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415Y1 - 농축식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식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415Y1
KR200360415Y1 KR20-2004-0016075U KR20040016075U KR200360415Y1 KR 200360415 Y1 KR200360415 Y1 KR 200360415Y1 KR 20040016075 U KR20040016075 U KR 20040016075U KR 200360415 Y1 KR200360415 Y1 KR 200360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oling
water
concentration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20-2004-0016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4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거품발생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고 발생된 수증기를 신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제조장치는 일정량의 식품(한약, 건강식품, 육류,생선류,과일등) 전탕액이 수용되는 농축조(100)와, 농축조(100)를 가열시키는 히터(102)와, 농축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화하는 제1냉각수단과,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제1냉각수단의 증류수라인(125)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 잔여 수증기가 유입되는 보조냉각조(130)와, 보조냉각조(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와, 농축조(100)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진공펌프(140)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160)와, 보조냉각조(13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150)를 구비한다. 제1냉각수단은 각각 냉각휀(111)(121)에 의해 공냉되는 적어도 2대의 열교환기(110)(120)가 병렬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조장치는 냉각수를 일정수위 수용하는 보조냉각조를 채용함으로써 냉각되지 아니하고 잔존하는 수증기를 보조냉각조의 냉각수를 경유토록 하여 완전히 냉각시킴으로써 설정된 진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진공펌프에 악영향이 미치지 아니하도록한다. 또한, 공냉식 열교환기를 병렬로 복수 설치함으로써 수증기의 배출량을 향상시켜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단축가능하게 하고, 거품회수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전탕액의 손실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농축조를 투명재질로 형성하고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농축되는 탕액의 양 및 농도를 직접 관측 가능토록 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농축식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농축식품 제조장치{concentration food manufacture apparatus}
본 고안은 진공의 분위기에서 전탕액을 가열시킴으로써 성분의 파괴를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거품발생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고 발생된 수증기를 신속히 냉각시킴으로써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농축 식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한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끓는점(boiling point)을 낮추어서 저온에서도 비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진공방식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진공방식을 채용한 한약제조장치의 일례가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14531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탕기(10)로부터 발생되는 약액 증기를 냉각 결로시켜 환수하는 제1냉각기(20)와, 제1냉각기(20)를 통하여 결로된 약액을 회수하는 증류수실(30)과, 증류수실(30)의 상부를 통하여 탕기(10)에 진공을 형성시키는 진공펌프(40)와, 제1냉각기(2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물탱크(82)와,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제2냉각기(84) 및 순환펌프(86)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한약제조장치는 진공상태에서 약액을 가열시킴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비등이 가능하여 배출증기가 발생되고, 이를 제1냉각기(20)를 경유하여 증류수실(30)을 통하여 환수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한약 전탕액을 농축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한약재와 물을 투입하여 한약을 진공상태에서 달이기 위한 장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한약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간접 공냉방식의 수냉식 열교환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똑같은 능력의 열교환기라 할지라도 직접 공냉방식보다 냉각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1냉각기의 수증기유입 나선관의 길이가 대단히 길어져야 유입된 수증기가 냉각될 수 있는 충분한 정체시간의 조건이 되지만, 그렇게되면 반대로 수증기의 유속에 따른 관 내부의 저항으로 인하여 발생된 수증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는 모순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치는 진공가열 냉각시 냉각되지 아니한 잔여 수증기가 진공펌프(40)로 유입되게 되는 바, 이 경우를 위하여 진공펌프(40)로의 물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44)의 설치가 요구되며, 또한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필터(44)를 교환하여야 하는 구조상 복잡하고 교환의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탕기(10)내의 탕액이 끓는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되게 되는 데, 발생된 거품들로 인하여 증기 배출라인을 통한 수증기의 배출이 원할하지 아니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장치를 농축용도로 사용시에는 배출된 수증기를 냉각하여 재투입시키지 않기 때문에 거품에 의한 내용물의 탕액 손실이 큰 문제점으로 남는다.
