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061B1 -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061B1
KR101959061B1 KR1020170036312A KR20170036312A KR101959061B1 KR 101959061 B1 KR101959061 B1 KR 101959061B1 KR 1020170036312 A KR1020170036312 A KR 1020170036312A KR 20170036312 A KR20170036312 A KR 20170036312A KR 101959061 B1 KR101959061 B1 KR 10195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steine
acid
solution
enzyme rea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665A (ko
Inventor
김현숙
유은정
김동현
강기권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0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2Methionine; Cysteine; Cyst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7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23/58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2/00Carbon-oxygen lyases (4.2)
    • C12Y402/01Hydro-lyases (4.2.1)
    • C12Y402/0102Tryptophan synthase (4.2.1.20)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반응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L-시스테인을 함유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으로부터의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안정하고 고순도의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L-Cysteine hydrochloride}
본 발명은 효소반응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L-시스테인을 함유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으로부터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시스테인(cysteine)은 모든 유기체에서의 황 대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으로서, 단백질, 글루타티온, 비오틴, 리포산, 메티오닌 및 기타 함황 대사 물질의 합성에 사용된다. 이러한 L-시스테인은 식품 첨가제, 화장품 성분, 수혈 성분 등 약학적 용도, 또는 약학적 활성 성분을 위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제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L-시스테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천연 물질로부터의 추출, ii) 유기적 합성, iii)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및 iv) 효소 반응을 통한 제조가 공지되어 있으나, i)의 방법은 원료의 공급이 불안정하여 최종 생성물에 불순물이 다량 존재하고, ii)의 방법은 광학적 이성질체가 생성되어 L-형태를 D-형태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며, iii)의 방법은 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효소반응을 통하여 L-시스테인을 제조하더라도, 물에 잘 용해되고 불안정한 L-시스테인의 특성상 반응 생성물로부터 L-시스테인을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효소반응 합성액으로부터 L-시스테인을 정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89-0004021호
본 발명은 효소반응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L-시스테인 함유 효소반응 합성액으로부터 L-시스테인 염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효소반응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 L-시스테인 함유 효소반응 합성액에 산화방지제 처리, 음이온교환기의 이용, 강산 첨가에 의한 증발 농축, 냉각에 의한 결정화를 통하여 보다 높은 수율의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L-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음이온교환기에 적용하여 정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10℃ 이하로 냉각하여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 상기 (d) 단계에서 여과된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염산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효소반응 합성액은 L-세린을 트립토판 신타아제(tryptophan synthase)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방지제는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ascorbyl stearate), 토코페롤(tocopherols),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니아신(niacin),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리옥실릭산(glyoxylic acid), 케토글루타르산(ketoglutaric acid), 말렌산(male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니코틴산(nicotin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DTT(dithiothre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염산은 용액 중의 L-시스테인 대비 1.3 내지 1.5당량을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L-시스테인 염산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정제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안정하고 고수율 및 고순도의 L-시스테인을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이온 교환 단계 및 모액 회수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 또한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L-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음이온교환기에 적용하여 정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10℃ 이하로 냉각하여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을 도 1의 순서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은 (a) L-시스테인을 포함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단계(S101)를 거치게 된다.
본 단계는 효소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L-시스테인이 L-시스틴(cystine)으로 추가적으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L-시스테인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L-시스테인”은 알파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HO2CCH(NH2)CH2SH의 화학식을 갖는 L-아미노산으로서, 설프하이드릴(sulfhydryl) 기를 가지고 있어 서로 다른 시스테인과의 사이에서 이황화결합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효소반응 합성액”은 효소반응의 전구체와 효소의 혼합물의 반응 결과물을 의미하며, 상기 효소반응 합성액은 미처 반응하지 못한 반응물인 전구체, 효소와 반응의 결과물인 L-시스테인, L-시스틴 등을 함유한다.
