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462A - 글래스 시트 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래스 시트 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462A
KR20100092462A KR1020107011753A KR20107011753A KR20100092462A KR 20100092462 A KR20100092462 A KR 20100092462A KR 1020107011753 A KR1020107011753 A KR 1020107011753A KR 20107011753 A KR20107011753 A KR 20107011753A KR 20100092462 A KR20100092462 A KR 2010009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lass sheet
stub
pull
stub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670B1 (ko
Inventor
제임스 지. 앤더슨
루이스 케이. 클링엔스미스
조지 씨. 샤이
데이비드 제이. 울리히
리암 루안 드 파오르
패트릭 애론 팍스
미첼 조지 셜츠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3/00Rolling molten glass, i.e. where the molten glass is shaped by rolling
    • C03B13/16Construction of the glass roll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글래스 시트의 제조 동안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및 다운-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할 수 있는 풀 롤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풀 롤 장치는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구동 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구동 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PLC)를 포함한다. 원할 경우, 풀 롤 장치는 풀링 롤 어셈블리(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 아래에 위치된) 또는 다른 세트의 구동 스터브 롤쌍(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을 포함할 것이다.

Description

글래스 시트 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본 출원은 글래스 시트 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으로 명칭되고, 2007년 10월 29일자로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이면서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제11/978,333호의 이점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면서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드로우(cross-draw) 응력 및 다운-드로우(down-draw) 응력을 콘트롤할 수 있는 풀 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닝 인코포레이티드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고품질의 박막 글래스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퓨전 공정(예컨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 공정)으로 알려진 공정을 개발했다. 퓨전 공정은 이 퓨전 공정이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래스 시트와 비교하여 표면이 우수한 평탄성 및 평활성을 갖는 글래스 시트를 생산하기 때문에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된 글래스 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술이다. 퓨전 공정은 참조로 그 내용이 여기에 반영되는 미국 특허 제3,338,696호 및 제3,682,6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종래기술)에는 글래스 시트(105)를 만들기 위해 퓨전 공정을 실시하고 통상의 풀 롤 장치(140)를 사용하는 예시의 글래스 제조 시스템(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글래스 제조 시스템(100)은 용융 용기(110), 정제 용기(115), 혼합 용기(120; 예컨대 교반 챔버), 전달 용기(125; 예컨대 보울(bowl)), 형성 용기(135; 예컨대 아이소파이프), 풀 롤 장치(140) 및 이동식 앤빌 머신(150; TAM)을 포함한다.
용융 용기(110)는 용융 글래스(126)를 형성하기 위해 화살표(1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글래스 배치(batch) 재료가 도입되어 용융되는 곳이다. 정제 용기(115; 예컨대 정제 튜브)는 용융 용기(110)로부터 용융 글래스(126; 이 지점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여, 그 용융 글래스(126)로부터 버블을 제거하는 고온 처리영역을 갖춘다. 상기 정제 용기(115)는 교반 챔버 연결 튜브(122)에 의해 혼합 용기(120; 예컨대 교반 챔버)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용기(120)는 보울 연결 튜브(127)에 의해 전달 용기(125)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 용기(125)는 상기 용융 글래스(126)를 다운커머(130; downcomer)를 통해 유입구(132)로 전달하여 형성 용기(135; 예컨대 아이소파이프) 내로 전달한다.
도 2(종래기술)에 좀더 상세히 나타낸 형성 용기(135)는 트루프(137; trough)로 흐른 후 넘쳐 흘러 루트(139; root)에서 함께 융합하기 전에 2개의 측면(138a, 138b) 아래로 이동하는 용융 글래스(126)를 수용하는 개구(136)를 포함한다. 상기 루트(139)는 글래스 시트(105)를 형성하기 위해 통상의 풀 롤 장치(140)에 의해 아래쪽으로 드로우시키기 전에 용융 글래스(126)의 2개의 오버플로우 벽들이 재결합(예컨대, 재융합)하는 곳이다. 다음에, TAM(150)은 개별 단편의 글래스 시트(155)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드로우된 글래스 시트(105)를 스코어(score)한다.
도 2(종래기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의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글래스 시트(105)를 가로질러 확장하고 글래스 시트(105)의 엣지(105a, 105b)를 드로우하는 제1풀 롤(142;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142a, 142b)를 갖춘) 및 제2풀 롤(144;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144a, 144b)를 갖춘)을 포함한다(참조: 도 2에는 척도로 나타내지 않음). 또한,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제1풀 롤(14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제1모터(146) 및 제2풀 롤(14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제2모터(148)를 갖춘다. 더욱이,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2개의 풀 롤(142, 144)이 원하는 최종 두께로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 또는 스트레치(stretch)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모터(146, 148)의 속도를 콘트롤하는 장치(149;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를 갖춘다. 또한,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TAM(150)이 글래스 시트(105)를 스코어할 때 그리고 그 스코어된 글래스 시트(105)가 개별 단편의 글래스 시트(155; 도 1 참조)로 분리될 때 글래스 시트(105)의 동작을 안정화함과 더불어 감소시키기 위한 단부들(152a, 152b, 154a, 154b)을 갖춘 한 쌍의 베어 아이들링 롤(152, 154; bare idling roll)을 포함한다(참고: 명확성을 위해, 풀 롤(142, 144, 152, 154)을 유지하는 브라켓/서포트는 도시하지 않음).
통상의 풀 롤 장치(140)가 원하는 두께로 글래스 시트(105)를 잘 드로우할 지라도, 여전히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할 수 있는 새로운 향상된 풀링 롤 어셈블리를 개발함과 동시에 글래스 시트의 평탄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글래스 시트 내의 상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를 원한다. 이들과 같은 특정의 요구들과 또 다른 요구들이 본 발명의 풀 롤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만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면서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및 다운-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할 수 있는 풀 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를 갖춘 풀 롤 장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롤들은 글래스 시트에 대한 수직 다운틸트(downtilted) 롤이거나 또는 수평 레벨 롤일 수 있다. 원할 경우, 풀 롤 장치는 풀링 롤 어셈블리(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 또는 2개의 추가 스터브 롤쌍(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을 포함할 것이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은: (1) 배치 재료를 용융하여 글래스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글래스 시트를 풀 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3) 상기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하도록 풀 롤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풀 롤 장치는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롤들은 글래스 시트에 대한 수직 다운틸트 롤이거나 또는 수평 레벨 롤일 수 있다. 원할 경우, 풀 롤 장치는 풀링 롤 어셈블리(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 또는 2개의 추가 스터브 롤쌍(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을 포함할 것이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글래스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글래스 제조 시스템은: (1) 배치 재료를 용융하여 용융 글래스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2) 용융 글래스를 수용하여 글래스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아이소파이프; 및 (3) 글래스 시트를 수용한 후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하기 위한 풀 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풀 롤 장치는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롤들은 글래스 시트에 대한 수직 다운틸트 롤이거나 또는 수평 레벨 롤일 수 있다. 원할 경우, 풀 롤 장치는 풀링 롤 어셈블리(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 또는 2개의 추가 스터브 롤쌍(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위치된)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형태가 부분적으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들로 설명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통상의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불과할 뿐 이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면서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및 다운-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할 수 있는 풀 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는 수반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도 1 및 2(종래기술)는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예시의 글래스 제조 시스템 및 통상의 풀 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예시의 글래스 제조 시스템 및 새로운 풀 롤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4h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풀 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도면이고;
도 5a~5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풀 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도면이고;
도 6a~6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풀 롤 장치를 기술하는 각각의 도면이며;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풀 롤 장치를 기술하는 도면이다.
