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493A -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493A
KR20100092493A KR1020107013938A KR20107013938A KR20100092493A KR 20100092493 A KR20100092493 A KR 20100092493A KR 1020107013938 A KR1020107013938 A KR 1020107013938A KR 20107013938 A KR20107013938 A KR 20107013938A KR 20100092493 A KR20100092493 A KR 2010009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ection
locking device
inclined surface
forc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405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슈미츠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1Side slide: elongated co-linea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위방향에 따라 사용위치로부터 안락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제 1 서브섹션(11)을 구비한 특히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4)를 위한 로킹장치(lock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변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19)에 대해 제 1 서브섹션(11) 및/또는 제 3 서브섹션(13)에 대한 제 2 서브섹션의 이동이 제공되고, 차단장치(30) 및 활주장치(40)이 둘 다 제 1 서브섹션(11)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장치{LOCK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RASH-ACTIVE HEAD RESTRAI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복수의 가능한 상대위치 중의 하나에서 하나의 구성요소(component)를 다른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풀림 가능하게 로킹(releasable locking)하기 위한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그와 같은 로킹은 볼트가 다양한 위치에서 포지티브하게 맞물리는 톱니모양 부분(toothed part)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었다. 이러한 볼트는 일반적으로 톱니모양 부분의 방향에서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 팽팽해진다. 조정 도중에 볼트는 스프링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려져서 로킹이 풀리고 상대위치의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조정은 또한 볼트의 들어올림 없이 수행될 수 있으되, 톱니 프랭크(tooth franck)의 물매는 상응하게 평탄하다. 게다가, 볼트 및 톱니모양 부분은, 볼트가 풀리지 않을 때 한 방향에서의 조정이 가능할 수도 있도록 비대칭인 것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반해, 반대방향에서의 조정은 볼트의 풀림을 요구한다. 특히 마지막으로 언급된 로킹장치에서는 (그렇지만 유일하지는 않은) 볼트의 사전 풀림이 없는 조정 도중에 성가신 효과를 갖는 덜커덕거리는 잡음(rattling noise)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결과적으로, 볼트 및 톱니모양 부분에서 마모가 증가할 수 있다. 헤드 레스트레인트는 추가적으로 DE 199 23 909 A1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유지봉(retaining bar)을 통해서 차량 좌석의 등받이에 단단하게 연결된, 선택적으로는 또한 높이-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 기체(基體; base body)로 구성되는 것으로, 트러프(trough) 방식으로 형성된 패딩된 세그먼트에 배열된다. 사고발생시에 패딩된 세그먼트는 목뼈의 골절을 방지하기 위해서 좌석 탑승자의 머리쪽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힘은 텔레스코픽 유도장치(telescopic guide device) 내부의 변위방향에서 예비적으로 팽팽해진(pretensioned) 스프링에 의해서 생성된다. 헤드 레스트레인트는 추가적으로 DE 10 2004 016 474 B3, DE 103 48 939 B3 및 DE 10 2005 052 766 B3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이 없는 특히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이 극복될 수 있다. 특히 정상적인 사용 환경에서 최적의 사용 용이성이 보장되며,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조정할 때에 잡음 발생이 방지되거나 줄어들고, 선택적으로는 사고발생시 좌석 탑승자의 최적의 안전성이 담보되도록 의도되었다.
상기 목적은, 변위방향에서 사용위치로부터 안락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제 1 서브섹션(subsection)을 포함하는, 특히 차량 탑승자용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장치로서, 상기 제 1 서브섹션 및/또는 제 3 서브섹션에 대한 제 2 서브섹션의 상대이동이 변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에 대해 제공되고, 차단장치 및 활주장치(sliding device)가 둘 다 상기 제 1 서브섹션과 제 2 서브섹션 사이에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섹션과 제 3 서브섹션 사이에 배치되는, 로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유리하게는 튼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헤드 레스트레인트 및/또는 상기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안락감 및/또는 안전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더욱이, 결과적으로 로킹장치가 우세적으로 포지티브하고 우세적으로 마찰에 의한 로킹수단을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기초하중 또는 낮은 작동하중에서의 로킹은 우세적으로는 마찰에 의해 일어나고 증가된 작동하중의 경우 우세적으로 포지티브하게 일어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초하중 또는 낮은 작동하중에서의 우세적 마찰 로킹수단은 압축성, 바람직하게는 탄성 압축성으로 되도록 설계되며, 구성요소들에 작동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우세적 포지티브 로킹수단이 맞물리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로킹장치는 충돌 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안락 깊이를 조정할 때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독일특허출원 제10 2007 041 4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그의 전체 개시, 특히 톱니모양의 경사표면의 기재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다(상기 특허의 기재의 마지막 단락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서브섹션 상의 사용자의 부분에 힘의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활주장치의 작용만이 제공되고, 로킹장치는 힘의 임계값(threshold)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변위방향과 반대로 제 1 서브섹션에 상기 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1 힘을 가할 때 차단장치(blocking device)의 작용이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즉 제 1 서브섹션상의 사용자의 부분에서 힘의 실질적인 작용이 없는 경우 활주장치는 유리하게는 감소된 잡음을 갖는 조정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서브섹션상의 사용자의 부분에 힘의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최소한 차단장치의 작용이 제공되고, 로킹장치는 힘의 임계값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변위방향과 평행한 제 1 서브섹션에 힘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2 힘을 가할 때 차단장치의 작용이 중지되는(canceled)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안에 따르면,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제 1 서브섹션 상의 사용자의 부분에서 힘의 실질적인 작용이 없는 경우 최소한 차단장치는 유리하게는 제 1 서브섹션의 고정 배치가 보장되고 사용자가 제 2 힘으로 (전방으로의 변위방향에서) 제 1 서브섹션 위에서 당기는 경우에만 차단장치의 작용이 존재하지 않도록 작동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서브섹션은 하나 이상의 제 1 경사표면을 가지며 제 2 서브섹션은 하나 이상의 제 2 경사표면을 갖고,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경사표면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하고 