후 다시 밀폐되는 본 발명의 도어 장치가 제공되며,
    Figure pct00009
    도어는 수평 방향으로 지향된 오븐 벽을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수직 벽 내로 삽입되며, 도어는 그것을 개방하기 위해 벽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며,
    Figure pct00010
    도어에는 적절한 틀 장치와 적절한 개폐를 위한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에 있어서,
    Figure pct00011
    도어측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는 강체 코크스 오븐 챔버 벽과 그리고 플러그로서 제조되는 한편 코크스 오븐 챔버 벽에 의해 구성되는 이동가능한 또는 제거가능한 도어 바디의 조합에 의해 실링되며, 그리고 여기서 이들 도어들은 코크스 오븐 개구부 내로의 밀폐 시 정확하게 맞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12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주된 부분 또는 전체 부분은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의 위에 위치하며, 그리고
    Figure pct00013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위치하는 도어를 둘러싸는 코크스 오븐 챔버 벽의 부분의 바닥 가장자리는 코크스 케이크의 상단 가장자리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는 상향으로, 하향으로 또는 측부를 향해 지향되며 도어 외부에 위치하는 오프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의 오프셋은 대략 도어 폭의 반이며 100 내지 500 mm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위치한 코크스 오븐 챔버 벽 부분의 바닥 가장자리는 코크스 케이크의 상단 가장자리 위로 최소 50 mm 그리고 최대 500 mm 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 위에 위치한 코크스 오븐 챔버 벽 부분의 바닥 가장자리는 코크스 케이크의 상단 가장자리 위로 최소 100 mm 그리고 최대 200 mm 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는, 내화 플러그가 볼트, 스크루 연결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 금속 프레임 상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 부품 또는 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이들 도어들은 내화 재질 및 열적으로 단열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를 밀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오븐 아래쪽의 도어는 내부를 향해 지향되는 타원체 벌지 또는 경사부 또는 오프셋 가장자리를 가지며, 그 종방향 측부는 하향으로 지향되며 플로어에 접근함에 따라 오븐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따라서 코크스 케이크가 하부 오븐 코너로부터 떨어져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 밀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타원체 벌지 또는 경사부 또는 오프셋 가장자리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타원체 벌지 또는 경사부 또는 오프셋 가장자리는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배터리 밀폐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반사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 및 벽을 포함하는 전체 코크스 오븐 배터리 또는 코크스 오븐 도어 및 벽에는 열반사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내화 재질 또는 열적으로 단열인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실리카를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를 둘러싸는 벽은 타원체 벌지 또는 경사부 또는 오프셋 가장자리를 오븐 상부측에 가지며, 그것의 종방향 측부는 하향으로 지향되어 코크스 케이크가 도어를 둘러싸는 상부 오븐 코너로부터 떨어져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는 도어측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의 밖으로 그리고 그 내부로 이동하여 코크스 오븐 챔버가 개폐되며, 코크스 오븐 챔버 개구부는 코크스 오븐 챔버 도어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장치.
  20. 제19항에 따르는 장치의 사용으로 코크스 오븐를 밀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밀폐 장치는, 이어지는 코크스 케이크의 정렬 및 평탄화 그리고 코크스 케이크의 밀어냄을 위한 적절한 장전 메커니즘을 갖는 코크스 오븐을 장전하기 위한 스탬프 장치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밀폐 장치는 코크스 케이크의 정렬 및 평탄화를 위해서만 개방되며 코크스 오븐의 실제 장전은 오븐 상단을 통해 석탄 장전 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장전은 코크스의 제거를 위한 세정 장치가 설치된 코크스 오븐 리드를 통해 석탄 장전 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 밀폐 방법.