셋째, 탕기(10)내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제1냉각기(20)를 통하여서만 냉각시킴으로써 수증기의 배출 및 냉각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첫번째 이유때문에 수증기의 배출속도 및 냉각속도의 능력한계 이하에서의 가열히터용량을 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국 단위시간에 농축내용물의 수증기 증발량은 한계가 있게 되며 그 만큼 농축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한약의 제조시간의 단축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증류수실(30)의 냉각된 증류수의 양만을 관측하여서 탕기(10)내의 한약의 양을 간접적으로 판단토록 함으로써 제조 한약의 농도등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다. 즉, 농축할 내용물이 같은 양이라 하더라도 농도나 점도가 항상 일정하지 않고 전탕조건(내용물의 양, 물의 양, 내용물의 점도등)에 따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농축된 증류수의 양만을 관측하여서 보이지 않는 내용물의 농도등 균일한 품질을 얻는데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발생된 수증기로부터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수분 분리필터가 요구되지 않는 진공펌프의 채용을 가능하게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탕액이 끓어 농축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회수하여 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발생되는 수증기의 냉각속도를 신속히 하여서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개량된 농축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넷째, 농축되는 식품의 양 및 농도를 직접 관측 가능토록 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농축식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한약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농축식품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에 채용되는 거품회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농축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거품회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농축조 101...눈금
102...히터 103...탕액배출밸브
104...증기배출밸브 106...역지밸브
110,120...제1,2열교환기 111,121...냉각펜
125...증류수라인 130...보조냉각조
131,134...제1,2배출밸브 133...전자밸브
140...진공펌프 150...냉각수공급조
160...압력제어콘트롤러 170...거품회수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농축식품 제조장치는 일정량의 식품 전탕액이 수용되는 농축조와, 상기 농축조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농축조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화하는 제1냉각수단과,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상기 제1냉각수단의 증류수라인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 잔여수증기가 유입되는 보조냉각조와, 상기 보조냉각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냉각조 및 농축조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농축조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와, 상기 보조냉각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냉각수단은 각각 냉각휀에 의해 공냉되는 적어도 2대의 열교환기가 병렬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 제조장치에는 상기 농축조에 발생된 거품을 회수시키는 거품회수부재가 더 구비되는 바, 상기 거품회수부재는 전탕액의 상부에 유지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의 회수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농축조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되어서 농축중이라도 농축량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농축식품 제조장치는 일정량의 식품 전탕액이 수용되며, 저부에 농축된 탕액을 배출시키는 탕액배출밸브가 마련되고, 상부에 수증기의 배출을 개폐하는 증기배출밸브가 마련되며, 수위를 관측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투명재질의 농축조와; 상기 농축조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농축조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복수로 분할되어 통과되며 각각 냉각휀에 의해 공냉되는 적어도 2대의 열교환기와;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증류수라인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또는 잔여수증기가 유입되며, 일측면에 일정수위 이상의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밸브와 저면에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밸브가 마련되며, 타측면에 냉각수위를 표시하는 수면계가 마련된 보조냉각조와; 상기 증류수라인에 마련되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보조냉각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냉각조 및 농축조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농축조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와; 상기 보조냉각조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와;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냉각조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에어밸브;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축조에는 발생된 거품을 회수시키는 거품회수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거품회수부재는 전탕액의 상부에 유지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판과, 상기 상면판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의 회수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제조장치는 보조냉각조를 채용하여서 냉각되지 아니하고 잔존하는 수증기를 보조냉각조의 냉각수를 경유토록 하여 완전히 냉각시킴으로써 설정된 진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진공펌프에 악영향이미치지 않도록 하였으며, 공냉식 열교환기를 병렬로 설치함으로써 수증기의 배출량을 향상시켜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대폭 단축가능하게 한다. 또한, 거품회수부재를 채용함으로써 탕액의 손실을 방지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한약, 건강식품, 잉어와 같은 생선류, 흑염소와 같은 육류 및 과일등 식품을 전탕한 전탕액을 가열 농축시켜서 소량이면서 고농도의 식품으로서 복용할 수 있도록 한 농축식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한약재를 예로들어 본 고안 제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일정량의 한약 전탕액이 수용되는 농축조(100)와, 농축조(100)를 가열시키는 히터(102)와, 농축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화하는 제1냉각수단과,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상기 제1냉각수단의 증류수라인(125)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 잔여수증기가 유입되는 보조냉각조(130)와, 보조냉각조(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와, 농축조(100)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진공펌프(140)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160)와, 보조냉각조(13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150)를 구비한다.
