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167A -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167A
KR20100088167A KR1020107016458A KR20107016458A KR20100088167A KR 20100088167 A KR20100088167 A KR 20100088167A KR 1020107016458 A KR1020107016458 A KR 1020107016458A KR 20107016458 A KR20107016458 A KR 20107016458A KR 20100088167 A KR20100088167 A KR 2010008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isplay
tray
display ch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834B1 (ko
Inventor
히로유끼 유야마
나오끼 고이께
다쯔아끼 구니모또
노부유끼 후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8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04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regulate operation by use of templet, tape, card or other replaceable information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04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regulate operation by use of templet, tape, card or other replaceable information supply
    • Y10T29/5300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regulate operation by use of templet, tape, card or other replaceable information supply with compa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04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regulate operation by use of templet, tape, card or other replaceable information supply
    • Y10T29/5300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eans to regulate operation by use of templet, tape, card or other replaceable information supply with comparator
    • Y10T29/53013Computer in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26Fastening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Multiple station assembly or disassembly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피반송물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를 적절하게 탈착 가능한 탈착 장치와, 해당 탈착 장치를 구비한 표시 변경 장치 및 해당 탈착 장치를 구비한 투약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표시 변경 장치(1)는 탈착 장치(2)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접속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카드 착탈 장치(1)는, 배면측에 수압벽(23e)을 갖고, 이것보다도 더욱 배면측에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부(100)는 시트부(101)와 이동부(102)와 구동부(10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부(100)는 편심 캠(112)에 의해 카드 착탈 장치(1)를 밀어 움직이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치 조정 기구부(100)는 편심 캠(112)이 받는 반작용력(Fr)이, 이동부(102)를 수압벽(23e)측으로 끌어당기는 힘(Fa)보다도 커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편심 캠(112)이 수압벽(23e)으로부터 멀어진다.

Description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DISPLAY CHANGE DEVICE AND DOSING SYSTEM}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측면에 설치된 기록면의 표시 정보를 변경 가능한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처방전의 지시에 따라서 환자마다 준비된 소정의 트레이에 약제나 의료 재료 등을 모아서 한 덩어리로 하고, 환자에 투약 가능한 투약 시스템이 병원이나 조제 약국 등의 의료시설에서 채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약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환자에 대한 처방이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레이와 환자의 대응 관계를 정확하게 판별 가능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투약 시스템에서는, 각 트레이에 대하여 할당된 환자나, 트레이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를 리라이트 카드라 불리우는 카드에 적고, 이 카드를 트레이의 측면에 마련된 카드 보유 지지 부재에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투약 시스템은, 트레이의 측면에 부착된 카드를 일단 제거하여, 기입 장치로 보내어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표시 변경을 행한 후, 이 카드를 트레이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 변경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투약 시스템은, 소정의 컨베이어 위를 흐르는 트레이가 표시 변경 장치에 인접하는 위치에 도래했을 때에 표시 변경 장치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고, 접촉 부분이라 불리우는 부위에 마련된 롤러를 트레이의 측면에 근접시키는 동시에, 이 롤러를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해서 회전시킴으로써, 롤러와 카드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카드를 카드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하여 탈착하고, 카드의 재기입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5865호
상술한 바와 같은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트레이는, 수지 등으로 성형되는 경우가 많아, 크기나 성형 정밀도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트레이는 약제를 수용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해당 투약 시스템용으로 제작된 트레이와 대략적인 형상은 유사하지만, 측면의 각도 등이 미묘하게 다른 규격 외의 트레이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에서,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변경 장치는, 트레이 상태에서 접촉 부분에 마련된 롤러를 회전시켜, 롤러와 카드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카드의 탈착을 행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카드와 롤러와의 간격이나, 카드에 대한 롤러의 접촉 방식이 매우 약간 변해도 카드에 대하여 잘 동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카드에 대하여 과도하게 큰 외력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변경 장치를 채용한 경우에는, 사이즈나 형상이 소정 규격의 범위로부터 벗어난 트레이를 사용하면, 카드의 탈착 불량이 발생하여, 트레이의 표시 정보를 정확하게 변경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정보를 정확하게 변경 가능한 표시 변경 장치 및 해당 표시 변경 장치를 구비한 투약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는, 전파를 수신하면 기전력을 발생하고, 해당 기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부와, 해당 데이터 처리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피반송물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변경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는, 소정의 정보 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로 송신 가능한 정보 통신 장치를 갖고, 해당 정보 통신 장치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데이터 처리시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의 기입이나 소거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 1).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는, 정보 통신 장치를 갖고, 소정의 정보 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피반송물의 데이터 처리부로 송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시부에,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피반송물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정보를 정확하게 변경 가능한 표시 변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는, 정보 통신 장치를 피반송물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청구항 2).
본 발명의 투약 시스템은, 약제를 수용 가능한 피반송물을 공급하는 피반송물 공급 수단과, 해당 피반송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피반송물에 대하여 소정의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수단과, 상술한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투약 시스템은, 표시 변경 장치에 의해 피반송물에 설치된 표시부의 표시 정보를 변경하는 표시 변경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청구항 3).
본 발명의 투약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부가, 표시 변경 장치의 정보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정보 통신 단말에 의해 피반송물의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정보, 혹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소거 가능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본 발명의 투약 시스템은, 표시부가, 정보의 표시 후,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정보의 표시를 계속 가능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표시 변경 장치는, 표시부가, 피반송물의 측면에 장착된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
본 발명에 따르면, 피반송물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정보를 정확하게 변경 가능한 표시 변경 장치 및 해당 표시 변경 장치를 구비한 투약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표시 변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4의 (a)는 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트레이의 측면도, (c)는 (a)에 나타내는 트레이에 장착되는 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b)의 A부 확대도이다.
도6은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1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7은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2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8은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3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9는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4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0의 (a)는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위치 조정 기구부의 정면도이며, (b)는 (a)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2의 (a)는 도14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1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b)는 제2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c)는 제3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3의 (a)는 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카드의 하나의 사용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c)는 (a)에 나타내는 카드를 채용한 경우의 변형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투약 시스템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트레이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투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4에 나타내는 트레이 배출 장치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표시 변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7은 도16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18은 도16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19의 (a)는 도16에 나타내는 카드 표시 변경 장치를 구성하는 헤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a)의 분해 사시도이며, (c)는 헤드부의 가동 범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0은 도16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1의 (a), (b), (c)는 각각 도16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제1, 제2 및 제3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2는 도16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3은 도15에 나타내는 투약 시스템의 운용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4는 정보 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5의 (a)는 투약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정보 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b)는 카드의 표시 정보나 기억 정보를 소거하는지 여부의 선택을 재촉할 때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탈착 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카드 표시 변경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표시 변경 장치이다. 표시 변경 장치(1)는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트레이(10)(피반송물)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를 제거하고, 이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기입한 후, 트레이(10) 측으로 복귀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트레이(10)는,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되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측에 개구를 갖는 상자형의 용기이다. 트레이(10)는 측면(11)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면(12)에 카드(13)를 수용하는 장착부(14)를 갖고, 측면(11) 측 혹은 측면(12) 측 중 어느 한쪽[도4에서는 측면(11) 측]의 장착부(14)에 카드(13)가 수용되어 있다. 장착부(14)는 측면(11) 또는 측면(12)을 따라 카드(13)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카드(13)를 빼고 꽂기 가능하도록 홈(14a)과 삽입구(14b)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홈(14a)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1, 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장착부(14)의 상하 및 우측에 인접하는 위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측면(11, 12)과의 사이에 형성된 카드(13)가 수납될 정도의 슬릿형의 간극이다. 삽입구(14b)는 도4의 (a)와 같이 측면(11, 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장착부(14)의 좌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릿형의 개구이다.
삽입구(14b)의 외측, 즉 도4의 (a)에 나타내는 자세에 있어서 삽입구(14b)의 좌측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돌출부(17)(폐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7)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14b)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부를 정점부로서 트레이(10)의 외측을 향해 산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돌출부(17)는 항상은 돌출 부분이 삽입구(14b)의 개구 영역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으며, 장착부(14)에 수용되어 있는 카드(13)가 삽입구(14b)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17)는 도5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트레이(10)의 내측을 향해서 휘어, 삽입구(14b)를 거쳐서 카드(13)가 출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카드(13)에는, 일반적으로 「리라이트 카드」라 불리우는 것이 채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라이트 카드라 함은 소정의 재기입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문자 정보나 도형 정보, 바코드 등과 같은 원하는 정보를 기록면에 기록할 수 있어, 몇 백회에 걸쳐 표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리라이트 카드에는, 일반적으로 로이코식이라 불리우는 것과 백탁식이라 불리우는 것이 있고, 모두 특정한 온도를 가하면 문자를 쓰거나 지우거나 할 수 있는 것이다. 로이코식의 리라이트 카드는, 기록면을 구성하는 로이코 염료와 현색제가 반응함으로써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백탁식의 리라이트 카드는, 기록면이 반사층 위에, 투명한 기능층을 설치하고, 또한 그 위에 보호층을 설치한 구성한 것이다. 로이코식의 리라이트 카드는, 기능층이 고분자 바인더와 그 속에 분산된 고급 지방산 등의 저분자 물질로 구성된 것이며, 열이 가해지는 방법에 의해 기능층을 구성하는 바인더 중에 있어서의 저분자 물질의 집합 상태가 변화되고, 공극이 적은 상태와 많은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다. 로이코식 카드는 기능층 중 공극이 많은 부분을 광이 통과하면 난반사를 일으켜서 희게 흐려 보이고, 투명 부분과 백탁 부분의 콘트라스트로 소정의 정보(화상)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13)로서 로이코식의 리라이트 카드가 채용되어 있다.
카드(13)에는, 예를 들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에 할당된 환자가 있는 병동명(13a)이나 병실명(13b), 투약의 실시일(13c), 환자의 성명(13d)이나 일본식 가나읽기(13e), ID 번호(13f) 외에 추가로, 카드(13)의 재기입 횟수(13g)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카드(13)에는 바코드(13h)나 이차원 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각종 정보나, 환자의 성별, 연령, 주소, 전화 번호, 보험증 번호, 투약 경험 연수, 병력, 병상, 신장, 체중, 처방전,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 적당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표시 변경 장치(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 등의 종래 공지의 반송 장치(15a)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표시 변경 장치(1)는 크게 나누어 탈착 장치(2)(착탈 수단)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기입 수단)로 크게 구별된다. 탈착 장치(2)는 트레이(10)(피반송물)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대하여 카드(13)를 탈착하는 탈착 동작을 행하는 부분이다. 또한,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는 탈착 장치(2)에 접속되어 있고, 탈착 장치(2)로부터 보내져 온 카드(13)의 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소거나, 새로운 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표시 변경 동작을 행하는 장치이다. 표시 변경 장치(1)는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으로부터 카드(13)를 제거하고, 이 카드(13)를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 보내줘서 표시 변경 동작을 행하고, 표시 변경 동작이 끝난 카드(13)를 다시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으로 복귀시킨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행한다.
