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117A -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117A
KR20100091117A KR1020100011327A KR20100011327A KR20100091117A KR 20100091117 A KR20100091117 A KR 20100091117A KR 1020100011327 A KR1020100011327 A KR 1020100011327A KR 20100011327 A KR20100011327 A KR 20100011327A KR 20100091117 A KR20100091117 A KR 2010009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rimary
resonant
voltage
resonan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326B1 (ko
Inventor
심페이 사코다
카즈요시 타카다
사다노리 스즈키
켄이치 나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0009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 E06B1/6053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the frame being moved perpendicularly towards the opening and held by means of snap action behind a protrusion on the border of the op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가 개시된다.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AC 전력원, 1차 코일, 1차측 공진 코일, 2차측 공진 코일, 2차 코일, 전압 측정부, 및 거리 계산부를 포함한다. AC 전력원의 AC 전압은 1차 코일에 인가된다. 부하는 2차 코일에 연결된다. 전압 측정부는 1차 코일의 전압을 측정한다. 거리 계산부는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에 기초하여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Description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진형(resonance type)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전자기장의 공진에 의해 제1 구리선 코일(51)로부터, 제1 구리선 코일(51)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제2 구리선 코일(52)로 전력을 전송하는 공진형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2007년 12월 3일에 발행된 NIKKEI ELECTRONICS 117~128페이지 및 국제특허공개공보 No. WO/2007/008646에 개시되어 있다. 도 9에서, AC 전력원(53)에 연결된 1차 코일(54)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제1 및 제2 구리선 코일(51, 52)에 의한 자기장 공진에 의해 강화되어, 제2 구리선 코일(52)의 강화된 자기장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2차 코일(55)에서 전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전력은 부하(56)로 공급된다. 지름이 30cm인 제1 및 제2 구리선 코일(51, 52)이 2m 떨어져 있을 때, 부하(56)로서의 60 와트의 전등이 켜질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공진형 전력 전송 장치에서 AC 전력원(53)의 출력 전력을 부하(56)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송측의 제1 구리선 코일(51) 및 수신측의 제2 구리선 코일(52)의 공진 주파수에서, 전송측의 1차 코일(54)로부터 제1 구리선 코일(51)로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 문헌은 단지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개요만을 개시할 뿐, 요건들을 충족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얻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공진형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사용하여 AC 전력원(53)의 출력을 부하(56)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AC 전력원(53)의 출력을 공진 시스템(제1 및 제2 구리선 코일(51, 52)과 1차 및 2차 코일(54, 55))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특정 주파수를 갖는 AC 전압이 AC 전력원(53)으로부터 출력되어 부하(56)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및 제2 구리선 코일(51, 52)간의 거리인 공진 코일간의 거리가 변화하면, 전력 전송 효율은 달라진다. 따라서, 송신측의 제1 구리선 코일(51)과 수신측의 제2 구리선 코일(52)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조건에서 사용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예를 들어, 수신측의 제2 구리선 코일(52)이 차량이나 로봇과 같은 이동체에 장착되는 경우, 공진 코일간의 거리가 전력 전송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위치에 이동체가 멈추어진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진 코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전용 센서를 설치한다면, 제조가 곤란해지고 장치의 크기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 코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전용 센서 없이, 공진 코일간의 거리가 전력 전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적합한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AC 전력원, AC 전력원의 AC 전압이 가해지는 1차 코일, 1차측 공진 코일, 2차측 공진 코일, 부하가 연결되는 2차 코일, 1차 코일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거리 계산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전압 측정부가 측정한 전압에 기초하여 거리 계산부는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AC 전력원, AC 전력원의 AC전압이 가해지는 1차 코일, 1차측 공진 코일, 2차측 공진 코일, 부하가 연결되는 1차 코일의 전압을 측정하는 2차 코일, 전압 측정부 및, 결정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결정부는 전압 측정부가 측정한 전압에 기초하여 부하의 상태를 결정한다.
본 발명자들은 1차 코일의 전압과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거리, 즉 공진 코일간의 거리 사이에 특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AC 전력원”은 AC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원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이점은, 발명의 사상을 일예로서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과 함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하기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 등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이 충전 위치에 정지했을 때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공진 코일의 축선 오프셋량과 1차 코일의 전압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공진 코일간의 거리가 일정할 때 부하의 임피던스와 1차 코일의 전압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공진 코일간의 거리와 1차 코일의 전압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변형된 실시형태에 따른 1차측 공진 코일과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이동체에 장착된 2차 전지(24)를 비접촉적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공급측 장비(10; 전송측 장비)와 수신측 장비(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측 장비(10)는 충전소에 설치되며, 상기 수신측 장비(20)는 차량(30)인 이동체에 장착된다.
상기 공급측 장비(10)는 AC 전력원(11), 상기 AC 전력원(11)에 의해 출력된 AC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및, 공급측 제어기(14)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코일(12)과 1차측 공진 코일(13)은 공통 축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1차 코일(12)에는 전압 센서(15)가 연결된다. 상기 전압 센서(15)는 상기 1차 코일(12)의 끝(ends)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전압 센서(15)에 의해 출력된 검출 신호는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로 보내어진다.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에는 커패시터(C1)가 연결된다. 상기 AC 전력원(11)은 AC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원이다. 상기 AC 전력원(11)은 상기 공급측 제어기(14)에 의해 제어되어 특정 주파수(공진 주파수)의 AC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수신측 장비(20)는 2차측 공진 코일(21), 2차 코일(22), 상기 2차 코일(22)에 연결된 충전 장치(23), 상기 충전 장치(23)에 연결되는 2차 전지(24) 및, 충전 제어기(25)를 포함한다.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에는 커패시터(C2)가 연결된다.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2차 코일(22)은 공통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에 의한 자기장 공진에 의해 강화된 자기장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2차 코일(22)은 그에서 발생된 전력을 상기 충전 장치(23)로 공급한다. 상기 충전 장치(23)는 상기 2차 코일(22)에 의해 출력된 AC 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을 얻는 정류 회로(도시되지 않음) 및, 얻어진 DC 전압을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2차 전지(24)가 충전될 때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상기 충전 장치(23)의 승압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상기 충전 장치(23) 및 2차 전지(24)는 부하를 형성한다.
