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199A -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199A
KR20100099199A KR1020107013796A KR20107013796A KR20100099199A KR 20100099199 A KR20100099199 A KR 20100099199A KR 1020107013796 A KR1020107013796 A KR 1020107013796A KR 20107013796 A KR20107013796 A KR 20107013796A KR 20100099199 A KR20100099199 A KR 2010009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ernal preparation
acid ester
extrac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오리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피부 자극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계면 활성제나 방부제의 첨가량을 줄여, 자극성이 적고, 제제 안정성이 높은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및/또는 그 유도체와 자당지방산에스테르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와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성이 낮고, 또한 방부 방미 효과가 우수한, 제제 안정성이 높은 피부 외용제.
Figure pct00018

(식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 또는 단당류 혹은 이당류의 당잔기이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를 곱게 하는 효과 그리고 미백 효과가 높은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으로서 처방되는 피부 외용제에서는, 불용 성분의 가용화, 유화, 분산을 위해 각종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피부에 대한 높은 안전성과 제제의 용이한 안정성 확보 등의 이유에서,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물이나 기름에 대한 용존 상태나 계면 활성제로서의 기능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 화장품이 통상 보관되는 온도 영역에서의 장기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활성제의 배합량을 많게 설정하거나 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통상 화장품으로서 처방되는 피부 외용제에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변질을 방지할 목적에서 파라옥시벤조산류나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가 범용되고 있으나, 피부 자체에 대한 자극성 등이 오랫동안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피부는 건조나 자외선, 또한 알레르기 증상으로 연결되는 화분 (花粉), 사회 생활에서 받는 심리적 영향과 같은 다양한 외적·내적 스트레스를 받아, 미소한 자극에 대해서도 민감해지는 경우가 많아, 보다 자극성을 배려한 피부 외용제가 요구되고 있다.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는 기미·주근깨 등의 피부의 색소 침착을 예방·개선시키는 성분으로서 이미 알려져 있으나 (특허문헌 1 ∼ 3 참조),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를, 방부 방미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경우는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는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 이들을 배합한 제제, 특히 점성을 거의 갖지 않는 화장수 등에서는, 제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가용화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통상보다 많이 사용하고, 또한 저급 알코올을 조합하여 배합하는 것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높이는 한 요인으로 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3340928호 명세서 일본특허 제3340935호 명세서 일본특허 제3455406호 명세서
본 발명은 (a)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 또는 단당류 혹은 이당류의 당잔기이다)
본원 발명은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를 피부 외용제에 안정적으로 배합함과 동시에, 피부 자극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계면 활성제나 방부제의 첨가량을 줄여, 자극성이 적은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로도덴드롤 및/또는 그 유도체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또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와, 다가 알코올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제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낮고, 또한 방부 방미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해,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를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자극의 문제가 있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자극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 자체가 방부 방미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종래의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나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의 사용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들 방부제에 의한 피부 자극도 저감시킬 수 있어,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서는, (a)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 또는 단당류 혹은 이당류의 당잔기이다)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 R 이 수소 원자인 로도덴드롤[4-(p-하이드록시페닐)-2-부탄올] 은 공지된 화합물이고, 또한 목약나무 (Acer nikoence Maxim.) 등에 함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도덴드롤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목약나무의 추출물로부터 정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도덴드롤 및 로도덴드롤 유도체에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데, (+) 체, (-) 체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혼합물 ((±) 로 표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51548호)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유도체 중, R 이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인 아실화로도덴드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실화로도덴드롤은 로도덴드롤을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아실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그 아실기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데카노일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안정성, 합성의 용이함에서 직사슬 포화의 아실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실화로도덴드롤로는, 헥사노일로도덴드롤, 아세틸로도덴드롤 등의, (+) 체, (-) 체, (±)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유도체 중, R 이 당잔기인 로도덴드롤 배당체에 있어서의 당잔기는 환원성의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서,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셀로비오스, 겐티비오즈 등의 이당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당체에는
Figure pct00003
결합 및 β 결합을 갖는 이성체가 존재하는데,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로도덴드롤 배당체는 알부틴의 합성 방법으로서 이미 공지된 방법 (USP 제3201385호) 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 중에 있어서 로도덴드롤과 아세틸화당을 삼불소화붕소나 옥시염화인 등을 촉매로서 축합시킨 후, 알칼리 존재하에서 아세틸기를 탈리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로도덴드롤 배당체를 백색의 분말 결정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라즈베리케톤글리코시드를 환원함으로써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천연물로부터 단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당체에는 광학 이성체가 존재하는데, (+) 체, (-) 체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혼합물 (±) 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배당체로는, 로도덴드롤-D-글루코시드 (
Figure pct00004
및 β 체), 로도덴드롤-D-갈락토시드 (
Figure pct00005
및 β 체), 로도덴드롤-D-자일로시드 (
Figure pct00006
및 β 체), 로도덴드롤-D-말토시드 (
Figure pct00007
및 β 체) 등의, (+) 체, (-) 체, (±) 체를 들 수 있다.