이러한 효소반응을 이용한 L-시스테인의 제조 방법에는 i) 트립토판 신타아제, 시스테인 신타아제(cysteine synthase) 또는 시스테인 디설포하이드라아제(cysteine disulphohydrase)를 사용하여 L-세린과 황화물(sulfide), 예를 들어 황화나트륨, 황화암모늄, 황화칼륨 또는 황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수황화나트륨으로부터 L-시스테인을 합성하는 방법, ⅱ) 시스테인 디설포하이드라제를 사용하여 치환된 β-알라닌과 메탈설파이드로부터 합성하는 방법, 및 ⅲ) L-ATC-히드라아제, ATC-라세마아제 또는 S-카르바밀-L-시스테인 하이드라아제를 사용하여 2-아미노-티아졸린-4-카복실산(ATC)으로부터 합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소, 예를 들어 트립토판 신타아제, 시스테인 신타아제, 시스테인 디설포하이드라아제, L-ATC-히드라아제, ATC-라세마아제 또는 S-카르바밀-L-시스테인 하이드라아제는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반응 합성액은 상기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방지제는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ascorbyl stearate), 토코페롤(tocopherols),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옥틸 갈레이트(octyl gall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니아신(niacin), 글루탐산(glutam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리옥실릭산(glyoxylic acid), 케토글루타르산(ketoglutaric acid), 말렌산(male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니코틴산(nicotin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소르브산(sorb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이산화황(sulphur dioxide), 비페닐페놀(biphenyl phenol),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나이신(nisin), 나타마이신(natamycin), 포름산(formic acid), 헥사메틸렌(hexamethylene), 디메틸디카보네이트(dimethyl dicarbonate), 아세트산(acetic acid), 아세트산암모늄(ammonium acetate), 락트산(lac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말산(ma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에리솔빈산(erythorbic acid), 터셔리부틸히드로퀴논(TBHQ: tert-butylHydroQuinone),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butylated hydroxy-toluene), 레시틴(lecithin), 시트르산(citr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메타타타르산(metatar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1,4-헵토노락톤(1,4-Heptonolactone), 1-나프텐산(1-napthanoic acid), 2,4-디니트로페놀(2,4-Dinitrophenol), 2-나프텐산(2-Napthanoic acid), 니트로벤젠산(nitrobenzoic acid), 비산(arsenic acid), 브롬화아세트산(bromoacetic acid), 부탄산(butanoic acid), 클로로아세트산(chloroacetic acid), 쿠페론(cupferron), 시아노아세트산(cyanoacetic acid), D-타타르산(D-tartaric acid), 하이포아인산(hypophosphorous acid), 요오드산(iodic acid), 아질산(nitrous acid), 옥살산(oxalic acid), 옥살로아세트산(oxaloacetic acid), 페닐아세트산(phenylacet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프로펜산(propenoic acid), 피로인산(pyrophosphoric acid), 피루브산(pyruv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티오시안산(thiocyan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방지제는 EDTA,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 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도데실 갈레이트, 니아신(niacin),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리옥실릭산, 케토글루타르산, 말렌산(maleic acid), 말론산, 니코틴산, 비타민 C, 비타민 E,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DTT(dithiothreito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방지제는 EDT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EDTA칼슘2나트륨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0.1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 즉, 산화방지제에 의하여 안정화된 L-시스테인 함유 효소반응 합성액을 음이온교환기에 적용하여 정제한다(S102).
상기 L-시스테인 함유 효소반응 합성액을 음이온교환기에 접촉시키고,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산, 예를 들어 염산을 이용하여 음이온교환기로부터 L-시스테인을 분리하고 용출액 내로 이동시킴으로써 과량의 나트륨 이온 및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음이온교환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음이온교환기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적합한 물질들의 선택 목록은 문헌[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ol. A14, p. 451]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활성 음이온 교환기(exchanging group)로서, 예를 들어 4차 암모늄기(강염기성 이온교환기) 또는 아민기(약염기성 이온교환기)를 함유하며, 활성 음이온 교환기에 대한 상대이온으로서 음이온이 이온교환기에 결합할 수 있으며, 염기성, 특히 강염기성, 이온교환기는 흔히 OH- 형태로 사용되지만, 추가의 통상적인 상대이온은, 예를 들어, Cl-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으로,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103).
본 발명에서, 상기 음이온교환기를 통과한 정제된 L-시스테인 함유 용액은 강산, 구체적으로는 염산을 L-시스테인 대비 1 내지 5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5당량을 첨가함으로써, L-시스테인 함유 용액을 농축시킬 수 있다. 상기 농축은 음이온(염소 이온)의 공통이온효과에 기인하며, 상기 농축에 의하여 L-시스테인 함유 용액은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까지 농축될 수 있다.
이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10℃ 이하로 냉각하여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104).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에서 농축된 용액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로 냉각하여 결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된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d) 단계에서 수득한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염산으로 세척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S105).
즉, 상기 (d) 단계에서 여과하여 수득한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을 산, 바람직하게는 강산, 예를 들어 염산용액(15.0 내지 17.5%)으로 세척함으로써 잔류하는 L-시스틴을 용해하여 제거하고, 건조시킴으로써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하여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d) 단계에서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을 여과하고 남은 용액인 여과액과 상기 (e) 단계의 세척하는 단계에서 발생한 수세액은 염기성 용액(예를 들어, NaOH)을 첨가하여 산도를 pH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pH 1.5 내지 2.0으로 조절하여 L-시스틴을 결정으로 석출시켜 분리하고, 이 L-시스틴이 제거된 용액을 상기 (b) 단계의 음이온교환기에 적용하여 정제하는 단계; (c) 단계의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d) 단계의 냉각 후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여과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초기 효소 반응 합성액에 포함된 L-시스테인 대비 최종적으로 회수된 L-시스테인 염산염의 회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도 1의 S106 참조).
