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783A -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783A
KR20100097783A KR1020090016605A KR20090016605A KR20100097783A KR 20100097783 A KR20100097783 A KR 20100097783A KR 1020090016605 A KR1020090016605 A KR 1020090016605A KR 20090016605 A KR20090016605 A KR 20090016605A KR 20100097783 A KR20100097783 A KR 2010009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ionine
solution
solubility
acid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711B1 (ko
Inventor
김소영
신용욱
허인경
김현아
김주은
서창일
손성광
이상목
전성후
이한진
나광호
김일출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1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11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EP10746471.1A priority patent/EP2402363B1/en
Priority to MYPI2011004060A priority patent/MY153916A/en
Priority to ES10746471.1T priority patent/ES2477220T3/es
Priority to PCT/KR2010/001254 priority patent/WO2010098632A2/ko
Priority to JP2011551988A priority patent/JP5591263B2/ja
Priority to PL10746471T priority patent/PL2402363T3/pl
Priority to CN201080009633.9A priority patent/CN102333787B/zh
Priority to US13/203,539 priority patent/US20120136058A1/en
Publication of KR2010009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11B1/ko
Priority to US15/282,416 priority patent/US201700160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9/0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26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치오닌의 용해도 효율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적정한 비율로 미네랄과 황산을 첨가함으로써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켜 물에 대한 메치오닌의 낮은 용해도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치오닌, L-메치오닌, 용해도, 미네랄, 2가 금속 이온, 산처리

Description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A method of enhancing the methionine solubility using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본 발명은 메치오닌의 용해도 효율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적정한 비율로 미네랄과 황산을 첨가함으로써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켜 물에 대한 메치오닌의 낮은 용해도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치오닌은 생체내의 필수 아미노산의 한 종류로 사료 및 식품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며, 의약용으로 수액제, 의약품의 합성 원료로도 사용된다. 메치오닌은 콜린(레시틴)과 크레아틴과 같은 화합물의 전구체로 작용하며 시스테인과 타우린의 합성원료로도 쓰인다.  또한, 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S-아데노실-메치오닌은 L-메치오닌으로부터 유래하며 생체내에서 메칠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뇌의 다양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합성에 관련되어 있다. 메치오닌 및/또는 S-아데노실-L-메치오닌(SAM)은 생체 내에서 간과 동맥에서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우울, 염증, 간질환, 근육통을 완화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Jeon BR et al., J Hepatol., 2001 Mar; 34(3): 395-401). 
메치오닌의 화학합성은 주로 5-(β-메틸머캅토에틸)하이단토인(5-(β-methylmercaptoethyl)-hydantoin)을 가수분해시키는 반응을 통하여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런 화학합성을 통하여 생산된 메치오닌은 L-형과 D-형이 혼합된 형태로 생산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L-메치오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WO2008/013432). 이 방법은 간편하게 2단계 공법으로 명명하며 발효에 의한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공정, 및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를 효소에 의하여 L-메치오닌으로 전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L-메치오닌 전구체는 바람직하게 O-아세틸호모세린과 O-숙시닐 호모세린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L-메치오닌만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DL-메치오닌을 동시에 생산하는 기존의 화학 합성 공정에 비하여 우수한 공정이며, 추가적으로 동일한 반응을 통하여 부산물로서 유기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숙신산 또는, 아세트산을 동시에 생산 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공정이다.상기 2단계 공법에서 얻어지는 L-메치오닌은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용액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DL-메치오닌, 또는 L-메치오닌이 수용액 내에서 나타내는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5% (w/v) 수준이다. 메치오닌을 수용액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고농도의 메치오닌 수용액 제조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나 메치오닌의 낮은 용해도 때문에 고농도의 메치오닌 수용액 제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고농도의 메치오닌 수용액은 사료 등의 용도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저 농도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메치 오닌 농도가 높아 제형 변형 및 유도체 제조 등의 다양한 용도에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적정 미네랄과 산처리 방법을 병행함으로서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량의 미네랄을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켜준 후 다시 산처리를 통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하나 이상의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 