(a) 성분의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 중, 방부 방미 효과, 피부 자극성 등의 면에서, 로도덴드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성분의 함유량으로는, 일반식 (1) 에 있어서 R 이 수소 원자인 로도덴드롤의 경우,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 3 질량%, 더욱이 0.2 ∼ 3 질량%, 특히 0.5 ∼ 3 질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R 이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인 아실화로도덴드롤의 경우,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 5 질량%, 더욱이 0.5 ∼ 5 질량%, 특히 1 ∼ 5 질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R 이 당잔기인 로도덴드롤 배당체의 경우,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 5 질량%, 더욱이 0.5 ∼ 5 질량%, 특히 1 ∼ 5 질량% 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이들 범위이면, 방부·방미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음과 함께, 피부 외용제의 처방에 있어서의 폭넓은 자유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서는, 상기 (a) 성분과 함께, (b) 성분으로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c) 성분으로서 다가 알코올을 조합하여 배합한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는, 자당모노지방산에스테르, 자당디지방산에스테르, 자당트리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에스테르 분포가,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의 총량을 기준으로, 자당모노지방산에스테르가 60 ∼ 90 질량%, 자당디지방산에스테르가 5 ∼ 40 질량% 의 분포를 갖는 혼합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지방산은 탄소수 12 ∼ 18 의 포화 혹은 불포화의 지방산으로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배합 비율이 높은 자당모노지방산에스테르로는, 자당모노라우레이트, 자당모노스테아레이트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는 2 ∼ 16 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화도로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인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가 2 ∼ 10 이고, 모노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지방산은 탄소수가 10 ∼ 18 인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혹은 베헨산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대부분이 시판되고 있고,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특정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 (b) 는 그 HLB 값이 10 이상, 특히 11 ∼ 18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c) 성분의 유화 제제에 대한 배합을 용이하게 하고, (a) 성분의 제제 중에 있어서의 안정성에 있어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혼합 HLB 값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되고, 일부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HLB 값은 10 이하이어도 된다. 여기서 혼합 HLB 값은 개개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HLB 값에 각각의 비율을 곱한 것을 합계함으로써 계산된다.
개개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HLB 값은 J. T. Davies and B. K. Rideal, Interfacial Phenomea, Academic Press, New York 1963, pp.371-383 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c) 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트레할로오스, 소르비톨 등이 예시된다. 이 중,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은 (c) 성분과 함께, (a) 성분을 가용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고, 피부 외용제를 유화물로 한 경우에는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겸하여 제제의 안정성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b) 성분인 특정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이다. 이들 함유량의 범위에서는, 계면 활성제로서의 기본적 기능인 가용화, 유화, 분산 작용이 양호함과 동시에, 피부 외용제의 사용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또한, 계면 활성제에 의한 자극감도 잘 나타나지 않게 된다.
또한, (c) 성분인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이다. 이들 함유량의 범위에서는, 계면 활성제로서의 기본적 기능인 가용화, 유화, 분산 작용이 양호함과 동시에, 피부 외용제의 사용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도덴드롤 또는 그 유도체는 그 자체로 우수한 항균 작용을 갖고 있어, 제제의 1 차 및 2 차 오염 방지의 목적으로 배합되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및/또는 페녹시에탄올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미생물에 의한 제제의 부패·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및/또는 페녹시에탄올은 실질상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는, 추가로 중국명 「화극 (火棘)」을 함유시킬 수 있다. 「화극」은 장미과 피라칸타속 (Rosaceae Pyracantha) 의 일종으로, 그 과실이 한방명 「적양자 (赤陽子)」로서, 비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소화 불량 치료 등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어, 이 추출물을 배합한 미백용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55870호).