차량(30)은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센서(26)를 갖는다.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상기 배터리 레벨 센서(26)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전지(24)의 충전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와 충전 제어기(25)는 무선 통신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레벨 센서(26)에 의해 검출된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에 대한 데이터는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로 보내어진다. 상기 차량(30)은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27)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을 때 발광하는 LED(예를 들어, 청색 발광 LED) 및,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지 않을 때 발광하는 LED(예를 들어, 적색 발광 LED)가 알림부(27)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LED의 조명은 상기 충전 제어기(25)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2차 코일(22), 충전 장치(23) 및, 2차 전지(24)는 공진 시스템(28)을 형성한다. 상기 공진 시스템(28)은 전력을 상기 AC 전력원(11)으로부터 상기 2차 전지(24)로 비접촉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은 전선(electric wires)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12, 13, 21, 22)을 형성하는 전선은, 예를 들면, 절연 비닐로 피복된 선(wire)이다. 각 코일(12, 13, 21, 22)의 지름과 감는 수는, 예를 들면, 전송될 전력의 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사양은 동일하다. 상기 커패시터(C1)의 사양과 커패시터(C2)의 사양은 동일하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CPU(14a) 및 메모리(14b)를 갖는다. 상기 메모리(14b)에는 상기 1차 코일(12)의 전압 즉, 상기 전압 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거리(이하 공진 코일간 거리라 함)를 계산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전압 센서(15)에 의해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공진 코일간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간 거리로서, 1차측 공진 코일(13)의 축선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축선 간의 오프셋량, 즉 축선 오프셋량을 계산한다. 축선 오프셋량은 상기 공진 코일(13, 21)의 축선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중심축선 간의 오프셋량을 말한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축선 오프셋량에 기초하여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 결과를 상기 충전 제어기(25)로 보낸다.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로부터 수신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27)를 제어한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의 상기 메모리(14b)에는, 상기 2차 전지(24)의 복수의 기설정된 잔류 배터리 레벨값에서, 상기 1차 코일(12)의 전압과 축선 오프셋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맵(map)으로서 저장되어 있다. “복수의 기설정된 잔류 배터리 레벨값”이란 충전 시작시에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설정된 값은 2차 전지(24)가 충전을 요하는 상태에서의 잔류 배터리 레벨 및, 충전을 요하는 잔류 배터리 레벨로부터 차량(30)이 충전소로 이동해 온 상태에서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는 미리 실험을 통해 얻는다.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하는 동안에, 공진 코일간 거리에 따른 적절한 주파수를 갖는 AC 전류가 상기 1차 코일(12)에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측 제어기(24)는 상기 AC 전류원(11)을 제어한다. 적절한 주파수란 공진 코일간 거리에 대한 주파수를 말한다. 상기 공진 시스템(28)의 입력 임피던스와 상기 AC 전력원(11)로부터 출력된 AC 전류의 주파수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때, 적절한 주파수는 입력 임피던스의 국부 최대점(local maximum point)과 국부 최소점(local minimum point) 사이의 범위에 있다. 상기 공진 시스템(28)에서 전력 전송 효율이 최대인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정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은 땅속의 홀(29; hole)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일(12, 13)은, 그 중심축선이 지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그리고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이 상기 1차 코일(12)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홀(29)의 개구는 미도시의 커버로 덮여있어 차량(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2차 코일(22)은, 차량(30)의 저부(bottom)에서 차폭 방향의 거의 중앙이면서, 차량의 후방부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코일(12, 13)은, 상기 코일(21, 22)의 중심축선이 차량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이 2차 코일(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이 소정의 레벨로 떨어지면,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할 필요가 있다.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할 때,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이 위치된 충전 위치에 차량(30)이 주차(정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2차 전지(24)를 효과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오프셋량이 소정의 범위 안에 있도록 차량(30)이 주차될 필요가 있다. 축선 오프셋량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에 수직인 직선(L1)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중심축선에 수직이고 직선(L1)과 평행한 직선(L2) 간의 거리이다.
상기 공진 시스템(28)에서,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 및, 부하의 임피던스가 일정할 때, 상기 공진 시스템(28)의 전압, 즉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과 상기 공진 코일(13, 21)의 축선 오프셋량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이 검출되면, 축선 오프셋량을 얻는다. 이때, 상기 AC 전력원(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즉, 상기 1차 코일(12)이 상기 AC 전력원(1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출력 오픈 상태) 또는 특정의 고정 부하(예를 들어, 50Ω의 임피던스를 갖는 부하)가 상기 AC 전력원(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AC 전력원(11)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예를 들어, 10Vpp)을 갖도록 상기 AC 전력원(11)을 설정한다. 이 설정을 초기 설정이라 한다. 이 초기 설정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AC 전력원(11)을 1차 코일(12)에 연결하고,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상기 공진 시스템(28)의 전압)을 측정한다. 초기 설정을 결정할 때마다 상기 AC 전력원(11)과 1차 코일(12)을 서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을 측정하기 직전에, 상기 AC 전력원(11)을 상기 1차 코일(12)에 연결한 채 상기 AC 전력원(11)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값(예를 들어, 10Vpp)과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진 시스템(28)에서,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가 일정하다면,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과 부하의 임피던스는 도 5에 도시된 관계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가 일정하므로,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의 측정 결과로부터 축선 오프셋량을 얻을 수 있다. 도 4 및 5는 상기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의 지름이 약 300mm인 일예를 도시한다.