탈착 장치(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으로, 반송 장치(15a) 측이 개구한 케이스(20)의 내부에 탈착 장치(2)와 표시 변경 장치(3)를 연결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탈착 장치(2)는 도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5)와 위치 조정 기구부(100)(이동 수단)로 크게 구별된다. 또한, 본체부(25)는 헤드부(21) 및 카드 이송부(22)와, 이들의 구동원으로서 기능하는 구동부(24)로 크게 구별된다. 헤드부(21)는 트레이(10)의 측면(11, 12)에 마련된 장착부(14)에 대하여 카드(13)를 빼고 꽂고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착 장치(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15a)를 따르도록 본체부(25)가 배치된다. 탈착 장치(2)는, 도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5)의 연신 방향 대략 중앙부에 구동부(24)를 갖고, 이 구동부(24)보다도 반송 장치(15a) 상을 흐르는 트레이(10)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헤드부(21)를 배치하고, 트레이(10)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카드 이송부(22)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5)는 금속제의 프레임판(23a, 23b)을 상하에 배치하고, 정면(25a) 측[반송 장치(15a) 측]에 헤드부(21)를 설치하고, 배면(25b) 측[위치 조정 기구부(100) 측]에 수압벽(23e)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체부(25)는 길이 방향 일단부측[이하, 필요에 따라서 경계측방(25c) 측이라 칭함]에 배치된 지지판(23c)과 지지축(23d), 및 프레임판(23a, 23b)의 타단부측[이하, 필요에 따라서 말단부측(25d)이라 칭함]에 배치된 수압벽(23e)과 지지판(23f)을 각각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중개하도록 고정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탈착 장치(2)는 헤드부(21)가 반송 장치(15a) 측을 향하고, 본체부(25)의 길이 방향이 반송 장치(15a)를 따른 자세가 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판(23a, 23b)의 간격은 카드(13)의 높이(H)보다도 약간 넓은 정도로 되어 있다. 본체부(25)는 경계측방(25c) 측, 즉 도3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좌측 측이며, 본체부(25)의 배면(25b) 측의 부위에 마련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지지축(26)을 거쳐서 반송 장치(15a)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표시 변경 장치(1)는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반송 장치(15a) 및 이에 의해 반송되는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체부(25)는 경계측방(25c) 측의 단부에 배치된 지지판(23c) 및 지지축(23d)와, 말단부측방(25d) 측의 단부에 배치된 수압벽(23e) 및 지지판(23f)에 의해 프레임판(23a, 23b)이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수압벽(23e)은 탈착 장치(2)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말단부측방(25d) 측의 위치이며, 배면(25b) 측의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수압벽(23e)은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세워 설치된 벽면을 형성하여, 위치 조정 기구부(100)에 대향하는 것이다.
위치 조정 기구부(10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01)와, 이동부(102)와, 구동부(103)로 크게 구별된다. 시트부(101)는 케이스(20)나 다른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다. 시트부(101)는 금속판의 4변을 동일한 방향으로 되접어 형성된 측벽(101a 내지 101d)에 의해 둘러싸여져, 상부면측이 개구한 영역(104)을 갖는 배트형의 부재이다. 시트부(101)는 바닥면에 개구부(105)를 갖는다. 시트부(101)는 바닥부를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케이스(20)에 대하여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동부(102)는 시트부(101)와 같이 금속판을 다이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다이부(106)와, 다이부(106)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07, 107)를 갖는다. 돌출부(107, 107)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한 미끄럼 이동 홈(108, 108)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102)는 시트부(101)의 영역(104) 내에 수용되어 있고, 시트부(101)의 바닥면에 마련된 개구부(105)를 걸쳐, 미끄럼 이동 홈(108, 108)은 각각 탈착 장치(2)의 본체부(25)에 마련된 수압벽(23e)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102)는 돌출부(107, 107)에 마련된 미끄럼 이동 홈(108)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다이부(106)의 바닥면에 나사 삽입된 나사(110, 110)에 의해 시트부(101) 내에 부착되어 있다. 이동부(102)는 나사(110, 110)에 의해 다이부(106)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정도이며, 다이부(106)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장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동부(102)는 수압벽(23e)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102)는, 스프링(111)을 거쳐서 시트부(101)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프링(111)은 일단부가 수압벽(23e)에 대향하고 있는 시트부(101)의 측벽(101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다이부(106)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102)는 스프링(111)에 의해 측벽(101a) 측으로 압박되고 있고, 항상은 이동부(102)의 측면이 측벽(101a)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동부(102)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부(106)의 측방에 부착된 지지판(116)을 거쳐서 2개의 센서(117, 118)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117)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부(103)의 편심 캠(112)(압박 부재)의 편심부(115)가 수압벽(23e)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할 때에 검지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며, 센서(118)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캠(115)이 수압벽(23e)으로부터 가장 멀어진 위치에 존재할 때에 검지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센서(117)는 편심부(115)가 본체부(25)의 수압벽(23e)에 가장 근접했을 때에 편심부(115)를 검지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센서(118)는 편심부(115)가 본체부(25)의 수압벽(23e)으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편심부(115)를 검지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구동부(103)는 주요부가 편심 캠(112) 및 모터(113)로 구성되어 있고, 이동부(10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113)는 구동부(103)의 동력원이며, 회전축이 이동부(102)의 다이부(106)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모터(113)는 통전 방향에 따라서 플러스 방향(도1 중 화살표 A 방향) 혹은 역방향(도1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113)의 회전축에는, 편심 캠(112)이 시트부(101)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편심 캠(112)은 버섯형 캠이나, 접선 캠이나 원판 캠, 버섯형 캠, 삼각 캠 등에 대표되는 소위 판캠이나 주연 캠이라 불리우는 판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 캠(112)으로서 버섯형 캠이 채용되어 있다.
모터(113)의 회전축은 편심 캠(112)의 편심한 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항상은 편심부(115)가 본체부(25)의 수압벽(23e)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 그리고 모터(113)를 동작시키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캠(112)이 모터(1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해서 편심부(115) 측의 부위가 수압벽(23e)에 근접해, 이윽고 편심 캠(112)의 윤곽 부분이 수압벽(23e)에 접촉한다. 또한, 모터(113)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편심 캠(112)의 윤곽 부분에 의해 본체부(25)가 눌려 움직이게 된다. 이로써 본체부(25)가, 도7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탈착 장치(2)에 인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트레이(10)에 헤드부(21)가 근접한다.
탈착 장치(2)는 구동부(24)로부터 헤드부(21)나 카드 이송부(22)에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해서 카드(13)를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대하여 빼고 꽂기 하거나, 이동시키는 것이다. 구동부(24)는 본체부(25)의 연신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부착된 모터(18)를 동력원으로 하는 것이며, 헤드부(21) 및 카드 이송부(22)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이다. 헤드부(21)는 카드(13)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에 마련된 장착부(14)에 대하여 탈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의 주요부를 이루는 것이다. 헤드부(2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8)로부터 전달되어 온 토크를 받아서 회전하는 출력축(45)과, 이것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롤러(58)(카드 이동 수단)를 갖는다. 헤드부(21)는 롤러(58)를 카드(13)에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카드(13)를 트레이(10)의 장착부(14)로부터 제거하거나, 카드 이송부(22) 측으로부터 보내져 온 카드(13)를 장착부(14)에 삽입할 수 있다.
카드 이송부(22)는 카드(13)가 통과 가능할 정도의 간극으로 구성되는 카드 통로(70)와, 카드 이송 기구(75)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카드 통로(70)는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부착된 띠 형상의 가이드 부재(61, 61)나,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걸쳐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71)(탈착 측벽면)과 가이드 프레임(72)(수압 측벽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드 통로(70)는 본체부(25)의 정면(25a) 측이며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와의 경계부에 마련된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를 연결하는 대략「S」자형으로 만곡한 슬릿형의 통로이다.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는, 본체부(25)의 경계측방(25c) 측의 말단 부분이며, 본체부(25)의 두께 방향 대략 중앙부, 즉 정면(25a) 측과 배면(25b) 측과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세로 길이로, 카드(13)가 1매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슬릿형의 개구이다.
카드 이송 기구(75)는, 카드 통로(70)에 대하여 배면(25b)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롤러 축(81, 82, 83)과, 카드 통로(70)에 대하여 배면(25b) 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롤러 축(85, 86)에 의하여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롤러 축(81 내지 83)은, 각각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롤러 축(81 내지 83)의 축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는, 고무제의 롤러(87 내지 89)(카드 이송 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롤러(87 내지 89)는, 롤러 축(81 내지 83)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며, 카드 통로(70) 내로 도입된 카드(13)에 면 접촉해서 카드(13)를 소정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롤러(87 내지 89)는 정면(25a) 측에 배치된 가이드 프레임(71)에 마련된 롤러 노출 창(77)으로부터 카드 통로(70) 측을 향해서 노출되고, 카드 통로(70) 내를 흐르는 카드(13)에 면 접촉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롤러 축(85, 86)은, 각각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롤러 축(85, 86)의 축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는, 보조 롤러(91, 92)가 각각 롤러 축(85, 86)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조 롤러(91, 92)는, 각각 카드 통로(70)의 연신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기한 롤러(87, 88) 사이 및 롤러(88, 89)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91, 92)는 카드 통로(70) 내에 있어서의 카드(13)의 흐름을 보조하기 위한 롤러이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표시 변경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제어 장치는, 반송 장치(15a)에 트레이(10)의 공급이 개시된 것을 검지하면, 반송 장치(15a)가 기동하여, 트레이(10)가 더욱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제어 수단은 트레이(10)가 표시 변경 장치(1)의 정면에 도래한 것을 확인하면, 반송 장치(15a)를 정지한다. 그 후에 제어 수단은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를 제거하기 위해,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동작시켜, 탈착 장치(2)의 헤드부(21)를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근접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착 장치(2)의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트레이(10)가 도래하면, 제어 장치는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모터(113)에 통전하고, 도6의 화살표 A와 같이 모터(113)의 회전축을 플러스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모터(113)에 접속된 편심 캠(112)이 편심 회전을 시작하고, 이윽고 도7와 같이 편심 캠(112)의 윤곽 부분이 탈착 장치(2)의 수압벽(23e)에 접촉한다. 모터(113)가 다시 회전하면, 탈착 장치(2)와 이것에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접속한 표시 변경 장치(1)가 도7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모터(113)가 다시 회전하면, 도8과 같이 탈착 장치(2)의 헤드부(21)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탈착 장치(2)가 이 이상 트레이(10)에 근접하지 않게 된다. 즉, 탈착 장치(2)의 헤드부(21)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접촉하면, 본체부(25)가 가동 한계까지 회전한 상태, 즉 본체부(25)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맞닿아서 이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구동부(103)의 모터(113)는 센서(117)에 의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검지될 때까지 회전한다. 즉, 모터(113)가 플러스 방향(도8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 즉 편심부(115)가 수압벽(23e)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수압벽(23e) 측에 설치된 센서(117)에 의해 편심부(115)가 검지될 때까지 모터(113)에 통전된다. 그로 인해, 편심 캠(112)은 본체부(25)가 가동 한계에 도달해도 계속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편심 캠(112)이 본체부(25)의 수압벽(23e)을 누름으로써 이동부(102)에 대하여 측벽(101a)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작용력(Fr)이, 시트부(101)와 이동부(102)를 연결하는 스프링(111)에 의해 이동부(102)를 측벽(101a) 측으로 인장하는 인장력(Fa)보다도 커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부(102)는, 항상은 스프링(111)에 의해 측벽(101a) 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부(102)에 대하여 스프링(111)의 인장력(Fa)보다도 큰 외력[반작용력(Fr)]이 인장력(Fa)의 반대 측을 향해서 작용하면, 도8에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홈(108)을 따라 측벽(101a)으로부터 이격한다. 그로 인해, 본체부(25)가 가동 한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편심 캠(112)이 다시 회전하려고 하면, 이동부(102)에 작용하는 반작용력(Fr)이 이동부(102)를 측벽(101a) 측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인장력(Fa)보다도 커져, 미끄럼 이동 홈(108)으로 안내되어서 이동부(102)가 측벽(101b)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9와 같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본체부(25)의 수압벽(23e)에 접촉한 상태가 되면, 탈착 장치(2)는 헤드부(21)를 구성하는 출력축(45)의 롤러(58)가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부착된 카드(13)의 표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한 상태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이동부(102)가 스프링(111)에 의한 인장력(Fa)에 저항해서 측벽(101a) 측으로부터 도피함으로써, 편심 캠(112)에 의해 본체부(25)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완화되어, 롤러(58)가 카드(13)에 적절하게 밀착한 상태가 된다.
도9와 같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수압벽(23e) 측을 향하면, 센서(117)에 의해 편심부(115)가 검지되어, 모터(113)에의 통전이 정지된다. 그 후에 제어 장치는, 탈착 장치(2)의 구동원인 모터(18)에의 통전을 시작한다. 모터(18)가 전력 공급을 받아, 회전축이 정회전을 개시하면, 모터(18)의 토크가 헤드부(21)에 전달되어, 출력축(45)이 플러스 방향(도9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로써,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가 도9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11) 혹은 측면(12)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구(14b)로부터 빼낸다. 삽입구(14b)로부터 빠져나온 카드(13)는,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로부터 카드 이송부(22) 내에 형성된 카드 통로(70)로 보내진다.