이 「화극」의 과실인 한방명 「적양자」의 유효 성분 (이하 「화극 추출물」이라고 약기한다) 은 물, 메탄올, 에탄올 혹은 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액에 의해 추출된다. 그 추출액은 그대로 피부 외용제에 배합할 수도 있으나, 이것을 동결 건조법이나 스프레이 드라이법 등으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액을 액액 분배,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수단으로 정제하여, 액상인 것 혹은 분말화한 것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화극 추출물은 고온이나 광에 의한 제제의 갈(褐)변화를 억제하는 환원제로서 배합하는 것도, 그 특성으로부터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의, (d) 성분인 상기 화극 추출물의 함유량은, 피부 외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추출물의 고형물 환산으로 0.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 2 질량% 이다. 이들 범위이면, 보다 효과적으로 제제의 갈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경우, 그 배합 밸런스에 따라서는 (b) 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여, 로도덴드롤 또는 그 유도체의 안정적 배합에 크게 관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b) 성분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5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의 함유량으로 하고, 실질상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필수 성분 외에, 통상,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등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유제, 계면 활성제, 증점제, 금속 이온 봉쇄제, pH 조정제, 물, 알코올류, 약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색소,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연고류, 로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배합량은 모두 질량% 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제의 안정성은 혼탁, 침전에 대한 외관 평가, 가속 조건하에서의 변색 평가 및 일광 노출하에서의 변색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한 피부 자극성은 여성 패널에 의한 피부 자극성 평가에 의해, 방부 방미성은 표준균을 사용한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각의 구체적인 시험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서술한다.
·안정성 평가 (1)
평가 시료를 45 ℃ 에서 2 개월 보존한 것에 대해, 그 외관 (혼탁·침전의 유무) 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다량의 침전 또는 혼탁 있음
△ : 침전 또는 혼탁 있음
○ : 미소하게 침전 또는 혼탁 있음
◎ : 침전·혼탁 없음
·안정성 평가 (2)
평가 시료를 60 ℃ 에서 1 개월간 보존한 것에 대해, 그 변색의 정도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강하게 변색
△ : 변색 있음
○ : 미소하게 변색
◎ : 변색 없음
·안정성 평가 (3)
평가 시료를 일광 노출하에서 1 주일 보존한 것에 대해, 그 변색의 정도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육안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강하게 변색
△ : 변색 있음
○ : 미소하게 변색
◎ : 변색 없음
·피부 자극성 평가
민감 피부라고 자인하는 여성 패널 (20 ∼ 50 대) 20 명에 의해 평가하였다. 여성 패널은 피험 시료를 조석 2 회, 3 일간 연속으로 사용하고, 최종일에 이하의 기준에 따라 피부 자극성에 관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1 회에 하나의 평가 시료를 평가하고, 2 일간의 휴지 기간을 둔 후,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평가 시료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스코어 3 : 자극을 느낌
스코어 2 : 약간 자극을 느낌
스코어 1 : 거의 자극을 느끼지 않음
스코어 0 : 전혀 자극을 느끼지 않음
의 4 단계의 기준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결과를 출현예 수로 하여, 표 4 에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낮은 자극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방부 방미성 평가
표준균으로서 지정된 진균 [곰팡이 (Aspergillus niger ATCC 16404), 효모 (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세균 (Escherichia coli ATCC 8739) 주를 사용하여, 곰팡이의 포자 혹은 48 시간 전 배양한 효모를 평가 시료 1 g 당 1 × 105 colony forming unit (이하, cfu) 이 되도록, 또는 24 시간 전 배양한 세균을 평가 시료 1 g 당 1 × 106 cfu 가 되도록 접종하고, 실온하에 방치하였다. 접종 후 1 ∼ 28 일까지의 경일 (經日) 에 평가 시료 중의 생존 미생물 수를 계측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3 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곰팡이, 효모, 세균 각각에 대한 평가 중 가장 낮은 평가를 방부 방미성에 관한 종합 평가로 하였다.
