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366A - 알코올 증류장치 - Google Patents

알코올 증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366A
KR20100089366A KR1020090008577A KR20090008577A KR20100089366A KR 20100089366 A KR20100089366 A KR 20100089366A KR 1020090008577 A KR1020090008577 A KR 1020090008577A KR 20090008577 A KR20090008577 A KR 20090008577A KR 20100089366 A KR20100089366 A KR 2010008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ube
liquor
distillation apparatus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09000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9366A/ko
Publication of KR2010008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1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distillation or rectification of fermented solutions

Landscapes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 증류장치에 있어서, 알코올이 혼합된 일반 주류가 담기게 일정 용적을 가진 통 형상으로 그 상부 상에는 가열에 의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주류가열용기; 주류가열용기를 가열하여 그 내부에 저수된 주류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포집하여 증기의 응결이 이루어지게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응결된 증류주가 배출되는 증류주 배출관이 형성된 증기 응결관; 증기 응결관의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증기 응결관의 상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증기 응결관의 상측 내부에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유도하는 증기 유도관; 증기 응결관의 내부와 증기 유도관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 코일 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면서 증기 응결관을 냉각시켜 증기가 응결되게 형성된 냉각수 순환관; 증기 응결관의 상측에 얼음이 채워질 수 있게 통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하부 둘레에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한 빙수가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향해 흐르게 유도하는 빙수 토출공이 형성된 얼음 용기; 증기 응결관의 하부에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빙수가 모일 수 있도록 접시 형태로 형성된 빙수 트레이; 주류가열용기의 증기 배출구와 증기 유도관을 연결하여 증기의 유도가 이루어지게 설치된 증기 공급관; 및 증기의 응결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냉각수 순환관으로 순환되게 설치된 열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알코올, 증류장치, 얼음 용기, 빙수 트레이, 증기 응결관

Description

알코올 증류장치{The alcohol distillation device}
본 발명은 알코올 증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걸리 등 일반 주류를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응결시키는 방식으로 증류주를 만드는 과정에서 얼음을 이용하여 마시기 좋은 온도로 바로 증류주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온 상태의 증기의 응결효율이 더욱 향상되게 한 알코올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 증류장치는 시중에서 흔히 구입가능한 막걸리 등 일반 주류를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응결시키는 방식을 통해 증류주가 제작되는 일련의 과정을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음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치이다. 종래 알코올 증류장치의 한 예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8478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알코올 증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알코올 증류장치(10)는 크게 가열기 본체(20), 증류기 본체(30) 및 열교환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기 본체(20)는 일반 주류가 저장되는 주류가열용기(22)와 주류가열용기(22)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히터(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류기 본체(30)는 주류가열용기(22)로부터 유입된 증기의 응결이 이루어지는 증기 응결관(32), 주류가열용기(22)에서 생성된 증기가 증기 응결관(32)의 상측 내부로 유도되게 하기 위한 증기 유도관(34) 및 냉각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는 냉각수 순환관(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열교환수단(40)은 열교환기(42), 냉각수 탱크(44) 및 냉각수 펌프(46)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알코올 증류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가열기 본체(20)의 주류저장용기(22) 내에 저수된 막걸리 등의 일반 주류는 가열 히터(24)의 가열에 의해서 끓게 되면서 알코올 및 수증기는 기체 상태의 증기로 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증기는 가열기 본체(20)와 증류기 본체(30)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 공급관(26)을 따라서 증기 유도관(34)의 하부로 유도된다. 그 후, 증기 유도관(34)을 따라서 상승 이동된 증기는 증기 응결관(32)의 상측 내부로 유입된 후, 냉각수 순환관(36)을 따라 흐르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응결되고, 그 결과 액체 상태의 증류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알코올 증류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 등은 일반 주류로부터 알코올이 증류되는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는 가운데 기존의 음주문화와는 색다른 형태의 음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알코올 증류장치의 경우에는 증기의 온도를 낮춰 빠른 응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뿐 증류주를 음용을 하기에 좋은 차가운 온도로 냉각시켜주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는 구비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종래의 알코올 증류장치를 통해서 제조된 증류주를 음용 을 하기에 좋은 온도로 차갑게 하기 위해서는 증류주에 얼음을 섞거나 별도의 얼음용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막걸리 등 일반 주류를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응결시키는 방식을 통해 증류주를 만드는 과정에서 응결된 증류주가 바로 마시기 좋은 차가운 온도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한 알코올 증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의 증기가 액체상태로 응결되는 과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냉각수의 순환방식이 개선된 알코올 증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일반 주류로부터 알코올을 증류하기 위한 알코올 증류장치에 있어서, 알코올이 혼합된 일반 주류가 담기게 일정 용적을 가진 통 형상으로 그 상부 상에는 가열에 의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주류가열용기; 주류가열용기를 가열하여 그 내부에 저수된 주류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포집하여 증기의 응결이 이루어지게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응결된 증류주가 배출되는 증류주 배출관이 형성된 증기 응결관; 증기 응결관의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증기 응결관의 상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증기 