회전축에 대한 제 2 서브섹션의 상대이동으로 변위방향에서 제 1 서브섹션의 이동을 수행하고/하거나; 구비된 제 2 서브섹션이 제 1 서브섹션과 제 3 서브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서브섹션은 하나 이상의 제 3 경사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섹션은 하나 이상의 제 4 경사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또는 제 4 경사표면은 회전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하고 회전축에 대한 제 2 서브섹션의 상대이동으로 변위방향에서 제 2 서브섹션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간단한 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서브섹션의 선형 이동은 제 2 서브섹션의 상대 회전이동에 대응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장치 및 활주장치는 제 1 경사표면 및/또는 제 2 경사표면 및/또는 제 3 경사표면 및/또는 제 4 경사표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축에 대해 둘레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에서 오프셋(offset)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차단장치 및 활주장치는 특히 구조적으로 조밀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축방향에서 차단장치의 반대측 상의 제 1 경사표면의 영역 및/또는 제 2 경사표면의 영역 및/또는 제 3 경사표면의 영역 및/또는 제 4 경사표면의 영역에 스프링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차단장치의 작동을 스위칭하기 위한 구성요소 공차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차단장치가 변위방향 반대로의 제 1 서브섹션의 이동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차단장치는 제 3 경사표면 및 제 4 경사표면의 영역에 톱니모양 부분을, 및/또는 제 1 경사표면 및 제 2 경사표면의 영역에 톱니모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유리하게는 2 개의 톱니모양 부분들 사이의 포지티브 연결에 의해서 특히 간단한 차단이 충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장치는 하나 이상의 차단핀을 가지며, 특히 상기 차단핀은 정상적인 경우에 스프링에 의해서 예비적으로 팽팽해지고retensioned)/지거나, 변위방향과 평행한 제 1 서브섹션에 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2 힘을 가할 때 특히 구비된 차단핀이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간단한 수잔에 의해서, 변위방향과 평행한 (즉, 전방으로) 제 1 서브섹션의 비교적 작은 조정경로에 의해서 상호간의 맞물림에서 차단장치의 톱니모양 부분들 사이의 거리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조작이 간편하고 보다 안락한 설계로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서브섹션은 안락 서브섹션 및 안전 서브섹션을 가지며, 상기 안락 서브섹션은 제 1 서브섹션의 사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안락 조정을 위한 안전 서브섹션의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안락 서브섹션은 안전 서브섹션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제 1 서브섹션의 안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의 안락 조정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헤드 레스트레인트 및/또는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제 1 서브섹션의 안전성 및/도는 안락감을 조정하기 위한 튼튼하고 신뢰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서브섹션과 제 2 서브섹션 사이 및/또는 제 2 서브섹션과 제 3 서브섹션 사이 및/또는 제 1 서브섹션과 제 3 서브섹션 사이에 공차보정장치(tolerance compensation device)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서 공차보정 및 선택적으로 또한 상응하는 잡음 감소를 갖는 정지 보호를 유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를 포함하되, 제 1 서브섹션은 좌석 탑승자의 머리를 향하고(facing) 변위방향은 좌석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제공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제 5 서브섹션이 정상위치로부터 안전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로킹장치, 특히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5 서브섹션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추가적인 회전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에서 안전 목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 4 서브섹션이 제공되고, 클램핑 요소(clamping element) 및 카운터 요소(counter element)가, 초기 위치의 방향에서의 이동에 대해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에서 제 4 서브섹션을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래칭 위치(latching position) 없이도, 즉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안락한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 기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진다.
도 1 내지 14는 본 발명의 로킹장치의 다양한 양태 및/또는 상세도 및/또는 공지 로킹장치의 그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포함하는 차량 좌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 및 17은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상세도 및 확대분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 및 1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로킹장치(1)의 추가적인 변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내지 26은 안락 목적으로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요소 및/또는 서브섹션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추가적인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따르면, 차량 좌석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머리받침(4)이 구비된 차량 좌석은 좌석 부분(2) 및 거기에 연결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머리받이(4)가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3)를 포함한다. 복수 쌍의 유지봉(5)들이 상기 머리받이를 등받이(3)에 고정시킬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다른 고정 사양(도시되지 않음) 또한 등받이(3)과 머리받이(4)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머리받이(4)의 복수 쌍의 유지봉(5)들은 등받이(3)의 상부 영역 또는 머리받이(4)의 영역에서 접합부(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여 등받이(3) 및/또는 머리받이(4)에 피봇(pivot)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받이(4)는 좌석 탑승자의 머리를 향하는 머리받이(4)의 하나 이상의 제 1 서브섹션(11)을 포함하며, 이것은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사고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제 1 서브섹션(11)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 배치된 머리받이(4)의 제 2 서브섹션(12)의 상대이동작용하에서 변위방향에서 좌석 탑승자의 머리쪽의 사용위치(도 15에서 실선으로 표시됨)로부터 안전위치(도 15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대응하는 변위의 제 1 서브섹션(11)이 안락감 조정 가능성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 1 서브섹션(11)은 특히 좌석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고/기대거나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패딩된 요소이다. 머리받이(4)의 제 3 서브섹션(13)은 특히 유지봉(5)을 경유하거나 또는 또한 그의 높이 및/또는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등받이(3)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머리받이(4)의 기체이다.
