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480A - 차량, 특히 건설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특히 건설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480A
KR20100093480A KR1020100012369A KR20100012369A KR20100093480A KR 20100093480 A KR20100093480 A KR 20100093480A KR 1020100012369 A KR1020100012369 A KR 1020100012369A KR 20100012369 A KR20100012369 A KR 20100012369A KR 20100093480 A KR20100093480 A KR 2010009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eight
vehicle
ballast
positioning cylinder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731B1 (ko
Inventor
맥심밀리안 알츠버거
류드비히 안드레아스 휴버
Original Assignee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Ground-engaging fitting for supporting the machines while working, e.g. outriggers, le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02G1/123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the tool being of the pli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차량의 세트-다운 위치에서 장착 위치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가능한 서포트 풋을 가지는 서프트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특히 건설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콤팩트한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풋을 연장하기 위해 서프트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가 동시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디자인된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특히 건설 차량{Vehicle, in particular construction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말미에 따라, 탈착가능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세트-다운 위치(set-down position)에서 차량의 장착 위치(mounting position)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부재(lifting means)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가능한 서포트 풋(extendable support foot)을 가지는 서프트 부재(support means)를 포함하는 차량, 특히 건설 차량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트럭(crane truck), 이동가능한 드릴링 리그(mobile drilling rig) 및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과 같은, 건설 차량에 자주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제공된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는 차량이 기우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보통 건설 차량에 마스트(mast) 또는 작동 장치의 반대에 배열된다.
건축 부지를 왕래하는 동안 차량의 전체 무게를 줄이고 그로 인하여 특정 한계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차량에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분리하여 작동 위치로 따로 수송하는 것이 관행이다. 그러고 나서 건축 부지에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차량에 장착한다.
또한 경사 안정성(tilting st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추가적인 서프트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대체로, 이 서포트 부재는 연장 가능하고 지면에서의 차량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러 개의 서포트 풋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차량의 예로서 US 3,278,045를 들 수 있다. 차량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고 장착시키기 위해, 크레인의 케이블 윈치 수단(cable winch means)을 이용한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는 동안 차량은 연장된 서포트 풋으로 추가로 지지된다.
또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기 위해 별개의 케이블 윈치 수단이 제공되는 EP 1 780 167 A2의 이동가능한 크레인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US 3,902,735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용 리프팅 부재를 가지는 굴삭기가 개시되어 있다. 리프팅 부재는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고 한 쌍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상승 및 하강용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에 의해 회전하는, 피벗 암(pivot ar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취급성이 좋은 차량, 특히 건설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기반을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으로 가지는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에 바람직한 구체례를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풋을 연장하기 위하여 서프트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동시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들어올리기 위해 추가적인 리프팅 부재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존재한다. 대신, 이 목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유압 유형이며 서포트 풋을 연장시키기 위해 배열되는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를 사용한다. 그 결과,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서포트 풋의 연장이 동시에 일어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 장치가 구조적으로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서포트 디스크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둘 다에 연결될 수 있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지면의 서포트 풋과 접촉하는 서포트 디스크가 탈착가능한 연결 부재에 의해 피스톤 로드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큰 지름을 가지는 서포트 디스크를 디자인할 수 있고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에 탈착가능하게(detachably) 연결될 때 서포트 디스크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서포트 디스크용 연결 부재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용 연결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디자인될 수 있다. 특히, 서포트 디스크를 고정하기 위하여 간단한 나사 연결(thread connection) 또는 간단한 볼트 체결(bolting)로 충분하다.