도 3~7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및 동작되는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들의 각각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들이 글래스 시트(305)를 만들기 위해 다운드로우 퓨전 공정을 사용하는 글래스 제조 시스템(300)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이는 각각의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들이 글래스 시트(305)를 드로우하는 어떠한 타입의 글래스 제조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들은 한정된 방식으로 구성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시트(305)를 제조하기 위해 퓨전 공정 및 새로운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를 사용하는 예시의 글래스 제조 시스템(300)의 개략도가 나타나 있다. 글래스 제조 시스템(300)은 용융 용기(310), 정제 용기(315), 혼합 용기(320; 예컨대 교반 챔버), 전달 용기(325; 예컨대 보울(bowl)), 형성 용기(335; 예컨대 아이소파이프),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 및 이동식 앤빌 머신(350; TAM)을 포함한다.
용융 용기(310)는 용융 글래스(326)를 형성하기 위해 화살표(3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글래스 배치 재료가 도입되어 용융되는 곳이다. 정제 용기(315; 예컨대 정제 튜브)는 용융 용기(310)로부터 용융 글래스(326; 이 지점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여, 그 용융 글래스(326)로부터 버블을 제거하는 고온 처리영역을 갖춘다. 상기 정제 용기(315)는 교반 챔버 연결 튜브(322)에 의해 혼합 용기(320; 예컨대 교반 챔버)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용기(320)는 보울 연결 튜브(327)에 의해 전달 용기(325)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 용기(325)는 상기 용융 글래스(326)를 다운커머(330; downcomer)를 통해 유입구(332)로 전달하여 형성 용기(335; 예컨대 아이소파이프) 내로 전달한다. 상기 형성 용기(335)는 트루프(337; trough)로 흐른 후 넘쳐 흘러 루트(339; root)에서 함께 융합하기 전에 2개의 측면(338a, 338b) 아래로 이동하는 용융 글래스(326)를 수용하는 개구(336)를 포함한다. 상기 루트(339)는 글래스 시트(305)를 형성하기 위해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에 의해 아래쪽으로 드로우시키기 전에 용융 글래스(326)의 2개의 오버플로우 벽들이 재결합(예컨대, 재융합)하는 곳이다. 다음에, TAM(350)은 개별 단편의 글래스 시트(355)로 분리되는 상기 드로우된 글래스 시트(305)를 스코어(score)한다.
글래스 제조 시스템(300) 및 특히 상술한 구성요소(310, 315, 320, 325, 335, 350)들은 상호 연결되며, 새로운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가 통상의 풀 롤 장치(140) 이상으로 현저한 개선점을 갖는 것 이외에는 도 1에 나타낸 글래스 제조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대응하는 구성요소(110, 115, 120, 125, 135, 150)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하 기술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는 제조된 글래스 시트(305)의 상주 글래스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글래스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글래스 시트(3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및/또는 다운-드로우 시트 응력의 정도를 콘트롤하여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는 글래스 시트(305; 또한 리본으로도 나타낸)가 점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및/또는 다운-드로우 시트 응력의 정도를 콘트롤하여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영역은 글래스 시트에 스트레스를 생성하여 평탄성이 설정되는 설정 존(setting zone)으로 규정된다. 불행하게,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글래스 시트(1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하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더욱이,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일정한 속도로 다수의 롤 플랫(flat)을 드라이브하게 하는 권취력(wind-up force)으로 알려진 상당한 순간적인 힘 가변성을 야기한다. 더욱이,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가변의 크로스-드로우 힘을 야기하는 샤프트의 새그에 대한 변경을 야기함과 더불어 불균일한 제품 평탄성 및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시트 컷오프(cutoff)에 의한 가변의 리본 로드(load)로부터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는 글래스 시트(305) 제조시 다운-드로우 응력이 일정하게 조절되거나 유지될 수 있으면서 원하는 소정 레벨로 글래스 시트(3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여 이하 각각의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4g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풀 롤 장치(440)와 연관된 각각의 도면들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 롤 장치(440)는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cantilevered driven stub roll pair),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 및 콘트롤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를 포함한다(참고: 도 4a에는 척도로 나타내지 않음). 콘트롤 장치(446)는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과 연관된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사이에서 글래스 시트(305)의 제1엣지부(305a)가 드로우됨과 더불어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과 연관된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452a, 452b) 사이에서 글래스 시트(305)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305b)가 드로우되는(도 4e 참조) 동안 상기 2개의 제1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을 콘트롤한다. 상기 스터브 롤쌍들은 글래스 시트(3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 뿐만 아니라 다운-드로우 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다운틸트된다. 이들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은 글래스 시트(305)를 변형 및 스트레스 주는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지르는 바람직하지 않은 압축력을 야기하기 때문에 업틸트(uptilt)하도록 배치하지 않는다. 또한, 이는 처리 조건에 따라 다른 측면 상에 롤 452a 및 452b와 다르게 한 측면 상에 롤 450a 및 450b를 다운틸트시키는데 바람직하다(참고: 도 7a~7b와 관련하여 기술한 풀 롤 장치(740)는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을 갖지 않는 대신 수평 레벨 롤(450a, 450b, 452a, 452b)을 갖는다).
또한,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지르는 평균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을 콘트롤하기 위해, 장치(446; 에어-실린더 또는 다른 타입의 위치결정 액츄에이터와 같은 자동 포지셔너를 수반하는) 또는 그 대신 단순한 수동식 메카니즘이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의 다운틸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도 4b에 나타낸 예시의 결과를 참조, 여기서 바람직한 다운틸트 각 "x"는 테스트된 예시의 풀 롤 장치(440)에 대해 1.5°의 범위이다)(참고: 크로스-드로우 응력의 이러한 콘트롤링은 풀 롤 어셈블리(640)와 연관된 다운틸트 롤(606a, 606b, 608a, 608b)에 부합된다). 점탄성 글래스 시트(305)를 갖는 설정 존 내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포함하는 응력 효과를 처리하기 위한 풀 롤 장치(440)의 성능은 글래스 시트(305)의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글래스 시트(305) 내의 상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면서 원하는 두께로 글래스 시트(305)를 드로우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된다. 또한, 아이소파이프(335)의 단부에 걸친 글래스 점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 및 콘트롤된 스터브 롤쌍(442, 444)은 아이소파이프(335)에 의해 야기된 글래스 점성의 본래의 불균일성을 떠맡을 수 있다. 더욱이, 풀 롤 장치(440)는 다운드로우 공정을 안정화시키고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의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롤 수명에 대한 글래스 응력(448a, 448b)의 조절을 허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원할 경우,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 또한 각각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 면이 글래스 시트(305)의 각각의 주면(305c, 305b)에 대해 위치되는 수평 각(θ)인 미리 결정된 스플레이 각(splay angle)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4c 참조)(참고: 도 7a~7b와 관련하여 기술한 풀 롤 장치(740)는 수평 레벨 롤(450a, 450b, 452a, 452b)을 가지며, 이들 특정 롤들은 원할 경우 또한 미리 결정된 스플레이 각을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원하는 스플레이 각(θ)을 갖기 위한 수평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의 위치결정은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질러 생성된 크로스-드로우 힘(448a)의 양을 콘트롤하는 것을 더 도울 것이다. 정(positive)의 스플레이 각(θ)은 바람직한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을 생성한다(테스트된 예시의 풀 롤 장치(440)가 사실상 0.007 in/in 범위의 롤 플랫(roll flat)의 접촉각인 스플레이 각을 갖는 도 4d에 나타낸 응력 대 스플레이 각의 실험결과를 참조). 반대로, 부(negative)의 스플레이 각(θ)은 그와 같은 힘이 글래스 시트(305)를 변형 및 스트레스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지르는 압축력을 생성한다(참고: 도 4c는 정의 스플레이 각(θ)을 갖는 풀 롤 장치(440)를 나타낸다). 풀 롤 장치(440)는 예컨대 에어 실린더 또는 다른 타입의 위치결정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스플레이 각(θ)에 대한 조절이 수동(바람직한) 또는 자동(가능한)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의 롤 플랫이 종종 글래스 시트의 폐기부로 이동할 있으며, 그 폐기부는 종종 두께가 점점 테이퍼링(tapering) 된다. 이러한 글래스 테이퍼링은 보통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생성된 크로스-드로우 응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스플레이 각(θ)을 조절하는 능력은 이러한 테이퍼링 영향을 오프셋시켜 원하는 높은 레벨의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참고: 이하 기술된 풀 롤 장치(740)는 수평 레벨 롤(450a, 450b, 452a, 452b)을 가지며, 이들 롤은 또한 종종 글래스 시트의 폐기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풀 롤 장치(440; 및 이하 기술한 또 다른 풀 롤 어셈블리(540, 640, 740))에는, 각각의 롤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 박스를 사용하거나 하지 않는 각각의 서보 모터가 구비된다. 서보 모터는 원하는 콘트롤 스킴(control scheme: 여러 콘트롤 스킴이 이하 기술됨)을 수행하기 위해 콘트롤 장치(446)에 의해 사용된 이 콘트롤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로 되돌리는 토오크 및/또는 속도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콘트롤 장치(446)는 각각의 모터의 속도 및/또는 토오크를 콘트롤하기 위해 가변 주파수가 작용하도록 다른 타입의 모터 콘트롤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오크 센서 및/또는 속도 센서가 토오크 및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각각의 모터/기어 박스/롤들간 축으로 인라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풀 롤 장치(440; 및 이하 기술된 또 다른 풀 롤 어셈블리(540, 640, 740))에 있어서, 응력 장치가 글래스 시트(3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을 측정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콘트롤 장치(446)가 기계적인 장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드로우 공정 동안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을 콘트롤하기 위해 원하는 다운틸트 각을 갖도록 롤(450a, 450b, 452a, 452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참고: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을 콘트롤하기 위해 원하는 다운틸트 각을 갖도록 롤(450a, 450b, 452a, 452b)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컨대, 크로스-드로우 응력 장치는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설치/지지 구조에 배치된 로드 셀 또는 유사한 장치가 될 수 있다(참고: 명확성을 위해, 풀 롤 어셈블리(440, 540, 640, 740) 내에 여러 롤들을 유지하는 브라켓/서포트는 도시하지 않음).
