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120A -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120A
KR20100093120A KR1020107015764A KR20107015764A KR20100093120A KR 20100093120 A KR20100093120 A KR 20100093120A KR 1020107015764 A KR1020107015764 A KR 1020107015764A KR 20107015764 A KR20107015764 A KR 20107015764A KR 20100093120 A KR20100093120 A KR 2010009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linear
wire
marker
linea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513B1 (ko
Inventor
야스시 기노시따
다다시 고오사이
쥰이찌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66Guide wires having radio-opaque features

Abstract

가이드 와이어는, 장척의 와이어 본체와, 상기 와이어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측의 부분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생체 내에서의 와이어 본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마커를 구비하고, 마커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를 서로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시켜,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마커에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한 교차부가 복수 형성되므로, 이들 교차부 중 소정의 교차부에 대해 착안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소정의 교차부가 가이드 와이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여, 가이드 와이어가 회전하였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본 발명은,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 혈관 등의 생체관강에 카테터를 삽입할 때에는, 당해 카테터를 생체관강의 목적 부위까지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가 사용된다. 이 가이드 와이어는, 카테터 내에 삽입 관통하여 사용된다.
또한, 내시경을 사용한 생체관강 등의 관찰이나 처치도 행해지고, 이 내시경이나 내시경의 루멘에 삽입된 카테터를 생체관강 등의 목적 부위까지 유도하는 데도 가이드 와이어가 사용된다.
이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할 때, 그 축 방향을 따른 이동 조작이나, 축 주위의 회전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조작은, 가이드 와이어를 X선 투시하 또는 내시경을 통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행해지므로, 당해 가이드 와이어가 단색이면, 각 조작에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가 확실하게 변위하고(움직이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이로 인해, 가이드 와이어에는, 그 표면에 위치 등을 나타내는 마커(마크)가 설치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의 마크는, 나선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그것을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도, 또한 축 주위로 회전시켜도, 나선 형상을 이루는 마크의 실제로 눈으로 확인되는 각 부분[특허 문헌 1의 도 3의 (b) 중의 해칭이 쳐져 있는 띠 형상의 각 부분]이, 일방향(예를 들어, 선단부 방향을 향해)으로 이동하는(변화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로 인해, 가이드 와이어에 토크를 가하여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다고 해도, 그 회전시켰다고 하는 의미에 반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마치 전진 또는 후퇴하고(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착각해 버린다. 이 착각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에 대해 오조작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는 조작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4650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특히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그 회전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움직임이 축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착각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척(長尺)의 와이어 본체와,
상기 와이어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측의 부분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생체 내에서의 상기 와이어 본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를 서로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시켜,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이다.
이에 의해, 조작성이 우수하고, 특히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그 회전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그 움직임이 축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착각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마커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 주위로 회전하였을 때, 그 회전을 체외로부터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에 토크를 가하여 당해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가이드 와이어가 회전하였다」라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마커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였을 때, 그 이동을 체외로부터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를 예를 들어 선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 넣어 당해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가이드 와이어가 이동하였다」라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마커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을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축 주위로 회전하였을 때, 그 변위가 이동인지 또는 회전인지를 체외로부터 식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커의 보이는 쪽이 변화되므로, 가이드 와이어의 실제의 변위가 이동인지 또는 회전인지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는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의 나선의 권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권회한 나선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선 형상부 및 제2 선 형상부가 각각 와이어 본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따라서 당해 전체 둘레에 마커의 격자 형상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는, 상기 제2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와 제2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마커의 형성 영역에 있어서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한 복수의 교차부가 적절하게 분산되고, 따라서 각 교차부에 대한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와 제2 선 형상부의 나선의 피치가 다른 경우에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한 교차부의 형성 수를 비교적 많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각각 그 나선의 피치가 선단부 방향을 향해 서서히 감소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치가 선단부 방향을 향해 서서히 감소한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에서 와이어 본체가 가늘어져 있어, 변형되기 쉬운(유연성이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각각 그 폭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 점감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하는 교차부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와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서로 평균 폭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서로 평균 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마커를 형성할 때에, 각 선 형상부에 따라서 그 폭을 바꾸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따라서 마커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서로 평균 폭이 다른 경우에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하는 교차부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어, 따라서 각 교차부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각각 그 평균 폭이 와이어 본체의 평균 직경의 0.5 내지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마커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당해 마커를 향해 조사되는 광의 강도에 따라서는 헐레이션(halation)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와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서로 색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서로 다른 색인 경우,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처럼 육안으로 확인되면, 그 회전은 축 주위의 일방향의 회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와는 반대로,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서로 접근하는 것처럼 육안으로 확인되면, 상기와는 반대, 즉, 상기 일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회전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와 상기 제2 선 형상부의 교차부가 그 밖의 부분보다도 높이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를, 예를 들어 내시경의 루멘 내에 삽입하였을 때, 가이드 와이어와 내시경의 루멘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이들 선 형상부 중 한쪽을 다른 쪽보다도 선행하여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선 형상부 상에 다른 쪽의 선 형상부의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한 교차부가 융기하고, 이러한 융기한 교차부를 갖는 격자 형상의 