카드(13)는 모터(18)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롤러(87 내지 89)에 의해 카드 통로(70) 내를 이송 방향(도9 중 화살표 G 방향)으로 흘러,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로부터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 보내진다.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는 탈착 장치(2)로부터 보내진 카드(13)의 기록면에 기재되어 있었던 정보의 표시 변경을 행한 후,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로 카드(13)를 복귀시킨다.
제어 장치는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에 카드(13)가 보내진 시점, 혹은 카드(13)의 표시 변경이 행해진 시점 등과 같은 적절한 타이밍에서 모터(18)에의 통전 상태를 변화시켜, 모터(18)의 회전축을 앞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탈착 장치(2)의 카드 이송부(22)의 롤러(87 내지 89)나 헤드부(21)의 롤러(58)가 카드(13)의 제거 시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로 인해,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부터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로 카드(13)가 복귀되면, 카드(13)는 카드 통로(70) 내를 복귀 방향(도9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흘러,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에 이른다.
카드(13)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로 되돌아오면, 헤드부(21)의 롤러(58)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 사이에 맞물린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부(21)의 롤러(58)는, 도9에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13)를 장착부(14)로부터 제거했을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카드(13)는 롤러(58)에 의해 삽입구(14b)로부터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4)에 삽입된다. 카드(13)가 장착부(14)에 삽입된 것이 확인 되면, 제어 장치는 편심부(115)가 센서(118)에 의해 검지될 때까지 편심 캠(112)을 역방향(도9 중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표시 변경 장치(1)는 스프링(64)에 의해 인장되어,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트레이(10)로부터 벗어나는 방향(도9 중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자세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표시 변경 장치(1)는,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고, 다음 트레이(10)에 대한 카드(13)의 탈착 및 표시 변경 동작에 대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변경 장치(1)는 편심 캠(112)을 회전시켜서 본체부(25)를 밀어 움직여, 본체부(25)가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에 면 접촉해서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이동부(102)와 함께 편심 캠(112)이 수압벽(23e)으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는, 트레이(10)가 소정 규격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것이라도, 헤드부(21)를 측면(11)이나 측면(12)에 확실하게 접촉시켜, 장착부(14)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를 탈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변경 장치(1)는 편심부(115)가 수압벽(23e)에 접촉할 때까지 편심 캠(112)을 회전시켜, 본체부(25)를 회전시켰을 때에 헤드부(21)가 도래하는 위치로부터 표시 변경 장치(1) 측의 영역 내에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이 도래하면, 장착부(14)에 대하여 카드(13)를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가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에 접촉하면, 편심 캠(112)이 본체부(25)의 수압벽(23e)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부(102)와 함께 수압벽(23e)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로 인해, 헤드부(21)는 트레이(10)의 대소나 형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카드(13)의 탈착에 적절한 압박력으로 트레이(10)의 측면(11, 12)이나 카드(13)를 압박할 수 있어, 이들을 과도하게 누른 상태가 되거나, 압박이 불충분한 상태가 되거나 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13)에 대하여 헤드부(21)의 롤러(58)가 미끄러지거나, 카드(13)나 롤러(58)가 과도하게 마모되거나 흠집이 나는 등의 문제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13)의 탈착을 행하는 탈착 장치(2)와, 카드(13)의 표시 변경을 행하는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일체화한 것이므로, 일련의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13)로서 소위 리라이트 카드를 채용한 것이므로, 카드(13)를 몇 백회에 걸쳐 반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변경 장치(1)에 따르면 카드(13)가 마모되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 변경 가능한 한 카드(13)를 사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변경 장치(1)는 운전 비용이 저렴하여, 일회용 카드를 채용할 경우에 비해 폐기물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13)로서 리라이트 카드를 채용한 예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표시 변경 불가능한 카드를 채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탈착 장치(2) 대신에, 예를 들면 탈착 장치(2)에 의해 트레이(10)로부터 제거한 일회용 카드를 폐기하는 폐기 수단이나, 카드를 공급하는 카드 공급 수단, 해당 피더로부터 공급된 카드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카드 기록 수단 등을 접속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카드의 재이용을 할 수 없지만, 트레이(10)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를 적은 카드를 원활하면서도 또한 정확하게 탈착할 수 있다.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 탈착 장치(2)로 제거한 카드(13)를 카드 재기입 장치(3)로 보내어, 표시 정보를 재기입한 후에 카드 탈착 장치(2)로 복귀시키고,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복귀시키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11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150)와 같은 구성이라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변경 장치(150)는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의 카드 탈착 장치(2)와 같은 뼈대 구조 혹은 상자형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51)와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갖고, 반송 장치(15a)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표시 변경 장치(150)는 표시 변경 장치(1)와 같이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반송 장치(15a)에 대하여 근접, 이격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표시 변경 장치(150)는, 표시 변경 장치(1)와 같이 카드 재기입 장치(3)를 접속해서 일체화하는 대신에, 도11에 있어서 해칭을 붙인 것 같이 헤드부(21)에 상당하는 위치에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 변경 헤드부(152)는, 카드 재기입 장치(3)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카드(13)의 표시 정보를 재기입 가능한 것이다.
표시 변경 장치(150)는 본체부(151)에 인접하는 위치에 표시 변경해야 할 카드(13)가 부착된 트레이(10)가 도래하면, 위치 조정 기구부(100)가 표시 변경 장치(1)인 경우와 같은 동작을 하고, 표시 변경 헤드부(152)가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에 부착된 카드(13)의 기록면에 압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51)에 인접하는 위치에 트레이(10)가 도래하면, 표시 변경 장치(150)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도12의 (a)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장치(15a)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모터(113)를 기동하여, 편심 캠(112)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본체부(151)가 편심 캠(112)에 의해 밀어 움직여져, 도12의 (a)와 같이 표시 변경 헤드부(152)가 카드(13)에 부딪치게 된다. 그 후, 또한 편심 캠(112)이 다시 회전하면, 본체부(151) 측으로부터 편심 캠(112)에 대하여 작용하는 반작용력(Fr)이 스프링(64)에 의해 편심 캠(112)을 본체부(151) 측으로 끌어당기는 힘(Fa)보다도 커진다. 이로써, 편심 캠(112)은 도12의 (b)와 같이 본체부(1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피한다. 이로써, 본체부(151)의 표시 변경 헤드부(152)가 카드(13)에 대하여 적절한 압박력으로 부딪치게 된 상태가 된다.
도12의 (b)와 같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본체부(151)에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되면, 제어 수단은 모터(113)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후, 제어 수단은 반송 장치(15a)를 기동하여, 도12의 (c)에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0)를 표시 변경 헤드부(1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제어 수단은 필요에 따라서 화살표 B와는 반대인 화살표 C 방향으로 트레이(10)를 이동시킨다. 즉, 제어 수단은 표시 변경 헤드부(152)의 인자(인쇄) 능력 등에 따라서 트레이(10)를 표시 변경 헤드부(1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필요하면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따라 트레이(10)를 왕복 운동시킨다. 이로써, 카드(13)의 표시 정보가 표시 변경 헤드부(152)에 의해 차례로 재기입된다.
카드(13)의 재기입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은 도12의 (c)에 화살표 Z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 캠(112)을 역회전시켜, 본체부(151) 및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트레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로써, 표시 변경 장치(150)에 의한 일련의 카드(13)에 대한 표시 정보의 변경 동작을 완료한다.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50)는, 표시 변경 장치(1)의 헤드부(21)에 상당하는 위치에 카드 재기입 장치(3)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설치한 것이므로, 표시 변경 장치(1)보다도 콤팩트한 구성이 된다. 또한, 표시 변경 장치(150)는 카드(13)의 탈착이나, 카드(13)의 이송 복귀 등의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카드(13)의 표시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표시 정보의 변경을 원활하면서도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50)는 표시 변경 장치(1)와 같은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구비한 것이므로, 다소 사이즈나 형상 등이 소정의 규격에 대하여 변동을 갖는 트레이(10)가 공급되어도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트레이(10)에 장착된 카드(13)에 대하여 적절한 압박력으로 부딪치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50)는 표시 변경 헤드부(152)와 카드(13)와의 접촉 불량이나, 표시 변경 헤드부(152)가 지나치게 강하게 카드(13)에 부딪치게 함에 따른 인쇄 불량이나 소거 불량 등과 같은 표시 정보의 변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 150)는 모두 카드 재기입 장치(3)에 내장되어 있는 표시 변경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표시 변경 헤드부(152)를 밀착시켜서 표시 정보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13에 나타내는 표시 변경 장치(170)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변경 장치(170)는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50)와 거의 같은 구조를 갖지만, 표시 변경 헤드부(152) 대신에 정보 통신 장치(171)(리더 라이터)가 부착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표시 변경 장치(170)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카드(13) 대신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드(172)가 채용된다.
정보 통신 장치(171)는, 카드(172)에 표시해야 할 소정의 정보,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정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카드(172)는, 도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73)와 표시부(175)를 갖는다. 카드(172)는 정보 통신 장치(171)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데이터 처리부(173)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고, 그 결과 데이터 처리부(173)에 축적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부(175)에 표시 가능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 처리부(173)는 소위 RFID(Radio Frequency Identincation) 태그라 불리우는 것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데이터 처리부(173)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부(173a) 등의 통신 수단이나, IC(집적 회로) 칩(173b)과 같은 기억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데이터 처리 수단이나 전파 정류 수단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173)는, 안테나부(173a)가 정보 통신 장치(171)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전자 유도 등의 공진 작용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한다. 이 기전력에 의해, IC 칩(173b)이 기동하고, 정보 통신 장치(171) 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이때, 필요에 따라서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정보 통신 장치(171) 측으로 송신된다. 즉, 데이터 처리부(173)는 정보 통신 장치(171)로부터 발신되는 전파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73)는, 예를 들면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종류나 양, 이 약제의 조제일이나 투약을 받는 환자에 관한 개인 데이터를 IC 칩(174)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IC 칩(174)에 보유 지지시키는 개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카드(172)가 부착된 트레이(10)에 할당된 환자의 성명이나 성별, 연령, 병동, 병실 번호, 주소, 전화 번호, ID 번호, 보험증 번호, 투약 경험 연수, 병력, 병상, 신장, 체중, 처방전,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투약 시스템(5)의 사용자 등이 적당하게 선택 한 것이 채용된다.
