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830A -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830A
KR20100099830A KR1020090018356A KR20090018356A KR20100099830A KR 20100099830 A KR20100099830 A KR 20100099830A KR 1020090018356 A KR1020090018356 A KR 1020090018356A KR 20090018356 A KR20090018356 A KR 20090018356A KR 20100099830 A KR20100099830 A KR 2010009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thermoplastic resin
acrylonitrile
resin composition
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827B1 (ko
Inventor
정명욱
유금선
강성우
이주한
서강준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좋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구조가 복잡한 다양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 20~48%,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0~68%,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15%, 및 저점도의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주지 조성물은 유동성이 우수하면서도 고충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용 열가소성 ABS-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를 제공한다.
폴리아마이드 수지, 말레이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 유동성

Description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Poly amide-ABS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좋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구조가 복잡한 다양한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내 약품성이 뛰어날 뿐아니라,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등의 무기물을 손쉽게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운 높은 강도를 발현할수 있다. 하지만 내충격성이 작고, 결정질 수지이기 때문에 성형수축률이 커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제조 방법에 의한 구조 변경 및 조성 성분의 함량 조절로 성형가공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도장, 도금 등 2차 가공성이 우수하며 비결정질 수지이기 때문에 칫수 안정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강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기, 전자, 자동차 등의 산업 분야에 단독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들과 블렌드하여 충격 보강재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아마이드의 물성과 ABS의 가공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ABS수지의 경우 상용성이 좋지 않아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상용화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248,726호의 경우, 폴리아마이드 수지에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 (ABS) 수지와 카르복실화 나이트릴 고무를 혼합하여 치수 안정성과 충격성을 보완하였으나, 내충격성이 크게 높지 않으며, 내충격성이 높을 경우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미국 특허 제5,010,138호의 경우에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α-메틸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t-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압출시켜 만든 상용화제를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SAN) 및 ABS 수지에 첨가하여 내충격성과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나, 내열성이 떨어지며 두 단계의 압출 공정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다른 미국 특허 제5,202,379호의 경우에는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ABS 수지에 스타이렌/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상온까지 높은 충격 강도와 치수 안정성을 발현시켰으나, 전체적으로 강도, 탄성률 그리고 내열성이 너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로디아폴리아마이드 주식회사에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제434640호에서는 성형 후 수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폴리아마이드를 주재료로 하는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와 변성EPDM 탄성체를 포함하면서 부타디엔 함량이 높은 ABS수지를 혼련하는 방안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에스폴리머 주식회사에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830133호에서는 폴리아마이드와 ABS수지 혼합물에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와 함께 말레산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용화제를 이용한 경우, 물리적 특성은 개선되는 반면, 반응성기를 가진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에 의해서 수지의 용융흐름성이 낮아져 성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결과적으로 형상이 복잡한 제품을 제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말레이미드기를 가지는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폴리아마이드와 ABS수지 사이의 혼련성을 높이면서도, 말레이미드에 의한 용융흐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고유동성의 폴리아마이드-ABS계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유동성의 폴리아마이드-ABS계 수지로 이루어진 복잡한 형상의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마이드 20~48%,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0~68%,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15%, 및 저점도의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1~30%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부품에 사용되며, 또한 성형시 요구되는 내충격성과 표면 가스 문제가 해결되고, 열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A) 폴리아마이드 수지의 예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ε-카프로락탐, ω-도데카락탐 등의 락탐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 마이드, 아미노카프론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산에서 얻을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메틸노나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파라크실렌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비스(4-메틸-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아미노에틸피페라진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아민과 아디핀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아젤라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5-메틸이소프탈산 등의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 및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예를 들면 폴리아마이드-6, 폴리아마이드-66, 폴리아마이드-610, 폴리아마이드-11, 폴리아마이드-12, 테레프탈산계 및 이소프탈산계 폴리아마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업적으로는 폴리아미드-6와, 폴리아미드-66,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아미드 66/6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요구하는 물성에 따라 각각의 특성에 맞게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최종 수지의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융점이 220℃인 폴리아미드-6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Relative Viscosity가 2.4-3.0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수지 조성물 내에서 20 - 48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함유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을 얻기 어렵고, 폴리아미드의 고유의 성질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폴리아미드의 함량이 높아지면 성형성이 좋은 ABS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고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가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 분산된 형태의 제품으로서, 벌크 중합, 유화 중합, 서스 중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수지에 충분한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5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65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성형성이 낮아져 복잡한 형태의 제품을 성형할 수 없고,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들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블렌딩되어, 고무함량이 15-28 %정도로 조정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성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의 혼련성 및 내열성 충격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상용화제로서, 상기 변성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에서 함유량이 1-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7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의 양이 적으면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 ABS수지 사이에 상용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과량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상용성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화합물, 말레이미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공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30~80 중량%, 말레이미드 19~69 중량%,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1~10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은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화합물을 소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말레산 무수물, 메틸말레산 무수물, 1,2-디메틸말레산 무수물, 에틸말레산 무수물, 페닐말레산 무수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비닐계 화합물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 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aleic anhydride가 1~10중량% 범위로 graft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말레익 엔하이드라이드의 양이 적으면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양이 많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와 겔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고무는 소량의 말레인산 무수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 함량이 30~75 중량%이고 프로필렌기 함량이 20~50 중량%이고 디엔 화합물 함량이 0~20 중량%인 공중합체로서,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하여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고무는 수지 조성물의 충격성을 보강하면서도, 상용화제에 포함된 말레이미드에 의한 유동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저점도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는 말레익엔하이드라이드가 0.1-10 중량% 그라프트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점도는 10-60(1+4,100℃)가 바람직하며, 상기 고무의 점도가 지나치게 커지면 전체적인 수지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상기 고무의 점도가 지나치게 적어지면 물리적 특성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고무는 수지 조성물에서 함유량이 0.5-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10 중량%이다. 수지조성물 내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0.5%이하에서는 충격보강 효과특성을 발현 시키지 못하고 30%이상에서는 모듈러스등 강도가 저하되어 약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이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제, 안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충전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블렌드 하는 방법으로 밴버리 믹서, 압출기 같은 일반적인 혼합 용융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성물 분자량 차이 조절 및 각 성분에 상용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비율을 혼합하여 압출 및 사출 성형성 우수한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좋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함량을 조절하여 열변형온도 및 기계적 강도등의 balance를 조절하였고, 또한 성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저점도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저점도 사용으로 인한 충격강도 물성 저하 부분은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를 사 용함으로써 충격성이 우수하고, 성형성 또한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하여 균일한 배합을 위해 소형의 텀블러 믹서로 충분히 혼합한 후 φ=25mm인 이축 압출기에서 압출 온도가 220 ∼ 250℃ 범위에서 압출하여 냉각, 고화하여 펠렛 형태로 만든후 100℃유지된 순환 열풍 건조기에서 4시간 건조후 160톤 사출기에서 사출온도를 230-250℃까지 변화시키고, 금형온도를 65℃로 하여 건조된 펠렛을 접합라인을 형상힐수 있게 성형하여 기계적 강도 테스트시편을 제작하였고 용융흐름성을 검토하기위해 용융 흐름지수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 7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상기 기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이상의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시편을 24시간 방치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펠렛은 건조 후 유동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인장강도(kgf/cm2)
ASTM D638의 시험방법에 따라 인장시험 장비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 아이조드 충격강도 6.4mm (kgf·cm/cm)
ASTM D256법을 사용하여 아이조드 충격기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Notched Izod Impact Strength는 6.4mm 시편 두께로 측정하였다.
(3) 열변형온도(℃)
ASTM D648법을 사용하였으며, 18.6kgf/cm2 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4) 멜트플로우 인덱스지수(g/10분)
ASTM D1238법을 사용하였으며, 230℃, 10kg의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유동성 지수는 실제 실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하여 30이상인 것을 사출성형시 성형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5) 성형품의 표면(Gas 마크)
250℃ 성형시 Speaker grill 성형품 표면 상태 관찰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조성물
(중량%)