산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 하나 이상의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산을 함유하는 메치오닌의 용해도가 증대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은 황화철, 황화망간 및 황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처리에는 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치오닌은 DL- 메치오닌과 L-메치오닌을 포함하며,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생산한 메치오닌 및, 다양한 순도 또는 함량으로 구성된 메치오닌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한 미네랄의 양을 최소화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킨 상태에서, 이후 산처리를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물에 대한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10배 정도 이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미네랄을 첨가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켜준 후 다시 산처리를 통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원에서는 금속 이온들은 황화철, 황화망간, 황화아연 등의 이가 금속이온을 이용한 킬레이팅 및 황산을 이용한 산처리의 특징으로 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양태에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은 DL-메치오닌 또는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DL-메치오닌 또는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의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5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L-메치오닌 또는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메치오닌 대비 1:1 (mol:mol) 내지 1:2 (mol:mol)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산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 양태에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은 발효 또는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한 용액, 또는 이를 정제, 농축 또는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L-메치오닌 농축액을 사용하거나, 또는 L-메치오 닌 건조물을 재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효 또는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한 용액, 또는 이를 정제, 농축 또는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L-메치오닌 농축액, 또는 L-메치오닌 건조물의 경우, L-메치오닌의 순도는 10% 에서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서, L-메치오닌은 종래 특허문헌인 국제특허 제WO2008/013432호에 명기된 바대로, 제작된 미생물 균주를 발효 후, 효소 전환 반응을 이용하여 생산한 L-메치오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L-메치오닌 용액을 정제, 농축 또는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L-메치오닌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서, L-메치오닌은 상기의 발효 후 효소 전환 반응법을 이용하여 생산한 후,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분말 과립 형태의 건조물로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 과립 형태의 L-메치오닌의 순도는 약 60% 였다.
상기의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L-메치오닌의 용해도는 35%까지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L-메치오닌 대비 1:1 (mol:mol) 내지 1:2 (mol:mol)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산처리를 수행한다.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는 L-메치오닌 이외의 불순물 함량이 높아 용해도의 향상이 90% 이상의 순도를 가진 메치오닌에 대비하여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메치오닌의 순도가 높아짐에 따라 메치오닌의 용해도는 35% 부터 50% 까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에서,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으로부터 정제되어 순도 99% 이상을 확인한 L-메치오닌을 이용한 경우, 상기의 Sigma 사로부터 구매한 순도 99% 의 L-메치오닌과 동일한 실험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산처리는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산을 바람직하기로는 0.5 M 이하의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0.1 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미네랄을 첨가한 후 다시 산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은 미네랄 첨가 또는 산처리를 단독으로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미네랄의 과다 사용 및 산처리를 통한 제품의 강 산성화의 문제점 없이 메치오닌 용해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산된 메치오닌 용액은 사료 및 식품 첨가제, 의약용 및 의약품의 원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미네랄을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필요한 미네랄의 양을 최소화하고 혹은 다양화한 후, 산처리를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물에 대한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10배 정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용해도를 높인 메치오닌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복합 미네랄을 사용할 수 있다. 