표시부(175)는, 소위 콜레스테릭 액정이나 전자 페이퍼라 불리우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표시부(175)는 데이터 처리부(173)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IC 칩(17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 가능한 것이다. 표시부(175)는 표시면에 표시할 정보의 기입이나 소거 시에 전력을 필요로 하지만, 일단 표시면에 정보가 표시되면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정보의 표시를 계속 가능한 것이다. 그로 인해 표시부(175)는, 예를 들면 정보 통신 장치(171)와 데이터 처리부 시에 전자 유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발전력을 이용해서 표시면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의 기입이나 소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카드(172)는 도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장치(171)와는 별도로 준비된 정보 통신 단말기(180)로부터 데이터 처리부(173)를 향해 전파를 송신함으로써도 데이터의 송수신이나, 데이터 처리부(173)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갱신, 표시부(175)의 표시 정보의 갱신 등을 행할 수 있다.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는,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정보휴대 단말기나 정보 관리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의사나 간호사 등에 PDA 등의 정보 통신 단말기(180)를 휴대시켜 두면, 이 정보 통신 단말기(180)를 이용해서 트레이(10)에 장착된 카드(172)의 데이터 처리부(17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처방전이나, 주사의 주사전를 판독하거나, 약제의 처방 경험 연수 등을 IC 칩(173b)에 기입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172)는, IC 칩(174)의 기억 정보를 표시부(175)에 대하여 표시함으로써 트레이(10) 내에 수용 되어 있는 약제나 이 약제를 수취하는 환자의 정보를 나타내는 라벨로서의 기능 외에 추가로, 정보 기억 매체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드(172)와 정보 통신 장치(180)를 이용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나 갱신을 행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채용하면,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요했던 처방전이나 주사전과 같은 종이 매체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종이 매체를 삭감하거나, 종이 매체에의 인쇄용의 프린터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채용하면,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장치를 심플한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운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처방전이나 주사전 등의 종이 매체와, 카드(172)와 정보 통신 장치(180)를 조합해서 구축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병용함으로써, 약제를 실수로 처방하는 등의 실수 발생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는, 카드(172)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개인 정보 등에 대하여 충분한 시큐러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특히 중요한 처방전이나 주사전 등의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 시에 패스워드의 입력을 재촉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생체 인증 시스템 등을 이용해서 조작자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입원하고 있는 것을 알리고 싶지 않은 환자가 있는 경우와 같이, 프라이버시나 개인 정보를 충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카드(172)의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불필요해진 시점에서 소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카드(172)와 정보 통신 장치(180)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카드(172)의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거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투약 완료 후와 같이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불필요해진 시점에서, PDA 등의 정보 통신 단말기(180)로부터 전파나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이들의 정보를 소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환자의 프라이버시나 개인 정보의 보호에 충분히 배려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보 통신 장치(171)는 카드(172)와 비접촉 상태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할 수 있는 것이지만, 표시 변경 장치(170)에 대하여 인접하는 위치에 도래한 트레이(10)에 장착된 카드(172)에 대하여 확실하게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트레이(10)에 장착된 카드(172)에 대하여 데이터의 오송신이나 데이터의 도용을 방지하거나, 병원 등에 설치된 다른 기기류의 동작을 방해하는 방해 전파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력이 억제되고 있다. 그로 인해, 카드(172)의 표시 정보를 정보 통신 장치(171)로부터 발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정보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근접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표시 변경 장치(170)는 이것에 인접하는 위치에 트레이(10)가 도래하면,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 150)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작동시켜서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정보 통신 장치(171)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발신함으로써, 카드(172)의 표시 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70)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해, 카드(172)의 표시 정보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표시 변경 장치(1, 150)보다도 표시 정보의 변경을 더욱 원활하면서도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70)는 카드(172)의 표시 정보의 변경 시에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근접시킬 필요가 있지만,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 150)와 같이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밀착시킬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70)는 트레이(10)의 사이즈나 형상의 변동에 대하여 더욱 폭넓게 대응할 수 있다.
표시 변경 장치(170)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사이즈나 형상이 규정대로의 트레이(10)가 공급되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본체부(151)에 가장 근접한 경우에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정보 통신 장치(171)나 카드(172)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70)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정밀도의 향상이나, 시큐러티 상의 문제 등을 감안해서 표시 변경 장치(170)를 트레이(10)에 장착된 카드(172) 측으로 기울이는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정밀도가 불충분한 경우나, 높은 송수신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한해서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수신 정밀도 상의 과제나 시큐러티 상의 과제 등을 해소 가능한 경우에는, 표시 변경 장치(170)를 기울이지 않는 구성, 즉 도13의 (c)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70)를 프레임 등의 다른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고,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인 트레이(10)의 측면에는 소정의 정보 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해서 해당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 가능한 카드(172)가 장착되어 있고, 표시 변경 장치(170)는 피반송물의 측면에 마련된 장착부에 장착된 카드(172)에 대하여 소정의 정보 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표시 변경 수단으로서 정보 통신 장치(171)를 구비한 것이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70)에 따르면, 정보 통신 장치(171)와 카드(172)를 접촉시키지 않고 카드(172)의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재기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드(172)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데이터 통신 하기 위한 통신 수단[안테나부(173a)]과, 기억 수단[IC 칩(173b)]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부(173)와, 해당 데이터 처리부(173)를 거쳐서 공급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하는 표시부(175)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173)의 기억 수단인 IC 칩(173b)에 기억 수단에 기억시킬 수 있는 동시에, IC 칩(173b)에 기억된 정보의 전부 혹은 일부를 표시부(175)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하면, 카드(172)를 트레이(10)의 라벨로서 이용하는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기억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한 경우, 데이터 처리부(173)는 RFID 태그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카드(172)를 콤팩트화하면서, 데이터의 송수신 정밀도가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70)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안테나부(173a)] 사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교환에 수반하는 공진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부(173)가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172)는 상기한 공진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해서 표시부(175)의 표시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17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나,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의 갱신을 위해 별도로 전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75)는 표시면이 콜레스테릭 액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표시부(175)에 정보 표시를 유지하기 위해 카드(172)에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네마틱 액정을 표시부(175)에 이용한 경우에 비해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표시 변경 장치(1)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표시 변경 장치(1)를 구비한 투약 시스템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도14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변경 장치(1)이다. 본 실시 형태의 투약 시스템(5)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배출 장치(8)에 표시 변경 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투약 시스템(5)은, 도15와 같이 트레이 공급 장치(6)와, 약제 불출 장치(7)와, 트레이 배출 장치(8)를 갖는다. 투약 시스템(5)은, 병원 등에 있어서 행해지는「정시 처방」이라 불리우는 약제나 의료 재료(이하, 단순히 약제라 칭함)의 처방이나,「임시 처방」이라는 약제의 처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정시 처방이라 함은 입원 환자와 같은 투약을 받는 자(수취인)에게 미리 결정된 약제를 투약하기 위해 행해지는 처방이다. 정시 처방은, 예를 들면 약제의 처방을 행해야 할 날인 전날 밤과 같은 미리 결정되었을 때에, 수취인마다 결정된 트레이(10)에, 수취인에게 적당한 약제를 수용하는 동시에, 트레이(10)를 병동마다 소정의 블록마다 결정된 적재 선반 등으로 분류해 두고, 각 병동(블록)마다 투약하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또한, 임시 처방이라 함은 예를 들면 용태가 급변하는 등 하여 처방 내용의 변경을 행해야 할 환자(수취인)에 대한 처방이다. 임시 처방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투약하는 당일에 각 환자마다 약제가 처방된다.
트레이 공급 장치(6)는, 약제를 수용하는 트레이(10)를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된 반송 경로(9)를 향해 불출하는 장치이다. 트레이(10)는, 상기한 정시 처방이나 임시 처방에 있어서 투약을 받는 수취인마다 할당되는 것이다. 트레이(10)는 측면(11, 12) 중 어느 한쪽의 장착부(14)에 약제나 이 약제의 수취인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기호, 바코드 등과 같은 적절한 형태로 기입한 카드(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드(13)에는 트레이(10)에 할당된 환자의 병동명(13a)이나 병실명(13b), 투약 실시일(13c), 환자명(13d), 일본식 가나읽기(13e), ID 번호(13f)나, 카드(13)의 재기입 횟수(13g)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로 인해, 카드(13)를 참조하면, 트레이(10)에 할당된 환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재기입 횟수(13g)를 참조하면, 카드(13)가 내용 한도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13h)를 특정한 리더 등으로 판독하면, 바코드(13h)를 거쳐서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성별, 연령, 주소, 전화 번호, 보험증 번호, 투약 경험 연수, 병력, 병상, 신장, 체중, 처방전,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 적당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트레이(10)는 처방 완료 후에 카드(13)를 장착한 채의 상태에서 수집되어, 트레이 공급 장치(6)로 복귀된다. 또한, 회수된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었던 카드(13)가 내용 한도에 달하고 있는 경우나, 새로운 트레이(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신제품의 카드(13)를 측면(11, 12) 중 어느 한쪽의 장착부(14)에 삽입한 후, 트레이 공급 장치(6)에 세트된다.
트레이 공급 장치(6)로부터 불출된 트레이(10)는, 트레이 공급 장치(6)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송 경로(9)에 이동 적재되어, 약제 불출 장치(7) 측을 향해서 이동한다. 여기에서, 반송 경로(9)는,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 등과 같은 종래 공지의 반송 장치로 구성된 것이며, 트레이 공급 장치(6)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투약 시스템(5)에 있어서의 트레이(10)의 흐름 방향 최하류에 배치된 트레이 배출 장치(8)에 연결되는 일련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약제 불출 장치(7)는 트레이 공급 장치(6) 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트레이(10)에 대하여, 해당 트레이(10)에 할당된 약제의 수취인에 대응한 처방전 등의 지시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약제를 소정량만큼 불출하는 장치이다. 트레이(10)는 약제 불출 장치(7)에 있어서 소정의 약제가 수용된 후, 반송 경로(9)를 구성하는 컨베이어에 실어 트레이 배출 장치(8)를 향해 반송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이(10)는 앞선 투약 후에 수집되어, 적당한 순서로 중합하는 등 후에 트레이 공급 장치(6)에 세트된 것이다. 그로 인해, 약제 지불 장치(7)에 공급된 시점에서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과거(앞의 투약 시)에 이 트레이(10)를 이용해서 투약된 수취인이나,이 수취인이 수취한 약제에 관한 정보이며, 현재 이 트레이(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나 이 약제를 수취할 예정인 수취인의 정보와는 다르다. 그로 인해, 약제 불출 장치(7)에 있어서 약제의 불출이 완료된 후는, 반드시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기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투약 시스템(5)에서는 약제 불출 장치(7)의 하류 측에 배치된 트레이 배출 장치(8)에 표시 변경 장치(1)를 부착하고, 이 표시 변경 장치(1)에서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표시 변경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레이 배출 장치(8)는 투약 시스템(5)의 최하류에 배치된 장치이며, 표시 변경 장치(1)에 의해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를 추출해서 재기입하여, 장착부(14)로 복귀시킨 후, 이 트레이(10)를 전방에 배치된 적재 선반(54)에 이동 적재하는 장치이다. 트레이 배출 장치(8)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경로(9)로부터 이동 적재되어 온 트레이(10)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15a)와, 반송 장치(15a) 위에 존재하는 트레이(10)를 쥐고 적재 선반(54)으로 이동 적재하기 위한 핸들링 장치(15b)(이동 적재 장치) 외에, 반송 장치(15a)에 의해 반송되어 온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의 탈착 및 표시 변경을 행하기 위한 표시 변경 장치(1)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 변경 장치(1)는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의 장착부(14)에 부착된 카드(13)를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기입한 후, 카드(13)를 장착부(14)로 복귀시키는 장치이다. 표시 변경 장치(1)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착 장치(2)와 표시 변경 장치(3)를 연결한 것이며, 상자형의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카드 탈착 유닛(1)은 탈착 장치(2)의 헤드부(21) 측이 반송 장치(15a) 측을 향하는 자세가 되어, 트레이 배출 장치(8)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착 장치(2)는 경계측방(25c) 측(도16에 있어서 좌측 측)이며, 본체부(25)의 배면(25b) 측의 부위에 마련된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동작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체부(25)는 금속제의 프레임판(23a, 23b)을 상하에 배치하고, 이들을 중개하도록 지지판(23c), 지지축(23d), 수압벽(23e), 및 지지판(23f)을 고정함으로써 외형이 형성된 것이다.
탈착 장치(2)는 본체부(25)의 경계측방(25c) 측, 즉 도16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좌측 측이며, 본체부(25)의 배면(25b) 측의 부위에 마련된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지지축(26)을 거쳐서 반송 장치(15a)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표시 변경 장치(1)는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반송 장치(15a) 및 이로써 반송되는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판(23c)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장치(2)를 설치한 상태에서 경계측방(25c) 측에 상당하는 위치, 즉 표시 변경 장치(3)와의 경계 부분 근방이며, 본체부(25)의 정면(25a) 측의 위치에, 프레임판(23a, 23b)에 걸쳐 고정된 금속판이다. 지지판(23c)은 프레임판(23a, 23b)을 연결하는 부재이며, 이 중간 부분, 즉 프레임판(23a, 23b) 사이의 부위에 탈착 장치(2) 내를 흐르는 카드(13)를 검지하기 위한 기입측 센서(27)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축(23d)은 지지판(23a)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금속제의 축 부재이며, 지지판(23c)과 같이 프레임판(23a, 23b)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수압벽(23e)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장치(2)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말단부 측방(25d) 측에 상당하는 위치이며, 배면(25b) 측의 부위에 고정된 것이며,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세워 설치된 벽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압벽(23e)은 본체부(25)의 배면(25b) 측에 배치된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편심 캠(112)의 외주 부분이 접촉되어 압박되는 부분이다.