마커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선 형상부 및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 본체에 대해 액상 재료를 부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격자 형상의 마커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와이어 본체의 상기 마커가 배치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그 외경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 점감한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와이어 본체)의 비교적 유연성이 높은 부분, 즉 변형되기 쉬운 부분에 마커가 배치되게 되어, 따라서 당해 부분이 만곡되었을(변형되었을) 때, 그 만곡 정도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마커는 상기 와이어 본체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커와 상기 와이어 본체 사이에는,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커를 확실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마커 및 상기 중간층을 피복하고, 상기 마커를 시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피복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커를 확실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상기 와이어 본체의 선단부를 덮는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마커는, 상기 코일보다도 기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코일과 마커의 위치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 와이어의 구조가 간단한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A]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마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의 마커의 변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마커의 변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적합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 중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A]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에 있어서의 마커의 사시도, 도 4는 도 3 중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의 마커의 변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의 마커의 변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도 2, 도 5 및 도 6(도 7, 도 8도 동일) 중 우측을 「기단부」, 좌측을「선단부」라 한다. 또한, 도 1 중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단축하고, 가이드 와이어의 굵기 방향을 과장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어, 길이 방향과 굵기 방향의 비율은 실제와는 다르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1)는, 카테터(내시경도 포함함)의 내강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카테터용 가이드 와이어이며, 가요성 또는 유연성을 갖는 코어선(선재)(3)으로 구성된 와이어 본체(2)와, 나선 형상의 코일(4)과, 수지 피복층(6)과, 환상 부재(단차 메움 부재)(5)와, 마커(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본체(2)는 장척의 1개의 연속된 코어선(3)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코어선(3)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을 이루고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선(3)은 동일 또는 다른 재료의 복수개의 코어선(선재)을 예를 들어 용접이나 납접 등에 의해 접합(연결)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코어선(3)이, 예를 들어 2개의 코어선을 접합한 것인 경우, 그 접합부는 후술하는 본체부(32)와, 테이퍼부(34)와, 소직경부(36) 중 어디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가이드 와이어(1)의 전체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 내지 5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외경(평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2 내지 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선(3)은, 가이드 와이어(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 와이어(1)의 본체 부분에 대응하는 본체부(32)와, 그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테이퍼부(외경 점감부)(34)와, 그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36)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2)는, 그 외경이 거의 일정하고, 테이퍼부(34)는 그 외경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 점감하고 있고(끝이 가늘어져 있고), 소직경부(36)는 그 외경이 거의 일정하다.
코어선(3)에 테이퍼부(34)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32)와 테이퍼부(34)의 경계부 부근으로부터 선단부 방향을 향해 코어선(3)의 유연성이 서서히(연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1)의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생체에 삽입할 때의 조작성이나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 테이퍼부(34)의 도중으로부터 기단부측에 걸쳐 마커(12)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와이어 본체(2)]의 비교적 유연성이 높은 부분, 즉 변형되기 쉬운 부분에 마커(12)가 배치되게 되어, 따라서 당해 부분이 만곡되었을(변형되었을) 때, 그 만곡 정도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34)의 선단부측에 소직경부(36)를 가짐으로써, 최선단부의 유연한 부분을 길게 할 수 있어, 최선단부 부분이 보다 유연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코어선(3)의 소직경부(36)의 적어도 일부가, 리셰이프(형상 부여) 가능한 리셰이프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리셰이프부의 형상은, 평판상 또는 각기둥 형상 등이 바람직하다.
코어선(3)의 본체부(32)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3 내지 1.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0.7㎜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코어선(3)의 소직경부(36)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5 내지 0.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2㎜ 정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소직경부(36)의 외경은 일정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외경이 선단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테이퍼부(34)의 길이는, 가이드 와이어(1)의 용도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다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직경부(36)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34)의 테이퍼 각도(외경의 감소율)는,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해도 좋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되는 부위가 있어도 좋다. 또한, 테이퍼부(34)는 1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 이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코어선(3)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Ni-Ti계 합금, Ni-Al계 합금, Cu-Zn계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등의 다양한 금속 재료나, 비교적 고강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선단부의 외주, 즉 도시한 구성에서는, 코어선(3)의 소직경부(36)의 외주 및 테이퍼부(34)의 도중까지의 외주에는, 코일(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4)은, 소선(세선)(선재)을 나선 형상으로 권회(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선단부측의 부분(외주)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코어선(3)의 선단부측의 부분(선단부)은, 코일(4)의 내측의 거의 중심부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코어선(3)의 선단부측의 부분은, 코일(4)의 내면과 비접촉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코일(4)의 기단부는, 코어선(3)의 테이퍼부(34)의 도중에 위치하고 있고, 그것보다도 기단부측에 마커(12)가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코일(4)과 마커(12)의 위치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 와이어(1)의 구조가 간단한 것이 된다. 또한, 마커(12)는 코일(4)의 외주측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즉 측면에서 볼 때 코일(4)과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시한 구성에서는, 코일(4)은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소선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있지만, 도시와 달리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 나선 형상으로 권회된 소선끼리가 간극 없이 밀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코일(4)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4)을 구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초탄성 합금, 코발트계 합금이나, 금, 백금, 텅스텐 등의 귀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어, 백금-이리듐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귀금속과 같은 X선 불투과 재료(X선 조영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1)에 X선 조영성이 얻어져, X선 투시하에서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생체 내에 삽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4)은 그 선단부측과 기단부측을 다른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선단부측을 X선 불투과 재료의 코일, 기단부측을 X선을 비교적 투과하는 재료(스테인리스 강 등)의 코일로 각각 구성해도 좋다. 또한, 코일(4)의 전체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내지 5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코일(4)은 소선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선의 횡단면이 예를 들어 타원형, 사각형(특히 직사각형) 등인 것이라도 좋다.