기본적으로,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옆에 측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능한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없도록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작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에 있어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각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들어가는, 통로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실질적으로 휨 모멘트가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또는 실린더들에 적용되지 않도록 통로는 특히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레버 장치 없이 직접 접속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를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의 피스톤 로드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잠금 부재(locking means)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잠금 부재(locking means)는 적당한 잠금 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연결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형태에 맞게 연결(form-fitting connection)되도록 잠금 부재(locking means)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 볼트(latch bol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 볼트는 피스톤 로드의 운동 방향에 횡 방향으로(transversely), 즉 거의 수평으로(in a horizontal manner) 작동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래치를 위해 수평한 통로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치 볼트를 통해서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에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맞는 잠금이 이루어진다. 래치 볼트 또는 피스톤 로드 및 밸러스트 웨이트 둘의 관련 반대-표면(counter-surfaces)에의 적합한 원뿔 모양의 표면을 통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상승하는 동안 추가적인 클램핑 효과 및 그로 인한 힘으로 끼워 맞춘(force-fitting) 구성요소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변성의 증가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다른 밸러스트 플레이트(ballast plate)가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포함하고 잠금 부재(locking means)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로서 디자인되는 것으로 달성된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는 베이스 플레이트인 밑면의 베어링 플레이트(lowermost bearing plate)를 가지는 플레이트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밸러스팅(ballasting)을 위해 필요한 전체 무게에 따라, 하나 또는 몇 개의 다른 밸러스트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위치하여 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단독으로 래치 및 가능한 래치 통로를 가지는 잠금 부재(locking means)를 포함하기 때문에, 밸러스트 플레이트는 간단한 금속 또는 콘크리트(concrete) 플레이트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 부재(fastening means)가 차량에 제공되고, 체결 부재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장착 위치에서 차량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단 리프팅 부재에 의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장착 위치로 상승하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차량의 프레임에 체결 부재(fastening means)를 통해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후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와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사이의 잠금 부재(locking means)가 분리되어서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를 서프트 부재로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분리하기 위해서, 절차를 반대로 따른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부재 및 리프팅 부재는 차륜 차량(wheeled vehicle) 및 궤도차량(track-laying vehicle) 모두에 채택될 수 있다. 새시(chassis)는 상부구조(superstructure)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은 언더캐리지(undercarriage) 및 거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를 포함하고, 장착 위치에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및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상부 캐리지의 후방 부분에 배열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후방 부분의 반대인 정면 부분에, 드릴링 드라이브를 가지는 마스트(mast)와 같은, 중장비(heavy working implement)가 일반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정면 부분의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막기 위하여 후방 부분에 밸러스팅(ballasting)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비록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의 세로 방향이 언더캐리지(undercarriage)의 세로 방향에 관하여 회전해도, 회전가능한 상부 캐리지(carriage)에의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이 경사 안정성(tilting stability)을 보장한다.
이 연결에서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에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가 언더캐리지(undercarriage)를 너머 적어도 한 위치에 도달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에 의하여 지면의 세트-다운 위치로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는 바람직하게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의 위치이며, 거기에 언더캐리지(undercarriage)의 세로 방향에 상부 캐리지의 세로 방향이 일렬로 배열된다. 그러나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언더캐리지(undercarriage)의 폭을 초과하기 때문에,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가 90°를 회전하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장착하거나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하는 동안, 서포트 디스크가 장착 위치에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밑의 피스톤 로드에 배열된다. 이에서, 서포트 실린더는 차량의 상부구조에, 더 특히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에 수용되는 그 실린더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전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통해서 피스톤 로드가 위로부터 도달하고 또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밑면에서 돌출한다. 이 위치에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통과하는 통로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는, 서포트 디스크가 피스톤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차량을 부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트 디스크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제공되어 특히 안정한 리프팅 부재가 달성된다. 여기에, 2개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중심 지역뿐만 아니라 차량의 세포축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두 개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를 사용해서 계속 조밀한 구성과 함께 밸러스팅(ballasting)를 위한 무거운 무게를 또한 들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구체례의 바람직한 예로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략적인 부분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부분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세트-다운 위치에 있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량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세트-다운 위치의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잠금 부재(locking means)의 개략적인 확대도를 도시한다; 및
도 7은 장착 위치에 있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를 가진 도 4의 차량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의 도 1에 따른 제1 구체례에서, 차량은 측면 크롤러 트랙(lateral crawler track; 13)을 가진 언더캐리지(undercarriage; 12)를 포함한다.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는 언더캐리지(undercarriage; 12)의 새시(chassis)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의 설명된 후방 부분(16)에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배열되어 있다. 후방 부분(16)의 반대 위치에 부분적으로서만 설명된, 마스트 상부구조(15)가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배열되어 있다.