상기 농축조(100)의 저부에는 제조완료된 농축탕액을 배출시키는 탕액배출밸브(103)가 마련되어 있고, 농축조(100)의 상부에는 증기배출밸브(104) 및 증류수의역류를 방지시키는 역지밸브(10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역지밸브(106)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농축조(100)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눈금(101)이 형성되어서 농축 중에 농축량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농축조(10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일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롯(slot)을 형성하고 이 슬롯에 눈금이 표시된 투명재를 접합하여 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제조장치에는 상기 농축조(100)에 발생된 거품을 회수시키는 거품회수부재가 더 구비되는 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품회수부재(170)는 전탕액의 상부에 유지되며 복수의 관통공(171a)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판(171)과, 상기 상면판(171)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의 회수관(17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거품회수부재(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회수관(172)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일정간격으로 관통공(171a)이 복수 형성된 구조의 평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거품회수부재를 농축조(100)에 약간 기울여 설치하여서, 거품이 터진 후 액상으로 된 탕액이 흘러내려 하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참조번호 105는 커플링으로서 수증기 배출호스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며, 참조번호 175는 거품회수부재(170)를 농축조(100)내에 고정시키는 지지대이며 탄성와이어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수단은 각각 냉각휀(111)(121)에 의해 공냉되는 2대의 제1,2열교환기(110)(120)가 병렬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 실시예의 제1냉각수단의 작동 및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진공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의 밀도는 100℃ 수증기보다 낮기때문에 부피가 크고 또한 수증기의 온도(예컨대, 70℃)가 낮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열전도율이 저하하는등 열교환기의 냉각능력은 악조건일 수 밖에 없으며, 더구나 수증기를 빠른 유속(100℃수증기보다 부피가 크기때문)으로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열교환기로 유입시 관내부저항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열교환기의 냉각능력이 충분하여도 수증기 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설정된 가열온도(예컨대, 74℃)이상으로 끓는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결국 원하는 수증기 증발량을 얻기 어려우나 열교환기를 2대 이상 병렬로 설치하면 관의 단면적이 2배이상 증가하여 수증기 유입에 따른 관내부저항을 받지않고 신속히 수증기가 냉각처리되어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최대의 증발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수증기의 관내부저항을 받지 않기 위해 무조건 열교환기의 관경을 크게 한다면 관의 비표면적(표면적/부피)이 크게 되어 효과적인 열교환기의 설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증류수라인(125)에는 전자밸브(133)가 설치되는 바, 이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한 전탕액의 농축시간이 완료된 후에 자동적으로 폐쇄되어서 보조냉각조(130)로부터의 냉각수가 농축조(1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보조냉각조(130)의 하부에는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밸브(134)가 설치되는 바, 이는 보조냉각조(130)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냉각수 및/또는 세척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보조냉각조(130)의 측면에는 일정수위의 냉각수 및 증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배출밸브(131)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냉각수위를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수면계(1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직접 관측이 요구되는 수면계(132) 대신에, 수위센서 및 센싱신호에 따른 경보기 또는 경보등을 설치하여서 작업자가 직접 관측하지 아니하고도 보조냉각조(130)의 수위를 알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보조냉각조(13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라인에는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에어밸브(151)가 마련되어 있고, 압력제어콘트롤러(160)에 의해서 진공펌프(140)가 일시적으로 정지할때 진공의 해제를 방지시키는 진공역류방지밸브(141)가 마련되어 있으며, 현재의 압력상태를 표시하는 압력계(16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한약제조장치의 작동 및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냉각조(130)의 제1배출밸브(131)를 오픈시키고 냉각수공급조(150)를 통하여 냉각수를 보조냉각조(130)에 공급시키며, 제1배출밸브(131)를 통하여 냉각수가 배출되기 시작할 때 제1배출밸브(131)를 폐쇄시킨다.
한약 전탕액을 농축조(100)에 투입하고 증기배출밸브(104)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커플링(105)을 연결시키며, 수조작으로 역지밸브(106)를 오픈시킨다.
이어서 제1,2배출밸브(131)(134) 및 에어밸브(151)를 닫은 상태에서 압력제어콘트롤러(160)를 통하여 진공도의 상한과 하한을 설정시킨다.
이어서 전원을 인가하면 히터(102)가 가열되고 전자벨브(133)가 오픈되며, 이와 함께 진공펌프(140)가 구동되면서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설정된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때 진공펌프(140)는 압력제어콘트롤러(160)에 의해서 on/off 자동제어되어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설정된 진공도로 유지시킨다.