메치오닌은 L-메치오닌과 DL-메치오닌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발효 및 효소전환반응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방법을 통하여 고농도의 액상 메치오닌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고농도의 메치오닌 수용액은 사료 등의 용도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저 농도 대비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메치오닌 농도가 높아 제형 변형 및 유도체 제조 등의 다양한 용도에 편리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화망간을 이용한 12% 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산처리에 의한 메치오닌 50 % 용액 제조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메치오닌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50~55 g/L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메치오닌 (99%, Sigma, 미국)을 이용하여 50 mL의 물에 2.5 g을 녹여 L-메치오닌 5% (5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70~80℃에서 교반하면서 L-메치오닌 23.5 mM (3.5 g)을 투입하고 추가로 투입된 L-메치오닌과 황화망간이 몰비로 1:1이 되게 첨가하면서 L-메치오닌 12% (12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L-메치오닌 결정이 완벽히 용해됨을 확인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하면서 위의 12% L-메치오닌 용액에 추가로 과량의 L-메치오닌 약 40 g을 첨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98% 황산(36.8 N)을 L-메치오닌 용액에 0.1 M 되게 첨가하여 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발열반응이 종료 된 후 필터링을 하여 용해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L-메치오닌 결정을 제거한 후 L-메치오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50% (500 g/L) 용액이 제조되었다. L-메치오닌 농도 확인은 HPLC로 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DL-메치오닌 (99%, Sigma, 미국) 을 사용하여 수행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황화아연을 이용한 12% 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산처리에 의한 메치오닌 50 % 용액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5%의 L-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50 mL를 취하여 70~80℃에서 교반하면서 L-메치오닌 23.5 mM (3.5 g)을 투입하고 추가로 투입된 L-메치오닌과 황화아연이 몰비로 1:1이 되게 첨가하면서 L-메치오닌 12% (12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L-메치오닌 결정이 완벽히 용해됨을 확인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하면서 위의 12% L-메치오닌 용액에 추가로 과량의 L-메치오닌 약 40 g 정도를 첨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98% 황산 (36.8 N)을 L-메치오닌 용액에 0.1 M 되게 첨가하여 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발열반응이 종료 된 후 필터링을 하여 용해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L-메치오닌 결정을 제거한 후 L-메치오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50% (500 g/L) 용액이 제조되었다. L-메치오닌 농도 확인은 HPLC로 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DL-메치오닌을 사용하여 수행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 인하였다.
실시예 3: 황화망간, 황화아연, 황화철을 이용하여 12% 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산처리에 의한 메치오닌 51%, 미네랄 3.75% 용액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5%의 L-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50 mL를 취하여 70~80℃에서 교반하면서 L-메치오닌 23.5 mM (3.5 g)을 투입하고 추가로 황화망간, 황화아연, 황화철을 각각 1 g씩 첨가하여 L-메치오닌 12% (12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미네랄의 투입량은 황화망간 5.92 mM, 황화아연 3.48 mM, 황화철 2.5 mM이 된다. L-메치오닌 결정이 완벽히 용해됨을 확인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하면서 위의 12% L-메치오닌 용액에 추가로 과량의 L-메치오닌 약 40g 정도를 첨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98% 황산(36.8 N)을 L-메치오닌 용액에 0.1 M 되게 첨가하여 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발열반응이 종료 된 후 필터링을 하여 용해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L-메치오닌 결정을 제거한 후 L-메치오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51% (500 g/L), 미네랄 3.75%의 용액이 제조되었다. L-메치오닌 농도 확인은 HPLC로 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DL-메치오닌을 사용하여 수행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황화망간, 황화아연, 황화철을 이용하여 12% 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산처리에 의한 메치오닌 50%, 미네랄 1.88% 용액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5%의 L-메치오닌 용액 제조 후 50 mL를 취하여 70~80℃에서 교반하면서 L-메치오닌 23.5 mM (3.5 g)을 투입하고 추가로 황화망간, 황화아연, 황화철을 각각 0.5 g씩 첨가하여 L-메치오닌 12% (12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미네랄의 투입량은 황화망간 2.96 mM, 황화아연 1.74 mM, 황화철 1.25 mM이 된다. L-메치오닌 결정이 완벽히 용해됨을 확인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하면서 위의 12% L-메치오닌 용액에 추가로 과량의 L-메치오닌 약 40 g 정도를 첨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98% 황산 (36.8 N)을 L-메치오닌 용액에 0.1 M 되게 첨가하여 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발열반응이 종료 된 후 필터링을 하여 용해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L-메치오닌 결정을 제거한 후 L-메치오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 51% (500 g/L), 미네랄 1.88%의 용액이 제조되었다. L-메치오닌 농도 확인은 HPLC로 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DL-메치오닌을 사용하여 수행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발효 및 전환 반응을 이용하여 생산한 L-메치오닌을 이용한 L-메치오닌 용액 제조
본 실시예는 발효를 통해 생산한 O-아세틸호모세린을 효소전환반응하여 제조한 L-메치오닌 분말을 사용하여 고농도의 L-메치오닌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1차로, 발효를 통해 생산한 O-아세틸호모세린을 효소전환반응하여 제조한 L-메치오닌 용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과립 제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과립 L-메 치오닌을 제작하였다. 과립 L-메치오닌중의 L-메치오닌 함량은 HPLC를 통하여 정량하였으며 약 60% 의 순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L-메치오닌 용액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종래 특허문헌인 국제특허 제WO2008/013432호에 명기되어 있다.