A 중점도 40 50 40 50
저점도 40 40 40 50 40
B 고점도
중점도 60 50 60 50
저점도 60 60 60 50 60
조성물
(PHR)
C 5 5 5 5 5 5 5 5 5
D 5 3
특성 인장강도 430 460 470 450 470 450 470 470 450
아이조드
충격강도
25 15 19 21 18 20 10 25 27
열 변형
온도
84 85 88 85 89 86 87 90 88
멜트플로우
인덱스지수
41 42 30 33 30 33 40 20 25
성형품의 표면
(Gas 마크)
양호 양호 약간 미흡 약간 미흡 약간 미흡 약간미흡 양호 불량 불량
(주)
A)폴리아마이드 수지 (중점도:RV 2.8±0.03, 저점도:RV 2.45±0.03)
B)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ABS 중점도, 금호석유화학 ABS740, 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 부타디엔 18 중량%, 스티렌 62 중량%, MI 25
ABS 저점도, 금호석유화학 ABS780, 아크릴로니트릴 10 중량%, 부타디엔 16 중량%, 스티렌 74중량%. MI 45
C) 변성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스타이렌 46 중량%, N-페닐말레이미드 53 중량% 및 말레인산 무수물 1.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Polyimilex(등록상표) PSX-371,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쇼꾸바이 제품).
D)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무늬점도 20 (1+4,100℃), 에틸렌 40 중량%, 프로필렌 59 중량%, 부타디엔 0 중량%, 말레이미드 1 중량%
실시예 1~2는 저점도 나이론과 저점도 ABS를 컴파운딩 한 것에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를 첨가 함으로써 충격 값을 만족시키고 또한 동시에 성형성 또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 1~2는 중점도 나이론과 저점도 ABS를 컴파운딩 한 경우에 해당한다.
기계적 강도가 좋고, 약간 미흡한 정도의 Gas 마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3~4는 저점도 나이론과 중점도 ABS를 컴파운딩 한 경우에 해당한다.
충격강도와 열변형온도 유동성 등이 비교예 1~2와 비슷한 성향을 보이고 있다. 약간 미흡한 정도의 Gas 마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5은 저점도 나이론과 저점도 ABS를 컴파운딩 한 것으로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등이 감소하는 것을 볼수 있으나, 충격 강도 값을 제외하고는 자동차에서 요구하는 물성 치 이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충격강도는 사용한계치인 12이하 값이 나옴에 따라 개선이 요구된다.
반면, 성형품의 표면의 Gas마크가 많이 개선되어, 성형성 측면에서는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된다.
비교예 6~7은 중점도 나이론과 중점도 ABS를 컴파운딩 한 경우에 해당하는데 모든 기계적 물성을 만족하나 자동차 스피커 그릴 같은 고 유동이 요구 되는 성형품에는 만족하지 못했다. 또한 나이론 함량이 증가 할수록 인장강도와 열변형온도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표에서 볼수 있듯이 스피커 그릴 표면과 같이 고유동성이 요구되는 수지의 경우 저점도의 나이론을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충격 보강을 위해 나이론 충격 보강 첨가제인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Claims (7)