도 16a 및 16b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레인트(4)의 서브섹션(11, 12, 13)이 보다 구체적으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 16a는 사용위치에서의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상태를 도시하며 도 16b는 안전위치에서 및/또는 안락위치에서, 즉 좌석 탑승자의 방향에서 전방으로의 변위 후의(화살표 C에 따른)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전방으로의 변위는 회전축(19) 주위의 제 2 서브섹션(12)의 상대회전에 의해서 수행된다. 서로에 대해 러빙(rubbing)하고/하거나 제 1 서브섹션(11)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서 서로의 상부에 설치된 경사표면은 축 힘 및 변위방향(C)에서 회전축(19)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제 1 서브섹션(11)의 전방으로의 변위를 생성한다. 도면부호 (11') 및 (12')로 표시된(이하에서 제 1 경사표면(11')로도 표시됨) 제 1 서브섹션(11)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의 전방 표면은 제 2 서브섹션(12)의 회전운동이 제 1 서브섹션(11)의 병진운동으로 및 그의 역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차단장치(30)(단지 도 16b에서 개략적으로 표시됨)은 이들 제 1 및 제 2 경사표면(11', 12')가 (예를 들어 사고발생 후에 또는 사고발생 동안에 차량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제 1 서브섹션를 사용위치로 후방 이동하는 제 1 서브섹션(11)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동방향(C)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제 1 서브섹션(11)의 차단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톱니모양 유사-톱니모양 부분을 구비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경사표면(도 16a 및 16b에서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됨)은 또한 제 1 서브섹션(11) 및 제 2 서브섹션(12) 사이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제 1 서브섹션(11) 및 제 2 서브섹션(12) 사이의 그들의 배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및 제 2 경사표면 (11'), (12')에서 차단장치(30)에 대해 유사하게 구성된 차단장치가 제 3 및 제 4 경사표면 (13'), (14')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상황에서 및/또는 안락목적으로 변위방향(C)에서 제 1 서브섹션(11)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도 17에 도시된 일양태에 있어서, 안락 목적의 변위방향에서의 변위경로 및 안전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변위경로가 전체적으로 중첩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 2 서브섹션(12)이 안락 서브섹션(122) 및 안전 서브섹션(123)을 포함하고 사용위치 또는 안락위치로부터 출발한 회전축(19)에 대한 상기 안락 서브섹션(122) 및 안전 서브섹션(123)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서브섹션(11)의 이동이 변위방향(C)으로 제공되며 회전축(19)에 대한 안전 서브섹션(123)의 회전에 의해서 안락 서브섹션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결합된 이동 및 제 1 서브섹션(11)의 이동이 변위방향(C)으로 제공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보다 간단히 도시하기 위해서, 도 17에 따른 확대분해도에서 안락 서브섹션(122) 및 안전 서브섹션(123)을 간략히 나타내었지만, 도 16a 및 16b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변위방향(C)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표면(11', 12', 13', 14')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나선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사표면은 또한 120°까지의 안락 서브섹션(122)의 최대 회전, 일반적으로는 대략 70° 내지 대략 110°의 최대 회전이 일어나도록 예를 들어 안락 서브섹션(122)의 둘레를 따라 예를 들어 3번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위방향(C)과 반대로(즉, 탑승자 머리의 뒷쪽으로부터 이격되고/되거나 후방으로) 제 1 서브섹션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은 방식으로는 불가능하지만, 차단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1)이 제공되고/되거나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레인트(4)가 그러한 로킹장치(1)을 갖는다. 로킹장치(1)은 제 1 서브섹션(11)의 변위방향(C)과 반대의 데드 트레블(dead travel)을 경유한 반대이동을 방해하는 차단장치(30)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안락감을 조정할 때 로킹장치(1)에서의 과잉 잡음은 차단장치(30)의 톱니모양 부분에 의해서 방지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30)은 예를 들어 제 3 및 제 4 경사표면(13', 14')의 영역에서 및/또는 제 1 및 제 2 경사표면(11', 12')의 영역에서 톱니모양 부분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나선형 경사표면 및 비나선형 경사표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 이상에 톱니가 제공된다. 즉 예를 들어 둘레에 걸쳐서 분포된 3개의 경사표면 중 하나에만 톱니가 제공된다. 