동작에 있어서, 장치(446)는 2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속도 및/또는 토오크를 콘트롤함으로써 글래스 시트(305)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도록 다수의 콘트롤 스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e~4f는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어셈블리(4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의 콘트롤 스킴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다운틸트 롤(450a, 452a)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모터(454a, 456a)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하며, 또한 다른 다운틸트 롤(450b,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모터(454b, 456b)의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454a, 456a)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454a, 456b)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454b, 456b)의 토오크를 대응하는 마스터 모터(454a, 456a)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마스터 모터(454a, 456a)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50~10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4b,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원할 경우, 장치(446)는 어떠한 공정의 불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어느 한 마스터 모터(454a) 및 또 다른 마스터 모터(456a)를 구비할 수 있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4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4e 및 4g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4개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모든 4개의 모터(454a, 454b, 456a, 456b)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4개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들간 글래스 시트(305)를 드로우하면서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동일한 설정지점 속도를 갖도록 모든 4개의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콘트롤한다. 원할 경우, 장치(446)는 어떠한 공정의 불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어느 한측 상의 모터(454a, 454b) 및 또 다른측에 위치된 모터(456a, 456b)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글래스 시트(305)의 어느 측에든 모터의 속도는 롤의 기하학적 형태의 차이를 오프셋하도록 각기 다른 콘트롤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예컨대, 모터 454a가 모터 454b와 다른 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속도 콘트롤 스킴은 롤(450a, 450b, 452a, 452b)의 작은 기하학적 형태/크기의 변동 때문에 일어나는 약간의 권취력을 야기하는 장애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일정한 속도 콘트롤 스킴은 쉽게 수행되어 몇몇 애플리케이션에 수용가능해진다. 반대로, 도 4f와 연관된 콘트롤 스킴은 콘트롤 시스템이 롤-투-롤 권취(roll-to-roll wind-up)를 제거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스킴이다.
롤-투-롤 권취를 제거하면서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4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4h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다른 2개의 다운틸트 롤(450b, 452b)이 모터를 갖지 않기(또는 모터가 예컨대 클러치 시스템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턴(turn) 또는 아이들(idle)하면서 2개의 다운틸트 롤(450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모터(454a, 456b)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4개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들간 글래스 시트(305)를 드로우하면서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동일한 설정지점 속도를 갖도록 2개의 모터(454a, 456a)를 콘트롤한다. 원할 경우, 장치(446)는 어떠한 공정의 불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어느 한측 상의 모터(454a) 및 또 다른측에 위치된 모터(456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 스킴은 단순함과 낮은 비용에 적합하여 몇몇 애플리케이션에 수용가능한 성능을 갖게 한다.
풀 롤 장치(440)는 통상의 풀 롤 장치(140)와 비교하여 몇가지 장점들을 갖는다. 예컨대,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은 효과적으로, (1) 글래스 시트(305)의 스트레스 및 뒤틀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의 조절; 및 (2) 롤 권취력의 제거 또는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풀 롤 장치(440)가 아이들 스터브 롤(462, 464)의 엣지 롤(458, 460)의 동작 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4e 참조)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5a~5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풀 롤 장치(540)와 연관된 각각의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 롤 장치(540)는 상기 첫번째로 기술한 풀 롤 장치(440)와 연관된 구성요소, 즉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 및 콘트롤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 외에 새로운 풀링 롤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참고: 도 5a에는 척도로 나타내지 않음).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500)는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질러 확장하고 글래스 시트(305)의 엣지(305a, 305b)를 드로우하는 제1풀 롤(502;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선택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502a, 502b)를 갖춘) 및 제2풀 롤(504;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으로 선택적으로 코팅된 2개의 단부(504a, 504b)를 갖춘)을 포함한다. 콘트롤 장치(446)는 글래스 시트(305)가 제조되는 동안 상주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글래스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다운-드로우 시트 응력(448b)의 일관성을 콘트롤하여 향상시키기 위해 풀링 롤 어셈블리(500),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을 동작시킨다. 추가의 풀 롤 어셈블리(500)는 또한 리본 내의 각기 다른 설정된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콘트롤하는 능력을 상승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들은 이들과 아이소파이프(335)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콘트롤할 수 있고, 풀 롤 어셈블리(500)는 이들과 상기 제1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다운-드로우 응력(448c)을 콘트롤할 수 있다. 콘트롤 장치(446)는 2개의 다운틸트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 및/또는 풀링 롤 어셈블리(500)의 속도, 스플레이 각, 다운틸트 각 및/또는 토오크를 콘트롤함으로써 글래스 시트(305)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도록 다수의 콘트롤 스킴을 수행할 수 있다. 몇가지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5b~5e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5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5b~5c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제1풀 롤(50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506)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제2풀 롤(50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508)의 토오크를 콘트롤한 후,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506)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506)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508, 454a, 454b, 456a, 456b)의 토오크를 마스터 모터(506)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마스터 모터(506)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50~10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508)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마스터 모터(506)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5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5b 및 5d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제1풀 롤(50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506)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506)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506)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의 토오크를 마스터 모터(506)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마스터 모터(506)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풀 롤(504)은 모터가 없지만, 원할 경우 제2풀 롤(504)의 베어링 마찰을 오프셋하기에 충분한 토오크를 인가하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 및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가변성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5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5b 및 5e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제1 및 제2풀 롤(502, 50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506, 508)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506, 508)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506, 508)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의 토오크를 마스터 모터(506, 508)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평균의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2개의 마스터 모터(506, 508)의 평균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콘트롤 스킴은 롤(450a, 450b, 452a, 452b, 502a, 502b, 504a, 504b)의 작은 기하학적 형태/크기의 변동을 야기할 수 있는 롤-권취력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동을 방지하지 못하는 하나의 장애를 갖는다(참고: 이는 도 5c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콘트롤 스킴을 수행하는 풀 롤 장치(540)의 경우는 아님). 마지막으로, 또한 풀링 롤 장치(540)는 옵션의 엣지 롤(458, 460)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도 5b 참조).