응결관의 상측 내부에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유도하는 증기 유도관; 증기 응결관의 내부와 증기 유도관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 코일 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면서 증기 응결관을 냉각시켜 증기가 응결되게 형성된 냉각수 순환관; 증기 응결관의 상측에 얼음이 채워질 수 있게 통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하부 둘레에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한 빙수가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향해 흐르게 유도하는 빙수 토출공이 형성된 얼음 용기; 증기 응결관의 하부에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빙수가 모일 수 있도록 접시 형태로 형성된 빙수 트레이; 주류가열용기의 증기 배출구와 증기 유도관을 연결하여 증기의 유도가 이루어지게 설치된 증기 공급관; 및 증기의 응결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냉각수 순환관으로 순환되게 설치된 열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에서 빙수 트레이의 일측에는 모인 빙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빙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에서 증기 응결관, 증기 유도관 및 빙수 트레이는 일체의 구조로 증류기 본체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에서 증류기 본체는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주류저장용기는 테이블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에서 증기 응결관 및 증기 유도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에는 그 상측에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용기가 설치됨에 따라서 일반 주류를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다시 응결시키는 과정에서 얻어진 증류주가 마시기 좋게 차가운 온도로 바로 냉각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는 증기의 온도를 낮춰 응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의 순환이 코일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증기의 응결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의 구성 및 사용상태 등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류기 본체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류기 본체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걸리 등 일반 주류에서 수증기와 알코올이 포함된 증기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한 가열기 본체(200), 가열기 본체(200)의 작동에 의해서 생성된 증기를 응결시켜 액체 상태의 증류주가 배출되게 하는 증류기 본체(300) 및 증류기 본체(300)를 통과하는 기체상태의 증기가 응결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열교환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의 가열기 본체(200)는 증류기 본체(300)의 하부 일측 또는 증류기 본체(3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기 본체(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걸리 등 일반 주류가 일정량 저수될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솥 형태의 주류가열용기(210) 및 주류가열용기(2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히터(2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주류가열용기(210)의 상부 상에는 일반 주류의 주입을 위한 주류 주입구(212)가 형성되는 한편 그 하부 일측에는 가열되어 증류가 이루어진 후의 잔류물의 배출이 용이한 형태의 잔류물 배출구(214)가 형성된다. 이때, 주류가열용기(210)의 상부는 그 내부의 세척 등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뚜껑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류가열용기(210)의 상부 일측에는 가열 히터(220)의 가열에 의해서 내부의 일반 주류가 끓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증기가 증류기 본체(300) 측을 향하여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216)가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 증기 배출구(216)는 증류기 본체(300)의 증기 유도관(320) 하측과 연결되는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증기 공급관(230)으로써 연결되는 것이 주류가열용기(210)와 증류기 본체(300)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물론, 증기 공급관(230)의 길이를 짧게 하는 방식으로 주류가열용기(210)의 상측에 증류기 본체(300)가 놓일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고, 주류가열용기(210)와 증류기 본체(300)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공급관(230)을 길게 하여 증류기 본체(300)와 가열기 본체(200)를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증류기 본체(300) 또는 가열기 본체(20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증기 공급관(230)의 경우에도 생성된 증기가 이동되는 과정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의 파이프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열 히터(220)는 주류가열용기(210)를 가열하여 그 내부에 저수된 막걸리 등 일반 주류가 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주류가열용기(210)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열 히터(220)는 조작이 간편하고 온도의 조절이 용이한 전열식 히터가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적인 순수 알코올의 끓는점이 78.4℃인 점과 주류가열용기(210) 내부에 채워지는 술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끓는 온도가 쉽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열식 히터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열식 히터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주류가열용기(210)의 하부 측에만 가열 히터(220)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주류가열용기(210)의 측면 둘레에도 측면 가열 히터(222)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히터(220)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열 히 터(220)의 일측 또는 주류가열용기(210)의 일측면에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한편 그 온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가열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의 증류기 본체(30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가열용기(210)에서 생성된 증기를 포집하여 증기의 응결이 이루어지게 통 형상으로 형성된 증기 응결관(310), 주류가열용기(210)로부터 유도된 증기가 증기 응결관(310)의 내부 상측으로 유도되게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된 증기 유도관(320), 증기 응결관(310)의 상측에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얼음이 보관되는 한편 얼음이 녹아 생성된 빙수가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하부에 빙수 토출공(332)이 형성된 얼음 용기(330) 및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에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린 빙수가 모이도록 접시 형태로 형성된 빙수 트레이(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증류기 본체(300)가 가정이나 업소 등의 테이블 상에 수직 상으로 안정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증기 유도관(320)의 하부 측에는 받침대(350)가 부설될 수 있다.
