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949A -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949A
KR20100095949A KR1020090015010A KR20090015010A KR20100095949A KR 20100095949 A KR20100095949 A KR 20100095949A KR 1020090015010 A KR1020090015010 A KR 1020090015010A KR 20090015010 A KR20090015010 A KR 20090015010A KR 20100095949 A KR20100095949 A KR 2010009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ice
ball
sorghum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원
Original Assignee
삼호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삼호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09001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949A/ko
Publication of KR2010009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3Products for covering, coating, finish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65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02Foamed, gas-expanded or cellular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2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with a composite structure, e.g. laminated products, coated products, microstructures, e.g. with encapsulate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4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 백태, 수수, 현미, 흑미 및 찹쌀을 혼합, 팝핑하여 볼 성형을 한 후, 상기 성형된 볼에 무화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당 코팅함으로써, 상기 원료의 영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섭취할 수 있는 영양간식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무화과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종래 활성화되지 못했던 무화과 시장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수수분태 25~35중량%, 백태 0.1~0.5중량%, 수수 0.1~0.5중량%, 현미 58~72중량%, 흑미 0.4~1.5중량%, 찹쌀 0.4~1.5중량% 및 밀 2~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팝핑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무화과 코팅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 및 물 400~5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화과, 볼, 팝핑볼, 당 코팅, 저장성