사실상, 풀 롤 장치(5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많은 다른 콘트롤 스킴이 있다. 예컨대, 일정한 각 속도로 하부 롤(502, 504)을 동작시키고, 일정한 각 속도로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을 동작시키기 위한 추가의 콘트롤 스킴이 있다. 안정한 동작을 위해, 하부 구동 롤(502, 504)은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설정된다. 비록 이것이 또 다른 스킴만큼 바람직하지 않고, 좀더 많은 롤 마모를 야기할 지라도, 일정한 속도를 좀더 쉽게 채용하여 동작시킴과 더불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충분히 잘 적용시킬 수 있다. 일정한 속도로 리본의 한측 상의 어느 하나의 하부 롤(502)을 구동시키고, 리본의 대향측 상의 다른 하부 롤(502)을 아이들시키기 위한 또 다른 가능한 콘트롤 스킴이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은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대신 속도를 콘트롤 및 아이들시킬 수 있다. 몇몇 롤의 아이들링에 의해, 본 발명의 몇가지 장점들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킴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풀 롤 장치(540)는 통상의 풀 롤 장치(140)와 비교하여 몇가지 장점들을 갖는다. 예컨대,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은 효과적으로, (1) 글래스 시트(305)의 스트레스 및 뒤틀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의 조절; (2) 롤 권취력의 제거 또는 감소; 및 (3) 글래스 시트(305)의 사이클링 동안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변경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풀링 롤 어셈블리(500)는 몇가지 장점들, 예컨대: (1) TAM(350)이 글래스 시트(305)를 스코어할 때 그리고 그 스코어된 글래스 시트(305)가 보다 작은 글래스 시트(355)로 분리될 때 글래스 시트의 가변 중량의 흡수; (2) 글래스 시트(305)를 제조하는 동안 좀더 냉각된 풀 롤(502, 504)이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사이클링의 감소; 및 (3) 2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이 위치된 설정 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글래스 시트(305) 상의 충격 감소를 포함한다. 풀링 롤 어셈블리(500)의 또 다른 장점은 크로스-드로우 힘 가변성을 야기하는 글래스 시트 컷오프에 의해 야기된 가변의 풀링 힘을 글래스 리본의 좀더 냉각된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는 통상 제품 스트레스 및 평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점탄성 글래스 온도에 맞게 이들 구성요소가 위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 조건들이 좀더 일정해지게 한다. 더욱이, 풀링 롤 어셈블리(500)와 관련된 좀더 냉각된 조건은 샤프트 플렉스(shaft flex)를 야기하여, 가변 로드를 가변 크로스-드로우 응력으로 전이시킨다. 최상의 격리를 위해, 풀 롤 장치(500)는 사실상 TAM(350)에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풀 롤 장치(540)는 TAM(350)에서 2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까지 미치는 글래스 시트(305)의 깨짐이 발생할 때조차 "크랙아웃(crackout)"의 복구를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트롤 장치(446)는 풀 롤(502, 504)의 토오크 손실을 감지한 후 즉시 일정한 각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스위치한다. 선택적으로, 하부 풀 롤(502, 504)은 이 하부 풀 롤(502, 504)를 통해 글래스 시트(305)의 재스레딩(rethread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일단 글래스 시트(305)가 적절하게 드로우되면 다시한번 콘트롤 장치(446; 또는 원할 경우 수동 수단)가 상기의 콘트롤 스킴 중 하나로 다시 스위치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6a~6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풀 롤 장치(640)와 연관된 각각의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 롤 장치(640)는 상기 첫번째로 기술한 풀 롤 장치(440)와 연관된 구성요소, 즉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 및 콘트롤 장치(446;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 외에 제3 및 제4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602, 604)를 포함한다(참고: 도 6a에는 척도로 나타내지 않음). 본 실시예에서, 제3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602)은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글래스 시트(305)의 제1엣지부(305a)를 그들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606a, 606b)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4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604)은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글래스 시트(305)의 대향의 제2엣지부(305b)를 그들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수직 다운틸트 롤(608a, 608b)을 구비한다. 콘트롤 장치(446)는 글래스 시트(305)가 제조되는 동안 상주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글래스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및 다운-드로우 시트 응력(448b, 448c)의 일관성을 콘트롤하여 향상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4개의 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 602, 604)을 동작시킨다. 추가의 하부 스터브 롤쌍(602, 604)은 또한 리본 내의 각기 다른 설정된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콘트롤하는 능력을 상승시킨다. 예컨대, 상기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들은 이들과 아이소파이프(335)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콘트롤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스터브 롤쌍(602, 604)들은 이들과 상기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 사이에 위치된 리본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d)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c)을 콘트롤할 수 있다. 콘트롤 장치(446)는 4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 602, 604)의 속도, 스플레이 각, 다운틸트 각 및/또는 토오크를 콘트롤함으로써 글래스 시트(305)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가변성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도록 다수의 콘트롤 스킴을 수행할 수 있다(참고: 처리 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하나 또는 다수의 롤(450a, 450b, 452a, 452b, 606a, 606b, 608a, 608b)을 스플레이 또는 다운틸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가지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6b~6c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된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6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6b~6c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다운틸트 롤(606a, 608a)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610a, 612a)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다운틸트 롤(606b, 608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610b, 612b)의 토오크를 콘트롤한 후,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의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610a, 612a)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610a, 612a)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610b, 612b, 454a, 454b, 456a, 456b)의 토오크를 마스터 모터(610a, 612a)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그들 각각의 마스터 모터(610a, 612a)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50~10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610b, 612b)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마스터 모터(610a, 612a)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6a,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만약 원할 경우, 장치(446)는 어떠한 공정의 불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어느 한 마스터 모터(610a) 및 또 다른 마스터 모터(612a)를 구비할 수 있다.