차량(10)의 가동 중에, 마스트 상부구조를 향해 기울어질 위험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의 후방 부분(16)에 위치한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는 요구된 밸러스팅(ballasting)에 따라 몇몇의 밸러스트 플레이트(34)가 적층된, 최하단의 베이스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2)의 중심 부분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에 배열된 오목부로 두 개의 하부 유지 플레이트(34)의 통로를 통해서 윗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원통형 유지 샤프트(33)가 고정되어 있다. 후방 부분(16)에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각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잠금 볼트(25)를 가진 작동 실린더(26)를 가지는 두 개의 체결 부재(24)가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배열된다. 작동 실린더(26)는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수납 슬리브(accommodating sleeve; 27)에 각각 고정된다.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장착되는 위치에서, 유지 샤프트(33)가 두 수납 슬리브(27)로 돌출한다. 유지 샤프트(33) 및 수납 슬리브(27)에 위치한 대응하는 볼트 통로(35)를 통해 잠금 볼트(25)를 이동시켜서,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를 형태에 꼭 맞게(in form-fitting) 고정한다. 도 1의 오른쪽 체결 부재(24)에 잠금 위치의 잠금 볼트가 도시되어 있고, 반면 왼쪽 체결 부재(24)에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를 내리기를 위한 후퇴 위치의 잠금 볼트(2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3과 함께 아주 세밀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은 두 개의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52)를 가지는 리프팅 부재(50)를 가지며, 리프트 부재는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대응하는 통로(36)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2) 및 두 개의 하부 밸러스트 플레이트(34)를 통과하여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의 중심 부분으로 돌출한다. 두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52)는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의 후방 부분(16)에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는 유압 오일의 적당한 공급 및 출력을 통해 각각 피스톤 로드(56)가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 케이싱(54)을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56)의 하부 말단은 원통형 서포트 디스크(66)를 제공할 목적으로, 서포트 풋(64)의 역할을 한다. 탈착가능한 연결 부재를 통해 서포트 디스크(66)가 피스톤 로드(56)에 연결된다.
서포트 디스크(66)의 약간 위에, 잠금 부재(locking means; 40)가 베이스 플레이트(32)의 일부에 제공되어서, 피스톤 로드(56)가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의 베이스 플레이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피스톤 로드(56)는 경사진 외부 표면을 가진 링 형태의(ring-shaped) 원뿔 요소(44)를 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32)의 관련된 통로(36)에 적당한 고정 슬리브(46)가 배열되어서 두 래치 볼트(42)를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여 피스톤 로드(56)와 베이스 플레이트(32) 사이가 형태에 맞게 연결(form-fitting connection)된다. 이 잠금으로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의 설명된 장착 위치와 지면의 세트-다운 위치 사이에서 두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52)를 가지는 리프팅 부재(50)에 의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대향하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의 측면에 배열된 조정 그루브(38)에 의해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의 부가적인 센터링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지상의 베이스 플레이트(32)에 있는 세트-다운 위치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차량(10)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로 이동하고 다른 시설물을 위해 조정되는 차량(10)에 의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조정 후,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52)의 피스톤 로드(56)는 도 5에 따른 위치까지 수직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56)의 연장된 위치에서 특히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32)에의 대응하는 보어홀(borehole)을 통해서 거의 수평으로 래치 볼트(42)가 삽입될 수 있다. 래치 볼트(42)는 한쪽은 피스톤 로드(56)에의 원뿔형 측면을 가지는 블록형 원뿔 요소(45)에, 다른 한쪽은 베이스 플레이트(32)에의 원뿔형 측면을 가지는 원뿔형 접합부(47)에 달려있다. 그 결과, 피스톤 로드(56)가 베이스 플레이트(32)와, 또한 결과적으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와 형태에 맞게(form-fitting) 잠긴다.