(평가 기준)
○ : 접종한 곰팡이가 28 일에 1 × 102 cfu/g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접종한 효모가 28 일에 1 × 102 cfu/g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접종한 세균이 14 일에 1 × 10 2 cfu /g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 : 접종한 곰팡이가 28 일에 1 × 102 ∼ 1 × 104 cfu/g 로 감소하였다.
접종한 효모가 28 일에 1 × 102 ∼ 1 × 104 cfu/g 로 감소하였다.
접종한 세균이 14 일에 1 × 10 2 ∼ 1 × 10 5 cfu / g 로 감소하였다.
× : 접종한 곰팡이가 28 일에 1 × 104 cfu/g 이하로 감소하지 않았다.
접종한 효모가 28 일에 1 × 104 cfu/g 이하로 감소하지 않았다.
접종한 세균이 14 일에 1 × 10 5 cfu /g 이하로 감소하지 않았다.
실시예 1 ∼ 24, 비교예 1 ∼ 6 (화장수)
표 1 ∼ 3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제하고, 상기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도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1 ∼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정성이 양호한 반면, 본원 (b) 성분 또는 (c)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 5 는 혼탁·침전이 관찰되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부·방미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 5 는 로도덴드롤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제의 안정성이 나쁘기 때문에, 그 방부·방미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는 본원 실시예이기는 하나, (b) 성분인 특정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전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대한 함유 비율이 낮기 때문에, 제제의 안정성에 있어서 약간 열등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5 는 화극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인데, 혼탁·침전에 관한 제제 안정성과 방부·방미성은 우수하지만 고온하나 일광 노출하에서의 변색 안정성은 열등하여, 화극 추출물이 변색 안정성에 관해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 는 제제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실사용에 있어서 피부 자극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실시예 24 도, 제제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다가 알코올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실사용에 있어서 감촉 면에서 끈적거림을 느끼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12, 13, 14, 비교예 4 에 대해, 피부 자극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12, 13 은 피부 자극이 거의 없고, 안전성이 우수하지만, 로도덴드롤과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인 파라옥시벤조산메틸이나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면, 피부 자극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 비교예 4 는 본원 특정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대신에 통상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의 활성제를 사용한 경우인데, 피부 자극이 관찰되어, 안전성 면에서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11
다음으로 표 5 에 나타내는 화장수 및 표 6 에 나타내는 유화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제하여, 상기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25
에탄올 3
1,3-부틸렌글리콜 2
디프로필렌글리콜 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4) 0.05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3) 0.05
로도덴드롤-D-글루코시드 (β 체) 3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1
화극 추출물 0.1
정제수 잔량
혼탁·침전 (45 ℃, 2 개월)
변색 (60 ℃, 1 개월)
변색 (일광 노출, 1 주일)
방부·방미 평가 결과
(주 4) 서프호프 SE COSME C-1216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16)
실시예 26
스쿠알렌 10
스테아르산 5
세탄올 2.5
바셀린 2
밀랍 1
1,3-부틸렌글리콜 3
디프로힐렌글리콜 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5) 1.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6) 0.5
헥사노일로도덴드롤 3
화극 추출물 0.1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2
정제수 잔량
혼탁·침전 (45 ℃, 2 개월)
변색 (60 ℃, 1 개월)
변색 (일광 노출 1 주일)
방부·방미 평가 결과
(주 5) 서프호프 SE COSME C-1816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16)
(주 6) 서프호프 SE COSME C-1807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7)
또한, 이하의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피부 외용제를 조제하여, 상기 각종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제의 안정성, 방부 방미력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응용예 1 (화장수)