KR1020107012241A 2007-12-04 2008-11-27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 KR20100100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8473A DE102007058473B4 (de) 2007-12-04 2007-12-0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eines Koksofens, der durch eine horizontal gerichtete, vorder- und hinterseitige Ofenöffnung beladen oder für die Verkokung vorbereitet wird
DE102007058473.5 2007-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850A true KR20100100850A (ko) 2010-09-15

Family

ID=4039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241A KR20100100850A (ko) 2007-12-04 2008-11-27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821693B2 (ko)
EP (1) EP2227514A1 (ko)
JP (1) JP2011505477A (ko)
KR (1) KR20100100850A (ko)
CN (1) CN101883836B (ko)
AP (1) AP3012A (ko)
AR (1) AR070955A1 (ko)
AU (1) AU2008333618B2 (ko)
BR (1) BRPI0820688A2 (ko)
CA (1) CA2707505A1 (ko)
CL (1) CL2008003606A1 (ko)
CO (1) CO6290783A2 (ko)
DE (1) DE102007058473B4 (ko)
EG (1) EG25754A (ko)
MX (1) MX2010006088A (ko)
MY (1) MY159873A (ko)
RU (1) RU2522027C2 (ko)
TW (1) TWI464251B (ko)
UA (1) UA100463C2 (ko)
WO (1) WO2009071233A1 (ko)
ZA (1) ZA2010039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44B1 (ko) * 2012-09-26 2013-03-05 이장수 초벌구이용 내화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5067A1 (de) * 2006-09-21 2008-04-03 Uhde Gmbh Koksofen mit verbesserten Heizeigenschaften
DE102007057410B3 (de) * 2007-11-27 2009-07-30 Uhde Gmbh Mechanismus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baren Verriegelung von Türen, Türkörpern oder Türrahmen horizontaler Koksofenkammern
US9193915B2 (en) * 2013-03-14 2015-11-2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orizontal heat recovery coke ovens having monolith crowns
CN106367086B (zh) * 2016-10-08 2021-09-24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组合炉门衬砖的高炭化室顶装焦炉
CN107245341B (zh) * 2017-07-21 2022-09-16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导流型机侧炉门密封装置
US11661780B2 (en) * 2020-12-21 2023-05-30 Weisun Industrial Co., Ltd. Automatized mechanical opening/closing device of oven
CN114017500B (zh) * 2021-11-25 2023-07-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件及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5400A (en) * 1977-08-30 1979-11-07 Pennsylvania Coke Technology I Smokeless nonrecovery type coke oven
US4287024A (en) * 1978-06-22 1981-09-01 Thompson Buster R High-speed smokeless coke oven battery
DE2945017A1 (de) 1979-11-08 1981-05-21 Ruhrkohle Ag, 4300 Essen Stopfen fuer koksofenkammertueren
DE2945107C2 (de) 1979-11-08 1982-02-18 Heiko Dipl.-Kfm. 6900 Heidelberg Mittag Koffer
SU975775A1 (ru) * 1981-05-06 1982-11-23 Славянский завод тяжел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60-летия Великой Октябрьск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волюции Дверь коксовой печи
DE3340731A1 (de) * 1983-11-10 1985-05-23 Krupp Polysius Ag, 4720 Beckum Koksofentuer
US4574035A (en) * 1984-11-15 1986-03-04 Highley Robert W Warp-resistant self-sealing coke oven door
DE3447187A1 (de) 1984-12-22 1986-07-03 Ruhrkohle Ag, 4300 Essen Tuerstopfen fuer koksofentueren
DE4103504A1 (de) * 1990-04-20 1991-10-24 Bergwerksverband Gmbh Reaktorkammertuer fuer grossraumverkokungsreaktor
US5114542A (en) * 1990-09-25 1992-05-19 Jewell Coal And Coke Company Nonrecovery coke oven battery and method of operation
US5447606A (en) * 1993-05-12 1995-09-05 Sun Coal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pturing coke oven charging emissions
EP0724007B1 (de) 1994-12-17 1999-01-20 Krupp Uhde GmbH Koksofentüraggregat mit Abdichtungsmembran