피스톤 로드(56)가 후퇴하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가 차량(10)의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의 장착 위치로 수직방향으로 윗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승 이동한 위치에 체결 부재(fastening means)- 도 7에 따르면, 간단한 볼트 체결-를 통해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를 유지 샤프트(33)에 의해 상부 캐리지(upper carriage; 14)에 고정되게 연결할 수 있다.
이후에, 피스톤 로드(56)와 베이스 플레이트(32) 사이의 잠금 부재(locking means; 40)가 다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 로드(56)가 아래 방향으로 다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서포트 풋(64)으로서 역할을 하면서, 차량(10)의 접촉면 및 경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 묘사한 구체례에, 서포트 풋(64)을 형성하기 위하여 간단한 둥근 컵(65)이 피스톤 로드(56)의 밑면에 제공되어 있다.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30)를 분리하고 내리기 위하여 절차를 반대로 밟는다.

Claims (11)

  1. 차량, 특히 건설 차량으로서,
    탈착가능한 밸러스트 웨이트(ballast weight);
    세트-다운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장착 위치로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가능한 서포트 풋을 가지는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풋을 연장하기 위해, 상기 서포트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는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를 동시에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디자인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서포트 디스크 및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에 모두 연결될 수 있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포지셔닝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는 각 포지셔닝 실린더에 도달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지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의 상기 피스톤 로드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잠금 부재가 제공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형태에 맞게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래치 볼트를 포함하는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는 다른 밸러스트 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로서 디자인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체결 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가 상기 차량의 상기 장착 위치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언더캐리지 및 상기 언더캐리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부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위치에서 상기 포지셔닝 실린더 및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가 상기 상부 캐리지의 후방 부분에 배열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캐리지의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는 상기 언더캐리지 너머의 적어도 한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실린더에 의해 지면의 세트-다운 위치로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차량.
  10. 제2항에 있어서,
    작동하는 동안 상기 서포트 디스크가 상기 장착 위치의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 밑의 상기 피스톤 로드에 배열되는 차량.
  11.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포지셔닝 실린더가 제공되어서,
    상기 밸러스트 웨이트의 상승 및 하강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
KR1020100012369A 2009-02-16 2010-02-10 차량, 특히 건설 차량 KR101234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02135.3 2009-02-16
EP09002135.3A EP2218836B1 (de) 2009-02-16 2009-02-16 Fahrzeug, insbesondere Bau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480A true KR20100093480A (ko) 2010-08-25
KR101234731B1 KR101234731B1 (ko) 2013-02-19

Family

ID=4054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369A KR101234731B1 (ko) 2009-02-16 2010-02-10 차량, 특히 건설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33572B2 (ko)
EP (1) EP2218836B1 (ko)
JP (1) JP5261411B2 (ko)
KR (1) KR101234731B1 (ko)
CN (1) CN101804946B (ko)
BR (1) BRPI1000349A2 (ko)
HK (1) HK1143127A1 (ko)
RU (1) RU2432433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4603A1 (en) * 2020-11-06 2022-05-12 Liebherr-Werk Nenzing Gmbh Mobile crane having height adjustable superstructure balla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158B2 (en) 2006-10-27 2011-06-28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bi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US9278834B2 (en) 2009-08-06 2016-03-08 Manitowoc Crane Group, LLC Lift crane with moveable counterweight