증류기 본체(300)를 구성하는 증기 응결관(310) 및 증기 유도관(320) 등의 일부 구성요소는 유리 등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가 설치된 주변의 사람들로 하여금 육안으로 알코올의 증류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목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응결관(310)의 상부에는 증기 유도관(320)의 상단을 통해 상승 배출된 증기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고르게 퍼진 후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증기 유도관(3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한편 증기 유도관(32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의 확산부(312)가 형성된다. 증기 응결관(310)의 중간 부분은 증기 유도관(3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하측 부분은 증기 유도관(320)의 하측 도중의 외주면에 대하여 폐관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 일측에는 증류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증류주 배출구(316)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 증류주 배출구(316)의 내부 상에는 더 맑고 순수한 증류주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은 필터(3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은 필터(318)가 장착되는 부분은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 빈도 등에 따라서 새로운 은 필터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유도관(320)의 상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관(310)의 내부 깊숙한 위치에 위치되는 한편 그 하단은 증기 응결관(310)의 하측보다 소정의 길이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증기 유도관(320)의 하부 측에는 증기 공급관(230)의 일단이 접속되게 하기 위한 증기 유입구(322)가 형성된다.
증기 응결관(310)의 상측에 마련된 얼음 용기(330)는 일정량의 얼음이 채워질 수 있게 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부 주연에는 얼음이 녹아 생성된 빙수가 증 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빙수 토출공(332)이 다수 형성된다. 즉, 얼음 용기(330)에 담긴 얼음이 녹아 생성된 빙수가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연을 따라 흐르면서 증기 응결관(310)의 내주에 응결된 증류주를 온도를 음주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낮출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얼음 용기(330)는 증기 응결관(310)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조립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린 빙수가 바닥으로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 측에는 흘러내리는 빙수를 받기 위한 빙수 트레이(340)가 설치된다. 빙수 트레이(340)는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 또는 증기 유도관(320)과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시일 링 등을 이용하여 방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경우라면 증기 응결관(310) 또는 증기 유도관(320)에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빙수 트레이(340)의 일측에는 모인 빙수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빙수 배출구(342)가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기 본체(3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증기 응결관(310), 증기 유도관(320) 또는 빙수 트레이(340) 등은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증기 응결관(310)의 내부와 증기 유도관(320)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는 열교환수단(400)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각수 순환관(410)이 코일의 형태로 설치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상으로 설치된 유로를 따라 냉각수가 흐 르면서 증기 응결관(310)으로 유입된 증기의 온도를 낮춰 증기의 응결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냉각수 순환관(41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를 일정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켜 다시 냉각수 순환관(410)으로 유도시키기 위하여 증류기 본체(3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열교환수단(400)의 일부인 열교환기(42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420)에서 열교환 된 후 일정 수준으로 냉각된 냉각수를 다시 냉각수 순환관(410)으로 유입시키고, 증기의 응결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가 다시 열교환기(420)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열교환기(420)와 냉각수 순환관(410) 사이에는 냉각수 유입관(430) 및 냉각수 유출관(132)이 배관이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420)와 이어진 냉각수 유입관(430) 및 냉각수 유출관(432)의 접속을 위해서 냉각수 순환관(41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증기 응결관(310)의 외부로 일정 부분 노출된다. 이와 같이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로 노출된 구조로 형성된 냉각수 유입구(412) 및 냉각수 유출구(414)에는 각각 냉각수 유입관(430) 및 냉각수 유출관(432)의 끝이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기(420)는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각수가 냉각수 순환관(410)을 향해 강제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각수 펌프(422)와, 냉각수 펌프(422)의 작동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냉각수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정량 이상의 냉각수가 저수되는 냉각수 탱크(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수의 냉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라디에이터 등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수단(400)의 냉각수 순환관(410)과 열교환기(420) 사이를 잇는 냉각수 유입관(430) 및 냉각수 유출관(432)은 유연한 재질의 호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알코올 증류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를 이용하여 증류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막걸리 등 일반 주류가 일정량 준비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준비된 막걸리 등 일반 주류를 주류가열용기(210)에 채운 상태에서 가열 히터(220)의 전원을 온(ON) 동작시키게 된다. 가열 히터(220)의 작동이 시작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게 되면, 가열 히터(220)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서 주류가열용기(210) 내부의 일반 주류는 끓기 시작하게 된다.