글래스 시트(305) 내의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 448c)을 효과적으로 콘트롤(조절)하기 위해 풀 롤 장치(6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의 콘트롤 스킴이 도 6b 및 6c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된다. 이 경우, 장치(446;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는 다운틸트 롤(606a, 606b, 608a, 608b)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610a, 610b, 612a, 612b)의 속도(분당 회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로부터 출력된 토오크를 콘트롤한다. 특히, 장치(446)는 규정된 각 속도로 동작하도록 마스터 모터(610a, 610b, 612a, 612b)를 콘트롤한 후 마스터 모터(610a, 610b, 612a, 612b)의 토오크를 모니터함으로써, 슬레이브 모터(454a, 454b, 456a, 456b)의 토오크를 마스터 모터(610a, 610b, 612a, 612b)의 소정 퍼센테지의 측정 평균의 토오크와 매칭하도록 콘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446)는 2개의 마스터 모터(610a, 610b)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4a, 454b)를 콘트롤한 후 2개의 마스터 모터(612a, 612b)의 모니터된 토오크의 0~10%인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슬레이브 모터(456a, 456b)를 콘트롤할 수 있다. 만약 원할 경우, 장치(446)는 어떠한 공정의 불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어느 한측 상의 마스터 모터(610a, 610b) 및 또 다른측 상에 위치된 마스터 모터(612a, 612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실상, 풀 롤 장치(6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많은 다른 콘트롤 스킴이 있다. 예컨대, 일정한 각 속도로 하부 스터브 롤쌍(602, 604)을 동작시키고, 일정한 각 속도로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을 동작시키기 위한 추가의 콘트롤 스킴이 있다. 안정한 동작을 위해, 하부 스터브 롤쌍(602, 604)은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설정된다. 비록 이것이 또 다른 스킴만큼 바람직하지 않고, 좀더 많은 롤 마모를 야기할 지라도, 일정한 속도를 좀더 쉽게 채용하여 동작시킴과 더불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충분히 잘 적용시킬 수 있다. 일정한 속도로 리본의 한측 상의 어느 하나의 하부 롤(606a, 608a)을 구동시키고, 리본의 대향측 상의 다른 하부 롤(606b, 608b)을 아이들시키기 위한 또 다른 가능한 콘트롤 스킴이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스터브 롤쌍(442, 444)은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대신 속도를 콘트롤 및 아이들시킬 수 있다. 아이들링 기능은 전자기 클러치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롤을 아이들링함으로써, 본 발명의 몇가지 장점들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킴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풀 롤 장치(640)는 통상의 풀 롤 장치(140)와 비교하여 몇가지 장점들을 갖는다. 예컨대, 제1 및 제2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은 효과적으로, (1) 글래스 시트(305)의 스트레스 및 랩(wrap)을 감소시키기 위한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의 조절; (2) 구동 권취력의 제거 또는 감소; 및 (3) 글래스 시트(305)의 사이클링 동안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448d) 변경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3 및 제4구동 스터브 롤쌍(602, 604)는 효과적으로 예컨대: (1) TAM(350)이 글래스 시트(305)를 스코어할 때 그리고 그 스코어된 글래스 시트(305)가 보다 작은 글래스 시트(355)로 분리될 때 글래스 시트의 가변 중량의 흡수; (2) 글래스 시트(305)를 제조하는 동안 좀더 냉각된 다운틸트 롤(606a, 606b, 608a, 608b)이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사이클링의 감소; 및 (3) 2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이 위치된 설정 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글래스 시트(305) 상의 충격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3 및 제4의 일정한 토오크 구동 스터브 롤쌍(602, 604)은 상기 제1 및 제2의 일정한 토오크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된 다운틸트 각 및 스플레이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풀 롤 장치(640)는 TAM(350)에서 2개의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까지 미치는 글래스 시트(305)의 깨짐이 발생할 때조차 "크랙아웃(crackout)"의 복구를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트롤 장치(446)는 하부 구동 스터브 롤쌍(602, 604)의 토오크 손실을 감지한 후 즉시 일정한 각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454a, 454b, 456a, 456b)를 스위치한다. 선택적으로, 하부 풀 롤(606a, 606b, 608a, 608b)은 이 하부 풀 롤(606a, 606b, 608a, 608b)를 통해 글래스 시트(305)의 재스레딩(rethread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일단 글래스 시트(305)가 적절하게 드로우되면 다시한번 콘트롤 장치(446; 또는 원할 경우 수동 수단)가 상기의 콘트롤 스킴 중 하나로 다시 스위치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또한 풀링 롤 장치(640)는 옵션의 엣지 롤(458, 460)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도 6b 참조).
도 7a~7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풀 롤 장치(740)와 연관된 각각의 도면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풀 롤 장치(740)는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 및 콘트롤 장치(446;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가능 로직 콘트롤러)를 포함한다(참고: 도 7a에는 척도로 나타내지 않음). 콘트롤 장치(446)는 제1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과 연관된 2개의 수평 롤(450a, 450b) 사이에서 글래스 시트(305)의 제1엣지부(305a)가 드로우됨과 더불어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4)과 연관된 2개의 수평 롤(452a, 452b) 사이에서 글래스 시트(305)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305b)가 드로우되는(도 7b 참조) 동안 상기 2개의 제1 및 제2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442, 444)을 콘트롤함으로써 글래스 시트(305)의 다운-드로우 응력(448b)을 효과적으로 콘트롤한다. 원할 경우, 수평 롤(450a, 450b, 452a, 452b) 또한 글래스 시트(305)를 가로질러 생성된 크로스-드로우 힘(448a)의 양을 콘트롤하는 소정의 정(positive)의 스플레이 각(splay angle)을 갖도록 위치(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될 수 있다. 덧붙여, 풀 롤 장치(740)는 또한 풀링 롤 어셈블리(500; 도 5a 참조) 또는 제3 및 제4캔틸레버식 구동 스터브 롤쌍(602, 604; 도 6a 참조)을 통합할 것이다. 더욱이, 풀 롤 장치(740)는 풀 롤 장치(440, 540, 640)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콘트롤 스킴을 수행할 것이다. 이는 또한 풀링 롤 장치(740)가 옵션의 엣지 롤(458, 460)쌍 및/또는 옵션의 아이들 스터브 롤(462, 464)쌍을 포함할 것이다(도 7b 참조)(참고: 원할 경우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들 스터브 롤(462, 464)은 수평이 될 수 있고 다운틸트되지 않는다).
보는 바와 같이, 풀 롤 장치(740)는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그 수평 롤(450a, 450b, 452a, 452b)이 장점의 구동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만약 예시의 퓨전 공정이 리본 글래스 내의 열 구배로 인한 높은 내부 응력 하의 리본 글래스를 형성하면, 수직 다운틸트 롤(450a, 450b, 452a, 452b)로부터의 나머지 크로스 응력은 그 성능에 도움을 주지 않지만, 여기에 기술된 낮은 동작 구동 콘트롤 스킴 및 수평 롤(450a, 450b, 452a, 452b)로부터의 또 다른 이점들이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의 풀 롤 어셈블리(440, 540, 640, 740)가 글래스 시트(305)를 제조하는 동안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 모두를 처리, 조절 및 콘트롤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드로우 공정 상의 글래스 시트(305)의 총 중량의 결과적인 변경 및 시트 "스냅-오프(snap-off)"에서 로봇의 상호작용과 같은 외력이 콘트롤되는 다수의 스터브 롤 및/또는 파워된 풀 롤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더욱이, 풀 롤 어셈블리(440, 540, 640, 740)는 롤 직경 차, 샤프트 랩, 불규칙한 머시닝(machining) 또는 마모 등으로 인한 각 속도의 차이에 의해 야기된 롤 "권취"와 같은 롤에 유발된 힘을 최소화 또는 없앨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풀 롤 장치(440, 540, 640, 740)의 몇가지 추가의 특징, 사용 및 성능을 나타낸다:
1. 새로운 구동 스킴의 기술적인 이점은 크로스-드로우 응력(448a) 및 다운-드로우 응력(448b)의 콘트롤(조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이러한 타입의 콘트롤이 결과의 글래스 시트(355)에서의 상주 스트레스를 낮게 하여 시트 평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2. 글래스 시트(305)가 점탄성 상태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처리 변경 및 모니터링이 달성될 수 있는 위치에 4개의 풀링 플랫/롤(450a, 450b, 452a, 452b)의 토오크 및/또는 속도 콘트롤의 사용으로 인해 퓨전 파이프(335) 아래의 드로우 응력 균형의 변경이 이제 가능하다.