EP0742276A1 (de) 1995-05-12 1996-11-13 Krupp Kopper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ksofens
US5928476A (en) * 1997-08-19 1999-07-27 Sun Coal Company Nonrecovery coke oven door
DE10145431C2 (de) 2001-09-14 2003-11-13 Thyssen Krupp Enco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kung von Koksöfen einer Koksofenbatterie
DE10201985A1 (de) 2002-01-21 2003-07-31 Koch Transporttechnik Gmbh Verkokungsanlage mit Heißgaskanal
DE10232279B4 (de) 2002-07-16 2006-11-09 Uhde Gmbh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Horizontalkammerkoksofens
DE102005015301A1 (de) * 2005-04-01 2006-10-05 Uhd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kokung von Kohle mit hohem Flüchtigengehalt
DE102006004669A1 (de) * 2006-01-31 2007-08-09 Uhde Gmbh Koksofen mit optimierter Steuer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UA19710U (en) * 2006-07-27 2006-12-15 Valerii Mykhailovych Sharapov Piezoelectric mechanical-electric transducer
DE102006045067A1 (de) * 2006-09-21 2008-04-03 Uhde Gmbh Koksofen mit verbesserten Heizeigenschaften
DE102007057410B3 (de) * 2007-11-27 2009-07-30 Uhde Gmbh Mechanismus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baren Verriegelung von Türen, Türkörpern oder Türrahmen horizontaler Koksofenkamm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44B1 (ko) * 2012-09-26 2013-03-05 이장수 초벌구이용 내화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22027C2 (ru) 2014-07-10
TWI464251B (zh) 2014-12-11
AP3012A (en) 2014-10-31
US20120103782A1 (en) 2012-05-03
JP2011505477A (ja) 2011-02-24
CL2008003606A1 (es) 2010-02-05
CN101883836B (zh) 2014-12-03
AR070955A1 (es) 2010-05-19
RU2011121658A (ru) 2012-12-10
AU2008333618B2 (en) 2014-02-27
UA100463C2 (ru) 2012-12-25
TW200938616A (en) 2009-09-16
EP2227514A1 (de) 2010-09-15
MY159873A (en) 2017-02-15
BRPI0820688A2 (pt) 2015-06-16
DE102007058473B4 (de) 2009-11-26
AP2010005272A0 (en) 2010-06-30
US8821693B2 (en) 2014-09-02
CO6290783A2 (es) 2011-06-20
CN101883836A (zh) 2010-11-10
CA2707505A1 (en) 2009-06-11
EG25754A (en) 2012-06-25
WO2009071233A1 (de) 2009-06-11
MX2010006088A (es) 2010-06-23
AU2008333618A1 (en) 2009-06-11
DE102007058473A1 (de) 2009-06-18
ZA201003923B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850A (ko) 코크스 오븐 배터리의 내화 오븐 도어 및 내화 오븐 도어 프레임 벽
KR102392443B1 (ko) 코크스 오븐을 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526541B2 (en) Horizontal heat recovery coke ovens having monolith crowns
KR100541025B1 (ko) 코크스로의 보수방법 및 보수벽돌의 반입장치
KR20110081184A (ko) 코크스 오븐으로 1차 공기를 분배하기 위한 공기 분배 장치
US4422902A (en) Method of operating a coke oven
KR101604144B1 (ko) 낮은 정도의 열교환을 갖는 코크스 오븐 챔버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JPS61118493A (ja) コークス炉の操作方法
US7341647B2 (en) Coke carbonization furnace cover for promoting increase in temperature of coal particles near the cover
US1399594A (en) Coke-oven door and doorway
KR102174159B1 (ko) 공냉식 코크스 오븐 도어의 레벨러 도어 조립 구조체
JPH07118644A (ja) コークス炉窯口の断熱構造
EP1533357A1 (en) Coke carbonization furnace cover for promoting increase in temperature of coal particles near the cover
KR101377219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JP3985149B2 (ja) 補修容易なコークス炭化炉蓋
JPH07126633A (ja) 室式コークス炉窯口の炉蓋構造
JP3985154B2 (ja) コークス炭化炉の昇温用炉蓋
JP2004099859A (ja) コークス炭化炉加熱炉蓋
JP2001342463A (ja) 気密性にすぐれた石炭層表面レベラー装入口をもつコークス炉
JPH07126630A (ja) 竪型室式コークス炉窯口の炉蓋
BR102013000278A2 (pt) Porta de forno de coque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mesma
JP2006028465A (ja) 昇温用コークス炭化炉蓋
JP2005298784A (ja) 昇温用コークス炭化炉蓋
JP2006083359A (ja) 昇温型コークス炉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