차량(30)이 충전소로 이동할 때,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AC 전력원(11)을 활성화하고 차량(30)이 충전 위치로 이동할 것임을 나타내는 상기 차량(30)으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압 센서(15)의 출력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AC 전력원(11)의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 공진 주파수를 갖는 AC 전압이 상기 AC 전력원(11)으로부터 상기 1차 코일(12)로 공급되어, 상기 1차 코일(12)에서 자기장이 발생한다. 상기 1차 코일(12)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자기장 공진에 의해 강화되며,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강화된 자기장의 전자기 유도로 인해 상기 2차 코일(22)에서 전력이 발생한다. 발생한 전력은 충전 장치(23)로 공급된다.
상기 전압 센서(15)에 의해 측정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과 상기 충전 제어기(25)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축선 오프셋량을 계산한다. 또한, 이 축선 오프셋량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축선 오프셋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이 결정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충전 제어기(25)로 보낸다.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부(27)를 제어한다. 즉,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다면, 청색 LED가 점등되어 적절한 위치 관계임을 알린다. 만일 상기 공진 코일(13, 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지 않다면, 적색 LED가 점등되어 부적절한 위치 관계임을 알려준다. 상기 알림부(27)의 상태를 참조하여 차량(30)의 운전자는 적절한 충전 위치에 상기 차량(30)을 정지시킨다.
차량(30)이 적절한 충전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충전 제어기(25)가 상기 충전 장치(23)의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시작하여, 상기 2차 전지(24)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상기 AC 전력원(11)에 의해 상기 1차 코일(12)로 출력된 AC 전압으로 인해 상기 1차 코일(12)에서 자기장이 생성된다. 상기 1차 코일(12)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자기장 공진에 의해 강화되고,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강화된 자기장으로 인해 상기 2차 코일(22)에서 전력이 발생한다. 발생한 전력은 상기 충전 장치(23)로 공급된다. 상기 충전 장치(23)로 공급된 AC 전압은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되고,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 값으로 승압된다. 따라서 2차 전지(24)는 승압된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레벨 센서(26)의 출력 신호와 상기 2차 전지(24)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는 때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충전 완료 신호를 상기 공급측 제어기(24)로 보낸다. 충전 완료 신호를 받으면,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AC 전력원(11)을 제어하여 전력 전송을 종료시킨다.
본 실시형태는 다음의 이점을 제공한다.
(1) 상기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AC 전력원(11), 상기 AC 전력원(11)로부터의 AC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및, 부하(충전 장치(23)와 2차 전지(24))가 연결되는 2차 코일(22)을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15, 전압 센서)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에 기초하여 공진 코일간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14, 공급측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공진 코일간 거리를 측정하는 전용 센서 없이도, 공진 코일간 거리가 전력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2) 상기 거리 계산부(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의 축선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축선 간의 오프셋량을 공진 코일간 거리로서 계산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AC 전력원(11),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이 고정되며,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2차 코일(22) 및, 부하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 및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중심축선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성에 적합하다.
(3)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2차 코일(22) 및, 부하(충전 장치(23)와 2차 전지(24))는 상기 이동체(차량(3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거리 계산부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가 상기 AC 전력원(11)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위치에 정지할 때, 상기 이동체는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정지 위치(충전 위치)에 멈출 수 있다.
(4) 상기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차량(30)에 장착된 상기 2차 전지(24)를 비접촉적으로 충전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2차 코일(22)은 차량(30)에 장착되고, 부하를 형성하는 상기 충전 장치(23)를 통해 상기 2차 코일(22)이 상기 2차 전지(24)에 연결된다. 상기 AC 전력원(11),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은 상기 2차 전지(24)를 비접촉적으로 충전하는 상기 공급측 장비(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충전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5)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은 차량(30)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1차 코일(12)과 1차측 공진 코일(13)은 땅속에 형성된 홀(29)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상기 1차 코일(12)과 1차측 공진 코일(13)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보호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차량(30)은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충전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6) 상기 2차 코일(22)로부터 출력된 AC 전류는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만 된 후에는 2차 전지(24)에 충전되지 않는다. 대신에, 정류 회로에 의해 정류된 후 상기 2차 전지(24)에 충전되기 전에, AC 전류의 전압은 승압 회로에 의해 상기 2차 전지(24)에 충전되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된다. 이로 인해 상기 2차 전지(24)는 더욱 효율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7)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 및 2차측 공진 코일(21)의 끝에는 상기 커패시터(C1, C2)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 공진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만일 공진 주파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 및 2차측 공진 코일(21)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C1, C2)가 있는 구성은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이 상기 커패시터(C1, C2)가 없는 구성에 비해 크기가 작게 된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의 중심축선의 방향은 제1 실시형태에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거리 계산부(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의 축선 간의 오프셋량을 계산하지 않고,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의 거리를 계산한다. 제1 실시형태의 해당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코일(12)과 1차측 공진 코일(13)은 충전소의 지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수납 박스에 설치된다. 상기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은 중심축선이 지표면에 수평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은 차량(30)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은 상기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높이에서 그 중심축선이 차량(30)의 앞뒤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의 상기 메모리(14b)에는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과 공진 코일간 거리(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맵으로서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2차 전지(24)가 충전을 요하는 상태의 잔류 배터리 레벨 및, 충전을 요하는 잔류 배터리 레벨로부터 차량(30)이 충전소로 이동해 온 상태의 잔류 배터리 레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는 상기 1차 코일(12) 의 끝에서의 전압과 공진 코일간 거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는 미리 실험을 통해 얻는다.