수압벽(23e)은 프레임판(23a) 측의 위치에, 절결부(30)를 갖는다. 절결부(30)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헤드부(21)를 통과하는 카드(13)를 검지하기 위한 헤드 측 카드 위치 검출 센서(28)가 절개부(30)에 노출되도록 부착된다.
수압벽(23e) 중, 배면(25d) 측에는 액튜에이터(29)(간격 조정 수단)가 부착되어 있다. 액튜에이터(29)는 통전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신축하는 신축축(29a)을 갖는다. 신축축(29a)은 프레임판(23a)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 선단부에는 프레임판(23a)을 횡단하도록 배치된 연결 로드(29b)의 일단부 측이 핀 고정되어 있다. 연결 로드(29b)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헤드부(21)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35)의 천정면부(37)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압벽(23e) 중, 경계측방(25c) 측의 측면에는 도16이나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된 후크형 부재(34)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형 부재(34)는, 후술하는 헤드부(21)의 프레임 부재(35)가 본체부(25)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지지판(23f)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벽(23e)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프레임판(23a, 23b)에 걸쳐 중개하도록 고정된 금속판이다. 지지판(23f)은 프레임판(23a, 23b)에 고정했을 때에 프레임판(23a, 23b)을 따라 정면(25a) 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천정면부(31) 및 바닥면부(32)와,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있어서 정면(25a) 측을 향해서 돌출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한 측면부(33)를 갖는다. 측면부(33)에는 다이시트부(33a, 33b)가 설치되어 있다. 다이시트부(33a)에는, 후술하는 헤드부(21)의 프레임 부재(35)에 장착되어, 헤드부(21)를 본체부(25) 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42)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다이시트부(33a)에는 카드 유무 검출 센서(49)가 부착되어 있다. 다이시트부(33b)에는, 후술하는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시트부(101)와 본체부(25)를 연결하여, 본체부(25)를 위치 조정 기구부(100) 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4)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부(24)는 본체부(25)의 연신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부착된 모터(18)를 동력원으로 하는 것이며, 모터(18)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중계축(19)을 거쳐서 헤드부(21) 측 및 카드 이송부(22) 측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이다.
모터(18)는 출력축(18a)이 프레임판(23a)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출력축(18a)의 선단부에는 출력 기어(18b)가 고정되어 있다. 중계축(19)은 출력축(18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이며, 프레임판(23a, 23b)의 쌍방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중계축(19)은 프레임판(23a, 23b)의 쌍방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중계축(19)의 하단부, 즉 중계축(19) 중 프레임판(23b)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금속으로 된 헤드 측 중계 기어(19a)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계축(19)의 상단부, 즉 중계축(19) 중 프레임판(23a)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수지제로 헤드 측 중계 기어(19a)보다도 대직경의 이송 측 중계 기어(19b)가 고정되어 있다. 헤드 측 중계 기어(19a) 및 이송 측 중계 기어(19b)는, 각각 후술하는 헤드부(21)의 입력측 기어(46) 및 카드 이송부(22) 측의 종동 기어(81a)에 접속되어 있고, 모터(18)의 토크를 헤드부(21) 측 및 카드 이송부(22) 측으로 전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1)는 카드(13)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에 마련된 장착부(14)에 대하여 탈착하기 위한 탈착 기구의 주요부를 이루는 것이다. 헤드부(21)는, 후술하는 출력축(45)에 부착된 롤러(58)를 카드(13)의 표면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출력축(45)을 회전시킴으로써 카드(13)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부(21)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프레임 부재(35)에 입력축(43)과, 출력축(45)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입력축(43)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35)를 관통하여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35)는 입력축(43)에 의해 본체부(25)에 대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어 있고, 입력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자세를 기울일 수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부(36)와, 이 배면판부(36)에 대하여 정면(25a) 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한 천정면부(37), 바닥면부(38) 및 측면부(39)에 의해 3변이 둘러싸인 영역을 갖고, 나머지의 1변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후크형 부재(34)는, 헤드부(21)가 소정 각도를 초과해서 본체부(25)에 대하여 경사지면 후크형으로 절곡한 부분이 상기 개방 부분에 걸린다. 그로 인해, 헤드부(21)의 프레임 부재(35)는 후크형 부재(34)에 프레임 부재(35)의 개방 부분이 걸릴 정도의 각도까지 본체부(25)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측면부(39)에는, 천정면부(37), 바닥면부(38) 및 측면부(39)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스프링 부착부(39b)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착부(39b)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1)의 입력축(43) 측의 단부를 배면(25b) 측을 향해 인장하여, 헤드부(21)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42)을 부착하기 위해 마련된 부위이다.
프레임 부재(35)는 배면판부(36)의 경계측방(25c) 측의 위치이며, 프레임판(23a, 23b)의 중간에 상당하는 위치에, 정면(25a) 측을 향해서 돌출된 블록 형상의 볼록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면부(37) 및 바닥면부(38)는 헤드부(21)를 본체부(25)에 부착했을 때에 경계측방(25c) 부근이며, 정면(25a) 측에 상당하는 부분이, 사각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이 사각 형상의 절결 부위는, 후술하는 출력축(45)용의 다이시트(44)를 부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프레임 부재(35)는 배면판부(36)에 절결부(41)를 갖는다. 절결부(41)는 본체부(25)에 대하여 프레임 부재(35)를 부착한 상태로 했을 때에 수압벽(23e)의 절결부(30)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탈착 장치(2)는 헤드부(21)를 통과하는 카드(13)를 헤드 측 카드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는 도16이나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25a) 측으로부터 관찰한 상태에서 배면판부(36)가 수압벽(23e)에 대향하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35)는 천정면부(37)가 프레임판(23a) 측을 향해, 바닥면부(38)가 프레임판(23b)을 향하는 자세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35)는 스프링 부착부(39b)가 프레임판(23a, 23b)의 말단부 측방(25d)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입력축(43)에 의해 저어널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5)의 천정면부(37)이며 출력축(45) 근방의 위치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29)의 신축축(29a)에 접속된 연결 로드(29b)의 선단부 부분이 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35)는, 프레임 부재(35)의 측면부(39) 측의 위치에 배치된 입력축(43)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튜에이터(29)의 신축축(29a)을 신축시키면, 헤드부(21)가 입력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출력축(45) 측의 부위가 지지판(23c)에 대하여 근접, 이격한다. 즉, 헤드부(21)는 액튜에이터(29)의 동작에 따라 본체부(25)에 대한 프레임 부재(35)의 경사가 입력축(43) 측을 중심으로 하여 변화되어, 프레임 부재(35)의 배면판부(36)가 수압벽(23e)에 맞닿는 자세로부터, 프레임 부재(35)의 전방에 있어서 절곡된 후크형 부재(34)에 맞닿는 자세의 범위 내에서 기울기를 바꿀 수 있다. 그로 인해, 출력축(45)에 부착된 롤러(58, 58)는 프레임판(23a, 23b)의 정면(25a) 측의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나 인입한 상태가 된다.
입력축(43)은, 도17에 도시한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가 하방측의 프레임판(23b)을 관통해서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입력축(43)중, 프레임판(23b)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입력측 기어(46)가 입력축(43)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입력측 기어(46)는 상기한 중계축(19)의 헤드 측 중계 기어(19a)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금속제의 기어이다. 입력측 기어(46)는, 기어가 달린 벨트(59)를 거쳐서 헤드 측 중계 기어(19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어가 달린 벨트(59)는 입력측 기어(46)와 헤드 측 중계 기어(19a)와의 중간에 배치된 장력 롤러(63)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모터(18)가 기동하면, 이 동력이 중계축(19) 및 기어가 달린 벨트(59)를 거쳐서 입력축(43)에 전달되어, 입력축(43)이 회전한다.
입력축(43)의 중간 부분, 즉 헤드부(21)를 본체부(25)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판(23a, 23b)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금속제로 중계 기어(19a)와 대략 동일 직경의 중계 기어(47)가 입력축(43)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출력축(45)은 다이시트(44)를 거쳐서 프레임 부재(35)의 배면판부(36)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이시트(44)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 가공해서 성형된 것이며, 출력축(45)이 부착되는 다이시트 본체(48)와, 다리부(50, 50)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시트 본체(48)는 헤드부(21)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35)의 천정면부(37)와 바닥면부(38)와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길이(높이)로 되어 있으며,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51) 및 하단부(52)가 배면(25b) 측을 향해서 절첩되어 외형이 대략「역ㄷ」자형으로 되어 있다. 출력축(45)은 다이시트 본체(48)의 상단부(51) 및 하단부(52)에 대하여 자유롭게 상대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50, 50)는 다이시트(44)의 길이(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상단부(51)나 하단부(52)와는 반대 방향, 즉 프레임 부재(35)의 배면판부(36) 측을 향하도록 절첩해서 형성된 것이다. 다리부(50, 50)를 구성하는 면은, 상단부(51)나 하단부(52)를 구성하는 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다이시트(44)는, 다리부(50, 50)에 의해 프레임 부재(35)에 마련된 볼록부(40)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이시트(44)는 다리부(50, 50) 및 볼록부(40)를 횡단하는 요동축(53)에 의해 볼록부(40)에 대하여 저어널되어 있다. 또한, 다이시트 본체(48)의 이면측, 즉 프레임 부재(35)의 배면판부(36) 측을 향하는 면과, 배면판부(36) 사이이며, 다리부(50, 50)의 상하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스프링(55, 55)이 개재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다이시트(44)는 출력축(45)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면, 요동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다이시트(44)가 배면판부(36)에 대하여 기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출력축(45)의 상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외력이 작용하면, 다이시트(44)의 상단부가 배면판부(36)에 근접하여, 다이시트(44)의 하단부가 배면판부(36)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기울고, 출력축(45)의 하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외력이 작용하면 역방향으로 기운다.
출력축(45)의 축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출력 측 기어(56)가 출력축(4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없도록 부착되어 있다. 출력 측 기어(56)는, 기어가 달린 벨트(57)를 거쳐서 입력축(43)의 중간 위치에 마련된 중계 기어(47)에 접속되어 있다. 기어가 달린 벨트(57)는 입력축(43)과 출력축(45)과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35)에 부착된 장력 롤러(63)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어 있다. 또한, 출력 측 기어(56)의 상방 및 하방에는, 고무제의 롤러(58, 58)가 출력축(45)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출력축(45)에 부착된 롤러(58)는, 입력축(43)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한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이며, 본체부(25)의 정면(25a) 측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는, 경계측방(25c) 방향을 향해서 연신하는 띠 형상의 가이드 부재(61, 61)와 트레이 압박 부재(62)(해제 수단) 사이에 형성된 슬릿형의 부위이다. 도16이나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판(23a, 23b) 중,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도입 부재(65, 65)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 부재(65, 65)는, 각각 가이드 부재(61, 61)의 연신 방향을 따라 절입을 넣고, 상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이로써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의 개구가 넓어져 있다. 즉,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는 후술하는 카드 통로(70)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약간 넓게 개구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61, 61)는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하방 혹은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고정된 띠 형상의 부재이며,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25)의 경계측방(25c)을 향해서 연신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61, 61)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카드 이송부(22)의 입구 부근까지 연신하는 부재이며, 대략「S」자형으로 만곡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61, 61)는,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카드 이송부(22) 내에 형성되는 카드 통로(7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트레이 압박 부재(62)는, 도16이나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함으로써 부착부(62a)와 압박부(62b)를 형성한 부재이다. 트레이 압박 부재(62)는, 부착부(62a)와 압박부(62b)와의 경계 부분 근방에 마련된 롤러 노출구(66)를 갖는다. 트레이 압박 부재(62)에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를 통과하는 카드(13)를 안내하기 위한 보조 롤러(67)가 롤러 노출구(66)로부터 카드 통로(70) 측에 노출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트레이 압박 부재(62)는 부착부(62a)와 압박부(62b)와의 경계 부분이 도입 부재(65, 65)의 기단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판(23a, 23b)의 정면(25a) 측에 고정되어 있다. 트레이 압박 부재(62)는 부착부(62a)가 프레임판(23a, 23b)의 정면(25a) 측의 모서리 단부를 따라, 압박부(62b)가 상기 모서리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압박부(62b)는 탈착 장치(2)를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헤드부(21)를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에 접촉시켰을 때에, 삽입구(14b)를 막고 있는 돌출부(17)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카드(13)의 탈착을 위해 탈착 장치(2)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 측에 밀접시킨 상태로 하면, 압박부(62b)에 의해 돌출부(17)가 트레이(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압입되어, 삽입구(14b)로부터 장착부(14)에 카드(13)를 출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카드 이송부(22)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 부재(61, 61)나, 가이드 프레임(71, 72)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형의 카드 통로(70)와, 카드 이송 기구(75)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카드 통로(70)는 본체부(25)의 정면(25a) 측이며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와의 경계부에 마련된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를 연결하는 만곡한 슬릿형의 통로이다.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는, 본체부(25)의 경계측방(25c) 측의 말단 부분이며, 본체부(25)의 두께 방향 대략 중앙부, 즉 정면(25a) 측과 배면(25b) 측과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세로 길이로, 카드(13)가 1매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슬릿형 개구이다.