농축조(100)내의 전탕액은 진공에 의해서 낮은 온도에서도 끓게 되고 발생된 수증기는 제1,2열교환기(110)(120)로 분배되어 경유되면서 냉각되어 증류수로 상변환되고 증류수라인(125)을 통하여 보조냉각조(130)로 유입된다.
이때, 제1,2열교환기(110)(120)에 의하여도 냉각되지 아니한 잔여 수증기도 증류수와 함께 보조냉각조(130)로 유입되게 되는 데, 냉각되지 아니한 수증기는 보조냉각조(130)에 수용된 냉각수를 경유하면서 냉각수화된다.
한편, 농축조(100)내의 탕액이 끓게 될 때 증기와 함께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데, 발생된 거품은 수증기와 함께 거품회수부재(170)의 관통공(171a)을 통하게 되며 이때 거품은 단면적이 작은 관통공(171a)으로부터 토출되는 수증기에 의해서 거품의 방울이 터지면서 소실되게 된다.
즉, 수증기와 거품은 단면적인 작은 관통공(171a)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되어 수증기는 상부로 배출되지만 거품은 터지면서 액상으로 변하여 농축조(100)하부로 환수된다.
타이머(미도시)를 통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농축이 완료되면, 히터(102)에 의한 가열이 중지되고 전자밸브(133)가 자동으로 폐쇄된다.
한편, 히터(102)의 전원이 off된 후에는 히터(102)의 잔여열에 의한 오버히팅(농축조 바닥의 누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농축조(100)바닥의 잔여열이 어느정도 냉각될때까지 일정시간(약 5분)동안 냉각휀(111)(121)의 작동이 유지되도록 하여서 수증기를 계속 냉각할 수 있도록 자동 제어된다.
이어서 역지밸브(106) 및 증기배출밸브(104)를 잠근 후 커플링(105)을 분리시키고, 증기배출밸브(104)를 서서히 오픈하여 농축조(100)의 진공을 해제시킨 후 탕액배출밸브(103)을 열어 농축탕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농축이 완료된 후에도 탕액을 장시간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밸브(133)가 자동으로 차단되어서 농축조(100)로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탕액의 농도저하를 방지시킨다. 즉, 전자밸브(133)가 오픈된 상태에서 장시간 탕액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농축조(100)내에 잔류하는 수증기가 자연 냉각되어 농축조(100)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제조과정중의 진공도보다 더 저하되어 보조냉각조(130)의 냉각수가 역류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농축식품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냉각수를 일정수위 수용하는 보조냉각조를 채용함으로써 냉각되지 아니하고 잔존하는 수증기를 보조냉각조의 냉각수를 경유토록 하여 완전히 냉각시킴으로써 설정된 진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진공펌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한다.
둘째, 공냉식 열교환기를 병렬로 복수 설치함으로써 수증기의 배출량을 향상시켜 농축식품의 제조시간을 단축가능하게 한다.
셋째, 거품회수부재를 채용함으로써 탕액의 손실을 방지하게 한다.
넷째, 농축조를 투명재질로 형성하고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농축되는 탕액의 양 및 농도를 직접 관측 가능토록 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농축식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일정량의 식품 전탕액이 수용되는 농축조(100)와,
    상기 농축조(100)를 가열시키는 히터(102)와,
    상기 농축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수화하는 제1냉각수단과,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상기 제1냉각수단의 증류수라인(125)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또는 잔여 수증기가 유입되는 보조냉각조(130)와,
    상기 보조냉각조(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와,
    상기 농축조(100)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진공펌프(140)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160)와,
    상기 보조냉각조(13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1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각수단은 각각 냉각휀(111)(121)에 의해 공냉되는 적어도 2대의 열교환기(110)(120)가 병렬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조(100)에 발생된 거품을 회수시키는 거품회수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회수부재(170)는 전탕액 상부에 유지되며 복수의 관통공(171a)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판(171)과, 상기 상면판(171)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의 회수관(17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조(100)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6. 일정량의 식품 전탕액이 수용되며, 저부에 농축된 탕액을 배출시키는 탕액배출밸브(103)가 마련되고, 상부에 수증기의 배출을 개폐하는 증기배출밸브(104)가 마련되며, 수위를 관측할 수 있도록 눈금(101)이 표시된 투명재질의 농축조(100)와;
    상기 농축조(100)를 가열시키는 히터(102)와;
    상기 농축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복수로 분할되어 통과되며 각각 냉각휀(111)(121)에 의해 공냉되는 적어도 2대의 열교환기(110)(120)와;
    내부에 냉각수가 일정높이 충전되고, 하부에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증류수라인(125)이 연결되어 증류수 및/또는 잔여수증기가 유입되며, 일측면에 일정수위이상의 증류수 및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밸브(131)와 저면에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밸브(134)가 마련되며, 타측면에 냉각수위를 표시하는 수면계(132)가 마련된 보조냉각조(130)와;
    상기 증류수라인(125)에 마련되어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밸브(133)와;
    상기 보조냉각조(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냉각조(130) 및 농축조(100)를 진공으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와;
    상기 농축조(100)의 진공도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진공펌프(140)를 제어하는 압력제어콘트롤러(160)와;
    상기 보조냉각조(13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조(150)와;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냉각조(130)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에어밸브(15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조(100)에 발생된 거품을 회수시키는 거품회수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거품회수부재(170)는 전탕액의 상부에 유지되며 복수의 관통공(171a)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판(171)과, 상기 상면판(171)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중공의 회수관(17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식품 제조장치.