코일(4)의 기단부 및 선단부는, 각각 고정 재료(81 및 82)에 의해 코어선(3)에 고정(고착)되어 있다.
이들 고정 재료(81 및 82), 즉 코어선(3)과 코일(4)을 고정하는 2개의 고정부는, 후술하는 환상 부재(5)보다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환상 부재(5)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고정 재료(81)를 통해 코어선(3)과 환상 부재(5)가 도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의 외표면과 코어선(3)이 도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재료(81 및 82)는 각각 땜납(납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재료(81 및 82)는, 각각 땜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착제라도 좋다. 또한, 코일(4)의 고정 방법은, 고정 재료에 의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접이라도 좋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는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선단부, 코일(4), 고정 재료(81 및 82)의 외주(외표면)를 덮는 수지 피복층(6)을 갖고 있다. 이 수지 피복층(6)은, 코어선(3)의 선단부의 외주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구성에서는, 수지 피복층(6)은 코일(4) 내에 들어가 있지만, 코일(4) 내에 들어가 있지 않아도 좋다.
수지 피복층(6)은,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가이드 와이어(1)를 혈관 등에 삽입할 때의 안전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수지 피복층(6)은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연질 재료,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PET, PBT 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라텍스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각종 고무 재료 또는 이들 중에 2 이상을 조합한 복합 재료를 들 수 있다.
특히, 수지 피복층(6)이 전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각종 고무 재료로 구성된 것인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의 유연성이 보다 향상되므로, 혈관 등에의 삽입시에, 혈관 내벽 등을 다치게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높다.
또한, 수지 피복층(6) 중에는, X선 불투과 재료(X선 조영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입자(필러)가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에 X선 조영성이 얻어져, X선 투시하에서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생체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구성 재료로서는, X선 불투과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금, 백금, 텅스텐 등의 귀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예를 들어, 백금-이리듐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피복층(6)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피복층(6)의 형성 목적이나 구성 재료, 형성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되지만, 통상은 그 두께(평균)는 30 내지 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2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피복층(6)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수지 피복층(6)의 형성 목적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지 피복층(6)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와이어 본체(2)[가이드 와이어(1)]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수지 피복층(6)은 2층 이상의 적층체라도 좋다.
또한, 수지 피복층(6)의 선단부면은, 라운딩을 띠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혈관 등에의 삽입시에, 수지 피복층(6)[가이드 와이어(1)]의 선단부면에 의해 혈관 내벽 등을 다치게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1)는,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측에,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와 와이어 본체(2) 사이의 단차 공간을 메우도록 설치된 환상 부재(5)를 갖고 있다. 또한,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의 외경은, 그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와이어 본체(2)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단차 공간은 이들 외경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환상 부재(5)의 선단부(52)의 외경은,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고,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면(61)에 환상 부재(5)의 선단부면(53)이 접합(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피복층(6)은 환상 부재(5)의 선단부(52)를 기단부측으로 넘겨, 환상 부재(5)에 덮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환상 부재(5)의 선단부(52)와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 사이에서, 단차가 없는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환상 부재(5)의 외경은, 선단부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기단부 방향을 향해) 점감하고 있고,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의 외경은 선단부(52)의 외경보다 작다. 그리고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의 외경은, 그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에 있어서의 와이어 본체(2)[피복층(7)]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다. 즉, 와이어 본체(2)[피복층(7)]와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 사이에서, 단차가 없는 연속면을 형성하고 있다.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의 외경은, 코어선(3)의 본체부(32)의 외경보다도 작다. 환상 부재(5)는, 0.5 내지 15㎜의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기단부(51)의 내경은, 선단부(52)의 내경보다 크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상 부재(5)가, 코어선(3)의 테이퍼부(34)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단부(51)의 내경이 선단부(52)의 내경과 동일해도 좋다.
