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775A - 히트싱크 - Google Patents

히트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775A
KR20100091775A KR1020090011127A KR20090011127A KR20100091775A KR 20100091775 A KR20100091775 A KR 20100091775A KR 1020090011127 A KR1020090011127 A KR 1020090011127A KR 20090011127 A KR20090011127 A KR 20090011127A KR 20100091775 A KR20100091775 A KR 2010009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plate
heat si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155B1 (ko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주) 하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이로 filed Critical (주) 하이로
Priority to KR102009001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55B1/ko
Priority to CN200910167587A priority patent/CN101801166A/zh
Publication of KR2010009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Landscapes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플레이트를 구조를 변경하여 방열면적을 넓힘으로써 방열효과를 높이고, 바람의 소통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하며, 적층된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하는 히트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열원의 열을 공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플레이트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 히트싱크에 있어서,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부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가 형성된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절곡에 의해 바람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트렌치와 대칭되게 절곡되어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와 제2 방열플레이트가 교차 적층되므로써 상기 트렌치들의 바깥면이 상호 연접되어 통풍과 지지구조를 위한 다수의 윈드터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트싱크, 방열플레이트, 흡열부, 발열부, 히트파이프

Description

히트싱크 {HEAT SINK}
본 발명은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플레이트를 구조를 변경하여 방열면적을 넓힘으로써 방열효과를 높이고, 바람의 소통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하며, 적층된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하는 히트싱크에 관한 것이다.
히트싱크는 전자부품 또는 열전소자 등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방열플레이트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전자부품 등을 냉각하는 장치를 말한다.
다양한 발열 반도체 부품의 경우 적정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오동작이 발생되거나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같이 CPU, 그래픽카드 기타 각종 발열 반도체 부품이 내장된 시스템의 경우 부품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박막의 평판의 방열 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적층하고 쿨링팬(cooling fan)을 이용하여 열을 포함하고 있는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냉매인 바람을 통과시킴으로써 상호 열교환을 통하여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히트싱크는 방열플레이트가 바람과 접촉하는 면적과 히트싱크를 통과하는 바람이 얼마나 많은 열을 머금고 밖으로 빠져나오느냐에 의해 방열 효과가 결정된다. 즉, 넓은 방열면적을 갖는 방열플레이트로 구성될수록, 방열플레이트와 바람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질수록 방열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방열 효과만을 생각하여 방열플레이트를 무한정 넓게 설계한다면 공간 효율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고, 종래의 평판 방열플레이트로 적층된 히트싱크의 경우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바람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 없어 충분한 열교환 없이 사방으로 바람이 빠져나와 방열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히트싱크의 경우 시스템 내부에 다수 설치된 타 히트싱크 또는 팬에 의하여 불규칙적으로 흐르는 더운 바람이 유입되어 냉매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박막의 평판 방열플레이트는 판 지지구조가 연약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져 방열효과를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방열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높은 방열효과와 방열플레이트 간에 튼튼한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열원의 열을 공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플레이트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 히트싱크에 있어서,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부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가 형성된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절곡에 의해 바람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트렌치와 대칭되게 절곡되어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와 제2 방열플레이트가 교차 적층되므로써 상기 트렌치들의 바깥면이 상호 연접되어 통풍과 지지구조를 위한 다수의 윈드터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1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2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3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4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팬의 바람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히트싱크를 관통하며 열원의 열을 전달하는 다수의 히트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방열플레이트 내부에 원형의 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인접한 방열플레이트와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히트파이프와의 접촉면을 확보하여 열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홀의 원주부분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방열플레이트 측면이 연장되어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열전달 블럭에 형성된 홈 사이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고정을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고, 방열플레이트가 적층되는 흡열부 사이에 고정을 위한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편이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열전달 블럭표면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단부가 "┛"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제 1 방열플레이트와 제 2 방열플레이트에 절곡된 트렌치가 형성되어 있어 평판 방열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된 히트싱크에 비하여 넓은 방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윈드터널이 유입된 바람을 가이드 하기 때문에 방열플레이트와 바람 간에 충분한 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히트싱크로부터 빠져나오는 바람이 많은 열을 머금고 방출될 수 있어 종래 평판 방열플레이트로 구성된 히트싱크에 비해 방열효율이 현저하게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드터널은 바람의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어 히트싱크에서 방출되는 더운 바람을 시스템 내부의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며 타 히트싱크 또는 팬으로부터 방출되는 더운 바람의 간섭을 배재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는 제 1 방열플레이트와 제 2 방열플레이트의 트렌치 