원료 성분 배합량
1,3-부틸렌글리콜 2.0
디프로필렌글리콜 6.0
진한글리세린 5.0
로도덴드롤 1.5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2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4) 0.3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화극 추출물 0.1
감초플라보노이드 (*1) 0.01
라피노스 (*2) 0.05
히말라얀 라즈베리 뿌리 엑기스 (*3) 0.05
서양말오줌나무 엑기스 (*4) 0.01
황련 엑기스 (*5) 0.01
천인화 엑기스 (*6) 0.01
정제수 잔량
*1 ; 유용성 (油溶性) 감초 엑기스 P-T (40) (마루젠 제약사 제조)
*2 ; 올리고 GGF (아사히카세이 공업 제조)
*3 ; 히말라얀 라즈베리 추출액 BG80 (마루젠 제약사 제조)
*4 ; 말오줌나무 추출액 BG (마루젠 제약사 제조)
*5 ; 황련 추출액-J (마루젠 제약사 제조)
*6 ; 천인화 추출액 BG80 (마루젠 제약사 제조)
응용예 2 (유액)
원료 성분 배합량
에탄올 5.0
로도덴드롤 2.0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1) 0.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 1.0
메틸폴리실록산 (*8) 1.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1.0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0.1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진한글리세린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9) 0.25
수산화칼륨 0.12
에데트산2나트륨 0.01
화극 추출물 0.15
당근 엑기스 (*10) 0.1
서양배 발효 엑기스 (*11) 0.1
빌베리잎 엑기스 (*12) 0.1
라즈베리케톤글루코시드 (*13) 0.1
해조 엑기스 (*14) 0.01
정제수 잔량
*7 ; 실리콘 FZ-209 (닛폰 유니카사 제조)
*8 ; KF-96A-200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9 ; CARBOPOL 941 (Noveon INC. 사 제조)
*10 ; 베지터블 콜라겐 (코켄사 제조)
*11 ; 퍼멘테이지 서양배 엑기스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12 ; 큐어베리 엑기스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13 ; 라즈베리케톤글루코시드 (하세가와 향료사 제조)
*14 ; 마린퍼지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응용예 3 (유액)
원료 성분 배합량
에탄올 10.0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15) 1.0
콜레스테롤 0.5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7) 0.2
N-메틸-L-세린 0.01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6) 2.0
스쿠알렌 2.0
시클로펜타폴리실록산 1.0
1,3-부틸렌글리콜 2.0
폴리글리세린 1.0
로도덴드롤-D-글루코시드 2.0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17) 0.2
수산화칼륨 0.1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5
잔탄검 0.1
화극 추출물 0.1
백개자 가수분해 엑기스 (*18) 0.01
인동 엑기스 (*19) 0.01
두유 발효액 (*20) 0.01
밀배아 엑기스 (*21) 0.01
루이보스 엑기스 (*22) 0.01
향료 0.03
정제수 잔량
(주 7) 선소프트 Q-12S (타이요 화학사 제조, HLB = 16.1)
*15 ; 레시놀 S-10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16 ; NIKKOL BMG-20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17 ; PEMULEN TR-1 (Noveon INC. 사 제조)
*18 ; 시나블랑카-WH (테크노블사 제조)
*19 ; 파르콜렉스 인동 SB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20 ; 두유 발효액 (산쇼 제약사 제조)
*21 ; 클라리스킨 (Silab 사 제조)
*22 ; 파르콜렉스 루이보스 B(N)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응용예 4 (유액)
원료 성분 배합량
스쿠알렌 2.0
친유형 (親油型)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5
스테아르산 1.0
세탄올 0.4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8) 0.2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9) 2.0
1,3-부틸렌글리콜 3.0
로도덴드롤 1.5
트리에탄올아민 0.2
화극 추출물 0.05
연꽃 종자 발효 엑기스 (*23) 0.05
인도멀구슬나무잎 엑기스 (*24) 0.05
스타티스 엑기스 (*25) 0.05
루피너스 엑기스 (*26) 0.05
카레나무 엑기스 (*27) 0.05
향료 0.02
정제수 잔량
(주 8) 료토폴리글리세린산에스테르 ER-30D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10)
(주 9) 료토폴리글리세린산에스테르 SWA-10D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15)
*23 ; 연양과 (蓮釀果) (테크노블사 제조)
*24 ; 님리프 리퀴드 B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25 ; 스타티스 SC (세크마사 제조)
*26 ; 스트럭트린 (Silab 사 제조)
*27 ; 카레나무 추출액 (미키모토사 제조)
응용예 5 (O/W 크림)
원료 성분 배합량
스쿠알렌 10.0
팔미트산이소프로필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0
스테아르산 7.0
밀랍 1.0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5) 2.5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6) 0.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 0.5