이 환상 부재(5)에 의해,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가, 가이드 와이어(1)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카테터의 선단부나 내시경의 기상대(起上臺) 등의 의료 기구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지 피복층(6)이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1)의 미끄럼 이동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경사 각도(θ)(테이퍼 각도)(외경의 감소율)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다. 또한, 경사 각도(θ)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되는 부위가 있어도 좋다. 이 경사 각도(θ)는,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25°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20°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환상 부재(5)가, 가이드 와이어(1)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카테터의 선단부나 내시경의 기상대 등의 의료 기구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경도(단단함)는, 수지 피복층(6)의 경도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환상 부재(5)가, 가이드 와이어(1)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카테터의 선단부나 내시경의 기상대 등의 의료 기구에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부재(5)의 선단부면(53)과 내주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조면화되어 있어도 좋다. 환상 부재(5)의 선단부면(53)이 조면화되어 있으면, 수지 피복층(6)과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또한 내주면이 조면화되어 있으면 후술하는 고정 재료(9)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수지 재료, 각종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피복층(6)과 동일한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수지 피복층(6)과 다른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 환상 부재(5)는 금속 재료(금속) 또는 경질의 수지 재료(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부재(5)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티탄, 티탄 합금, Ni-Ti 합금, 알루미늄, 금, 백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이나 백금 등의 귀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함으로써 X선 조영성이 향상된다. 또한, 환상 부재(5)를 금속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는, 그 환상 부재(5)의 외주를 도시하지 않은 피복층으로 덮어도 좋다. 이 피복층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종 수지 재료, 각종 세라믹스, 각종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절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부재(5)를 경질의 수지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부재(5)는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외주에 설치된 고정 재료(9)에 의해, 코어선(3)[와이어 본체(2)]에 고정(고착)되어 있다.
고정 재료(9)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절연성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코어선(3)과 환상 부재(5)를 절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전류를 흘려 사용하는 의료 기구를 가이드 와이어(1)를 따라 배치하는 경우, 환상 부재(5)의 외표면으로부터의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재료(9)는 접착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환상 부재(5)를 금속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땜납(납재) 등이라도 좋다. 또한, 환상 부재(5)의 고정 방법은 고정 재료에 의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환상 부재(5)는 코어선(3)[와이어 본체(2)]의 테이퍼부(34)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환상 부재(5)의 전부(전체)가 테이퍼부(34)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환상 부재(5)의 일부만이, 테이퍼부(34)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환상 부재(5)는, 와이어 본체(2)의 환상 부재(5)로부터 기단부측과 선단부측의 강성(굽힘 강성, 비틀림 강성)의 차를 완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선(3)의 테이퍼부(34)에서는, 그 외경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서 점감하고 있어, 강성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 낮아져 간다. 한편, 와이어 본체(2)의 환상 부재(5)의 선단부측에는 수지 피복층(6)이 형성되어 있고, 환상 부재(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그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에 있어서, 강성이 급격하게 증대되어 킹크(절곡)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이 가이드 와이어(1)에서는, 환상 부재(5)에 의해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강성의 급격한 증대가 방지되어, 그 수지 피복층(6)의 기단부에 있어서의 킹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는 X선 투시하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 예를 들어 내시경을 통해 사용되는 것,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의 루멘에 삽입된 카테터를 생체관강 등의 목적 부위까지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이하,「경내시경 가이드 와이어」라 함)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표적으로 가이드 와이어(1)를 경내시경 가이드 와이어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경내시경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가이드 와이어(1)의 외표면에, 당해 가이드 와이어(1)[와이어 본체(2)]의 생체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시인 마커를 설치하고, 내시경을 통해 그 시인 마커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시인 마커에 상당하는 것이 마커(12)이다. 이 마커(12)는, 하지층(중간층)(13)을 통해, 와이어 본체(2)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가이드 와이어(1)에서는, 마커(12) 및 하지층을 피복하는 피복층(7)도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커(12)는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선 형상부(121)는, 나선 형상으로 권회한 것이다. 이에 의해, 제1 선 형상부(121)가 와이어 본체(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는 인접하는 선끼리가 이격된 성긴 권회로 되어 있다.