주류저장용기(210) 내부의 일반 주류가 끓게 되면서 액체 상태의 혼합물인 일반 주류로부터 알코올 및 수증기는 증기의 상태로 기화되고, 이렇게 기화된 증기는 증기 공급관(230)을 통해서 증류기 본체(300)의 증기 유도관(320)을 향하게 된다.
증기 유도관(320)으로 유입된 증기는 도 4 에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상승하게 되면서 증기 유도관(320)의 상부 끝단을 통해서 증기 응결관(310)의 상측 내부로 유입된다. 증기 응결관(310)의 상측 내부로 유도된 증기는 확산부(312)에 부딪쳐 방사상의 방향으로 고르게 퍼지게 되면서 상 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로 향하게 된다.
이때, 증기 유도관(320)의 외부와 증기 응결관(310)의 내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냉각수 순환관(410)을 통해서는 증기의 온도보다 저온 상태인 냉각수가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는 자연스럽게 액체 상태로 상 변화하게 된다. 응결이 시작된 증기는 증기 응결관(310)의 상부 측에서 하부 측을 향해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액상의 방울은 더욱 커지게 되면서 결국은 증기 응결관(310)의 하부 측에 형성된 합류부(314)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 후, 증류주 배출구(316)를 통해 증류기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에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순환관(410) 내부에서는 냉각수가 순환하게 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열교환수단(400)의 열교환기(420) 측에서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관(430)을 통해 냉각수 순환관(410)으로 공급되고, 코일 형태의 냉각수 순환관(41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되어 가온이 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관(432)을 따라서 다시 열교환기(420) 측으로 흐르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에서 가장 특징적인 작동으로 얼음 용기(330)에 채워진 얼음이 녹아 생성된 빙수가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빙수가 흘러내림에 따라서 증기 응결관(310)에서 응결된 증류주는 음용을 하기에 적당한 수준의 온도로 냉각이 된다. 한편, 증기 응결관(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흘러내린 빙수는 빙수 트레이(340)에서 집수가 된 후 빙수 배출구(342)를 통해서 배출이 이 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용을 하기에 적당하게 차갑게 냉각이 된 증류주는 증류주 배출구(316)를 따라 증기 응결관(310)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흘러내리는 증류주가 받아질 수 있도록 사용자는 적당한 크기의 컵 등을 증류주 배출구(316)의 하측에 준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를 통해서 얻어진 증류주는 그 상태 그대로 음용을 하여도 되고 적당한 수준의 농도로 희석하여 음용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의 증류기 본체(300)를 구성하는 증기 응결관(310) 및 증기 유도관(320) 등의 구성요소들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알코올 증류장치(100)가 설치된 주변의 사람들은 막걸리 등 일반 주류로부터 증류주가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음주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가 테이블(T)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100)의 증류기 본체(300)는 요식업소의 테이블(T) 한쪽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주류저장용기(210)는 테이블(T) 하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물론, 요식업소의 테이블 중앙 부분에는 고기류를 구워먹기 위한 로스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류기 본체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류기 본체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코올 증류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알코올 증류장치 200. 가열기 본체
210. 주류가열용기 212. 주류 주입구
214. 잔류물 배출구 216. 증기 배출구
220. 가열 히터 222. 측면 가열 히터
230. 증기 공급관 300. 증류기 본체
310. 증기 응결관 312. 확산부
314. 합류부 316. 증류주 배출구
318. 은 필터 320. 증기 유도관
322. 증기 유입구 330. 얼음 용기
332. 빙수 토출공 340. 빙수 트레이
342. 빙수 배출구 350. 받침대
400. 열교환수단 410. 냉각수 순환관
420. 열교환기 422. 냉각수 펌프
424. 냉각수 탱크 430. 냉각수 유입관
T. 테이블

Claims (5)

  1. 일반 주류로부터 알코올을 증류하기 위한 알코올 증류장치에 있어서,
    알코올이 혼합된 일반 주류가 담기게 일정 용적을 가진 통 형상으로 그 상부 상에는 가열에 의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된 주류가열용기;
    상기 주류가열용기를 가열하여 그 내부에 저수된 주류를 가열하는 가열 히터;
    상기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포집하여 증기의 응결이 이루어지게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 일측에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응결된 증류주가 배출되는 증류주 배출관이 형성된 증기 응결관;