KR20-2004-0016075U 2004-06-09 2004-06-09 농축식품 제조장치 KR200360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075U KR200360415Y1 (ko) 2004-06-09 2004-06-09 농축식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075U KR200360415Y1 (ko) 2004-06-09 2004-06-09 농축식품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943A Division KR100570152B1 (ko) 2004-06-08 2004-06-08 농축식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415Y1 true KR200360415Y1 (ko) 2004-08-30

Family

ID=4934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075U KR200360415Y1 (ko) 2004-06-09 2004-06-09 농축식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41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29B1 (ko) 2006-08-29 2007-05-14 박종래 진공 농축장치
KR101218757B1 (ko) *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농축액 제조 장치
KR20210116938A (ko) * 2020-03-18 2021-09-28 박영선 고효율 저온 농축장치
KR20220038881A (ko)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
KR20220038882A (ko)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의 내솥장치
KR102572000B1 (ko) 2022-08-19 2023-08-29 권부호 탕전기의 중탕용 내솥장치
KR102608000B1 (ko) 2022-08-19 2023-11-30 권부호 조합형 강제대류식 중탕겸용 한약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729B1 (ko) 2006-08-29 2007-05-14 박종래 진공 농축장치
KR101218757B1 (ko) * 2010-08-23 2013-01-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농축액 제조 장치
KR20210116938A (ko) * 2020-03-18 2021-09-28 박영선 고효율 저온 농축장치
KR102422412B1 (ko) * 2020-03-18 2022-07-18 박영선 고효율 저온 농축장치
KR20220038881A (ko)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
KR20220038882A (ko)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의 내솥장치
KR102572000B1 (ko) 2022-08-19 2023-08-29 권부호 탕전기의 중탕용 내솥장치
KR102608000B1 (ko) 2022-08-19 2023-11-30 권부호 조합형 강제대류식 중탕겸용 한약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592B1 (ko) 진공방식의 감압증류기
JP4768707B2 (ja) 液体製品の蒸発冷却装置
KR200360415Y1 (ko) 농축식품 제조장치
KR100570152B1 (ko) 농축식품 제조장치
CN207990991U (zh) 冷热水交换装置
CN210612918U (zh) 一种蒸馏回收设备
CN102395726B (zh) 蒸汽发生器
KR20110087883A (ko) 얼음냉각식 알코올 증류장치
CN206700806U (zh) 一种酒精浓缩提取装置
KR20100089366A (ko) 알코올 증류장치
CN206793069U (zh) 一种脱低分子釜
KR200254683Y1 (ko) 약탕기의 대류식 수증기 냉각장치
KR20100119684A (ko) 알코올 증류장치
KR100710882B1 (ko) 전기약탕기
KR970019990A (ko) 한약 자동 추출장치
CN113385246B (zh) 一种共沸恒温加热装置
CN216752556U (zh) 测试设备
CN109550270A (zh) 一种小分子化合物提取设备
CN217838853U (zh) 一种啤酒精酿煮沸沉淀罐
CN213963029U (zh) 一种蒸汽低温柔和浓奶加热器
JP3007868U (ja) 蒸留水製造機
CN219167761U (zh) 一种色素真空提取浓缩装置
CN218764665U (zh) 一种蒸汽回收装置
CN214892823U (zh) 闭式冷却塔盘管
CN209802137U (zh) 蒸发冷却式回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