제2 선 형상부(122)는, 제1 선 형상부(121)와 마찬가지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그 권회 방향은 제1 선 형상부(121)의 나선의 권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선 형상부(122)가 와이어 본체(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제2 선 형상부(122)는 제1 선 형상부(121)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선끼리가 이격된 성긴 권회로 되어 있다.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가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선 형상부끼리가 서로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하게 되고, 따라서 마커(12)는 전체적인 형상이 격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는, 각각 하지층(13)으로부터 융기하여, 그 종단면 형상이 긴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그 정상부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이드 와이어(1)를 체외로부터 내시경을 통해 관찰하였을 때에는, 마커(12)는 도 5나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관찰된다. 도 5를 참조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주위로 회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도 6을 참조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가이드 와이어(1)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1)를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량(각도) 회전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커(12)에는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가 교차한 교차부(교점)(12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여기서, 실제로 관찰할 수 있는 [도 5의 (a) 중의]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의 교차부(123a, 123b, 123c, 123d, 123e 및 123f)에 착안하면, 이들 교차부(123a 내지 123f)는, 도 5의 (b) 중에서는 도 5의 (a)의 상태보다도 도면 중 하방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커(1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에 토크를 가하여 당해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가이드 와이어(1)가 회전하였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교차부(123a 내지 123f)는, 도 5의 (a)의 상태보다도 도면 중 상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가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인지, 즉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방향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는 가이드 와이어(1)를 이동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1)를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량(거리) 이동시키면, 도 6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실제로 관찰할 수 있는 [도 6의 (a) 중의]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의 교차부(123a 내지 123f)에 착안하면, 이들 교차부(123a 내지 123f)는 도 6의 (b) 중에서는, 도 6(a)의 상태보다도 선단부 방향(도면 중 좌측)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또한, 교차부(123a 및 123b)는 시야각(시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다(없어진다).
이와 같이 마커(1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를 선단부 방향을 향해 밀어 넣어 당해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가이드 와이어(1)가 이동하였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를 끌어 당겨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교차부(123a 내지 123f)는, 도 6의 (a)의 상태보다도 기단부 방향(도면 중 우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가 어느 쪽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있는 것인지, 즉 가이드 와이어(1)의 이동 방향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와이어(1)에서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또는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마커(12)의 전술한 변화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실제의 변위가 이동인지 또는 회전인지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1개의 나선 형상을 이루는 마커를 갖는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에 토크를 가하여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다고 해도, 그 회전시켰다고 하는 의미에 반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마치 전진 또는 후퇴하고(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착각해 버린다. 예를 들어, 이발소의 사인폴에 있어서의 적색이나 청색의 줄무늬 모양은, 실제로는 회전하고 있을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위로 위로 이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과 동일한 현상이다. 그러나 가이드 와이어(1)에서는, 이러한 착각(문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본체(2)의 축 방향의 동일한 위치, 즉 와이어 본체(2)의 본체부(32)와 테이퍼부(34)에서는, 제1 선 형상부(121)의 나선의 피치와 제2 선 형상부(122)의 나선의 피치는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커(12)의 형성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교차부(123)가 적절하게 분산되어, 따라서 각 교차부(123)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과, 가이드 와이어(1)의 밀고 당김(이동)을 구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커(12)에는 테이퍼부(34)에서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각각의 나선의 피치가 선단부 방향을 향해 서서히 감소한 피치 감소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치 감소부(124)를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에서 와이어 본체(2)가 가늘어져 있어, 변형되기 쉬운(유연성이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도 5, 도 6도 동일)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선 형상부(121)의 폭(평균)과, 제2 선 형상부(122)의 폭(평균)은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커(12)를 형성할 때에, 각 선 형상부에 따라서 그 폭을 바꾸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마커(12)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는, 각각 그 폭이 와이어 본체(2)의 평균 직경의 0.5 내지 2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5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 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마커(12)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내시경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강도에 따라서는 헐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는, 서로 색이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지만, 특히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가 서로 다른 색인 경우, 가이드 와이어(1)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가 서로 이격되는 것처럼 육안으로 확인되면, 그 회전은 도 5 중의 화살표 방향의 회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와는 반대로,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가 서로 접근하는 것처럼 육안으로 확인되면, 상기와는 반대, 즉 도 5 중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회전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커(12)에서는 교차부(123)의 높이가, 그 밖의 부분, 즉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교차부(123)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123)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커(12)는 피복층(7)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피복층(7)은, 그 외표면[가이드 와이어(1)의 외표면]에 있어서, 교차부(123)[마커(12)]가 배치된 부위가, 제1 선 형상부(121) 또는 제2 선 형상부(122)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 대해 융기한다. 즉,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에, 융기부(융기되어 있는 부분)(볼록부)(71)가 형성되고, 제2 선 형상부(122)만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 오목부(우묵하게 들어간 부분)(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피복층(7)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피복층(7)의 외표면은 교차부(123)의 영향을 받아, 그 교차부(123)의 형상이나 패턴에 대응하여 융기하기(대응한 형상으로 되기) 때문이다. 또한, 피복층(7)은, 가이드 와이어(1)의 외표면에 있어서,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가,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대해 융기한다. 즉,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에 융기부(71)가 형성되고,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는, 제1 선 형상부(121) 또는 제2 선 형상부(122)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보다도,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에 대해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는, 가이드 와이어(1)의 외표면 상에 점재한다. 융기한 부분이 나선 형상인 경우는, 카테터의 내강이나 내시경의 루멘에 선접촉인 것에 대해, 교차부(123)가 배치된 부위의 융기는, 루멘 등에 점접촉이므로, 피복층(7)의 외표면과, 카테터의 내강이나 내시경의 루멘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되어,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융기부(71) 및 오목부(72)는, 피복층(7)을 직접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피복층(7)의 바로 아래의 교차부(123)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므로, 피복층(7)의 외표면에는 뾰족한 코너부나 정상부 등은 형성되지 않고, 그 외표면은 매끄러워진다. 즉, 융기부(71)는,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정상부의 라운딩에 따라서, 이것과 동일한 라운딩을 띤다. 이에 의해, 미끄럼 이동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안전성이 매우 높다.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는, 각각 수지와 안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선 형상부(121)의 구성 재료와 제2 선 형상부(122)의 구성 재료는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 제1 선 형상부(121)의 구성 재료에 대해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제1 선 형상부(121)의 색은, 주로 제1 선 형상부(121)에 포함되는 안료의 종류나 특성과,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특성(특히 색조 등)과, 안료의 함유량에 따라 정해지고, 이들을 조정함으로써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내시경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1)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제1 선 형상부(121)의 색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것은 기초가 되는 하지층(13)의 색과의 조합을 고려해야 한다.