한 양태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톱니모양 표면 예를 들어 제 3 경사표면(13')은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서 예비적으로 팽창해진 차단핀(31)에 의해서 정상적인 경우 제 4 경사표면(이에 의해서 차단장치(30)의 차단작용이 제거될 수 있다)이 제공된 톱니 맞물림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거나 또는 (제 1 서브섹션(11)에서의 비교적 낮은 힘을 갖는)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차단핀(31)이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 즉 힘이 변위방향(C)과 반대로 제 1 서브섹션(11) 상에 힘 임계값을 상회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톱니모양 맞물림에 의해 차단을 일으키도록) 톱니 맞물림으로, 다만 제 4 경사표면(14')과는 마찰 맞물림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것은 하기에서 도 1 내지 14를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a는 서로에 대해 길이방향(화살표 A1, A2)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제 1 구성요소(22) 및 제 2 구성요소(2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1)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구성요소(22, 23)는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특히 경사표면(11', 12', 13', 14')의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서브섹션(11, 12) 및/또는 제 2 및 제 3 서브섹션(12, 13)에 대응한다. 제 2 구성요소(23)에는 한 쪽에 램프(ramp)의 방식으로 형성된 톱니(25)를 갖는 비대칭적 톱니모양 부분(24)가 제공되어 있다. 제 1 구성요소(22) 상에는 톱니(7)을 갖는 상보적 형상의 볼트(6)이 제공되며 (이는 예를 들어 차단핀(31)에 대응하며), 이것은 다양한 상대위치에서 톱니모양 부분(24)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로킹력(locking force)을 생성할 수 있다(포지티브 로킹수단(8)). 추가적으로, 로킹장치(1)은 톱니모양 부분(24)를 지탱하는, 제 1 구성요소(22)상에 배치된 판 스프링(10) 및 실질적으로 평활한 마찰 블록(110)으로 이루어진 우세적 마찰 작용 로킹수단(9)을 갖는다. 상기 마찰 블록(110)은 로킹을 풀기 위해 톱니모양 부분(24)로부터 서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더욱이, 제 1 구성요소(22)는 횡방향(화살표 A1, A2)에서 대체가능한 방식으로 뿐만 아니라 화살표 C' 방향에서 판 스프링(10)의 힘의 반대방향(즉, 변위방향(C)과 반대방향)에서 대체가능한 방식으로 대체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제 2 구성요소(23)에 대한 제 1 구성요소(22)의 변위동안 마찰 블록(110)은 실질적으로 톱니(25)의 램프에 대한 잡음 없이 활주(sliding)하며, 조정에 대해 거의 배타적으로 작은 마찰 저항만이 일어나게 한다. 화살표 A1의 방향에서의 조정으로 톱니모양 부분(24)의 비대칭적 톱니 형상에 기인하여 저항이 현저히 증가된다. 따라서 배향된 조정은 톱니모양 부분(25)로부터 마찰 블록(110)을 들어 올림으로써 로킹의 풀림을 요구한다. 마찰 로킹수단(9)은 특히 기초하중(즉, 변위방향(C)과 반대방향에서 비교적 작은 힘의 작용) 또는 작은 추가적인 작동하중, 특히 진동하중에서 원치 않는 조정을 방지하는데 적당하다.
작동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대응하는 하중 방향의 결과로서 또는 화살표 C'의 방향에서 하중 휨 수단(load deflection means)을 사용함으로써 제 1 구성요소(22)는 제 2 구성요소(23) 쪽으로 이동하고, 판 스프링(10)은 전기적으로 압축가능한 방식으로 변형된다(도 1b). 결과적으로, 볼트(6)는 톱니모양 부분(24)와 맞물리며 상기 이동을 포지티브하게 로킹하고, 화살표 A1의 방향에서의 작용이 특히 크다. 증가된 작동 하중이 감소되는 경우 판 스프링(10)은 볼트(7)을 다시 위로 들어 올리고 시스템을 도 1a에 따르는 상태로 복귀시킨다.
물론, 톱니모양 부분(24)은 대칭성 삼각형 프로파일(도 2 참조), 직사각형 톱니(도 3 참조) 또는 기타 톱니 형상을 갖는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따르는 양태(측면도 및 횡단면도)에 있어서, 2개의 나선형의 톱니모양 부분(24.1, 24.2)이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되,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볼트(6)은 대응하는 카운터-컨투어(counter-contour)을 가지며, 탄성 압축성 마찰 블록(110)은 톱니모양 부분(24.1)상에서 기초하중으로 작용하며 볼트(6)의 톱니(7)은 톱니모양 부분(24.2)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중첩된다.
작동하중이 증가하는 경우(도 4b), 마찰 블록(110)은 톱니모양 부분(24.1)으로 들어가고 거기에 특정한 포지티브 로킹 작용을 배치한다. 그러나, 특히 볼트(6)의 톱니(7)은 톱니모양 부분(24.2)와 포지티브 연결을 형성하고 구성요소 (22) 및 (23)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특히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도 5에는 2개의 톱니모양 부분(25)를 갖는 볼트(6)의 일양태의 추가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한편으로는 제 1 서브섹션(11) 또는 제 2 서브섹션(12) 중의 어느 하나의 대응하는 톱니모양 부분에서 맞물리는 경우 상기 서브섹션(11, 1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톱니모양 부분(25)(차단장치(30)으로서) 및, 다른 한편으로는 고무 처리된 표면(활주 표면 및/또는 활주장치(40)로서)을 갖는 볼트(6)의 일양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처리된 표면 아래에 스프링 장치가 금속 스프링 또는 리질리언트 발포체(resilient foam)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고무 처리된 표면이, 제 1 서브섹션(11)에 충분히 큰 제 1 힘이 작용하는 경우 고무 처리된 표면이 차단장치(30)(즉, 톱니모양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고무 처리된 표면의 반대쪽 또한 고무 처리된 표면을 포함하거나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고무 스프링(41)은 활주 표면 및/또는 맞은편의 마찰표면과 일정하게 접촉된다.