바깥면의 연접에 의해 형성된 지지구조를 가지지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방열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1)는 종래 대부분의 히트싱크와 마찬가지로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의 열을 공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플레이트(100)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되고, 적층된 방열플레이트(100)에 의해 형성된 히트싱크(1) 측면에 팬(fan)(도시생략) 등이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방열플레이트(100) 사이의 틈으로 바람이 통기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1)의 특징은 도 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부(110)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120)가 형성된 제1 방열플레이트(100a) 및 제2 방열플레이트(100b)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절곡에 의해 바람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트렌치(trench)(12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상기 제 1 방열플레이트의 트렌치(trench)(121a)와 대칭되게 절곡되어 다수의 트렌치(trench)(1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열플레이트(100a)와 제 2 방열플레이트(100b)가 교차 적층되므로써 상기 트렌치(trench)(121a)(121b)들의 바깥면이 상호 연접되어 통풍과 지지구조를 위한 다수의 윈드터널(wind tunnel)(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트렌치(121a)(121b)는 방열플레이트가 차지하는 면적에 비하여 넓은 방열면적을 가짐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기능을 하며, 통풍되는 바 람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절곡에 의하여 돌출형성되어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평판의 방열플레이트의 보다 튼튼한 지지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 트랜치(121a)(121b)는 방열플레이트들이 적층될 때 상호 연접에 의하여 윈드터널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제 1 방열플레이트(100a)에 형성된 트렌치(121a)와 제 2 방열플레이트(100b)에 형성된 트렌치(121b)가 상호 대칭이 될 수 있도록 절곡 되어야 한다.
종래의 평판의 방열플레이트로 형성된 히트싱크의 경우 통풍되는 바람을 가이드하는 부분이 없어 바람이 방열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할 때 사방으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방열플레이트 사이에 높은 밀도의 기압이 형성될 수 없었고 그로 인해 방열플레이트와 빠져나가는 공기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경우 상기 윈드터널(10)이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 하고 윈드터널 내부를 통과하는 바람이 높은 기압의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드터널 내부 표면과 통과되는 바람 간에 보다 많은 접촉을 이루어 바람이 빠져나올 때 많은 열을 머금고 나올 수 있게 한다. 또한 윈드터널의 외벽은 히트싱크의 측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바람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스템 내부의 타 히트싱크 등으로 부터 나오는 바람에 의한 간섭현상도 배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효과 이외에도 상기 윈드터널(10)은 상기 트렌치들의 상호 연접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방열플레이트의 튼튼한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하고 외부충격으로 부터 방열플레이트가 쉽게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윈드터널(10)의 형성을 위해서는 제1 방열플레이트(100a)와 제2 방열플레이트(100b)가 교차 적층되므로써 상기 트렌치(121a)(121b)들의 바깥면이 상호 연접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방열플레이트(100a)(100b)가 한 조를 이루어야 적층되어야 한다.
상기 윈드터널(1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되는 바람의 접촉면적, 지지구조 및 제조공정상의 간편화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5
" 형태의 벌집구조(10a)는 통과되는 바람의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을 것이고,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6
" 형태의 사각구조(10b)는 지지구조의 강화를 좀더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7
" 형태의 원구조(10c)는 제조공정상의 간편화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을 것이고,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8
" 형태의 다이아몬드구조(10d)는 보다 강화된 지지구조를 위하여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 은 윈드터널(10e)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윈드터널을 팬(fan)이 부착될 히트싱크의 측면에 대해 수직방향이 아닌 사선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팬(fan)의 바람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시스템 내부의 구조상 히트싱크의 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상황에서 히트싱크로 부터 바람이 빠져나오는 방향에 열에 민감한 부품이나 구성요소가 배치될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도시된 것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직선의 윈드터널(10e)이지만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곡선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윈드터널을 구성하여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1)의 흡열부(110)는 도 9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전달 블럭(3)으로 부터 열을 전달받는 다수의 히트파이프(2)가 히트싱크를 관통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방열플레이트 판 가운데 원형의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의 홀 형태의 흡열부(110a)는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의 원주부분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히트파이프와의 접촉면을 충분히 확보하여 히트파이프와 방열플레이트 간의 열전달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인접 방열플레이트 간의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1)의 흡열부는 도 1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홀 형태 이외에 방열플레이트 측면이 연장되어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 는데, 이는 히트파이프의 도움없이 열전달 블럭 등에 직접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110b)는 열전달 블럭(4)에 형성된 홈 사이에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도 1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110c)에 고정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방열플레이트가 적층되는 흡열부 사이에 고정을 위한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편(5)이 끼워져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도 13 내지 도 1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110d) 단부(111d)가 "┛"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열전달 블럭(6)에 솔더링(soldering)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용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목적을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은 그 기술사상과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내용에 의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방열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방열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히트싱크 10 : 윈드터널(wind tunnel)
100a : 제 1 방열플레이트 100b : 제 2 방열플레이트
110 : 흡열부 120 : 방열부
121 : 트렌치(trench) 2 : 히트파이프
3, 4, 6 : 열전달 블럭 5 : 지지편

Claims (12)