Description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PUFFED CEREAL WITH A FI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 백태, 수수, 현미, 흑미 및 찹쌀을 혼합, 팝핑하여 볼 성형 한 후, 상기 성형된 볼에 무화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당 코팅함으로써, 상기 원료의 영양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섭취할 수 있는 영양간식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무화과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종래 활성화되지 못했던 무화과 시장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무화과의 역사는 성경의 창세기 이전부터 시작된다. 에덴동산의 아담과 이브가 벗은 몸을 가린 것이 바로 무화과 잎이다. 이토록 오랜 세월 서양의 역사와 함께 해온 무화과지만 동양에 그 맛을 본지는 얼마 되지 않는다. 일본에는 1600년대, 우리 나라에는 일본을 통해 1930년대 초 목포의 갯바위에서 최초의 재배가 시작되었다. 무화과는 세계적으로 600 여종이나 되지만 국내는 열매가 종처럼 생긴 도후인 품종이 대부분이다.
상기 무화과는 영양학적으로 이상적인 과일이다. 동의보감에는 ‘체내 독 제거와 위장질환, 빈혈, 치질 등에 좋고 소화 촉진과 숙취해소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고 장을 편하게 하는 과일로 친다. 비타민과 미네랄을 비롯해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피신(ficin)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난본초(명)일명 명목과라고 하여 오서는 과피의 유즙으로 자주 씻어주면 좋으며, 맛은 인후를 유화하게 해 줘서 뇌흉을 열고, 간에 들어가서 혈맥의 흐름을 좋게 하고 눈을 맑게 해준다고 그 효능이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효능은 위장약으로서의 작용, 설사나 치질의 치료 지인후통, 소염작용, 소중작용, 소화 촉진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구충약과 황달에 쓰인다. 동물의 실험으로는 미성열의 과일에서 함유되어 있는 유즙은 유암이나, 백혈병, 임퍼육종에 유효했다는 보고서가 있다. 무화과는 병충해에 가하며 어린 새순도 깨끗하게 자라며, 농약을 하지 않고 공해 없는 자연속에서 자라는 자연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화과는 아직도 대중화되지 않아 우리에게 낯선 과일이어서, 달콤하고 부드러운 맛을 못 본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껍질이 얇고 과육이 연하며 수분이 많아 쉽게 변질하는 바람에 저장성이 떨어지고 유통기간이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화과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나 현재까지는 상기한 무화과를 이용한 가공식품이 개발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무화과의 단점인 저장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종 곡류를 팝핑하여서 되는 볼의 표면을 무화과 엑기스를 이용하여 코팅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영양간식을 제공하고, 무화과 가공식품의 저장성을 높여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무화과 가공식품의 개발로 인하여 무화과의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무화과 재배를 장려하여 농가소득의 증대를 통한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 활성화되지 못했던 무화과 시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업의 매출증대를 통환 수익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 볼의 제조방법은, 옥수수,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로 되는 원료를 선정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옥수수, 백태 및 수수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옥수수는 분쇄하여 분태로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되어 분쇄된 옥수수, 건조된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원료를 팝핑하여 볼로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화과 코팅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 및 물 400~5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옥수수분태 25~35중량%, 백태 0.1~0.5중량%, 수수 0.1~0.5중량%, 현미 58~72중량%, 흑미 0.4~1.5중량%, 찹쌀 0.4~1.5중량% 및 밀 2~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팝핑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무화과 코팅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 및 물 400~5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곡류를 팝핑하여서되는 볼의 표면을 상기 무화과 엑기스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영양간식을 제공하고, 무화과 가공식품의 저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무화과 가공식품의 개발로 인하여 무화과의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무화과 재배를 장려하여 농가소득의 증대를 통한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 활성화되지 못했던 무화과 시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업의 매출증대를 통환 수익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 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옥수수,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로 되는 원료를 선정하여 준비(S1)한다. 이때 상기 원료로는 인체에 유익한 유기농 옥수수, 백태, 유기농 현미, 유기농 흑미, 유기농 찹쌀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료의 선정이 완료(S1)되면, 이 중 옥수수, 백태 및 수수를 세척하고 건조(S2)한다. 이때 상기 옥수수, 백태 및 수수만을 세척하여 건조하는 이유는 상기 옥수수, 백태, 수수는 도정되지 않은 원물의 상태로 구입하기 때문에 반드시 세척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이다. 상기 세척방법은 흐르는 물에 2번 정도 세척하는 것이면 족한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건조단계는 60~70℃ 정도에서 9시간 동안 진행한다. 상기 건조 온도를 60~70℃로 하는 이유는 건조 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좋지 못하고 건조 온도가 너무 높으면 건조되는 곡류가 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며, 상기 건조시간을 제한한 이유는 너무 적게 건조하거나 많이 건조했을 경우 팝핑공정에서의 효율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건조조건은 원재료에 따라 약간씩 달리할 수 있는 데, 건조 과정을 마친 백태의 수분은 약 15.5중량%가 되도록 하고, 수수의 수분은 13.5중량% 정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된 옥수수는 그대로 투입하는 것이 아닌 분쇄하여 분태로서 제조(S3)하는 데, 옥수수분태의 최종 수분함량이 약 11중량%가 되도록 한다. 상기 분태의 입자크기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은 세척하지 않고 바로 건조하는 데, 건조시간은 60~70℃에서 3시간 동안 진행한다.
상기 건조를 마친 현미의 수분함량은 약 11중량% 정도로 되고, 흑미의 수분함량은 약 15.8중량% 정도이며, 찹쌀은 11중량%, 밀은 14중량% 정도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되어 분쇄된 옥수수, 건조된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을 혼합(S5)하는 데, 그 맛과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여 최종 혼합비를 결정한다.
상기 혼합비로는 분쇄된 옥수수 25~35중량%, 건조된 백태 0.1~0.5중량%, 건조된 수수 0.1~0.5중량%, 건조된 현미 58~72중량%, 건조된 흑미 0.4~1.5중량%, 건조된 찹쌀 0.4~1.5중량% 및 건조된 밀 2~3중량%로 되도록 한다.
원료의 혼합(S5)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된 원료를 팝핑기계로 팝핑하여 볼로서 성형(S6)한다. 이때 상기 팝핑은 200℃ 이상 예열한 후 100℃ 정도에서 팝핑을 진행하는 데, 그 회전률은 150rpm이 되도록 한다. 이는 무화과 볼 안의 공기층을 줄여 질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기한 조건으로 팝핑을 진행했을 경우 제품의 색, 맛, 질감 등이 가장 우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팝핑하여 성형(S6)이 완료된 볼은 질감이 부드럽고 식감도 부드 러우며 제품의 색깔은 어둡지 않은 미색을 띠고, 특유의 고소한 맛을 잘 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팝핑(S6)이 완료되면, 팝핑되어 성형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을 코팅(S7)한다. 상기 코팅(S7) 공정을 위하여 미리 무화과 엑기스를 제조하여 두는 데, 무화과 엑기스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과일 엑기스의 제조공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예로서 무화과 엑기스는 열수추출하거나, 그대로 즙을 내어 사용하는 등이다.
상기 무화과 코팅액의 코팅(S7)은 당의기를 이용한 당코팅작업으로서, 상기 당의기란 열풍건조를 이용한 코팅방법을 의미하며 코팅작업시 120℃ 온도를 유지하며, 볼 10kg/회 작업을 기준으로 45분간 실시한다.
상기 당코팅 시 사용되는 혼합액은 설탕, 무화과 엑기스, 천연 색소(레드칼라), 물을 이용하여 완성되며 성형된 볼에 혼합액을 넣어 코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혼합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에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에 물을 400~500중량부를 투입,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설탕은 유기농 설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천연 색소는 무화과 볼의 색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무화과의 속살은 붉은 색을 띠지만, 엑기스로 하여 코팅할 시 붉은 색을 나타내기 어려워 천연 레드 색소를 첨가하여 무화과 볼의 색감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천연 색소로 반드시 레드 칼라만을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적양배추색소, 오징어먹물색소, 홍화황색소, 홍국적색소, 카카오색소, 치자황색소, 치자청색소, 치자적색소, 베리류색소, 코치닐색소, 락색소, 카라멜색소, 아나토색소, 클로로필색소, 심황색소, 비트레드색소, 포도과피색소, 베타카로틴, 적무색소, 엘더베리색소, 석류색소, 복분자색소, 가시오가피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팝핑된 볼과 무과화 엑기스 혼합액의 혼합비는 약 1: 0.8∼1.5 중량비 정도로 하는 것이 식감, 맛, 향, 촉감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제조된 무화과 볼은 옥수수분태 25~35중량%, 백태 0.1~0.5중량%, 수수 0.1~0.5중량%, 현미 58~72중량%, 흑미 0.4~1.5중량%, 찹쌀 0.4~1.5중량% 및 밀 2~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팝핑된 볼에 무화과 엑기스가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관계없이 영양간식으로의 섭취가 가능하며, 무화과의 소비를 촉진시켜 활성화되지 못한 무화과 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화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화과의 주요 성분으로는 당분(포도당과 과당)이 약 10% 들어 단맛이 강하고, 유기산으로는 사과산과 시트르산을 비롯하여 암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 드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들어있다. 그밖에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옥시다아제 등의 효소와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그리고 그 영양소 역시 풍부한 것으로, 도 2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화과는 많은 양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주요 생과 수요가 많은 데, 껍질이 얇고 과육이 연해 저장성이 떨어지며, 딴 지 하루가 지나면 부패하기 때문에 해가 뜨기 전인 새벽에 수확해 당일 배송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 무화과는 그 저장성의 한계로 인하여 다양한 소비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무화과 볼이라는 영양 간식을 제조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하여 그 소비가 촉진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 볼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무화과의 영양분석 결과.