도 7은 예를 들어 독일특허출원 제10 2007 041 49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3 서브섹션에 대해 차단핀(31) 및/또는 볼트(6)에 의해서 제 1 서브섹션 또는 제 2 서브섹션(12)의 이동의 통상적인 로킹을 도시한다. 볼트(6)은 화살표 6'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을 완화하거나(맞물림 없는 톱니모양 부분) 또는 완화하지 않는다(도 7에 도시된 맞물림의 톱니모양 부분).
도 8에는 스프링(41)이 차단장치(30)의 제 3 서브섹션(13)과 제 1 서브섹션(11) 또는 제 2 서브섹션(12) 사이의 활주장치(40) 맞은편에 (실질적으로 맞물린 톱니모양 부분의 형태로) 축방향으로(즉, 변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로킹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힘 F2가 변위방향과 평행하고 스프링(41)의 작용방향과 반대로 제 1 서브섹션(11)(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에 작용하는 경우 톱니모양 부분은 맞물림을 벗어나며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잡음의 부재 또는 적어도 잡음의 실질적인 부재하에서).
도 9 및 10에서, 도 8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대이동은 스프링(41)의 작용에 더하여 볼트 및/또는 차단핀(31)의 언로킹(unlocking) 및/또는 풀링 백(pulling back)의 감지로 전동(傳動)장치(transmission device)에 의해서 수행된다. 도 9에 따른 양태에 따르는 전동장치(50)은 레버(lever)(51) 및/또는 레버 장치(51)로 형성되고, 제 1 서브섹션(11)(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에 가해진 제 2 힘 F2는 볼트(6)의 언로킹 이동(및/또는 풀링 백)을 유도한다. 전동장치(50)은 도 10에 따른 양태에 따라 스프링 장치(52)로서 형성되며, 제 1 서브섹션(11)(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에 가해진 제 2 힘 F2는 스프링 장치(52)와 함께 접합부(abutment)(53)에 의해서 볼트(6)의 언로킹 이동(및/또는 풀링 백)을 번갈아서 유도한다.
도 11 및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장치(1)의 추가의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차단장치(30) 및 활주장치(40)은 피봇가능한 톱니모양 세그먼트(pibotable toothed segment)(60)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러한 피봇가능한 톱니모양 세그먼트(60)는 예를 들어 볼트(6)에 배치되고 도 11에 도시된 차단된 위치 및 도 12에 도시된 활주위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피봇가능한 톱니모양 세그먼트(60)을 차단된 위치에서 예비적으로 팽팽하게 하는 것이 제공된다.
도 18 및 1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장치(1)의 추가적인 변형태가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활주장치(40)는 볼트(6) 및/또는 차단핀(31)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와 동시에 제공된다. 활주장치(40)은 예를 들어 제 2 서브섹션(12)와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서 케이지(cage)(46)에 설치된 볼(45)을 갖는다. 제 2 서브섹션(12)와 제 3 서브섹션(13) 사이의 상대이동은 케이지(46)에서 볼의 이동을 유도한다. 이러한 이동은 레버 메카니즘(47)에 의해서 볼트(6)의 언로킹 이동 및/또는 풀링 백을 수행한다. 제 2 서브섹션(12)와 제 3 서브섹션(13) 사이의 볼(45)의 배치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서브섹션(12)의 방사상 외측에 제공된다.
도 20 및 21에는 축방향에서 (즉, 변위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 3 서브섹션(13)과 제 1 서브섹션(11) 사이에 또는 제 3 서브섹션(13)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에서 활주장치가 공차 보정 및/또는 공차 보정 장치(70)의 감지로 생성될 수 있다. 도 21에 따르면, 공차 보정 장치(70)은 하나의 서브섹션의 마주하는 부분들 사이에 -도 21의 예에서 제 3 서브섹션(13) - 추가적인 서브섹션 - 도 21의 예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1, 12) -가 유도되며 하나의 서브섹션의 마주하는 부분들 중의 하나(13으로 표시됨)에서 공차 스프링 요소(71) 및 공차 활주 요소(72)는 공차 스프링 요소(71)에 의해서 공차 활주 요소(72)가 다른 서브섹션(11, 12로 표시됨)에 대해 압축되고 따라서 공차의 보정에 의해서 유도되도록 배치된다. 제 3 서브섹션(13)과 제 1 서브섹션(11) 사이에 또는 제 3 서브섹션(13)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의 대안적인 양태의 공차 보정 장치(70)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따르면, 공차 보정 장치(70)은 -도 20의 예에서 제 3 서브섹션(13) - 추가적인 서브섹션 - 도 20의 예에서 제 1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1, 12) -가 유도되며 하나의 서브섹션의 마주하는 부분들 중의 하나(13으로 표시됨)에서 추가적인 공차 스프링 요소(73)은 추가적인 공차 스프링 요소(73)이 다른 서브섹션(11, 12로 표시됨)에 대해 압축되고 따라서 구성요소 공차의 보정에 의해서 유도되도록 배치된다. 추가적인 공차 스프링 요소(73)은 스프링 구성요소(73') 및 정지 구성요소(73")를 갖는다. 스프링 구성요소(73')는 공차 구성요소용으로 사용되고, 각각의 다른 서브섹션(이 경우 11, 12)에 대한 압축이 일어나도록 특정 치수로 만들어진다(dimensioned). 정지 부분(73")은 안락감 조정 영역의 말단에서 (및/또는 안락감 조정의 변위 경로의 말단에 대해) 맨 끝의 위치를 조정할 때 서브섹션(11, 12, 13) 중의 하나가 추가적인 서브섹션에 부딪히는 경우 잡음을 최소화하는데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스프링 요소(73)는 그러한 경우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탄성인 물질로부터 생성되어 서브섹션(11, 12, 13)의 "경질" 부분들 서로의 부딪힘 및 고유 잡음 발생이 방지된다.