일례로서, 하지층(13)이, 은백색(금속색), 회색 또는 흑색이고, 제1 선 형상부(121)가 적색 또는 황색인 경우, 양자의 색의 명도의 차는 크고(고 콘트라스트), 이에 의해 제1 선 형상부(121)의 시인성은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양자의 색이 예를 들어 보색의 관계에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선 형상부(121)의 시인성은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흑색 또는 짙은색(차콜그레이, 짙은 갈색, 감색, 보라색 등)에 대해, 황색, 황록색, 오렌지색 등이나, 청색에 대해, 적색, 오렌지색, 핑크색 등 명확한 콘트라스트를 발현하는 조합을 선택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농담이 다른 동일계색, 예를 들어 감색과 수색(水色), 팥색과 핑크색이라도 좋다.
제1 선 형상부(121)의 구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제1 선 형상부(121)의 구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는, 융점이 200℃ 이상인 수지(내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융점이 200 내지 300℃ 정도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융점이 200℃ 이상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렌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아릴렌설파이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술폰, 폴리알릴술폰, 폴리알릴에테르술폰,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술폰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의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제1 선 형상부(121)의 구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 중의 안료의 함유량은, 안료의 종류나 특성,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특성에도 의존하지만, 양호한 색을 얻기 위해서는, 제1 선 형상부(121) 전체에 대해, 10 내지 99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선 형상부(121) 중에 있어서의 안료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제1 선 형상부(121)의 외표면측에 편재되어 있어도 좋다. 이 안료는,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이다. 무기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운모, 이산화티탄, 니켈티탄옐로우, 플루시안블루, 미로리블루, 코발트블루, 울트라마린, 비리디안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안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특히 혼합)해도 좋다. 또한, 안료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커(12)는, 예를 들어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 중, 제1 선 형상부(121)를 제2 선 형상부(122)보다도 선행하여 형성한다.
제1 선 형상부(1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와이어 본체(2)가 되는 코어선(3)에 대해, 제1 선 형상부(121)를 형성해야 할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마스킹 테이프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코어선(3)의 마스킹 테이프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노출된 부분에, 상기 안료가 첨가된 액상의 상기 수지 재료(이하, 이것을「액상 재료」라 함)를 도포한다(부여한다). 이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침지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도포된 액상 재료를 건조시킨다. 그 후, 마스킹 테이프를 벗긴다(제거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1 선 형상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선 형상부(122)를 형성한다.
제2 선 형상부(12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1 선 형상부(121)가 형성된 코어선(3)에 대해, 제2 선 형상부(122)를 형성해야 할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마스킹 테이프를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권회하여 부착한다.
다음에, 제1 선 형상부(121)를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코어선(3)의 마스킹 테이프가 권회되어 있지 않은, 노출된 부분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다.
다음에, 도포된 액상 재료를 건조시킨다. 그 후, 마스킹 테이프를 벗긴다(제거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1 선 형상부(121) 상에 일부가 겹치는 제2 선 형상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부(123)가 융기한 격자 형상의 마커(12)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는,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들 형성 수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와 제2 선 형상부(122)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서로 폭이 동일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폭이 달라도 좋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커(12) 및 하지층(13)을 피복하는 피복층(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층(7)은, 마커(12)를 시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갖고 있다.