1,3-부틸렌글리콜 10.0
로도덴드롤-D-글루코시드 3.0
알칼리게네스 레이터스 B16 폴리머 0.05
화극 추출액 0.1
당근 액즙 (*28) 0.1
오렌지 과즙 (*29) 0.1
디오스코레아 콤포지타 엑기스 (*30) 0.1
효모 엑기스 (*31) 0.1
산호초 엑기스 (*32) 0.1
수산화칼륨 0.5
향료 0.03
정제수 잔량
*28 ; 호모프루츠캐럿 N (에스페리스사 제조)
*29 ; 호모프루츠오렌지 N (에스페리스사 제조)
*30 ; 디오스코레아 콤포지타 뿌리 엑기스 (미츠이 화학사 제조)
*31 ; 이스트 리퀴드 ZB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32 ; 코럴그래스 (테크노블사 제조)
응용예 6 (W/O 크림)
원료 성분 배합량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1.0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33) 10.0
디메티콘코폴리올 2.0
스쿠알렌 3.0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10) 0.2
염화나트륨 1.0
염화마그네슘 1.0
디프로필렌글리콜 7.0
헥사노일로도덴드롤 2.0
글리시레트산스테아레이트 0.1
미립자 산화티탄 (*34) 2.0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0.1
화극 추출액 0.05
살구 과즙 (*35) 0.01
마로니에 엑기스 (*36) 0.01
β-카로틴 (*37) 0.01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주 10) 서프호프 SE COSME C-1811
(미츠비시 화학 푸즈사 제조, HLB = 11)
*33 ; TSF405 (GE 토시바 실리콘사 제조)
*34 ; 타이페이크 TTO-55(A) (이시하라 산업사 제조)
*35 ; 아프리콧 엑기스 K (에스페리스사 제조)
*36 ; 마로니에 추출액 BG-J (마루젠 제약사 제조)
*37 ; β 카로틴 (로슈사 제조)
응용예 7 (미용액)
원료 성분 배합량
에탄올 5.0
리조레시틴 0.5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3) 0.1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 2.0
1,3-부틸렌글리콜 3.0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16) 0.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1.0
로도덴드롤 3.0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주 1) 0.1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0.5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38)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2
니코틴산아미드 1.0
염화레보카르니틴 0.3
N-메틸-L-세린 0.1
수산화칼륨 0.07
화극 추출물 0.1
바위배추 엑기스 0.01
락트산균 발효액 (*39) 0.1
γ-아미노부티르산 (*40) 0.02
차 열매 엑기스 (*41) 0.01
동백 엑기스 (*42) 0.01
염주 엑기스 (*43) 0.01
바위취 엑기스 (*44) 0.01
지황 엑기스 (*45) 0.01
노송나무수 (*46) 0.01
등피 엑기스 (*47) 0.01
메발로노락톤 (*48) 0.01
후박나무 껍질 엑기스 (*49) 0.01
정제수 잔량
*38 ; Lipidure PMB (Ph10) (니혼 유지사 제조)
*39 ; 호에이 CPA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40 ; BIO GABA (쿄와 발효사 제조)
*41 ; 차 열매 추출물 (마루젠 제약사 제조)
*42 ; 동백 종자 추출물 (마루젠 제약사 제조)
*43 ; 율무쌀 추출액 BG-S (마루젠 제약사 제조)
*44 ; 바위취 엑기스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45 ; 지황 추출액 BG-J (마루젠 제약사 제조)
*46 ; 노송나무수 B (마루젠 제약사 제조)
*47 ; 등피 리퀴드 B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48 ; 메발로노락톤 (아사히 전화사 제조)
*49 ; 파르콜렉스 후박나무 B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응용예 8 (선스크린)
원료 성분 배합량
에탄올 8.0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1.0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주 2) 0.1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10.0
메틸폴리실록산 (*8) 3.0
미립자 산화티탄 (*50) 3.0
미립자 산화아연 (*51) 7.0
무수 규산 1.0
저점도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0.5
퍼플루오로알킬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규산 0.1
가교형 실리콘말 1.0
1,3-부틸렌글리콜 5.0
진한글리세린 1.0
헥사노일로도덴드롤 3.0
글리시레트산스테아릴 0.1
화극 추출물 0.05
실크 추출액 0.01
가수분해 실크액 (*52) 0.01
정제수 잔량
*50 ; ZnO-350 (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사 제조)
*51 ; 타이페이크 TTO-55(A) (이시하라 산업사 제조)
*52 ; 실크겐 G 솔루블 S (이치마루 파르코스사 제조)
응용예 9 (팩)
원료 성분 배합량
에탄올 10.0
폴리비닐알코올 13.0
1,3-부틸렌글리콜 1.0
디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2.0
메틸페닐폴리실록산 (*7) 0.2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0.2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주 1) 0.05
스쿠알렌 0.2
로도덴드롤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5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
화극 추출물 0.05
서양흰버드나무잎 엑기스 (*53) 0.05
정제수 잔량
*53 ; ASTRESSYL (Silab 사 제조)
또한, 상기 응용예에 있어서 사용한 향료의 조성을 표 7 에 나타낸다.