가이드 프레임(71)은 카드 통로(70)의 정면(25a) 측의 벽면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프레임이며, 카드 통로(70)를 따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71)은, 본체부(25)의 천정면을 구성하는 프레임판(23a)과, 바닥면을 구성하는 프레임판(23b)의 쌍방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71)에는, 후술하는 롤러(87 내지 89)가 노출 가능한 롤러 노출 창(7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롤러 노출 창(77)에 대하여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센서 노출 창(80)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노출 창(80)은, 카드 통로(70)에 대하여 출입하는 카드(13)를 검지하기 위해 지지판(23e)에 부착된 센서(78)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가이드 프레임(71)에 대하여 배면(25b) 측에 인접한 위치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87 내지 89)를 지지하는 롤러 축(81 내지 83)이 배치되어 있다. 롤러 축(81 내지 83)은, 각각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카드 통로(70)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롤러 축(81)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프레임판(23a, 23b)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며, 해당 부위에 종동 기어(81a, 81b)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롤러 축(82, 83)은 하단부가 각각 프레임판(23b)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도17이나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부위에 종동 기어(82a, 83a)가 부착되어 있다.
종동 기어(81a)는, 모터(18)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중계축(19)의 상단부에 부착된 이송 측 중계 기어(19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종동 기어(81b)와 종동 기어(82a)가 중계 기어(84a)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종동 기어(82a)와 종동 기어(83a)가 중계 기어(84b)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모터(18)가 기동하면, 모터(18)의 동력이 중계축(19)의 이송 측 중계 기어(19b)로부터 종동 기어(81a)에 전달되어, 롤러축(81)과 이것에 부착된 롤러(87)가 회전한다. 이와 함께, 롤러 축(81b)으로 전달된 동력이 종동 기어(82a, 83a) 및 중계 기어(84a, 84b)를 거쳐서 롤러 축(82, 83)에 전달되어, 롤러 축(82, 83)과 이것에 부착된 롤러(88, 89)가 회전한다. 롤러(87 내지 89)는, 각각 카드 통로(70) 내를 향해 노출되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카드 통로(70) 내에 카드(13)가 도입되면, 롤러(87 내지 89)로부터 카드(13)에 동력이 전달되어, 카드(13)가 카드 통로(70) 내를 진행한다.
가이드 프레임(72)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통로(70)의 배면(25b) 측의 벽면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프레임이다. 가이드 프레임(72)은 카드 통로(70)나 가이드 프레임(7l)을 따른 형상으로 만곡한 통로 구성부(72a)와, 가이드 프레임(72)을 본체부(25)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로 구성부(72a)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프레임판(23a, 23b)을 따라 배면(25b) 측으로 연신하는 천정부(72b)와 바닥부(72c)를 갖는다. 가이드 프레임(72)은 모터(18)에 인접하는 위치에 프레임판(23a, 23b)에 대하여 고정된 축 부재(93)를 지지축으로 하여 본체부(25)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72)에는 상부면(72b) 및 바닥면(72c) 사이를 중개하도록 롤러 축(85, 86)이 부착되어 있다. 롤러 축(85, 86)의 중간 부분에는, 수지로 만든 보조 롤러(91, 92)가 롤러 축(85, 8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통로 구성부(72a)에는 카드 통로(70)에 대하여 보조 롤러(91, 92)를 노출하기 위한 롤러 노출 창(95a, 95b)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 축(85, 86)은, 천정부(72b) 및 바닥부(72c)에 마련된 축 구멍(85a, 85a) 및 축 구멍(86a, 86a)에 삽입되고, 이 축 구멍(85a, 85a) 및 축 구멍(86a, 86a)으로부터 탈락 불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천정부(72b) 및 바닥부(72c)에 마련된 긴 구멍은, 가이드 프레임(72)을 본체부(25)에 장착한 상태에서 카드 통로(70)로부터 배면(25b) 측을 향해 연신되는 것이다. 롤러 축(85, 86)은 통로 구성부(72a)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의 부위에 롤러 축(85, 86)에 덮이도록 부착된 압박 스프링(94a 내지 94d)에 의해 통로 구성부(72a) 측(도20에 있어서 화살표 F1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그로 인해, 보조 롤러(91, 92)는 카드 통로(70) 내를 통과하는 카드(13)의 두께 등의 조건에 관계없이, 카드(13)와 카드 통로(70)의 정면(25a) 측에 배치된 롤러(87 내지 89)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카드(13)의 미끄럼 이동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카드(13)를 압박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72)에는, 롤러 축(85, 86)보다도 배면(25b) 측(도20에 있어서 전방)이며, 롤러 축(85, 86)의 중간에 상당하는 위치에 계지축(96)이 설치되어 있다. 계지축(96)은 가이드 프레임(72)의 천정부(72b) 및 바닥부(72c)에 마련된 가이드 프레임(72)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90, 90)에 삽입되어 가이드 프레임(7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긴 구멍(90, 90)으로부터 탈락 불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계지축(96)은 가이드 프레임(72)과 계지축(96)에 걸쳐 장착된 스프링(94e, 94f)에 의해 본체부(25)에 대하여 경계측방(25c) 측으로 압박되고 있다. 프레임판(23a, 23b)에는 계지축(96)이 걸림 가능한 후크형의 계지부(97)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72)은, 도1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97)에 계지축(96)을 계지시킴으로써 본체부(25)에 대하여 고정되어, 카드(13)가 통과 가능할 정도의 폭의 카드 통로(70)를 형성한다.
표시 변경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탈착 장치(2)의 카드 이송부(22)에 인접하는 위치에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접속한 구조로 되어 있다.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는, 일반적으로「리라이트 카드」라 불리우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드(13)의 표시면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 정보나 도형 정보, 바코드 등의 정보를 소거해서 표시 변경 가능한 장치이다.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에는 종래 공지의 리라이트 카드용의 기입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는, 카드(13)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를 카드 통로(70)의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에 인접한 위치로 오도록 탈착 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는 카드 통로(70)로부터 이송되어 온 카드(13)를 상기 출입구로부터 저장하고, 내부에서 카드(13)의 표시 정보를 재기입한 후, 탈착 장치(2)의 이송 측 카드 출입구(76)로부터 카드 통로(70)로 복귀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액튜에이터(29)를 동작시킴으로써 탈착 장치(2)에 인접하는 위치로 도래한 트레이(10)에 대하여 헤드부(21)를 근접시켜, 카드(13)의 탈착과 표시 변경을 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변경 장치(1)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드 유무 검출 센서(49)에 의해 표시 변경 장치(1)의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카드(13)가 도래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모터(113)를 기동해서 편심 캠(112)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캠(112)의 윤곽 부분에 의해 본체부(25)의 수압벽(23e)이 압박되어, 표시 변경 장치(1)가 트레이(10) 측으로 기운다.
도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편심 캠(112)이 다시 회전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가 다시 트레이(10) 측으로 기울어, 헤드부(21)의 롤러(58)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헤드부(21)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58)를 지지하는 출력축(45)이 부착된 다이시트(44)가 요동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이시트 본체(48)의 이면측으로부터 스프링(55)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헤드부(21)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압박되면, 다이시트(44)와 함께 출력축(45)이 측면(11)이나 측면(12)을 따르도록 기울어, 롤러(58)가 카드(13)의 표면에 확실히 면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헤드부(21)가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에 면 접촉한 상태가 되면, 본체부(21)의 정면(25a) 측에 부착되어 있는 트레이 압박 부재(62)의 압박부(62b)가 트레이(10)의 장착부(14)의 좌측 측에 마련된 돌출부(17)에 접촉한다. 돌출부(17)는, 트레이 압박 부재(62)에 의해 트레이(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헤드부(21)를 트레이(10)에 부딪치게 하면 삽입구(14b)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측면(11)이나 측면(12)에 대하여 카드(13)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카드(13)를 장착부(14)에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113)는, 센서(117)에 의해 편심부(115)가 수압벽(23e) 측에 도래한 것을 검지할 때까지 동작을 계속한다. 그로 인해, 도8과 같이 헤드부(21)의 롤러(58)가 카드(13)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도 모터(113)는 동작을 계속한다. 도8에 도시한 상태에서 모터(113)의 동작이 계속되면, 편심 캠(112)에 의해 수압벽(23e)을 누름으로써 편심 캠(112) 측에 작용하는 반작용력(Fr)이 점점 커진다. 그리고 이 반작용력(Fr)이 편심 캠(112)이 부착된 이동부(102)를 수압벽(23e) 측으로 인장하는 인장력(Fa)보다도 커지면, 도9와 같이 편심 캠(112)이 이동부(102)와 함께 수압벽(23e)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피한다. 이로써, 롤러(58)가 카드(13)에 대하여 적절한 압박력으로 압박되어, 롤러(58)와 카드(13)가 정확히 면 접촉한 상태가 되는 동시에, 편심 캠(112)이 회전을 계속해도 카드(13)에 대하여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수압벽(23e) 측에 도래한 것이 센서(117)에 의해 검지되면, 제어 수단은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모터(113)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본체부(25) 측의 모터(18)에의 통전을 시작한다. 이로써 모터(18)의 동력이 헤드(21) 측에 전달되어, 헤드부(21)의 출력축(45) 및 이것에 부착된 롤러(58)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롤러(58)가 회전하면, 롤러(58)에 면 접촉하고 있는 카드(13)가 측면(11) 혹은 측면(12)을 따른 방향에 미끄럼 이동하여, 삽입구(14b)로부터 빠져나온다. 삽입구(14b)로부터 빠져나온 카드(13)는,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는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를 거쳐서 카드 통로(70)로 보내진다.
도1과 같이 카드(13)가 카드 통로(70) 측으로 보내져, 헤드부(21)의 배면 측에 마련된 카드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한 카드(13)의 검지 신호가 끊어진 시점, 즉 카드(13)의 말단 부분이 카드 위치 검출 센서(28)의 설치 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제어 수단은 액튜에이터(29)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도21의 (b)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21)가 본체부(25) 측으로 인입하여, 도21의 (c)와 같이 트레이(10)의 측면(11)이나 측면(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카드 통로(70) 내에 있어서 카드(13)를 보내는 사이, 모터(18)를 동작시킴으로써 헤드부(21)의 롤러(58)가 회전을 계속해도 롤러(58)와 트레이(10)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롤러(58)가 마모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카드 통로(70) 내로 카드(13)가 보내지면, 카드(13)는 카드 통로(70)를 따라 배치된 롤러(87 내지 89)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이송 측 출입구(76) 측으로 보내져,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 보내진다. 카드(13)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 보내지면, 제어 수단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를 동작시켜, 카드(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표시 변경을 행한다.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에 있어서 카드(13)의 표시 변경이 완료되면, 카드(13)가 탈착 장치(2)의 본체부(25)에 마련된 이송 측 출입구(76)로 복귀된다. 이와 동시, 혹은 카드 표시 변경 장치(3)에 카드(13)가 보내진 시점에서, 제어 수단은 모터(18)에의 통전 상태를 절환하여, 모터(18)의 출력축(18a)의 회전을 역전시킨다. 이로써, 카드 이송부(22)의 롤러(87 내지 89)나 헤드부(21)의 롤러(58, 58)가 카드(13)를 트레이(10)로부터 제거했을 때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카드 표시 변경 장치(3)로부터 복귀된 카드(13)는, 카드 통로(70) 내를 헤드부(21) 측을 향해 흐르고, 도21의 (c)와 같이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로부터 본체부(25)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카드(13)가 헤드 측 카드 출입구(60)로부터 돌출하여, 카드 위치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지되면, 제어 수단은 액튜에이터(29)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신축축(29a)을 원래의 상태, 즉 정면(25a) 측으로 신장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도21의 (b)와 같이 카드(13)가 헤드부(21)의 롤러(58, 58)와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 사이에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롤러(58, 58)의 동력이 카드(13)에 전달되어, 카드(13)가 트레이(10)의 장착부(14)에 삽입된다.