피복층(7)은,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가이드 와이어(1)의 마찰(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시켜, 미끄럼 이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가이드 와이어(1)의 마찰(미끄럼 이동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피복층(7)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은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와 함께 사용되는 카테터의 내벽의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되어, 카테터나 내시경 내에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낮아짐으로써, 가이드 와이어(1)를 내시경(카테터에 대해서도 동일) 내에서 이동 및/또는 회전시켰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1)의 킹크(절곡)나 비틀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층(7)은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피복층(7)의 선단부가 환상 부재(5) 내에 들어가 피복층(7)의 외주에 환상 부재(5)가 위치하므로, 피복층(7)을 절연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코어선(3)과 환상 부재(5)를 절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전류를 흘려 사용하는 의료 기구를 가이드 와이어(1)를 따라 배치하는 경우, 환상 부재(5)의 외표면으로부터의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절연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PET, PBT 등),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수지, 불소계 수지(PTFE, ETFE, PFA 등)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수지(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1)와 카테터의 내벽의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미끄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카테터 내에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를 내시경 내에서 이동 및/또는 회전시켰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1)의 킹크(절곡)나 비틀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피복층(7)의 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커(12)와 와이어 본체(2) 사이에는, 마커(12)와 다른 색의 하지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지층(13)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피복층(7)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지층(13)의 구성 재료에 불소계 수지(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베이킹, 분사 등의 방법에 의해, 수지 재료를 가열한 상태에서 코어선(3)에의 피복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어선(3)과 하지층(13)의 밀착성은 특히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고 이 하지층(13)을 통해, 마커(12) 및 피복층(7)이 코어선(3)에 대해 고착한다.
하지층(13)의 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1)의 적어도 선단부의 외면에는, 친수성 재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친수성 재료가 습윤하여 윤활성을 발생하고, 가이드 와이어(1)의 마찰(미끄럼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미끄럼 이동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친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물질,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고분자 물질, 무수말레산계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와 같은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계 고분자 물질[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디메틸아크릴아미드(PGMA-DMAA)의 블록 공중합체], 수용성 나일론,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친수성 재료는, 대부분의 경우, 습윤(흡수)에 의해 윤활성을 발휘하여, 가이드 와이어(1)와 함께 사용되는 카테터(관체) 또는 내시경의 내벽과의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시킨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미끄럼 이동성이 더욱 향상되어, 카테터 내에서의 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이 보다 양호한 것이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선 형상부 및 제2 선 형상부의 형성 상태(형성 조건)가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1A)의 마커(12A)에서는, 제1 선 형상부(121)의 나선의 피치와 제2 선 형상부(122)의 나선의 피치가 서로 다른 크기로 되어 있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제2 선 형상부(122)의 나선의 피치가 제1 선 형상부(121)의 나선의 피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교차부(123)의 형성 수를 비교적 많이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의 폭(평균)과, 제2 선 형상부(122)의 폭(평균)은, 서로 크기가 다르다. 도시한 구성에서는, 제1 선 형상부(121)의 폭이 제2 선 형상부의 폭보다도 크게(굵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교차부(123)의 크기를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교차부(123)의 크기보다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교차부(123)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즉, 각 교차부(123)를 보다 보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선 형상부 및 제2 선 형상부의 형성 상태(형성 조건)가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8에 도시하는 가이드 와이어(1B)의 마커(12B)에서는,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각각의 폭이 선단부 방향을 향해 점감하고 있다. 이 폭이 점감된 부분(폭 점감부)은, 와이어 본체(2)의 테이퍼부(3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당해 부분에서 와이어 본체(2)가 가늘어져 있어, 변형되기 쉬운(유연성이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선 형상부(121) 및 제2 선 형상부(122)의 각각의 폭에 따라서, 각 교차부(123)의 측면에서 볼 때의 크기가 다르다. 이러한 구성은, 와이어 본체(2)의 외경에 따라서 각 교차부(123)의 크기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본체(2)의 테이퍼부(34)에서는, 각 교차부(123)의 크기를 작게 하고, 테이퍼부(34)보다도 외경(평균)이 큰 본체부(32)에서는, 각 교차부(123)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교차부(123)가 보기 쉬운 것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를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와이어를 구성하는 각 부는,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인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각 실시 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1 선 형상부 및 제2 선 형상부는, 각각 액상 재료를 건조시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띠 형상(리본 형상)의 부재를 나선 형상으로 권회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는, 장척의 와이어 본체와, 상기 와이어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측의 부분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생체 내에서의 상기 와이어 본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를 서로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시켜, 전체적인 격자 형상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로 인해, 마커에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한 교차부가 복수 형성되고, 이들 교차부 중 소정의 교차부에 대해 착안하면(관찰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소정의 교차부가 가이드 와이어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마커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가이드 와이어가 회전하였다」고 하는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킨 경우와 달리, 상기 소정의 교차부가 가이드 와이어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또는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 마커의 보이는 쪽이 다르므로, 가이드 와이어의 실제의 변위가 이동인지 또는 회전인지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그 움직임이 축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착각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마커가,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가 교차부가 그 밖의 부분보다도 높이가 높은 것인 경우에는, 교차부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의 외표면이 융기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의 외표면과, 예를 들어 카테터의 내강이나 내시경의 루멘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 저항(미끄럼 이동 저항)이 저감되어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이드 와이어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5)

  1. 장척의 와이어 본체와,
    상기 와이어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측의 부분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고, 생체 내에서의 상기 와이어 본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마커는, 제1 선 형상부와 제2 선 형상부를 서로 복수의 개소에서 교차시켜,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 주위로 회전하였을 때, 그 회전을 체외로부터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당해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였을 때, 그 이동을 체외로부터 확인하는 기능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그 축을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축 주위로 회전하였을 때, 그 변위가 이동인지 또는 회전인지를 체외로부터 식별하는 기능을 갖는, 가이드 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 형상부는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선 형상부는 상기 제1 선 형상부의 나선의 권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권회한 나선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와이어.