3. 4개의 메인 풀링 플랫/롤(450a, 450b, 452a, 452b)의 개별 콘트롤은 속도를 매칭시켜 표면 손상을 야기하는 관련된 권취를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과거에는, 정확하게 동일한 규정, 및 런-아웃(run-out) 없는 직경으로 통상의 풀 롤 장치(140)의 2개의 분리된 전장(full length)의 롤 상에 모든 4개의 풀링 플랫/롤의 압축가능 내화성 롤 커버링을 머시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상당히 곤란했기 때문에, 이러한 권취를 처리하는 것이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통상의 풀 롤 장치(140)는 차별적인 마모, 글래스 표면 손상 및 오염으로 발생한 표면 속도의 차이로 곤란을 겪었다.
4. 스터브 롤(450a, 450b, 452a, 452b)은 본질적으로 글래스 시트(305)의 크기와 상관없이 그들의 감소된 물리적 크기로 인해 종래의 풀링 롤(142a, 142b, 144a, 144b)보다 상당한 공차로 머시닝하기가 좀더 용이하다.
5. 스터브 구동 롤쌍(442, 444)을 사용함으로써, 모든 글래스 제조 시스템(300)이 동일한 롤(450a, 450b, 452a, 452b)을 사용할 수 있다. 각기 다른 크기의 플랫폼 및 몇몇 특정 드로우의 경우에는 특정 공정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된 롤들을 구비했기 때문에, 과거에는 이것이 불가능했다. 결과적으로, 포괄적인 스터브 롤쌍(442, 444)의 사용은 롤을 상당히 감소시켜 총 롤 비용을 감소시킬 것이다. 덧붙여, 스터브 구동 롤쌍(442, 444)의 경우, 닙(nip) 위치가 간단한 기계적인 설정 변경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통상의 전장의 풀 롤(142, 144)의 경우에는, 만약 풀링 플랫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으면 풀링 플랫을 다시 제조해야 했다.
6. 스플레이 콘트롤의 사용에 의해, 닙 풋프린트(nip footprint)가 정확하게 비드(bead) 두께 구배와 매칭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전장의 풀 롤(142, 144)을 사용할 때보다 낮은 롤 마모, 긴 롤 수명, 그리고 낮은 비가동시간(및 공정 중지)을 제공한다.
7. 또한, 풀 롤 어셈블리(440, 540, 640, 740)는 이하의 장점적인 특징들을 갖는다:
a. 플랫에 걸쳐 사이클링하는 권취 상호작용 힘을 최소화(연속하는 샤프트의 제거에 의해).
b. 제품 스트레스 및 평탄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스터브 롤 축을 하향방향으로 틸팅하여 글래스 시트의 설정 존 영역의 크로스-드로우 응력의 조작.
c. 낮은 스트레스 및 향상된 평탄성을 갖는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최적의 응력 조건을 설정하도록 다운틸트 성능과 협력하여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측정.
d. 롤 마모, 글래스 두께 구배 변경, 및 다른 통상의 변동 요인들의 보상을 돕기 위해 시간에 따라 원하는 응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다운틸트 각을 조절(참고: 이는 수동 또는 자동 시스템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e. 결과의 글래스 시트의 낮은 스트레스 및 평탄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리본 조건들을 보장하도록 글래스 제조 공정의 일관성을 향상.
f. 롤에 걸친 불균형을 없애고, 좀더 일정한 풀링 힘을 제공하며, 제품 스트레스 및 평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스터/슬레이브 각각의 콘트롤 시스템 알고리즘(마스터 = 일정한 토오크/슬레이브 롤은 마스터 토오크 레벨과 매칭)을 이용하여 스터브 롤 모터를 콘트롤.
g. 구동 스터브 롤이 통상의 공정 차이/변경에 따른 힘 불균형을 오프셋하여 좀더 최적의 리본 조건을 형성하도록 응력 수단 및 다운틸트를 사용하여, 제품 스트레스 및 평탄성을 향상. 이는 또한 두께 콘트롤을 향상시켜 비드 양(낭비되는 글래스)을 최소화시킬 것이다.
h. 스터브 롤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더 조작하게 하는 스터브 롤 메카니즘(스터브 롤 축간 수평 각을 변경하는)의 스플레이 각을 조절. 이러한 성능은 다운틸트 각과 같이 레버리지(leverage)될 것이다.
i. 롤 플랫의 수평 접촉각을 변경하고 차례로 크로스-드로우 응력을 변경하는 글래스 시트의 두께 구배에 따라 플랫이 런(run)하는 곳을 변경하는 스터브 롤 메카니즘의 플랫/롤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능력. 이러한 성능은 다운틸트 각과 같이 레버리지될 것이다.
j. 설정 존 바로 아래에 위치된 제2롤(버퍼링 롤)의 사용. 이것은 연속의 샤프트 롤 또는 구동 스터브 롤쌍(도 5a~6a 참조)이 될 것이다. 이러한 버퍼링 롤은 시트 제거 및 로봇 상호작용으로부터의 리본의 변경 로드를 흡수하여 글래스 시트(305)의 점탄성 영역의 장애를 최소화 시킨다.
k. 낮은 스트레스 및 평탄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설정 존의 리본 응력 레벨의 또 다른 조작을 가능하게 함.
l. 구동 및 버퍼링 롤 구성은 또한 매우 높은 다운틸트(고응력) 위치를 가질 수 있는 구동 롤과 버퍼링 롤간 아이들 스터브 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 리본 동작을 감소시켜 제품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의 이들 아이들 스터브 롤이 예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수반되는 도면에 도시됨과 더불어 상술한 설명으로 기술했을 지라도,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및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재배열, 변경 및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300 : 글래스 제조 시스템, 305 : 글래스 시트,
310 : 용융 용기, 315 : 정제 용기,
320 : 혼합 용기, 325 : 전달 용기,
335 : 형성 용기, 440, 540, 640, 740 : 풀 롤 장치.

Claims (25)

  1.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하기 위한 풀 롤 장치에 있어서,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이 수직 다운틸트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장치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 및 상기 제2스터브 롤쌍의 다운틸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을 측정하는 크로스-드로우 응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해 상기 제1스터브 롤쌍 및 제2스터브 롤쌍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을 측정하는 크로스-드로우 응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롤은 글래스 시트의 주면에 대해 대응하는 롤 면이 위치되는 수평 각인 원하는 스플레이 각을 갖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와 대응하는 제2엣지부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풀 롤을 구비함으로써 글래스 시트 상의 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하는 것을 돕는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풀링 롤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3스터브 롤쌍;
    상기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4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하부 제1엣지부가 상기 제3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하부 제2엣지부가 상기 제4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3스터브 롤쌍 및 제4스터브 롤쌍을 더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이 수직 다운틸트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롤 장치.