Claims (2)

  1. 옥수수,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로 되는 원료를 선정하여 준비하는 단계(S1)와,
    상기 준비된 옥수수, 백태 및 수수를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S2)와,
    상기 건조된 옥수수를 분쇄하여 분태로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준비된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을 건조하는 단계(S4)와,
    상기 건조되어 분쇄된 옥수수, 건조된 백태, 수수, 현미, 흑미, 찹쌀 및 밀을 혼합하는 단계(S5)와,
    상기 혼합된 원료를 팝핑하여 볼로서 성형하는 단계(S6)와,
    상기 성형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화과 코팅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 및 물 400~5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볼의 제조방법.
  2. 옥수수분태 25~35중량%, 백태 0.1~0.5중량%, 수수 0.1~0.5중량%, 현미 58~72중량%, 흑미 0.4~1.5중량%, 찹쌀 0.4~1.5중량% 및 밀 2~3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팝핑된 볼에 무화과 코팅액이 코팅되어 이루어지되,
    무화과 코팅액은 무화과 엑기스 100중량부, 설탕 35~45중량부, 천연색소 0.05~0.15중량부 및 물 400~50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 볼.
KR1020090015010A 2009-02-23 2009-02-23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5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10A KR20100095949A (ko) 2009-02-23 2009-02-23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10A KR20100095949A (ko) 2009-02-23 2009-02-23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49A true KR20100095949A (ko) 2010-09-01

Family

ID=4300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010A KR20100095949A (ko) 2009-02-23 2009-02-23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4959A1 (en) * 2011-06-14 2012-12-19 Nestec S.A. Wholegrain cereal and liver disord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4959A1 (en) * 2011-06-14 2012-12-19 Nestec S.A. Wholegrain cereal and liver disorders
WO2012171893A1 (en) * 2011-06-14 2012-12-20 Nestec S.A. Whole grain cereal and liver disord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egel et al. Food legume processing and utiliz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appl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CN109043436A (zh) 一种黄酸汤及其制备方法
KR20180033381A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101281151B1 (ko) 동아를 이용한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6232A (ko) 현미유자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CN103315305A (zh) 含有鱼鳞胶原蛋白及可食用植物提取物的年糕组合物及面条组合物
KR20100095950A (ko) 무화과 씨리얼 바 및 그 제조방법.
JP2001252047A (ja) 発酵食品
KR20160097721A (ko) 스마트팜을 이용한 새싹마늘 재배방법
KR100784895B1 (ko) 콩나물을 이용한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90042B1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4614A (ko) 식초를 이용한 콩 발효법과 장류제조법
KR101890043B1 (ko) 녹용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5949A (ko) 무화과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591B1 (ko)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CN108059519A (zh) 一种绿叶素组合物的制备方法
KR20020023518A (ko) 버섯 추출물을 코팅한 곡물과 그 코팅방법
KR20170061337A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0964863B1 (ko) 수액 메밀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504780B1 (ko) 약고추장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19710A (zh) 一种驱寒补虚面条及其制备方法
KR102492573B1 (ko)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53647B1 (ko) 채소 청국장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5900A (ko) 연속적인 축합반응을 이용한 약용식물과 곡물 혼합 건강식 제조방법
KR20020002350A (ko) 미나리 쌀국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