US8662460B2 (en) * 2010-12-03 2014-03-04 Deere & Company Weight adapter bracket
US20120153605A1 (en) * 2010-12-20 2012-06-21 Caterpillar Inc. Counterweight system
CN102001594B (zh) * 2010-12-21 2012-09-19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及其支腿
CN102381619B (zh) * 2011-10-18 2013-03-20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配重提升装置、配重提升结构和提升配重的方法
WO2013056413A1 (zh) * 2011-10-18 2013-04-2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配重提升装置、配重提升结构和提升配重的方法
US9702114B2 (en) 2012-04-03 2017-07-11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Counterweight system for an industrial machine
JP5776676B2 (ja) * 2012-12-13 2015-09-09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カウンタウエイト固縛装置
DE102013202076B4 (de) * 2013-02-08 2016-07-28 Saf-Holland Gmbh Stützvorrichtung mit Montageeinheit
CN103133599B (zh) * 2013-02-27 2015-10-28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一种配重和一种制造配重的方法
DE102013006307B4 (de) 2013-04-12 2016-12-29 Bauer Maschinen Gmbh 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aumaschine
CN103670273B (zh) * 2013-11-29 2016-04-06 北京市三一重机有限公司 旋挖钻机及其尾部支撑装置
CN103626055B (zh) * 2013-12-04 2015-12-0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配重及包括该配重的起重机
US10179722B2 (en) 2014-01-27 2019-01-15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Lift crane with improved movable counterweight
WO2015113032A1 (en) * 2014-01-27 2015-07-30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auxiliary member on a crane
EP3150545B1 (en) * 2014-05-26 2019-10-09 Xuzhou Heavy Machinery Co., Ltd. Combined counterweight hoo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unterweight mounting structure
CN104444863B (zh) * 2014-12-11 2017-08-08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组合平衡重安装结构及移动式起重机
NO2694425T3 (ko) * 2015-01-28 2018-04-28
JP6455203B2 (ja) * 2015-02-10 2019-01-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ローラクレーンのカーボディウエイト支持装置
DE102015006439B4 (de) * 2015-03-24 2023-08-31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kran
JP6350568B2 (ja) * 2016-03-09 2018-07-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旋回体
DE102016112511A1 (de) * 2016-07-07 2018-01-11 Blickle Räder + Rollen GmbH u. Co. KG Stützrolle, Fahrzeug mit Stützrolle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s Fahrzeugs
JP6723170B2 (ja) * 2017-01-11 2020-07-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RU2730730C1 (ru) * 2019-08-27 2020-08-25 Евгений Максимович Мельников Способ работы стрелового самоходного кра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1137256A (zh) * 2020-01-03 2020-05-1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支腿和工程机械
US10822212B1 (en) * 2020-06-11 2020-11-03 Altec Industries, Inc. Counterweight attachment mechanism for a crane
CN112777499B (zh) * 2021-01-29 2023-05-02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配重自拆装装置、起重机及配重拆装方法
CA3237971A1 (en) * 2021-11-18 2023-05-25 Manuel STAPEL Accessory device mountable to an excavator base, construction machine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mounting an accessory device to an excavator ba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8045A (en) 1964-03-09 1966-10-11 American Hoist & Derrick Co Counterweight support mechanism
US3902735A (en) 1974-06-03 1975-09-02 Caterpillar Tractor Co Hydraulic counterweight removal mechanism
SU1158485A1 (ru) 1978-05-24 1985-05-30 Ts K B Strojmash "уctpoйctbo для уpabhobeшиbahия ctpeлoboгo paбoчeгo oбopудobahия,cmohtиpobahhoгo ha пobopothoй плatфopme camoxoдhoгo шaccи"
JPS55124349U (ko) * 1979-02-23 1980-09-03