L-메치오닌 과립을 정량하여 L-메치오닌의 농도가 5%가 되도록 L-메치오닌 용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50 mL를 취하여 70~80℃에서 교반하면서 L-메치오닌 과립 5.83 g을 투입하고 추가로 황화철 5 g을 첨가하면서 L-메치오닌 12% (120 g/L) 용액을 제조하였다. 과립 L-메치오닌 결정이 완벽히 용해됨을 확인한 후 상온에서 교반을 하면서 위의 12% L-메치오닌 용액에 추가로 과량의 L-메치오닌 약 67 g을 첨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98% 황산 (36.8 N)을 L-메치오닌 용액에 0.1 M 되게 첨가하여 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발열반응이 종료 된 후 필터링을 하여 용해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과립 L-메치오닌 결정을 제거한 후 L-메치오닌을 측정한 결과 35% (350 g/L) 용액이 제조되었다. L-메치오닌 농도 확인은 HPLC로 하였다. 이 경우 미네랄의 함량은 0.1% 로 계산된다. 이 용액의 농도가 상기 실시예의 99% 순도의L-메치오닌 또는 DL-메치오닌에 비하여 낮은 것은 L-메치오닌 과립 중에 40% 로 존재하는 불순물이 함께 용액에 용해됨으로서 L-메치오닌의 용해를 저해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상기 L-메치오닌 용액으로부터 순도 99% 이상의 L-메치오닌을 제작하였다. 상기 L-메치오닌 용액은 황산을 이용하여 pH1.0 으로 적정한 후 양이온 교환 수지에 흡착하고,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용리하였다. 용리액은 다시 황산을 이용하여 pH를 7.0으로 적정한 후 열을 가하며 2배 농축하였다. 농축액에 과량의 메탄올을 투입하여 결정화를 유도하고 형성된 결정을 회수하여 건조하였다. 건조 결정은 HPLC를 이용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결정의 순도는 99%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회수한 L-메치오닌 결정 분말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부터4 번의 실험을 동일하게 수행한 결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50% 이상의 메치오닌 용액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미네랄을 첨가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향상시켜준 후 다시 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물에 대한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10배 정도 이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료, 식품 첨가제 및 의약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L-메치오닌 용해도를 50%까지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Claims (8)

  1. 액상 메치오닌을 제조함에 있어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하나 이상의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 산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 이온은 황화철, 황화망간 및 황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황산인,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은 DL-메치오닌 또는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인,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은 발효 및 효소전환법으로 생산한 L-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인,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2가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미네랄을 메치오닌 대비 1:1 (mol:mol) 내지 1:2 (mol:mol) 비율로 첨가하는,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는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용액에 산을 0.5M 이하의 농도로 첨가하여 수행하는,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8.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메치오닌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90016605A 2009-02-27 2009-02-27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KR10116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05A KR101164711B1 (ko) 2009-02-27 2009-02-27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MYPI2011004060A MY153916A (en) 2009-02-27 2010-02-26 Metho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methionine by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ES10746471.1T ES2477220T3 (es) 2009-02-27 2010-02-26 Método para aumentar la solubilidad de metionina mediante la adición de mineral y tratamiento ácido