충전소에서,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할 때, 상기 공급측 장비(10)를 마주하는 위치로 차량(30)이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이 설치된다. 운전자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차량(30)을 전진시킴으로써 충전 위치로 차량(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차량(30)이 충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AC 전력원(11)을 활성화하고, 차량(30)이 충전 위치로 이동할 것임을 나타내는 상기 차량(30)으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압 센서(15)의 출력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전압 센서(15)에 의해 측정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과 상기 충전 제어기(25)에서 전송된 상기 2차 전지(24)의 잔류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간 거리(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간 거리가 적절한 값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결정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충전 제어기(25)로 전송하고,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제어기(25)는 상기 알림부(27)를 차례로 제어한다. 상기 알림부(27)의 상태를 참조하여 차량(30)의 운전자는 적절한 충전 위치에 차량을 세운다.
제1 실시예의 이점 (1), (3), (6) 및, (7)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는 다음의 이점을 제공한다.
(8) 상기 거리 계산부(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를 계산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AC 전력원(11),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이 고정되고,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 및 2차측 공진 코일(21)이 공통 축선 상에 배치된 채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2차 코일(22) 및, 부하(충전 장치(23)와 2차 전지(24))가 이동가능한 구성에 적합하다.
(9)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이 차량(30)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21, 22)의 중심축선이 차량의 앞뒤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은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수납 박스(31)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1차 코일(12)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을 구비하기 위한 홀(29)이 땅속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이한 차고(車高)를 갖는 차량(30)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차량의 저부까지의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차고를 갖는 차량(30)에 대해,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차체의 저부에 설치되는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거리로 단일의 값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상기 공급측 장비(10)는 상이한 차고를 갖는 차량(30)을 위해 변경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가 상이한 차고를 갖는 차량(30)에 적용된다면,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1차 코일(12)과 1차측 공진 코일(13)의 중심축선의 높이에 따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2차 코일(22)의 중심축선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상이한 차고를 갖는 차량(30)에 대해 동일한 공급측 장비(1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의 위치는 차량(30)의 뒤쪽 부근의 차폭 방향의 거의 중앙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는 차량(30)의 앞쪽 부근의 차폭 방향의 거의 중앙이거나, 차량(30)의 앞뒤 방향의 중앙부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위치는 차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수납 박스(31)가 지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2차 코일(22)은 차량(30)의 뒤쪽 근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30)을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운전자는 이를 후진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처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의 중심축선이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이 차량(30)의 측부에 위치되어 그 중심축선이 차량(30)의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소에 안내선을 형성하여, 상기 2차 전지(24)를 충전할 때 상기 공급측 장비(10)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차량(30)을 안내한다. 운전자는 안내선을 따라 차량(30)을 전진시킴으로써, 차량(30)을 충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전압 센서(15))에 의해 측정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간 거리를 계산하기만 하면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1차측 공진 코일(13)이 공통 축선 상에 배치되지 않았을 때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과 2차측 공진 코일(21)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가 감소하도록 차량(30)이 이동된 경우에도, 상기 전압 측정부(전압 센서(15))에 의해 측정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공진 코일간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 및 1차측 공진 코일(13)이 공통 축선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맵 또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허용가능한 범위를 좁게 설정해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충전 제어기(25)로부터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AC 전력원(11)을 제어하여 전력 전송을 중단한다. 대신에, 충전 동안에 상기 전압 센서(15)에 의해 감지된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측 제어기(14; 결정부)는 부하의 임피던스의 변동을 계산하여 2차 전지(24)의 충전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이 시작된 후에, 상기 1차 코일(12)의 끝에서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에 도달하는 때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을 중단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동체는 운전자에 의해 동작하는 차량(30)에 한정되지 않으며, 2차 전지(24)를 갖는 자동 안내 차량, 자가 추진(self-propelled) 로봇,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동체는 2차 전지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이동 수단에 의해 특정 작업 위치로 이동되고 전기 모터를 갖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모터는 부하로서 기능하며, 이동체는 상기 2차측 공진 코일(21)과 2차 코일(22)을 갖는다. 상기 AC 전력원(11), 1차 코일(12), 1차측 공진 코일(13) 및, 공급측 제어기(14)는 각각의 작업 위치에 설치된다. 이동체가 작업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AC 전력원(11)에 의해 전력이 이동체로 공급된다. 이 경우, 부하(모터)를 충전할 때,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는 상기 전압 센서(15)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의 임피던스의 변동을 계산하고, 상기 AC 전력원(11)의 출력 주파수를 부하에 따른 적절한 주파수로 바꿀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차량(30)에 상기 알림부(27)를 설치하는 것 대신에, 상기 알림부(27)를 상기 공급측 장비(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부(27)를 차량(30)의 운전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알림부(27)의 조명은 상기 공급측 제어기(14)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알림부(27)를 각 차량(3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운전자는 상기 공급측 장비(10)의 상기 알림부(27)의 조명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차량(30)을 적절한 충전 위치에 주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전선을 감아 상기 코일(12, 13, 21, 22)을 형성할 때, 상기 코일(12, 13, 21, 22)이 원통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삼각형관, 직각형관 및, 육각형관과 같은 다각형관 또는 타원형관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12, 13, 21, 22)의 형상은 대칭일 필요는 없어, 비대칭일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 및 2차측 공진 코일(21)은 원통형으로 감긴 전선일 필요는 없으며, 단일면 상에 나선형으로 감은 전선으로 형성하여 원주 길이를 점차적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체 코일(13, 21)이 평평하기 때문에, 상기 코일(13, 21)의 축선 길이가 감소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코일(12, 13, 21, 22)은 전선을 조밀하게 감아 각 감긴선이 인접한 선과 접촉하도록 구성하거나, 각 인접한 감긴선의 쌍 사이에 공간을 두고 전선을 감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2, 13, 21, 22)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1차 코일(12) 및 2차 코일(22)은 상이한 지름을 갖는 반면, 상기 1차측 공진 코일(13) 및 2차측 공진 코일(21)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코일(12) 및 2차 코일(22)은 상기 공진 코일(13, 21)의 지름과 상이한 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10 : 공급측 장비