KR1020107015764A 2008-01-18 2009-01-14 가이드 와이어 KR101473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9723 2008-01-18
JP2008009723 2008-01-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382A Division KR101456761B1 (ko) 2008-01-18 2009-01-14 가이드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120A true KR20100093120A (ko) 2010-08-24
KR101473513B1 KR101473513B1 (ko) 2014-12-16

Family

ID=408853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764A KR101473513B1 (ko) 2008-01-18 2009-01-14 가이드 와이어
KR1020127005382A KR101456761B1 (ko) 2008-01-18 2009-01-14 가이드 와이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382A KR101456761B1 (ko) 2008-01-18 2009-01-14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229974B1 (ko)
JP (1) JP5536459B2 (ko)
KR (2) KR101473513B1 (ko)
CN (1) CN101918070B (ko)
BR (1) BRPI0906958B8 (ko)
CA (1) CA2712150C (ko)
WO (1) WO20090909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21B1 (ko) * 2011-02-15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를 이용한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3312A (ja) * 2013-05-30 2014-12-1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N103346012B (zh) * 2013-07-16 2016-03-16 上海交通大学 用于胶囊内窥镜的椭圆绕线线圈制备方法
WO2017086114A1 (ja) * 2015-11-17 2017-05-26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WO2018181184A1 (ja) 2017-03-30 2018-10-04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具
JP2018201765A (ja) * 2017-06-01 2018-1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機器用チューブ
JP6933734B2 (ja) * 2018-02-07 2021-09-0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N111683710A (zh) * 2018-02-09 2020-09-18 郡是株式会社 医疗用导丝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1675A (ja) * 1986-03-31 1987-10-12 加藤発条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5084022A (en) * 1989-10-04 1992-01-28 Lake Region Manufacturing Company, Inc. Graduated guidewire
US5379779A (en) * 1993-08-16 1995-01-10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Zebra exchange guidewire
JPH1099442A (ja) * 1996-09-26 1998-04-21 Kawasumi Lab Inc ガイドワイヤー
JPH10118188A (ja) * 1996-10-24 1998-05-12 Terumo Corp 体腔内挿入用医療用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06105B1 (en) * 1998-05-14 2001-10-23 Scimed Life Systems, Inc. High performance coil wire
JP2000116802A (ja) * 1998-10-14 2000-04-25 Terumo Corp 放射線治療用カテーテルおよび放射線治療用カテーテル組立体
JP4767391B2 (ja) * 1999-06-01 2011-09-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4282979B2 (ja) * 2002-03-25 2009-06-24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4203358B2 (ja) * 2002-08-08 2008-12-24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04229947A (ja) * 2003-01-31 2004-08-19 Terumo Corp ガイドワイヤ
AU2003227198A1 (en) * 2003-03-25 2004-10-18 Olympus Corporation Guide wire
CA2590001C (en) * 2004-12-15 2011-10-18 Wilson-Cook Medical Inc. Minimally invasive medical device with helical pattern for indicating distance of movement
JP5032760B2 (ja) * 2005-09-30 2012-09-2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メディカルデバイス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5249591B2 (ja) * 2007-03-23 2013-07-31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21B1 (ko) * 2011-02-15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를 이용한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12150C (en) 2014-05-13
JP5536459B2 (ja) 2014-07-02
KR20120038019A (ko) 2012-04-20
EP2229974A1 (en) 2010-09-22
KR101473513B1 (ko) 2014-12-16
BRPI0906958B1 (pt) 2019-11-26
CA2712150A1 (en) 2009-07-23
KR101456761B1 (ko) 2014-10-31
EP2229974B1 (en) 2018-12-05
JPWO2009090963A1 (ja) 2011-05-26
CN101918070A (zh) 2010-12-15
BRPI0906958A2 (pt) 2015-07-14
CN101918070B (zh) 2013-09-04
BRPI0906958B8 (pt) 2021-06-22
EP2229974A4 (en) 2011-07-27
WO2009090963A1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3684B2 (ja) 医療用具
JP5509276B2 (ja) ガイドワイヤ
JP5441336B2 (ja) ガイドワイヤ
KR20100093120A (ko) 가이드 와이어
US9028427B2 (en) Guide wire
EP1970092B1 (en) Guide wire
JP5411533B2 (ja) ガイドワイヤ
JP2023021138A (ja)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5806441B2 (ja) ガイドワイヤ
JP5149522B2 (ja) ガイドワイヤ
JP5526218B2 (ja) ガイドワイヤ
JP5718421B2 (ja) ガイドワイヤ
JP2017164061A (ja) ガイド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26

Effective date: 2014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