  9. 글래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치 재료를 용융하여 글래스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글래스 시트를 풀 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풀 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풀 롤 장치는: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이 수직 다운틸트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이 상기 제1스터브 롤쌍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다운틸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콘트롤되도록 글래스 시트의 크로스-응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글래스 시트의 주면에 대해 대응하는 롤 면이 위치된 수평 각인 원하는 스플레이 각을 갖도록 각각의 롤을 위치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어느 하나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다른 어느 하나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어느 하나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하는 동안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다른 어느 하나의 롤을 아이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와 대응하는 제2엣지부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풀 롤을 구비함으로써 글래스 시트 상의 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하는 것을 돕는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풀링 롤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의 어느 하나의 풀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의 다른 어느 하나의 풀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더 콘트롤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더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의 어느 하나의 풀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하는 동안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의 다른 어느 하나의 풀 롤을 아이들링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풀링 롤 어셈블리의 각각의 어느 하나의 풀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3스터브 롤쌍;
    상기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4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하부 제1엣지부가 상기 제3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하부 제2엣지부가 상기 제4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3스터브 롤쌍 및 제4스터브 롤쌍을 더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제3 및 제4스터브 롤쌍의 어느 하나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상기 제3 및 제4스터브 롤쌍의 다른 어느 하나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콘트롤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더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드로우 단계는 상기 제3 및 제4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마스터 모터의 각 속도를 콘트롤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의 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슬레이브 모터의 토오크를 콘트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방법.
  23. 배치 재료를 용융하여 용융 글래스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용융 글래스를 수용하여 글래스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아이소파이프; 및
    글래스 시트를 수용하여 글래스 시트를 드로우하기 위한 풀 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풀 롤 장치는:
    제1스터브 롤쌍;
    제2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가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제2엣지부가 상기 제2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1스터브 롤쌍과 제2스터브 롤쌍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제조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글래스 시트의 제1엣지부와 대응하는 제2엣지부 사이에서 드로우하는 2개의 풀 롤을 구비함으로써 글래스 시트 상의 드로우 응력을 콘트롤하는 것을 돕는 상기 제1 및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풀링 롤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제조 시스템.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풀 롤 장치는,
    상기 제1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3스터브 롤쌍;
    상기 제2스터브 롤쌍 아래에 배치된 제4스터브 롤쌍; 및
    글래스 시트의 하부 제1엣지부가 상기 제3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그리고 글래스 시트의 대향하는 하부 제2엣지부가 상기 제4스터브 롤쌍과 연관된 2개의 롤 사이에서 드로우되는 동안 상기 제3스터브 롤쌍 및 제4스터브 롤쌍을 더 콘트롤하는 콘트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시트 제조 시스템.
KR1020107011753A 2007-10-29 2008-10-29 글래스 시트 장력을 컨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KR101521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78,333 US8627684B2 (en) 2007-10-29 2007-10-29 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US11/978,333 2007-10-29
PCT/US2008/012262 WO2009058293A1 (en) 2007-10-29 2008-10-29 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62A true KR20100092462A (ko) 2010-08-20
KR101521670B1 KR101521670B1 (ko) 2015-05-19

Family

ID=4034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753A KR101521670B1 (ko) 2007-10-29 2008-10-29 글래스 시트 장력을 컨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27684B2 (ko)
JP (1) JP5623909B2 (ko)
KR (1) KR101521670B1 (ko)
CN (1) CN101970361B (ko)
TW (1) TWI427043B (ko)
WO (1) WO2009058293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160A (ko) * 2011-11-29 2013-06-0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기기 및 유리 제조 방법
KR20140134302A (ko) * 2012-02-29 2014-11-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50022928A (ko) * 2012-05-31 2015-03-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50060762A (ko) * 2012-09-25 2015-06-0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유리 리본에 인가된 풀링력 관리 방법
KR20160145775A (ko) * 2014-04-24 2016-12-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60152A (ko) * 2014-10-03 2017-05-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판유리의 시트 폭 감쇠를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3151A (ko) * 2017-01-12 2018-07-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KR20190003850A (ko) * 2019-01-02 2019-01-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KR20190069344A (ko) * 2016-10-11 2019-06-1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7684B2 (en) * 2007-10-29 2014-01-14 Corning Incorporated 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US9346699B2 (en) 2008-10-06 2016-05-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 glass laminate having controlled strength
US8656738B2 (en) * 2008-10-31 2014-02-25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separating device
JP2010143800A (ja) * 2008-12-19 2010-07-0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
US8397538B2 (en) * 2009-02-26 2013-03-1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a ribbon of glass
US8047085B2 (en) * 2009-05-27 2011-11-01 Corning Incorporated Force monitor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2471120B (zh) * 2009-07-13 2015-09-09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WO2011017147A1 (en) * 2009-08-05 2011-02-10 Corning Incorporated Label-independent optical reader system and methods with optical scanning
US8146388B2 (en) * 2009-10-29 2012-04-03 Corning Incorporated Low friction edge roll to minimize force cycling
US20110100057A1 (en) * 2009-10-29 2011-05-05 Gaylo Kei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heat loss from edge directors in a glass making process
US8528364B2 (en) * 2010-01-08 2013-09-10 Corning Incorporated Active edge roll control in a glass drawings process
KR101811900B1 (ko) 2010-05-20 2017-12-2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융합 인발 방법과 리본 위치 제어 계획
KR101300858B1 (ko) * 2011-03-30 2013-08-27 아반스트레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US8794036B2 (en) * 2011-08-23 2014-08-0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moving ribbon of glass
US9945613B2 (en) 2012-09-20 2018-04-17 Apple Inc. Heat exchangers in sapphire processing
US9777397B2 (en) * 2012-09-28 2017-10-03 Apple Inc. Continuous sapphire growth
US9145324B2 (en) * 2012-12-20 2015-09-29 Corning Incorporated Roller pairs for processing glass ribbons and draw apparatuses incorporating the same
US9388066B2 (en) * 2013-05-31 2016-07-12 Corning Incorporated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glass ribbons
DE102013110803A1 (de) * 2013-09-30 2015-04-02 Schott Ag Verfahren zur Weiterverarbeitung von Dünnglas und verfahrensgemäß hergestelltes Dünnglas
US9593033B2 (en) * 2013-10-04 2017-03-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heet
CN105960383B (zh) 2013-12-03 2019-10-18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切割无机材料的移动带的装置和方法
US10328605B2 (en) 2014-02-04 2019-06-25 Apple Inc. Ceramic component casting
DE102014103431B4 (de) * 2014-03-13 2015-10-01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Säbeligkeit bei Dünngläsern und danach herstellbares Dünnglasband
KR102402499B1 (ko) * 2014-07-08 2022-05-2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가요성 유리 리본의 연속 가공
US9682882B2 (en) * 2014-07-17 2017-06-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producing a glass ribbon
JP6454141B2 (ja) * 2014-11-28 2019-01-16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WO2016187171A1 (en) * 2015-05-18 2016-11-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of glass ribbon
CN106477858A (zh) * 2015-08-31 2017-03-08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基板的制造方法及玻璃基板的制造装置