  1. 폴리아마이드 20~48%,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50~68%,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 1~15%, 및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 1~30%로 이루어진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는 점도가10-60(1+4,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화합물 공중합체는 말레인산 무수물 0.1-10 중량%, 에틸렌 30~75 중량%, 프로필렌 20~50 중량%, 디엔 화합물 함량 0~2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 수지는 평균 상대점도가 2.4~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변성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말레이미드 공중합체는 말레익엔하이드라이드가 1~10% 그라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고무함량이 15-2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고유동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사출성형되는 사출품.
KR1020090018356A 2009-03-04 2009-03-04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3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56A KR101139827B1 (ko) 2009-03-04 2009-03-04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56A KR101139827B1 (ko) 2009-03-04 2009-03-04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830A true KR20100099830A (ko) 2010-09-15
KR101139827B1 KR101139827B1 (ko) 2012-04-30

Family

ID=4300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56A KR101139827B1 (ko) 2009-03-04 2009-03-04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025A1 (de) 2010-10-13 2012-04-19 Hyundai Motor Co. Automatische Rückholstruktur einer Kofferraumabdeck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718B1 (ko) * 2020-08-31 2023-12-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086A (ko) * 2004-06-23 2005-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2025A1 (de) 2010-10-13 2012-04-19 Hyundai Motor Co. Automatische Rückholstruktur einer Kofferraumabde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827B1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627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2016047936A (ja) ポリアミド系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EP0901507B2 (en) 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balance of toughness and stiffness
KR101139827B1 (ko) 폴리아마이드-(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30120B1 (ko) 내화학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18763B1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에이비에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61182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12039B2 (ja)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KR10086633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나일론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20120071208A (ko) 폴리이미드와 에이비에스를 포함하는 고유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705283B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 and foam produced thereby
JP3387220B2 (ja) 高流動性ナイロ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
KR101476502B1 (ko) 도장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631799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800588B1 (ko) 폴리아마이드 얼로이 고내열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기전자 부품
KR1019515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H0627239B2 (ja) 低光沢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434640B1 (ko)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JP31585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4099845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76497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4554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88418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23003269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7138448A (ja) 艶消し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