11 : AC 전력원
12 : 1차 코일
13 : 1차측 공진 코일
14 : 공급측 제어기
15 : 전압 센서
20 : 수신측 장비
21 : 2차측 공진 코일
22 : 2차 코일
23 : 충전 장치
24 : 2차 전지
25 : 충전 제어기
26 : 배터리 레벨 센서
27 : 알림부
28 : 공진 시스템
30 : 차량

Claims (8)

  1. AC 전류원;
    상기 AC 전류원의 AC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
    1차측 공진 코일;
    2차측 공진 코일;
    부하에 연결되는 2차 코일;
    상기 1차 코일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1차측 공진 코일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계산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간의 축선 방향을 따른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계산부는 상기 1차측 공진 코일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과 상기 2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 간의 오프셋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부하는 이동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부하는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부하는 충전 장치 및 2차 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2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과 상기 2차 코일의 중심축선이 각각 상기 차량의 앞-뒤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1차 코일 및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의 중심축선과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이 각각 지표면에 수평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상기 2차 코일 및, 상기 부하는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부하는 충전 장치 및 2차 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2차측 공진 코일 및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2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과 상기 2차 코일의 중심축선이 각각 상기 차량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1차 코일 및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은, 상기 차량이 충전 위치에 주차되었을 때, 상기 1차 코일 및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이 상기 차량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1차 코일의 중심축선과 상기 1차측 공진 코일의 중심축선이 각각 상기 지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계산부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1차측 공진 코일 및 상기 2차측 공진 코일이 적절한 위치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8. AC 전력원;
    상기 AC 전력원의 AC 전압이 인가되는 1차 코일;
    1차측 공진 코일;
    2차측 공진 코일;
    부하가 연결되는 2차 코일;
    상기 1차 코일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의 상태를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KR1020100011327A 2009-02-09 2010-02-08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KR101210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7676 2009-02-09
JP2009027676A JP2010183814A (ja) 2009-02-09 2009-02-09 非接触電力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117A true KR20100091117A (ko) 2010-08-18
KR101210326B1 KR101210326B1 (ko) 2012-12-10

Family

ID=4220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27A KR101210326B1 (ko) 2009-02-09 2010-02-08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48027B2 (ko)
EP (1) EP2216870A2 (ko)
JP (1) JP2010183814A (ko)
KR (1) KR101210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50B1 (ko) * 2011-12-19 2014-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140115482A (ko) * 2013-03-20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CN108928247A (zh) * 2017-05-24 2018-12-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5543B2 (en) 2005-07-12 2010-1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US9421388B2 (en) 2007-06-01 2016-08-23 Witricity Corporation Power generation for implantable devices
US8805530B2 (en) 2007-06-01 2014-08-12 Witricity Corporation Power generation for implantable devices
JP4661900B2 (ja) * 2008-04-17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AU2009246310B9 (en) 2008-05-14 2015-04-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including interference enhancement
US8937408B2 (en) 2008-09-27 2015-01-2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medical applications
US9601266B2 (en) 2008-09-27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Multiple connected resonators with a single electronic circuit
US8487480B1 (en) 2008-09-27 2013-07-1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kit
US8629578B2 (en) 2008-09-27 2014-01-14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8410636B2 (en) 2008-09-27 2013-04-02 Witricity Corporation Low AC resistance conductor designs
US8692410B2 (en) 2008-09-27 2014-04-08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frequency hopping
US8552592B2 (en) 2008-09-27 2013-10-08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feedback control for lighting applications
US8686598B2 (en) 2008-09-27 2014-04-0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supplying power and heat to a device
US8946938B2 (en) 2008-09-27 2015-02-03 Witricity Corporation Safety system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in vehicle applications
US8461721B2 (en) 2008-09-27 2013-06-1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object positioning for low loss
US9105959B2 (en) 2008-09-27 2015-08-11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enclosure
US9544683B2 (en) 2008-09-27 2017-01-1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ly powered audio devices
US9577436B2 (en) 2008-09-27 2017-02-2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implantable devices
US8772973B2 (en) 2008-09-27 2014-07-08 Witricity Corporation Integrated resonator-shield structures
US8569914B2 (en) 2008-09-27 2013-10-2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object positioning for improved k
US9184595B2 (en) 2008-09-27 2015-11-1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in lossy environments
US9601270B2 (en) 2008-09-27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Low AC resistance conductor designs
US9065423B2 (en) 2008-09-27 2015-06-2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distribution system
US8461722B2 (en) 2008-09-27 2013-06-1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conducting surfaces to shape field and improve K
US9601261B2 (en) 2008-09-27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repeater resonators