US10065880B2 (en) 2016-11-07 2018-09-04 Corning Incorporated Lithium containing glasses
EP3535220B1 (en) 2016-11-07 2021-11-17 Corning Incorporated Low viscosity glasses
JP6834379B2 (ja) * 2016-11-11 2021-02-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製造装置
JP2020528864A (ja) * 2017-07-28 2020-10-01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処理装置及び方法
CN107601825A (zh) * 2017-11-21 2018-01-19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平板玻璃品质稳定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6714676B2 (ja) * 2017-12-26 2020-06-24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CN108083616B (zh) * 2018-01-31 2023-07-25 蚌埠凯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旋转装置的冷却系统
CN108117246B (zh) * 2018-01-31 2023-07-25 蚌埠凯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多自由度旋转装置
US20210163334A1 (en) * 2018-08-14 2021-06-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KR20200042297A (ko) * 2018-10-15 2020-04-2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 제조용 롤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퓨전 드로우 머신
JP7164834B2 (ja) * 2019-02-18 2022-11-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
US20220298054A1 (en) * 2019-06-26 2022-09-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separating and transporting a glass sheet from a glass ribbon
CN111176165B (zh) * 2019-12-30 2021-01-26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玻璃牵引辊自动调节系统及方法
JP2022040755A (ja) * 2020-08-31 2022-03-1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CN117794871A (zh) * 2021-07-09 2024-03-29 康宁公司 用于减轻拉边机几何结构的差异的方法和设备
WO2023091296A1 (en) * 2021-11-17 2023-05-25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supporting a ribbon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7104A (en) * 1921-06-08 1929-01-01 Clarence P Byrnes Drawing sheet glass
US1586618A (en) * 1922-07-07 1926-06-01 Libbey Owens Sheet Glas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sheet glass
US1565307A (en) * 1923-12-26 1925-12-15 Libbey Owens Sheet Glass Co Drawing sheet glass
NL122401C (ko) * 1962-09-29
US3338696A (en) 1964-05-06 1967-08-29 Corning Glass Works Sheet forming apparatus
GB1085010A (en) * 1965-08-25 1967-09-27 Ford Motor Co Float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NL135739C (ko) * 1966-08-15
GB1313743A (en) * 1969-07-28 1973-04-18 Pilkington Brothers Ltd Manufacture of float glass
BE755351A (fr) 1969-09-10 1971-03-01 Glaverbe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 verre en feuille
BE757057A (fr) 1969-10-06 1971-04-05 Corning Glass Works Procede et appareil de controle d'epaisseur d'une feuille de verre nouvellement etiree
GB1315365A (en) * 1970-06-04 1973-05-02 Pilkington Brothers Ltd Manufacture of float glass
US3843346A (en) * 1973-03-06 1974-10-22 Ppg Industries Inc Manufacture of sheet glass by continuous float process
US3929444A (en) * 1974-03-06 1975-12-30 Ppg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making flat glass including an edge stretching apparatus
US3926605A (en) * 1974-06-27 1975-12-16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ibbon of glass on a molten metal bath
US4354866A (en) * 1980-04-04 1982-10-19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bidirectionally attenuating glass in a float process with edge cooling
US4305745A (en) * 1980-04-04 1981-12-15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attenuating glass in a float process
US4375370A (en) * 1980-04-04 1983-03-01 Ppg Industries, Inc. Thermal control in a method of bidirectionally attenuating glass in a float process
US4612030A (en) * 1985-06-11 1986-09-16 Smids Ronald 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variegated, cathedral, antique or flashed glass in a continuous sheet
US4676818A (en) * 1985-12-23 1987-06-30 Ppg Industries, Inc. Edge gripping means for attenuating float glass
JPH05124827A (ja) 1991-10-31 1993-05-21 Hoya Corp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3093000B2 (ja) 1991-10-31 2000-09-25 ホーヤ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3335291B2 (ja) 1997-04-16 2002-10-15 ホーヤ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6094942A (en) * 1997-06-13 2000-08-01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in defects in float glass
JP3586142B2 (ja) 1999-07-22 2004-11-10 エヌエッチ・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液晶デバイス
US6616025B1 (en) 2000-08-31 2003-09-09 Corning Incorporated Automated flat glass separator
JP4347067B2 (ja) * 2002-04-03 2009-10-21 AvanStrate株式会社 マザーガラスの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US7122242B2 (en) * 2002-04-05 2006-10-17 Ppg Industries Ohio, Inc. Wedge shaped glass and methods of forming wedged glass
US20040093900A1 (en) * 2002-11-15 2004-05-20 Fredholm Allan 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heets of glass presenting at least one face of very high surface quality
US7430880B2 (en) * 2004-06-02 2008-10-07 Corning Incorporated Pull roll assembly for drawing a glass sheet
US20060042314A1 (en) 2004-08-27 2006-03-02 Abbott John S Iii Noncontact glass sheet stabilization device used in fusion forming of a glass sheet
JP4753067B2 (ja) 2005-08-18 2011-08-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成形方法
US20070051028A1 (en) * 2005-09-03 2007-03-08 Stordal Leif T Rotatable adapters
US20070062219A1 (en) * 2005-09-22 2007-03-22 Blevins John D Methods of fabricating flat glass with low levels of warp
US7685840B2 (en) * 2006-03-24 2010-03-30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inimizing distortion in a sheet of glass
US8627684B2 (en) * 2007-10-29 2014-01-14 Corning Incorporated 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JP2010143800A (ja) * 2008-12-19 2010-07-0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
US20100215862A1 (en) * 2009-02-26 2010-08-26 Sinue Gomez Method for forming an opal glass
US8397538B2 (en) * 2009-02-26 2013-03-1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a ribbon of glass
US8047085B2 (en) * 2009-05-27 2011-11-01 Corning Incorporated Force monitor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2471120B (zh) * 2009-07-13 2015-09-09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US20110100057A1 (en) * 2009-10-29 2011-05-05 Gaylo Kei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heat loss from edge directors in a glass making process
US8146388B2 (en) * 2009-10-29 2012-04-03 Corning Incorporated Low friction edge roll to minimize force cycling
US8528364B2 (en) * 2010-01-08 2013-09-10 Corning Incorporated Active edge roll control in a glass drawings process
TWI570075B (zh) * 2012-05-31 2017-02-11 康寧公司 製造玻璃帶的玻璃製造設備及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160A (ko) * 2011-11-29 2013-06-0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기기 및 유리 제조 방법
KR20140134302A (ko) * 2012-02-29 2014-11-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50022928A (ko) * 2012-05-31 2015-03-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50060762A (ko) * 2012-09-25 2015-06-0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유리 리본에 인가된 풀링력 관리 방법
KR20160145775A (ko) * 2014-04-24 2016-12-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60152A (ko) * 2014-10-03 2017-05-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판유리의 시트 폭 감쇠를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69344A (ko) * 2016-10-11 2019-06-1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US11787724B2 (en) 2016-10-11 2023-10-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glass film
KR20180083151A (ko) * 2017-01-12 2018-07-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KR20190003850A (ko) * 2019-01-02 2019-01-0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을 드로잉하기 위한 풀링 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670B1 (ko) 2015-05-19
TWI427043B (zh) 2014-02-21
US20090107182A1 (en) 2009-04-30
WO2009058293A1 (en) 2009-05-07
TW200942499A (en) 2009-10-16
US8627684B2 (en) 2014-01-14
CN101970361A (zh) 2011-02-09
JP5623909B2 (ja) 2014-11-12
JP2011502099A (ja) 2011-01-20
US9061932B2 (en) 2015-06-23
US20140075994A1 (en) 2014-03-20
CN101970361B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2462A (ko) 글래스 시트 응력을 콘트롤하기 위한 풀 롤 장치 및 방법
KR102115823B1 (ko) 유리 제조 기기 및 유리 제조 방법
US9388065B2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glass ribbon
US7430880B2 (en) Pull roll assembly for drawing a glass sheet
US8887530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glass sheet from a moving ribbon of glass
JP5782507B2 (ja) フュージョンドロー法のリボンポジション制御方式
WO201308221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tress in glass ribbons
JP2018522802A (ja) ガラス製造装置における張力制御
KR102303365B1 (ko)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9516660A (ja) ガラス製造機器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