    상기 증기 응결관의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상기 증기 응결관의 상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증기 응결관의 상측 내부에 상기 주류가열용기로부터 유입된 증기를 유도하는 증기 유도관;
    상기 증기 응결관의 내부와 상기 증기 유도관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 코일 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면서 상기 증기 응결관을 냉각시켜 증기가 응결되게 형성된 냉각수 순환관;
    상기 증기 응결관의 상측에 얼음이 채워질 수 있게 통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하부 둘레에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한 빙수가 상기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향해 흐르게 유도하는 빙수 토출공이 형성된 얼음 용기;
    상기 증기 응결관의 하부에 상기 증기 응결관의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빙수 가 모일 수 있도록 접시 형태로 형성된 빙수 트레이;
    상기 주류가열용기의 증기 배출구와 상기 증기 유도관을 연결하여 증기의 유도가 이루어지게 설치된 증기 공급관; 및
    상기 증기의 응결과정에서 가온이 된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상기 냉각수 순환관으로 순환되게 설치된 열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증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빙수 트레이의 일측에는 모인 빙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빙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증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응결관, 증기 유도관 및 빙수 트레이는 일체의 구조로 증류기 본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증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기 본체는 테이블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주류저장용기는 테이블 하측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증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응결관 및 증기 유도관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증류장치.
KR1020090008577A 2009-02-03 2009-02-03 알코올 증류장치 KR20100089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77A KR20100089366A (ko) 2009-02-03 2009-02-03 알코올 증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77A KR20100089366A (ko) 2009-02-03 2009-02-03 알코올 증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366A true KR20100089366A (ko) 2010-08-12

Family

ID=4275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577A KR20100089366A (ko) 2009-02-03 2009-02-03 알코올 증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93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1726A2 (en) 2010-09-13 2012-03-21 LG Innotek Co., Ltd. Motor having pully and test jig thereof
CN105861253A (zh) * 2016-06-24 2016-08-17 江苏今世缘酒业股份有限公司 自动化分级接酒工艺及装置
CN115253338A (zh) * 2022-07-15 2022-11-01 四川古蔺仙潭酒厂有限公司 一种自动蒸馏系统及自动蒸馏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1726A2 (en) 2010-09-13 2012-03-21 LG Innotek Co., Ltd. Motor having pully and test jig thereof
CN105861253A (zh) * 2016-06-24 2016-08-17 江苏今世缘酒业股份有限公司 自动化分级接酒工艺及装置
CN105861253B (zh) * 2016-06-24 2019-04-19 江苏今世缘酒业股份有限公司 自动化分级接酒工艺及装置
CN115253338A (zh) * 2022-07-15 2022-11-01 四川古蔺仙潭酒厂有限公司 一种自动蒸馏系统及自动蒸馏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86B1 (ko) 알코올 증류장치
CN104342354B (zh) 全自动智能酿酒机
JP5194283B2 (ja) ビール醸造におけるフレーバー回収方法及び装置
KR20100089366A (ko) 알코올 증류장치
CN1907190A (zh) 饮料制作器
KR20110087883A (ko) 얼음냉각식 알코올 증류장치
KR200384269Y1 (ko) 가정용 증류주 제조기.
KR20100119684A (ko) 알코올 증류장치
KR102317378B1 (ko) 중탕 증류장치
JP3122582U (ja) エキス抽出蒸留装置
KR200360415Y1 (ko) 농축식품 제조장치
KR101812564B1 (ko) 옹기 플레이트와 볼을 이용한 전통주 증류장치
KR20110115877A (ko) 알코올 증류장치
KR100570152B1 (ko) 농축식품 제조장치
CN212246946U (zh) 一种精油蒸馏器
CN212037196U (zh) 壶组件及具有其的液体加热装置
JP2009022326A (ja) 飲料抽出装置
KR101087679B1 (ko) 일반주류를 이용한 증류주 제조장치용 증류주 취합 및 공급 용기
CN205556621U (zh) 一种家用奶酒酿造锅
CN205729109U (zh) 一种多功能蒸馏水机
CN107625437B (zh) 一种电饭煲及其蒸馏方法
JP2017148494A (ja) 抽出機及び飲料を抽出する方法
RU222010U1 (ru) Модуль для перегонного куба
KR100255395B1 (ko) 약탕기
CN203207797U (zh) 多功能蒸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