이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L-시스테인의 제조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L-시스테인 함유 용액을 준비하기 위하여, L-세린을 트립토판 신타아제 효소와 반응시켜 L-시스테인으로 효소 전환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물 중 각 성분의 농도가 하기와 같도록 혼합한 후, pH 8.5 및 35℃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켜 L-시스테인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효소액(트립토판 신타아제) 3g/L, 기질인 L-세린 8중량% 및 NaSH 5.5중량%, 조효소(PLP) 0.2mM.
실시예 1. L-시스테인의 안정화 및 정제
상기 L-시스테인 함유 용액에 산화방지 보조제로서 EDTA 1중량%를 첨가한 후, 4,000 내지 4,500rpm에서 10 내지 30분간 원심분리하고 1㎛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균체를 제거하였다.
상기 균체가 제거된 용액을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기(삼양사 TRILITE AMP-26, 흡착(시스테인 40 내지 50g/L-R)와 결합시키고, 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1.5% 염산을 사용하여 음이온 교환기로부터 분리(용리)하였다.실험 결과, 상기 정제된 용액의 산화안정성이 최초 L-시스테인 함유 용액에 비하여 3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최초 L-시스테인 함유 용액에 비하여 과량의 나트륨 이온을 99% 이상 제거하고, 그 밖의 불순물을 제거한 L-시스테인 정제 용액을 수득하였다(하기 표 1 참조).
구분 나트륨/ L-시스테인 나트륨 제거율
효소반응액 33.7% -
균체분리/희석액(효소반응 24시간 경과) EDTA 0% 0.05% >99%
EDTA 1% 0.07% >99%
비교예 1. 산화방지제 첨가에 따른 L-시스테인의 안정성 비교
산화방지제의 첨가여부에 따른 L-시스테인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초기 L-시스테인 함유 용액에 산화방지 보조제로서 EDTA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고, 실시예 1 과 비교예 1의 결과물에서 L-시스테인과 L-시스틴의 양을 측정하였다(하기 표 2 참조).
구분 L-시스테인 L-시스틴/ L-시스테인 L-시스틴 증가율
효소반응액 7.8% 3.5% -
균체분리/희석액
(효소반응 24시간 경과)
EDTA 0% 3.3% 6.6% 89%
EDTA 1% 3.2% 4.6% 33%
실험 결과, EDTA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EDTA 1중량%를 첨가한 실시예 1에서 L-시스틴/ L-시스테인의 비율이 약 30% 감소하였는 바, L-시스틴으로 추가 산화되는 L-시스테인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여 L-시스테인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양이온교환기를 추가적으로 이용한 L-시스테인의 정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동일하게 수행한 후, 음이온 교환기로부터 분리된 용액을 양이온 교환기에 결합시키고, 이를 세척 용액으로 세척한 후, 강산(염산)을 이용하여 양이온 교환기로부터 분리하였다.
실험 결과, 본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용액은 최초 L-시스테인 함유 용액에 비하여 과량의 나트륨 이온을 98% 이하로 제거하였으며,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이온교환기에 흡착된 L-시스테인을 분리(용리)할 때, L-시스테인이 L-시스틴으로의 추가적인 산화가 발생하여 L-시스테인의 수득률이 실시예 1에 비하여 10 내지 15%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효에 의해 생성된 L-시스테인을 음이온 교환수지와 양이온 교환수지를 통해 정제한 경우 L-시스테인 회수율은 66.5중량%인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정제한 경우 L-시스테인 회수율이 75.4중량%으로 나타나, 약 13%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L-시스테인 2.1중량%를 함유하는 음이온 정제 용액 1508.3㎖를 L-시스테인 대비 1.5당량인 35% 염산 32㎖로 처리하여 35 내지 40%로 농축한 후, 5℃에서 냉각, 결정 및 여과하여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을 수득하였다.
이후,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을 15% 염산 용액으로 세척하여 잔류하는 L-시스틴을 용해하여 제거하고, 석출된 결정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였다.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음이온 정제 용액에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 결정화함으로써, 결정 수득률이 염산 첨가 전에 비하여 1.6배 향상되었다.
또한,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을 15% 염산 용액으로 세척 시, 잔류하는 L-시스틴을 제거하여 결정의 순도를 높일 수 있었다.
상기 공정으로 제조된 L-시스테인의 수율은 75.4% 및 L-시스테인 염산염 결정의 순도는 98.9%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여과 모액 및 수세액을 pH 1.5 내지 2.0로 조절하여, L-시스틴을 결정으로 석출시켜 분리하고, L-시스틴이 제거된 용액을 음이온 교환기로 회수하였다.