JPS5691765U (ko) * 1979-12-11 1981-07-22
JPS58120183U (ja) * 1982-02-12 1983-08-16 株式会社多田野鉄工所 分割移動式クレ−ン
SU1640314A1 (ru) 1988-08-05 1991-04-07 Алма-Ат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Землеройно-погрузочна машина
JP2545740Y2 (ja) * 1991-07-16 1997-08-27 株式会社タダノ 移動式クレーン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の着脱装置
US5598935A (en) 1993-03-18 1997-02-04 American Crane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lift crane machinery
DE4405780A1 (de) * 1994-02-23 1995-08-24 Krupp Ag Hoesch Krupp Hubeinrichtung für eine Umsetzvorrichtung
JPH07309589A (ja) * 1994-05-13 1995-11-28 Hitachi Ltd 操重車のカウンターウエイト装置
KR0122877B1 (ko) * 1994-12-31 1997-11-18 석진철 다단식 실린더형 마스트를 갖춘 지게차
DE29704212U1 (de) * 1997-03-07 1997-05-15 Palfinger Gmbh Kran
DE19801837C2 (de) 1998-01-13 1999-11-18 Mannesmann Ag Vorrichtung zum Anordnen von Ballast am Oberwagen eines Fahrzeugkranes
DE19803780C2 (de) * 1998-01-22 1999-11-18 Mannesmann Ag Kranfahrzeug
JP2000054435A (ja) * 1998-08-03 2000-0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CN100345748C (zh) * 2004-07-07 2007-10-31 日立住友重机械建机起重机株式会社 用于建筑机械的配重装置
JP4741298B2 (ja) * 2004-07-07 2011-08-03 日立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DE202005016815U1 (de) 2005-10-26 2007-03-01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mit Ballastierung
CN2910884Y (zh) * 2006-06-29 2007-06-13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履带起重机自装卸装置
DE202006019421U1 (de) * 2006-12-22 2008-04-30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4603A1 (en) * 2020-11-06 2022-05-12 Liebherr-Werk Nenzing Gmbh Mobile crane having height adjustable superstructure ballast
US11713221B2 (en) * 2020-11-06 2023-08-01 Liebherr-Werk Nenzing Gmbh Mobile crane having height adjustable superstructure ball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3127A1 (en) 2010-12-24
RU2432433C1 (ru) 2011-10-27
US20110031728A1 (en) 2011-02-10
KR101234731B1 (ko) 2013-02-19
EP2218836B1 (de) 2017-04-05
RU2010102669A (ru) 2011-08-10
US8033572B2 (en) 2011-10-11
CN101804946B (zh) 2013-07-24
EP2218836A1 (de) 2010-08-18
JP5261411B2 (ja) 2013-08-14
JP2010195589A (ja) 2010-09-09
BRPI1000349A2 (pt) 2011-03-22
CN101804946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31B1 (ko) 차량, 특히 건설 차량
US9862437B2 (en) Mounting structure with storable transport system
US10144463B2 (en) Transport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CN101809248B (zh) 陆上钻机
CA2666890C (en) Construction apparatus with extendable mast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construction apparatus
CA2871406C (en) Mounting structure with storable transport system
CA2562351A1 (en) A tension lift frame used as a jacking frame
US11402053B2 (en) Vehicle support structure for a worksite
CA2701102A1 (en) Automated system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the work platform of a mobile workover and well-servicing rig
JP6756518B2 (ja) クレーンを操作する方法及びクレーン
US4767100A (en) Drilling rig with hoist transportable by a vehicle
JP2000502764A (ja) デリック用巻上げシステムにおけるヨーク関連装置
US7862285B1 (en) Compressor trolley
CA2833478A1 (en) Combination mobile boom truck & tower crane
US20140231067A1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US9341028B2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JP3917446B2 (ja) 自走式チュービング装置
US20140231609A1 (en) Base beam for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CN220448857U (zh) 用于盾构机螺旋输送机的辅助拆除装置
CA3237971A1 (en) Accessory device mountable to an excavator base, construction machine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mounting an accessory device to an excavator base
GB2260523A (en) Movable heavy load carriage device
AU2009225260A1 (en) Collapsible drilling rig
JPS6143836Y2 (ko)
CN108341335B (zh) 一种龙门塔吊
KR200327995Y1 (ko) 이동식 버켓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