도 22 내지 26는 다양한 투시도 및/또는 측면도로 충돌 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안락감을 조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22 내지 26은 하기에서 함께 기술된다. 이러한 충돌 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4)는 제 5 서브섹션(85) 및 제 4 서브섹션(84)를 갖는다(특히 도 24 참조). 제 5 서브섹션(85)은 통상적으로, 즉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정상 작동 동안 정상 위치에서 조정된다. 사고 상황에서,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서브섹션에 대해 상대적인 및/또는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상대적인) 제 5 서브섹션이 좌석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5 서브섹션(85)의 전방에서 (제 5 서브섹션의 전방에서 좌석 탑승자의 머리 방향에서) 안락감을 목적으로 제 5 서브섹션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제 4 서브섹션(84)이 배치된다. 제 5 서브섹션(85)에 대한 제 4 서브섹션(84)의 상대 이동이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에서 가능하여 추가적인 회전축(84')에 대해 피봇 이동으로서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초기 위치는 좌석 탑승자의 머리로부터 최종적으로 제거된 조정에 상응하며 말기 위치는 좌석 탑승자의 머리 방향에서 제 4 서브섹션의 최종적인 조정에 상응한다. 도 22 내지 26에 따른 로킹 장치(1)의 양태에 따라,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의 제 5 서브섹션에 대한 제 4 위치의 상대 조정이 임의의 설정 및/또는 위치에서 가능하다. 이것은 제 4 서브섹션(84)와의 접촉 영역(86')(도 24 참조)에서 마찰 접촉되는 클램핑 요소(86)에 의해서 실행되며, 카운터 요소(87)에 대해 제 5 서브섹션(84)을 압축한다. 클램핑 요소의 상부 우측 부분에 제공된 피봇점에 기인항 초기 위치의 방향(도 24에서 우측으로, 즉 추가적인 회전축(84')에 대해 반시계 방향)에서 제 4 서브섹션(84)의 힘 충돌은 접촉 영역에서의 커다란 접촉력 및 그에 따라 초기 위치의 방향에서의 이동에 대한 제 4 서브섹션(84)의 로킹을 유도한다. 스프링 요소(81)(특히 도 22 및 23 참조)는 초기 위치의 방향에서 제 4 서브섹션(84)에 작용한다. 더욱이, 추가적인 스프링 요소(89)는, 정상적인 경우에 (도 24에서 우측으로, 즉 클램핑 요소의 상부 우측 부분에 표시된 클램핑 요소(86)의 피봇점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그러나 참조번호가 표시되지 않은) 제 4 서브섹션(84)와의 압축 및/또는 마찰 접촉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클램핑 요소(86)이 클램핑된 위치에서 조정된다. 제 4 서브섹션(86)을 복귀시키기 위해서, 클램핑 요소(86)이 재설정 위치로 조정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도 26 참조). 재설정 위치의 조정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C자 형으로 휘어진 말단을 갖는 유지 스프링(88)에 의해서 수행하며, 그에 의해서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86)의 핀이, 클램핑 요소(86)가 (추가적인 스프링 요소(89)의 작용력에 대해 그리고 제 4 서브섹션(84)로부터 일정 거리의 접촉 영역(86')으로 유지되도록) 부분적으로 둘러 싸일 수 있다.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출발하는) 재설정 위치의 조정은 클램핑 요소(86)을 이동시키는 (도 24에서 시계방향) 제 4 서브섹션(84)의 제 2 정지 요소(84")로 도시된 양태로 수행한다. (재설정 위치로부터 출발하는) 클램핑된 위치의 조정은 클램핑 요소(86)을 이동시키는 (도 24에서 반시계 방향) 제 4 서브섹션(84)의 제 2 정지 요소(84'")로 도시된 양태로 수행한다.