모액 및 수세액의 L-시스테인 회수율은 90 내지 95%이며, 회수된 L-시스테인 용액 내의 L-시스틴 농도는 0.25% 이하였으며, L-시스틴이 제거된 여과액을 음이온 교환기로 회수하여 L-시스테인 회수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
비교예 3. 농축시 염산 첨가량에 따른 수율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L-시스테인 2.1중량%를 함유하는 음이온 정제 용액 1508.3㎖에 L-시스테인 대비 1.0당량인 35% 염산 20.4㎖ 내지 1.5당량인 35% 염산 32.0㎖을 처리하였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염산 첨가량을 1.0 및 1.3당량으로 달리 투입한 경우, 1.5당량을 첨가한 것에 비하여 L-시스테인 손실이 1.5 당량 대비 약 37.5% 및 21.9%감소하였다(하기 표 3 참조).
염산 첨가량(당량) L-시스테인 염산염 회수율(중량%)
1.0 47.1
1.3 58.9
1.5 75.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 L-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하는 효소반응 합성액에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을 음이온교환기에 적용하여 정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에 염산을 첨가하여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을 10℃ 이하로 냉각하여 L-시스테인 염산염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수득한 L-시스테인 염산염을 염산으로 세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c) 단계에서 염산은 상기 (b) 단계의 결과물 중의 L-시스테인 대비 1.5당량을 첨가하는 것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 합성액은 L-세린을 트립토판 신타아제(tryptophan synthase)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인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36312A 2017-03-22 2017-03-22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KR10195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312A KR101959061B1 (ko) 2017-03-22 2017-03-22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312A KR101959061B1 (ko) 2017-03-22 2017-03-22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65A KR20180107665A (ko) 2018-10-02
KR101959061B1 true KR101959061B1 (ko) 2019-03-18

Family

ID=638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312A KR101959061B1 (ko) 2017-03-22 2017-03-22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23663A (ko) * 2023-02-07 2024-08-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입도가 조절된 l-시스테인 염산염 수화물 결정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0854A1 (en) 2007-02-14 2008-08-14 Wacker Chemie Ag Process For Purifying L-Cysteine
US20140031586A1 (en) * 2011-04-20 2014-01-30 Wacker Chemie Ag Method for purifying l-cyste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589A (ja) 1985-04-22 1986-10-28 Mitsui Toatsu Chem Inc L−含硫アミノ酸の製造方法
JPH0623182B2 (ja) * 1986-06-19 1994-03-30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L−システイン塩酸塩1水和物を分離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0854A1 (en) 2007-02-14 2008-08-14 Wacker Chemie Ag Process For Purifying L-Cysteine
US20140031586A1 (en) * 2011-04-20 2014-01-30 Wacker Chemie Ag Method for purifying l-cystein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Vol. 67, pp. 169-172 (19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65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8949B2 (en) Process for purifying L-cysteine
US8372606B2 (en) Methods for obtaining crystals of a basic amino acid hydrochloride
JP6368488B2 (ja) L−メチオニン及び関連産物の生産方法
JP5592588B2 (ja) L−システインを精製する方法
EP2975020A1 (en) Method for purifying 1,5-diaminopentane
EP0213785B1 (en) Method for optical resolution of dl-cysteine and (r,s)-1-(1-naphthyl)ethylamine
KR101959061B1 (ko) L-시스테인 염산염의 제조 방법
EP0119804B1 (en) Novel method for optical resolution of dl-alpha-amino acid or (+)-alpha-phenylethanesulfonic acid
EP1035109B1 (en) Aqueous lysine solution
CN114591203A (zh) 一种高纯度肌酸的制备方法
JPH08333312A (ja) バリンの精製法
US9120722B1 (en) Optically active valine complex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789914A (ja) オルニチンと酸性アミノ酸類又はケト酸類との塩の製造法
JP2005120024A (ja) 4’−シアノ−3−[(4−フルオロフェニル)スルホニル]−2−ヒドロキシ−2−メチル−3’−トリフルオロメチルプロピオンアニリドの製造方法
US20120136058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Methionine By Mineral Addition And Acid Treatment
JP4001628B2 (ja) N―アセチル―D,L―α―アミノ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CA1303628C (en) Method for racemization of optically active serine
FI7397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s- (karboxi-metyl)-(r)-cystein och s-(karboximetyl)-(s)-cystein.
JPH052665B2 (ko)
CN104592046A (zh) 光学活性的缬氨酸复合物及其生产方法
JP2008156282A (ja) α−リポ酸L−オルニチン塩およびその製造法
JP6234030B2 (ja) L−カルニチンの製造方法
JP2001328971A (ja) アミノ酸アミドの精製法
RU2182573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метионина
US4259239A (en) Resolution of enantiomeric complexes of nickelous chloride and alpha-aminocaprolact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