US8587153B2 (en) 2008-09-27 2013-11-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high Q resonators for lighting applications
US9396867B2 (en) 2008-09-27 2016-07-19 Witricity Corporation Integrated resonator-shield structures
US8497601B2 (en) * 2008-09-27 2013-07-3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converters
US8669676B2 (en) 2008-09-27 2014-03-1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across variable distances using field shaping with magnetic materials to improve the coupling factor
US8482158B2 (en) 2008-09-27 2013-07-0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variable size resonators and system monitoring
US8922066B2 (en) 2008-09-27 2014-12-3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multi resonator arrays for vehicle applications
US8598743B2 (en) 2008-09-27 2013-12-03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array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US9515494B2 (en) 2008-09-27 2016-12-0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system including impedance matching network
US9106203B2 (en) 2008-09-27 2015-08-11 Witricity Corporation Secure wireless energy transfer in medical applications
US8912687B2 (en) 2008-09-27 2014-12-16 Witricity Corporation Secure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vehicle applications
US8461720B2 (en) 2008-09-27 2013-06-1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conducting surfaces to shape fields and reduce loss
US8901778B2 (en) 2008-09-27 2014-12-0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variable size resonators for implanted medical devices
US9246336B2 (en) 2008-09-27 2016-01-26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optimization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US8692412B2 (en) 2008-09-27 2014-04-08 Witricity Corpor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in a wireless transfer system
US8963488B2 (en) 2008-09-27 2015-02-24 Witricity Corporation Position insensitive wireless charging
US8901779B2 (en) 2008-09-27 2014-12-0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resonator arrays for medical applications
US9160203B2 (en) 2008-09-27 2015-10-1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ed television
US8723366B2 (en) 2008-09-27 2014-05-1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enclosures
US8461719B2 (en) 2008-09-27 2013-06-1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8957549B2 (en) 2008-09-27 2015-02-17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in-vehicle applications
US8928276B2 (en) 2008-09-27 2015-01-06 Witricity Corporation Integrated repeaters for cell phone applications
US8400017B2 (en) 2008-09-27 2013-03-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computer peripheral applications
US8466583B2 (en) 2008-09-27 2013-06-18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outdoor lighting applications
US8441154B2 (en) 2008-09-27 2013-05-14 Witricity Corporation Multi-resonator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exterior lighting
US8907531B2 (en) 2008-09-27 2014-12-0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variable size resonators for medical applications
US9744858B2 (en) 2008-09-27 2017-08-29 Witricity Corporation System for wireless energy distribution in a vehicle
US8643326B2 (en) 2008-09-27 2014-02-04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8324759B2 (en) 2008-09-27 2012-12-04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magnetic materials to shape field and reduce loss
US8947186B2 (en) 2008-09-27 2015-02-0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thermal management
US8587155B2 (en) 2008-09-27 2013-11-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repeater resonators
US8476788B2 (en) 2008-09-27 2013-07-0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with high-Q resonators using field shaping to improve K
US9093853B2 (en) 2008-09-27 2015-07-28 Witricity Corporation Flexible resonator attachment
US8471410B2 (en) 2008-09-27 2013-06-25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over distance using field shaping to improve the coupling factor
US9318922B2 (en) 2008-09-27 2016-04-19 Witricity Corporation Mechanically removable wireless power vehicle seat assembly
US9035499B2 (en) 2008-09-27 2015-05-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photovoltaic panels
US8933594B2 (en) 2008-09-27 2015-01-1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vehicles
US8304935B2 (en) 2008-09-27 2012-11-06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field shaping to reduce loss
US8362651B2 (en) 2008-10-01 2013-01-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fficient near-field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adiabatic system variations
JP4478729B1 (ja) * 2008-12-24 2010-06-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共鳴型非接触充電装置
JP5365276B2 (ja) * 2009-03-17 2013-12-11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電力出力装置
KR101706616B1 (ko) * 2009-11-09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드 임피던스 결정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WO2011106506A2 (en) * 2010-02-25 2011-09-01 Evatra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ly transferring ac power between a charging unit and a vehicle
WO2011132272A1 (ja) * 2010-04-21 201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駐車支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動車両
KR101801998B1 (ko) * 2010-04-30 2017-11-27 파워매트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확장된 구역에서 유도전력 전송을 하는 시스템과 방법
US8841881B2 (en) 2010-06-02 2014-09-23 Bryan Marc Failing Energy transfer with vehicles
EP2587629A1 (en) * 2010-06-28 2013-05-01 Showa Aircraft Industry Co., Ltd. Non-contact electric power feeding device
US9602168B2 (en) 2010-08-31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FR2964266B1 (fr) * 2010-09-01 2012-08-31 Renault Sa Vehicule automobile electrique equipe d'un chargeur avec ou sans contact
JP2012070565A (ja) * 2010-09-24 2012-04-05 Fujitsu Ltd 電気自動車、充電ステーション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KR101796788B1 (ko) * 2010-12-20 2017-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에너지 전달 장치 및 방법
US9866065B2 (en) * 2010-09-30 2018-01-09 Lg Innotek Co., Ltd. Energy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CN103249592B (zh) * 2010-10-29 2016-06-15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对电动车辆进行供电或充电的方法和设备