향료 처방
성분 질량‰ 성분 질량‰
터피네올 10.00 바닐린 2.00
터피닐아세테이트 2.00 에틸바닐린 0.10
세피오네이트 60.00 무스콘 0.50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250.00 에틸렌브라실레이트 42.00
인돌 0.05 4,6,6,7,8,8-헥사메틸-1,3,4,6,7,8-헥사하이드로시클로펜타벤조피란 60.00
2-메틸-3-(3,4-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파날 3.00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20.00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20.00 앰브레톨리드 1.00
하이드록시시트로넬롤 10.00 γ-운데카락톤 0.40
p-t-부틸-
Figure pct00012
-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35.00 γ-데카락톤 0.10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1-카르복시알데히드 75.00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 0.50
3-메틸-5-페닐펜타놀 20.00 무스크케톤 0.10
페닐에틸알코올 10.00 스카톨 0.01
Figure pct00013
-이오논
10.00 시스자스몬 0.05
β-이오논 20.00 페닐에틸아세테이트 0.10
γ-메틸이오논 10.00 시베톤 0.20
디하이드로-β-이오논 25.00 γ-노나락톤 0.05
벤질살리실레이트 150.00
Figure pct00014
-산탈롤
0.20
시스-3-헥세닐살리실레이트 30.00 β-산탈롤 0.20
오이게놀 0.80 오이게닐아세테이트 0.10
신나믹알코올 5.00
Figure pct00015
-헥실신나믹아데히드
20.00
신나믹알데히드 0.50
Figure pct00016
-다마스콘
0.04
구아이올아세테이트 1.00 β-다마스콘 0.02
구아이올 0.50 β-다마세논 0.01
세드레닐아세테이트 5.00 δ-다마스콘 0.01
세드릴메틸케톤 30.00 로즈앱솔루트 0.50
6,7-디하이드로-1,1,2,3,3-펜타메틸-4(5H)-인단 2.00 로즈오일 4.50
베티버아세테이트 10.00 샌달우드오일 2.00
3-메틸-5-(2,3,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펜탄-2-올 2.00 랍다넘앱솔루트 0.05
2-에틸-4-(2,3,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0.80 시스트앱솔루트 0.01
이소보르닐시클로헥사놀 35.00 베티버오일 0.50
헬리오트로핀 10.00 가약나무 오일 0.10
쿠마린 2.00 합계 1000.00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고,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를 곱게 하는 효과 그리고 미백 효과가 높은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a)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로도덴드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ct00017

    (식 중, R 은 수소 원자, 탄소수 2 ∼ 20 의 아실기 또는 단당류 혹은 이당류의 당잔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로도덴드롤인 피부 외용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성분이 HLB 10 이상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피부 외용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장미과 피라칸타속 (Rosaceae Pyracantha) 의 1 종인 중국명 「화극」(Pyracantha fortuneana) 의 과실의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성분을 0.1 ∼ 3 질량% 함유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및/또는 페녹시에탄올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KR1020107013796A 2007-12-25 2008-12-25 피부 외용제 KR20100099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1516 2007-12-25
JP2007331516 2007-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199A true KR20100099199A (ko) 2010-09-10

Family

ID=4080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796A KR20100099199A (ko) 2007-12-25 2008-12-25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9081587A1 (ko)
KR (1) KR20100099199A (ko)
CN (1) CN101909592B (ko)
TW (1) TW200930394A (ko)
WO (1) WO2009081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0885B1 (fr) * 2009-10-01 2011-12-23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e vanilline comme conservateur, procede de conservation, compose et composition.