PCT/KR2010/001254 WO2010098632A2 (ko) 2009-02-27 2010-02-26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EP10746471.1A EP2402363B1 (en) 2009-02-27 2010-02-26 Metho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methionine by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JP2011551988A JP5591263B2 (ja) 2009-02-27 2010-02-26 ミネラル添加と酸処理を用いてメチオニンの溶解度を増加させる方法
PL10746471T PL2402363T3 (pl) 2009-02-27 2010-02-26 Sposób zwiększania rozpuszczalności metioniny poprzez dodanie substancji mineralnych i działanie kwasem
CN201080009633.9A CN102333787B (zh) 2009-02-27 2010-02-26 通过添加矿物和酸处理增加蛋氨酸的溶解度的方法
US13/203,539 US20120136058A1 (en) 2009-02-27 2010-02-26 Metho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Methionine By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US15/282,416 US20170016037A1 (en) 2009-02-27 2016-09-30 Metho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Methionine by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05A KR101164711B1 (ko) 2009-02-27 2009-02-27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783A true KR20100097783A (ko) 2010-09-06
KR101164711B1 KR101164711B1 (ko) 2012-07-11

Family

ID=4266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605A KR101164711B1 (ko) 2009-02-27 2009-02-27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20136058A1 (ko)
EP (1) EP2402363B1 (ko)
JP (1) JP5591263B2 (ko)
KR (1) KR101164711B1 (ko)
CN (1) CN102333787B (ko)
ES (1) ES2477220T3 (ko)
MY (1) MY153916A (ko)
PL (1) PL2402363T3 (ko)
WO (1) WO201009863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8966A1 (en) * 2010-12-29 2012-07-12 Cj Cheiljedang Corporation Methods for production of l-methionine and related produ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13873A2 (pt) * 2016-01-08 2018-12-18 Evonik Degussa Gmbh método para a produção fermentativa de l-metionina e/ou seus derivados
KR20180078621A (ko) * 2016-12-30 2018-07-10 씨제이제일제당 (주) 결정화 기술을 이용한 l-메티오닌 결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3391A (en) * 1945-09-26 1948-06-15 Du Pont Methionine isolation process
DE2259159C3 (de) * 1972-12-02 1980-01-10 Deutsche Gold- Und Silber-Scheideanstalt Vormals Roessler,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gerungsstabilem Methionin
US3941818A (en) * 1973-08-20 1976-03-02 Zinpro Corporation 1:1 Zinc methionine complexes
US3950372A (en) * 1974-07-03 1976-04-13 Zinpro Corporation 1:1 Manganese alpha amino acid complexes
KR880002033B1 (ko) * 1986-05-31 1988-10-13 주식회사 동양금속화학 아연, 철, 구리-메치오닌 컴플렉스의 제조방법
US4764633A (en) 1987-08-31 1988-08-16 Zinpro Corporation Ferric ion catalyzed complexation of zinc and/or manganese with alpha amino acids
US5278329A (en) * 1992-02-21 1994-01-11 Zinpro Corporation L-form 1:1 metal methionine complexes
US5504055A (en) * 1994-03-15 1996-04-02 J.H. Biotech, Inc. Metal amino acid chelate
US5430164A (en) * 1994-10-18 1995-07-04 Zinpro Corporation Enhanced solubilization of zinc and manganese methionine complex salts by addition of ferric ion
JP2002047266A (ja) * 2000-07-27 2002-02-12 Res Inst For Prod Dev メチオニン・遷移金属錯体およびアミノ酸を含む組成物
US8338141B2 (en) 2003-07-08 2012-12-25 Novus International, Inc. Methionine recovery processes