  1. 열원의 열을 공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열플레이트가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 히트싱크에 있어서,
    열을 흡수하기 위한 흡열부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가 형성된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절곡에 의해 바람이 통과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열플레이트의 방열부에는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의 트렌치와 대칭되게 절곡되어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열플레이트와 제2 방열플레이트가 교차 적층되므로써 상기 트렌치들의 바깥면이 상호 연접되어 통풍과 지지구조를 위한 다수의 윈드터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09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10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11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터널은 제1 방열플레이트 및 제2 방열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단위 횡단면이 "
    Figure 112009008517510-PAT00012
    "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터널은 팬의 바람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히트싱크를 관통하며 열원의 열을 전달하는 다수의 히트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방열플레이트 내부에 원형의 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인접한 방열플레이트와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히트파이프와의 접촉면을 확보하여 열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홀의 원주부분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방열플레이트 측면이 연장되어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열전달 블럭에 형성된 홈 사이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고정을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고, 방열플레이트가 적층되는 흡열부 사이에 고정을 위한 관통홈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편이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열전달 블럭표면에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단부가 "┛"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싱크.
KR1020090011127A 2009-02-11 2009-02-11 히트싱크 KR10098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27A KR100981155B1 (ko) 2009-02-11 2009-02-11 히트싱크
CN200910167587A CN101801166A (zh) 2009-02-11 2009-08-27 散热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127A KR100981155B1 (ko) 2009-02-11 2009-02-11 히트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75A true KR20100091775A (ko) 2010-08-19
KR100981155B1 KR100981155B1 (ko) 2010-09-10

Family

ID=4259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127A KR100981155B1 (ko) 2009-02-11 2009-02-11 히트싱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1155B1 (ko)
CN (1) CN1018011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91Y1 (ko) * 2011-02-25 2013-01-28 충-시엔 후앙 방열모듈
KR101524111B1 (ko) * 2013-06-20 2015-05-29 (주)다인스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218677A1 (ko) * 2019-04-25 2020-10-29 잘만테크 주식회사 콜루게이트 플레이트 적층식 냉각 타워를 구비한 전자부품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13B1 (ko) * 2011-02-01 2013-08-26 심현섭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251886B1 (ko) * 2011-05-27 2013-04-08 에이테크솔루션(주) 적층형 방열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3391702B (zh) * 2012-05-11 2016-12-14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477457B1 (ko) 2014-01-24 2014-12-29 티티엠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쿨러
CN204388011U (zh) * 2014-06-03 2015-06-10 浙江斗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蜂窝式散热器以及应用该散热器的led灯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159Y1 (ko) * 1990-12-07 1996-01-04 대우전자주식회사 트랜지스터용 방열판 구조
KR200255805Y1 (ko) * 2001-08-29 2001-12-20 조영환 방열관
KR100766109B1 (ko) * 2004-10-20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91Y1 (ko) * 2011-02-25 2013-01-28 충-시엔 후앙 방열모듈
KR101524111B1 (ko) * 2013-06-20 2015-05-29 (주)다인스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218677A1 (ko) * 2019-04-25 2020-10-29 잘만테크 주식회사 콜루게이트 플레이트 적층식 냉각 타워를 구비한 전자부품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1166A (zh) 2010-08-11
KR100981155B1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155B1 (ko) 히트싱크
US5912800A (en) Electronic packages and method to enhance the passive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 packages
US20080101035A1 (en) Heat-dissipating assembly structure
US7817424B2 (en) Heat sink assembly including a heat pipe and a duct
US9905495B2 (en) Thermal module
US8558373B2 (en) Heatsink, heatsink assembly, semiconductor module, and semiconductor device with cooling device
JP5920356B2 (ja) 水冷装置、水冷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水冷方法
KR200319226Y1 (ko) 방사형 방열핀을 갖는 히트파이프용 방열판
CN211822831U (zh) 一种散热构件及空调室外机
US20110240256A1 (en) Heat dissipater mounting structure
CN212628961U (zh) 散热组件以及水冷散热器
CN211509704U (zh) 一种新型的散热模块
CN212344334U (zh) 用于功率器件的散热装置
CN209914352U (zh) 一种散热片及使用该散热片的散热装置
CN211702853U (zh) 散热装置及电子设备
CN220653862U (zh) 一种电路板快速散热的拖车
TWI576559B (zh) 扁平散熱裝置
CN218336900U (zh) 散热装置和电子设备
CN217135945U (zh) 电子设备
CN220454357U (zh) 一种集成热管散热器
CN213338634U (zh) 一种笔记本电脑外置散热器
CN214070499U (zh) 电子负载柜散热结构和电子负载柜
CN216291979U (zh) 一种散热器及设置该散热器的服务器板卡
CN219476068U (zh) 一种具有导流罩的散热器
CN103874398A (zh) 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23

Effective date: 2010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