US9634733B2 (en) * 2010-12-24 2017-04-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actless power feeding system, vehicle, power feeding facil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actless power feeding system
RU2547930C2 (ru) * 2010-12-27 2015-04-1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Бесконтакт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2025184B (zh) * 2010-12-28 2013-06-26 电子科技大学 电动汽车复合多功能电源的无线感应充电系统
JP2012143092A (ja) * 2011-01-04 2012-07-26 Kimitake Utsunomiya 充電acアダプタ
WO2012095682A1 (en) * 2011-01-14 2012-07-19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559550B2 (en) * 2011-02-15 2017-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act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contactless power feeding facility, method of controlling contact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actless power feeding facility
JP2012223070A (ja) 2011-04-14 2012-11-12 Sony Corp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57795B2 (ja) * 2011-05-17 2016-02-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充電器の取付構造
KR101586133B1 (ko) * 2011-06-03 2016-01-2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및 전력 송수전 시스템
DE102011107620A1 (de) * 2011-06-30 2013-01-17 Paul Vahle Gmbh & Co. Kg Flachspule für kontaktlose induktive Energieübertragung
US9948145B2 (en) 2011-07-08 2018-04-17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for a seat-vest-helmet system
US9260026B2 (en) 2011-07-21 2016-02-16 Ut-Battelle, Llc Vehicle to wireless power transfer coupling coil alignment sensor
CN108418314A (zh) 2011-08-04 2018-08-17 韦特里西提公司 可调谐无线电源架构
AU2012305688B2 (en) 2011-09-09 2017-06-01 Witricity Corporati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30062966A1 (en) 2011-09-12 2013-03-14 Witricity Corporation Reconfigurable control architectures and algorithms for electric vehicle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JP5842106B2 (ja) * 2011-09-20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241481B1 (ko) * 2011-09-27 2013-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기기 및 그 방법
US8483899B2 (en) 2011-10-06 2013-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guidance system
US8816637B2 (en) * 2011-10-06 2014-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guidance system with interface
US9318257B2 (en) 2011-10-18 2016-04-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packaging
WO2013067484A1 (en) 2011-11-04 2013-05-10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modeling tool
KR101338654B1 (ko) 2011-12-19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JP2015508987A (ja) 2012-01-26 2015-03-23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減少した場を有する無線エネルギー伝送
TWI587597B (zh) 2012-02-17 2017-06-11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無線電力傳輸器,無線電力接收器,以及無線電力傳輸系統的電力傳輸方法
KR101712041B1 (ko) * 2012-02-29 2017-03-03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급전 장치, 수전 장치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4170210B (zh) * 2012-03-28 2016-09-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供电装置
CN104221252B (zh) * 2012-04-13 2017-06-23 株式会社 Ihi 船舶的受电结构、供电装置及供电方法
US9343922B2 (en) 2012-06-27 2016-05-17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9312390B2 (en) * 2012-07-05 2016-04-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US9859755B2 (en) * 2012-07-16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lignment and identification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9287607B2 (en) 2012-07-31 2016-03-15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fine tuning
US9595378B2 (en) 2012-09-19 2017-03-14 Witricity Corporation Resonator enclosure
JP6397417B2 (ja) 2012-10-19 2018-09-26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無線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異物検出
US9842684B2 (en) 2012-11-16 2017-12-12 Witrici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or ease of use
JP6128861B2 (ja) * 2013-01-29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67374B2 (ja) * 2013-01-31 2016-08-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ノイズキャンセル共振器
WO2014147736A1 (ja) * 2013-03-19 2014-09-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力伝送装置
JP6167395B2 (ja) * 2013-03-22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装置
JP2015012748A (ja) * 2013-07-01 2015-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周波数特性取得方法
JP5995001B2 (ja) * 2013-07-24 2016-09-21 株式会社ダイフク 電動フォークリフトの非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5018334A1 (en) 2013-08-06 2015-02-12 Th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s for parameter identification, load monitoring and output power control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JP2016534698A (ja) 2013-08-14 2016-11-04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インピーダンス同調
JP5962687B2 (ja) 2014-01-31 2016-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充電ステーション
JP2015144529A (ja) 2014-01-31 2015-08-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充電ステーション
US9780573B2 (en) 2014-02-03 2017-10-0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ly charged battery system
US9952266B2 (en) 2014-02-14 2018-04-24 Witricity Corporation Object detection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JP6365657B2 (ja) * 2014-02-21 2018-08-01 富士通株式会社 送電装置
DE102014003028B3 (de) * 2014-03-07 2015-05-07 Sew-Eurodrive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zur Durchführung eines Verfahrens zur Bestimmung eines Wertes für den Versatz der senkrechten Projektionen zweier Wicklungen
US9842687B2 (en) 2014-04-17 2017-12-1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with shaped magnetic components
US9892849B2 (en) 2014-04-17 2018-02-1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with shield openings
US9837860B2 (en) 2014-05-05 2017-12-05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for elevators
JP2017518018A (ja) 2014-05-07 2017-06-29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無線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異物検出
KR20150139368A (ko) * 2014-06-03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충전 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5196123A2 (en) 2014-06-20 2015-12-23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for surfaces