KR20050110167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중앙바이오텍 금속-메치오닌 1:1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0481326B1 (ko) * 2004-06-22 2005-04-07 주식회사 동암비티 유기태 킬레이트의 제조방법
MY158845A (en) * 2005-12-21 2016-11-15 Abbott Lab Induced-viscosity nutritional emulsions
US8007846B2 (en) * 2006-01-18 2011-08-30 Albion International, Inc. Mixed amino acid/mineral compounds having improved solubility
KR100905381B1 (ko) 2006-07-28 2009-06-30 씨제이제일제당 (주)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 및 상기 l-메치오닌전구체로부터의 l-메치오닌 및 유기산의 생산방법
TR201821029T4 (tr) 2007-02-23 2019-01-21 Merck Sharp & Dohme Geliştirilmiş antı-IL-23p19 antikorlar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8966A1 (en) * 2010-12-29 2012-07-12 Cj Cheiljedang Corporation Methods for production of l-methionine and related products
US9260732B2 (en) * 2010-12-29 2016-02-16 Cj Cheiljedang Corp Methods for production of L-methionine and related products
US9752167B2 (en) 2010-12-29 2017-09-05 Cj Cheiljedang Corporation Methods for production of L-methionine and related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3787B (zh) 2014-05-21
EP2402363A4 (en) 2012-11-28
JP5591263B2 (ja) 2014-09-17
CN102333787A (zh) 2012-01-25
KR101164711B1 (ko) 2012-07-11
EP2402363B1 (en) 2014-04-16
EP2402363A2 (en) 2012-01-04
US20120136058A1 (en) 2012-05-31
PL2402363T3 (pl) 2014-08-29
WO2010098632A2 (ko) 2010-09-02
ES2477220T3 (es) 2014-07-16
US20170016037A1 (en) 2017-01-19
WO2010098632A3 (ko) 2011-04-07
MY153916A (en) 2015-04-15
JP2012518684A (ja)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1497B2 (ja) メチルメルカプタンとジメチルスルフィドの混合物を使用してメチオニン生産能を増加させる方法
US8088949B2 (en) Process for purifying L-cysteine
BR112013016810B1 (pt) métodos para produção de l-metionina e produtos correlatos
KR101164711B1 (ko) 미네랄 첨가와 산처리를 이용하여 메치오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EP1035109B1 (en) Aqueous lysine solution
CN109180510B (zh) 一种高纯谷氨酸亚铁的制备方法
CN101735089A (zh) 利用羰基铁合成氨基酸螯合铁方法
CA279744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errous sulphate monohydrate
JPWO2012014808A1 (ja) ペプチドの製造方法
JP2021515551A (ja) 塩基性アミノ酸の分離
JPS5940823B2 (ja) アミノ酸の製法
BR102012012053B1 (pt) composição fertilizante contendo molibdênio, processo de preparação da mesma e método para o tratamento de plantas
Kuvaeva et al. Synthesis of L-ornithine L-aspartate from L-arginine
KR101959061B1 (ko)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JP2008156282A (ja) α−リポ酸L−オルニチン塩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40214883A1 (en) Calcium monoaspartate
CN112888702A (zh) 制备n-乙酰基二肽以及n-乙酰基氨基酸的方法
CN110452137A (zh) 用牛磺酸和氯化钙制备牛磺酸螯合钙的方法
CN109793111A (zh) 一种饲料用苏氨酸螯合亚铁的制备方法
CN110467550A (zh) 一种牛磺酸螯合钙的制备方法
CN109770076A (zh) 一种饲料用赖氨酸螯合铁的制备方法
MU et al. Manufacturing technology of chelation of amino acids with microelements
CN107445868A (zh) N‑氨甲酰谷氨酸螯合锰及其制备方法
BR102012012831A2 (pt) Compostos minerais quelatos,processo de preparação dos compostos minerais quelatos,uso de pelo menos um composto mineral quelato, composições fertilizantes contendo compostos minerais quelatos,método para o tratamentos de plantas e composições nutricionais para humanos e animais
WO2014121648A1 (zh) 一种肌酸的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