JP2012031125A (ja) * 2010-08-03 2012-02-16 Nikko Chemical Co Ltd 紫外線吸収剤を含有する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並びに化粧料
FR2968657B1 (fr) * 2010-12-13 2013-03-15 Oreal Utilisation comme conservateur de derives dimethoxy-hydroxyphenyl-alkyl substitues, procede de conservation, compose et composition
WO2012131177A1 (fr) * 2011-03-31 2012-10-04 L'oreal Utilisation de dérivés hydroxylés de vanilline comme conservateur, procédé de conservation, composés et composition
JP2012224622A (ja) * 2011-04-08 2012-11-15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2224623A (ja) * 2011-04-08 2012-11-15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2224624A (ja) * 2011-04-08 2012-11-15 Kao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03222944B (zh) * 2011-09-27 2014-11-26 沈志荣 一种含植物提取物的瞬透生肌水组合物的制备方法
GB2500585A (en) 2012-03-23 2013-10-02 Univ Manchester Use of oligosaccharides to reduce skin pigmentation
US11166886B2 (en) 2012-12-21 2021-11-0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N103083210A (zh) * 2013-01-25 2013-05-08 王恩瀚 具有美白皮肤作用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5118625A1 (ja) * 2014-02-05 2015-08-13 株式会社マンダム ジケトン作用抑制剤
CN103792302B (zh) * 2014-02-17 2014-12-31 苏州出入境检验检疫局检验检疫综合技术中心 一种检测化妆品中杜鹃醇的方法
CN106137811B (zh) * 2015-04-03 2020-08-25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用途
CN107049824A (zh) * 2017-06-27 2017-08-18 上海新高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DE102018001761A1 (de) * 2018-03-06 2019-09-12 4Gene Gmbh Zusammensetzung mit einem Aromaglykosid und einem Wirkstoff
CN111394192B (zh) * 2019-12-31 2022-09-16 纳爱斯浙江科技有限公司 一种温和无刺激的全食品级洗涤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669686A (zh) * 2020-12-22 2023-08-29 莱雅公司 用于增亮和/或增白角蛋白材料的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0928B2 (ja) * 1996-12-24 2002-11-05 カネボウ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美白化粧料
JP3340935B2 (ja) * 1997-03-26 2002-11-05 カネボウ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化粧料
JP3455406B2 (ja) * 1997-12-22 2003-10-14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2003321488A (ja) * 2002-04-24 2003-11-11 Hajime Ikegai 抗菌性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抗菌剤組成物
JP4681512B2 (ja) * 2006-06-27 2011-05-11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5049638B2 (ja) * 2007-04-26 2012-10-17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8799B (ko) 2012-12-11
CN101909592A (zh) 2010-12-08
WO2009081587A1 (ja) 2009-07-02
CN101909592B (zh) 2013-01-30
JPWO2009081587A1 (ja) 2011-05-06
TW200930394A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9199A (ko) 피부 외용제
JP5654731B2 (ja) 藍草抽出物粉末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藍草抽出物粉末の用途
JP4681512B2 (ja) 皮膚外用剤
WO2006126675A1 (ja) 皮膚外用剤
WO2000044341A1 (fr) Compositions destinees a un usage externe
JPH08325156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含有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CN1933801A (zh) (2-羟苯基)醇的用途和含有该化合物的化妆品或治疗制剂
JP2015229655A (ja) 皮膚外用剤
JP5024978B2 (ja) 抗酸化剤
JP4517249B2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及びメラニン産生促進用組成物
JP5530058B2 (ja) カロテノイドが安定化された水性製剤
JPS61130232A (ja) シコニン含有組成物
KR101361430B1 (ko)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JP2008007433A (ja) 美白化粧料
JP4874577B2 (ja) 皮膚外用剤
JP4084726B2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チロシナーゼ阻害剤、及び血小板凝集抑制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品。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082531A (ja) 抗炎症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物
JP2008007436A (ja) 美白化粧料
JP2020005610A (ja) ナツハゼ節植物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JP2005281174A (ja) 活性酸素消去剤
JP4632115B2 (ja) エゴノール誘導体からなる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エゴノ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5035981A (ja) 抗炎症剤及び抗老化剤
WO2005082151A1 (ja) 抗菌剤及び抗菌性組成物
JP6703366B2 (ja) 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