카드 유무 검출 센서(49)에 의해 카드(13)가 장착부(14)에 수용된 것이 검지 되면, 제어 수단은 본체부(25)에 마련된 모터(18)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후에 제어 수단은 위치 조정 기구부(100)의 모터(113)에의 통전을 시작하고, 편심 캠(112)을 도9의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편심 캠(112)의 편심부(115)가 점차로 수압벽(23e)으로부터 멀어져, 본체부(25)가 다이시트부(33b)에 부착된 스프링(64)에 의해 트레이(10)로부터 사이가 벌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카드(13)의 탈착 및 표시 변경이 완료되면, 제어 수단은 반송 장치(15a)의 상방에 배치된 핸들링 장치(15b)를 작동시켜, 트레이(10)를 반송 장치(15a)로부터 트레이 배출 장치(8)의 전방에 배치된 적재 선반(54)에 이동 적재된다. 이로써, 표시 변경 장치(1)는 트레이(10)에 대한 일련의 처방 동작을 완료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투약 시스템(5)의 운용에 대해서 도2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투약 시스템(5)이 기동되면, 투약 시스템(5)의 제어 장치는 의사 등의 지시를 기초로 하는 처방 오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1). 여기에서, 처방 오더 데이터라 함은 처방 대상인 환자의 성명이나 성별, 연령, 병동, 병실 번호, 주소, 전화 번호, ID 번호, 보험증 번호, 투약 경험 연수, 병력, 병상, 신장, 체중, 처방전,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 의사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 데이터를 가리킨다.
스텝 1에 있어서 처방 오더 데이터가 입력되면, 트레이 공급 장치(6)로부터 반송 장치(15)에 대하여 트레이(10)가 불출되고, 반송 장치(15)에 의해 하류 측으로 반송된다. 한편, 제어 장치는 미리 입력된 처방 오더 데이터에 의거하여 약제 불출 장치(7)를 동작시켜, 약제를 준비한다. 약제 불출 장치(7)에 있어서 약제의 준비가 완료되어, 트레이(10)가 약제 불출 장치(7)에 도달하면, 트레이(10)에 대하여 약제를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약제 불출 장치(7)에 있어서 약제의 투입 준비가 완료되면, 약제가 트레이(10)에 투입된다. 이와 함께, 제어 수단은 약제 불출 장치(7) 혹은 이것보다도 하류 측에 존재하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를 작동시켜, 트레이(10)에 투입된 약제에 관한 처방전이나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의 데이터를 인쇄하고, 이 인쇄물을 약제와 함께 트레이(10)에 투입시킨다. 이로써 트레이(10)에의 약제의 투입 동작이 완료된다(스텝 2).
스텝 2에 있어서 약제의 투입 동작이 완료되면, 트레이(10)가 약제 불출 장치(7)로부터 트레이 배출 장치(8)를 향해서 송출된다. 트레이(10)가 트레이 배출 장치(8)에 도달하면, 표시 변경 장치(1)가 상기한 순서로 동작하고, 트레이(10)의 측면(11) 혹은 측면(12)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를 재기입할 수 있다(스텝 3). 스텝(3)에 있어서 카드(13)의 재기입이 완료되면, 트레이 배출 장치(8)의 핸들링 장치(15b)가 작동하고, 트레이(10)가 트레이 배출 장치(8)의 전방에 준비된 적재 선반(54)에 이동 적재된다. 이로써, 트레이(10)의 불출 동작이 완료된다(스텝 4).
스텝 4에 있어서 적재 선반(54)에의 트레이(10)의 탑재가 완료되면, 스텝 5에 있어서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와,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한 인쇄물이 대조되어, 트레이(10) 내에 약제가 정확하게 불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약제 감사 동작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약제 감사 동작은 의사나 약사, 간호사 등에 의한 눈으로 확인하는 확인 방법이나, 약제에 첨부된 태그나 바코드 등을 이용한 기계적인 확인 방법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5에 있어서 약제가 정확하게 불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트레이(10)가 적재 선반(54)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한 일련의 제어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이 다시 행해진다. 한편, 스텝 5에 있어서 트레이(10)로 약제가 정확하게 불출된 경우에는, 트레이(10)가 적재 선반(54)에 탑재된 상태에서 병동 등으로 반송된다. 적재 선반(54)에 의해 반송된 트레이(10)는, 이것에 첨부되어 있는 카드(13)를 기초로 하여, 카드(13)에 기재되어 있는 환자를 담당하는 의사나 간호사 앞으로 보낼 수 있다. 의사나 간호사는,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처방전이나 주사전 등의 인쇄물을 기초로 하여, 트레이(10)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투약이나 주사를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되어 있는 표시 변경 장치(1)는 편심 캠(112)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부(25)를 회전시켜, 헤드부(21)를 카드(13)나 트레이(10)에 대하여 접촉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가 카드(13)나 트레이(10)에 접촉하여, 편심 캠(112)이 수압벽(23e)을 압박함으로써 작용하는 반작용력(Fr)이 편심 캠(112)이 부착된 이동부(102)를 수압벽(23e) 측으로 끌어당기는 인장력(Fa)보다도 커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편심 캠(112)이 이동부(102)와 함께 수압벽(23d)으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즈나 규격이 다른 트레이(10)가 혼재해서 공급되어도, 각 트레이(10)의 측면(11, 12)이나 카드(13)에 대하여 헤드부(21)의 롤러(58, 58)를 적절한 압박력으로 면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에서는, 헤드부(21)의 출력축(45)을 지지하고 있는 다이시트(44)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가 카드(13)나 트레이(10)에 대하여 부딪치게 되면 출력축(45)이 트레이(10)의 측면(11, 12)을 따르도록 기울어, 롤러(58, 58)의 외주면이 카드(13)에 대하여 확실하게 면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표시 변경 장치(1)는 사이즈나 형상이 다소 다른 트레이(10)가 혼재된 상황 하에서 사용되어도 헤드부(21)의 롤러(58)를 적절한 압박력으로 부딪치게 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카드(13)의 탈착 시에 롤러(58)가 미끄러지거나, 롤러(58)가 과도한 압박력으로 압박된 상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드 표시 변경 장치(1)는, 카드(13)를 확실하게 탈착할 수 있어, 롤러(58, 58)나 카드(13)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실시 형태나 실시예에서 나타낸 표시 변경 장치(1)는, 설치 상태에 있어서 탈착 장치(2)나 카드 표시 변경 장치(3)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된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 부재(99)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측면(11, 12)의 경사가 다른 트레이(10)가 순차적으로 공급되어도 표시 변경 장치(1) 전체가 각 트레이(10)의 측면(11, 12)을 따르도록 경사져, 롤러(58, 58)를 카드(13)나 측면(11, 12)에 대하여 확실하게 면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35)에 대하여 연결 로드(29b)를 거쳐서 액튜에이터(29)를 접속한 구성으로 하고, 액튜에이터(29)를 동작시킴으로써 프레임 부재(35)를 입력축(4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헤드부(21)의 롤러(58, 58)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이나 카드(13)에 대하여 근접, 이격시킬 수 있다. 즉, 표시 변경 장치(1)는 액튜에이터(29)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롤러(58, 58)와, 측면(11, 12)이나 카드(13)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는 도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13)의 탈착 동작 대기 중에 헤드부(21)를 측면(11, 12)이나 카드(13)로부터 멀어지게 해 두어, 롤러(58)나 카드(13), 트레이(10) 등이 마모되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에 따르면 카드(13) 등의 마모나 파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의 투약 시스템(5)에서는, 표시 변경 가능한 한 카드(13)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투약 시스템(5)에 따르면, 마모나 파손을 일으킨 카드(13)의 교환 등의 보수 빈도를 최소한으로 하는 동시에, 운전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에 부딪치게 하면 본체부(25)의 정면(25a) 측이며, 헤드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 부착된 트레이 압박 부재(62)의 압박부(62b)가 트레이(10)의 삽입구(14b)를 폐색하고 있는 돌출부(17)를 압박하여, 삽입구(14b)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표시 변경 장치(1)는 헤드부(21)를 트레이(10)의 측면(11, 12)에 면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삽입구(14b)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어, 카드(13)의 탈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나 실시예에 나타낸 표시 변경 장치(1)는, 모두 위치 조정 기구부(100)가 편심 캠(112)에 의해 탈착 장치(2)의 수압벽(23e)을 누르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편심 캠(112)이나 모터(113)를 설치하는 대신에 헤드부(21)의 위치 조정용으로 마련된 액튜에이터(29)와 같은 것을 이동부(102)에 부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투약 시스템(5)의 최하류 측에 배치된 트레이 배출 장치(8)에 표시 변경 장치(1)를 배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보다도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 공급 장치(6)나 약제 불출 장치(7)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트레이 공급 장치(6)나 약제 불출 장치(7), 트레이 배출 장치(8)를 연결하는 반송 경로(9)의 도중에 별도로 독립해서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투약 시스템(5)은,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표시 변경 장치(1)를 구비한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변경 장치(1)를 대신해서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50)나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구성이라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를 대신해서 표시 변경 장치(15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표시 변경 장치(1)를 채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시 헤드부(152)에 대향하는 위치에 트레이(10)가 도래한 시점에서 트레이(10)를 일시 정지시킨다. 그리고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작동시켜, 도1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3)에 대하여 헤드부(152)를 압박한다. 그 후에 반송 장치(15a)를 동작시켜, 도12의 (c)에 화살표 B나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0)를 표시 헤드부(1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카드(13)의 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소거나, 표시면에의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표시 변경 장치(1)를 대신해서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표시 변경 장치(1, 150)를 채용한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카드(172)의 표시부(175)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표시 변경 장치(1)를 채용한 경우와 같이 본체부(151)에 장착되어 있는 정보 통신 장치(171)에 대향하는 위치에 트레이(10)가 도래하면 트레이(10)를 일시 정지시킨다. 그리고 위치 조정 기구부(100)를 작동시켜, 트레이(10)에 장착되어 있는 카드(172)와 정보 통신 장치(171)와 근접시킨다. 그 후에 제어 장치는, 정보 통신 장치(171)를 작동시켜, 환자의 성명이나 성별, 연령, 병동, 병실 번호, 주소, 전화 번호, ID 번호, 보험증 번호, 투약 경험 연수, 병력, 병상, 신장, 체중, 처방전, 주사전, 의사나 약사의 소견, 투약 시의 주의 사항 등과 같은 트레이(10)에 할당된 환자의 개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로써, 카드(172)의 데이터 처리부(173)에 개인 데이터가 기억되는 동시에, 이 개인 데이터의 전부 혹은 일부가 문자나 도형, 바코드 등과 같은 적절한 형태로 표시부(175)에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경우에는, 표시부(175)에 소정의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동시에, 데이터 처리부(173)에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정보 통신 장치(171)와는 별도로 준비된 정보 통신 단말기(180)로부터 카드(172)의 데이터 처리부(173)를 향해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부(173)에 기억된 개인 데이터를 호출하거나, 개인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카드(172)에 축적되어 있는 개인 데이터를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 적당한 프로그램 등을 편집해 두면, 예를 들면 처방전이나 주사전과 같은 감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투약 시스템(5)에 있어서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경우, 카드(172)나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 의해 구축되는 감사 시스템과 도23에 도시하는 운용 순서에 있어서 트레이(10)에 수용되는 처방전이나 주사전 등의 인쇄물을 병용해서 투약 시스템(5)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처방전이나 주사전 등의 인쇄물을 대신해서 카드(172)나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 의해 구축되는 감사 시스템을 채용하면, 투약 시스템(5)에 있어서의 종이 매체의 사용량을 삭감하거나, 프린터 등의 장치류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하면, 투약 시스템(5)의 운전 비용이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 변경 장치(170)를 채용한 경우에는, 정보 통신 단말기(180)와의 통신에 의해, 카드(172)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환자의 정보나,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원하는 타이밍에서 소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프라이버시나 개인 정보의 보호 관점으로부터, 트레이(10)에 수용된 약제를 투약한 후에, 카드(172)의 표시 정보나 IC 칩(173b)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소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지견을 기초로 하여, 표시 변경 장치(170)는 투약이 완료된 시점에서 정보 통신 단말기(180)를 조작함으로써 카드(172)를 향해 전파나 신호를 발신하여, 카드(172)의 표시 정보나 IC 칩(173b)에 기억 정보를 소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변경 장치(170)는 예를 들면 카드(172)와 정보 통신 단말기(180)와의 통신에 의해 정보 통신 단말기(180)에 판독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투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마련하여[도25의 (a) 참조], 투약이 완료된 것이 확인된 시점에서 도25의 (b)와 같이 카드(172)의 표시 정보나 기억 정보를 소거하는지 여부의 선택을 재촉하는 표시 등을 행하고, 여기에서의 선택에 의거하여 카드(172)의 표시 정보나 기억 정보를 소거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환자의 개인 정보나 기억 정보의 보호에 충분한 배려를 실시할 수 있다.