1: 로킹장치
2: 좌석 부분
3: 등받이
4: 헤드 레스트레인트
5: 유지봉
6: 볼트
6': 볼트 및/또는 차단핀의 이동
7: (볼트의) 톱니
8: 로킹수단(포지티브)
9: 로킹수단(마찰성)
10: 판 스프링
11: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제 1 서브섹션
11': 제 1 경사표면
12: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제 2 서브섹션
12': 제 2 경사표면
13: 헤드 레스트레인트의 제 3 서브섹션
13': 제 3 경사표면
14': 제 4 경사표면
19: 회전축
22, 23: 구성요소
24, 24.1, 24.2: 톱니모양 부분
25, 25.1, 25.2: (톱니모양 부분)의 톱니
30: 차단장치
31: 차단핀
40: 활주장치
41: 스프링
45: 볼
46: 케이지
47: 레버 메카니즘
50: 전동장치
51: 레버 장치
52: 스프링 장치
53: 접합부
60: 피봇가능한 톱니모양 세그먼트
70: 공차 보정 장치
71: 공차 스프링 요소
72: 공차 활주 요소
73: 추가적인 공차 스프링 요소
81: 스프링 요소
84: 제 4 서브섹션
84': 추가적인 회전축
84": 제 1 정지요소
84"': 제 2 정지요소
85: 제 5 서브섹션
86: 클램핑 요소
86': 접촉 영역
87: 카운터 요소
88: 유지 스프링
89: 추가적인 스프링 요소
110: 마찰 블록
122: 안락 서브섹션
123: 안전 서브섹션
C: 패딩된 몸체의 이동/변위방향
F1: 제 1 힘
F2: 제 2 힘

Claims (14)

  1. 변위방향(C)에서 사용위치로부터 안락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제 1 서브섹션(subsection)(11)을 포함하는, 특히 차량 탑승자용 헤드 레스트레인트(4)를 위한 로킹장치(1)로서, 상기 제 1 서브섹션(11) 및/또는 제 3 서브섹션(13)에 대한 제 2 서브섹션(12)의 상대이동이 변위방향(C)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회전축(19)에 대해 제공되고, 차단장치(30) 및 활주장치(sliding device)(40)가 둘 다 상기 제 1 서브섹션(11)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에 및/또는 상기 제 2 서브섹션(12)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서브섹션(11) 상의 사용자의 부분에 힘의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활주장치(40)의 작용만이 제공되고, 로킹장치(1)는 힘의 임계값(threshold)을 제공하는 스프링(41)을 포함하고, 변위방향(C)과 반대로 제 1 서브섹션(11)에 상기 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1 힘(F1)을 가할 때 차단장치(blocking device)(30)의 작용이 제공되거나 또는,
    제 1 서브섹션(11)상의 사용자의 부분에 힘의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최소한 차단장치(30)의 작용이 제공되고, 로킹장치(1)는 힘의 임계값을 제공하는 스프링(41)을 포함하고, 변위방향(C)과 평행한 제 1 서브섹션(11)에 힘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2 힘(F2)을 가할 때 차단장(30)치의 작용이 중지되는(cance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비된 제 1 서브섹션(11)이 하나 이상의 제 1 경사표면(11')을 가지며 제 2 서브섹션(12)이 하나 이상의 제 2 경사표면(12')을 갖고,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경사표면(11', 12')은 회전축(19)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하고 회전축(19)에 대한 제 2 서브섹션(12)의 상대이동으로 변위방향(C)에서 제 1 서브섹션(11)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비된 제 2 서브섹션(12)이 제 1 서브섹션(11)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서브섹션(13)은 하나 이상의 제 3 경사표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섹션(12)은 하나 이상의 제 4 경사표면(14')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또는 제 4 경사표면(13', 14')은 회전축(19)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하고 회전축(19)에 대한 제 2 서브섹션(12)의 상대이동으로 변위방향(C)에서 제 2 서브섹션(12)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장치(30) 및 활주장치(40)는, 제 1 경사표면(11') 및/또는 제 2 경사표면(12') 및/또는 제 3 경사표면(13') 및/또는 제 4 경사표면(14')을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되고, 특히 회전축(19)에 대해 둘레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되고, 더욱 특히 회전축(19)에 대한 축방향에서 오프셋(off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41)이, 축방향에서 차단장치(30)의 반대측 상의 제 1 경사표면(11')의 영역 및/또는 제 2 경사표면(12')의 영역 및/또는 제 3 경사표면(13')의 영역 및/또는 제 4 경사표면(14')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장치(30)가 변위방향(C)과 반대로의 제 1 서브섹션(11)의 이동을 차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차단장치(30)는 제 3 경사표면(13') 및 제 4 경사표면(14')의 영역에 톱니모양 부분을, 및/또는 제 1 경사표면(11') 및 제 2 경사표면(12')의 영역에 톱니모양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차단핀(31)을 가지며, 특히 상기 차단핀(31)은 정상적인 경우에 스프링에 의해서 예비적으로 팽팽해지고/지거나, 변위방향(C)과 평행한 제 1 서브섹션(11)에 힘 임계값을 상회하는 제 2 힘(F2)을 가할 때 특히 구비된 차단핀(31)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고의 결과로서 제 1 서브섹션(11)이 변위방향(C)에서 사용위치로부터 안전위치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서브섹션(12)이 안락 서브섹션(122) 및 안전 서브섹션(123)을 가지며, 상기 안락 서브섹션(122)은 제 1 서브섹션(11)의 사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안락 조정을 위한 안전 서브섹션(123)의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특히 안락감을 조정하기 위한 안락 서브섹션(122)은 안전 서브섹션(123)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제 1 서브섹션(11)의 안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서브섹션(11)과 제 2 서브섹션(12) 사이 및/또는 제 2 서브섹션(12)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 및/또는 제 1 서브섹션(11)과 제 3 서브섹션(13) 사이에 공차보정장치(tolerance compensation device)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12. 제 5 서브섹션(85)이 정상위치로부터 안전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특히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4)를 위한 로킹장치(1)로서, 제 5 서브섹션(8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추가적인 회전축(84')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에서 안전 목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제 4 서브섹션(84)이 제공되고, 클램핑 요소(86) 및 카운터 요소(87)가, 초기 위치의 방향에서의 이동에 대해 초기 위치와 말기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에서 제 4 서브섹션(84)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13. 제 12 항에 있어서,
    클램핑 요소(86)은 클램핑된 위치 및 재설정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클램핑된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86)은, 말기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의 제 4 서브섹션(84)의 복귀를 허용하는 재설정 위치에서 제 4 서브섹션(84) 및 클램핑 요소(86)의 클램핑을 수행하고, 특히 클램핑 요소(86)은 유지 스프링(88)에 의해서 블로킹에 대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1).