US10312746B2 (en) * 2014-06-23 2019-06-04 Htc Corporation Power providing equipment, mobi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mobile device
US10574091B2 (en) 2014-07-08 2020-02-25 Witricity Corporation Enclosures for high powe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CN107258046B (zh) 2014-07-08 2020-07-17 无线电力公司 无线电力传送系统中的谐振器均衡
US9843217B2 (en) 2015-01-05 2017-12-12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wearables
DE112015006580T5 (de) * 2015-06-04 2018-05-24 Intel Corporation Spulenkonfiguration in einem Drahtlosleistungssender
US10248899B2 (en) 2015-10-06 2019-04-02 Witricity Corporation RFID tag and transponder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EP3362804B1 (en) 2015-10-14 2024-01-17 WiTricity Corporation Phase and amplitude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WO2017070227A1 (en) 2015-10-19 2017-04-27 Witricity Corporati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WO2017070009A1 (en) 2015-10-22 2017-04-27 Witricity Corporation Dynamic tuning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10923957B2 (en) 2015-11-18 2021-02-16 The University Of Hong Kong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EP3378076B1 (en) * 2015-11-18 2020-12-23 The University of Hong Kong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075019B2 (en) 2015-11-20 2018-09-11 Witricity Corporation Voltage source iso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JP6956728B2 (ja) 2016-02-02 2021-11-02 ワイトリシ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Witricity Corporation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の制御
CN109075614B (zh) 2016-02-08 2021-11-02 韦特里西提公司 可变电容装置、阻抗匹配系统、传输系统、阻抗匹配网络
JP6672547B2 (ja) * 2016-04-19 2020-03-25 株式会社ダイヘン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受電装置
JP6657533B2 (ja) * 2016-05-12 2020-03-04 株式会社ダイヘン 無人搬送車システム
KR102554457B1 (ko) 2016-09-20 2023-07-11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575135B1 (en) * 2017-01-30 2022-06-15 Nissan Motor Co., Ltd.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KR102605850B1 (ko) * 2017-02-06 2023-11-24 주식회사 위츠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송신장치 제어 방법
JP6503398B2 (ja) * 2017-03-31 2019-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11043848B2 (en) 2017-06-29 2021-06-22 Witricity Corporation Protection and control of wireless power systems
CN107272712A (zh) * 2017-08-18 2017-10-20 广东工业大学 一种移动机器人及面向移动机器人的线圈对位方法、装置
KR101897021B1 (ko) * 2017-11-02 2018-10-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 방법
CN108448693B (zh) * 2018-03-13 2022-03-18 武汉理工大学 用于agv的无线电能传输系统及其控制方法
NL2022589B1 (en) * 2019-02-15 2020-08-28 Prodrive Tech Bv Continuous control of a contactless electrical energy transfer system
DE102019207587A1 (de) * 2019-05-23 2020-11-26 Optima consumer GmbH Energieversorgungsmodul für ein Transportsystem, Funktionseinheit, System, Verwendung und Anordnung
JP2023043506A (ja) * 2021-09-16 2023-03-29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アダプタ、ワイヤレス電力システム、及び駐車場、並びにワイヤレス電力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318B2 (ja) * 1997-11-14 2006-03-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ジュール充放電器
JP2003143780A (ja) * 2001-10-30 2003-05-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非接触電力供給装置
US6972543B1 (en) * 2003-08-21 2005-12-06 Stryker Corporation Series resonant inductive charging circuit
GB2414120B (en) * 2004-05-11 2008-04-02 Splashpower Ltd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7211986B1 (en) * 2004-07-01 2007-05-01 Plantronics, Inc. Inductive charging system
JP2006060909A (ja) 2004-08-19 2006-03-02 Seiko Epson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4561350B2 (ja) * 2004-12-20 2010-10-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並びに照明システム
WO2007008646A2 (en) 2005-07-12 2007-0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non-radiative energy transfer
US7825543B2 (en) 2005-07-12 2010-11-0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energy transfer
JP2007336788A (ja) * 2006-06-19 2007-12-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及び受電装置
KR100999770B1 (ko) 2007-02-20 2010-12-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전자 기기 및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JP4885004B2 (ja) * 2007-02-20 2012-02-2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送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CN101682216B (zh) * 2007-03-27 2013-06-26 麻省理工学院 无线能量传输
JP4453741B2 (ja) 2007-10-25 2010-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US20110049978A1 (en) * 2008-10-02 2011-03-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lf-resonant coil, non-contact electric power transfer device and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550B1 (ko) * 2011-12-19 2014-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140115482A (ko) * 2013-03-20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CN108928247A (zh) * 2017-05-24 2018-12-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CN108928247B (zh) * 2017-05-24 2021-08-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8027B2 (en) 2012-08-21
KR101210326B1 (ko) 2012-12-10
EP2216870A2 (en) 2010-08-11
US20100201204A1 (en) 2010-08-12
JP2010183814A (ja)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326B1 (ko)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KR101108925B1 (ko) 비접촉 전력 전송 장치
JP5458187B2 (ja)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0090323A1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282068B2 (ja)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受電側設備
JP5459058B2 (ja) 共鳴型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499186B2 (ja)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3131175B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US20130127409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vehicle and power supply facility
JP2010183813A (ja) 共鳴型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0183812A (ja) 共鳴型非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3011905A1 (ja) 充電台、パック電池と充電台、及び、パック電池
JP5488724B2 (ja)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5075858A1 (en)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WO2013047260A1 (ja)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及び電池内蔵機器
JP6405885B2 (ja)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JP2014121142A (ja) 送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488723B2 (ja)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