1, 150, 170 : 표시 변경 장치
2 : 탈착 장치(탈착 수단)
3 : 카드 표시 변경 장치(표시 변경 수단)
5 : 투약 시스템
10 : 트레이(피반송물)
13 : 카드
14 : 장착부
14b : 삽입구
17 : 돌출부(폐지 부재)
21 : 헤드부
23e : 수압벽
29 : 액튜에이터(간격 조정 수단)
44 : 다이시트
53 : 요동축
58 : 롤러(카드 이동 수단)
62 : 트레이 압박 부재(해제 수단)
70 : 카드 통로
71 : 가이드 프레임(탈착측 벽면)
72 : 가이드 프레임(수압측 벽면)
87, 88, 89 : 롤러(카드 이송 수단)
99 : 축 부재
100 : 위치 조정 기구부(이동 수단)
101 : 시트부
102 : 이동부
103 : 구동부
112 : 편심 캠(압박 부재)

Claims (10)

  1. 전파를 수신하면 기전력을 발생하고, 해당 기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부와, 해당 데이터 처리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피반송물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변경 가능한 것이며,
    소정의 정보 혹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로 송신 가능한 정보 통신 장치를 갖고,
    해당 정보 통신 장치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데이터 처리시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의 기입이나 소거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변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 통신 장치를 피반송물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변경 장치.
  3. 약제를 수용 가능한 피반송물을 공급하는 피반송물 공급 수단과, 해당 피반송물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피반송물에 대하여 소정의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수단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표시 변경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표시 변경 장치에 의해 피반송물에 설치된 표시부의 표시 정보를 변경하는 표시 변경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가, 표시 변경 장치의 정보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보 통신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정보 통신 단말에 의해 피반송물의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정보, 혹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정보를 소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정보의 표시 후,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정보의 표시를 계속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정보의 표시 후,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정보의 표시를 계속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피반송물의 측면에 장착된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피반송물의 측면에 장착된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피반송물의 측면에 장착된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피반송물의 측면에 장착된 카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약 시스템.
KR1020107016458A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1197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3148 2004-11-08
JPJP-P-2004-323148 2004-11-08
JP2005035521A JP4679168B2 (ja) 2004-11-08 2005-02-14 脱着装置、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JP-P-2005-035521 2005-02-14
PCT/JP2005/020062 WO2006049142A1 (ja) 2004-11-08 2005-11-01 脱着装置、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98A Division KR101255863B1 (ko) 2004-11-08 2005-11-01 탈착 장치,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67A true KR20100088167A (ko) 2010-08-06
KR101197834B1 KR101197834B1 (ko) 2012-11-05

Family

ID=363191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458A KR101197834B1 (ko)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20077010298A KR101255863B1 (ko) 2004-11-08 2005-11-01 탈착 장치,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20107016474A KR20100090729A (ko)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20107016457A KR101255887B1 (ko)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98A KR101255863B1 (ko) 2004-11-08 2005-11-01 탈착 장치,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20107016474A KR20100090729A (ko)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KR1020107016457A KR101255887B1 (ko) 2004-11-08 2005-11-01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941915B2 (ko)
EP (1) EP1816077B1 (ko)
JP (1) JP4679168B2 (ko)
KR (4) KR101197834B1 (ko)
AT (1) ATE459540T1 (ko)
DE (1) DE602005019774D1 (ko)
WO (1) WO2006049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9168B2 (ja) * 2004-11-08 2011-04-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脱着装置、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US8374887B1 (en) 2005-02-11 2013-02-12 Emily H. Alexander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supervising and verifying pharmacy functions
JP2009093538A (ja) * 2007-10-11 2009-04-30 Fujitsu Ltd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制御方法
ITUD20070202A1 (it) * 2007-10-24 2009-04-25 Baccini S P A Contenitore per lo stoccaggio di piastre per circuiti elettronici e relativo procedimento
JP5350724B2 (ja) * 2008-09-19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JP5208640B2 (ja) * 2008-09-19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払出装置および薬剤払出方法
JP5341650B2 (ja) * 2009-07-13 2013-11-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および媒体処理方法
JP2011083406A (ja) * 2009-10-15 2011-04-28 Tosho Inc 調剤システム
US9930297B2 (en) 2010-04-30 2018-03-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s of medication preparations
CN102883700B (zh) 2010-05-07 2014-05-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药品自动分配装置
JP5371054B2 (ja) * 2010-07-07 2013-12-1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調剤システム
JP5371059B2 (ja) * 2010-12-17 2013-12-1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調剤システム
JP5371055B2 (ja) * 2010-07-07 2013-12-18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調剤システム
CA2804204A1 (en) * 2010-07-07 2012-01-12 Tosho, Inc. Medicine dispensing system
EP2740459A1 (en) * 2012-12-10 2014-06-11 Evondos Oy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s, and medication dispenser
BR112017004547B1 (pt) 2014-09-08 2022-04-2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istema para a preparação de um composto farmacêutico e para avaliação e verificação de referida preparação
EP3368945B1 (en) 2015-10-30 2021-07-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elt drive for rewritable display medium
JP6524326B1 (ja) * 2018-11-09 2019-06-05 株式会社Nesi インテリジェントカードホルダ及びそれ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TW202120058A (zh) * 2019-07-23 2021-06-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卡片安裝裝置、卡片裝卸裝置、卡片夾以及托盤輸送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386A (en) * 1969-08-18 1972-06-20 Bio Logics Inc Encoding and verifying information
JPS61126338U (ko) * 1985-01-22 1986-08-08
JPH06227083A (ja) * 1993-02-03 1994-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転写プリンタ
US5604692A (en) * 1994-07-19 1997-02-18 Yuyama; Shoji Method of controlling drug conveyor system
JPH08281907A (ja) * 1995-04-19 1996-10-29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コ−ティング装置
JPH0951922A (ja) * 1995-06-09 1997-02-25 Yuyama Seisakusho:Kk 医薬品類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H09130999A (ja) 1995-10-31 1997-05-16 Nippon Steel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電池方式のrfid
AT403903B (de) * 1996-12-12 1998-06-25 Knapp Holding Gmbh Einrichtung zur zuführung und/oder entfernung eines beleges
JPH10234824A (ja) * 1997-02-26 1998-09-08 Yuyama Seisakusho:Kk 薬剤払出装置及び数量入力装置
US5849140A (en) * 1997-07-24 1998-12-15 Bilnoski, Jr.; Marvin Earl Label applicator
JP2000019510A (ja) 1998-06-30 2000-01-21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DE29818633U1 (de) * 1998-10-20 1999-06-24 HSW GmbH Paper Output Management, 86153 Augsburg Vorrichtung zum Einführen eines flachen Gegenstandes in seine Ränder umgreifende Führungen
JP2000196510A (ja) 1998-12-28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機器組み込み用の電磁誘導方式の通信用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機器
JP2002153542A (ja) * 2000-11-20 2002-05-28 Tosho Inc 調剤システム
JP3737697B2 (ja) * 2000-11-30 2006-01-1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搬器表示部材の書込み装置
ITRE20010037A1 (it) * 2001-04-06 2002-10-06 Athos Claudio Mattioli Applicatore automatico di etichette senza colla
US6597969B2 (en) * 2001-06-22 2003-07-22 Shlomo Greenwald Hospital drug distribution system
ITNA20020045A1 (it) * 2002-07-30 2004-01-30 Seieffe S R L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lastre di materiale composito.
US7698019B2 (en) * 2003-11-03 2010-04-13 Tech Pharmacy Services, Inc. System and software of enhanced pharmaceutical opera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related methods
US7332815B2 (en) * 2003-12-12 2008-02-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7130234B2 (en) * 2003-12-12 2006-10-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7319633B2 (en) * 2003-12-19 2008-01-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E602005022746D1 (de) * 2004-09-09 2010-09-16 Semiconductor Energy Lab Drahtloser chip
JP4679168B2 (ja) * 2004-11-08 2011-04-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脱着装置、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2006323623A (ja) * 2005-05-19 2006-11-3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更新システム
JP4816012B2 (ja) * 2005-11-09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
US8101334B2 (en) * 2008-02-13 2012-01-24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10016427A1 (en) * 2009-07-17 2011-01-20 Andre Gene Douen Systems, Methods and Articles For Managing Presentation of Information
US8983654B2 (en) * 2009-11-02 2015-03-17 Yuyama Mfg. Co., Ltd. Medicine packing apparatus
US8660687B2 (en) * 2010-03-30 2014-02-25 Mckesson Automation Inc. Medication bin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and an associate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27A (ko) 2010-08-16
ATE459540T1 (de) 2010-03-15
WO2006049142A1 (ja) 2006-05-11
DE602005019774D1 (de) 2010-04-15
JP4679168B2 (ja) 2011-04-27
EP1816077B1 (en) 2010-03-03
KR101197834B1 (ko) 2012-11-05
KR20100090729A (ko) 2010-08-16
US7941915B2 (en) 2011-05-17
EP1816077A4 (en) 2009-05-27
US20110185565A1 (en) 2011-08-04
US8393075B2 (en) 2013-03-12
KR101255863B1 (ko) 2013-04-17
US8091213B2 (en) 2012-01-10
KR101255887B1 (ko) 2013-04-17
US20120095592A1 (en) 2012-04-19
US20080104830A1 (en) 2008-05-08
KR20070084013A (ko) 2007-08-24
JP2006150036A (ja) 2006-06-15
EP1816077A1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834B1 (ko) 표시 변경 장치 및 투약 시스템
JP2006150036A5 (ko)
US6308886B1 (en) Terminal for issuing and processing data-bearing documents
USRE43549E1 (en) Writing device for display members on drug carrier
CN101185609B (zh) 管理有关医用液体及其容器的信息的系统与方法
JP5807239B2 (ja) 薬品自動払出装置
JP4643664B2 (ja) 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4679593B2 (ja) 投薬システム
JP4679592B2 (ja) 表示変更装置、並びに、投薬システム
JP4791063B2 (ja) 薬剤払出装置
JP3634024B2 (ja) 薬剤分包の検薬方法及び薬剤分包装置
US20230259721A1 (en) Card reader with enhanced tamper resistance
JP3913007B2 (ja) 自動通帳発行装置
KR20240030627A (ko) 처방전 키오스크
KR20080002269U (ko) 인쇄 가능한 알에프아이디 카드 발행장치
GB2362014A (en) Memory card handling apparatus
JPH07141754A (ja) カード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