  14. 제 1 서브섹션(11)이 좌석 탑승자의 머리를 향하고 변위방향(C)가 좌석 탑승자의 머리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로킹장치(1)을 포함하는 차량 좌석용 헤드 레스트레인트(4).
KR1020107013938A 2007-11-23 2008-11-21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 장치 KR101357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6810 2007-11-23
DE102007056810.1 2007-11-23
DE102008012217A DE102008012217B4 (de) 2007-11-23 2008-03-03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eines Fahrzeugs
DE102008012217.3 2008-03-03
PCT/EP2008/009896 WO2009065603A1 (de) 2007-11-23 2008-11-21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93A true KR20100092493A (ko) 2010-08-20
KR101357405B1 KR101357405B1 (ko) 2014-02-03

Family

ID=4057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938A KR101357405B1 (ko) 2007-11-23 2008-11-21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15546B2 (ko)
EP (1) EP2227403B1 (ko)
JP (1) JP5470263B2 (ko)
KR (1) KR101357405B1 (ko)
CN (1) CN101873949B (ko)
DE (1) DE102008012217B4 (ko)
WO (1) WO2009065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9763B4 (de) 2010-03-01 2018-05-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Reaktive Fahrzeugkopfstütze
DE102010023404B4 (de) * 2010-06-11 2015-12-03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FR2979866B1 (fr) * 2011-09-12 2013-10-04 Cera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N102923026A (zh) * 2012-11-22 2013-02-13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头枕上的自锁结构
DE102013007633B4 (de) * 2013-05-06 2022-01-05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DE102013208316B3 (de) * 2013-05-07 2014-05-15 Lear Corp. Kopfstützen-Befestigungssystem
KR101592467B1 (ko) * 2013-12-10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538186B2 (en) * 2018-03-23 2020-01-21 Michael P. Sosa Reduced-impact-and-recoil headrest
US10207617B1 (en) * 2018-03-23 2019-02-19 Michael P. Sosa Reduced-impact-and-recoil headrest
DE102018009229B4 (de) * 2018-11-26 2021-09-02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ausstattungste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33U (ko) * 1988-07-12 1990-01-26
ES2188060T3 (es) * 1998-07-23 2003-06-16 Grammer Automotive Gmbh Reposacabezas para los asientos de los vehiculos automoviles.
US6213548B1 (en) * 1999-08-12 2001-04-10 Trw Inc. Head restraint apparatus
JP2001238753A (ja) * 2000-02-29 2001-09-04 Aisin Seiki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DE10208620C1 (de) * 2002-02-27 2003-07-24 Itw Automotive Prod Gmbh & Co Kopfstütze für Automobilsitze
DE10348939B3 (de) * 2003-10-18 2005-01-27 Daimlerchrysler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sitz
US6942292B2 (en) * 2003-10-29 2005-09-13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or headrest
DE102004016474B3 (de) 2004-03-31 2005-08-11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R2891215B1 (fr) * 2005-09-27 2009-03-27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appui-tete
DE102005052766B3 (de) * 2005-11-04 2007-03-08 Lear Corp., Southfield Linear verstellbare, aktive Kopfstütze
DE102006001143B3 (de) * 2006-01-06 2007-04-19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41521A1 (de) * 2007-08-31 2009-03-0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DE102007041498B3 (de) * 2007-08-31 2009-02-26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DE102007041496B3 (de) * 2007-08-31 2009-02-26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3949A (zh) 2010-10-27
WO2009065603A1 (de) 2009-05-28
US8915546B2 (en) 2014-12-23
CN101873949B (zh) 2013-10-16
EP2227403A1 (de) 2010-09-15
DE102008012217A1 (de) 2009-05-28
JP2011504433A (ja) 2011-02-10
KR101357405B1 (ko) 2014-02-03
EP2227403B1 (de) 2016-04-20
JP5470263B2 (ja) 2014-04-16
DE102008012217B4 (de) 2009-11-26
US20120207540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405B1 (ko) 특히 차량의 충돌-작동 헤드 레스트레인트를 위한 로킹 장치
JP5295239B2 (ja) 車両用のヘッドレスト
USRE40527E1 (en) Translatable head restraint for automotive seat backrest
US8408644B2 (en) Head rest for a vehicle
US8491052B2 (en) Vehicle head restraint
US20140203615A1 (en)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US9409503B2 (en)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438062B1 (ko) 특히 자동차용, 헤드 지지대
US20140027600A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039756A (ko) 특히, 자동차용 머리 받침대
CN101497320A (zh) 交通工具座椅组件
KR101475212B1 (ko) 차량 시트용 머리 받침대
CN101573252A (zh) 用于操作汽车婴儿座椅的锚固系统的装置
KR101391858B1 (ko) 잠금 푸시 버튼을 갖는 충돌 반응성 머리 받침
US20110012399A1 (en) Head rest for a vehicle
JP5313480B2 (ja) チルト機構組込みサスペンション機構
JP2006517883A (ja) 衝突ロックユニットを有する高さ調節可能な車両座席
CN103764441A (zh) 用于车辆座椅的能调节高度和/或倾斜度的头枕
KR20140071699A (ko) 차량용 링크 형 헤드레스트
DE102019201307B4 (de) Fahrzeugsitzanordnung
US11135957B2 (en) Continuously adjusting headrest device
KR101413966B1 (ko)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KR101417883B1 (ko) 차량용 핀 슬라이드 형 헤드레스트
JP625667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477677Y1 (ko) 차량용 시트의 처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